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843B1 - Connecting bracket to connect the climbing system for the lifting of the mould with a gang-form mould - Google Patents

Connecting bracket to connect the climbing system for the lifting of the mould with a gang-form moul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843B1
KR102352843B1 KR1020200050348A KR20200050348A KR102352843B1 KR 102352843 B1 KR102352843 B1 KR 102352843B1 KR 1020200050348 A KR1020200050348 A KR 1020200050348A KR 20200050348 A KR20200050348 A KR 20200050348A KR 102352843 B1 KR102352843 B1 KR 102352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support
hole
connecting bracket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3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31797A (en
Inventor
이정환
강정기
박경수
임정필
Original Assignee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목에스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0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843B1/en
Publication of KR20210131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17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8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2Sliding forms raised continuously or step-by-step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raising and which are not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Arrangements of lif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에 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한 갱폼에 사용되고, 외벽과 멀어지거나 근접하도록 갱폼 거푸집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지지대과, 상기 갱폼 거푸집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갱폼 거푸집과 수직지지대를 연결시키는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에 있어서,
일측에는, 갱폼 거푸집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웰라에 접촉되며, 제1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접촉부와,
타측에는, 수직지지대에 접촉되며 상기 제1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접촉부가 마련되며,
상기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상기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브라켓으로서,
상기 고정용 볼트가, 수직지지대와, 브라켓과, 웰라 및 갱폼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갱폼 거푸집을 상기 수직지지대에 고정시키고,
상기 브라켓은, 웰라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ng bracket for connecting a gang form formwork and a climbing system for lifting a form, used for a gang form for constructing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 vertical support for moving the gang form form away from or close to the outer wall, and In the connecting bracket for connecting the gang form formwork and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disposed between the gangform formwork and the vertical support,
On one side, the first contac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well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gang form form,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 second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support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is provided,
A bracket including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contact part and the second contact part betwee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The fixing bolt is installed through the vertical support, the bracket, the wella and the gang form to fix the gang form form to the vertical support,
The bracket is about a connecting bracket that connects the gang form form detachably installed in the Wella and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

Description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Connecting bracket to connect the climbing system for the lifting of the mould with a gang-form mould }Connecting bracket to connect the climbing system for the lifting of the mould with a gang-form mould }

본 발명은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의 운반과 이동이 간편하면서도 갱폼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ng bracket for connecting a gangform formwork and a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and more particularly, connecting the gangform formwork and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which can facilitate the gangform work while simplifying the transport and movement of the formwork It is about the connecting bracket that does.

갱폼이란 고층 아파트와 같이 평면상 상ㆍ하부가 동일한 단면 구조물에서 외부 벽체 거푸집과 발판용 케이지를 일체로 하여 제작한 대형 거푸집을 말한다. 여기서 케이지(cage)란 갱폼의 외부 벽체 거푸집 부분을 제외한 부분으로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작업, 후속 미장 및 견출작업 등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설치한 작업발판, 안전난간을 말한다. 케이지는 상부 케이지와 하부 케이지가 있다. 상부 케이지는 갱폼 케이지의 4단 작업발판 중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작업용으로 사용되는 상부에 있는 2단의 작업발판을 말하며, 하부 케이지는 미장, 견출 작업용으로 사용되는 하부에 있는 2단의 작업발판을 말한다.Gang form refers to a large formwork manufactured by integrating an external wall formwork and a scaffolding cage in a cross-sectional structure with the same upper and lower sections on the same plane, such as a high-rise apartment. Here, the cage refers to the part excluding the formwork of the outer wall of the gangform, and refers to a work platform and safety railing installed so that the formwork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work, and subsequent plastering and excavation work can be safely performed. The cage has an upper cage and a lower cage. The upper cage refers to the upper two-stage work platform used for formwork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work among the four-stage work platform of the gang form cage, and the lower cage is the lower two-stage work platform used for plastering and excavation work. say

종래에는 고층 건축일례로, 고층 건축 구조물의 시공시에는 지상층부터 최상층까지 구조물 외벽을 커버하도록 가설대를 설치하는 것이 여러가지 조건으로 인해 현실적으로 불리하므로, 일정높이의 가설대를 구조물의 수직구간 일부에 설치하여 작업을 진행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가설대를 외부의 대형크레인에 의해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여 구조물의 수직구간 전체에 대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Conventionally, as an example of high-rise construction, when constructing a high-rise building structure, it is realistically disadvantageous to install a temporary platform to cover the outer wall of the structure from the ground floor to the top floor due to various conditions. A method of performing work for the entire vertical section of the structure is applied by repeating a series of processes of raising the temporary platform step by step by means of an external large crane when the work is completed.

또한, 다른 예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식 구조물을 이용하여 가설대를 레일을 따라서 들어올리는 레일 가이드 방식이 있으며, 이는 국내공개특허 10-2010-0123737호에 나타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re is a rail guide method in which a temporary platform is lifted along a rail using a hydraulic structure, which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0-0123737.

도 1에서, (10)은 외부 거푸집(13)가 설치되는 작업 플랫폼(12)을 비계 유닛 상에 갖는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거푸집 시스템을 나타낸다. 상기 외부 거푸집(13)는 화살표(14)의 방향으로 작업 플랫폼(12)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마감 플랫폼(16) 또한 상기 비계 유닛 내로 통합되고, 작업 플랫폼(12)과 마찬가지로 상승 레일(18)에 부착된다.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거푸집 시스템(10)의 측면도만이 도시되며, 도시되는 상승 레일(18)에 평행하게 상승 레일(18)로부터 이격되어 이어지는 추가의 상승 레일(18)은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비계 유닛이 상승 레일(18)에 의하여 결합된다.In Fig. 1, reference numeral 10 denotes a rail-guided self-lifting formwork system having a working platform 12 on which an external formwork 13 is installed on a scaffolding unit. The outer formwork 13 is movable on the working platform 12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14 . A finishing platform 16 is also integrated into the scaffolding unit and is attached to the lifting rails 18 like the work platform 12 . Only a side view of the rail-guided self-lifting formwork system 10 is shown, with no additional rising rails 18 running parallel to and spaced from the rising rails 18 parallel to the illustrated rising rails 18 . In this way, the scaffolding units are joined by means of the lifting rails 18 .

