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693B1 - Screen curling system - Google Patents

Screen curl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693B1
KR102356693B1 KR1020190019937A KR20190019937A KR102356693B1 KR 102356693 B1 KR102356693 B1 KR 102356693B1 KR 1020190019937 A KR1020190019937 A KR 1020190019937A KR 20190019937 A KR20190019937 A KR 20190019937A KR 102356693 B1 KR102356693 B1 KR 102356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ling
stone
image
area
curling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9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0433A (en
Inventor
유성재
황현숙
곽재석
Original Assignee
유성재
황현숙
곽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3229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53060B1/en
Application filed by 유성재, 황현숙, 곽재석 filed Critical 유성재
Priority to KR1020190019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693B1/en
Publication of KR20190110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4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6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4Curling stone; Shuffleboard; Similar slid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63B2220/34Angular speed
    • A63B2220/35Sp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 Y10S482/902Employing specific graphic or video displa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스크린 컬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된 스크린 컬링 시스템은 제1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 표시부; 상기 영상 표시부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적어도 일부의 영역인 제1 영역이 롤러 컨베이어 형태로 구동되고, 적어도 일부의 영역인 제2 영역에서 제2 영상이 표시되는 컬링 시트부; 및 상기 롤러 컨베이어 형태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컬링 시트부 상에서 움직이는 컬링 스톤의 움직임 정보 및 브룸의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 screen culling system is disclosed. The disclosed screen culling system includes: an image display unit on which a first image is displayed; a curling sheet unit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image display unit, at least a first area, which is a partial area, driven in the form of a roller conveyor, and a second image is displayed on at least a partial area, a second area;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roller conveyor and generates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by using at least one of motion information of a curling stone and motion information of a broom moving on the curling sheet unit. .

Description

스크린 컬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장치{Screen curling system}Screen curling system and its control device {Screen curling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얼음 링크를 이용하지 않고 좁은 공간에서 컬링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screen curling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 curling game in a narrow space without using an ice rink, and a control apparatus thereof.

컬링(curling)은 두 팀이 컬링 시트(curling sheet)라고 부르는 직사각형의 얼음 링크 위에 컬링 스톤(curling stone)을 미끄러뜨려 정해진 표적 위에 얼마나 더 정확하게 위치시켰는지에 따라 승패를 결정짓는 스포츠이다. Curling is a sport in which two teams win or lose by sliding a curling stone onto a rectangular ice rink called a curling sheet and positioning it more accurately on a given target.

도 1에서는 컬링 시트를 도시하고 있으며, 컬링 시트의 규격은 표 1과 같다.
1 shows a curling sheet, and the specifications of the curling sheet are shown in Table 1.

컬링 시트의 전체 길이Overall length of curling sheet 42.07m42.07m 한쪽 핵과 반대편 핵 사이의 길이the length between one nucleus and the opposite nucleus 42m42m 핵으로부터 백 라인까지의 거리distance from nucleus to back line 1.8m1.8m 백 라인으로부터 티 라인까지의 거리Distance from back line to tee line 1.8m1.8m 티 라인으로부터 호그 라인까지의 거리Distance from tee line to hog line 6.4m6.4m 한쪽 호그 라인과 반대편 호그 라인 사이의 거리Distance between one hog line and the other hog line 22m22m 하우스의 반지름radius of house 1.8m1.8m

그리고, 표 2는 컬링의 규칙을 정리한 표이다.
And, Table 2 is a table summarizing the rules of curling.

- 호그 라인을 넘어가기 전에 투구가 완료되지 않은 컬링 스톤은 제거된다.- Curling stones that are not pitched before crossing the hog line are removed. - 반대편 호그 라인을 넘어가지 않은 컬링 스톤은 제거된다.- Curling stones that have not crossed the opposite hog line are removed. - 반대편 백 라인을 넘어간 컬링 스톤은 제거된다.- Curling stones that have crossed the opposite back line are removed. - 측벽에 도달한 컬링 스톤은 제거된다.- Curling stones that reach the sidewall are removed. - 투구자가 속한 팀의 스위퍼는 컬링 스톤이 호그 라인을 넘어선 시점부터 반대편 티 라인을 넘어서기 전까지 스위핑할 수 있다.- The sweeper of the pitcher's team can sweep from the point when the curling stone crosses the hog line until it crosses the opposite tee line. - 투구자가 속하지 않은 팀의 구성원은 컬링 스톤이 티 라인을 넘어선 시점부터 스위핑할 수 있다.- Members of the team not belonging to the pitcher may sweep from the point when the curling stone crosses the tee line. - 각 팀에 투구를 위한 시간으로 총 73분이 주어진다. 또한 10엔드 당 60초 작전타임이 2회씩 주어진다. 추가 엔드를 하게 될 경우, 엔드 당 10분씩의 투구 시간과 60초 작전타임 1회가 주어진다.- Each team is given a total of 73 minutes for pitching. Also, 60 seconds of operation time is given twice for every 10 ends. In case of additional ends, 10 minutes of pitching time and one 60-second operation time are given for each end. - 한 엔드가 끝난 후, 버튼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컬링 스톤의 소유 팀이 해당 엔드의 승자가 된다. 상대편 컬링 스톤보다 하우스 중앙(버튼)에 가까이 붙인 스톤의 개수만큼 득점된다.- After an end is over, the team that owns the curling stones closest to the button is the winner of that end. Points are scored as many as the number of stones placed closer to the center (button) of the house than the opponent's curling stones.

그러나, 컬링은 얼음 링크가 존재하는 컬링 경기장에서 수행되는데, 컬링 경기장의 개수가 많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컬링을 쉽게 즐길 수 없는 단점이 있다.However, curling is performed in a curling arena where an ice rink exists, but since the number of curling arenas is not large, a user cannot easily enjoy curling.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얼음 링크를 이용하지 않고 좁은 공간에서 컬링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 및 이의 제어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tends to propose a screen curling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a curling game in a narrow space without using an ice rink and a control device thereof.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riv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 표시부; 상기 영상 표시부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적어도 일부의 영역인 제1 영역이 롤러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컬링 시트부; 및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컬링 시트부 상에서 움직이는 컬링 스톤의 움직임 정보 및 브룸의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컬링 스톤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표시되는 제2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rst image is displayed image display unit; a curling sheet part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image display part, and in which at least a part of a first region is configured by a roller conveyor; and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roller conveyor, and using at least one of motion information of a curling stone moving on the curling sheet and motion information of a broom, a second displayed on the first imag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urling stone unit There is provided a screen culling system comprising a;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n image.

상기 컬링 시트부의 표면 및 상기 컬링 스톤의 바닥면은 0.03 내지 0.05의 마찰 계수를 가지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urface of the curling sheet par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urling stone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friction coefficient of 0.03 to 0.05.

상기 컬링 시트부는, 상기 컬링 스톤의 전방향 이동을 기준으로 투구 영역, 스톤 수거 영역 및 스위핑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스위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핑 영역에 상기 제2 영상이 표시되며,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컬링 스톤과 대응되는 가상의 컬링 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urling sheet unit includes a throwing area, a stone collecting area, and a sweeping area based on the forward movement of the curling stone, wherein the first area includes the sweeping area, and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on the sweeping area and the second image may include a virtual curling stone corresponding to the curling ston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구 영역에서 투구된 상기 컬링 스톤의 초기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롤링 컨베이어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riving speed of the rolling conveyor based on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pitched in the pitching area.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구 영역의 일단부에 배치된 핵(hack)을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발의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컬링 스톤의 초기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based on the pressure of the user's foot sensed through a hack disposed at one end of the throwing area.

상기 컬링 시트부는, 상기 컬링 스톤의 전방향 이동을 기준으로 투구 영역, 스톤 수거 영역 및 스위핑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투구 영역 및 상기 스위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투구 영역 및 상기 스위핑 영역에 상기 제2 영상이 표시되며, 상기 제2 영상은 가상의 컬링 시트 및 가상의 컬링 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urling sheet part includes a throwing area, a stone collecting area and a sweeping area based on the forward movement of the curling stone, wherein the first area includes the throwing area and the sweeping area, the pitching area and the sweeping area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on the area, and the second image may include a virtual curling sheet and a virtual curling stone.

