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0873B1 - Screen curling system - Google Patents

Screen curl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0873B1
KR101820873B1 KR1020160135689A KR20160135689A KR101820873B1 KR 101820873 B1 KR101820873 B1 KR 101820873B1 KR 1020160135689 A KR1020160135689 A KR 1020160135689A KR 20160135689 A KR20160135689 A KR 20160135689A KR 101820873 B1 KR101820873 B1 KR 101820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ling
screen
stone
curling stone
tr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6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옥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캔두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캔두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캔두잇
Priority to KR1020160135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873B1/en
Priority to PCT/KR2017/009427 priority patent/WO201807473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8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4Curling stone; Shuffleboard; Similar slid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A63B2067/14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63B2220/34Angular speed
    • A63B2220/35Spi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a screen curling system which forms, in one end of a tracking zone, a screen analyzing the moving speed of a stone moved from the tracking zone, and simulating and displaying that where can be a position of a target defined by the analysis result for the stone while forming a curling sheet of ice including a pitching zone between an assist track and a hog line and the tracking zone of the stone. Therefore, the screen curling system not only enables a user to enjoy a curling game close to a real feeling by considering a physical element, but also enables a practicer on curling sports to help the athletic performance improvement.

Description

스크린 컬링 시스템{SCREEN CURLING SYSTEM}SCREEN CURLING SYSTEM [0002]

본 발명은 스크린 컬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용공간의 낭비를 줄이고,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비용이 절감되는 시스템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컬링 스포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reen curl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creen curling system capable of reducing a waste of a used space, providing a system that is easy to install and reduces installation cost, Curling system.

일반적으로, 컬링은 두 팀이 스톤을 컬링시트(curling sheet)라고 부르는 직사각형의 얼음 링크 위에 미끄러뜨려 정해진 표적 위에 얼마나 더 정확하게 위치시켰는지에 따라 승패를 결정짓는 동계 스포츠로, 이러한 컬링은 각각 4명으로 구성된 두 팀 사이에 이루어지는 것이다.In general, culling is a winter sport in which the two teams determine win or loss based on how much more precisely they are placed on a fixed target by sliding the stone onto a rectangular ice link called a curling sheet, It is between the two teams.

한편, 종래에는 컴퓨터 또는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컬링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게임이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컬링 게임은 등록특허공보 제10-1478097호(등록일 2014.12.24)에 개시되어 있다.In the past, a game has been developed which allows curling to be enjoyed using a computer or a mobile terminal. Such a curling game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1478097 (filed on December 24, 2014).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컬링 게임은 실제 경기장 안에서 훈련 도구(예; 스톤)로 사용할 수 없음은 물론, 스톤과 마찰되는 얼음 링크인 컬링시트의 표면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는 것으로, 실제 게임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는 것이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urling game can not be used as a training tool (e.g., stone) in an actual playing field, and can not accurately determine the surface condition of a curling sheet, which is an ice link against a stone. Can not be expected.

즉,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을 이용한 컬링 게임은 재미 요소만을 고려한 것으로서, 물리적 요소를 고려하여 실제 느낌과 가깝게 하여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션으로 활용하기에는 적합한 것은 아니다.That is, a curling game using a computer or a mobile terminal is only considered to be a fun factor, and is not suitable for use as a simulation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by bringing physical factors close to actual feeling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도움트랙과 호그라인 사이의 투구 구간과 스톤의 트래킹 구간을 포함하는 얼음 빙판의 컬링시트를 구성하는 한편, 트래킹 구간의 일단에는 트래킹 구간에서 이동되는 스톤의 이동 속도와 회전 방향 및 회전수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에 따라 정해진 표적의 어느 지점에 스톤이 위치할 수 있는지를 시뮬레이션하여 표시하는 스크린을 구성함으로써, 물리적 요소를 고려하여 실제 느낌과 가깝게 컬링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컬링 스포츠에 대한 연습자의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ce sheet curling sheet including a helmet section between a helicopter and a hog line and a tracking section of a stone, By analyzing the moving speed, rotation direction, and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stone moved in the section and constructing a screen for simulating and displaying the position of the ston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creen curling system that enables a practitioner to improve a performance of a curling sport as well as a curling game close to a feel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협소한 공간에서 스크린 컬링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비용이 절감되는 시스템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컬링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reen curling system that is easy to install and reduces installation cost while constructing a screen curling system in a narrow space,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컨테이너 박스와 같은 구조물에 스크린 컬링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장소는 물론 계절적 요소(예; 여름)에 구애받지 않고 스크린 컬링 시스템에 대한 이동을 자유롭게 하면서 누구나 쉽게 컬링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creen curling system in a structure such as a container box, which allows a user to easily move a curling game while freely moving to a screen curling system regardless of place or seasonal factors And to provide a screen curling system for enjoyment.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스크린 컬링 시스템은, 영상이 투영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후방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크린에 컬링 시뮬레이션 게임의 영상을 투사시키는 영상 투사기; 상기 스크린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도움트랙으로부터 진행되는 손잡이를 가지는 컬링 스톤의 투구 구간과, 투구된 컬링 스톤의 트래킹 구간이 호그라인에 의해 구획되는 얼음 빙판의 컬링시트; 상기 컬링시트의 트래킹 구간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트래킹 구간을 따라 상기 스크린에 도달하는 상기 컬링 스톤의 트래킹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트래킹 구간을 따라 트래킹되는 상기 컬링 스톤의 진행경로와 속도 및 회전방향, 그리고 회전수를 분석하여, 트래킹 구간 이후의 가상 구간에 대한 컬링 스톤의 가상 트래킹과 정해진 표적의 어느 지점에 위치하는지를 시뮬레이션하고 이를 상기 스크린에 디스플레이시키도록 상기 영상 투사기를 제어하는 3D 시뮬레이션용 게임 엔진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creen culling system including: a screen on which an image is projected; An image projector positioned at a rear side of the screen and projecting an image of a curling simulation game to the screen; A curling sheet of ice ice sheet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screen and having a helmet section of a curling stone having a knob going from the helper track and a tracking section of the helmet being pitched by a hog line; A camera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a tracking section of the curling sheet and photographing a tracking state of the curling stone reaching the screen along the tracking section;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analyzing the traveling path, speed, rotation direction, and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curling stone tracked along the tracking section, A game engine for 3D simulation for controlling the image projector to simulate tracking and positioning of a predetermined target and displaying the simulated image on the screen; .

