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961B1 -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 - Google Patents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961B1
KR101673961B1 KR1020150095715A KR20150095715A KR101673961B1 KR 101673961 B1 KR101673961 B1 KR 101673961B1 KR 1020150095715 A KR1020150095715 A KR 1020150095715A KR 20150095715 A KR20150095715 A KR 20150095715A KR 101673961 B1 KR101673961 B1 KR 101673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urrent sensor
terminal block
bus bar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현
이준범
Original Assignee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디엠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디엠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95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04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employ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Abstract

본 발명은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 일정간격 유지되게 복수개의 버스바(114)가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버스바(114)를 통해 흐르는 전류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전류센서(115)가 각 버스바(114)의 외주연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면에 결합된 제1회로기판(110); 상기 제1회로기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회로기판(110)의 저면에 일정거리 이격 설치되되, 상기 전류센서(115)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메인컨트롤러나 원격지의 중앙서버로 전송하도록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ADC)와 마이컴(MCU) 및 통신수단이 구비된 제2회로기판(120); 상기 제2회로기판(120)이 상면에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수용부가 마련된 고정받침대(101); 상기 제1회로기판(110)의 복수개 버스바 양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회로기판의 상부를 감싸면서 상기 고정받침대(101) 상부로 결합되어 제1 및 제2회로기판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커버부재(10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Current sensor intergrated terminal stand}
본 발명은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전력이 복수의 채널로 입력되도록 구성되되, 각 채널에 독립적으로 전류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전류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는 단자대에 일체로 구성된 통신수단을 통해 중앙서버로 전송되도록 구성되어 단자대가 설치되는 접속반의 구성 및 구조를 간단히 하고, 전류 모니터링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단자대는 전력생산설비에서 생산된 전력을 한곳으로 취합하여 일반 상용전력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인버터를 통해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중계하는 접속반의 내부에 설치되는 일부 구성요소이다.
즉, 단자대는 볼트와 너트 등으로 인입되거나 출력되는 다수의 전력선을 한 곳에서 간단하게 결속시켜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선 연결대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일례로,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구성을 살펴보면, 태양광발전시스템은 태양광을 수광하여 광전효과로 전력을 생산하는 복수의 태양광어레이(이하, ‘태양전지’로 통칭함)와, 상기 복수개의 태양전지로부터 생산된 직류전력이 한곳으로 병합되어 출력되는 접속반과, 상기 접속반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각종 부하나 상용계통에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 등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구성 중 접속반은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력이 다수의 채널로 인입되어 하나로 병합, 인버터로 출력되는 중계기 역할을 하는 곳으로, 그 내부의 주된 구성은 입출력용 단자대, 직류개폐기, 역류방지 소자, 개폐기 또는 차단기, 피뢰소자 등 여러 부품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된 접속반은 그 중 어느 하나의 부품이라도 고장이나 파손이 발생될 경우, 전력변환효율이 떨어지게 되어 전력생산수율의 감소로 인해 전력생산량에 차질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전력생산 사업자에게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키게 된다.
특히, 밀폐된 접속반 내부에서 고장 또는 일부 부품의 파손 등으로 장애가 발생되어 생산된 전력의 공급 및 전력변환효율이 떨어지더라도 접속반 내부에 대한 특별한 모니터링장치가 없는 경우, 일정기간 생산된 전력량 데이터를 비교 분석하여 장치의 고장여부를 예측 및 판단하여 관리자가 전력생산 및 변환계통에 대한 정밀한 조사를 통해 이상이 발생된 지점이나 부품을 찾아낼 수 밖에 없었다.