상기 컬링 시트부는, 상기 컬링 스톤을 투구하고 상기 브룸을 이용한 스위핑이 수행되는 투구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투구 영역이고, 상기 투구 영역에 상기 제2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The curling sheet unit may include a pitching area in which the curling stone is thrown and sweeping using the broom is performed, wherein the first area is the pitching area, and the second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pitching area.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구 영역과 인접하게 배치된 핵을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발의 압력에 기초하여 상기 투구 영역에서 투구된 상기 컬링 스톤의 초기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초기 속도에 따라 상기 투구 영역에 대응되는 롤러 컨베이어의 구동 속도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thrown in the throwing area based on the pressure of the user's foot sensed through the nucleus disposed adjacent to the throwing area, an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initial speed, the It is possible to gradually increase the driving speed of the corresponding roller conveyor.

상기 컬링 스톤의 움직임 정보는 상기 컬링 스톤의 진행 방향, 진행 속도,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브룸의 움직임 정보는 상기 브룸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컬링 스톤의 움직임 정보, 상기 브룸의 움직임 정보, 상기 컬링 스톤과 상기 컬링 시트부의 마찰 계수 및 상기 브룸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컬링 스톤과 상기 컬링 시트부의 마찰 계수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컬링 스톤의 이동 경로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이동 경로에 따라 움직이는 상기 가상의 컬링 스톤이 포함된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curling stone includes at least one of a moving direction, a moving speed, a rotating direction, a rotating speed and an amount of the curling stone, and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broom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moving speed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urling stone. Including, wherein the control unit is based on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curling stone,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broom,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curling stone and the curling seat portion, and the amount of change in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curling stone and the curling seat por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room The movement path of the curling stone may be calculated, and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including the virtual curling stone moving according to the calculated movement path may be generat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 컬링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컬링 스톤의 움직임 정보 및 브룸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컬링 스톤의 움직임 정보 및 상기 브룸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컬링 스톤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는 산출부 - 상기 컬링 스톤은 상기 스크린 컬링 시스템에 포함된 컬링 시트부 상에서 움직이고, 상기 컬링 시트부는 적어도 일부의 영역인 제1 영역이 롤러 컨베이어로 구성됨 - ; 상기 컬링 스톤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 및 상기 산출된 이동 경로에 따라 움직이는 가상의 컬링 스톤이 포함된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screen culling system, motion information of a curling stone and motion information of a broom are calculated, and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curling stone and motion information of the broom are used a calculation unit for predicting the movement path of the curling stone by doing so, wherein the curling stone moves on a curling sheet unit included in the screen curling system, and the first area, which is at least a part of the curling sheet unit, is composed of a roller conveyor; a driv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roller conveyor by using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curling stone; and an image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n image including a virtual curling stone moving according to the calculated movement path.

본 발명에 따르면, 얼음 링크를 이용하지 않고 좁은 공간에서 컬링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curling game can be performed in a narrow space without using an ice rink.

도 1은 컬링 시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컬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 수거 영역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컬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컬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urling sheet.
2 to 5 are diagrams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creen cur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one collectio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creen cur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creen curl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some of which components or some steps are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include,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컬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2 to 4 are diagrams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creen cur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컬링 시스템(200)은 영상 투사부(210), 영상 표시부(220), 컬링 시트부(230), 스톤 정보 측정부(240), 브룸 정보 측정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2 to 4 , the screen curling syste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projection unit 210 , an image display unit 220 , a curling sheet unit 230 , and a stone information measurement unit 240 . ), a bloom information measurement unit 250 and a control unit 260 .

영상 투사부(210)는 컬링 시뮬레이션 게임과 관련된 영상인 제1 영상(221) 및 제2 영상(235)를 투사한다. 이 때, 제1 영상(221)은 영상 표시부(220)에 표시될 수 있고, 제2 영상(235)은 컬링 시트부(23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표시된다. The image projector 210 projects the first image 221 and the second image 235 that are images related to the curling simulation game. In this case, the first image 221 may b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unit 220 , and the second image 235 may be display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urling sheet unit 230 .

컬링 시트부(230)는 컬링 스톤(410)이 이동함과 함께, 컬링 스톤(410)과 대응되는 가상의 컬링 스톤의 이동이 표시되는 구성 요소이다. 이 때, 컬링 시트부(230)는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롤러 컨베이어로 구성된다. The curling sheet unit 230 is a component in which the movement of the curling stone 410 and the movement of the virtual curling stone corresponding to the curling stone 410 are displayed. At this time, at least a portion of the curling sheet unit 230 is configured as a roller conveyor.

스톤 정보 측정부(240)는 컬링 스톤(410)의 움직임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제1 데이터를 측정하여 제어부(260)로 전송하고, 브룸 정보 측정부(250)는 브룸의 움직임을 산출하기 위한 제2 데이터를 측정하여 제어부(260)로 전송한다. The stone information measurement unit 240 measures the first data required to calculate the motion of the curling stone 41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260 , and the broom information measurement unit 250 provides the second data for calculating the motion of the broom The data is measur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60 .

제어부(260)는 컬링 시뮬레이션 게임을 제어하고, 제1 데이터를 이용하여 컬링 스톤(410)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고, 제2 데이터를 이용하여 브룸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260)는 컬링 스톤(410)의 움직임 정보 및 브룸의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롤러 컨베이어 형태의 구동을 제어하며 제1 영상(221) 및 제2 영상(235)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60)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200)과는 독립된 별도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260 controls the curling simulation game, calculates motion information of the curling stone 410 using the first data, and calculates motion information of the broom using the second data. Then, the control unit 26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roller conveyor typ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curling stone 410 and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broom to generate the first image 221 and the second image 235 . can Meanwhile, the control unit 260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device independent of the screen curling system 200 .

이하, 상기에서 언급한 구성 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영상 투사부(210)는 제1 영상(221)을 투사하고, 영상 표시부(220)는 투사된 제1 영상(221)을 표시한다. 여기서, 제1 영상(221)은 컬링 규칙에 부합하는 컬링 시뮬레이션 게임의 영상으로서, 제1 영상(221)에는 가상의 컬링 시트, 가상의 관객 및 가상의 컬링 스톤이 포함될 수 있다. The image projector 210 projects the first image 221 , and the image display unit 220 displays the projected first image 221 . Here, the first image 221 is an image of a curling simulation game that meets the curling rule, and the first image 221 may include a virtual curling sheet, a virtual audience, and a virtual curling stone.

일례로서, 영상 표시부(220)는 스크린일 수 있고, 영상 투사부(210)는 빔 프로젝터일 수 있다. 한편, 다른 일례로서, 영상 표시부(220)은 모니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영상 투사부(210)를 통한 제1 영상(221)의 투사의 동작은 생략될 수 있으며, 모니터는 제어부(260)로부터 전송된 제1 영상(221)를 직접 표시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image display unit 220 may be a screen, and the image projection unit 210 may be a beam projector. Meanwhile, as another example, the image display unit 220 may be a monitor, and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projecting the first image 221 through the image projector 210 may be omitted, and the monitor may be The transmitted first image 221 may be directly displayed.

컬링 시트부(230)는 영상 표시부(220)의 전방측에 위치하며, 컬링 스톤(410)이 이동하고, 가상의 컬링 스톤의 이동이 표시된다. The curling sheet unit 230 is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image display unit 220 , the curling stone 410 moves, and the virtual curling stone movement is displayed.

여기서, 컬링 시트부(230)의 표면은 얼음 재질이 아니며, 낮은 마찰 계수(보다 정확하게는, 운동 마찰 계수)를 가지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소재는 0.03~0.05의 마찰 계수를 가지며 상온(room temperature)에서 상(phase)이 변하지 않는 안정된 소재일 수 있다. 또한, 컬링 시트부(230)와 맞닿는 컬링 스톤(410)의 바닥면(마찰면) 역시 상기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한 소재는 테프론(Teflon)일 수 있다. 즉, 얼음은 일반적으로 0.03의 마찰 계수를 가지며, 테프론(Teflon)는 0.04의 마찰 계수를 가지므로, 테프론은 얼음을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0.03~0.05의 마찰 계수를 가지를 물질, 일례로 테프론 재질을 이용하여 컬링 시트부(230)를 구성하므로, 컬링 시트부(230)의 관리가 용이하며, 특히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컬링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Here, the surface of the curling sheet part 230 is not made of ice, but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w coefficient of friction (more precisely, a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material may be a stable material having a friction coefficient of 0.03 to 0.05 and the phase does not change at room temperature.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friction surface) of the curling stone 410 in contact with the curling sheet part 230 may also be made of the above-described material. As an example, the material may be Teflon (Teflon). That is, ice generally has a coefficient of friction of 0.03, and Teflon has a coefficient of friction of 0.04, so Teflon can replace ic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urling sheet portion 230 is formed using a material having a friction coefficient of 0.03 to 0.05, for example, a Teflon material, the management of the curling sheet portion 230 is easy, especially when the temperature is low.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njoy a curling game even in a high environment.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르면, 컬링 시트부(230)는 컬링 스톤(410)의 투구 방향으로 기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마찰 계수를 실제 얼음 재질과 거의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ling sheet part 230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at a preset angle in the pitching direction of the curling stone 410 . This is as shown in FIG. 5 .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gure the coefficient of friction to be substantially similar to that of the actual ice material.

