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039B1 -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 Google Patents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039B1
KR102356039B1 KR1020210104676A KR20210104676A KR102356039B1 KR 102356039 B1 KR102356039 B1 KR 102356039B1 KR 1020210104676 A KR1020210104676 A KR 1020210104676A KR 20210104676 A KR20210104676 A KR 20210104676A KR 102356039 B1 KR102356039 B1 KR 102356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terminal block
cover
terminal
displa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보경
이경수
Original Assignee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filed Critical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4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75Means facilitating correct wiring, e.g. marking plates, identification t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및 수배전반 등(이하 '수배전반'으로 통칭한다)의 내부에 설치되는 단자대에 연결된 전력기기의 활선 및 사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비접촉식 통전 표시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소정 크기의 베이스블록(10); 상기 베이스블록(10)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복수의 단자(22)가 구비되는 전류검출기(20); 상기 전류검출기(20)의 상면을 커버하면서 상기 베이스블록(10)에 조립되는 소정 크기의 커버블록(30); 및 상기 커버블록(30)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복수의 단자(22) 각각의 활선 상태를 나타내는 통전표시부(4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블록(10)의 일측에는, 소정 길이의 확장단자(52)가 구비되는 확장단자블록(5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Description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Non-contact Power Supply Display Terminal Block}
본 발명은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및 수배전반 등(이하 '수배전반'으로 통칭한다)의 내부에 설치되는 단자대에 연결된 전력기기의 활선 및 사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비접촉식 통전 표시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복수의 전기장치에 분배하여 공급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단자대가 설치되게 된다.
이러한 단자대에는 많은 전선들이 연결되게 되고, 따라서 작업자는 유지보수 등을 위해 작업을 할 때에는 먼저 단자대에 연결된 전선들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활선 상태인지 또는 전원 공급이 차단된 사선 상태인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작업자가 전원의 활선 및 사선 여부를 확인하고자 배터리가 내장된 검출장치를 휴대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각 전선의 전극에 상기 검출장치의 일단을 접촉시키면 상기 검출장치에 구비된 LED가 활선 및 사선 여부에 따라 점등되거나 또는 부저가 울리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검출장치는 작업자가 많은 수의 배선들을 일일이 확인하여 활선여부를 검출하여야 하므로 활선 및 사선 여부를 확인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에 더해 고압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검출장치를 전극에 접촉시키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사용시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단자대의 활선 여부를 쉽게 검출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목적의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744511호의 터미널블록을 위한 인디케이터 장치(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인디케이터 장치는, 전기적인 부도체로 이루어지며 몸체 상면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이르기까지 브리지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블록형태의 겐트리부를 구비하는 케이스와, 터미널블록의 접속단자부에 각각 통전되도록 겐트리부의 일측부에 복수로 결합되며 복수의 접속단자부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일단부가 겐트리부의 일측벽으로부터 외곽으로 플레이트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커넥터 단자편과, 커넥터 단자편과 대향하는 겐트리부의 타측부에 복수로 결합되며 일단부는 커넥터 단자편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외부의 케이블에 연결되어 커넥터 단자편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케이블에 공급하도록 하는 복수의 전원공급 단자편 및 겐트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겐트리부의 상면에 복수로 배치되며 복수의 커넥터 단자편에 개별적으로 통전되도록 연결되어 복수의 커넥터 단자편에 전기가 통할 때 복수의 커넥터 단자편에 각각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점등되는 점등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인디케이터 장치는 인접하여 설치되는 다른 단자들 간의 유도전류를 통해 사선인 단자가 활선 상태로 표시되는 등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이 때문에 점등되는 램프의 표시만으로 단자의 활선 및 사선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단자대의 활선 및 사선 여부를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으면서 인접하여 설치되는 단자 간의 영향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의 개발이 요구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4511호 (2017. 06. 01. 등록) 2)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22546호 (2003. 07. 29.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통전표시 단자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자대의 활선 또는 사선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인접하여 설치되는 단자 간의 영향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는,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및 수배전반에 설치되는 단자대에 있어서, 소정 크기의 베이스블록(10); 상기 베이스블록(10)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복수의 단자(22)가 구비되는 전류검출기(20); 상기 전류검출기(20)의 상면을 커버하면서 상기 베이스블록(10)에 조립되는 소정 크기의 커버블록(30); 및 상기 커버블록(30)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복수의 단자(22) 각각의 활선 상태를 나타내는 통전표시부(4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블록(10)의 일측에는, 소정 길이의 확장단자(52)가 구비되는 확장단자블록(5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블록(10)은, 소정 간격을 두고 소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안착부(11); 및 상기 안착부(11) 사이에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12);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착부(11)의 양단에는, 소정 크기의 너트(N)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소정 깊이의 삽입공(11A)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2)에는, 상기 커버블록(30)과 나사 조립되도록 하는 복수의 체결공(12A)이 형성된다.
