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648B1 - 토크 센서 - Google Patents

토크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648B1
KR102355648B1 KR1020170093349A KR20170093349A KR102355648B1 KR 102355648 B1 KR102355648 B1 KR 102355648B1 KR 1020170093349 A KR1020170093349 A KR 1020170093349A KR 20170093349 A KR20170093349 A KR 20170093349A KR 102355648 B1 KR102355648 B1 KR 102355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posed
collector
extension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0994A (ko
Inventor
이수형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3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648B1/ko
Priority to EP18839179.1A priority patent/EP3660479A4/en
Priority to CN201880049515.7A priority patent/CN110998270B/zh
Priority to PCT/KR2018/000538 priority patent/WO2019022325A1/ko
Priority to US16/630,788 priority patent/US11958555B2/en
Priority to JP2020502138A priority patent/JP7026201B2/ja
Publication of KR20190010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1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is other than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01L3/1407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is other than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springs
    • G01L3/1428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is other than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springs using electrical transducers
    • G01L3/1435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is other than a torsionally-flexible shaft involving springs using electrical transducers involv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배치되는 홀센서 및 상기 홀센서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콜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콜렉터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하우징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하우징과 직접 접촉하는 토크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토크 센서{Torque sensor}
실시예는 토크 센서에 관한 것이다.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Electronic Power System 이하, EPS라 한다.)은 운행조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에서 모터를 구동하여 선회 안정성을 보장하고 신속한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EPS는 적절한 토크를 제공하기 위하여, 조향축의 토크를 측정하는 토크 센서를 포함한다. 조향축은 핸들에 연결되는 입력축과 바퀴측의 동력전달구성과 연결되는 출력축과, 입력축과 출력축을 연결하는 토션바를 포함할 수 있다.
토크 센서는 토션바의 비틀림 정도를 측정하여 조향축에 걸리는 토크를 측정한다. 이러한 토크 센서는 로터와, 스테이터와, 콜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콜렉터는 스테이터의 자화량을 측정한다.
콜렉터는 박판 형태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콜렉터는 하우징에 고정된다. 콜렉터는 열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 등과 같은 작업으로 하우징에 고정된다. 이때, 콜렉터가 하우징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콜렉터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콜렉터에 변형이 발생하면, 콜렉터의 자화량 측정 성능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센서에 대응한 콜렉터의 장착 위치는 콜렉터의 측정 성능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콜렉터는 장착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되어야 하며, 배치 후, 움직이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열융착이나 초음파 융착 등과 같은 고정 방식으로, 콜렉터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경우, 정확한 위치에 콜렉터를 장착하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이러한 고정 방식은 공정 관리가 어렵고, 융착부에 불량이 발생하여 콜렉터가 움직이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에,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콜렉터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콜렉터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콜렉터를 정확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토크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배치되는 홀센서 및 상기 홀센서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콜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콜렉터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하우징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하우징과 직접 접촉하는 토크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콜렉터의 연장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고정부에 둘러싸여 접촉하며,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콜렉터는 상기 홀센서와 마주보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콜렉터의 연장부의 일부는 상기 절곡부와 가장 멀리 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콜렉터는 상기 홀센서와 마주보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곡면부의 중심과 상기 로터의 회전 중심을 지나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절곡부 보다 상기 스테이터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절곡부 보다 상기 기준선에서 더 멀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은 제1 면과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보다 낮게 배치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콜렉터가 배치되는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면에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콜렉터의 두께는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고정부의 상단까지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지지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제1 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홈부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콜렉터는 상기 홀센서와 마주보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다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 에지에서 꺽여 배치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다리부에서 외측으로 꺽여 배치되고, 상가 다리부 및 상기 절곡부는 상기 지지블록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장부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꺽여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콜렉터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콜렉터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콜렉터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콜렉터와 하우징의 고정력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콜렉터의 측정 성능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콜렉터와 하우징의 조립 공정을 간소화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콜렉터를 도시한 도면,
도 3 도 2에서 도시한 콜렉터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하우징의 홈부를 기준으로 콜렉터와 하우징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하우징의 고정부와 결합하는 콜렉터의 연장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하우징과 이격 배치되는 콜렉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는, 하우징(100)과, 로터(200)와, 스테이터(300)와, 회로기판(400)과, 홀센서(Hall IC)(500)와, 콜렉터(6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상호 결합하는 상부 파트와 하부 파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은 중심에 홀(110)이 배치된다. 홀(110)의 내측에 스테이터(300)가 위치한다. 하우징(100) 내부에는 회로기판(400)과 콜렉터(600)가 배치될 수 있다.