또한, 도 2에서는 구체적인 갱폼의 상승모습을 나타내는데, 상기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거푸집 시스템을 이용한 상승 절차의 순서에 대한 매우 개략적인 도면이다. In addition, FIG. 2 shows a specific ascending state of the gangform, and is a very schematic view of the sequence of the ascending procedure using the self-elevating formwork system of the rail guide method.

도면 섹션 a)에서, 두 개의 콘크리트 섹션들(40, 42)이 도시된다. 제1 콘크리트 섹션(40)이 공지의 벽 거푸집를 이용하여 생산되었으며, 상기 제1 콘크리트 섹션(40)이 경화된 후, 상승 슈들(24, 26)이 상기 제1 콘크리트 섹션(40) 상에 장착된다. 그 다음, 상기 상승 레일(18)이 상승 슈들(24, 26) 내에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상승 슈들(24, 26)이 상승 레일(18), 및, 작업 플랫폼(12) 상에서 내부 거푸집(13')를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지지하는 이와 연결되는 비계 유닛을 지지한다. 이러한 내부 거푸집(13')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섹션(42)이 콘크리팅되며, 콘크리트 섹션(42)의 경화 후, 내부 거푸집(13')이 도시되는 위치로 이동하고 상승 슈(34, 36)가 장착된다. 제1 상승 레일 연장부(20)가 또한 상승 레일(18) 상에 장착되고 상승 레일(18)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상승 실린더(28)가 상승 슈(26) 상에 장착되며, 상기 실린더(28)가 안으로 이동하면 그의 캐치를 이용하여 제1 상승 레일 연장부(20)의 지지 핀과 맞물린다.In the figure section a), two concrete sections 40 , 42 are shown. A first concrete section 40 was produced using known wall formwork, and after the first concrete section 40 has hardened, lifting shoes 24 , 26 are mounted on the first concrete section 40 . . The lifting rail 18 is then inserted into the lifting shoes 24 , 26 . In the process, lifting shoes 24 , 26 support a lifting rail 18 and a scaffolding unit in connection therewith which supports the inner formwork 13 ′ on the work platform 12 in a movable manner. The concrete section 42 is concreted using this inner formwork 13', and after hardening of the concrete section 42, the inner formwork 13' is moved to the position shown and the lifting shoes 34, 36 are is mounted A first raised rail extension 20 is also mounted on and rigidly connected to the raised rail 18 . A lifting cylinder 28 is mounted on the lifting shoe 26 , and when the cylinder 28 moves in, it engages with the support pins of the first lifting rail extension 20 using its catch.

이제, 상승 절차가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거푸집 시스템을 이용하여 개시되고(도면 섹션 b)) 상승 실린더(28)가 밖으로 이동하면, 몇 번의 실린더 스트로크 후에, 제1 상승 레일 연장부(20)의 자유 단부가 상승 슈(34) 내로 이동하여 상승 슈(34)의 캐치가 제1 상승 레일 연장부(20)의 지지핀을 지지하고 맞물릴 수 있게 된다. 도면 섹션 c)의 상승 위치에서,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거푸집 시스템은 상승 슈들(26, 34) 내에 상승 레일(18)을 경유하여 지지되고, 상승 레일 연장 부(20, 20')의 단부는 여전히 상승 슈들(24, 26) 내에 있다. 도면 섹션 d)에서, 상승 순서가 진행되고, 레일 가이드 방식의 자가 상승 거푸집 시스템은 제3 콘크리트 섹션이 건설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상승 슈들(34, 36)의 캐치가 상승 레일(18)의 지지핀 아래에 맞물려, 상승 레일(18)이 상승 슈들(34, 36)을 경유하여 지지된다. 섹션 e)에서, 제3 콘크리트 섹션이 제2 콘크리트 섹션(42) 위에 건설될 수 있도록 내부 거푸집(13')가 콘크리트 섹션(42)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Now, the lifting procedure is initiated using a self-lifting formwork system of rail guide type (Fig. section b)) and when the lifting cylinder 28 moves out, after several cylinder strokes, the first lifting rail extension 20 The free end moves into the rising shoe 34 so that the catch of the rising shoe 34 can support and engage the support pins of the first rising rail extension 20 . In the raised position of the drawing section c), the self-lifting formwork system of the rail guide type is supported via a rising rail 18 in the rising shoes 26, 34, and the ends of the rising rail extensions 20, 20' are It is still in the rising shoes 24 , 26 . In the drawing section d), the ascending sequence proceeds, and the rail-guided self-lifting formwork system is in a position where a third concrete section can be built. The catch of the lifting shoes 34 , 36 is engaged under the support pin of the lifting rail 18 , so that the lifting rail 18 is supported via the lifting shoes 34 , 36 . In section e) the inner formwork 13 ′ is shown moving into the concrete section 42 so that a third concrete section can be built over the second concrete section 42 .

이러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게 된다. This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갱폼에서 거푸집(13)의 표면에는 거푸집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웰라가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웰라에는 수직지지대에 상기 웰라를 결합하기 위한 브라켓이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In the gang form, a wella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formwork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formwork 13, and a bracket for coupling the wella to a vertical support is sometimes attached to the wella.

즉, 거푸집과 수직지지대는 공간상 여건으로 인하여 직접 부착되기 어렵고, 거푸집과 수직지지대 사이의 간격을 일정간격 유지시켜 주는 간격유지를 위한 브라켓이 필요하게 된다.That is, it is difficult to directly attach the formwork and the vertical support due to spatial conditions, and a bracket for maintaining the gap that maintains the distance between the formwork and the vertical support is required.

이에 따라서 거푸집을 제작한 후에, 현장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거푸집에는 웰라 및 브라켓이 함께 부착되어 있게 되는데, 거푸집의 표면에 웰라 및 브라켓이 함께 부착되어 이동하는 경우 거푸집을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한번에 운반할 수 있는 수가 제한된다.Accordingly, after manufacturing the formwork, in the process of moving to the site, the wella and bracket are attached to the formwork. This limits the number of items that can be transported at one time.