상기 전류검출기(20)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 틀 모양을 가지는 복수의 고정하우징(21); 상기 복수의 고정하우징(21)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단자(22); 및 상기 복수의 고정하우징(21)에 설치되는 복수의 페라이트코어블록(23);을 포함하고, 상기 통전표시부(40)는, 활선시 상기 페라이트코어블록(23)에서 발생하는 유도 전류를 통해 발생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LED 또는 LCD가 점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블록(30)은, 상기 전류검출기(20)를 커버하면서 상기 베이스블록(10)과 조립되는 조립부(31); 및 상기 조립부(31)의 상면에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안착부(32);를 포함하고, 상기 통전표시부(40)는, 상기 안착부(32)에 안착되는 소정 길이의 기판(41); 및 상기 기판(41)의 상면을 커버하는 소정 크기의 커버판(42);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41)에는 상기 페라이트코어블록(23)에서 발생하는 유도 전류를 통해 발생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점등되는 복수의 LED(41C) 또는 LCD가 구비된다.
상기 확장단자블록(50)과 상기 베이스블록(10)의 마주보는 면들에 각각 배치된 돌기 및 삽입홀을 더 포함한다.
상기 돌기 및 삽입홀의 내벽 중 어느 하나는 자성을 가지며, 다른 하나는 금속 재질을 포함한다.
상기 돌기 및 삽입홀의 내벽은 서로 상반된 극성의 자성을 갖는다.
상기 베이스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단자(22)들의 공간들을 구획하는 단자대커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단자대커버는 인접한 단자(22)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구획판을 포함한다.
상기 구획판은 은(Ag), 구리(Cu), 니켈(Ni), 산화아연(ZnO), 산화주석(SnO2), 알루미튬(Al), 스텐리스강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한다.
상기 구획판은 복수의 구멍들을 갖는 그물망 형상을 갖는다.
상기 단자대커버는 상기 구획판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스토퍼(60)들을 더 포함하며, 인접한 스토퍼(60)들 사이의 체결 공간(82)을 통해 상기 단자들과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 수단이 삽입된다.
상기 체결 공간은 상기 베이스블록(10)의 삽입공(11A)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외부로부터의 전선이 상기 복수의 단자에 접속될 수 있도록 인접한 구획판들 사이에 접속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단자대커버는 상기 구획판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체결 공간 및 접속 공간을 덮는 덮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덮개부는 투명 덮개부이다.
상기 덮개부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상기 구획판에 대응되게 상기 덮개부의 내측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패턴들; 및 상기 전류검출기(20)로부터 검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제 1 패턴들로 자력을 제공하는 자력 제공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패턴들의 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덮개부의 내측면에 배치된 제 2 패턴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는 통전표시 단자대의 베이스블록과 커버블록 사이에 전류검출기가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단자에 페라이트코어블록이 조립된 상태로 구성됨과 동시에 페라이트코어블록을 통해 발생되는 유도전류가 통전표시부의 기판 쪽으로 근접 설치된 전류 유도부를 통해 기판에 확실하게 전달되므로 해당 단자의 활선 및 사선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커버블록의 회전커버를 통해 단자 각각의 공간이 확실하게 구획된 상태로 사용되므로 인접 설치되는 단자 간의 도전 위험과 영향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획판을 은(Ag), 구리(Cu), 니켈(Ni), 산화아연(ZnO), 산화주석(SnO2), 알루미륨(Al), 스텐리스강 등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구획판을 그물망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유도전류의 차폐 효과가 상승될 수 있다.