로터(200)는 스테이터(300)의 내측에 배치된다. 로터(100)는 조향축의 입력축과 연결된다, 여기서, 입력축이란, 차향의 핸들과 연결된 조향축일 수 있다. 로터(200)는 원통형의 요크(210)와 요크(210)에 배치되는 마그넷(220)을 포함할 수 있다. 요크(210)의 내측으로 입력축이 삽입된다. 그리고 요크(210)의 외측으로 마그넷(220)이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넷(220)에 요크(210)의 외주면에 접착 고정되거나 압입 고정될 수 있다.
스테이터(300)는 로터(2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스테이터(300)는 환형의 스테이터 투스(310)과, 몰드부재(320)와, 홀더(3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 투스(210)은 마주보는 형태로 한 쌍이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스테이터 투스(310)는 몰드부재(32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홀더(330)는 몰드부재(320)에 결합된다. 홀더(330)는 조향축의 출력축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축이란, 바퀴측의 동력전달구성과 연결되는 조향축일 수 있다. 따라서, 스테이터(300)는 출력축과 연결되어 출력축과 함께 회전한다.
회로기판(400)은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다. 회로기판(400)에는 커넥터가 배치될 수 있으며 커넥터는 전자 제어 장치(ECU)와 연결된다.
홀센서(500)는 회로기판(400)에 실장된다. 홀센서(500)는 로터(200)의 마그넷(220)과 스테이터(300)의 전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스테이터(300)의 자화량을 검출한다.
콜렉터(600)는 스테이터(300)의 플럭스(flux)을 수집한다. 콜렉터(600)는 상부 콜렉터(600A)와. 하부 콜렉터(60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콜렉터(600A)와. 하부 콜렉터(600B)는 로터(200)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홀센서(600)는 로터(200)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콜렉터(600A)와. 하부 콜렉터(600B) 사이에 배치된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콜렉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콜렉터(600)는 몸체부(610)와, 연장부(620)와, 절곡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610)는 스테이터(300)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스테이터(300)의 플럭스(flux)을 수집하기 위한 부재이다. 그리고 연장부(620)는 콜렉터(600)를 하우징(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몸체부(610)는 하우징(100)과 이격 배치되고, 연장부(620)는 하우징(100)과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몸체부(610)가 하우징(100)에서 이격된 상태로 연장부(620)와 하우징(100)이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화 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콜렉터(60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상부재이며, 금속으로 이루어진 부재일 수 있다. 몸체부(610)와 연장부(620)와 절곡부(630)는 그 형상 및 기능적 특성에 따라 구분되어 설명될 수 있을 뿐, 서로 연결된 하나의 수단일 수 있다.