이 때, 기 설정된 각도는 컬링 스톤(410)을 정해진 회전 속도(예를 들면, 2πrad/s) 및 초기 속도(예를 들면, 1.5m/s)로 투구했을 때의, 얼음 재질의 컬링 시트에서 이동하는 컬링 스톤(410)의 이동 거리와 동일하게 되는 각도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각도는 컬링 시트부(230)의 재질에 따라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eset angle is at a curling sheet made of ice when the curling stone 410 is pitched at a predetermined rotation speed (eg, 2πrad/s) and an initial speed (eg, 1.5m/s). The angle can be set to be the same as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ing curling stone 410 . In addition, the angle may be experimental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curling sheet part 230 .

그리고, 컬링 시트부(23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인 제1 영역은 롤러 컨베이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벨트, 상기 벨트를 이동시키는 롤러 및 상기 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롤러 구동부인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상(235)은 컬링 시트부(23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인 제2 영역에 표시되며, 가상의 컬링 스톤은 제2 영상(235) 내에서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영상(235) 역시 컬링 규칙에 부합하는 컬링 시뮬레이션 게임의 영상으로서, 제2 영상(235)은 가상의 컬링 시트 및 가상의 컬링 스톤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상(221) 및 제2 영상(235)은 컬링 스톤(410)의 이동 내지 움직임에 동조된다. In addition, the first region, which is at least a portion of the curling sheet portion 230, may be configured as a roller conveyor, and for this purpose, it may include a belt, a roller for moving the belt, and a roller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roller. can In addition, the second image 235 may be displayed on a second region that is at least a portion of the curling sheet unit 230 , and a virtual curling stone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image 235 . Here, the second image 235 is also an image of a curling simulation game that meets the curling rule, and the second image 235 may include a virtual curling sheet and a virtual curling stone. In addition, the first image 221 and the second image 235 are synchronized with the movement or movement of the curling stone 410 .

보다 상세하게,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컬링 시트부(230)는, 컬링 스톤(410)의 전방향 이동을 기준으로 투구 영역(231), 스톤 수거 영역(232), 스위핑 영역(233) 및 보호 영역(234)을 차례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영역은 스위핑 영역(2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톤 수거 영역(232)과, 보호 영역(234)과, 투구 영역(231)의 적어도 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curling sheet unit 230 includes a pitching area 231 , a stone collecting area 232 , and a sweeping area 233 based on the forward movement of the curling stone 410 . ) and the protection region 234 may be included in sequence. In this case, the second area may include a sweeping area 233 , and may further include a stone collecting area 232 , a protection area 234 ,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helmet area 231 .

투구 영역(231)는 사용자가 컬링 스톤(410)을 투구하기 위한 영역으로서, 일단부에 핵(hack, 231A)이 배치되며, 타단부에는 호그 라인(231B)이 인쇄된다. 여기서, 투구 영역(231)의 길이는 10.5m이고, 폭은 5m이며, 핵(231A)의 전단부로부터 호그 라인(231B)까지의 거리는 10m일 수 있다. The pitching area 231 is an area for the user to throw the curling stone 410 , and a hack 231A is disposed at one end, and a hog line 231B is printed at the other end. Here, the length of the pitching area 231 may be 10.5 m, the width may be 5 m, and the distance from the front end of the nucleus 231A to the hog line 231B may be 10 m.

스톤 수거 영역(232)은 호그 라인(231B)이 인쇄된 투구 영역(231)의 타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투구 영역(231)을 지난 컬링 스톤(410)의 이동이 정지되며, 컬링 스톤(410)이 수거되는 영역이다. 그리고, 스톤 수거 영역(232)의 길이는 컬링 스톤(410)의 지름보다 크며, 일례로서 0.8m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톤 수거 영역(232)에는 컬링 스톤(410)과 대응되는 가상의 컬링 스톤이 포함된 제2 영상(235)이 표시될 수 있다. The stone collection area 232 is located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helmet area 231 on which the hog line 231B is printed, and the movement of the curling stone 410 past the helmet area 231 is stopped, and the curling stone ( 410) is a collection area.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stone collecting area 232 i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curling stone 410, and preferably has a length of 0.8 m as an example. Also, a second image 235 including a virtual curling stone corresponding to the curling stone 410 may be displayed in the stone collection area 232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톤 수거 영역(232)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tone collecting area 2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스톤 수거 영역(232)은 제1 영역에 포함되는 영역일 수 있으며, 테프론으로 코팅된 벨트(232A) 및 적어도 하나의 롤러(232B)를 포함할 수 있으며, 롤러(232B)는 모터 등에 의해 구동된다. 이 때, 롤러(232B)의 구동에 의해 벨트(232A)는 컬링 스톤(410)의 전방향 이동을 중심으로 측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스톤 수거 영역(232)에 진입한 컬링 스톤(410)는 벨트(232A)의 구동에 의해 스톤 수거 영역(232)의 측면부로 이동하여 수거된다. Referring to FIG. 6 , the stone collecting area 232 may be an area included in the first area, and may include a Teflon-coated belt 232A and at least one roller 232B, and the roller 232B. is driven by a motor or the like. At this time, by the driving of the roller 232B, the belt 232A may be driven laterally based on the forward movement of the curling stone 410 . Accordingly, the curling stones 410 entering the stone collecting area 232 move to the side of the stone collecting area 232 by driving the belt 232A and are collected.

그리고, 컬링 스톤(410)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시점에서, 해당 위치에는 가상의 컬링 스톤이 포함된 제2 영상(235)이 표시된다. 이 때, 표시된 가상의 컬링 스톤의 움직임은 컬링 스톤(410)의 움직임과 동기화된다.Then, when the curling stone 410 moves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second image 235 including the virtual curling stone is display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t this time, the movement of the displayed virtual curling stone is synchronized with the movement of the curling stone 410 .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톤 수거 영역(232)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tone collecting area 23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스톤 수거 영역(232) 내에 스톤 수용부(232C)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톤 수용부(232C)는 스위핑 영역(233)과 접하는 스톤 수거 영역(232)의 타단부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컬링 스톤(410)의 지름보다 큰 폭과 길이를 갖는 사각형의 유동부(232D)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a stone receiving part 232C may be formed in the stone collecting area 232 . The stone receiving portion 232C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ther end of the stone collecting area 232 in contact with the sweeping area 233, and has a width and length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curling stone 410. A rectangular flow portion ( 232D).

컬링 스톤(410)이 스톤 수거 영역(232)에 진입하면, 유동부(232D)를 하측으로 개방하여 컬링 스톤(410)이 수거되며, 컬링 스톤(410)이 수거되면 유동부(232D)는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When the curling stone 410 enters the stone collecting area 232, the flowing part 232D is opened downward to collect the curling stones 410, and when the curling stones 410 are collected, the flowing part 232D is originally return to position

그리고, 컬링 스톤(410)이 스톤 수용부(232C)로 진입하면, 영상 투사부(220)에 의해 해당 위치에는 가상의 컬링 스톤이 포함된 제2 영상(235)이 표시되고, 표시된 가상의 컬링 스톤의 움직임은 컬링 스톤(410)의 움직임과 동기화된다. And, when the curling stone 410 enters the stone receiving unit 232C, the second image 235 including the virtual curling stone is display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by the image projecting unit 220, and the displayed virtual curling stone is displayed. The movement of the stone is synchronized with the movement of the curling stone 410 .