또한, 접속 공간 및 체결 공간을 덮는 덮개부가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그 접속 공간 및 체결 공간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그 접속 공간 및 체결 공간에서의 전선 및 그 전선의 접속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체결 공간을 통해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의 삽입이 용이하므로 그 체결 공간 내에서의 체결 수단과 단자 간의 체결 과정이 수월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확장단자블록의 돌기와 베이스블록의 삽입홀의 내벽 중 적어도 하나가 자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확장단자블록과 베이스블록 간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구획판에 대응되게 덮개부의 내측면에 복수의 패턴들 및 전류검출기로부터 검출 결과를 근거로 복수의 패턴들로 자력을 제공하는 자력 제공부를 구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자가 활선 상태일 때 폐쇄 상태의 덮개부는 쉽게 열리지 않게 함으로써 안전 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가 구비된 수배전반의 외함이 분전반으로 구성되는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의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블록의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류검출기의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블록의 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전표시부의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I-I'의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에 확장단자블록이 설치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 및 도 11의 확장단자블록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에 전선이 삽입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확장단자블록을 커버하는 단자대커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커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가 구비된 수배전반의 외함이 전동기 제어반으로 구성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가 구비된 수배전반이 저압반으로 구성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의 제품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가 구비된 수배전반(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단자대의 활선 또는 사선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인접하여 설치되는 단자 간에 영향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가 구비된 수배전반(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외함(1), 장착프레임(2) 및 통전표시 단자대(3)를 포함한다.
여기서 외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전반용 외함(1),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기 제어반용 외함(1')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압반용 외함(1") 등과 같이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제작되고, 이러한 외함(1, 1', 1")은 설치되는 장소(예를 들면, 옥내, 옥외, 해안가 등)에 따라 스틸강판, 갈바늄 강판 및 스테인리스 강판 등의 재질로 제작된다.
장착프레임(2)은 외함(1, 1', 1")의 내부에 수평 또는 수직의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사각 또는 "ㄱ"자 단면 모양의 프레임 또는 소정 넓이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장착프레임(2)에는 후술되는 통전표시 단자대(3)가 설치되기 위한 복수의 체결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며, 이러한 체결공을 통해 통전표시 단자대(3)가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강건하게 고정되게 된다.
통전표시 단자대(3)는 장착프레임(2)에 고정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면서 전원의 활선 여부를 LED를 통해 단자별로 안내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통전표시 단자대(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블록(10), 전류검출기(20), 커버블록(30) 및 통전표시부(40)를 포함하고, 이하에서는 이러한 통전표시 단자대(3)의 구성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베이스블록(10)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면서 후술되는 전류검출기(20)가 상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베이스블록(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을 두고 소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안착부(11)와, 상기 안착부(11) 사이에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12)를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의 안착부(11)의 양단에는 소정 크기의 너트(N)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소정 깊이의 삽입공(11A)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후술되는 전류검출기(20)의 단자(22)에 형성된 관통구멍(22A)을 통해 나사가 조립되어 고정되게 된다.
또한, 돌출부(12)에는 후술되는 커버블록(30)과 나사 조립되도록 하는 복수의 체결공(12A)이 형성되고, 돌출부(12)의 일측면을 따라 소정 깊이를 가지는 삽입홈(12B)이 형성된다.
이때 삽입홈(12B)은 후술되는 통전표시부(40)에 조립되는 단자대커버(43)의 구획판(43A) 단부가 소정 깊이 삽입되도록 하여 단자(22)간의 공간이 더욱 확실하게 구획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전류검출기(20)는 베이스블록(10)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활선시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전류검출기(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사각 틀 모양을 가지는 복수의 고정하우징(21)과, 상기 복수의 고정하우징(21)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단자(22) 및 상기 복수의 고정하우징(21)에 설치되는 복수의 페라이트코어블록(23)을 포함한다.
이때 단자(22)는 수평으로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양단 부분에 소정 지름의 관통구멍(22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22A)을 통해 나사가 삽입되어 안착부(11)의 삽입공(11A)에 삽입된 너트(N)에 체결되게 된다.
또한, 페라이트코어블록(23)의 상부 일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라이트코어(자심)의 외측면에 권취되는 코일의 권선단부가 위치되면서 후술되는 통전표시부(40)의 기판(41)과 접촉되도록 소정 높이 상향 돌출되는 접점단자(23A)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전류검출기(20)를 통해 복수의 단자(22) 각각에 전류가 흐르면 페라이트코어블록(23)을 통해 유도전류가 발생하여 접점단자(23A)를 통해 통전표시부(40)의 기판(41) 쪽으로 전원이 인가되게 되고, 이에 의해 기판(41)에 설치되는 LED(41C)가 점등되면서 해당 단자(22)의 활선 상태가 정확하게 안내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11에 도시된 하나의 예와 같이, 복수의 단자(22)들 중 좌측의 단자(22_L)가 활선 상태인 경우 이에 대응되는 좌측의 LED(41C_L)가 선택적으로 점등되며, 복수의 단자(22)들 중 중심의 단자(22_M)가 활선 상태인 경우 이에 대응되는 중심의 LED(41C_M)가 선택적으로 점등되며, 그리고 복수의 단자(22)들 중 우측의 단자(22_R)가 활선 상태인 경우 이에 대응되는 우측의 LED(41C_R)가 선택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 한편, 두 개 이상의 단자들이 동시에 활선 상태인 경우, 그 두 개 이상의 단자들에 대응되는 LED들이 동시에 점등될 수 있다.
