KR102356882B1 - 신호 전달을 위한 포고핀 - Google Patents

신호 전달을 위한 포고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882B1
KR102356882B1 KR1020210098075A KR20210098075A KR102356882B1 KR 102356882 B1 KR102356882 B1 KR 102356882B1 KR 1020210098075 A KR1020210098075 A KR 1020210098075A KR 20210098075 A KR20210098075 A KR 20210098075A KR 102356882 B1 KR102356882 B1 KR 102356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locking
contact
inner reg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준
서상민
김대호
정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가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가레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가레인
Priority to KR1020210098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8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고핀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몸체부; 일 측이 상기 몸체부 외부로 돌출되고, 타 측이 상기 내부 공간에 일부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머리부;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머리부와 접촉되고, 수축 및 팽창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 상기 머리부 및 상기 스프링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스프링보다 낮은 저항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호 전달을 위한 포고핀{POGOPINS FOR TRANSMITTING SIGNAL}
본 발명은 신호 전달을 위한 포고핀에 관한 것이다.
기지국 장치는 기판과 기판 간의 고주파 신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connecter)가 구비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 등과 같은 신호 배선이 형성된 기판에 접촉되어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포고핀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포고핀은 내부 공간을 가지고 원통으로 이루어진 몸체부, 일 측이 기판에 접속되고 타 측이 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머리부, 및 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배치된 상태에서 머리부와 일부 접촉되어 수축 또는 팽창하는 나선형의 스프링을 포함한다.
KR 10-1330999 B1(2017.05.16)
본 발명은 신호 전달을 위한 포고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신호 간섭이 없이 신호 전달이 용이하며, 성능이 향상된 포고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은,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몸체부와 일 측이 몸체부 외부로 돌출되고, 타 측이 내부 공간에 일부 삽입되어 몸체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머리부 및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머리부와 접촉되고, 수축 및 팽창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 머리부 및 스프링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몸체부는 스프링보다 낮은 저항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머리부는, 몸체부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제1 부분과 내부 공간에 일부 삽입되어 몸체부와 접촉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부분은, 머리부가 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부를 포함하고, 걸림부가 몸체부의 내부면에 접촉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부는, 몸체부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은, 내부 영역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원통형의 몸체부와 내부 영역의 외부로 돌출된 제1 부분 및 일 측이 개방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머리부 및 내부 영역에 완전히 삽입되고, 머리부의 제2 부분을 통해 일부 삽입되어 수축 및 팽창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부분은, 몸체부의 내부면에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는, 내부면의 일부에서 걸림부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걸림부와 상호작용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머리부는, 제1 부분과 적어도 일부 연결되는 제2 부분에 원 형상의 크랙 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부분은, 제1 부분의 외주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제2 부분과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부는, 일 측이 제2 부분과 연결되고, 타 측이 제2 부분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몸체부의 걸림턱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부분은,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면들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면들이 절곡되어 스프링이 일부 삽입되는 내부 공간을 구성하고, 복수의 면들의 일 단과 타 단 사이에 일 단과 타 단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접촉부가 더 포함되며, 걸림부는, 복수의 면들의 일 단이 절곡되어 일 단의 내부면이 몸체부의 내부면 일부와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부분은,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삼각 형상의 면들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부는, 제2 부분과 적어도 일부 연결되고, 제2 부분의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지고, 제2 부분의 일 단은, 걸림부의 일 단과 서로 이격되는 간격을 가지고, 걸림부의 외부면과 몸체부의 내부면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부분은,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면들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면들 각각은 상부 및 하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는, 하부와 적어도 일부 연결되고, 걸림부는, 하부의 일 단에서 상부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 측이 하부와 연결되고, 타 측이 제2 부분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고, 걸림부의 내부면이 몸체부의 내부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부는, 머리부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몸체부의 내부면 일부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부분은, 양 단면이 서로 마주보고, 양 단면 사이에 기 설정된 간격의 제1 갭이 제2 부분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부분의 하부에는 양 단면이 서로 마주보고, 양 단면 사이에 기 설정된 간격의 제2 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갭은 제1 갭보다 더 큰 간격을 가지며, 이로 인해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기판으로부터의 신호가 포고핀의 스프링이 아닌 머리부와 접촉된 몸체부를 통해 전달됨으로써, 포고핀의 PIMD(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RF 신호가 간섭이 심한 스프링이 아닌 몸체부를 통해 전달됨으로써, 신호 간섭이 최소화되고, 성능이 향상된 포고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의 조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의 머리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의 조립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머리부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에 삽입된 머리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머리부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에 삽입된 머리부의 단면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4의 머리부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에 삽입된 머리부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7의 머리부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에 삽입된 머리부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전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전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전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전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의 조립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포고핀의 몸체부 양측에 머리부가 배치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경우 몸체부의 양 측에 배치된 머리부는 각각 기판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고핀(1000)은, 몸체부(100), 머리부(200) 및 스프링(3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포고핀(1000)은 제1 내부 공간(110)을 가지도록 구성된 원통형의 몸체부(100), 몸체부(100)의 양 측에 위치하고, 일 측이 기판과 접촉하며, 타 측이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으로 일부 삽입되어 몸체부(100)와 일부 접촉되도록 구성된 머리부(200) 및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에 배치되고, 일 측이 머리부(200)와 일부 접촉되어 수축 또는 팽창하도록 구성된 나선형의 스프링(300)을 포함한다.
