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738B1 - 그라우팅용 천공 케이싱 - Google Patents

그라우팅용 천공 케이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738B1
KR102353738B1 KR1020200136979A KR20200136979A KR102353738B1 KR 102353738 B1 KR102353738 B1 KR 102353738B1 KR 1020200136979 A KR1020200136979 A KR 1020200136979A KR 20200136979 A KR20200136979 A KR 20200136979A KR 102353738 B1 KR102353738 B1 KR 102353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t
perforated
intermittent
casing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6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경회
Original Assignee
차경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경회 filed Critical 차경회
Priority to KR1020200136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02D2250/0076Dr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공 케이싱의 단부에 결합되어 지반을 천공하는 천공비트를 통해 그라우트를 토출하고 인접 천공 케이싱에서 토출된 그라우트 및 토사의 유입을 차단하여 천공 케이싱 내부의 막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그라우팅용 천공 케이싱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지반을 천공하여 그라우트를 토출하는 그라우팅용 천공 케이싱에 있어서, 상기 그라우트가 주입되는 상기 천공 케이싱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지반으로 그라우트를 토출하는 토출구와 지반을 천공하는 팁을 갖는 천공비트; 상기 천공비트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천공 케이싱으로 주입된 그라우트의 토출 및 인접 천공 케이싱에서 토출되는 그라우트 또는 토사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단속하는 단속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라우트의 토출을 가능하게 하면서 인접 천공 케이싱에서 토출되는 그라우트 또는 토사의 유입을 차단하므로, 천공 케이싱의 재설치에 의한 공사기간의 지연과 인건비 상승 및 자재비의 증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그라우팅용 천공 케이싱{CASING PIPE FOR GROUTING}
본 발명은 그라우팅용 천공 케이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공 케이싱의 단부에 결합되어 지반을 천공하는 천공비트를 통해 그라우트를 토출하고 인접 천공 케이싱에서 토출된 그라우트 및 토사의 유입을 차단하여 천공 케이싱 내부의 막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에 따라 천공 케이싱의 재설치에 의한 공사기간의 지연과 인건비 상승 및 자재비의 증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그라우팅용 천공 케이싱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케미칼 그라우팅(grouting)은 지반의 고결화, 지반의 지지력 증가, 투수성 감소, 지반과 구조물의 일체화 등을 목적으로 기초지반이나 구조물 주변에 구조물 자체 내부로 각종 시멘트, 모르타르, 약제 등의 그라우트(grout)를 주입하는 공법이다.
그라우팅에서 지반 천공 시 측벽이 무너져 내리지 않도록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지반 강도를 증가시키는데,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기술로서 초고압분사 충전공법(SIG 공법), 고압충전공법(SRC 공법), 초고압분사 교반공법(RJP 공법), 고압분사 교반공법(JSP 공법), SGR 공법, CGS 공법, CGM 공법, JCM 공법, 케미칼 그라우팅, 저압주입공업 등이 이용되고 있다.
먼저, SIG 공법은 초고압(P=400∼600㎏/㎠)의 제트류를 분사하면서 회전시켜 연약토를 배출시키고, 배출된 공간에 직경(Φ=1200∼2000㎜) 정도의 대구경 원주형 고결체를 조성하는 공법으로, 주로 토사층, 사력층, 자갈층, 연암층 및 N<10인 점성토층에 사용된다.
그리고 SRC 공법은 천공시 압축공기를 동반한 초고압수(0∼800㎏/㎠)를 이용하여 지반을 절삭, 이완시키며, 이때 배출되는 절삭 이토를 고화재와 섞어 주입재로 재사용된다.
이어서, RJP 공법은 초고압(P=400∼600㎏/㎠)의 제트류를 분사하면서 회전시켜 지중에 원지반의 연약토와 교반시켜 직경(Φ=1200∼2000㎜) 정도의 대구경 원주형 고결체를 조성하는 공법으로, 주로 토사층, 사력층, N<10인 점성토층에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JSP 공법은 고압(P=200㎏/㎠)의 제트류를 분사하면서 회전시켜 지중에 직경(Φ=800∼1000㎜) 정도의 원주형 고결체를 조성하는 공법으로, 주로 토사층, 사력층, N<10인 점성토층에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반으로 그라우트를 주입하는 공법은 비트의 회전으로 지반을 천공하며 설치된 천공 케이싱을 통해 그라우트를 주입한다.