특히, 복수개의 거푸집을 여러층으로 쌓은 후에 한번에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거푸집에 부착된 웰라 및 브라켓으로 인하여 거푸집을 쌓을 수 있는 높이가 한되고, 더욱이 전체적인 거푸집의 중량도 매우 크기 때문에 거푸집 운반에 많은 비용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moving a plurality of forms at once after stacking them in several layers, the height at which the formwork can be stacked is limited due to the wells and brackets attached to the formwork. There is a problem with cos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의 운반과 이동이 간편하면서도 갱폼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more specifically, to provide a connecting bracket for connecting a gangform formwork that can facilitate transport and movement of the formwork while facilitating the gangform work and a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for technical purpose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은, The connecting bracket for connecting the gangform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한 갱폼에 사용되고, 외벽과 멀어지거나 근접하도록 갱폼 거푸집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지지대과, 상기 갱폼 거푸집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갱폼 거푸집과 수직지지대를 연결시키는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에 있어서,A vertical support for moving the gangform formwork away from or close to the outer wall and used for the gangform for constructing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the gangform formwork disposed between the gangform formwork to connect the gangform formwork and the vertical support. Climbing for lifting the formwork In the connecting bracket for connecting the system,

일측에는, 갱폼 거푸집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웰라에 접촉되며, 제1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접촉부와,On one side, the first contac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well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gang form form,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타측에는, 수직지지대에 접촉되며 상기 제1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접촉부가 마련되며,On the other side, a second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support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is provided,

상기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상기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브라켓으로서,A bracket including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contact part and the second contact part betwee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상기 고정용 볼트가, 수직지지대와, 브라켓과, 웰라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갱폼 거푸집을 상기 수직지지대에 고정시키고,The fixing bolt is installed through the vertical support, the bracket, and the well to fix the gang form form to the vertical support,

상기 브라켓은, 웰라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The bracket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Wella.

상기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에서,In the connecting bracket connecting the gang form formwork and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상기 제1접촉부 및 제2접촉부는 판형태로 이루어지고,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re made in the form of a plate,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를 수직하게 연결하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수직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may be formed of a pair of vertical wal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vertically connect the first contact part and the second contact part.

상기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에서,In the connecting bracket connecting the gang form formwork and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상기 연결부에서, 한 쌍의 수직벽 사이에는 중앙을 수평하게 가로지르는 연결벽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벽에는 제1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3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connection part, a connection wall that horizontally crosses the center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vertical walls, and a third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wall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상기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에서,In the connecting bracket connecting the gang form formwork and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갱폼 거푸집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수직지지대에 마련된 높이조절수단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부가 마련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part to which the height adjustment means provided on the vertical support is detachably coupl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gang form formwork.

상기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에서,In the connecting bracket connecting the gang form formwork and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상기 받침부는,The support part,

상기 높이조절수단을 분리되지 않게 지지하도록 하측이 개방된 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상단이 상기 컵형 받침부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받침부는 연결부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It is made of a cup shape with an open lower side to support the height adjusting means so as not to be separated,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cup-shaped support part, and the support part may be fixedly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art.

상기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에서,In the connecting bracket connecting the gang form formwork and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상기 받침부는,The support part,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상단을 분리되지 않게 지지하도록 하측이 개방된 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부는 연결부에 설치될 수 있다.It is formed in a cup shape with an open lower side to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so as not to be separated, and the support part may be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art.

상기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에서,In the connecting bracket connecting the gang form formwork and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상기 연결부는,The connection part,

상기 수직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고,and a fastening part having a through-hole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support;

상기 받침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제1구멍이 형성되며,A firs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art,

장볼트가 상기 제1구멍을 통과하여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부를 연결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The long bolt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hrough the first hole to couple the support part to the connection part.

상기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에서,In the connecting bracket connecting the gang form formwork and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상기 연결부에는,In the connection part,

상기 수직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홈부가 마련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It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provided with a groove portion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support,

상기 받침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제1구멍이 형성되며,A firs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art,

고정수단은, 상기 제1구멍을 통과하여 홈부에 체결되어 상기 받침부를 연결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The fixing means may pass through the first hole and be fastened to the groove portion to couple the support portion to the connection portion.

상기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에서,In the connecting bracket connecting the gang form formwork and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를 수직하게 연결하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수직벽과,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vertical wal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vertically connecting the first conta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ing portion;

상기 수직벽의 중앙에서 상기 제2접촉부와 근접할 수록 수직벽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에서 제2접촉부에 연결되는 벽부를 포함하는 날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날개부에 마련될 수 있다.In the center of the vertical wall, the closer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the more the inclined surface is inclined so as to be farther from the vertical wall, and a wing portion comprising a wall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on the inclined surface, wherein the fasten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wing portion can be

상기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에서,In the connecting bracket connecting the gang form formwork and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상기 제1접촉부에는, 수직벽보다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The first contact portion is formed with protrusion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vertical wall,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웰라와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with the Wella may be formed in the protrusion.

상기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에서,In the connecting bracket connecting the gang form formwork and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상기 제2접촉부에는 수직지지대가 제2접촉부의 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면에서 돌출된 한 쌍의 이탈방지턱이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contact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to prevent the vertical support from being separated in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은, 거푸집에 고정된 웰라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어서, 거푸집에 브라켓을 고정된 상태로 운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많은 양의 거푸집을 이동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중량도 감소될 수 있다.The connecting bracket for connecting the gangform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can be detachably installed on the wella fixed to the formwork, so it is not necessary to transport the bracket in a fixed state to the formwork. Not only can the formwork be moved, but the weight can also be reduced.

본 발명에 따른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은, 현장에서 볼트 등에 의하여 손쉽게 웰라 및 수직지지대에 고정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작업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connecting bracket for connecting the gangform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is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easily fixedly coupled to the Wella and the vertical support using bolts in the field, so it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workability.

본 발명에 따른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은,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 사이에 한 쌍의 수직벽이 마련되어 있어서 가벼우면서도 강도면에서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connecting bracket for connecting the gangform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has a pair of vertical walls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tact part and the second contact part, so it is light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excellent in strength.