또한, 수거된 컬링 스톤(410)은 컬링 시트부(230) 내부에 형성된 이동 통로를 통해 이동되어, 스톤 수거 영역(232)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구로 토출되거나 또는 컬링 시트부(230)의 핵(231A)이 설치된 지점으로 토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llected curling stones 410 are moved through a moving passage formed inside the curling sheet unit 230, and are discharged to the outlet formed on the side of the stone collection area 232 or the core of the curling sheet unit 230 ( 231A) can be discharged to the installed point.

본 실시예의 경우, 컬링 스톤(410)의 수거가 간단해지고 제어가 용이하며, 컬링 스톤(410)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collection of the curling stones 410 is simplified and control is easy, and there are advantages in that the curling stones 410 can be automatically discharged.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톤 수거 영역(232)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tone collecting area 23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스톤 수거 영역(232) 내에는 컬링 스톤(4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스톤 고정부(232E)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스톤 고정부(232E)는 마찰 계수가 높은 물질로 코팅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8 , a stone fixing part 232E capable of stably fixing the curling stone 410 may be formed in the stone collecting area 232 . At this time, the stone fixing part 232E is coated with a material having a high coefficient of friction.

그리고, 컬링 스톤(410)이 스톤 고정부(232E)에 고정되면, 영상 투사부(220)에 의해 해당 위치에는 가상의 컬링 스톤이 포함된 제2 영상(235)이 표시되고, 표시된 가상의 컬링 스톤의 움직임은 컬링 스톤(410)의 움직임과 동기화된다. And, when the curling stone 410 is fixed to the stone fixing unit 232E, the second image 235 including the virtual curling stone is display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by the image projection unit 220, and the displayed virtual curling stone is displayed. The movement of the stone is synchronized with the movement of the curling stone 410 .

본 실시예의 경우, 컬링 스톤(410)이 스위퍼의 시야에 존재함으로써 현실감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urling stone 410 is present in the sweeper's field of view, thereby increasing realism.

한편, 도면에 개시하지는 않았지만, 스톤 수거 영역(232)은 컬링 스톤(410)의 전방향 이동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톤 수거 영역(232)은 수평하게 형성된 투구 영역(231)과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때,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톤 수거 영역(232)은 컬링 스톤(410)의 전방향 이동을 중심으로 측방향으로 구동되는 롤러 컨베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에의 경우,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가 빠른 경우에도 안전하게 컬링 스톤(410)를 수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tone collecting area 232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ith the forward movement of the curling stone 410 . That is, the stone collecting area 232 is formed in a direction inclined to the horizontally formed pitching area 231 .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6 , the stone collecting area 232 may be configured as a roller conveyor driven laterally based on the forward movement of the curling stone 410 . In the present embodiment, even when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is fa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urling stone 410 can be safely collected.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위핑 영역(233)은 사용자가 소지한 브룸을 통해 가상 컬링 스톤이 표시되는 지점이 스위핑되는 영역이다. 즉, 스위핑 영역(233)은 컬링 스톤(410)과 동기화되어 움직이는 가상의 컬링 스톤이 포함된 제2 영상(235)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Referring back to FIGS. 3 and 4 , the sweeping area 233 is an area in which a point at which a virtual curling stone is displayed through a broom carried by the user is swept. That is, the sweeping area 233 is an area in which the second image 235 including the virtual curling stone moving in synchronization with the curling stone 410 is displayed.

그리고, 스위핑 영역(233)은 제1 영역에 포함되는 영역으로서, 테프론으로 코팅된 벨트(233A) 및 적어도 하나의 롤러(233B)를 포함할 수 있으며, 롤러(233B)는 모터 등에 의해 구동된다. 벨트(233A)는 컬링 스톤(410)의 전방향 이동과 반대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일례로 스위핑 영역(233)은 1.5~2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sweeping area 233 is an area included in the first area, and may include a Teflon-coated belt 233A and at least one roller 233B, and the roller 233B is driven by a motor or the like. The belt 233A may be drive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orward movement of the curling stone 410 , and for example, the sweeping region 233 may have a length of 1.5 to 2 m.

요컨대, 스위핑 영역(233)에는 가상의 컬링 스톤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브룸을 통해 가상의 컬링 스톤의 전방을 스위핑한다. 이 때, 컬링 스톤(410)의 전방향 이동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롤러 컨베이어를 통해 스위핑 영역(233)의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other words, a virtual curling stone is displayed in the sweeping area 233 , and the user sweeps the front of the virtual curling stone through the broom.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length of the sweeping area 233 can be shortened through the roller conveyor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orward movement of the curling stone 410 .

보호 영역(234)는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영역으로서, 스위핑 영역(233)를 벗어난 사용자가 영상 표시부(220)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영역이다. 일례로서, 보호 영역(234)는 0.5 ~ 1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The protection area 234 is an area installed as needed, and is an area that prevents a user who has left the sweeping area 233 from colliding with the image display unit 220 . As an example, the protection region 234 may have a length of 0.5 to 1 m.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스톤 정보 측정부(240)는 컬링 스톤(410)의 움직임을 산출하기 위해 필요한 제1 데이터를 측정하며, 측정된 제1 데이터는 제어부(260)로 전송된다. Referring again to FIG. 2 , the stone information measuring unit 240 measures first data necessary to calculate the motion of the curling stone 410 , and the measured first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60 .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스톤 정보 측정부(240)는 영상 촬영부 및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데이터는 영상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 및 센싱 데이터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ne information measuring unit 240 may include an image capturing unit and a sensor, and the first data may be an image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 and sensing data.

이 때, 영상 촬영부가 두 개의 일반 카메라로 구성된 경우, 두 개의 일반 카메라가 컬링 시트부(230)의 촬영 영역을 기 설정된 촬영 시차를 가지고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 때, 촬영 영역은 호그 라인(233)과 스톤 수거 영역(232) 사이에 존재하는 투구 영역(231)의 내부 영역으로서, 0.3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링 스톤(410)의 최고 속도가 3m/s이고, 촬영 영역의 길이가 0.3m인 경우, 촬영 시차는 최대 0.1초일 수 있다. 또한, 영상 촬영부가 하나의 고속 카메라로 구성된 경우, 앞서 언급한 촬영 시차로 두 개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image capturing unit is composed of two general cameras, the two general cameras may photograph an image in a photographing area of the curling sheet unit 230 with a preset photographing disparity. In this case, the photographing area is an inner area of the pitching area 231 existing between the hog line 233 and the stone collecting area 232 , and may have a length of 0.3 m. For example, when the maximum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is 3 m/s and the length of the photographing area is 0.3 m, the photographing parallax may be up to 0.1 seconds. In addition, when the image capturing unit is configured with one high-speed camera, two images may be captured with the aforementioned shooting disparity.

센서는 컬링 스톤(410)이 촬영 영역에 진입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데 사용되며, 0.01초 이내의 촬영 주기를 가지며 영상 촬영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카메라에 의해 구성되거나, 촬영 영역의 시작 지점에 설치된 형상 인식 센서, 자외선 센서, 압력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The sensor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curling stone 410 has entered the photographing area, has a photographing cycle of less than 0.01 seconds, is configured by a camera positioned adjacent to the image photographing unit, or is installed at the starting point of the photographing area It may be configured by a recognition sensor, an ultraviolet sensor, a pressure sensor, or the like.

브룸 정보 측정부(250)는 브룸의 움직임을 산출하기 위한 제2 데이터를 측정하며, 측정된 제2 데이터는 제어부(260)로 전송된다. 여기서, 브룸 정보 측정부(250)는 스톤 정보 측정부(24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촬영 영역은 스위핑 영역(233)이다. 그리고, 스톤 정보 측정부(240)에 의한 컬링 스톤의 움직임 측정이 완료된 후 측정이 완료된 후에 브룸 정보 측정부(250)를 통한 브룸의 움직임 정보가 측정될 수 있다. The broom information measurement unit 250 measures second data for calculating the movement of the broom, and the measured second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60 . Here, the broom information measurement unit 250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tone information measurement unit 240 , and the photographing area is the sweeping area 233 . In addition, after the measurement of the motion of the curling stone by the stone information measuring unit 240 is completed, the broom motion information through the broom information measuring unit 250 may be measured after the measurement is complet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르면, 스톤 정보 측정부(240)가 브룸 정보 측정부(25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브룸 정보 측정부(250)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200)에 포함되지 않으며, 스톤 정보 측정부(240)가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모두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컬링 스톤(410)과 브룸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자체적으로 움직임 정보를 측정하여 제어부(260)로 제공할 수 있다(일례로, 마커 센서를 부착함). 이 경우, 스톤 정보 측정부(240)와 브룸 정보 측정부(250)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200)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ne information measuring unit 240 may perform the function of the broom information measuring unit 250 . That is, the broom information measurement unit 250 is not included in the screen culling system 200 , and the stone information measurement unit 240 may measure both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curling stone 410 and the broom may measure motion information by itself and provide it to the controller 260 (eg, a marker sensor is attached). In this case, the stone information measurement unit 240 and the broom information measurement unit 250 may not be included in the screen culling system 200 .