도 9는 종래의 그라우팅용 천공 케이싱의 설치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예시도로서, 시추 깊이에 따라 여러 개의 천공 케이싱이 나사결합으로 연결된 복수의 천공 케이싱 유닛(PU)은 지반에 40~100㎝ 간격으로 설치된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종래의 천공 케이싱의 토출구를 통해 지반에 고압으로 토출되는 그라우트 또는 그라우트의 압력에 의해 밀린 지반 내의 토사가, 인접된 천공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어 토출구를 막으므로, 새로운 천공 케이싱을 다시 설치해야 하고 이에 따라 공사기간의 지연과 인건비 상승 및 자재비의 증대로 이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2434호(등록일자 2015년07월31일)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8086호(등록일자 2018년06월08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공 케이싱에서 토출된 그라우트 또는 토사가 인접된 천공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함에 따라 천공 케이싱의 재설치에 의한 공사기간의 지연과 인건비 상승 및 자재비 증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그라우팅용 천공 케이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반을 천공하여 그라우트를 토출하는 그라우팅용 천공 케이싱에 있어서, 상기 그라우트가 주입되는 상기 천공 케이싱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지반으로 그라우트를 토출하는 토출구와 지반을 천공하는 팁을 갖는 천공비트; 상기 천공비트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상기 천공 케이싱으로 주입된 그라우트의 토출 및 인접 천공 케이싱에서 토출되는 그라우트 또는 토사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단속하는 단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상기 단속부재는, 상기 천공비트의 토출구에 직교되게 고정된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그라우트의 토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그라우트의 토출 및 유입을 차단하도록 단속하는 단속플레이트, 상기 단속플레이트가 상기 그라우트를 토출한 토출구를 차단하도록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복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속플레이트는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측 단속플레이트 및 우측 단속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측 단속플레이트 및 우측 단속플레이트는 반원형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부싱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측 단속플레이트 및 우측 단속플레이트의 외경은 상기 천공비트의 내경에 형성된 플레이트 시트에 밀착되도록 토출구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측 단속플레이트 및 우측 단속플레이트의 길이는 상기 고정축의 상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토출구의 반지름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속부재는, 상기 천공비트의 토출구에 설치되어 그라우트의 토출 방향으로 내경이 커지도록 테이퍼 형성된 밸브시트 및 상기 밸브시트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홀을 갖는 시트링, 상기 시트링의 힌지홀에 탄성적으로 휘어지도록 구비된 힌지를 통해 상기 밸브시트에 결합되어 그라우트의 토출 및 유입 차단을 탄성적으로 단속하는 단속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속밸브는 발포된 플라스틱을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시트링의 밸브시트와 힌지홀로 주입한 후 고착되는 과정을 통해 성형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그라우트의 토출을 가능하게 하면서 인접 천공 케이싱에서 토출되는 그라우트 또는 토사의 유입을 차단하므로, 천공 케이싱의 재설치에 의한 공사기간의 지연과 인건비 상승 및 자재비의 증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합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분리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분리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도 3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결합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단부재의 분리 상태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그라우팅용 천공 케이싱은, 그라우트(G)가 주입되는 천공 케이싱(100)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지반으로 그라우트(G)를 토출하는 토출구(111)와 지반을 천공하는 팁(113)을 갖는 천공비트(110), 천공비트(110)의 토출구(111)에 설치되어 천공 케이싱(100)으로 주입된 그라우트(G)의 토출 및 인접 천공 케이싱(100)에서 토출되는 그라우트(G) 또는 토사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단속하는 단속부재(120)를 포함한다.
천공 케이싱(100)은 지반을 천공할 때에 천공한 측벽이 무너져 내리지 않도록 지반에 설치되는 관으로서, 천공 케이싱(100)의 내부에는 펌프를 통해 그라우트(G)가 주입되어 지반으로 배출한다.
이러한 천공 케이싱(100)은 상단부 외경에는 수나사(101)가 구비되고 하단부 내경에는 암나사(102)가 구비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천공 케이싱(100)이 나사결합으로 연결된 천공 케이싱 유닛(PU)을 이루게 된다.
천공 케이싱 유닛(PU)은 40~100㎝ 간격으로 지반에 설치되고, 마지막 천공 케이싱(100)의 하단부에 구비된 암나사(102)에는 천공비트(110)가 나사결합으로 연결된다.