위에서는 전류검출기(20)가 1개의 단자(22)와 페라이트코어블록(23)이 고정하우징(21)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1개의 고정하우징(21)에 복수의 단자(22)와 페라이트코어블록(23)이 설치되는 구조로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커버블록(30)은 베이스블록(10)의 상부에 조립되면서 내부에 전류검출기(20)가 수용되어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커버블록(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검출기(20)를 커버하면서 베이스블록(10)과 나사를 통해 조립되는 소정 크기의 조립부(31)와, 상기 조립부(31)의 상면에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소정 크기의 안착부(32)를 포함한다.
이때 조립부(31)는 "ㅠ"자 단면 모양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전류검출기(20)의 페라이트코어블록(23)이 조립부(32)를 통해 감싸지도록 구성되고, 이를 통해 커버블록(30)이 베이스블록(10)에 조립되는 것만으로 인접된 페라이트코어블록(23)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안착부(32)에는 페라이트코어블록(23)에 각각 구비되는 접점단자(23A)가 통전표시부(40)의 기판(41) 저면에 접촉되도록 하거나 또는 접점단자(23A) 쪽에서 인가되는 유도전류가 기판(41) 쪽으로 확실하게 전달되도록 소정 크기의 관통공(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된다.
통전표시부(40)는 커버블록(30)의 안착부(32)를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단자(22)의 활선 여부에 따라 표시수단이 점등되어 작업자에게 해당 단자(22)의 활선 여부를 안내하는 구성이다.
한편, 커버블록(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32)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3)에는 전술된 베이스블록(10)과 나사 조립되도록 하는 복수의 체결공(3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전표시부(4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32)에 안착되는 소정 크기의 기판(41)과, 상기 기판(41)의 상면을 커버하는 소정 크기의 커버판(42) 및 베이스블록(10)의 양측에 결합된 한 쌍의 단자대커버(43)를 포함한다.
이때 기판(41)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베스트 와이어(도면 부호 없음)를 통해 단자(22)와 연결되는 페라이트코어블록(23)의 권선 양단과 연결되는 평활회로부(41A)와, 상기 평활회로부(41A)와 연결되면서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반응회로부(41B)와, 상기 전류 반응회로부(41B)를 통해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점등 동작되는 복수의 LED(41C)를 포함한다.
그리고 기판(41)에는 평활회로부(41A)와 연결되는 온도 측정회로부(41D)와, 상기 온도 측정회로부(41D)로 측정된 온도 값을 전달하는 온도센서(41E) 및 상기 온도 측정회로부(41D)를 통해 신호를 인가받아 온도 값을 출력하는 온도표시부(41F)를 포함한다.
또한, 단자(22)를 통해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도 통전표시부(40)의 기능이 유지되도록 평활회로부(41A)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회로부(41G)와 에너지 저장부(41H)가 더 구비되고, 이렇게 에너지 저장부(41H)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단자(22)로부터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 전류 반응회로부(41B)와 온도 측정회로부(41D)에 인가되게 되고, 이에 의해 단자(22)가 사선인 경우에도 통전표시부(40)에 전원이 안정적으로 인가되게 되면서 해당 단자(22)의 활선 및 사선 상태와 더불어 온도 정보가 안내되게 되고, 그 결과 통전표시단자대의 신뢰성이 향상되게 된다.