제어부(260)는 프로세서가 포함된 장치일 수 있으며, 컬링 시뮬레이션 게임을 제어하고, 컬링 스톤의 움직임 정보 및 브룸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고, 롤러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며 제1 영상(221) 및 제2 영상(235)을 생성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60 may be a device including a processor, controls a curling simulation game, calculates motion information of a curling stone and motion information of a broom, controls driving of a roller conveyor, and controls the first image 221 and the second 2 images 235 may be generat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6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2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60)는 수신부(261), 산출부(262), 구동 제어부(263), 영상 제어부(264) 및 전송부(265)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the controller 2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ceiver 261 , a calculator 262 , a driving controller 263 , an image controller 264 , and a transmitter 265 . can

수신부(261)는 상기에서 언급한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수신한다.The receiver 261 receives the above-mentioned first data and second data.

산출부(262)는 제1 데이터를 이용하여 컬링 스톤(410)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고, 제2 데이터를 이용하여 브룸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한다. 여기서, 컬링 스톤(410)의 움직임 정보는 컬링 스톤(410)의 이동 방향, 이동 속도, 회전 방향 및 회전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브룸의 움직임 정보는 브룸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가 두 장의 영상 데이터인 경우, 두 장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영상 내 특정 객체의 움직임 정보를 산출하는 내용은 널리 알려진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calculator 262 calculates motion information of the curling stone 410 using the first data, and calculates motion information of the broom using the second data. Here,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curling stone 4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oving direction, a moving speed, a rotating direction, and a rotating amount of the curling stone 410 . And,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broom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oving direction and a moving speed of the broom. When the first data and the second data are two pieces of image data, the content of calculating mo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object in an image from the two pieces of image data is widely known,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산출부(262)는 컬링 스톤(410)의 움직임 정보 및 브룸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컬링 스톤(410)의 이동 경로를 예측 내지 산출한다. Then, the calculator 262 predicts or calculates the movement path of the curling stone 410 by using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curling stone 410 and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broom.

세부적으로, 산출부(262)는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를 산출한다. 만약,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가 기 설정된 최대 속도(예를 들면, 3m/s)를 초과하면,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를 최대 속도로 제한한다. In detail, the calculator 262 calculates the initial velocity of the curling stone 410 . If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exceeds a preset maximum speed (eg, 3 m/s),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is limited to the maximum speed.

일례로서, 산출부(262)는 투구 영역(231)의 일단부에 배치된 핵(231A)을 통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발의 압력에 기초하여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calculator 262 may calculate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based on the pressure of the user's foot sensed through the nucleus 231A disposed at one end of the throwing area 231 .

그리고, 산출부(262)는 컬링 스톤(410)의 움직임 정보와 함께 컬링 시트부(230)와 컬링 스톤(410) 사이의 마찰 계수를 고려하여 컬링 스톤(410)의 이동 경로를 산출한다. 이 때, 일정한 계산 주기(예를 들면, 0.1초)로 컬링 스톤(41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컬링 스톤(410)의 위치 산출 동작은 컬링 스톤(410)이 스톤 수거 영역(232)에서 정지할 때까지 수행된다.In addition, the calculator 262 calculates the movement path of the curling stone 410 in consideration of the friction coefficient between the curling sheet unit 230 and the curling stone 410 together with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curling stone 410 .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curling stone 410 may be calculated at a constant calculation period (eg, 0.1 second). The operation of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curling stone 410 is performed until the curling stone 410 stops in the stone collecting area 232 .

또한, 브룸을 통한 스위핑이 수행되는 경우, 계산 주기(예를 들면, 0.1초)에 따라 산출한 브룸의 움직임 정보에 따른 컬링 스톤(410)의 마찰 계수 변화량을 이용하여 이미 산출된 컬링 스톤(410)의 위치를 변경한다. In addition, when sweeping through the broom is performed, the curling stone 410 has already been calculated us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curling stone 410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broom calculated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period (eg, 0.1 second). ) to change the location.

정리하면, 산출부(262)는 컬링 스톤(410)의 움직임 정보, 브룸의 움직임 정보, 컬링 스톤(410)과 컬링 시트부(230)의 마찰 계수 및 브룸의 움직임에 따른 컬링 스톤(410)과 컬링 시트부(230)의 마찰 계수 변화량에 기초하여 컬링 스톤(410)의 이동 경로를 예측 내지 산출한다. In summary, the calculator 262 includes the curling stone 410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curling stone 410,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broom,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curling stone 410 and the curling sheet unit 230, and the movement of the broom. The movement path of the curling stone 410 is predicted or calculated based o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curling sheet unit 230 .

한편, 컬링 시트부(230)와 컬링 스톤(410) 사이의 마찰 계수와, 컬링 스톤(410)의 최초 움직임 정보에 따른 계산 주기 별 컬링 스톤(410)의 위치가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브룸의 움직임 정보에 따른 컬링 스톤(410)의 마찰 계수 변화량도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간 계산의 부담이 줄어들 수 있다.Meanwhile, the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the curling sheet unit 230 and the curling stone 410 and the position of the curling stone 410 for each calculation period according to the initial motion information of the curling stone 410 may be preset. In additio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curling stone 410 according to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broom may be set in advance. Accordingly, the burden of real-time calculation may be reduced.

구동 제어부(263)는 컬링 스톤(410)의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롤러 컨베이어 형태로 구동되는 제1 영역의 구동을 제어한다. The driving control unit 263 controls the driving of the first region driven in the form of a roller conveyor by using motion information of the curling stone 41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제어부(263)는 투구 영역(231)에서 투구된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에 기초하여 롤링 컨베이어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컬링 스톤(410)의 속도는 투구된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와 관련되므로, 구동 제어부(263)는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에 따라 롤링 컨베이어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핵(231A)에는 압력 감지 센서가 부착되어 있고, 구동 제어부(263)는 핵(231A)으로부터 사용자의 발의 압력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control unit 263 may control the driving speed of the rolling conveyor based on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thrown in the pitching area 231 . That is, since the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is related to the initial speed of the thrown curling stone 410, the driving control unit 263 may control the driving speed of the rolling conveyor according to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 At this time, a pressure sensor is attached to the nucleus 231A, and the driving control unit 263 receives the user's foot pressure information from the nucleus 231A, and uses it to calculate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can

일례로, 제1 영역이 스위핑 영역(233)만을 포함하는 경우, 구동 제어부(263)는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 중 길이 방향(전방향)의 초기 속도에 기초하여 스위핑 영역(233)를 구성하는 롤러 컨베이어의 반대 방향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제1 영역이 스톤 수거 영역(232)를 포함하는 경우(도 6 참조), 구동 제어부(263)는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 중 길이 방향(전방향)의 초기 속도와 폭 방향의 초기 속도에 기초하여 스톤 수거 영역(23)를 구성하는 롤러 컨베이어의 폭 방향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area includes only the sweeping area 233 , the driving control unit 263 selects the sweeping area 233 based on the initial spe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ward direction) among the initial speeds of the curling stone 410 . The driving spe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onstituting roller conveyor can be controlled. As another example, when the first area includes the stone collecting area 232 (refer to FIG. 6 ), the driving control unit 263 may control the initial speed and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ward) among the initial speeds of the curling stone 410 . The driving spe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oller conveyor constituting the stone collecting area 23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initial speed in the direction.

또한, 스톤 수거 영역(232)이 도 7과 같이 구성된 경우, 구동 제어부(263)는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에 기초하여 스톤 수용부(232C)의 유동부(232D)의 구동, 즉, 유동부(232D)의 개폐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tone collecting area 232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7 , the driving control unit 263 drives the flow unit 232D of the stone receiving unit 232C based on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 that is,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flow part 232D may be controlled.