천공비트(110)는 그라우트(G)를 토출하는 토출구(111)를 갖도록 내부가 빈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천공 케이싱(100)의 단부에 나사결합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천공비트(110)는 내부가 빈 원형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토출구(111)가 형성되고, 상단부 외경에는 수나사(112)가 구비되어 천공 케이싱(100)의 암나사(102)에 나사결합되며, 하단부에는 둘레를 따라 팁(113)이 구비되어 지반을 뚫으면서 천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천공비트(110)의 내경 중앙에는 플레이트 시트(plate seat, 114)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단속부재(120)의 단속플레이트(122)가 밀착된다.
선택적으로, 플레이트 시트(114)는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비트(110)의 내경을 따라 형성된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후술하는 단속부재(120)의 단속플레이트(122)는 그 외경이 홈 형상의 플레이트 시트(114)에 밀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단속부재(120)는 천공비트(110)의 토출구(111)에 설치되어 천공 케이싱(100)으로 주입된 그라우트(G)의 토출과 인접 천공 케이싱(100)에서 토출되는 그라우트(G)(또는 토사)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단속하는 기능을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단속부재(120)는, 천공비트(110)의 토출구(111)에 직교되게 고정된 고정축(121), 고정축(121)에 그라우트(G)의 토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라우트(G)의 토출 및 유입을 차단하도록 단속하는 단속플레이트(122), 단속플레이트(122)가 그라우트(G)를 토출한 토출구(111)를 차단하도록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복원부재를 포함한다.
고정축(1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우트(G)를 토출하는 토출구(111)의 축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직교 방향으로 천공비트(110)에 고정된다.
단속플레이트(1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1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측 및 우측 단속플레이트(123)(124)로 이루어진다. 좌측 및 우측 단속플레이트(123)(124)는 반원형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의 직선형 단부에는 부싱(123a)(124a)이 각각 구비되어 고정축(1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좌측 및 우측 단속플레이트(123)(124)의 외경은 플레이트 시트(114)에 밀착되도록 천공비트(110)의 토출구(111) 내경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측 및 우측 단속플레이트(123)(124)의 길이(ℓ)는 고정축(121)의 중심에서 상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토출구(111) 내경의 반지름 길이(r)보다 길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원부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125)으로 구현된다. 토션스프링(125)의 일단부는 좌측 및 우측 단속플레이트(123)(124) 각각 연결되고 타단부는 천공비트(110)의 토출구(111)에 연결된다.
이러한 단속부재(120)는 상시에 토션스프링(125)의 탄성으로 좌측 및 우측 단속플레이트(123)(124)가 플레이트 시트(114)에 밀착되어 토출구(111)를 차단하고, 천공 케이싱(100)을 통해 그라우트(G)가 주입될 때에 좌측 및 우측 단속플레이트(123)(124)가 고정축(12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토출구(111)를 통해 그라우트(G)를 토출시키게 된다.
아울러, 단속부재(120)는 인접 천공 케이싱(100)에서 토출되는 그라우트(G) 또는 토사가 천공비트(110)의 토출구(111)로 유입될 때에, 좌측 및 우측 단속플레이트(123)(124)의 외경이 플레이트 시트(114)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축(121)의 상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않아서 토출구(111)를 차단하므로, 그라우트(G) 또는 토사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 케이싱 유닛(PU)의 가장 마지막에 연결되는 천공 케이싱의 단부에 나사결합으로 연결된다.
먼저, 상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125)의 탄성에 의해 좌측 및 우측 단속플레이트(123)(124)가 플레이트 시트(114)에 밀착되어 천공비트(110) 토출구(111)를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그라우팅을 위해 펌프가 작동되어 천공 케이싱으로 그라우트(G)가 주입될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우트(G)의 자중에 의해 좌측 및 우측 단속플레이트(123)(124)가 고정축(12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토출구(111)를 통해 그라우트(G)를 지반으로 토출하게 된다.