더욱이,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경우 대부분 원격지 등에 설치되고 있어서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고장 및 이상여부를 감시하기 위한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특히 외부로 드러나지 않은 밀폐된 접속반 내부에서 부품의 고장 또는 훼손으로 전류의 공급이나 전력변환효율이 저하되는 경우 이를 외부에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반의 모니터링장치의 개발이 더욱 필요한 상황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접속반 내부의 환경 및 기기의 고장 등을 감시 및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근래에 들면서 조금씩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중 종래의 일 실시예로, 한국 특허등록 제10-1249463호(등록일: 2013.03.26, 발명의 명칭: 단자대의 온도감지장치)에서는 단자대의 접촉저항으로 인해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여 발열에 따른 화재 발생 등 기타 여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단자대에 온도감지장치를 설치하여 단자대에서 발생된 발열상태를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여 한계온도 이전에 온도 증가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여러 문제를 사전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또 다른 종래의 실시예로, 한국 특허등록 제10-1479285호(등록일:2014.12.29, 발명의 명칭 :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접속함 접촉불량 검출장치)에서는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과 복수의 퓨즈 사이의 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력에 특정 주파주를 가진 직류성분의 기준펄스신호를 입력하는 펄스입력부와; 상기 복수의 다이오드의 출력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력으로부터 출력 펄스신호를 검출하는 펄스검출부와; 상기 기준펄스신호와 상기 펄스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출력펄스신호를 비교하여 출력펄스신호의 왜곡여부를 판단하여 라인별 퓨즈 및 다이오드의 접촉불량상태을 판단하는 접촉불량 판단부;가 포함되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접속함 접촉불량 검출장치는 태양광모듈과 접속함 입력단의 접속불량, 라인별 휴즈 및 다이오드의 접속불량 등을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접속함의 접촉불량의 초기, 중기, 심각 상태를 감지할 수 있어, 관리자가 접촉불량의 진행단계에 따라 단계별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실시예는 접속함 내부의 전력입력단, 휴즈, 다이오드, 전력출력단 등에 소정의 회로망을 구성하여 전후단의 펄스비교를 통해 각 구성의 접촉불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회로구성이 다소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종래 태양광발전시스템용 접속반에는 태양전지에서 생산된 전기가 복수의 채널로 분리되어 각각 인입, 병합되어 차단기를 통해 인버터측으로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데, 태양전지 측에서 적정량의 전기가 생산되어 각 채널을 통해 정상적으로 입력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각 채널에는 전류센서를 설치하여 각 채널에 흐르는 전류량을 센싱하여 전력생산 및 공급의 유지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이러한 종래 실시예에 대한 접속반(20) 내부의 실제 사진이고, 도 2는 종래 접속반(20) 내부의 구성 및 주요 장치의 구성관계를 간단한 블럭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렇게, 접속반(20)의 내부에 별도로 전류센서(15)를 설치하여 전류의 흐름을 감지함으로써 전기 생산량에 대한 관리 및 적정 전기량의 생산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었다.
하지만, 복수의 채널에 추가적으로 개별적인 전류센서(15)를 설치하고, 설치된 각 전류센서(15)의 전원공급과 신호수신을 위한 케이블(19)이 추가로 설치되며, 각 전류센서(15)에서 감지된 신호를 중앙서버(24)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회로망 구축 등에 의해 접속반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장치의 유지관리가 더욱 불편함은 물론 고장 발생시 부품교체가 어렵고, 고장부위를 찾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비교적 내부공간이 협소한 접속반(20)의 내부가 전류센서(15)의 설치 및 케이블(19)의 포설작업으로 인해 더욱 비좁아지면서 그 자체의 설치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별도의 회로망 구성과 다른 부품들의 유지관리를 불편하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 한국 특허등록 제10-984678호(등록일:2010.09.27, 발명의 명칭: 이상 감지가 가능한 태양광 발전시스템) - 한국 특허등록 제10-1249463호(등록일: 2013.03.26, 발명의 명칭: 단자대의 온도감지장치) - 한국 특허등록 제10-1479285호(등록일:2014.12.29, 발명의 명칭 :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접속함 접촉불량 검출장치)