본 발명에 따른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은, 갱폼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높이조절수단을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컵형 받침부가 마련되어 있고, 높이조절수단은 받침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The connecting bracket for connecting the gangform formwork and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up-type support for separably coupling the height adjustment means for fine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gangform, and the height adjustment means i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portion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does not easily deviate in the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은, 컵형 받침부가 수직벽의 외측에 마련된 체결부를 지나는 고정수단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적 안정성 면에서 유리하다.The connecting bracket connecting the gang form formwork and the formwork lif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erms of structural stability because the cup-shaped support part is supported by a fixing means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part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vertical wall.

본 발명의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은, 수직벽 외측에 제1접촉부에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브라켓의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볼트 고정작업이 불편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The connecting bracket connecting the gang form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 forms an inclined surface to provide a space for fastening the bolt to the first contact part on the outside of the vertical wall, so the bolt fixing operation while maintaining the strength of the bracket This has the advantage of not being inconvenient.

본 발명의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은, 제2접촉부에 외면에서 돌출된 한 쌍의 돌기를 형성하여 수직지지대게 브라켓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connecting bracket for connecting the gangform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prevent the vertical support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racket by forming a pair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part.

도 1은 종래의 갱폼을 도면.
도 2는 종래의 갱폼을 이용하여 외벽을 시공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갱폼 거푸집에 웰라가 부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커넥팅 브라켓을 웰라 및 수직지지대에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커넥팅 브라켓이 웰라 및 수직지지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브라켓의 받침부에 높이조절수단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브라켓에 수직지지대가 부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브라켓에 받침부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
1 is a view of a conventional gang form.
Figure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of construction of the outer wall using a conventional gang form.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gang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Wella is attached to the gangform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well and the vertical support.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wella and the vertical support.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ight adjusting means is coupled to the support part of the connect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support is attached to the connect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part is installed on a connecting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views showing a connecting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or specific descriptions of these embodiments.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have th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disclosure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more clearly describing the present disclosure and not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As used in this disclosure,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including", "having", etc. are open-ended terms connoting the possibility of including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the phrase or sentence in which the expression is included. (open-ended terms).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 this disclosure may include the meaning of the plural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e same applies to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 the claims.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접속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can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able to the other component, or a new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may or may be connected via other components.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below, overlapping description of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may be omitted. However, even if descriptions regarding components are omitted, it is not intended that such components are not included in any embodiment.

본 발명에 따른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100)은,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한 갱폼(200)에 적용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갱폼에는 외부 거푸집을 구성하는 갱폼 거푸집(204)과, 상기 갱폼 거푸집을 인양하기 위한 클라이밍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클라이밍 시스템은, 상기 갱폼 거푸집(204)을 외벽에서 멀어지는 방항과, 근접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지지대(202)를 포함하며, 이때 커넥팅 브라켓(100)은 상기 갱폼 거푸집(204)과 수직지지대(202) 사이에 일정간격을 유지시켜주면서, 상기 갱폼 거푸집(204)을 상기 수직지지대(202)에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necting bracket 100 for connecting the gangform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is applied to the gangform 200 for constructing an outer wall of a building. Specifically, the gangform includes a gangform formwork 204 constituting the external formwork, and a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gangform formwork. The climbing system includes a vertical support 202 for moving the gangform formwork 204 away from and toward the outer wall, wherein the connecting bracket 100 is connected to the gangform formwork 204 and the vertical support 202 ) while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gang form formwork 204 performs a function of connecting the vertical support (202).

한편, 클라이밍 시스템은, 작업용 공간의 상부를 구성하는 수평지지대(201)와, 상기 수평지지대(201)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직지지대(202)와, 상기 수직지지대(202)를 받쳐주고 수평지지대(201)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경사지지대(2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climbing system, the horizontal support 201 constituting the upper part of the working space, the vertical support 202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support 201, and the vertical support 202 to support the horizontal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clined support 203 for inclinedly supporting the support 201 .

또한, 수직지지대(202)에는, 갱폼을 지지하면서 갱폼의 높이를 소정정도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208)이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support 202 is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ing means 208 tha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gang form to a predetermined degree while supporting the gang form.

또한, 갱폼 거푸집(204)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웰라(205)가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갱폼 거푸집(204)의 강도를 보강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wells 205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fixed to the gangform formwork 204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gangform formwork 204 .

갱폼 거푸집(204)에서 소정의 타설작업이 완료되면, 수직지지대(202)가 벽체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수직지지대(202)와 연결된 갱폼 거푸집(204)도 벽체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고, 이후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갱폼 거푸집(204)이 상승하게 되면 수직지지대(202)가 벽체와 근접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갱폼 거푸집(204)이 벽체를 제조할 수 있게 내부거푸집과의 사이에 콘크리트 양생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When a predetermined pouring operation is completed in the gang form formwork 204, the vertical support 202 moves away from the wall. At this time, the gang form formwork 204 connected to the vertical support 202 also moves away from the wall, and then When the gang form formwork 204 rises by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the vertical support 202 moves in the direction close to the wall, and a concrete curing space is created between the inner formwork and the inner formwork so that the gang form formwork 204 can manufacture the wall. configured to form.

이러한 갱폼(200)에서, 커넥팅 브라켓(100)은, 갱폼 거푸집(204)의 외면에 부착된 웰라(205)와, 수직지지대(202) 사이에 배치되어 갱폼 거푸집(204)을 수직지지대(202)와 일정간격 이격시켜 준다. 커넥팅 브라켓(100)이 웰라(205)와 수직지지대(202)에 고정되어 있어서, 수직지지대(202)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 갱폼 거푸집(204)도 수직지지대(202)와 함께 이동하게 한다.In this gangform 200, the connecting bracket 100 is disposed between the wella 205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gangform formwork 204 and the vertical support 202 to support the gangform formwork 204 with the vertical support 202. and spaced at a certain distance. The connecting bracket 100 is fixed to the wella 205 and the vertical support 202, so that when the vertical support 202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gangform formwork 204 also moves together with the vertical support 202.