몸체부(610)의 내측 에지는 곡면부(6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측”이라 함은 콜렉터(600)가 배치되었을 때, 스테이터(300)를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이하, “외측”이라 함은 스테이터(300)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나타낸다. 곡면부(611)는 콜렉터(600)가 하우징(100)에 고정되었을 때 스테이터(30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몸체부(610)의 외측 에지에서 다리부(612)가 연장된다. 다리부(612)는 몸체부(610)의 외측 에지에서 로터(200)의 축 방향으로 꺽여 일정한 높이를 갖는다. 다리부(612)는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절곡부(630)는 다리부(612)와 연결된다. 절곡부(630)는 다리부(612)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꺽여 배치될 수 있다. 절곡부(630)는 홀센서(500)와 마주보며 배치된다. 절곡부(630)에서 몸체부(610)의 외측 에지를 향할수록, 다리부(612)의 폭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 도 2에서 도시한 콜렉터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몸체부(610)의 곡면부(611)는, 콜렉터(600)가 하우징(100)에 고정되었을 때 그 곡률중심이 로터(도 1의 200)의 회전 중심(C)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곡면부(611)의 중심(P)과 회전 중심(C)을 지나는 기준선(L)을 기준할 때, 콜렉터(600)의 전체적인 형상은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620)는 몸체부(610)의 영역 중 절곡부(630)와 가장 멀리 떨어진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620)는 절곡부(630)의 플럭스(flux)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절곡부(630)는 기준선(L)에 가깝게 배치되며, 몸체부(610)의 외측에 배치된다. 반면에, 연장부(620)는 기준선(L)에서 최대한 멀리 배치되며, 몸체부(610)의 내측에 배치된다. 즉, 연장부(620)는 내측으로 절곡부(630)와 최대한 떨어져 배치되며, 동시에 기준선(L)을 기준으로 최대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부(620)는 몸체부(610)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620)는 곡면부(611)의 양 단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연장부(620)는 기준선(L)을 기준할 때, 대칭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연장부(620)는 관통홀(621)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620)가 하우징(100)에 인서트 사출되는 과정에서, 사출물이 관통홀(620)을 지나면서, 연장부(620)와 하우징(100)의 결합력을 높인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하우징(100)은 상부 파트(도 1의 100A)와 하부 파트(도 1의 100B)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홈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바닥면은 제1 면(130)과 제2 면(140)을 포함할 수 있다. 홈부(120)는 제2 면(140)에 배치된다. 홈부(120)는 콜렉터(600)가 수용되는 곳이다. 홈부(120)의 평면 형상은 콜렉터(600)의 평면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은 고정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50)는 콜렉터(600)의 연장부(620)를 고정한다. 고정부(150)는 제2 면(140)에서 돌출된 하우징(100)의 일부일 수 있다. 고정부(150)는 하우징(100)의 홀(110)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50)는 홈부(12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하우징의 홈부를 기준으로 콜렉터와 하우징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홀(110)에 인접하여 홈부(120)가 배치된다. 홈부(120)가 위치한 제2 면(140)은 제1 면(130)보다 낮게 배치된다. 제1 면(130)과 제2 면(140)의 경계에는 지지블록(160)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블록(160)은 콜렉터(600)의 다리부(612)와 절곡부(630)를 구조적으로 지지하여 일정 변위 이상으로 콜렉터(600)가 변형되거나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블록(160)은 제1 면(130)에서 돌출되어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배치된다. 제1 면(130)에서 지지블록(160)의 상단까지의 높이(h1)는 제1 면(130)에서 절곡부(630)의 높이(h2)보다 작아야 한다.
몸체부(610)와 하우징(100)의 제2 면(140)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된다. 즉, 몸체부(610)의 표면이 하우징(100)에 닿지 않는다. 따라서, 몸체부(610)의 표면이 하우징(100)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변형되거나 손상되어 플럭스(flux)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리부(612)와 절곡부(630) 또한 지지블록(16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하우징의 고정부와 결합하는 콜렉터의 연장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콜렉터(600)의 연장부(620)는 하우징(100)의 고정부(150)에 고정된다. 고정부(150)는 하우징(100)의 제2 면(140)에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150)는 연장부(62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몸체부(610)의 양측에 배치된 연장부(620)는 몸체부(610)가 제2 면(140)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각각 고정부(150)에 인서트 사출된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제2 면(140)에서 고정부(150)의 상단까지의 높이(h3)는 콜렉터(600)의 두께(t)보다 작다.
한편, 연장부(620)는 걸림부(62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620)는 연장부(620)의 단부가 꺽인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걸림부(620)는 고정부(150)에서 콜렉터(600)가 빠지지 않도록 연장부(620)를 고정부(150)의 내부에서 구속한다.