본 발명은 종래 전기 접속반의 감시, 특히 전류의 흐름을 감시하기 위해 접속반의 내부에 전류센서가 설치되는 접속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안출된 것으로, 접속반 내부의 구성을 단순하게 하여 접속반의 유지 및 관리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전류흐름을 감지하는 전류센서 및 상기 전류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수단을 일체화시켜 접속반의 조립성 향상과 현장 설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전류센서와 통신수단이 포함되도록 하나의 블럭으로 유닛트화시켜 접속반의 조립성 향상은 물론, 복수 단자대 사이의 병렬연결을 통해 전력선 감시 채널의 확장이 용이하여 전력생산 및 유지관리가 더욱 용이한 발전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는 좌우 일정간격 유지되게 복수개의 버스바가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버스바를 통해 흐르는 전류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전류센서가 각 버스바의 외주연에 끼워진 상태로 상면에 결합된 제1회로기판; 상기 제1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회로기판의 저면에 일정거리 이격 설치되되, 상기 전류센서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메인컨트롤러나 원격지의 중앙서버로 전송하도록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ADC)와 마이컴(MCU) 및 통신수단이 구비된 제2회로기판; 상기 제2회로기판이 상면에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수용부가 마련된 고정받침대; 상기 제1회로기판의 복수개 버스바 양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회로기판의 상부를 감싸면서 상기 고정받침대 상부로 결합되어 제1 및 제2회로기판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회로기판은 그 상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버스바가 일정 높이로 설치될 수 있도록 상면에 일정 높이의 버스바 고정턱이 구비되고, 복수개의 전류센서에서 감지된 전기적 신호를 제2회로기판으로 전송하기 위해 그 저면에 핀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제2회로기판은 상기 제1회로기판의 핀단자와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면에 핀소켓이 구비되고, 좌우 양단에는 상기 커버부재와 고정받침대의 좌우 양쪽으로 돌출되어 다른 단자대와 병렬 연결이 가능하도록 암수커넥터가 각각 형성되며, 그 저면에는 전류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커넥터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커버부재는 상면 전후방향으로 복수개의 경계턱이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경계턱 사이에는 각 버스바의 전후단이 외부로 노출되게 상하로 관통된 개구부가 양쪽으로 형성되며, 양쪽 개구부의 중앙측 길이방향으로 상기 경계턱보다 다소 높게 돌출되면서 상면이 밀폐된 전류센서 수용부가 일정 높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이와 더불어, 상기 제2회로기판의 저면에는 상기 전류센서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단자대 외측에서 별도로 제어할 수 있는 초소형 단락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단락스위치를 단자대 외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받침대의 저면에는 상기 단락스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스위치조작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하 일정간격 이격 되면서 상호간에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회로기판과 제2회로기판 사이에는 막대형상의 간격유지고정핀이 복수개 끼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를 접속반에 설치함으로 인해서 밀폐된 접속반 내부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접속반의 설치 및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접속반 내부 구성의 파손, 이상 여부시 유지 보수가 더욱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는 자체적으로 전류센서에서 감지된 전류량을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통신수단이 일체로 구성되어 전기생산 및 관리의 편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전류센서 설치로 인해 추가적인 회로망구성과 현장 설치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단자대는 접속반의 처리용량이나 부하에 따라 복수채널이 하나로 구성되는 단위블럭의 단자대를 병렬로 연결하여 접속반 및 단자대를 다양한 크기 및 용량으로 확장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그 이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접속반 내부에 전류센서가 설치된 상태의 접속반 내부의 사진,