한편, 위에서는 복수의 LED(41C)가 기판(41)에 설치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통전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LCD 등과 같이 공지된 다양한 표시수단으로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단자대커버(4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블록(10)의 삽입홈(12B)에 일단이 삽입되도록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구획판(43A)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단자대커버(43)를 닫으면 구획판(43A)의 일단이 베이스블록(10)의 삽입홈(12B)에 소정 깊이 삽입되면서 단자 간의 공간이 확실하게 구획되게 된다. 한편, 구획판(43A)에 의한 유도전류 차폐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구획판(43A)은 은(Ag), 구리(Cu), 니켈(Ni), 산화아연(ZnO), 산화주석(SnO2), 알루미늄(Al), 스텐리스강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구획판(43A)의 유도전류 차폐 효과를 더욱 상승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구획판(43A)은 그물망(예를 들어, 메쉬(mesh))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여, 구획판(43A)은 차단하고자 하는 유도전류에 의한 전자기장의 파장보다 작은 복수의 구멍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단자대커버(43)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하나의 예와 같이, 베이스블록(10)의 복수의 삽입홈(12B) 각각에 대응되게 배치된 복수의 구획판(34A)을 포함할 수 있다. 단자대커버(43)의 각 구획판(43A)이 베이스블록(10)의 각 삽입홈(12B)에 삽입됨으로써 단자대커버(43)와 베이스블록(1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각 구획판(43A)의 각 일단에는 스토퍼(stopper; 6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스토퍼(60)는 구획판(43A)의 일단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60)는 베이스블록(10)에 결합된 단자대커버(43)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단자대커버(43)가 베이스블록(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각 구획판(43A)의 각 스토퍼(60)는 커버블록(30)의 각 돌출부(33)의 각 상면을 덮는다. 예를 들어, 각 스토퍼(60)는 각 돌출부(33)의 각 체결공(33A)을 덮는다. 각 구획판(43A)은 사각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 구획판(43A)의 형상은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인접한 구획판(43A)들 사이의 공간(이하, 접속 공간; 81)은 그 인접한 구획판(43A)들에 의해 정의된 측면 개구부 및 상면 개구부에 의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측면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전선(electric wire; 도 13의 180)이 그 인접한 구획판(43A)들 사이의 접속 공간(81) 내로 인입될 수 있다. 그 접속 공간으로 인입된 전선(180)은 그 접속 공간(81)을 경유하여 단자(22)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전선(180)의 단부는 홀을 정의하는 고리 형상의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체결 수단(예를 들어, 도 8의 15A로 지시된 볼트)은 전선(180)의 접속부의 홀, 단자(22)의 관통구멍(22A) 및 너트(N)를 차례로 관통하여 삽입공(11A)에 삽입될 수 있다.
상면 개구부는 전술된 접속 공간(81) 내에서의 전선(180)의 배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윈도우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인접한 스토퍼(60)들 사이의 공간(이하, 체결 공간; 82)은 전술된 베이스블록(10)의 삽입공(11A)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인접한 스토퍼(60)들 사이의 체결 공간(82)을 통해 베이스블록(10)의 삽입공(10A)이 노출될 수 있다. 전술된 체결 수단(15A)은 체결 공간(82)을 통해 전술된 전선(180)의 접속부의 홀, 단자(22)의 관통구멍(22A) 및 너트(N)를 차례로 관통하여 삽입공(11A)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 공간으로 인해 체결 수단과 단자 간의 조립 과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공간을 통해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의 삽입이 용이하므로 체결 수단과 단자 간의 체결 과정이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단자대커버(43)는 각 구획판(43A)의 각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덮개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덮개부(70)는 단자대커버(43)의 양측에 힌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덮개부(70)는 몸체부(71) 및 이 몸체부(71)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연장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71)는 전술된 접속 공간(81)의 상측 개구부를 덮을 수 있으며, 그리고 연장부(72)는 전술된 체결 공간(82)을 덮을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연장부(72)는 인접한 스토퍼(60)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덮개부(70)는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접속 공간(81) 및 체결 공간(82)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덮개부(70)는 투명 덮개부(70)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하나의 예로서 덮개부(70)는 유리 또는 투명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덮개부(70)에 의해 접속 공간(81) 및 체결 공간(82)이 폐쇄된 상태에서도 그 투명 덮개부(70)를 통해 접속 공간(81) 및 체결 공간(82) 내의 전선(180)의 상태가 용이하게 확인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단자대커버(43)는 덮개부(70)에 배치된 손잡이(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단자대커버(43)의 덮개부(70)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73)는 덮개부(70)의 연장부(72)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하나의 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3)는 3개의 단자(22)와 3개의 페라이트코어블록(23)으로 구성된 다음, 필요에 따라 중성선(N상)의 연결이 필요한 경우 별도의 확장단자블록(50)이 베이스블록(10)에 조립되어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단자블록(5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50A)를 포함하고, 그리고 베이스블록(10)은 이의 측면에 삽입홀(19A)을 포함할 수 있는 바, 확장단자블록(50)의 돌기(50A)는 베이스블록(10)의 삽입홀(19A)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확장단자블록(50)의 돌기(50A) 및 베이스블록(10)의 삽입홀(19A)의 내벽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50A)는 자성을 가지고, 삽입홀(19A)의 내벽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돌기(50A)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삽입홀(19A)의 내벽은 자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돌기(50A)와 삽입홀(19A)의 내벽은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돌기(50A)는 N극의 자성을 가지고, 삽입홀(19A)의 내벽은 S극의 자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50A) 및 삽입홀(19A)의 내벽 중 적어도 하나가 자성을 가질 경우, 확장단자블록(50)과 베이스블록(10)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중성선은 상시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가 유지되므로 별도의 통전상태를 표시하는 전류검출기(20)가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확장단자블록(5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 이스블록(10)의 일측에 나사 등을 통해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소정 크기의 확장베이스블록(51)과, 상기 확장베이스블록(51)에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확장단자(52)와, 상기 확장단자(52)를 고정하면서 상기 확장베이스블록(51)의 상면을 커버하는 소정 크기의 확장커버블록(53) 및 상기 확장커버블록(53)의 상면에 조립되는 소정 크기의 확장커버판(54)을 포함한다.