또한, 상기 투구 구간과 상기 트래킹 구간에는 트래킹되는 컬링 스톤의 진행경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중심라인이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center line is formed in the pitching section and the tracking section so as to check the progress path of the curling stone to be tracked.

또한, 상기 컬링 스톤에는 트래킹시 회전수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마커를 형성하여둔 것이다.The curling stone is provided with a marker for checking the number of rotations during tracking.

또한, 상기 마커는 복수로 형성하고, 복수로 형성되는 상기 마커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다.The plurality of markers are formed so that the plurality of markers have different colors.

또한, 상기 게임 엔진부에는 상기 컬링 스톤의 무게와 탄성계수 정보, 그리고 상기 컬링 스톤과 상기 컬링시트 사이의 마찰계수 기준값을 저장한 메모리를 탑재 구성하는 것이다.The game engine unit may include a memory that stores the weight of the curling stone, the elastic modulus information, and a friction coefficient reference value between the curling stone and the curling sheet.

또한, 상기 게임 엔진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동영상 정보를 통해 컬링 스톤의 진행경로와 속도 및 회전방향, 그리고 회전수를 분석하는 분석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game engine unit is equipped with an analysis program for analyzing the traveling path, speed, rotation direction, and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curling stone through the moving pictur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또한, 상기 분석프로그램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동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중심라인을 연속 추출하여 상기 컬링 스톤의 진행경로를 분석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nalysis program continuously extracts the center line from motion pictur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analyzes the progress path of the curling stone.

또한, 상기 분석프로그램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동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컬링 스톤의 손잡이를 연속 추출하여, 상기 컬링 스톤의 회전방향을 분석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nalysis program continuously extracts the knob of the curling stone from moving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analyzes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curling stone.

또한, 상기 분석프로그램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동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컬링 스톤의 마커를 연속 추출하여, 상기 컬링 스톤의 회전수를 분석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nalysis program continuously extracts the marker of the curling stone from moving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analyze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curling stone.

또한, 상기 분석프로그램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동영상 정보로부터 트래킹 구간을 통과하는 상기 컬링 스톤의 초당 트래킹 거리를 픽셀단위로 연속 추출하고 이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상기 컬링 스톤의 무게와 탄성계수 및 마찰계수 기준값을 적용하여, 상기 컬링 스톤의 속도를 분석하는 것이다.The analysis program continuously extracts the tracking distance per second of the curling stone passing through the tracking interval from the moving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in units of pixels, and calculates the weight of the curling stone stored in the memory, The coefficient reference value is applied to analyze the speed of the curling stone.

또한, 상기 컬링시트의 트래킹 구간에서 브룸 사용시, 상기 브룸에는 자이로센서 또는 압력센서를 장착 구성하는 것이다.Further, when the broom is used in the tracking section of the curling sheet, a gyro sensor or a pressure sensor is mounted on the broom.

또한, 상기 게임 엔진부의 분석프로그램은 상기 브룸에 장착되는 압력센서의 트래킹 구간에 대한 압력 측정 정보 또는 자이로센서의 트래킹 구간에 대한 위치 및 방향 정보를 입력받은 후 이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상기 컬링 스톤의 무게와 탄성계수 및 마찰계수 기준값을 적용하여, 상기 컬링 스톤의 진행 경로를 분석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nalysis program of the game engine may include pressure measurement information on a tracking section of a pressure sensor mounted on the broom or position and orientation information of a tracking section of the gyro sensor, and then, The weight, the elastic modulus, and the friction coefficient reference value are applied to analyze the progress path of the curling stone.