도 2는 종래 접속반 및 주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가 설치된 접속반 내부의 간략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의 외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의 분리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에 설치되는 전류센서 설치 구성의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자대가 복수개 병렬 연결된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는 전기 접속반 내부에 설치되는 하나의 구성으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단자대가 설치되는 접속반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간략하게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부 위주로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는 복수채널에 전류센서가 일체로 구성되되, 상기 전류센서에서 감지된 전류 신호를 메인컨트롤러나 중앙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수단이 일체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통신수단을 구성하기 위한 회로망 구성 및 데이터송수신에 관련된 기술은 공지된 종래기술의 채택에 의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어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이하, ‘단자대’로 약칭함)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100)가 접속반 내부에 설치된 간이 접속반의 내부 구성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전기 접속반(20)은 전기공급시설 또는 전기생산설비에서 공급된 전력이 단자대(100)를 통해 입력된 후에, 휴즈(12)와 다이오드(14)를 거쳐 차단기(16)를 통해 출련단(18)으로 출력되는 기본적인 구조 및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접속반 내부의 복수의 구성 중 하나가 본 발명이 속하는 단자대이고,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상태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그 분리상태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100)는 절연재의 박스형상으로 구성되면서 그 상면에 복수 채널로 분리 구성된 버스바가 일부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도 6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100)의 주요부 구성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단자대(100)는 접속반의 내측에 고정되면서 상면에 소정의 회로망이 구성된 회로기판이 안정되게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직육면체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단측 고정받침대(101)와, 소정의 회로망 및 마이컴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받침대(101)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는 제2회로기판(120)과, 상기 제2회로기판(120)의 상면에 안착 고정되되 제2회로기판(120)과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면서 복수개의 채널에 버스바(114)가 각각 구비되면서 상기 버스바(114)의 외측으로 홀센싱 방식의 전류센서(115)가 설치되는 제1회로기판(110)과, 상기 제1회기판(110)의 상부에 씌워지면서 하부측 고정받침대(101)와 일체로 결합되어 그 내측에 구비된 상기 제1 및 제2회로기판(110,120)을 보호하면서 복수 채널에 각각 결합된 버스바(114)의 양측 고정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면 양쪽에 복수개의 개구부(104,105)가 분할 형성된 커버부재(102)로 구성된다.
최상단부에 구성되는 커버부재(102)는 그 상면 전후방향으로 복수개의 경계턱(107)이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경계턱(107) 사이에는 내부로 통하는 개구부(104,105)가 양쪽에 관통 형성되어 그 내측에 설치되는 제1회로기판(110)에 결합된 버스바(114)의 전후 양쪽 연결단이 커버부재(102)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양쪽 개구부(104,105) 사이의 중앙측 길이방향으로 양측 경계턱(107)보다 다소 높게 상면이 밀폐된 전류센서 수용부(106)가 일정 높이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분할대의 개부부(104,105)로 조립된 버스바(114)의 연결단이 노출된 상태가 도 4의 조립도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102)는 그 내부에 후술하는 제1회로기판(110) 및 제1회로기판(110)에 일체로 결합되는 다수의 구성품들이 안정되게 수용되면서 하단의 고정받침대에 결합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일정 높이의 수용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좌우 양쪽 하단부에는 후술하는 제2회로기판(120)에 구비된 암수커네터가 수용될 수 있는 커넥터장착홈(108)이 형성되며, 상기 경계턱(107)에는 상하로 관통된 체결공(109)이 형성되어 고정나사(103)의 체결을 통해 커버부재 내측에 설치되는 제1회로기판(110)과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102)의 내측 최상단에 위치되는 제1회로기판(110)은 하부측 고정받침대(101)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2회로기판(120)의 상면에 일정간격 유지되면서 제2회로기판(120)과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되며, 제1회로기판(110)의 상면에는 좌우로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전후방향으로 수평하게 복수개의 버스바(114)가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버스바(114)는 외부 전력이 접속반 내부로 인입되는 입력단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버스바(114)를 통해 흐르는 전류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버스바(114)의 외측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전류센서(115)가 설치된다.