몸체부(100), 머리부(200) 및 스프링(300)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특히, 몸체부(100)는 스프링(300)보다 낮은 저항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스프링(300)은 몸체부(100)보다 상대적인 적은 단면적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어, 몸체부(100)보다 높은 저항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100), 머리부(200) 및 스프링(300)은 황동, 베릴륨동 및 티타늄동 등과 같은 동(Cu) 계열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포고핀이 전도성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져, 신호 전달에 용이한 포고핀(1000)을 제공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00)는 양측이 개방된 내부 영역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00)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스프링(300) 전체를 수용하고, 머리부(2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1 내부 공간(110)을 가진다. 이러한 몸체부(100)는 양 측이 개방되어 머리부(20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100)의 내부면에는 몸체부(100)의 내부 공간에 일부 삽입된 머리부(200)가 고정되어 몸체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걸림턱(120)이 형성된다. 걸림턱(120)은 후술하는 머리부(200)의 걸림부(220)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120)은 내부면의 일부에서 걸림부(220)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걸림부(220)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머리부(200)는 일 측이 몸체부(100) 외부로 돌출되고, 타 측이 내부 공간에 일부 삽입되어 몸체부(100)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머리부(200)는 내부 영역의 외부로 돌출된 제1 부분(230) 및 일 측이 개방되는 제2 부분(2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머리부(2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일 측이 곡면 형상을 이루고, 타 측이 개방되어 스프링(3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내부 공간을 가진다. 제시된 실시예에서 곡면 형상은 머리부(200)의 일 측이 기판과 점 접촉 또는 면 접촉을 위한 형상으로, 예를 들어, 반구 형상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머리부(200)에는 머리부(200)의 일부가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몸체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220)가 형성된다. 걸림부(220)는 몸체부(100)의 걸림턱(120)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머리부(200)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20)는 탄성 구조로 형성되어 몸체부(100)의 내부면과 점 접촉 또는 면 접촉에 대한 접촉력을 제공할 수 있다.
머리부(200)에서 걸림부(220)가 형성된 부분은 직경이 몸체부(10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머리부(200)를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으로 삽입하기 위한 외력이 발생되면 걸림부(220)가 형성된 부분이 반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걸림부(220)가 형성된 부분이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으로 완전히 삽입되고, 머리부(200)에서 돌출 형성된 걸림부(220)가, 걸림부(220)와 대응하여 몸체부(100)의 내부면 위치에 형성된 걸림턱(120)과 접촉된다. 이로 인해 서로 간의 걸림이 이루어져 몸체부(100)의 양 측에 삽입된 머리부(200)가 고정되어 머리부(200)가 몸체부(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프링(300)은 제1 내부 공간(110)에 삽입되어 머리부(200)와 접촉되고, 수축 및 팽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프링(30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으로 완전히 삽입되며, 일 측이 머리부(200)의 제2 내부 공간(210)으로 적어도 일부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머리부(200)의 타 측이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으로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스프링(300)의 일 측이 머리부(200)의 제2 내부 공간(210)에 삽입될 수 있다.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에 머리부(200)의 일부 및 스프링(300)이 삽입된 상태에서 머리부(200)에 외력이 발생하면 머리부(200)는 외력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외력이 사라지면 머리부(200)는 스프링(30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포고핀(1000)은 머리부(200)의 일 측이 기판에 접촉되면 기판으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머리부(200)의 걸림부(220)와 접촉된 몸체부(100)를 통해 전달된다. 예를 들어, 머리부(200)가 기판에 접촉되면 머리부(200)의 제2 내부 공간(210) 및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에 배치된 스프링(300)이 수축되어 몸체부(100)에 삽입되지 않은 머리부(200)가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으로 일부 더 삽입된다. 이로 인해 머리부(200)의 걸림부(220)는 몸체부(100)의 내부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머리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타고 내려와 몸체부(100)의 내부면 일부와 면 접촉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신호가 몸체부(10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신호는 RF(Radio Frequency) 신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몸체부(100)가 스프링(300)에 비해 저항이 낮기 때문에 스프링(300)이 아닌 몸체부(100)를 통해 RF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므로, 성능이 좋은 포고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머리부(200)와 몸체부(100) 간의 면 접촉에 의해 기판으로부터의 신호가 신호 간섭이 심한 스프링(300)이 아닌 신호 간섭이 작은 몸체부(100)를 통해 전달됨으로써, 포고핀의 PIMD(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머리부(200)는 걸림부(220)가 형성된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의 머리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머리부(200)는 걸림부(220)가 형성된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가 더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는 머리부(200)의 폭 방향(즉, 몸체부(100)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몸체부(100)의 내부면과 점 접촉이 가능하도록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포고핀(1000)은 머리부(200)의 일 측이 기판에 접촉되면 기판으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머리부(200)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와 접촉된 몸체부(100)를 통해 전달된다. 예를 들어, 머리부(200)가 기판에 접촉되면 머리부(200)의 제2 내부 공간(210) 및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에 배치된 스프링(300)이 수축되어 몸체부(100)에 삽입되지 않은 머리부(200)가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으로 일부 더 삽입된다. 이로 인해 머리부(200)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는 몸체부(100)의 내부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타고 내려와 몸체부(100)의 내부면 일부와 점 접촉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신호가 몸체부(10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처럼, 머리부(200)와 몸체부(100) 간의 점 접촉에 의해 머리부(200)와 몸체부(100)의 접촉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머리부(200)와 몸체부(100) 간의 점 접촉에 의해 기판으로부터의 신호가 신호 간섭이 심한 스프링(300)이 아닌 신호 간섭이 작은 몸체부(100)를 통해 전달됨으로써, 포고핀의 PIMD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포고핀(1000)의 몸체부(100) 일 측에 머리부(200)가 배치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앞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의 조립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고핀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포고핀(1000)은 제1 내부 공간(110)을 가지고, 일 측이 개방되도록 구성된 원통형의 몸체부(100), 몸체부(100)의 일 측에 위치하고, 일 측이 기판과 접촉하며, 타 측이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으로 일부 삽입되어 몸체부(100)와 일부 접촉되도록 구성된 머리부(200) 및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에 배치되고, 일 측이 머리부(200)와 일부 접촉되어 수축 또는 팽창하도록 구성된 나선형의 스프링(300)을 포함한다.