또한, 상기 영상 투사기는 컬링 시뮬레이션 게임의 영상을 상기 스크린에 투사시키는 빔 프로젝터인 것이다.Further, the image projector is a beam projector that projects an image of a curling simulation game on the screen.

또한, 상기 도움트랙에는 투구자의 접촉상태를 감지한 후 이를 상기 게임 엔진부로 출력하는 센서를 형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elper track is form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a contact state of a thrower and outputting the detected result to the game engine unit.

또한, 상기 스크린 컬링 시스템은 이동형의 컨테이너 박스 구조물내에 구성되는 것이다.Further, the screen curling system is configured in a movable container box structur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스크린 컬링 시스템은 물리적 요소를 고려하여 실제 느낌과 가깝게 컬링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컬링 스포츠에 대한 연습자의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고,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비용이 절감되는 시스템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컬링 게임을 즐길 수 있음은 물론, 장소는 물론 계절적 요소(예; 여름)에 구애받지 않고 스크린 컬링 시스템에 대한 이동을 자유롭게 하면서 누구나 쉽게 컬링 게임을 즐기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면서, 동계 스포츠인 컬링 게임에 대한 대중화를 도모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creen curl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allows the curling game to be enjoyed close to the actual feeling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elements, but also helps the practition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curling sports, In addition to providing a cost-saving system, you can enjoy curling games more safely and conveniently, as well as freely moving around the screen curling system, regardless of location or seasonal factors (eg summer) As the effect of enjoying the curling game can be expected, the effect of popularizing the curling game which is a winter sport can be exp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스크린 컬링 시스템에 대한 전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스크린 컬링 시스템에 대한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컬링 스톤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회전이 없는 상태로 컬링 스톤이 트래킹되는 상태를 보인 스크린의 시뮬레이션 화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회전하는 상태로 컬링 스톤이 트래킹되는 상태를 보인 스크린의 시뮬레이션 화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컬링 스톤이 정해진 표적으로 진행하는 상태를 보인 스크린의 시뮬레이션 화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n overall schematic diagram of a screen curling system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screen culling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urling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mulation view of a screen showing a state in which curling stones are tracked without rota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mulation screen view of a screen showing a state in which a curling stone is tracked in a rotating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simulation screen view of a scree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rling stone proceeds to a predetermined targ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 and the like, specify that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거나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 / 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the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an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Thus,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shown, but may include variations in shapes that are created or requi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the area shown at right angles may be rounded or may have a shape with a certain curvature. Thus,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have schematic attributes, and the shapes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figures are intended to illustrate specific forms of regions of the apparatu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ccordingly, althoug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not mentioned or described in the drawings, they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Further, even if the reference numerals are not shown, they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스크린 컬링 시스템에 대한 전체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스크린 컬링 시스템에 대한 블럭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컬링 스톤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screen cul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urling st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컬링 시스템은, 스크린(10), 영상 투사기(20), 컬링 시트(30), 카메라(40), 게임 엔진부(5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스크린 컬링 시스템은 컨테이너 박스 구조물(80)내에 구성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구조물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1 to 3, a screen curl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reen 10, an image projector 20, a curling sheet 30, a camera 40, a game engine unit 50 The screen culling system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container box structure 80 so as to be movab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structure.

기본적으로, 상기 컬링 시트(30)의 투구 구간(D1)은 10m, 상기 컬링 시트(30)의 트래킹 구간(D2)은 3m, 상기 스크린(1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가상의 트래킹 구간은 30m로서, 전체 길이가 15m이내인 공간이 확보된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컬링 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실내에도 고정형으로 설치 구성이 가능한 것이다.Basically, the pitching section D1 of the curling sheet 30 is 10 m, the tracking section D2 of the curling sheet 30 is 3 m, the virtual tracking section displayed through the screen 10 is 30 m, If a space with an overall length of 15 m or less is secured, the screen cull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상기 스크린(10)은 영상이 투영되는 것이고, 상기 영상 투사기(20)는 상기 스크린(10)의 후방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스크린(10)에 컬링 시뮬레이션 게임의 영상을 투사시키는 것으로, 이는 빔 프로젝터인 것이다.The image projector 20 projects the image of the curling simulation game on the screen 10 while being positioned on the rear side of the screen 10, will be.

상기 컬링 시트(30)는 상기 스크린(10)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움트랙(31)으로부터 진행되는 손잡이(101)를 가지는 컬링 스톤(100)의 투구 구간(D1)과, 투구된 컬링 스톤(100)의 트래킹 구간(D2)이 호그라인(L1)에 의해 구획되는 얼음 빙판인 것이다.The curling sheet 30 is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of the screen 10 and includes a pitching section D1 of a curling stone 100 having a handle 101 extending from an assistant track 31, And the tracking section D2 of the stone 100 is an ice ice sheet partitioned by the hog line L1.