이때 확장커버판(54)에는 확장단자(52)가 중성선임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문자, 도형 및 숫자 등이 표기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가구비된 수배전반(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은 통전표시 단자대의 베이스블록과 커버블록 사이에 전류검출기가 삽입 설치되므로 전류검출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페라이트코어블록에 단자가 각각 조립되므로 해당 단자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해당 페라이트코어블록을 통해 유도전류가 확실하게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유도전류를 통해 통전표시부의 표시수단이 점등되게 되면서 해당 단자의 활선 여부를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자대커버의 구조로 인해 복수의 단자가 각각 구조적으로 공간이 구획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인접 설치되는 단자 간의 도전위험과 전기적 영향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대(3)의 양측에는 전선(180)이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전선(180)은 단자대(3)의 단자(22)의 양측에 체결 수단(15A)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대커버(43)는 확장단자블록(50)에도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단자대커버(43)는 구획판(43A)을 통해 베이스블록(10) 및 확장단자블록(5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대커버(43)의 덮개부(70)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제 1 패턴(701)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 제 1 패턴(701)들은, 예를 들어, 단자대커버(43)의 각 구획판(43A)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 제 1 패턴(701)들의 단부들은 하나의 제 2 패턴(70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덮개부(70)가 닫힌 상태일 때, 덮개부(70)의 제 1 패턴(701)들 각각은 이에 대응되는 구획판(43A)의 상면과 접촉할 수 있다. 각 제 2 패턴(702)은 스토퍼(60) 및 커버블록(30)의 돌출부(33) 상에 배치된 연결 패턴을 통해 기판(41)의 자력 제공부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제 1 패턴(701)들은 제 2 패턴(702), 스토퍼(60), 커버블록(30)의 돌출부(33) 및 기판(41) 상의 연결 패턴들을 통해 그 기판(41) 상의 자력 제공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자력 제공부는 기판(41) 상에 실장(mount)될 수 있다. 전술된 단자(22)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가 활선 상태일 때, 자력 제공부는 전술된 연결 패턴들을 통해 제 1 패턴(701)들로 자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전류검출기(20)로부터 유도전류가 발생될 때 자력 제공부는 이를 감지하여 전술된 제 1 패턴(701)들로 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자력 제공부는 전류검출기(20)로부터 유도전류가 발생될 때에만 선택적으로 제 1 패턴(701)들로 자력을 인가할 수 있다. 제 1 패턴(701)들이 자력을 제공받으면 제 1 패턴(701)들이 자화되어 각 제 1 패턴(701)과 이에 대응되는 금속 재질의 각 구획판(43A)이 서로 자력으로 붙는다.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단자(22)가 활선 상태일 때 폐쇄 상태의 덮개부(70)는 쉽게 열리지 않게 되어 안전 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자력이 강한 경우 덮개부(70)와 구획판(43A)들 간의 부착력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제 1 패턴(701)들 및 제 2 패턴(702)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패턴(701)들 및 제 2 패턴(702)은, 예를 들어,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6의 덮개부(70)는 각 단자(22) 별로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측의 단자(22)가 3개일 때, 3개의 독립적인 덮개부(70)가 단자대커버(43)의 일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3개의 각 덮개부(70)의 각 내측에는 전술된 제 1 패턴들(이하, 분할 패턴들)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 1 분할 패턴들은 서로 분리된 상태로 유지된다. 서로 분리된 3개의 분할 패턴들 중 좌측의 단자에 대응되는 제 1 분할 패턴은 가장 좌측의 구획판(43A)에 대응되게 제 1 덮개부(70)의 내측에 배치되며, 그 분리된 3개의 분할 패턴들 중 중심부의 단자에 대응되는 제 2 분할 패턴은 중심부의 2개의 구획판(43A)들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게 제 2 덮개부(70)의 내측에 배치되며, 그 분리된 3개의 분할 패턴들 중 우측 단자에 대응되는 제 3 분할 패턴은 가장 우측의 구획판(43A)에 대응되게 제 3 덮개부(7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분할 패턴은 제 1 스토퍼(60) 및 커버블록(30)의 제 1 돌출부 상에 배치된 제 1 연결 패턴을 통해 기판(41)의 자력 제공부에 연결되며, 제 2 분할 패턴은 제 2 스토퍼(60) 및 커버블록(30)의 제 2 돌출부 상에 배치된 제 2 연결 패턴을 통해 기판(41)의 자력 제공부에 연결되며, 그리고 제 3 분할 패턴은 제 3 스토퍼(60) 및 커버블록(30)의 제 3 돌출부 상에 배치된 제 3 연결 패턴을 통해 기판(41)의 자력 제공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전류검출기(20)로부터 유도전류가 발생될 때 자력 제공부는 그 유도전류가 발생된 단자를 특정하고, 특정된 단자에 대응되는 덮개부(70)의 분할 패턴으로 선택적으로 자력을 제공한다. 