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된 어느 한 천공 케이싱(100)에서 그라우트(G)가 토출되어 천공비트(110)의 토출구(111)로 유입되거나 그라우트(G)의 토출 압력에 의해 지반 내의 토사가 천공비트(110)의 토출구(111)로 유입될 때에는, 좌측 및 우측 단속플레이트(123)(124)의 외경이 플레이트 시트(114)에 밀착되어 고정축(121)의 상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않으므로 토출구(111)를 차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그라우트(G)의 토출을 가능하게 하면서 인접 천공 케이싱(100)에서 토출되는 그라우트(G) 또는 토사의 유입을 차단하므로, 천공 케이싱(100)의 재설치에 의한 공사기간의 지연과 인건비 상승 및 자재비의 증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속부재(120)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단속부재(120)의 결합 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단부재의 분리 상태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작동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단속부재(120)는 천공비트(110)의 토출구(111)에 설치되어 천공 케이싱(100)으로 주입된 그라우트(G)의 토출과 인접 천공 케이싱(100)에서 토출되는 그라우트(G)(또는 토사)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단속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단속부재(120)는, 천공비트(110)의 토출구(111)에 설치되어 그라우트(G)의 토출 방향으로 내경이 커지도록 테이퍼 형성된 밸브시트(126a) 및 이 밸브시트(126a)의 양측에 형성된 힌지홀(126b)을 갖는 시트링(126), 시트링(126)의 힌지홀(126b)에 탄성적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 힌지(127b)를 통해 밸브시트(126a)에 결합되어 그라우트(G)의 토출 및 유입 차단을 탄성적으로 단속하는 단속밸브(127)를 포함한다.
시트링(126)은 금속 재질에 의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경에는 테이퍼 형상의 밸브시트(126a)가 구비되고, 밸브시트(126a)의 양측에는 토출구(111)의 직교 방향으로 힌지홀(126b)이 형성된다.
이러한 시트링(126)은 천공비트(110)의 토출구(111) 내경에 압입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시트링(126)은 천공비트(110)의 토출구(111) 내경에 형성된 걸림턱(115)에 걸리도록 끼움결합될 수 있다.
단속밸브(127)는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에 의해 밸브시트(126a)에 밀착되도록 외면에 테이퍼진 밀착면(127a)이 구비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시트링(126)의 밸브시트(126a)에 결합되는데, 이때 단속밸브(127)의 밀착면(127a) 양측에는 힌지(127b)가 구비되어 밸브시트(126a)의 힌지홀(126b)에 결합된다.
이러한 단속밸브(127)는 발포된 플라스틱을 시트링(126)의 밸브시트(126a)와 힌지홀(126b)로 주입한 후 고착되는 과정으로 통해 성형된다. 힌지(127b)는 단속밸브(127)를 탄성적으로 회전시키는 기능과 단속밸브(127)를 밸브시트(126a)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겸한다.
이러한 단속부재(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시에 단속밸브(127)가 밸브시트(126a)를 차단한다.
그리고 단속부재(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 케이싱(100)을 통해 그라우트(G)가 주입될 때에, 단속밸브(127)의 가장자리가 힌지(127b)를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밸브시트(126a)를 개방하여 그 사이로 그라우트(G)가 토출된다.
이때, 단속밸브(127)는 발포 플라스틱이 갖는 탄성계수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탄성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단속밸브(127)는 그 가장자리 전부 또는 일부가 그라우트(G)의 자중에 의해 탄성적으로 하향 만곡되면서 밸브시트(126a)를 개방할 수 있다.
반면, 단속부재(120)는 인접 천공 케이싱(100)에서 토출되는 그라우트(G)가 천공비트(110)의 토출구(111)로 유입되거나 그라우트(G)의 토출 압력에 의해 지반 내의 토사가 천공비트(110)의 토출구(111)로 유입될 때에, 단속밸브(127)의 밀착면(127a)이 밸브시트(126a)에 밀착되어 토출구(111)를 차단하므로, 그라우트(G) 또는 토사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천공 케이싱 110 : 천공비트
111 : 토출구 113 : 팁
114 : 플레이트 시트 120 : 단속부재
121 : 고정축 122 : 단속플레이트
123 : 좌측 단속플레이트 124 : 우측 단속플레이트
125 : 토션스프링 126 : 시트링
126a : 밸브시트 126b : 힌지홀
127 : 단속밸브 127a : 밀착면
127b : 힌지 PU : 천공 케이싱 유닛

Claims (7)

  1. 지반을 천공하여 그라우트를 토출하는 그라우팅용 천공 케이싱을 형성하되, 상기 그라우트가 주입되는 천공 케이싱의 단부에는 지반으로 그라우트를 토출하는 토출구와 지반을 천공하는 팁을 갖는 천공비트가 나사 결합되어 부착되고, 상기 천공비트의 토출구에는 천공 케이싱으로 주입된 그라우트의 토출 및 인접 천공 케이싱에서 토출되는 그라우트 또는 토사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단속하기 위한 단속부재가 부착되며, 상기 단속부재는 천공비트의 토출구에 직교되게 고정된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그라우트의 토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그라우트의 토출 및 유입을 차단하도록 단속하는 단속플레이트, 상기 단속플레이트가 상기 그라우트를 토출한 토출구를 차단하도록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복원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단속플레이트는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측 단속플레이트 및 우측 단속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좌측 단속플레이트 및 우측 단속플레이트는 반원형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부싱이 각각 구비되어 이루어진 그라우팅용 천공 케이싱에 있어서,