여기서, 상기 투구 구간(D1)과 상기 트래킹 구간(D2)에는 트래킹되는 컬링 스톤(100)의 진행경로를 상기 게임 엔진부(50)에서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중심라인(L2)이 형성되고, 상기 컬링 스톤(100)에는 트래킹시 회전수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마커(102)를 형성하여둔 것이다.A center line L2 is formed in the pitching section D1 and the tracking section D2 to allow the game engine section 50 to analyze the progressing path of the curling stone 100 to be tracked, The curling stone 100 is provided with a marker 102 for analyzing the number of rotations during tracking.

이때, 상기 마커(102)는 복수로 형성하고, 복수로 형성되는 상기 마커(102)는 회전수 분석을 위해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색상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markers 102 are formed, and the markers 102 formed in a plurality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colors for the analysis of the number of revolutions, but the colors are not necessarily different from each other .

상기 카메라(40)는 상기 컬링시트(30)의 트래킹 구간(D2) 상단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트래킹 구간(D2)을 촬영하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카메라(40)는 상기 트래킹 구간(D2)을 따라 상기 스크린(10)에 도달하는 상기 컬링 스톤(100)의 트래킹 상태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camera 40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tracking section D2 of the curling sheet 30 and photographs the tracking section D2 so that the camera 40 moves along the tracking section D2 So that the tracking state of the curling stone (100) reaching the screen (10) can be photographed.

상기 게임 엔진부(50)는 3D 시뮬레이션을 위한 엔진이 탑재된 것으로서, 상기 카메라(40)로부터 촬영되는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트래킹 구간(D2)을 따라 트래킹되는 상기 컬링 스톤(100)의 진행경로와 속도 및 회전방향, 그리고 회전수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트래킹 구간(D2) 이후의 가상 구간에 대한 컬링 스톤(100)의 가상 트래킹과 정해진 표적의 어느 지점에 위치하는지를 시뮬레이션하고 이를 상기 스크린(10)에 디스플레이시키도록 상기 영상 투사기(20)를 제어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game engine unit 50 is equipped with an engine for 3D simulation and receives information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40. The game engine unit 5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progress of the curling stone 100 tracked along the tracking section D2, The rotational speed,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100, simulates the virtual tracking of the curling stone 100 with respect to the virtual section after the tracking section D2 and the position of the predetermined targe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nd controls the image projector 20 to display the image on the screen 10.

이때, 상기 게임 엔진부(50)에는 상기 컬링 스톤(100)의 무게와 탄성계수 정보, 그리고 상기 컬링 스톤(100)과 상기 컬링시트(30) 사이의 마찰계수 기준값을 저장한 메모리(51), 그리고 상기 카메라(40)에 의해 촬영되는 동영상 정보를 통해 컬링 스톤(100)의 진행경로와 속도 및 회전방향, 회전수를 분석하는 분석프로그램(52)을 탑재 구성하여둔 것이다.The game engine unit 50 includes a memory 51 storing the weight of the curling stone 100, the elastic modulus information thereof, and the frictional coefficient reference value between the curling stone 100 and the curling sheet 30, And an analysis program 52 for analyzing the traveling path, speed, direction of rotation, and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curling stone 100 through moving pictur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40.

즉, 상기 분석프로그램(52)은 상기 카메라(40)에 의해 촬영되는 동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중심라인(L2)을 연속 추출하여 상기 컬링 스톤(100)의 진행경로를 분석하고, 상기 카메라(40)에 의해 촬영되는 동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컬링 스톤(100)의 손잡이(102)를 연속 추출하여 상기 컬링 스톤(100)의 회전방향을 분석하며, 상기 카메라(40)에 의해 촬영되는 동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컬링 스톤(100)의 마커(102)를 연속 추출하여 상기 컬링 스톤(100)의 회전수를 분석하는 한편, 상기 카메라(40)에 의해 촬영되는 동영상 정보로부터 트래킹 구간(D2)을 통과하는 상기 컬링 스톤(100)의 초당 트래킹 거리를 픽셀단위로 연속 추출하고 이에 상기 메모리(51)에 저장되는 상기 컬링 스톤(100)의 무게와 탄성계수 및 마찰계수 기준값을 적용하여, 상기 컬링 스톤(100)의 속도를 분석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analysis program 52 continuously extracts the center line L2 from the moving pictur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40, analyzes the progress path of the curling stone 100,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urling stone 100 is analyzed by continuously extracting the grip 102 of the curling stone 100 from moving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camera 40, The marker 102 of the curling stone 100 is continuously extracted to analyz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curling stone 100 and the curling stone 100 passing through the tracking section D2 from the moving pictur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40 ) Of the curling stone 100 is continuously extracted in units of pixels, and the weight of the curling stone 100 stored in the memory 51, the elasticity coefficient, and the friction coefficient reference value are applied to analyze the speed of the curling stone 100 Could It is.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컬링 시스템은 투구자가 얼음 빙판으로 이루어진 트래킹 구간(D2)에서 브룸(broom)(103)을 사용하게 되므로, 상기 브롬(103)에 압력센서 또는 자이로센서(60)를 장착 구성하게 된다.Since the screen curl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broom 103 in the tracking section D2 in which the pitcher is made of the ice ice, the pressure sensor or the gyro sensor 60 ).