이러한 커넥팅 브라켓(100)은, 제1접촉부(110), 제2접촉부(120), 연결부(130) 및 받침부(140)로 구성되고, 전체적으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connecting bracket 100 is composed of a first contact portion 110 , a second contact portion 120 , a connection portion 130 , and a support portion 140 , and has a hexahedral shape as a whole.

상기 제1접촉부(110)는, 갱폼 거푸집(204)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웰라(205)에 접촉되며, 제1관통공(1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접촉부(110)는 사각판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is in contact with the well 205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gangform formwork 204 , and a first through hole 111 is formed therein.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이러한 제1접촉부(110)는 한 쌍의 수직벽(131)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부분(112)과, 한 쌍의 수직벽(131)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부(113)에는 복수의 체결공(1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공(1131)에 볼트(209) 등이 결합되어 상기 커넥팅 브라켓(100)을 웰라(205)에 고정시키게 한다.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includes a central portion 112 disposed between a pair of vertical walls 131 and a protrusion 113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pair of vertical walls 131 .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131 are formed in the protrusion 113 , and bolts 209 are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s 1131 to fix the connecting bracket 100 to the Wella 205 .

상기 제2접촉부(120)는, 상기 제1접촉부(110)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수직지지대(202)와 접촉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2접촉부(120)는,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and is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support 202 .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plate.

상기 제2접촉부(120)의 외면에는, 한 쌍의 이탈방지턱(122)이 돌출되어 있게 되는데, 상기 한 쌍의 이탈방지턱(122) 사이에 수직지지대(202)가 접촉된다. 이러한 이탈방지턱(122)은 제2접촉부(120)의 외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수직지지대(202)가 제2접촉부(120)의 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정위치에 유지될 수 있게 한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part 120, a pair of departure preventing sills 122 protrude, and the vertical support 202 is in contact between the pair of departure preventing sills 122. The departure preventing protrusion 122 allows the vertical support 202 supported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part 120 to be maintained in a fixed position without moving in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second contact part 120 .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제1접촉부(110)와 제2접촉부(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접촉부(110)와 제2접촉부(120)를 연결하는 것이다.The connection part 13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tact part 110 and the second contact part 120 to connect the first contact part 110 and the second contact part 120 .

이러한 연결부(130)는, 수직벽(131), 연결벽(132) 및 날개부(133)로 이루어진다.The connecting portion 130 includes a vertical wall 131 , a connecting wall 132 , and a wing portion 133 .

상기 수직벽(131)은, 상기 제1접촉부(110)와 제2접촉부(1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접촉부(110)와 제2접촉부(120)를 수직하게 연결된 것으로서,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vertical wall 131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0 to vertically connect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0 , and a pair of each other are spaced apart.

상기 연결벽(132)은, 한 쌍의 수직벽(131)의 중앙부분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대략 판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결벽(132)은 제1접촉부(110) 및 제2접촉부(120)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 연결벽(132)에는 제1접촉부(110) 및 제2접촉부(120)의 제1, 2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3관통공(1321)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연결벽(132)과 수직벽(131)은 전체적으로 "H"형상을 이룬다.The connecting wall 132 connects the central portions of the pair of vertical walls 131 and has a substantially plate shape. The connection wall 132 is dispos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0 . A third through-hole 1321 is provided in the connection wall 132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through-holes of the first contact part 110 and the second contact part 120 . The connecting wall 132 and the vertical wall 131 as a whole form an “H” shape.

상기 날개부(133)는, 상기 수직벽(131)의 중앙에서 상기 제2접촉부(120)와 근접할수록 수직벽(131)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1331)과, 상기 경사면(1331)에서 제2접촉부(120)에 연결되는 벽부(1332)를 포함한다. 이러한 날개부(133)는 한 쌍의 수직벽(131) 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한 쌍이 마련된다.The wing portion 133 has an inclined surface 1331 that is inclined away from the vertical wall 131 as it approaches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0 from the center of the vertical wall 131 , and the second from the inclined surface 1331 . and a wall portion 1332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0 . These wing portions 133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pair of vertical walls 131 to provide a pair.

상기 날개부(133)는, 연결벽(132)의 강도를 보강할 뿐 아니라, 경사면(1331)으로 인하여 제1접촉부(110)를 웰라(205)와 결합할 때 공구등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웰라(205)와 결합을 위한 볼트(209)를 체결할 때에는 날개부(133)의 경사면(1331)을 따라서 삽입된다.The wing part 133 not only reinforces the strength of the connection wall 132, but also allows a tool, etc. to be easily inserted when the first contact part 110 is coupled with the Wella 205 due to the inclined surface 1331. create a space When the bolt 209 for coupling with the Wella 205 is fastened, it is insert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1331 of the wing part 133 .

구체적으로 볼트(209)는 제1접촉부(110)의 체결공(1131)에 삽입된 후에 웰라(205)의 대응구멍에 체결고정된다. 또한, 볼트(209)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도 상기 경사면(1331)을 따라서 삽입되어 볼트(209)의 머리에 쉽게 결합된다.Specifically, the bolt 209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corresponding hole of the Wella 205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131 of the first contact part 110 . In addition, a tool for rotating the bolt 209 is also insert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1331 to be easily coupled to the head of the bolt 209 .

상기 날개부(133)의 내부에는 수직지지대(202)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관통홀(1334)이 형성된 체결부(1333)가 마련된다. 이러한 관통홀(1334)은 받침부(140)를 결합하기 위한 장볼트(143)가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장볼트(143)는 상기 받침부(1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1334)을 통과한 후에 너트(1431)에 체결되어 상기 받침부(140)를 연결부(130)에 고정시키게 한다.A fastening part 1333 having a through hole 1334 extending along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support 202 is provided inside the wing part 133 . The through hole 1334 is a hole through which a long bolt 143 for coupling the support 140 passes, and the long bolt 143 is coupled to the support 140 in the through hole 1334. After passing through, it is fastened to the nut 1431 to fix the support part 140 to the connection part 130 .

상기 받침부(140)는, 상기 갱폼 거푸집(204)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수직지지대(202)에 마련된 높이조절수단(208)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받침부(140)는 상기 높이조절수단(208)의 상단을 분리되지 않게 지지하도록 하측이 개방된 컵형태를 이룬다.The support unit 140 is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eight adjusting means 208 provided on the vertical support 202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gang form formwork 204 . Specifically, the support unit 140 forms a cup shape with an open lower side to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208 so as not to be separated.