영상 제어부(264)는 컬링 스톤(410)의 이동 경로에 따라 움직이는 가상의 컬링 스톤이 포함된 영상(즉, 제1 영상(221) 및 제2 영상(235))을 생성한다. 이 때, 생성된 영상은 컬링 규칙에 부합하는 영상으로서, 전송부(265)를 통해 영상 투사부(220)로 전송된다. The image controller 264 generates images (ie, the first image 221 and the second image 235 ) including virtual curling stones that move according to the movement path of the curling stones 410 . In this case, the generated image is an image that meets the culling rule and is transmitted to the image projector 220 through the transmitter 265 .

이 때, 제1 영상(221) 내에는 가상의 다른 컬링 스톤이 존재할 수 있으며, 영상 제어부(264)는 컬링 스톤(410)의 이동 경로에 기초하여 가상의 다른 컬링 스톤의 위치 및 이와 관련된 가상의 컬링 스톤의 위치를 재산출하여 영상을 변경할 수 있다. In this case, another virtual curling stone may exist in the first image 221 , and the image controller 264 determines the location of another virtual curling stone based on the movement path of the curling stone 410 and a virtual information associated therewith. You can change the image by re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curling stone.

한편, 산출부(262)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컬링 스톤(410)의 이동 거리, 컬링 스톤(410)의 회전 효과, 스위핑 효과를 이용하여 컬링 스톤(410)의 이동 경로 내지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alculator 262 may calculate the movement path or location of the curling stone 410 by using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curling stone 410, the rotation effect of the curling stone 410, and the sweeping effect,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

- 컬링 스톤(410)의 이동 거리(도 10 및 도 11 참조)- Movement distance of the curling stone 410 (refer to FIGS. 10 and 11)

다른 요소(즉, 컬링 스톤(410)의 회전, 스위핑, 컬링 시트부(230)의 표면의 균일도 등)의 영향을 배제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컬링 스톤(410)의 이동 거리는 초기 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Excluding the influence of other factors (that is, rotation of the curling stone 410, sweeping, uniformity of the surface of the curling sheet portion 230, etc.) is decided

도 10은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와 이동 거리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는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가 2.0m/s일 때의 시간 경과에 따른 컬링 시트부(230)의 마찰 계수 변화를 나타내는 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표 3은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와 순간 속도의 관계를 정리한 표이다.
10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and the moving distance, and FIG. 11 is a curling sheet over time when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is 2.0 m/s It is a view showing a table showing a change in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part 230 . And, Table 3 is a table summar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itial velocity and the instantaneous velocity of the curling stone 410 .

Figure 112019018090495-pat00001
Figure 112019018090495-pat00001

도 10 및 표 1를 참조하면, 호그 라인으로부터 반대편 티 라인까지의 거리는 28.4m이므로, 초기 속도가 2.0m/s 보다 큰 경우, 투구 시점으로부터 24초가 경과하면 컬링 스톤(410)이 반대편 티 라인을 넘어서게 되므로 더 이상 측정할 필요가 없다. 표 3에서, 대각선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컬링 스톤(410)의 이동 거리가 28.4m를 넘는 시점의 컬링 스톤(410)의 순간 속도를 나타낸다. 10 and Table 1, since the distance from the hog line to the opposite tee line is 28.4 m, if the initial speed is greater than 2.0 m/s, when 24 seconds have elapsed from the time of pitching, the curling stone 410 moves the opposite tee line beyond that, there is no need to measure any further. In Table 3, the portion indicated by the diagonal solid line represents the instantaneous velocity of the curling stone 410 at the point in time when the moving distance of the curling stone 410 exceeds 28.4 m.

그리고, 도 11을 참조하면, 컬링 스톤(410)의 순간 속도가 0.5m/s 이하로 떨어지면, 컬링 시트부(230)의 마찰 계수가 급격하게 증가한다. 즉, 0~20초 사이의 시간 구간의 경우 마찰 계수가 0.004에서 0.012로 증가하는 반면, 20~23초 사이의 시간 구간의 경우 마찰 계수가 0.076까지 증가한다. 따라서, 컬링 스톤(410)의 순간속도가 0.5m/s 이하로 떨어지면(표 3의 도트 형태로 표시된 부분), 순간 속도도 급격하게 떨어진다.
And, referring to FIG. 11 , when the instantaneous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drops to 0.5 m/s or less, the friction coefficient of the curling sheet 230 rapidly increases. That is, for the time interval between 0 and 20 seconds, the friction coefficient increases from 0.004 to 0.012, while for the time interval between 20 and 23 seconds, the friction coefficient increases to 0.076. Accordingly, when the instantaneous velocity of the curling stone 410 drops to 0.5 m/s or less (a portion indicated by a dot in Table 3), the instantaneous velocity also drops sharply.

- 컬링 스톤(410)의 회전 효과(표 2 참조)- Rotation effect of the curling stone 410 (see Table 2)

컬링 스톤(410)의 회전에 따른 길이 방향의 거리 변화는 무시한다. 즉, 동일한 초기 속도로 투구된 컬링 스톤(410)은 회전 여부와 관계없이 동일한 길이 방향의 거리를 움직인다. 그리고, 컬링 스톤(410)의 회전에 따른 폭 방향 이동량은 컬링 스톤(410)의 현재 속도에 의존한다. 그리고, 표 4는 컬링 스톤(410)이 투구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에 따른 컬링 스톤(410)의 순간 속도, 길이 방향의 이동 거리 및 폭 방향의 이동 거리의 관계를 정리한 표이다.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lengthwise distance chang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urling stone 410 is ignored. That is, the curling stone 410 thrown at the same initial speed moves the same lengthwise distance regardless of whether it is rotated or not. In addition, the amount of movement in the width dire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urling stone 410 depends on the current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 And, Table 4 is a table summar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tantaneous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the movement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movement distance in the width direction according to the elapsed time from the point in time when the curling stone 410 is pitche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Figure 112019018090495-pat00002
Figure 112019018090495-pat00002

i) 컬링 스톤(410)의 초기 회전 속도가 2πrad/s 보다 작으면, 컬링 스톤(410)은 회전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고, 컬링 스톤(410)의 초기 회전 속도가 2πrad/s 이상이면, 컬링 스톤(410)의 회전 속도는 2πrad/s인 것으로 간주함.i) If the initial rotation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is less than 2πrad/s, it is considered that the curling stone 410 does not rotate, and if the initial rotation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is 2πrad/s or more, the curling stone The rotational speed of (410) is considered to be 2πrad/s.

ii) 컬링 스톤(410)의 현재 속도가 2.5m/s 이상이면, 회전에 따른 컬링 스톤(410)의 폭 방향 이동량은 0m임. ii) If the current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is 2.5 m/s or more, the amount of movemen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urling stone 410 according to the rotation is 0 m.

iii)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가 2.0~2.5m/s이고 컬링 스톤(410)이 길이 방향으로 20m로 이동한 경우, 컬링 스톤(410)이 15m 지점까지 이동하였을 때의 컬링 스톤(410)의 폭 방향 이동량은 0.1m이고, 정지 시의 컬링 스톤(410)의 폭 방향 이동량은 0.2m 임.iii) When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is 2.0 to 2.5 m/s and the curling stone 410 moves 20 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urling stone 410 when the curling stone 410 moves to the 15 m point ), the width direction movement amount is 0.1m, and the width direction movement amount of the curling stone 410 when it is stopped is 0.2m.

iv)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가 1.5~2.0m/s이고 컬링 스톤(410)이 길이 방향으로 20m로 이동한 경우, 컬링 스톤(410)이 15m 지점까지 이동하였을 때의 컬링 스톤(410)의 폭 방향 이동량은 0.2m이고, 정지 시의 컬링 스톤(410)의 폭 방향 이동량은 0.4m 임.iv) When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is 1.5 to 2.0 m/s and the curling stone 410 moves to 20 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urling stone 410 when the curling stone 410 moves to the point of 15 m ), the width direction movement amount is 0.2 m, and the width direction movement amount of the curling stone 410 when it is stopped is 0.4 m.

v)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가 1.0~1.5m/s이고 컬링 스톤(410)이 길이 방향으로 10m로 이동한 경우, 컬링 스톤(410)이 7.5m 지점까지 이동하였을 때의 컬링 스톤(410)의 폭 방향 이동량은 0.2m이고, 정지 시의 컬링 스톤(410)의 폭 방향 이동량은 0.4m 임.v) When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is 1.0 to 1.5 m/s and the curling stone 410 moves to 10 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urling stone 410 when the curling stone 410 moves to a point of 7.5 m ( The amount of movement in the width direction of 410) is 0.2 m, and the amount of movemen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urling stone 410 when it is stopped is 0.4 m.

vi)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와 관계없이 현재 속도가 1.0m/s 이하이면, 컬링 스톤(410)이 길이 방향으로 4.55m 지점까지 이동하였을 때의 컬링 스톤(410)의 폭 방향 이동량 0.5m인 경우, 정지 시의 컬링 스톤(410)의 폭 방향 이동량은 1m 임.
vi) If the current speed is 1.0 m/s or less regardless of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the amount of movemen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urling stone 410 when the curling stone 410 moves to a point 4.55 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0.5 In the case of m, the amount of movemen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urling stone 410 when it is stopped is 1 m.