몸체부(10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스프링(300) 전체를 수용하고, 머리부(2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제1 내부 공간(110)을 가진다. 이러한 몸체부(100)는 일 측이 개방되어 머리부(2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타 측은 일부가 기판에 삽입 또는 접촉되도록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을 이루는 부분보다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머리부(200) 및 스프링(300)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머리부(200) 및 스프링(300)과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이며, 도 1 내지 도 4의 머리부(200) 및 스프링(300)과 동일하거나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포고핀(1000)은 머리부(200)의 일 측이 기판에 접촉되면 기판으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머리부(200)의 걸림부(220)와 접촉된 몸체부(10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리부(200)의 걸림부(220)는 스프링(300)의 수축에 의해 몸체부(100)의 내부면 일부와 면 접촉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신호가 몸체부(10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처럼, 머리부(200)와 몸체부(100) 간의 면 접촉에 의해 기판으로부터의 신호가 신호 간섭이 심한 스프링(300)이 아닌 신호 간섭이 작은 몸체부(100)를 통해 전달됨으로써, 포고핀의 PIMD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머리부(200)의 걸림부(22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외측면에 곡면 형상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가 더 형성된 포고핀(1000)은 머리부(200)의 일 측이 기판에 접촉되면 기판으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머리부(200)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와 접촉된 몸체부(10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머리부(200)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는 스프링(300)의 수축에 의해 몸체부(100)의 내부면 일부와 점 접촉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신호가 몸체부(10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처럼, 머리부(200)와 몸체부(100) 간의 점 접촉에 의해 머리부(200)와 몸체부(100)의 접촉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머리부(200)와 몸체부(100) 간의 점 접촉에 의해 기판으로부터의 신호가 신호 간섭이 심한 스프링(300)이 아닌 신호 간섭이 작은 몸체부(100)를 통해 전달됨으로써, 포고핀의 PIMD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기판에 접촉되어 기판으로부터의 신호를 몸체부(100)로 전달하는 머리부(2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해서 도 8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머리부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에 삽입된 머리부의 단면도이다.
머리부(200)는 몸체부(100)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제1 부분(230)과 제1 내부 공간(110)에 일부 삽입되어 몸체부(100)와 접촉되는 제2 부분(240)을 포함한다. 제1 부분(230)과 제2 부분(24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머리부(200)를 구성하는 제1 부분(230)와 제2 부분(240)가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머리부(200)의 조립이 용이하다.
구체적으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머리부(200)는 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된 제1 부분(230) 및 일 측이 개방되는 제2 부분(2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머리부(200)는 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되어 기판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제1 부분(230) 및 일 측이 개방되고,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에 일부 삽입되어 몸체부(100)와 일부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제2 부분(240)을 포함한다. 제1 부분(230)은 제2 부분(240)과 적어도 일부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머리부(200)에는 제2 부분(240)을 통해 스프링(300)이 일부 삽입되어 수축 및 팽창할 수 있다.
제1 부분(230)과 적어도 일부 연결되는 제2 부분(240)에는 원 형상의 크랙 방지부(23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크랙 방지부(232)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20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부분(240)은 머리부(200)가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부(220)를 포함하고, 걸림부(220)는 몸체부(100)의 내부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부(100)의 내부면을 통해 면 접촉이 가능하고, 걸림부(220)가 몸체부(100) 내부면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몸체부(100)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120)과 맞물려서 몸체부(100)와 머리부(200) 간의 이탈 방지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2 부분(240)은 머리부(200)가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220)는 몸체부(100)의 내부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제2 부분(240)은 공정 단계에서 양 단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원통형을 이루고, 일 측이 개방되고, 스프링(300)이 일부 삽입될 수 있는 제2 내부 공간(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2 부분(240)의 제2 내부 공간(210)에 스프링(300)의 일부가 삽입되어 수축 및 팽창할 수 있다.
제2 부분(240)은 절곡에 의해 양 단면이 서로 마주보고, 양 단면 사이에 기 설정된 간격의 제1 갭(gap)(244)이 형성된다. 제2 부분(240)의 서로 마주보는 양 단면은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제2 부분(240)은 적어도 하나의 슬릿(slit)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슬릿은 이하 도 20에서 후술할 슬릿(248)을 의미한다.
제2 부분(240)은 이러한 슬릿에 의해 일 측이 제2 부분(240)과 연결되고, 타 측이 제2 부분(240)과 분리되어 타 측이 제2 부분(240)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220)가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부(220)는 몸체부(100)의 걸림턱(120)과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부(220)가 몸체부(100)의 내부면과 접촉되도록 돌출되어 걸림턱(120)과 접촉함으로써, 몸체부(100)와 머리부(200) 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부분(240)의 걸림부(220)가 형성된 일부는 직경이 몸체부(100)의 직경보다 더 크고, 걸림부(220)가 형성된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직경은 몸체부(10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머리부(200)를 몸체부(100)에 삽입하기 위한 외력이 발생되면 걸림부(220)가 형성된 일부가 반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으로 삽입되고, 걸림부(220)가, 걸림부(220)와 대응하여 몸체부(100)의 내부면에 형성된 걸림턱(120)과 접촉되어 서로 간의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에 삽입된 머리부(200)가 몸체부(10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머리부(200)의 제1 부분(230)이 기판에 접촉되면 머리부(200)의 제2 부분(240) 중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에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일부가 스프링(300)의 수축에 의해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으로 일부 더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걸림부(220)가 몸체부(100)의 내부면 일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타고 내려와 몸체부(100)의 내부면 일부와 면 접촉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기판으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몸체부(10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걸림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부(220)는 머리부(200)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몸체부(100)의 내부면 일부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는 몸체부(100)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에 의해 몸체부(100)와 머리부(200) 사이의 점 접촉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머리부(200)의 제1 부분(230)이 기판에 접촉되면 머리부(200)의 제2 부분(240) 중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에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일부가 스프링(300)의 수축에 의해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으로 일부 더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가 몸체부(100)의 내부면 일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타고 내려와 몸체부(100)의 내부면 일부와 점 접촉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기판으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몸체부(10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처럼 신호가 신호 간섭이 심한 스프링(300)이 아닌 신호 간섭이 작은 몸체부(100)를 통해 전달됨으로써, 포고핀의 PIMD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1의 머리부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에 삽입된 머리부의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머리부(200)는 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되어 기판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제1 부분(230) 및 제1 부분(230)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면들(250)을 가지는 제2 부분(240)을 포함한다.