이러한 받침부(140)는 연결부(130)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받침부(140)는, 중앙에 제1구멍(1411)에 형성된 링형 바닥면(141)과, 상기 링형 바닥면(141)의 둘레를 따라서 세워지는 둘레벽(142)으로 이루어져서 전체적으로 컵형태를 이루게 된다.The support unit 140 is detachably fixed to the connection unit 130 . The support portion 140 is composed of a ring-shaped bottom surface 141 formed in the first hole 1411 in the center, and a peripheral wall 142 erect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ing-shaped bottom surface 141 to form a cup shape as a whole. will achieve

컵형태의 받침부(140)는, 상기 높이조절수단(208)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높이조절수단(208)의 상단보다 큰 내경을 가지게 되며, 높이조절수단(208)의 상단이 충분하게 삽입될 수 있는 깊이를 가지게 된다. The cup-shaped support part 140 has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208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208 can be inserted, and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208 is sufficiently large. It has a depth that can be inserted.

상기 링형 바닥면(141)에는 장볼트(143)의 머리부가 수용되고, 장볼트(143)는 상기 링형 바닥면(141)에 머리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제1구멍(1411)과, 관통홀(1334)을 통과한 후에 나사부분이 연결부(130)에서 돌출되어 있게 된다. 이때 장볼트(143)의 나사부분에 너트(1431)가 결합됨으로서 장볼트(143)는 받침부(140)를 연결부(130)에 고정결합하게 되는 것이다.The head of the long bolt 143 is accommodated in the ring-shaped bottom surface 141, and the long bolt 143 is a first hole 1411 and a through-hole ( After passing through 1334 , the screw portion protrudes from the connecting portion 130 . At this time, as the nut 1431 is coupled to the screw portion of the long bolt 143 , the long bolt 143 is to be fixedly coupled to the support portion 140 to the connecting portion 130 .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100)은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The connecting bracket 100 for connecting the gangform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has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갱폼 설치를 위한 거푸집(20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웰라(205)를 그 일면에 용접한 상태로 운반된다. 이와 같이 웰라(205)만을 고정한 상태의 거푸집(204)은 그 높이가 낮아지고 중량도 가벼워서 많은 수의 거푸집(204)은 운반할 수 있게 된다.First, the formwork 204 for installing the gang form is transported in a state in which the Wella 205 is welded to one surface thereof, as shown in FIG. 4 . As described above, the formwork 204 in a state in which only the wella 205 is fixed has a lower height and a light weight, so that a large number of forms 204 can be transported.

거푸집(204)이 현장에 도착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팅 브라켓(100)을 이용하여 거푸집(204)을 수직지지대(202)에 고정결합한다.When the formwork 204 arrives at the site, as shown in FIG. 5 , the formwork 204 is fixedly coupled to the vertical support 202 using the connecting bracket 100 .

구체적으로, 커넥팅 브라켓(100)의 제1접촉부(110)를 거푸집(204)에 마련된 웰라(205)에 고정결합한다. 커넥팅 브라켓(100)과 웰라(205)의 체결은 볼트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접촉부(110)의 돌출부(113)에 마련된 체결공(1131)에 볼트의 나사부를 끼워넣은 후에 너트 등을 이용하여 상기 커넥팅 브라켓(100)과 웰라(205)를 서로 결합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of the connecting bracket 100 is fixedly coupled to the wella 205 provided in the mold 204 . The coupling between the connecting bracket 100 and the Wella 205 may be performed by bolts. Specifically, after inserting the screw part of the bolt into the fastening hole 1131 provided in the protrusion 113 of the first contact part 110, the connecting bracket 100 and the Wella 205 are coupled to each other using a nut or the like.

또한, 커넥팅 브라켓(100)에 받침부(140)를 결합한다. 이를 위하여 장볼트(143)의 나사부를 받침부(140)의 제1구멍(1411), 체결부(1333)의 관통홀(1334)을 통과시키도록 하고, 장볼트(143)의 머리부가 받침부(140) 내에 수용되도록 한다. 이때 장볼트(143)의 나사부는 반대쪽으로 돌출된 장볼트(143)의 나사부를 너트에 의하여 체결하고, 이에 따라서 받침부(140)를 커넥팅 브라켓(100)에 고정결합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support unit 140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bracket 100 . To this end, the threaded portion of the long bolt 143 is passed through the first hole 1411 of the supporting portion 140 and the through hole 1334 of the fastening portion 1333, and the head of the long bolt 143 is the supporting portion. (140) to be accommodated within. At this time, the screw portion of the long bolt 143 is fastened to the screw portion of the long bolt 143 protruding to the opposite side by a nut, and thus the support portion 140 is fixedly coupled to the connecting bracket 100 .

이후에, 수직지지대(202)를 제2접촉부(120)의 외측면에 배치시킨다. 구체적으로 수직지지대(202)를 제2접촉부(120)의 이탈방지턱(122) 사이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 볼트(206)를 이용하여 수직지지대(202), 커넥팅 브라켓(100), 웰라(205)를 상호연결하게 된다.Thereafter, the vertical support 202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0). Specifically, the vertical support 202 is positioned between the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 122 of the second contact part 120 . Thereafter, as shown in FIG. 6 , the vertical support 202 , the connecting bracket 100 , and the Wella 205 are interconnected using the fixing bolts 206 .

고정용 볼트(206)의 일측은 웰라(205)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커넥팅 브라켓(100)의 제1관통공(111), 제2관통공(121), 제3관통공(1321)을 통과한 후에, 수직지지대(202)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One side of the fixing bolt 206 pass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11 , the second through hole 121 , and the third through hole 1321 of the connecting bracket 100 in a state where 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Wella 205 . After that, it is configured to be fastened to the vertical support 202 .