그러면 그 덮개부(70)와 대응되는 구획판(43A)이 자력을 제공받는 분할 패턴에 의해 강하게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활선 상태의 단자에 대응되는 덮개부(70)만 자력에 의해 견고하게 닫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의 제품 사진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특히 커버판(42)에는 3개의 단자(22)들이 각각 R, S 및 T와 같은 3상의 단자들임을 구분할 수 있도록 도형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확장커버판(54)에는 확장단자(52)가 중성선임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문자(예를 들어, N), 도형 및 숫자 등이 표기될 수 있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0: 베이스블록 20: 전류검출기
22: 단자 21:
23: 페라이트코어블록 30: 커버블록
41: 기판 43: 단자대커버
40: 통전표시부 42: 커버판

Claims (19)

  1.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및 수배전반에 설치되는 단자대에 있어서,
    소정 크기의 베이스블록(10);
    상기 베이스블록(10)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복수의 단자(22)가 구비되는 전류검출기(20);
    상기 전류검출기(20)의 상면을 커버하면서 상기 베이스블록(10)에 조립되는 소정 크기의 커버블록(30);
    상기 커버블록(30)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상기 복수의 단자(22) 각각의 활선 상태를 나타내는 통전표시부(40); 및
    상기 베이스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단자(22)들의 공간들을 구획하는 단자대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블록(10)의 일측에는, 소정 길이의 확장단자(52)가 구비되는 확장단자블록(5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단자대커버는 인접한 단자(22)들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구획판을 포함하며,
    상기 구획판은 은(Ag), 구리(Cu), 니켈(Ni), 산화아연(ZnO), 산화주석(SnO2), 알루미튬(Al), 스텐리스강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는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블록(10)은,
    소정 간격을 두고 소정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안착부(11); 및
    상기 안착부(11) 사이에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12);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안착부(11)의 양단에는,
    소정 크기의 너트(N)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소정 깊이의 삽입공(11A)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2)에는,
    상기 커버블록(30)과 나사 조립되도록 하는 복수의 체결공(12A)이 형성되는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검출기(20)는,
    상면이 개방된 사각 틀 모양을 가지는 복수의 고정하우징(21);
    상기 복수의 고정하우징(21)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복수의 단자(22);

    상기 복수의 고정하우징(21)에 설치되는 복수의 페라이트코어블록(23);
    을 포함하고,
    상기 통전표시부(40)는,
    활선시 상기 페라이트코어블록(23)에서 발생하는 유도 전류를 통해 발생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LED 또는 LCD가 점등되도록 구성되는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블록(30)은,
    상기 전류검출기(20)를 커버하면서 상기 베이스블록(10)과 조립되는 조립부(31); 및
    상기 조립부(31)의 상면에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안착부(32);
    를 포함하고,
    상기 통전표시부(40)는,
    상기 안착부(32)에 안착되는 소정 길이의 기판(41); 및
    상기 기판(41)의 상면을 커버하는 소정 크기의 커버판(42);
    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41)에는 상기 페라이트코어블록(23)에서 발생하는 유도 전류를 통해 발생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점등되는 복수의 LED(41C) 또는 LCD가 구비되는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단자블록(50)과 상기 베이스블록(10)의 마주보는 면들에 각각 배치된 돌기 및 삽입홀을 더 포함하는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및 삽입홀의 내벽 중 어느 하나는 자성을 가지며, 다른 하나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및 삽입홀의 내벽은 서로 상반된 극성의 자성을 갖는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복수의 구멍들을 갖는 그물망 형상을 갖는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커버는 상기 구획판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스토퍼(60)들을 더 포함하며,
    인접한 스토퍼(60)들 사이의 체결 공간(82)을 통해 상기 단자들과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 수단이 삽입되는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공간은 상기 베이스블록(10)의 삽입공(11A)에 대응되게 배치된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전선이 상기 복수의 단자에 접속될 수 있도록 인접한 구획판들 사이에 접속 공간이 마련된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커버는 상기 구획판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체결 공간 및 접속 공간을 덮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투명 덮개부인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에 대응되게 상기 덮개부의 내측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 1 패턴들; 및