제2 부분(240)은 공정 단계에서 복수의 면들(250)이 절곡되어 일 측이 개방되고 스프링(300)이 일부 삽입될 수 있는 제2 내부 공간(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2 부분(240)의 제2 내부 공간(210)에 스프링(300)의 일부가 삽입되어 수축 및 팽창할 수 있다.
복수의 면들(250) 각각은 절곡에 의해서 원통형을 이루고, 양 단면이 서로 마주보고 양 단면 사이에 기 설정된 간격의 제1 갭(244)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면들(250) 각각에는 제2 부분(240)의 일 단과 타 단 사이에 일 단과 타 단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고, 제2 부분(240)의 일부가 몸체부(100)에 삽입될 때 몸체부(100)의 내부면과 일부 접촉되는 접촉부(242)가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면들(250) 각각에는 머리부(200)가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부(220)가 형성된다.
걸림부(220)는, 복수의 면들(250)의 일 단이 절곡되어 일 단의 내부면이 몸체부(100)의 내부면 일부와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부(220)는 복수의 면들(250)의 일 단의 외부면이 제2 부분(240)의 외부면과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부(220)는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형성된 머리부(200)를 몸체부(100)에 삽입하기 위한 외력이 발생되면 복수의 면들(250)이 반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으로 삽입되고, 걸림부(220)가, 걸림부(220)와 대응하여 몸체부(100)의 내부면에 형성된 걸림턱(120)과 접촉되어 서로 간의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접촉부(242) 또한 몸체부(100)의 내부면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에 삽입된 머리부(200)가 몸체부(10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머리부(200)의 제1 부분(230)이 기판에 접촉되면 머리부(200)의 제2 부분(240) 중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에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일부가 스프링(300)의 수축에 의해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으로 일부 더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촉부(242) 및 걸림부(220)가 몸체부(100)의 내부면 일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타고 내려와 몸체부(100)의 내부면 일부와 면 접촉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기판으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몸체부(10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걸림부(220)는 머리부(200)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몸체부(100)의 내부면 일부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머리부(200)의 제1 부분(230)이 기판에 접촉되면 머리부(200)의 제2 부분(240) 중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에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일부가 스프링(300)의 수축에 의해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으로 일부 더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촉부(242) 및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가 몸체부(100)의 내부면 일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타고 내려와 몸체부(100)의 내부면 일부와 면 접촉 및/또는 점 접촉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기판으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몸체부(10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처럼 신호가 신호 간섭이 심한 스프링(300)이 아닌 신호 간섭이 작은 몸체부(100)를 통해 전달됨으로써, 포고핀의 PIMD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4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4의 머리부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에 삽입된 머리부의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머리부(200)는 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되어 기판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제1 부분(230) 및 일 측이 개방되고,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에 일부 삽입되어 몸체부(100)와 일부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제2 부분(240)을 포함한다. 제1 부분(230)은 제2 부분(240)과 적어도 일부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부분(230)은 제2 부분(240)으로부터 연장되는 삼각 형상의 면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면들이 공정 과정에서 절곡되어 제1 부분(230)의 일 측(즉, 기판과 접촉하는 부분)이 곡면 형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삼각 형상의 면들은 이하 도 22에서 후술할 삼각 형상의 면들(280)을 의미한다. 이처럼, 삼각 형상의 면들(280)에 의해 반구형의 머리부(200)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제2 부분(240)은 상부(260) 및 상부(260)와 적어도 일부 연결된 하부(270)를 포함한다.
제2 부분(240)은 공정 단계에서 상부(260) 및 하부(270)가 절곡되어 스프링(300)이 일부 삽입될 수 있는 제2 내부 공간(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2 부분(240)의 제2 내부 공간(210)에 스프링(300)의 일부가 삽입되어 수축 및 팽창할 수 있다.
공정 단계에서 상부(260)는 양 단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원통형을 이루고, 양 단면 사이에 기 설정된 간격의 제1 갭(244)이 형성된다. 상부(260)의 양 단면은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공정 단계에서 하부(270)는 양 단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원통형을 이루고, 양 단면 사이에 기 설정된 간격의 제2 갭(246)이 형성된다. 하부(270)의 제2 갭(246)은 상부(260)의 제1 갭(244)보다 더 큰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머리부(200)가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부(220)가 형성된다. 걸림부(220)는, 제2 부분(240)과 적어도 일부 연결되고, 제2 부분(240)의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제2 부분(240)의 일 단은, 걸림부(220)의 일 단과 서로 이격되는 간격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부(220)가 형성된 하부(270)의 폭은 상부(260)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걸림부(220)가 형성된 하부(270)의 직경이 상부(26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머리부(200)를 몸체부(100)에 삽입하기 위한 외력이 발생되면 걸림부(220)가 반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으로 삽입되고, 걸림부(220)가, 걸림부(220)와 대응하여 몸체부(100)의 내부면에 형성된 걸림턱(120)과 접촉되어 서로 간의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걸림부(220)의 외부면은 몸체부(100)의 내부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에 삽입된 머리부(200)가 몸체부(10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머리부(200)의 제1 부분(230)이 기판에 접촉되면 머리부(200)의 제2 부분(240) 중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에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일부가 스프링(300)의 수축에 의해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으로 일부 더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걸림부(220)의 외부면이 몸체부(100)의 내부면 일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타고 내려와 몸체부(100)의 내부면 일부와 면 접촉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기판으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몸체부(10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걸림부(220)는 머리부(200)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몸체부(100)의 내부면 일부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머리부(200)의 제1 부분(230)이 기판에 접촉되면 머리부(200)의 제2 부분(240) 중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에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일부가 스프링(300)의 수축에 의해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으로 일부 더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가 몸체부(100)의 내부면 일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타고 내려와 몸체부(100)의 내부면 일부와 점 접촉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기판으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몸체부(10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처럼 신호가 신호 간섭이 심한 스프링(300)이 아닌 신호 간섭이 작은 몸체부(100)를 통해 전달됨으로써, 포고핀의 PIMD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7의 머리부를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에 삽입된 머리부의 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머리부(200)는 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되어 기판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제1 부분(230) 및 일 측이 개방되고,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에 일부 삽입되어 몸체부(100)와 일부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제2 부분(240)을 포함한다. 제1 부분(230)은 제2 부분(240)과 적어도 일부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부분(230)에는 기판과 접촉되는 일 면에 머리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234)가 형성되어 제1 부분(230)과 기판 사이의 점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부분(240)은 제1 부분(230)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면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면들 각각이 상부(260) 및 하부(270)를 포함한다. 상부(260)는 하부(270)와 적어도 일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면들은 이하 도 23에서 후술할 복수의 면들(250)을 의미한다.