또한, 수직지지대(202)에서 설치된 높이조절수단(208)은, 받침부(140)의 개구를 통하여 삽입하여 그 내부에 수용되도록 한다. 높이조절수단(208)의 최상단은 장볼트(143)의 머리부에 닿게 되고, 높이조절수단(208)의 상부는 주변에 받침부(140)의 둘레벽(142)에 의하여 둘러쌓여있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means 208 installed in the vertical support 202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support portion 140 so as to be accommodated therein. The uppermost end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208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ead of the long bolt 143, and the upper part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208 is surrounded by the peripheral wall 142 of the support 140 on the periphery, so that the horizontal It is configured to prevent movement in the direction.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100)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connecting bracket 100 for connecting the gangform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has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브라켓(100)은, 거푸집(204)에 고정된 웰라(205)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어서, 거푸집(204)에 커넥팅 브라켓(100)을 고정된 상태로 운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많은 양의 거푸집(204)을 이동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중량도 감소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204)에는 웰라(205)만이 용접설치되어 있어서 거푸집(204)의 전체적인 높이 및 중량을 감소할 수 있게 된다.First, the connecting brack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wella 205 fixed to the formwork 204, so that the connecting bracket 100 to the formwork 204 is not transported in a fixed state. Since it is not necessary, not only can a large amount of formwork 204 be moved, but also the weight can be reduced. That is, as shown in Fig. 4, since only the wella 205 is welded to the formwork 204, the overall height and weight of the formwork 204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브라켓(100)은, 현장에서 볼트 등에 의하여 손쉽게 웰라(205) 및 수직지지대(202)에 고정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작업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커넥팅 브라켓(100)과 웰라(205)는 볼트에 의하여 간편하게 고정하고, 전체적으로는 고정용 볼트(206)를 이용하여 수직지지대(202), 커넥팅 브라켓(100), 웰라(205)를 한번에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brack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easily fixedly coupled to the Wella 205 and the vertical support 202 by a bolt or the like in the field, and thus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workability. That is, the connecting bracket 100 and the Wella 205 are easily fixed by bolts, and the vertical support 202, the connecting bracket 100, and the Wella 205 are fixed at once by using the fixing bolts 206 as a whole. can do.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브라켓(100)은, 제1접촉부(110)와 제2접촉부(120) 사이에 한 쌍의 수직벽(131)이 마련되어 있어서 가벼우면서도 강도면에서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connecting brack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ir of vertical walls 131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tact part 110 and the second contact part 120, so it is light and has an advantage in terms of strength.

즉, 본 발명의 커넥팅 브라켓(100)은,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수직벽(131)이 마련되어 있으며, 날개부(133)를 포함하고 있어서 외부의 하중에 대하여 충분하게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된다.That is, the connecting brack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air of vertical walls 13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cludes a wing portion 133 so as to sufficiently withstand an external loa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브라켓(100)은, 갱폼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정하는 높이조절수단(208)을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컵형 받침부(140)가 마련되어 있고, 높이조절수단(208)은 받침부(140)에서 좌우방향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컵형 받침부(140)는, 높이조절수단(208)이 좌우로 이탈되지 않게 할 뿐 아니라, 연결부(130)에 설치하는 것도 간편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제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brack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up-shaped support part 140 for detachably coupling the height adjusting means 208 for fine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gangform, and the height adjusting means 208 i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support unit 14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cup-shaped support part 140 not only prevents the height adjustment means 208 from being separated from side to side, but also is easy to install on the connection part 130, so it can be removed as needed.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브라켓(100)은, 컵형 받침부(140)가 수직벽(131)의 외측에 마련된 체결부(1333)를 지나는 고정수단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적 안정성 면에서 유리하다.The connecting brack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erms of structural stability because the cup-shaped support part 140 is supported by a fixing means passing the fastening part 1333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vertical wall 131 .

본 발명의 커넥팅 브라켓(100)은, 수직벽(131) 외측에 제1접촉부(110)에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경사면(1331)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커넥팅 브라켓(100)의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볼트 고정작업이 불편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The connecting brack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inclined surface 1331 on the outside of the vertical wall 131 to provide a space for fastening the bolt to the first contact portion 110, so the strength of the connecting bracket 100 is increased.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not inconvenient to fix the bolt while maintaining it.

즉, 볼트 및 이를 체결하는 공구를 설치할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면서도 수직벽(131)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서 강도면에서도 유리한 장점이 있다.That is, since it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vertical wall 131 while securing a space for installing the bolt and the tool for fastening it, there is an advantage in terms of strength.

본 발명의 커넥팅 브라켓(100)은, 제2접촉부(120)에 외면에서 돌출된 한 쌍의 이탈방지턱(122)을 형성하여 수직지지대(202)가 커넥팅 브라켓(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외력이 갱폼에 가해져서 커넥팅 브라켓(100)이 수직지지대(202)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고정볼트에 부러지면서 거푸집(204)으로부터 수직지지대(202)가 분리될 염려가 있으나, 이탈방지턱(122)에 의하여 좌우요동이 방지되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connecting brack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vertical support 202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bracket 100 by forming a pair of separation preventing protrusions 122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n the second contact portion 120 . there are advantages to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gang form and the connecting bracket 100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support 202, it is broken by the fixing bolt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vertical support 202 from the form 204 may be separated. 122), the left and right movement is prevented and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은,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nnecting bracket connecting the gangform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is possible to be modified as follows.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커넥팅 브라켓(100)에서, 체결부(1333)에 관통홀(1334)이 형성되고 그 관통홀에 장볼트(143)가 삽입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334')가 체결부(1333')에 마련되고 스크류(143')이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스크류(143')이 받침부(140')를 연결부(130')에 결합하게 한다. 이때 홈부의 일측에는 절개부(1334a')가 형성되어 있어서 스크류(143')가 쉽게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받침부를 연결부에 설치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접이나 기타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e connecting bracket 100, the through-hole 1334 is formed in the fastening part 1333 and the long bolt 143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FIG. 9 As shown in , it is possible that the groove part 1334' is provided in the fastening part 1333' and the screw 143' is fastened. A screw 143' couples the support portion 140' to the connection portion 130'. At this time, since a cutout 1334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roove, it is possible to easily fasten the screw 143'. 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support part to the connection par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m by welding or other various methods.