그러면, 상기 브룸(103)에 장착되는 압력센서 또는 자이로센서(60)는 컬링 스톤(100)의 진행 경로를 제어하기 위해 얼음 빙판에 접촉시의 압력 또는 트래킹 구간에 대한 위치 및 방향 정보를 측정한 후 이를 상기 게임 엔진부(50)에 제공하게 되므로, 상기 게임 엔진부(50)의 분석프로그램(52)은 입력되는 압력 측정 정보 또는 위치 및 방향 정보에, 상기 메모리(51)에 저장되는 상기 컬링 스톤(100)의 무게와 탄성계수 및 마찰계수 기준값을 적용하여, 상기 컬링 스톤(100)의 진행 경로를 분석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pressure sensor or the gyro sensor 60 mounted on the broom 103 measures the pressure or the posi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pressure during the contact with ice ice sheets or the tracking zone to control the traveling path of the curling stone 100 The analytical program 52 of the game engine unit 50 stores the pressure measurement information or the position and orientation information that is input to the game engine unit 50 in the memory 51, The course of the curling stone 100 may be analyzed by applying the weight of the stone 100, the elastic modulus, and the reference value of the friction coefficien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컬링 시스템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우선 게임 투구자가 도움트랙(31)에 발을 지지한 후 컬링 시트(30)의 투구 구간(D1)에 올려진 컬링 스톤(100)을 잡은 후 미끄러진다.As shown in FIGS. 1 to 6, the screen curl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ly supports the foot on the assistant track 31, And then slides after catching the curling stone 100.

이후, 상기 컬링 스톤(100)을 투구 한계선인 호그라인(L1)에서 놓으면, 상기 컬링 스톤(100)은 트래킹 구간(D2)에서 스크린(10)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Thereafter, the curling stone 10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creen 10 from the tracking section D2 when the curling stone 100 is placed on the hog line L1, which is the pitching limit line.

이때, 상기 컬링 스톤(100)이 트래킹 구간(D2)에 진입하여 이동시, 상기 트래킹 구간(D2)의 상단에 배치되는 카메라(40)는 이동하는 상기 컬링 스톤(100)을 촬영하게 되고 그 촬영정보는 게임 엔진부(50)에 출력된다.At this time, when the curling stone 100 enters the tracking section D2 and moves, the camera 40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tracking section D2 photographs the moving curling stone 100, Is outputted to the game engine unit (50).

그러면, 상기 게임 엔진부(50)에 탑재된 분석프로그램(52)은 상기 카메라(40)에 의해 촬영되는 동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투구 구간(D1)과 상기 트래킹 구간(D2)에 형성되는 중심라인(L2)을 연속 추출하여 상기 컬링 스톤(100)의 진행경로를 분석하는 한편, 상기 컬링 스톤(100)의 손잡이(102)를 연속 추출하면서 상기 컬링 스톤(100)의 회전방향을 분석하게 된다.The analysis program 52 mounted on the game engine unit 50 may extract the center line L2 (L2) formed in the pitch period D1 and the tracking period D2 from the moving pictur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40, And the direction of the curling stone 100 is analyzed while the handle 102 of the curling stone 100 is continuously extracted.

더불어, 상기 분석프로그램(52)은 상기 컬링 스톤(100)의 마커(102)를 연속 추출하여 상기 컬링 스톤(100)의 회전수를 분석하고, 동시에 상기 트래킹 구간(D2)을 통과하는 상기 컬링 스톤(100)의 초당 트래킹 거리를 픽셀단위로 연속 추출하고 이에 상기 메모리(51)에 저장되는 상기 컬링 스톤(100)의 무게와 탄성계수 및 마찰계수 기준값을 적용하면서 상기 컬링 스톤(100)의 속도를 분석하게 되는 것이다.The analysis program 52 analyze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curling stone 100 by continuously extracting the marker 102 of the curling stone 100 and simultaneously analyze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curling stone 100 passing through the tracking section D2, The tracking distance per second of the curling stone 100 is extracted in units of pixels, and the weight of the curling stone 100 stored in the memory 51, the elasticity coefficient, and the friction coefficient reference value are applied, Analysis.