상기 전류센서(115)는 상기 복수개 버스바(114)의 중심부 외주연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회로기판(11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버스바(114)의 외측으로 끼움 설치되는 전류센서(115)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버스바(114) 전후단은 제1회로기판(110)의 상면에서 일정 높이 유지되게 구성된 버스바고정턱(111,112)의 상면에 고정나사(116)로 수평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회로기판(110)의 저면에는 그 상면에 결합된 복수개의 전류센서(115)에 흐르는 전류량을 감지한 전류센서의 신호를 그 하단에 결합된 제2회로기판(120)측으로 전달할 수 있는 핀단자(117)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제2회로기판(120)은 제1회로기판(110)의 저면에 연결 설치되는데, 최하단측 고정받침대(101)의 상면에 고정나사로 고정될 수 있는 체결공(125)이 상하로 복수개가 관통 형성되고, 그 상면 양쪽으로 상기 제1회로기판(110)의 저면에 하향 돌출된 핀단자(117)에 연결되어 복수개의 전류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는 핀소켓(121,122)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핀소켓(121,122)으로 수신된 전류센서의 신호는 제2회로기판(120)의 저부에 부착된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ADC)를 통해 디지털화되어 마이컴(MCU)을 통해 메인컨트롤러나 중앙서버측으로 감지된 전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복수 단자대 간에 병렬로 연결되어 다중 접속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회로기판(120)의 좌우 양측에는 데이터케이블 연결용 암수커넥터(123,124)가 마련되고, 그 저면에는 메인컨트롤러측으로 데이터 송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커넥터(126)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회로기판(120)에는 상기 마이컴으로 수신된 각 전류센서의 신호를 직접 메인컨트롤러나 중앙서버로 전송할 수 있도록 통신수단(통신모듈 및 회로를 포함, 128)이 탑재되어 수신되는 신호를 토대로 단자대의 복수 채널에 흐르는 전류량을 파악하여 접속반 내부의 구성이나 단자대로 입력되는 외부 전력공급원의 고장발생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부측 커버부재(102)와 하부측 고정받침대(101)의 내부에 수용되어 결합된 상기 제1 및 제2회로기판(110,120)에 대해 커버부재(102)와 고정받침대(101)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각 전류센서(115)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단자대(100) 외측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제2회로기판(120)의 저면에 별도의 초소형 단락스위치(118)가 구비되고, 상기 단락스위치(118)의 외부 제어를 위해 하부측 고정받침대(101)에는 상기 단락스위치(118)와 대응하는 위치에 일정크기의 스위치조작공(14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받침대(101)에는 상기 데이터전송커넥터(126)에 단자대 외부에서 데이터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연결공(145)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회로기판(120)의 상면에서 일정 높이 이격 설치되는 제1회로기판(110)의 안정적인 고정 설치를 위해 제1회로기판(110)과 제2회로기판(120) 사이에는 막대형상의 간격유지고정핀(127)이 복수개 끼움 설치된다.
상술한 제1회로기판(110)과 제2회로기판(120)이 연결되어 구성되는 단자대(100) 내부의 모듈구성도가 도 7에 간단한 블럭도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100)가 하부측 고정받침대(101)와 상부측 커버부재(102) 사이에 상술한 제1회로기판(110)과 제2회로기판(120)을 수용하면서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접속반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측 고정받침대(101)의 이면에는 딘레일클립(130)이 추가로 구성되어 접속반 내부에 구성되는 딘레일에 단자대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8는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단자대 복수개가 좌우 양측에 구비된 암수커넥터(123,124)로 상호 연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자대에는 4개의 채널이 하나의 블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접속반의 용량이나 크기에 따라 단자대를 두개이상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대 좌우측에 구비된 암수커넥터(123,124)를 이용, 병렬 연결함으로써 단자대 확장을 편리하게 구성할 수 있다.