제2 부분(240)은 공정 단계에서 상부(260) 및 하부(270)가 절곡되어 원통형을 이루고, 스프링(300)이 일부 삽입될 수 있는 제2 내부 공간(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2 부분(240)의 제2 내부 공간(210)에 스프링(300)의 일부가 삽입되어 수축 및 팽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면들의 상부(260) 중 어느 하나의 양 단면은 다른 하나의 양 단면과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원통형을 이루고, 어느 하나의 일 면과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일 면 사이에 어느 하나의 기 설정된 간격의 제1 갭(244)이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타 면과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타 면 사이에 다른 하나의 기 설정된 간격의 제1 갭(244)이 형성된다. 복수의 면들의 상부(260) 중 어느 하나의 일 면은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일 면과 용접에 의해서 결합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타 면은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타 면과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복수의 면들의 하부(270) 중 어느 하나의 양 단면은 다른 하나의 양단면과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원통형을 이루고, 어느 하나의 일 면과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일 면 사이에 어느 하나의 기 설정된 간격의 제2 갭(246)이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타 면과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타 면 사이에 다른 하나의 기 설정된 간격의 제2 갭(246)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270)의 양측 상단에는 일 측이 하부(270)와 연결되고 타 측이 하부(270)와 분리되어 제2 부분(240)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부(22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머리부(200)를 몸체부(100)에 삽입하기 위한 외력이 발생되면 걸림부(220)가 반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어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으로 삽입되고, 걸림부(220)가, 걸림부(220)와 대응하여 몸체부(100)의 내부면에 형성된 걸림턱(120)과 접촉되어 서로 간의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걸림부(220)는 몸체부(100)의 내부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에 삽입된 머리부(200)가 몸체부(10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머리부(200)의 제1 부분(230)이 기판에 접촉되면 머리부(200)의 제2 부분(240) 중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에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일부가 스프링(300)의 수축에 의해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으로 일부 더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걸림부(220)의 외부면이 몸체부(100)의 내부면 일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타고 내려와 몸체부(100)의 내부면 일부와 면 접촉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기판으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몸체부(10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면들 각각의 하부(270)는 머리부(200)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몸체부(100)의 내부면 일부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머리부(200)의 제1 부분(230)이 기판에 접촉되면 머리부(200)의 제2 부분(240) 중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에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일부가 스프링(300)의 수축에 의해 몸체부(100)의 제1 내부 공간(110)으로 일부 더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가 몸체부(100)의 내부면 일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타고 내려와 몸체부(100)의 내부면 일부와 점 접촉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기판으로부터 전달된 신호가 몸체부(10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이처럼 신호가 신호 간섭이 심한 스프링(300)이 아닌 신호 간섭이 작은 몸체부(100)를 통해 전달됨으로써, 포고핀의 PIMD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갖는 머리부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전개도이다. 도 20에서 설명하는 머리부의 전개도는 상술한 도 8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머리부(200)와 연관된다.
먼저, 머리부(200)를 형성하기 위한 제조 과정은, 하나의 판재를 준비하여 준비된 판재에 머리부(200)를 구성하는 제1 부분(230) 및 제2 부분(240)이 전개된 상태로 재단하는 제1 과정 및 재단된 판재가 절곡되어 캡(cap) 형상의 머리부(200)를 형성하는 제2 과정을 포함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 과정은 원 형상의 제1 부분(230), 제1 부분(230)과 일부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된 제2 부분(240) 및 일 측이 제2 부분(240)과 연결되어 제2 부분(24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걸림부(220)가 전개된 상태로 판재를 재단한다.
이처럼, 제1 부분(230)은, 제2 부분(240)과 적어도 일부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부분(230)과 제2 부분(240)이 일체로 형성되어 머리부(200)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제1 과정에서 제2 부분(240)과 복수의 걸림부(220) 사이에는 슬릿(24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릿(248)에 의해 일 측이 제2 부분(240)과 연결되고, 타 측이 제2 부분(240)과 분리되는 복수의 걸림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과정에서 제1 부분(230)과 제2 부분(240)이 적어도 일부 연결된 부분에는 원 형상의 크랙 방지부(232)가 펀칭되어 제2 과정에서 절곡 시 제1 부분(230)과 제2 부분(240) 사이의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과정은 제1 부분(230)이 곡면 형상을 가지도록 프레싱(pressing)되고, 프레스된 제1 부분(230)과 제2 부분(240)이 절곡되어 도 8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머리부(200)의 제1 부분(230)을 형성하고, 제2 부분(240)의 양 단면이 마주하도록 절곡되어 원통형을 이루고, 스프링(300)이 삽입되는 제2 내부 공간(210)을 형성하도록 도 8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머리부(200)의 제2 부분(240)을 형성한다.
제2 과정에서 제2 부분(240)은 제1 부분(230)으로부터 절곡되어 제1 부분(230)의 일면과 제2 부분(240)의 일면이 적어도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과정에서 제2 부분(240)의 양 단면은 마주보도록 절곡됨에 따라 양 단면 사이에 기 설정된 간격의 제1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갭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1 갭(244)을 의미한다.