- 스위핑 효과(도 12 참조)- Sweep effect (see Fig. 12)

스위핑은 컬링 시트부(230)의 표면의 온도를 높여 마찰 계수를 낮추는 동작이다. 이 때, 브룸 헤드가 컬링 시트부(230)의 표면에 가하는 압력과 브룸 헤드의 스위핑 속도에 따라 컬링 시트부(230)의 표면의 온도가 달라진다. 이에 따라, 컬링 스톤(410)의 속도와 방향이 변경된다. 이하에서는 브룸 헤드가 컬링 시트부(230)의 표면에 가하는 압력은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브룸을 통한 스위핑 각도 및 속도가 컬링 스톤(410)의 속도 및 방향에 끼치는 영향을 고려한다. Sweeping is an operation of lowering the friction coefficient by increasing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the curling sheet portion 230 .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the curling sheet unit 230 varies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by the broom head to the surface of the curling sheet unit 230 and the sweeping speed of the broom head. Accordingly, the speed and direction of the curling stone 410 is changed. Hereinafter, the influence of the sweeping angle and speed through the broom on the speed and direction of the curling stone 410 is consider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pressure applied by the broom head to the surface of the curling sheet part 230 is constant.

i)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가 3.0m/s 이상이면, 스위핑 효과를 적용하지 않음. i) If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is 3.0 m/s or more, the sweeping effect is not applied.

ii)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가 2.5~3.0m/s 이고 브룸을 수직하게 스위핑하는 경우, 컬링 스톤(410)이 길이 방향으로 1m 이동할 때마다 추가적으로 0.007m 이동함.ii) If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is 2.5 to 3.0 m/s and sweeping the broom vertically, the curling stone 410 moves additionally by 0.007 m every 1 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ii)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가 2.0~2.5m/s 이고 브룸을 수직하게 스위핑하는 경우, 컬링 스톤(410)이 길이 방향으로 1m 이동할 때마다 추가적으로 0.044m 이동함.iii) If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is 2.0 ~ 2.5m/s and sweeping the broom vertically, the curling stone 410 moves additionally by 0.044m for every 1m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v)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가 1.5~2.0m/s 이고 브룸을 수직하게 스위핑하는 경우, 컬링 스톤(410)이 길이 방향으로 1m 이동할 때마다 추가적으로 0.059m 이동함.iv) If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is 1.5 to 2.0 m/s and sweeping the broom vertically, the curling stone 410 moves additionally by 0.059 m every time it moves 1 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가 1.0~1.5m/s 이고 브룸을 수직하게 스위핑하는 경우, 컬링 스톤(410)이 길이 방향으로 1m 이동할 때마다 추가적으로 0.096m 이동함.v) When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is 1.0 ~ 1.5 m/s and sweeping the broom vertically, the curling stone 410 moves additionally by 0.096 m every 1 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i)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와 관계없이 브룸을 수직하게 스위핑하는 경우, 컬링 스톤(410)의 현재 속도가 0~0.5m/s 이면 컬링 스톤(410)이 길이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0.2m 이동하고, 현재 속도가 0.5~1.0m/s 이면 컬링 스톤(410)이 길이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0.35m 이동함.vi) When sweeping the broom vertically regardless of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if the current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is 0 to 0.5 m/s, the curling stone 410 moves addition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0.2 m And, if the current speed is 0.5~1.0m/s, the curling stone 410 moves additionally 0.35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vii) 컬링 시트부(230)의 길이 방향에 대해 브룸을 45° 각도로 스위핑하면, 길이 방향으로의 추가 이동량은 수직으로 스위핑을 수행하는 경우보다 30% 감소하고, 폭 방향 이동량은 수직으로 스위핑을 수행하는 경우보다 1m 이동량에 대해 추가적으로 10% 이동함.vii) If the broom is swept at an angle of 45°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ling sheet portion 230, the amount of additional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educed by 30% compared to that when sweeping is performed vertically, and the amount of movement in the width direction is obtained by sweeping vertically. Moves an additional 10% for every 1m movement compared to when performing.

viii) 스위핑이 초당 2회 이상 수행되었을 때 스위핑 효과를 적용함.viii) Apply sweeping effect when sweeping is performed more than twice per second.

ix) 2인의 사용자가 동시에 동일 방향으로 스위핑을 수행하면, 50%의 스위핑 효과를 추가함.
ix) When 2 users sweep in the same direction at the same time, 50% sweep effect is added.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컬링 시스템(200)은 테프론 재질을 이용하여 컬링 시트부(230)를 구성하므로,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컬링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컬링 시트부(230)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롤러 컨베이어로 구동되므로 컬링 시트부(230)의 길이를 단축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컬링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summary, since the screen curling system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s the curling sheet portion 230 using a Teflon material, you can enjoy a curling game even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urling sheet portion 230 Since the area of is driven by the roller conveyo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length of the curling sheet part 230 is shortened so that a curling game can be enjoyed even in a narrow spac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컬링 시트부(230)의 투구 영역(231)은 롤러 컨베이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롤러 컨베이어로 구동은 구동 제어부(263)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이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tching area 231 of the curling sheet unit 230 may be configured as a roller conveyor, and driving of the roller conveyor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driving control unit 263 . This is as shown in FIG. 13 .

즉, 도 13을 참조하면, 투구 영역(231)은 테프론으로 코팅된 벨트(231C) 및 적어도 하나의 롤러(231D)를 포함할 수 있으며, 롤러(231C)를 구동하는 모터 등에 의해 벨트(231c)는 컬링 스톤(410)의 전방향 이동과 반대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투구 영역(231)의 길이를 단축하여 스크린 컬링 시스템(200)의 길이를 더욱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at is, referring to FIG. 13 , the helmet region 231 may include a belt 231C coated with Teflon and at least one roller 231D, and the belt 231c by a motor driving the roller 231C, etc. may be drive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orward movement of the curling stone 410 .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further shorten the length of the screen curling system 200 by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pitching area 231 .

이 때도 역시, 구동 제어부(263)는 투구 영역(231)에서 투구된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에 기초하여 투구 영역(231)를 구성하는 롤링 컨베이어의 구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투구 영역(231)의 구동 속도는 사용자의 안전 및 투구 영역(231)의 최적 길이 설정을 위해 적절히 제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가 3m/s이고, 사용자의 안전상 설정된 투구 영역(231)의 롤러 컨베이어의 최대 구동 속도가 1.5m/s인 경우, 투구 영역(263)의 길이는 약 4.5m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at this time, the driving control unit 263 may control the driving speed of the rolling conveyor constituting the pitching area 231 based on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thrown in the pitching area 231 . And, the driving speed of the pitching area 231 should be appropriately controlled for the safety of the user and the optimal length setting of the pitching area 231 . For example, if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is 3 m/s and the maximum driving speed of the roller conveyor of the throwing area 231 set for the user's safety is 1.5 m/s, the length of the throwing area 263 is It is preferably set to about 4.5 m.

또한, 구동 제어부(263)는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에 따라 투구 영역(231)를 구성하는 롤러 컨베이어의 속도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마찰력에 의해 컬링 스톤(410)의 속도는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컬링 게임의 현장감을 위해 컬링 스톤(410)은 롤러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투구 영역(231) 상에서 전방향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따라서, 구동 제어부(263)는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에 따라 롤러 컨베이어의 초기 구동 속도를 결정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롤러 컨베이어의 속도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driving control unit 263 may gradually increase the speed of the roller conveyor constituting the pitching area 231 according to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 That is, the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gradually decreases due to the frictional force, and for the realism of the curling game, the curling stone 410 must move in all directions on the pitching area 231 composed of a roller conveyor. Accordingly, the driving control unit 263 may determine the initial driving speed of the roller conveyor according to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 and may gradually increase the speed of the roller conveyor over time.