그러면, 상기 게임 엔진부(50)는 상기 분석프로그램(52)에 의해 분석된 상기 컬링 스톤(100)의 진행경로와 속도 및 회전방향, 그리고 회전수에 따라 상기 트래킹 구간(D2) 이후의 가상 구간에 대한 가상 컬링 스톤(100')의 가상 트래킹과 정해진 표적(A)의 어느 지점에 위치하는지를 시뮬레이션한 후 그 시뮬레이션 정보를 상기 영상 투사기(20)에 제공하게 됨으로써, 상기 영상 투사기(20)에서는 상기와 같은 시뮬레이션 정보를 스크린(10)에 투사시키게 되고, 이에따라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투구자는 상기 스크린(1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시뮬레이션 정보를 통해 본인의 투구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n, the game engine unit 50 may calculate a virtual interval after the tracking interval D2 according to the traveling path, speed, rotation direction, and number of rotations of the curling stone 100 analyzed by the analysis program 52. [ By simulating the virtual tracking of the virtual curling stone 100 'and the position of the predetermined target A, and then providing the simulation information to the image projector 20, 4, 6, and 6, the pitcher can directly see how his or her pitching is accomplished through the simula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creen 10, It can be confirmed.

한편, 상기의 설명은 투구자가 컬링 스톤(100)을 투구시 다른 참가자가 트래킹 구간(D2)에서 브룸(103)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를 설명한 것이고, 만약 다른 참가자가 투구자가 투구한 컬링 스톤(100)의 진행경로를 변경하기 위해 브룸(103)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브룸(103)에는 압력센서 또는 자이로센서(60)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압력센서 또는 자이로센서(60)는 상기 브룸(103)이 컬링 시트(30)의 얼름 빙판에 접촉되는 압력 또는 위치 및 방향을 측정한 후 이를 게임 엔진부(50)에 출력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 description is based on the fact that when the pitcher throws the curling stone 100, the other player does not use the broom 103 in the tracking section D2. If the other player uses the curling stone 100 The pressure sensor or the gyro sensor 60 is installed in the broom 103 so that the breech sensor 103 or the breech sensor 103 or the breech sensor 103 or the breech sensor 103 can be used. Measures the pressure or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contact with the ice sheet of the curling sheet 30 and outputs it to the game engine unit 50.

그러면, 상기 게임 엔진부(50)의 분석프로그램(52)은 입력되는 압력 측정 정보 또는 위치 및 방향 정보에, 상기 메모리(51)에 저장되는 상기 컬링 스톤(100)의 무게와 탄성계수 및 마찰계수 기준값을 적용하게 되면서, 상기 컬링 스톤(100)의 진행 경로를 분석하고 이를 시뮬레이션하여 영상 투사기(20)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영상 투사기(20)를 통해 스크린(10)에는 가상 컬링 스톤(100')에 대한 다른 진행경로의 시뮬레이션이 디스플레이되어, 상기 브룸(103)에 대한 적절한 사용 연습을 실제 컬링 경기장에서 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The analysis program 52 of the game engine unit 50 stores the weight of the curling stone 100 stored in the memory 51 and the elastic modulus and the friction coefficient The virtual curling stone 100 'is applied to the screen 10 through the image projector 20 by analyzing the progress path of the curling stone 100 and simulating the progressing path of the curling stone 100 and applying the reference value to the image projector 20. [ A simulation of a different course of action for the broom 103 may be displayed and proceed in the same manner as for the proper use practice for the broom 103 in an actual curling arena.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컬링 시스템에 있어, 컬링 시트(30)의 도움 트랙(31)에 센서(7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는 투구자의 발이 상기 센서(70)에 접촉시 게임 엔진부(50)가 스크린 컬링 시스템을 대기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전환시키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In the screen curl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70 may be installed on the support track 31 of the curling sheet 30. This is because when the foot of the pitcher touches the sensor 70, So that the unit 50 switches the screen culling system from the standby mode to the operating mode.

즉, 상기 도움 트랙(31)에 설치되는 센서(70)에 의해 투구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게임 엔진부(50)는 영상 투사기(20)와 카메라(40)를 바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That is, when the player is sensed by the sensor 70 installed on the help track 31, the game engine unit 50 may be operated to directly operate the image projector 20 and the camera 40 will b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스크린 컬링 시스템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스크린 20; 영상 투사기
30; 컬링시트 31; 도움트랙
40; 카메라 50; 게임 엔진부
51; 메모리 52; 분석프로그램
60; 압력 또는 자이로 센서 70; 센서
80; 컨테이너 박스 구조물 100; 컬링 스톤
100'; 가상 컬링 스톤 101; 손잡이
102; 마커 103; 브룸
D1; 투구 구간 D2; 트래킹 구간
L1; 호그라인 L2; 중심라인
10; Screen 20; Image projector
30; Curling sheet 31; Help track
40; A camera 50; Game engine department
51; A memory 52; Analysis program
60; Pressure or gyro sensor 70; sensor
80; Container box structure 100; Curling Stone
100 '; Virtual curling stone 101; handle
102; Marker 103; Broome
D1; Pitch section D2; Tracking section
L1; Hog line L2; Center line