제2 과정에서 제2 부분(240)의 양 단면은 마주하는 위치에서 용접되어 양단면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과정은 슬릿(248)에 의해서 형성된 복수의 걸림부(220) 각각의 일 단이 절곡되어 도 8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머리부(200)의 걸림부(220)를 형성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과정은 복수의 걸림부(220) 각각의 타 단 일부가 프레싱되어 도 8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머리부(200)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전개도이다. 도 21에서 설명하는 머리부의 전개도는 상술한 도 1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머리부(200)와 연관된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1 과정은 곡면을 가지는 제1 부분(230) 및 제1 부분(230)으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면들(250)을 포함하는 제2 부분(240)이 전개된 상태로 판재를 재단한다.
재단된 복수의 면들(250) 각각은 제2 과정에서 양 단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원통형을 이루고, 이로 인해 복수의 면들(250) 각각의 양 단면 사이에 기 설정된 간격의 제1 갭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갭은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1 갭(244)을 의미한다.
제2 과정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접촉부(242)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면들(250) 각각의 일 단과 타 단 사이의 폭(a)이 일 단의 폭(b) 및 타 단의 폭(c)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과정은 제1 부분(230)이 곡면 형상을 가지도록 프레스하고, 프레스된 제1 부분(230)과 복수의 면들(250)이 절곡되어 도 1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머리부(200)의 제1 부분(230)을 형성하고, 복수의 면들(250) 각각의 양단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되어 스프링(300)이 삽입되는 제2 내부 공간(210)을 형성하도록 도 1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머리부(200)의 제2 부분(240)을 형성한다. 제2 과정에서 복수의 면들(250) 각각의 양단면은 서로 이격되어 기 설정된 간격을 가지도록 절곡될 수 있다.
제2 과정에서 제2 부분(240)은 제1 부분(230)으로부터 절곡되어 제1 부분(230)의 일면과 제2 부분(240)의 일면이 적어도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면들(250) 각각의 양 단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되면 복수의 면들(250) 각각의 일 단과 타 단 사이가 복수의 면들(250) 각각의 일 단 및 타 단보다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도 1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접촉부(24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과정은 복수의 면들(250) 각각의 일 측(예를 들어, 타 단)의 외부면이 복수의 면들(250) 각각의 외부면과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도 1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걸림부(220)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면들(250)의 타 단이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도 1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걸림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과정은 복수의 면들(250) 각각의 일 측의 외부면이 복수의 제2 부분(240) 각각의 외부면과 마주보도록 절곡된 상태에서 복수의 면들(250) 각각의 일 측이 프레싱되어 도 1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머리부(200)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전개도이다. 도 22에서 설명하는 머리부의 전개도는 상술한 도 14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머리부(200)와 연관된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1 과정은 삼각 형상의 면들(280)을 가지는 제1 부분(230), 삼각 형상의 면들(280)과 연결되는 제2 부분(240)의 상부(260) 및 상부(260)와 적어도 일부 연결되는 하부(270)가 전개된 상태로 판재를 재단한다.
재단된 상부(260)와 하부(270)의 폭은 서로 일치하거나, 하부(270)의 폭이 상부(260)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과정은 삼각 형상의 면들(280)의 어느 하나의 일 단면이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타 단면과 마주하도록 절곡되어 도 14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머리부(200)의 제1 부분(230)을 형성한다.
제2 과정은 상부(260)의 양 단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원통형을 이루고, 하부(270)의 양 단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되어 원통형을 이루며, 스프링(300)이 삽입되는 제2 내부 공간(210)을 형성하도록 도 14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머리부(200)의 제2 부분(240)을 형성한다.
제2 과정에서 삼각 형상의 면들(280) 각각의 일 단면 및 타 단면은 마주하는 위치에서 용접되어 일 단면 및 타 단면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과정에서 제2 부분(240)은 제1 부분(230)으로부터 절곡되어 제1 부분(230)의 일면과 제2 부분(240)의 일면이 적어도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과정에서 상부(260)의 양 단면은 서로 마주 보도록 절곡되어 양 단면 사이에 기 설정된 간격의 제1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갭은 도 14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1 갭(244)을 의미한다. 상부(260)의 양 단면은 마주하는 위치에서 용접되어 양 단면이 결합될 수도 있다.
제2 과정에서 하부(270)의 양 단면은 서로 마주 보도록 절곡되어 양 단면 사이에 기 설정된 간격의 제2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갭은 도 14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2 갭(246)을 의미한다.
하부(270)의 양 단면은 절곡된 하부(270)의 폭이 절곡된 상부(260)의 폭보다 더 넓게 절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곡된 하부(270)의 양단면에 의해 도 14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제2 부분(240)의 하부(270)의 직경이 상부(260)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됨으로써, 도 14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걸림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과정은 하부(270)의 양단면이 절곡된 상태에서 하부(270)의 일 면이 프레싱되어 도 14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머리부(200)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머리부의 전개도이다. 도 21에서 설명하는 머리부의 전개도는 상술한 도 17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 머리부(200)와 연관된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1 과정은 곡면을 가지는 제1 부분(230) 및 제1 부분(230)에서 연장되고 상부(260), 하부(270) 및 하부(270)의 일 단에서 상부(260)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부(220)로 구성된 복수의 면들(250)을 포함하는 제2 부분(240)이 전개된 상태로 판재를 재단한다. 이처럼, 복수의 면들(250)은 제1 부분(230)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상부(260)는, 하부(270)와 적어도 일부 연결될 수 있다.
재단된 상부(260)와 하부(270)의 폭은 서로 일치하거나, 상부(260)의 폭이 하부(270)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과정은 제1 부분(230)이 곡면 형상을 가지도록 프레스하고, 프레스된 제1 부분(230)과 복수의 면들(250)이 절곡되어 도 17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 머리부(200)의 제1 부분(230)을 형성한다. 이때, 제2 과정에서 제1 부분(230)의 일 면이 더 프레싱되어 도 17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 돌기(23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과정은 복수의 면들(250)의 상부(260) 중 어느 하나의 양 단면이 다른 하나의 양 단면과 마주하도록 절곡되어 원통형을 이루고, 복수의 면들(250)의 하부(270) 중 어느 하나의 양 단면이 다른 하나의 양 단면과 마주하도록 절곡되어 원통형을 이루며, 스프링(300)이 삽입되는 제2 내부 공간(210)을 형성하도록 도 17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 상부(260) 및 하부(270)를 포함하는 제2 부분(240)을 형성한다.