이러한 콜렉터(600)의 구성은 상부 콜렉터(도 1의 600A)와 하부 콜렉터(도 1의 600B)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하우징과 이격 배치되는 콜렉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콜렉터(600)는 고정부(150)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 7의 A와 같이, 하우징(100)과 갭을 유지한 채 떨어져 배치된다. 따라서, 하우징(100)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콜렉터(600)의 표면이 손상되거나 변형되어 플럭스(flux)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토크 센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하우징
110: 홀
120: 홈부
130: 제1 면
140: 제2 면
150: 고정부
160: 지지블록
200:로터
300: 스테이터
400: 회로기판
500: 홀센서
600: 콜렉터
610: 몸체부
620: 연장부
630: 절곡부

Claims (1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배치되는 홀센서;및
    상기 홀센서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콜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콜렉터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곡면부의 양 단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하우징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콜렉터의 연장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고정부에 둘러싸여 접촉하며, 관통홀을 포함하는 토크 센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렉터는 상기 홀센서와 마주보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콜렉터의 연장부의 일부는 상기 절곡부와 가장 멀리 떨어진 토크 센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렉터는 상기 홀센서와 마주보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곡면부의 중심과 상기 로터의 회전 중심을 지나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절곡부 보다 상기 스테이터에 더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절곡부 보다 상기 기준선에서 더 멀게 배치되는 토크 센서.
  5.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배치되는 홀센서; 및
    상기 홀센서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콜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콜렉터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곡면부의 양 단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하우징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콜렉터의 연장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고정부에 둘러싸여 접촉하며,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바닥면은 제1 면과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보다 낮게 배치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콜렉터가 배치되는 홈부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면에서 돌출되어 배치되는 토크 센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렉터의 두께는 상기 제2 면에서 상기 고정부의 상단까지의 높이보다 작은 토크 센서.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지지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제1 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홈부의 둘레에 배치되는 토크 센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콜렉터는 상기 홀센서와 마주보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다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 에지에서 꺽여 배치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다리부에서 외측으로 꺽여 배치되고,
    상가 다리부 및 상기 절곡부는 상기 지지블록과 이격 배치되는 토크 센서.
  10.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에 배치되는 홀센서;및
    상기 홀센서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콜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콜렉터는
    곡면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및
    상기 곡면부의 양 단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하우징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연장부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꺽여 배치되는 토크 센서.
KR1020170093349A 2017-07-24 2017-07-24 토크 센서 KR102355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349A KR102355648B1 (ko) 2017-07-24 2017-07-24 토크 센서
EP18839179.1A EP3660479A4 (en) 2017-07-24 2018-01-11 TORQUE SENSOR
CN201880049515.7A CN110998270B (zh) 2017-07-24 2018-01-11 扭矩传感器
PCT/KR2018/000538 WO2019022325A1 (ko) 2017-07-24 2018-01-11 토크 센서
US16/630,788 US11958555B2 (en) 2017-07-24 2018-01-11 Torque sensor
JP2020502138A JP7026201B2 (ja) 2017-07-24 2018-01-11 トルクセン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349A KR102355648B1 (ko) 2017-07-24 2017-07-24 토크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994A KR20190010994A (ko) 2019-02-01
KR102355648B1 true KR102355648B1 (ko) 2022-01-26

Family

ID=6536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349A KR102355648B1 (ko) 2017-07-24 2017-07-24 토크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6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473A (ko) * 2019-05-22 2020-12-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센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875B1 (ko) * 2010-12-06 2012-11-2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조향장치용 비접촉식 토크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994A (ko) 2019-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80143B2 (ja) ステーターアセンブリー及びトルク測定装置
US11958555B2 (en) Torque sensor
US7987734B2 (en) Torque sensor
US9459165B2 (en) Sensor unit, torque detector, and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JP5030793B2 (ja) 回転電機
US10088377B2 (en) Torque sensor device
KR20110109100A (ko) 토크 측정장치
CN110121458B (zh) 扭矩传感器及包括其的转向装置
CN110546859B (zh) 感测设备
US11448523B2 (en) Sensor device having a rotor that includes a sleeve and a magnet
KR102355648B1 (ko) 토크 센서
US11385077B2 (en) Sensing device
KR20150034984A (ko) 스테이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토크 센서
US11333565B2 (en) Sensing device that allows a coupling force to be increased
KR102547572B1 (ko) 회전 센싱 장치
US20210057967A1 (en) Motor
KR102574635B1 (ko) 센서 장치
KR102468467B1 (ko) 센싱장치
JP2019160739A (ja) 車両搭載機器のコネクタ構造
JP2019190564A (ja) ウォームホイール、ウォームホイールの製造方法及びモータ装置
KR20180076682A (ko) 토크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
KR20180087683A (ko) 토크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조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