Claims (14)

영상이 투영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후방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크린에 컬링 시뮬레이션 게임의 영상을 투사시키는 영상 투사기;
상기 스크린의 전방측에 위치하고, 도움트랙으로부터 진행되는 손잡이를 가지는 컬링 스톤의 투구 구간과, 투구된 컬링 스톤의 트래킹 구간이 호그라인에 의해 구획되는 얼음 빙판의 컬링시트;
상기 컬링시트의 트래킹 구간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트래킹 구간을 따라 상기 스크린에 도달하는 상기 컬링 스톤의 트래킹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트래킹 구간을 따라 트래킹되는 상기 컬링 스톤의 진행경로와 속도 및 회전방향, 그리고 회전수를 분석하여, 트래킹 구간 이후의 가상 구간에 대한 컬링 스톤의 가상 트래킹과 정해진 표적의 어느 지점에 위치하는지를 시뮬레이션하고 이를 상기 스크린에 디스플레이시키도록 상기 영상 투사기를 제어하는 3D 시뮬레이션용 게임 엔진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컬링 스톤에는 트래킹시 회전수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마커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
A screen on which the image is projected;
An image projector positioned at a rear side of the screen and projecting an image of a curling simulation game to the screen;
A curling sheet of ice ice sheet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screen and having a helmet section of a curling stone having a knob going from the helper track and a tracking section of the helmet being pitched by a hog line;
A camera positioned at an upper end of a tracking section of the curling sheet and photographing a tracking state of the curling stone reaching the screen along the tracking section; And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information from the camera and analyzing a traveling path of the curling stone, a velocity, a rotational direction, and a rotational speed of the curling stone to be tracked along the tracking interval, A game engine for 3D simulation for controlling the image projector to simulate a position of a predetermined target and display the simulated image on the screen; And,
Wherein the curling stone is formed with a marker for checking the number of rotations during track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구 구간과 상기 트래킹 구간에는 트래킹되는 컬링 스톤의 진행경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중심라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The screen curl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enter line is formed in the pitching section and the tracking section so as to check the progress path of the curling stone to be tracked.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복수로 형성하고, 복수로 형성되는 상기 마커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The screen cull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markers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shapes, and the plurality of markers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color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엔진부에는 상기 컬링 스톤의 무게와 탄성계수 정보, 그리고 상기 컬링 스톤과 상기 컬링시트 사이의 마찰계수 기준값을 저장한 메모리를 탑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The screen curl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game engine unit is mounted with a memory that stores the weight of the curling stone, the elastic modulus information, and a friction coefficient reference value between the curling stone and the curling shee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엔진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동영상 정보를 통해 컬링 스톤의 진행경로와 속도 및 회전방향, 그리고 회전수를 분석하는 분석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6. The screen curl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game engine unit is equipped with an analysis program for analyzing a progress path, a speed, a rotation direction, and a rotation number of a curling stone through motion pictur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프로그램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동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중심라인을 연속 추출하여 상기 컬링 스톤의 진행경로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The screen curl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nalysis program continuously extracts the center line from the moving pictur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analyzes the progress path of the curling ston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프로그램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동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컬링 스톤의 손잡이를 연속 추출하여, 상기 컬링 스톤의 회전방향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7. The screen curl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nalysis program continuously extracts the grip of the curling stone from moving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camera, and analyzes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curling ston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프로그램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동영상 정보로부터 상기 컬링 스톤의 마커를 연속 추출하여, 상기 컬링 스톤의 회전수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The screen curl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nalysis program continuously extracts the marker of the curling stone from moving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and analyze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curling ston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프로그램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동영상 정보로부터 트래킹 구간을 통과하는 상기 컬링 스톤의 초당 트래킹 거리를 픽셀단위로 연속 추출하고 이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상기 컬링 스톤의 무게와 탄성계수 및 마찰계수 기준값을 적용하여, 상기 컬링 스톤의 속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nalysis program continuously extracts the tracking distance per second of the curling stone passing through the tracking interval from the moving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in units of pixels and stores the weight of the curling stone stored in the memory Wherein the velocity of the curling stone is analyzed by applying an elastic modulus and a friction coefficient reference valu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컬링시트의 트래킹 구간에서 브룸 사용시, 상기 브룸에는 압력센서 또는 자이로센서를 장착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The screen curl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pressure sensor or a gyro sensor is mounted on the broom when the broom is used in a tracking section of the curling shee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엔진부의 분석프로그램은 상기 브룸에 장착되는 압력센서의 트래킹 구간에 대한 압력 측정 정보 또는 자이로센서의 트래킹 구간에 대한 위치 및 방향 정보를 입력받은 후 이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상기 컬링 스톤의 무게와 탄성계수 및 마찰계수 기준값을 적용하여, 상기 컬링 스톤의 진행 경로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The game system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analysis program of the game engine unit receives pressure measurement information of a tracking zone of a pressure sensor mounted on the broom or position and orientation information of a tracking zone of the gyro sensor, Wherein the curve of the curling stone is analyzed by applying the weight of the curling stone, the elasticity coefficient, and the friction coefficient reference valu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움트랙에는 투구자의 접촉상태를 감지한 후 이를 상기 게임 엔진부로 출력하는 센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The screen curl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lp track is form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a contact state of a thrower and outputting the detected result to the game engine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컬링 시스템은 이동형의 컨테이너 박스 구조물내에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컬링 시스템.The screen culling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screen culling system is configured within a mobile container box structure.
KR1020160135689A 2016-10-19 2016-10-19 Screen curling system KR1018208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689A KR101820873B1 (en) 2016-10-19 2016-10-19 Screen curling system
PCT/KR2017/009427 WO2018074731A1 (en) 2016-10-19 2017-08-29 Screen curl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689A KR101820873B1 (en) 2016-10-19 2016-10-19 Screen curl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873B1 true KR101820873B1 (en) 2018-01-22