제2 과정에서 상부(260) 중 어느 하나의 양 단면 중 일 면과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양 단면 중 일 면 사이에 기 설정된 간격의 제1 갭이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양 단면 중 타 면과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양 단면 중 타 면 사이에 기 설정된 간격의 제1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갭은 도 17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1 갭(244)을 의미한다.
상부(260) 중 어느 하나의 양 단면 중 적어도 하나는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양 단면 중 적어도 하나와 용접되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2 과정에서 하부(270) 중 어느 하나의 양 단면 중 일 면과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양 단면 중 일 면 사이에 기 설정된 간격의 제2 갭이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양 단면 중 타 면과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양 단면 중 타면 사이에 기 설정된 간격의 제2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갭은 도 17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2 갭(246)을 의미한다.
하부(270) 중 어느 하나의 양 단면 중 적어도 하나는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양 단면 중 적어도 하나와 일부 용접되어 서로 일부 결합될 수도 있다.
제2 과정에서 제2 부분(240)은 제1 부분(230)으로부터 절곡되어 제1 부분(230)의 일면과 제2 부분(240)의 일면이 적어도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과정에서 하부(270)의 양 측 상단에 위치한 복수의 걸림부(220)가 절곡되어 도 17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 걸림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걸림부(220)는, 하부(270)의 일 단에서 상부(260)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일 측이 하부(270)과 연결되며, 타 측이 제2 부분(240)의 폭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과정은 하부(270)의 양단면이 절곡된 상태에서 하부(270)의 일 면이 프레싱되어 도 17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 머리부(200)의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222)를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포고핀의 머리부 및 몸체부를 통해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신호 간섭이 최소화되고, 성능이 향상된 포고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몸체부 110: 제1 내부 공간
120: 걸림턱 200: 머리부
210: 제2 내부 공간 220: 걸림부
222: 돌기부 230: 제1 부분
232: 크랙 방지부 234: 돌기
240: 제2 부분 242: 접촉부
244: 제1 갭 246: 제2 갭
248: 슬릿 250: 복수의 면들
260: 상부 270: 하부
280: 삼각 형상의 면들 300: 스프링
1000: 포고핀

Claims (16)

  1.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몸체부;
    일 측이 상기 몸체부 외부로 돌출되고, 타 측이 상기 내부 공간에 일부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머리부;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머리부와 접촉되고, 수축 및 팽창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 상기 머리부 및 상기 스프링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스프링보다 낮은 저항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머리부는, 상기 몸체부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제1 부분과, 상기 내부 공간에 일부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와 접촉되고 상기 제1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는 제2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에 접촉하고, 상기 머리부가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부; 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돌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달을 위한 포고핀.
  2. 내부 영역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원통형의 몸체부;
    상기 내부 영역의 외부로 돌출된 제1 부분 및 일 측이 개방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머리부; 및
    상기 내부 영역에 완전히 삽입되고, 상기 머리부의 제2 부분을 통해 일부 삽입되어 수축 및 팽창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에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걸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내부면의 일부에서 상기 걸림부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와 상호작용하는 걸림턱; 을 포함하고,
    상기 머리부는 상기 제1 부분과 적어도 일부 연결되는 상기 제2 부분에 원 형상의 크랙 방지부; 를 더 포함하는,
    신호 전달을 위한 포고핀.
  3. 내부 영역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원통형의 몸체부;
    상기 내부 영역의 외부로 돌출된 제1 부분 및 일 측이 개방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머리부; 및
    상기 내부 영역에 완전히 삽입되고, 상기 머리부의 제2 부분을 통해 일부 삽입되어 수축 및 팽창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에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걸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내부면의 일부에서 상기 걸림부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와 상호작용하는 걸림턱;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의 외주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상기 제2 부분과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달을 위한 포고핀.
  4. 내부 영역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원통형의 몸체부;
    상기 내부 영역의 외부로 돌출된 제1 부분 및 일 측이 개방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머리부; 및
    상기 내부 영역에 완전히 삽입되고, 상기 머리부의 제2 부분을 통해 일부 삽입되어 수축 및 팽창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에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걸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내부면의 일부에서 상기 걸림부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와 상호작용하는 걸림턱; 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일 측이 상기 제2 부분과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제2 부분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부의 걸림턱과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달을 위한 포고핀.
  5. 내부 영역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원통형의 몸체부;
    상기 내부 영역의 외부로 돌출된 제1 부분 및 일 측이 개방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머리부; 및
    상기 내부 영역에 완전히 삽입되고, 상기 머리부의 제2 부분을 통해 일부 삽입되어 수축 및 팽창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에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걸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내부면의 일부에서 상기 걸림부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와 상호작용하는 걸림턱;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면들;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면들이 절곡되어 상기 스프링이 일부 삽입되는 내부 공간을 구성하고,
    상기 복수의 면들의 일 단과 타 단 사이에 상기 일 단과 상기 타 단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접촉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복수의 면들의 일 단이 절곡되어 상기 일 단의 내부면이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 일부와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달을 위한 포고핀.
  6. 내부 영역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원통형의 몸체부;
    상기 내부 영역의 외부로 돌출된 제1 부분 및 일 측이 개방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머리부; 및
    상기 내부 영역에 완전히 삽입되고, 상기 머리부의 제2 부분을 통해 일부 삽입되어 수축 및 팽창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에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걸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내부면의 일부에서 상기 걸림부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와 상호작용하는 걸림턱;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삼각 형상의 면들; 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2 부분과 적어도 일부 연결되고, 상기 제2 부분의 폭보다 더 넓은 폭을 가지고,
    상기 제2 부분의 일 단은, 상기 걸림부의 일 단과 서로 이격되는 간격을 가지고,
    상기 걸림부의 외부면과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달을 위한 포고핀.