10 : 단자대 12 : 휴즈
14 : 다이오드 15 : 전류센서
18 : 출력단 20 : 접속반
22 : 인버터 24 : 중앙서버
26 : 태양전지
100 : 단자대 101 : 고정받침대
102 : 커버부재 103 : 고정나사
104,105 : 개구부 106 : 전류센서 수용부
107 : 경계턱 108 : 커넥터장착홈
109 : 체결공 110 : 제1회로기판
111, 112 : 버스바고정턱 114 : 버스바
115 : 전류센서 116 : 고정나사
117 : 핀단자 118 : 단락스위치
120 : 제2회로기판 121,122 : 핀소켓
123 : 암커넥터 124 : 수커넥터
125 : 체결공 126 : 테이터 전송커넥터
127 : 간격유지고정핀 128 : 통신수단
130 : 딘레일클립 131 : 고정나사
140 : 스위치조작공 145 : 케이블연결공

Claims (4)

  1. 좌우 일정간격 유지되게 복수개의 버스바(114)가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버스바(114)를 통해 흐르는 전류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중심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전류센서(115)가 각 버스바(114)의 외주연에 끼워진 상태로 상면에 결합된 제1회로기판(110); 상기 제1회로기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회로기판(110)의 저면에 일정거리 이격 설치되어 상기 전류센서(115)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메인컨트롤러나 원격지의 중앙서버로 전송하도록 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ADC)와 마이컴(MCU) 및 통신수단이 구비된 제2회로기판(120); 상기 제2회로기판(120)이 상면에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의 수용부가 마련된 고정받침대(101); 및 상기 제1회로기판(110)의 복수개 버스바 양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회로기판의 상부를 감싸면서 상기 고정받침대(101) 상부로 결합되어 제1 및 제2회로기판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커버부재(102);를 포함하되,
    상기 제1회로기판(110)은
    그 상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버스바(114)가 일정 높이로 설치될 수 있도록 상면에 일정 높이의 버스바 고정턱(111,112)이 구비되고, 복수개의 전류센서에서 감지된 전기적 신호를 제2회로기판(120)으로 전송하기 위해 그 저면에 핀단자(117)가 구비되며,
    상기 제2회로기판(120)은
    상기 제1회로기판(110)의 핀단자(117)와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면에 핀소켓(121,122)이 구비되고, 좌우 양단에는 상기 커버부재(102)와 고정받침대(101)의 좌우 양쪽으로 돌출되어 다른 단자대와 병렬 연결이 가능하도록 암수커넥터(123,124)가 각각 형성되며, 그 저면에는 전류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커넥터(126)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102)는
    상면 전후방향으로 복수개의 경계턱(107)이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경계턱(107) 사이에는 각 버스바(114)의 전후단이 외부로 노출되게 상하로 관통된 개구부(104,105)가 양쪽으로 형성되며,
    양쪽 개구부(104,105)의 중앙측 길이방향으로 상기 경계턱(107)보다 다소 높게 돌출되면서 상면이 밀폐된 전류센서 수용부(106)가 일정 높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로기판(120)의 저면에는 상기 전류센서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단자대의 외측에서 별도로 제어할 수 있는 초소형 단락스위치(118)가 구비되고,
    상기 단락스위치(118)를 단자대의 외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받침대(101)의 저면에는 상기 단락스위치(118)와 대응되는 위치에 스위치조작공(140)이 관통 형성되며,
    상하 일정간격 이격 되면서 상호간에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회로기판(110)과 제2회로기판(120) 사이에는 막대형상의 간격유지고정핀(127)이 복수개 끼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
KR1020150095715A 2015-07-06 2015-07-06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 KR101673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715A KR101673961B1 (ko) 2015-07-06 2015-07-06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715A KR101673961B1 (ko) 2015-07-06 2015-07-06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961B1 true KR101673961B1 (ko) 2016-11-08

Family

ID=57528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715A KR101673961B1 (ko) 2015-07-06 2015-07-06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96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23143A (zh) * 2018-06-30 2018-11-30 宁波三星医疗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集中器功能端子的安装结构
KR101985518B1 (ko) 2018-07-18 2019-06-03 임일환 태양광모듈 스트링 접속용 mc4 커넥터 단자대