이 경우, 투구 영역(231)를 구성하는 롤러 컨베이어의 최종 구동 속도는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보다 일정 수치 이상 낮은 속도가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투구 영역(231)를 구성하는 롤러 컨베이어의 최대 구동 속도는 일정한 값 이하로 제어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nal driving speed of the roller conveyor constituting the pitching area 231 may be controlled to be a speed lower than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by a certain value or more. And, for the safety of the user, the maximum driving speed of the roller conveyor constituting the pitching area 231 may be controll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a certain value.

또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컬링 스톤(410)의 초기 속도가 미리 설정된 최대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구동 제어부(263)는 투구 영역(231) 및 스위핑 영역(233)에 대응되는 롤러 컨베이어가 회전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투구된 컬링 스톤(410)는 그대로 수거된다. 이 때, 영상 제어부(264)는 가상 컬링 스톤이 포함되지 않는 제2 영상(235)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for the safety of the user, when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410 exceeds a preset maximum speed, the driving control unit 263 controls the roller conveyor corresponding to the pitching area 231 and the sweeping area 233 to rotate. It can be controlled so that it does not occur, and the thrown curling stone 410 is collected as it is. In this case, the image controller 264 may control the second image 235 not including the virtual curling stone to be displayed.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컬링 시트부(230)에는 스톤 수거 영역(232) 및 스위핑 영역(232)이 포함되지 않으며, 투구 영역(231) 및 보호 영역(264)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투구 영역(231)은 테프론으로 코팅된 벨트 및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포함하는 제1 영역일 수 있으며, 롤러를 구동하는 모터 등에 의해 벨트는 컬링 스톤(410)의 전방향 이동과 반대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ling sheet part 230 does not include the stone collecting area 232 and the sweeping area 232 , and may include the helmet area 231 and the protection area 264 . have. In addition, the pitching area 231 may be a first area including a belt coated with Teflon and at least one roller, and the belt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orward movement of the curling stone 410 by a motor driving the roller. can be driven This is as shown in FIG. 14 .

즉,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비교할 때, 도 14에 도시된 스크린 컬링 시스템(200)의 경우, 보호 영역(264)이 도 6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스톤 수거 영역(232)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투구 영역(231)에서 컬링 스톤(410)의 투구 동작 및 브룸을 이용한 스위핑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상(235)은 투구 영역(23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상의 컬링 스톤은 제2 영상(235)에 포함되지 않으며, 가상의 컬링 시트만이 제2 영상(235)에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보호 영역(234)의 일단부에서 투구 영역(231)의 2.5m 정도 이격된 지점에 제2 영상(235)이 표시될 수 있다. That is,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 in the case of the screen culling system 200 shown in FIG. 14 , the protection area 264 is the stone collecting area 232 described in FIGS. 6 to 8 . and a throwing operation of the curling stone 410 and a sweeping operation using broom in the throwing area 231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second image 235 may be displayed on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pitching area 231 . In this case, the virtual curling stone is not included in the second image 235 , and only the virtual curling sheet is displayed in the second image 235 . It may be included in the image 235 . For example, the second image 235 may be displayed at a point spaced apart from one end of the protection area 234 by about 2.5 m of the helmet area 231 .

그리고, 도 13에서 설명된 구동 제어부(263)에 대한 설명은 본 실시예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driving control unit 263 described in FIG. 13 may be directly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only provided to help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not only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all of the claims and all equivalents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o the claims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Claims (10)

제1 영상이 표시되는 영상 표시부;
상기 영상 표시부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적어도 일부의 영역인 제1 영역이 롤러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컬링 시트부; 및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컬링 시트부 상에서 움직이는 컬링 스톤의 움직임 정보 및 브룸의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컬링 시트부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에 표시되는 제2 영상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컬링 시트부는 상기 컬링 스톤의 전방향 이동을 기준으로 투구 영역, 스톤 수거 영역 및 스위핑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스위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핑 영역에 상기 제2 영상이 표시되며,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컬링 스톤과 대응되는 가상의 컬링 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컬링 시트부의 표면은 0.03 내지 0.05의 정지 마찰 계수를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
an image display unit on which the first image is displayed;
a curling sheet part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image display part, and in which at least a part of a first region is configured by a roller conveyor; and
A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imag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urling sheet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roller conveyor and using at least one of motion information of a curling stone moving on the curling sheet and motion information of a broom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The curling seat portion includes a pitching area, a stone collecting area and a sweeping area based on the forward movement of the curling stone,
the first area includes the sweeping area,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on the sweeping area, and the second image includes a virtual curling stone corresponding to the curling stone;
The screen curl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of the curling sheet portion is composed of a material having a static friction coefficient of 0.03 to 0.0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링 스톤의 바닥면은 0.03 내지 0.05의 정지 마찰 계수를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creen curl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curling stone is composed of a material having a static friction coefficient of 0.03 to 0.05.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구 영역에서 투구된 상기 컬링 스톤의 초기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롤러 컨베이어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is a screen curling system for controlling the driving speed of the roller conveyor based on the initi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thrown in the throwing are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링 스톤의 움직임 정보는 상기 컬링 스톤의 진행 방향, 진행 속도,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브룸의 움직임 정보는 상기 브룸의 이동 속도 및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컬링 스톤의 움직임 정보 및 상기 브룸의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컬링 스톤의 이동 경로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이동 경로에 따라 움직이는 상기 가상의 컬링 스톤이 포함된 상기 제1 영상 및 상기 제2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curling stone includes at least one of a traveling direction, a traveling speed, a rotation direction, a rotation speed, and a rotation amount of the curling stone,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broom includes at least one of a moving speed and a moving direction of the broom,
The controller calculates a movement path of the curling stone based on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curling stone and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broom, and includes the first image and the virtual curling stone moving according to the calculated movement path A screen culling system for generating a second image.
삭제delete
KR1020190019937A 2018-03-20 2019-02-20 Screen curling system KR1023566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937A KR102356693B1 (en) 2018-03-20 2019-02-20 Screen curl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292A KR101953060B1 (en) 2018-03-20 2018-03-20 Screen curling system
KR1020190019937A KR102356693B1 (en) 2018-03-20 2019-02-20 Screen curling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292A Division KR101953060B1 (en) 2018-03-20 2018-03-20 Screen curl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433A KR20190110433A (en) 2019-09-30
KR102356693B1 true KR102356693B1 (en) 2022-01-27

Family

ID=80049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937A KR102356693B1 (en) 2018-03-20 2019-02-20 Screen curl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69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2571A1 (en) * 2020-02-10 2021-08-19 Андрей Николаевич ПЕТРОВ Set for interactive lite curling sports g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080B1 (en) * 2017-02-24 2018-12-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Curling simulators and method of progressing screen curling gam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433A (en)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1076B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 object using radar data and imager data
US9039012B2 (en) Training device
KR101820873B1 (en) Screen curling system
KR101505931B1 (en) screen baseball system and service method using it
US201400806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raining and instruction to a football kicker
KR101548511B1 (en) Screen baseball game system and the method using infrared camera bar
JP5799442B2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TW201641143A (en) A screen baseball game apparatus without temporal and spatial limitations
TWI448318B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sensing device and method used for the same
CA3040223C (en) Method for delivering sports telemetry for a curling game
TW201843650A (en) Apparatus for base-ball practice, sensing device and sensing method used to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953060B1 (en) Screen curling system
KR102356693B1 (en) Screen curling system
JP6060452B2 (en) Golf play support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
CN104606867A (en) Serving method and system, data acquisition device and serving machine
KR20110125526A (en) Apparatus for screen golf
AU2012231923B2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sensing device and method used for the same
KR20100124899A (en) 3d image screen golf system
TWI633521B (en) Apparatus for base-ball practice, sensing device and sensing method used to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752310B1 (en) Golf game system using mixed reality space
KR101194268B1 (en) In-house golf-stadium and a method of gaming golf thereat
KR2018009811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y and sweeping at curling game
KR20200022918A (en) Pitch position guided screen baseball game system and it's method
CN209137900U (en) A kind of indoor golf analog device
JP2017176798A (en) Golf shot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