    상기 전류검출기(20)로부터 검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제 1 패턴들로 자력을 제공하는 자력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들의 단부들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덮개부의 내측면에 배치된 제 2 패턴을 더 포함하는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KR1020210104676A 2021-08-09 2021-08-09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KR102356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676A KR102356039B1 (ko) 2021-08-09 2021-08-09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676A KR102356039B1 (ko) 2021-08-09 2021-08-09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039B1 true KR102356039B1 (ko) 2022-02-09

Family

ID=80266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676A KR102356039B1 (ko) 2021-08-09 2021-08-09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03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2805U (ko) * 1995-03-30 1996-10-24 엠.씨.씨의 2차케이블 접속단자 보호장치
KR200322546Y1 (ko) 2003-05-27 2003-08-09 신진전기 주식회사 전력계통선로의 통전상태를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는변류기조립체가 장착된 공통연결 단자대
KR20130003205U (ko) * 2011-11-22 2013-05-3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링 하네스용 지그
KR101673961B1 (ko) * 2015-07-06 2016-11-08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
KR101744511B1 (ko) 2016-11-24 2017-06-09 양승민 터미널블록을 위한 인디케이터 장치
KR101756716B1 (ko) * 2016-07-18 2017-07-11 사단법인 장우 일자리협회 볼트 풀림 방지기능을 갖춘 단자대 블록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2805U (ko) * 1995-03-30 1996-10-24 엠.씨.씨의 2차케이블 접속단자 보호장치
KR200322546Y1 (ko) 2003-05-27 2003-08-09 신진전기 주식회사 전력계통선로의 통전상태를 육안으로 인식할 수 있는변류기조립체가 장착된 공통연결 단자대
KR20130003205U (ko) * 2011-11-22 2013-05-3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와이어링 하네스용 지그
KR101673961B1 (ko) * 2015-07-06 2016-11-08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
KR101756716B1 (ko) * 2016-07-18 2017-07-11 사단법인 장우 일자리협회 볼트 풀림 방지기능을 갖춘 단자대 블록
KR101744511B1 (ko) 2016-11-24 2017-06-09 양승민 터미널블록을 위한 인디케이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3901B1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KR102298693B1 (ko)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가 구비된 수배전반(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US10475614B2 (en) Module for the interconnection of a circuit breaker and a contactor for an electrical assembly comprising a voltage sensor
KR101834813B1 (ko) 배선용 차단기
US10368451B2 (en) Module for the interconnection of a circuit breaker and a contactor for an electrical assembly
US20210222478A1 (en) Safety Door Switch
CN107589292B (zh) 用于测量电导体中的电流的装置
JP4705622B2 (ja) 分電盤
KR102356039B1 (ko)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KR920009352B1 (ko) 전자접촉기를 제어하는 장치
KR102298692B1 (ko)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US5034731A (en) Automatic appliance electric state signalling label
JP2011036050A (ja) 分電盤
US9678117B2 (en) Integral safety display for a test switch
KR20060005205A (ko) 전압/전류 측정장치
JP2011180104A (ja) クランプ型計器用据置端子
JP2010205568A (ja) コンセント
JP5550062B2 (ja) 接地極付のコンセント
JP4311235B2 (ja) 電流検出用コイル、誘導電流検出器、電流検知装置及び警報装置
KR100895215B1 (ko) 감시 장치 및 메타 일체형 절연저항 측정기
JP2022183817A (ja) 照度センサユニット
KR101949895B1 (ko) 결선 변경이 용이한 유도전동기 결선 단자대
JP2521209B2 (ja) センサ―内蔵型端子台を有する電流レベルメ―タ
US20220262277A1 (en) Anti-Tamper Device, Enclosure for a Utility Meter and Same
JP2010205570A (ja) 接地極付のコンセ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