KR102356039B1 (ko) * 2021-08-09 2022-02-09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KR20230003740A (ko) * 2021-06-30 2023-01-06 (주)엔씨코리아 전류센서 일체형 무정전 교체 단자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3050A (ja) * 2002-07-17 2004-02-19 Hitachi Ltd 冷凍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インバータ装置
KR100984678B1 (ko) 2010-01-10 2010-10-01 강창원 이상 감지가 가능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JP2012013492A (ja) * 2010-06-30 2012-01-19 Hitachi Ie Systems Co Ltd 電流センサ内蔵端子台
JP2013055763A (ja) * 2011-09-02 2013-03-21 Denso Corp 電力変換装置
KR101249463B1 (ko) 2011-04-05 2013-04-03 주식회사 대륙 단자대의 온도 감지 장치
JP2013140705A (ja) * 2011-12-29 2013-07-18 Jonan Denki Seiki Kk 測定機能付き端子台
KR101479285B1 (ko) 2014-08-12 2015-01-07 주식회사 대경산전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접속함 접촉불량 검출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3050A (ja) * 2002-07-17 2004-02-19 Hitachi Ltd 冷凍装置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インバータ装置
KR100984678B1 (ko) 2010-01-10 2010-10-01 강창원 이상 감지가 가능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JP2012013492A (ja) * 2010-06-30 2012-01-19 Hitachi Ie Systems Co Ltd 電流センサ内蔵端子台
KR101249463B1 (ko) 2011-04-05 2013-04-03 주식회사 대륙 단자대의 온도 감지 장치
JP2013055763A (ja) * 2011-09-02 2013-03-21 Denso Corp 電力変換装置
JP2013140705A (ja) * 2011-12-29 2013-07-18 Jonan Denki Seiki Kk 測定機能付き端子台
KR101479285B1 (ko) 2014-08-12 2015-01-07 주식회사 대경산전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접속함 접촉불량 검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23143A (zh) * 2018-06-30 2018-11-30 宁波三星医疗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集中器功能端子的安装结构
KR101985518B1 (ko) 2018-07-18 2019-06-03 임일환 태양광모듈 스트링 접속용 mc4 커넥터 단자대
KR20230003740A (ko) * 2021-06-30 2023-01-06 (주)엔씨코리아 전류센서 일체형 무정전 교체 단자대
KR102518617B1 (ko) 2021-06-30 2023-04-06 (주)엔씨코리아 전류센서 일체형 무정전 교체 단자대
KR102356039B1 (ko) * 2021-08-09 2022-02-09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비접촉식 통전표시 단자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4038B2 (en) Ungrounded inverter enclosure and cabling
KR101673961B1 (ko)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
US20140216530A1 (en) Photovoltaic mounting system with grounding bars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CN103477517B (zh) 断路器面板
US9595815B2 (en) Terminal block for interconnection of DPGS power and communications via meter collar
CN101553959A (zh) 电源板条系统
US9466961B2 (en) Generator connection box for photovoltaic installations
US7791863B2 (en) Switchgear cabinet assembly or rack assembly
US20100193008A1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For Photovoltaic Solar Installations
KR101651069B1 (ko) 태양광 발전용 접속반
EP2482403A1 (en) Junction box for solar cell component and solar cell component
US20150103496A1 (en) Power conversion and connection for photovoltaic (pv) panel arrays
US20160149536A1 (en) Solar Power Panels, Arrays and Connection Systems
US9343600B2 (en) Integrated microinverter housing for a PV AC module
WO2017046116A1 (en) Modular measurement system for photovoltaic systems
KR101652710B1 (ko) 접속반의 전력 모니터링 시스템
US8779623B2 (en) Cable bus
KR101603893B1 (ko) Pv 모듈을 감지하는 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접속반
EP2693576B1 (en) Electric power base and electric power gateway
CN209675223U (zh) 一种模块化热插拔集成开关盒
CN209949599U (zh) 分布式储能系统电控箱
CN220475118U (zh) 逆变器和光伏系统
CN214895470U (zh) 一种物联网电表综合电缆分支箱
CN215934621U (zh) 一种防爆电机测温元件接线装置
CN219123699U (zh) 一种用于低压计量箱的电气主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