  7. 내부 영역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원통형의 몸체부;
    상기 내부 영역의 외부로 돌출된 제1 부분 및 일 측이 개방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머리부; 및
    상기 내부 영역에 완전히 삽입되고, 상기 머리부의 제2 부분을 통해 일부 삽입되어 수축 및 팽창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에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걸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내부면의 일부에서 상기 걸림부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와 상호작용하는 걸림턱;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면들;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면들 각각은 상부 및 하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는, 상기 하부와 적어도 일부 연결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하부의 일 단에서 상기 상부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일 측이 상기 하부와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제2 부분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걸림부의 내부면이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달을 위한 포고핀.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머리부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 일부와 접촉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 를 포함하는,
    신호 전달을 위한 포고핀.
  9. 내부 영역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원통형의 몸체부;
    상기 내부 영역의 외부로 돌출된 제1 부분 및 일 측이 개방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머리부; 및
    상기 내부 영역에 완전히 삽입되고, 상기 머리부의 제2 부분을 통해 일부 삽입되어 수축 및 팽창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몸체부의 내부면에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걸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내부면의 일부에서 상기 걸림부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기 걸림부와 상호작용하는 걸림턱;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양 단면이 서로 마주보고, 상기 양 단면 사이에 기 설정된 간격의 제1 갭이 상기 제2 부분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분의 하부에는 양 단면이 서로 마주보고, 상기 양 단면 사이에 기 설정된 간격의 제2 갭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갭은 상기 제1 갭보다 더 큰 간격을 가지며, 이로 인해 상기 걸림부; 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달을 위한 포고핀.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210098075A 2021-07-26 2021-07-26 신호 전달을 위한 포고핀 KR102356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075A KR102356882B1 (ko) 2021-07-26 2021-07-26 신호 전달을 위한 포고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075A KR102356882B1 (ko) 2021-07-26 2021-07-26 신호 전달을 위한 포고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882B1 true KR102356882B1 (ko) 2022-02-08

Family

ID=80252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075A KR102356882B1 (ko) 2021-07-26 2021-07-26 신호 전달을 위한 포고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8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091B1 (ko) 2022-08-23 2022-12-07 주식회사 프로이천 프로브니들을 포함하는 접촉핀
KR102532503B1 (ko) 2022-09-01 2023-05-17 주식회사 프로이천 프로브니들
KR102663575B1 (ko) * 2024-02-02 2024-05-03 주식회사 나노시스 결속력을 강화한 탄성 컨텍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7010A (ko) * 2010-05-18 2011-11-24 김철진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포고핀
KR101330999B1 (ko) 2011-12-05 2013-11-20 (주)아이윈 탐침부 연결형 포고핀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7487A (ko) * 2013-11-19 2015-05-28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포고 핀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25711A (ko) * 2016-09-01 2018-03-09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반도체용 미세 프로브핀
KR20180060565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계측용 프로브핀
KR20180118294A (ko) * 2017-04-21 2018-10-31 리노공업주식회사 프로브 소켓
KR20190011294A (ko) * 2019-01-10 2019-02-01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포고핀용 탐침부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포고핀
KR102122596B1 (ko) * 2019-07-17 2020-06-12 박상량 분리가능한 포고핀 모듈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7010A (ko) * 2010-05-18 2011-11-24 김철진 반도체 디바이스 테스트용 포고핀
KR101330999B1 (ko) 2011-12-05 2013-11-20 (주)아이윈 탐침부 연결형 포고핀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7487A (ko) * 2013-11-19 2015-05-28 (주)마이크로컨텍솔루션 포고 핀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25711A (ko) * 2016-09-01 2018-03-09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반도체용 미세 프로브핀
KR20180060565A (ko) * 2016-11-29 2018-06-07 주식회사 파인디앤씨 계측용 프로브핀
KR20180118294A (ko) * 2017-04-21 2018-10-31 리노공업주식회사 프로브 소켓
KR20190011294A (ko) * 2019-01-10 2019-02-01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포고핀용 탐침부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포고핀
KR102122596B1 (ko) * 2019-07-17 2020-06-12 박상량 분리가능한 포고핀 모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091B1 (ko) 2022-08-23 2022-12-07 주식회사 프로이천 프로브니들을 포함하는 접촉핀
KR102532503B1 (ko) 2022-09-01 2023-05-17 주식회사 프로이천 프로브니들
KR102663575B1 (ko) * 2024-02-02 2024-05-03 주식회사 나노시스 결속력을 강화한 탄성 컨텍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6882B1 (ko) 신호 전달을 위한 포고핀
JP4803743B2 (ja) コネクタ
US4718854A (en) Low profile press fit connector
KR101802731B1 (ko) 스위치 부착 동축 커넥터
US9425564B2 (en) Connector
CN111106462A (zh) 基板连接用连接器
KR100383374B1 (ko) 스위치 부착 동축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JP5070021B2 (ja) コネクタ
JP7032978B2 (ja) L形同軸端子を備えた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878850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grounding device
TWI530036B (zh) Connectors and performance boards, motherboards, and semiconductor test devices including the connector
US11824246B2 (en) Cavity filter with a slim and compact structure
US20040175978A1 (en) Connector with switching function
CN112787121A (zh) 同轴连接器及板对板连接器组件
JPWO2018221354A1 (ja) L型同軸コネクタおよび同軸ケーブル付きl型同軸コネクタ
EP1174960B1 (en) Coaxial connector an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same
US1192955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or and communication module comprising same
US7108522B2 (en) Connector assembling with side grounding pin
KR20160101520A (ko) 리셉터클 커넥터
JP2008123913A (ja) 内導体端子及び同軸コネクタ
JP2008504655A (ja) 電気的接触のための切替え機構を有する同軸コネクタ
KR100474878B1 (ko) 커넥터조립체
US7011545B2 (en) Socket connector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termination sockets for coaxial cables
US8075323B2 (en) Connector having a plug arranged above a plate-like terminal
JP4543411B2 (ja) 同軸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