    상기 좌측 단속플레이트 및 우측 단속플레이트의 외경은 상기 천공비트의 내경에 형성된 플레이트 시트에 밀착되도록 토출구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팅용 천공 케이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측 단속플레이트 및 우측 단속플레이트의 길이는 상기 고정축의 상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토출구의 반지름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우팅용 천공 케이싱.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136979A 2020-10-21 2020-10-21 그라우팅용 천공 케이싱 KR102353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979A KR102353738B1 (ko) 2020-10-21 2020-10-21 그라우팅용 천공 케이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6979A KR102353738B1 (ko) 2020-10-21 2020-10-21 그라우팅용 천공 케이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738B1 true KR102353738B1 (ko) 2022-01-20

Family

ID=80053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6979A KR102353738B1 (ko) 2020-10-21 2020-10-21 그라우팅용 천공 케이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7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967A (ko) * 2002-10-17 2004-04-29 (주)진양비지엠텍 그라우팅 장치
KR101542434B1 (ko) 2014-12-19 2015-08-07 (주)태화개발 연속 주입식 그라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입식 그라우팅 공법
KR20160019572A (ko) * 2014-08-11 2016-02-22 주식회사 화랑기초 강관 다단 그라우팅 공법에 적용되는 강관용 체크밸브
KR101868086B1 (ko) 2014-02-18 2018-06-15 김순길 천공 및 그라우팅 로드장치
KR102032787B1 (ko) * 2019-01-25 2019-10-17 주식회사 에이스지오 지반조사용 관입 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967A (ko) * 2002-10-17 2004-04-29 (주)진양비지엠텍 그라우팅 장치
KR101868086B1 (ko) 2014-02-18 2018-06-15 김순길 천공 및 그라우팅 로드장치
KR20160019572A (ko) * 2014-08-11 2016-02-22 주식회사 화랑기초 강관 다단 그라우팅 공법에 적용되는 강관용 체크밸브
KR101542434B1 (ko) 2014-12-19 2015-08-07 (주)태화개발 연속 주입식 그라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속 주입식 그라우팅 공법
KR102032787B1 (ko) * 2019-01-25 2019-10-17 주식회사 에이스지오 지반조사용 관입 시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2035B1 (en) Method for isolation of a permeable zone in a subterranean well
US7438131B2 (en) Expandable injector pipe
EA029636B1 (ru) Способ комбинированных очистки и закупоривания скважины и промы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мывки скважины
CN107096793A (zh) 一种用于原位修复土壤及地下水污染的高压注射钻杆装置
EA008754B1 (ru) Бур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04270444A (ja) 軟弱地盤改良装置
KR101868086B1 (ko) 천공 및 그라우팅 로드장치
KR20140137571A (ko) 그라우팅 확산형 말뚝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보강 방법
KR102353738B1 (ko) 그라우팅용 천공 케이싱
JP4988061B1 (ja) 地盤改良装置および地盤改良工法
CN206981419U (zh) 一种用于原位修复土壤及地下水污染的高压注射钻杆装置
KR100469525B1 (ko) 모르타르 고압분사를 통한 치환식 주상형 고결체 형성장치및 형성방법
JP4242251B2 (ja) 回転圧入用の開端鋼管杭及び開端鋼管杭の回転圧入方法
KR200235092Y1 (ko) 연역지반 개량장치
KR20190136534A (ko) 가이드비트가 구비된 교반장치와 이를 이용한 고강도 연속벽체 형성 및 심층혼합처리 공법
KR100295981B1 (ko) 슬롯에 의한 장공 그라우트 주입장치
JP2019108759A (ja) 排泥排出促進装置及び地盤改良工法
KR102283215B1 (ko)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한 지반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JP6985595B2 (ja) 逆止弁付き杭構築装置、及び、杭構築方法
JPH04302693A (ja) 掘削工法
KR20080112611A (ko) 직천공 이중강관 그라우팅 공법
KR200255662Y1 (ko) 직천공 그라우팅 장치
JP2000336641A (ja) 地盤改良剤注入工法及び地盤改良剤注入装置
KR102072790B1 (ko) 중압식 그라우트 혼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중압 혼합분사 그라우팅 공법
KR200351848Y1 (ko) 고압분사 그라우팅용 슬라임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