Family

ID=61094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689A KR101820873B1 (en) 2016-10-19 2016-10-19 Screen curling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0873B1 (en)
WO (1) WO2018074731A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080B1 (en) 2017-02-24 2018-12-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Curling simulators and method of progressing screen curling game using the same
KR101937228B1 (en) 2017-12-22 2019-01-11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Measuring device for sweeping force and rotating angle of curling brush
KR101948713B1 (en) 2017-02-24 2019-02-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y and sweeping at curling game
KR20190063449A (en) * 2017-11-29 2019-06-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realistic curling simulation and virtual curling performing method
KR20200133885A (en) 2019-05-20 2020-12-01 김동수 Indoor track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9483B (en) * 2018-07-25 2021-01-29 上海永玺环境科技有限公司 Preparation method of curling racetrack
CN110538439B (en) * 2019-08-27 2021-01-05 哈尔滨工业大学 Throwing method of curling robot
CN113299192B (en) * 2021-05-24 2023-08-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Display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N113521699B (en) * 2021-07-19 2022-05-24 哈尔滨体育学院 Ice and snow motion auxiliary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097B1 (en) * 2014-02-21 2014-12-3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Mobile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ing curling,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5362A (en) * 2010-10-05 2012-04-16 김성철 Product configuration of screen bowling alley
CN104587654A (en) * 2013-10-30 2015-05-06 西安景行数创信息科技有限公司 Interaction curling stone motion system
KR20160026310A (en) * 2014-08-29 2016-03-09 넥시스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urling coaching by wearable glass device
KR101677686B1 (en) * 2015-01-21 2016-11-18 (주)나라소프트 Sport exercise simulation system using scre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097B1 (en) * 2014-02-21 2014-12-31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Mobile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ing curling,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080B1 (en) 2017-02-24 2018-12-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Curling simulators and method of progressing screen curling game using the same
KR101948713B1 (en) 2017-02-24 2019-02-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y and sweeping at curling game
KR20190063449A (en) * 2017-11-29 2019-06-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realistic curling simulation and virtual curling performing method
KR102091782B1 (en) 2017-11-29 2020-03-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realistic curling simulation and virtual curling performing method
KR101937228B1 (en) 2017-12-22 2019-01-11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Measuring device for sweeping force and rotating angle of curling brush
KR20200133885A (en) 2019-05-20 2020-12-01 김동수 Indoor track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74731A1 (en) 201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873B1 (en) Screen curling system
US10821347B2 (en) Virtual reality sports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TWI565505B (en) A screen baseball game apparatus without Temporal and spatial limitations
RU2643640C1 (en) Integrated multifunctional hockey simulator and method of its control/management for individual training and testing of skating and hockey skills
JP5799442B2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11278787B2 (en) Virtual reality sports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JP6983172B2 (en) Methods and equipment for performing motion analysis of sports equipment
CN101890218B (en) Virtual golf simulator, sensor therein and sensing method of virtual golf simulator
US201401116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golf club shaft flex and golf simulation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US20100311512A1 (en) Simulator with enhanced depth perception
US9352203B2 (en) Tensile basketball shooting skill training device
KR20190031113A (en) Virtual tennis simul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344429B1 (en) Two-environment game play system
WO2007039056A2 (en) Training device
RU2689445C1 (en) Method of imitating biathlete or skier participation in competitions of any level, in trainings and device for its implementation
CN105745695A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evaluating the progression of a training exercise
CN108159698A (en) Indoor cool run game simulation system based on AR
KR910020555A (en)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TWI464009B (en) Virtual golf s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190290988A1 (en) Apparatuses system and methods for training soccer players
CN105771221A (en) Football simulation system
KR101276054B1 (en) Ball mark tracking system
JP7161609B2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easuring physical quantities associated with golf clubs
KR102062070B1 (en) Virtual bowling simulation system
KR101527463B1 (en) Boarding sim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