또한, 도 10 및 도 11에서는 받침부의 변형된 형태를 나타낸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팅 브라켓(100")에서 받침부(140")는 컵형상이 아닌 "ㄷ"자형 단면을 가지면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빔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in FIGS. 10 and 11 shows a deformed form of the support part. In the connecting bracket 100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upport portion 140 ″ has a “C”-shaped cross-section rather than a cup shape, and it is possible to have a beam-shaped structure formed by extending long in one direction.

이러한 "ㄷ"자형 받침부(140")는, 연결부에 접촉되는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직사각형태의 바닥부(141")와, 상기 바닥부(141")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세워지며 바닥부(14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한 쌍의 측벽부(14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측벽부(142") 사이에 높이조절수단(208")의 상단이 삽입되어 있게 된다. The "C"-shaped support part 140" is a rectangular bottom part 141" extending long in one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art, and is erected at both edges of the bottom part 141" and the bottom part 141 ") is made of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142"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208"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142".

상기 바닥부(141")에는 제1구멍(1411")에 마련되고, 제1구멍(1411")를 통과한 장볼트(143")에 의하여 받침부(140")가 연결부(130")에 결합설치되며, 장볼트(143")는 너트(1431")에 의하여 위치고정된다.The bottom part 141" is provided in the first hole 1411", and the support part 14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130" by the long bolt 143" passing through the first hole 1411". The coupling is installed, and the long bolt 143" is fixed in position by the nut 1431".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described by examples shown in som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does not depart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at can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within the scope may be made. Further, such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커넥팅 브라켓 110...제1접촉부
111...제1관통공 112...중앙부분
113...돌출부 1131...체결공
120...제2접촉부 121...제2관통공
122...이탈방지턱 130...연결부
131...수직벽 132...연결벽
1321...제3관통공 133...날개부
1331...경사면 1332...벽부
1333...체결부 1334...관통홀
140...받침부
100...Connecting bracket 110...First contact
111...First through hole 112...Central part
113...Protrusion 1131...Fixing hole
120...Second contact part 121...Second through hole
122...Departure bump 130...Connecting part
131...vertical wall 132...connecting wall
1321...Third through hole 133...Wing part
1331...Slope 1332...Wall
1333...fastening 1334...through hole
140... pedestal

Claims (11)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한 갱폼에 사용되고, 외벽과 멀어지거나 근접하도록 갱폼 거푸집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지지대과, 상기 갱폼 거푸집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갱폼 거푸집과 수직지지대를 연결시키는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에 있어서,
일측에는, 갱폼 거푸집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웰라에 접촉되며, 제1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접촉부와,
타측에는, 수직지지대에 접촉되며 상기 제1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접촉부가 마련되며,
상기 일측과 타측 사이에는 상기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브라켓으로서,
상기 고정용 볼트가, 수직지지대와, 커넥팅 브라켓과, 웰라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갱폼 거푸집을 상기 수직지지대에 연결시키고,
상기 브라켓은, 웰라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는 판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를 수직하게 연결하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수직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
A vertical support for moving the gangform formwork away from or close to the outer wall and used for the gangform for constructing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and the gangform formwork disposed between the gangform formwork to connect the gangform formwork and the vertical support. Climbing for lifting the formwork In the connecting bracket for connecting the system,
On one side, the first contac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well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the gang form form,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 second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support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is provided,
A bracket including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first contact part and the second contact part betwee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The fixing bolt is installed through the vertical support, the connecting bracket, and the well to connect the gang form form to the vertical support,
The bracket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Wella,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re formed in a plate shape,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vertical wal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vertically connect the first contact portion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A connecting bracket for connecting the gangform formwork and the formwork climbing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서, 한 쌍의 수직벽 사이에는 중앙을 수평하게 가로지르는 연결벽이 마련되며, 상기 연결벽에는 제1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3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onnecting portion, a connecting wall horizontally crossing the center is provided between a pair of vertical walls, and a third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onnecting wall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rough hole. Connecting bracket for connecting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갱폼 거푸집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수직지지대에 마련된 높이조절수단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
According to claim 1,
A connecting bracket connecting the gang form formwork and the formwork climb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part is provided with a support part to which the height adjusting means provided on the vertical support is detachably coupl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gangform formwor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높이조절수단을 분리되지 않게 지지하도록 하측이 개방된 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상단이 상기 컵형 받침부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받침부는 연결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upport part,
Gangform,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up shape with an open lower side to support the height adjusting means so as not to be separated, an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cup-shaped support part, and the support part is fixedly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art. Connecting bracket connecting the formwork to the formwork climbing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을 분리되지 않게 지지하도록 하측이 개방된 "ㄷ"자형 빔형상을 가지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상단이 상기 받침부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받침부는 연결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
5. The method of claim 4,
It has a "U"-shaped beam shape with an open lower side to support the height adjusting means so as not to be separated,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art, and the support part is fixedly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art, characterized in that A connecting bracket that connects the gang form formwork to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직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제1구멍이 형성되며,
장볼트가 상기 제1구멍을 통과하여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부를 연결부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
7. The method of claim 5 or 6,
The connection part,
and a fastening part having a through-hole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support;
A firs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art,
A connecting bracket connecting the gang form formwork and the formwork climb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 bolt passes through the first hole and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o couple the support part to the connecting par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수직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홈부가 마련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는 제1구멍이 형성되며,
고정수단은, 상기 제1구멍을 통과하여 홈부에 체결되어 상기 받침부를 연결부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connection part,
It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provided with a groove portion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support,
A firs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art,
The fixing means passes through the first hole and is fastened to the groove portion to connect the support portion to the connecting bracke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수직벽의 중앙에서 상기 제2접촉부와 근접할 수록 수직벽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지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에서 제2접촉부에 연결되는 벽부로 이루어지는 날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날개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nect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a wing portion consisting of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away from the vertical wall as it approaches the second contact portion from the center of the vertical wall, and a wall portion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ortion on the inclined surface,
The connecting bracket connecting the gang form formwork and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wing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에는, 수직벽보다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웰라와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contact portion is formed with protrusion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vertical wall,
A connecting bracket for connecting the gang form formwork and the climbing system for lifting the form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has a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with the Well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부에는 수직지지대가 제2접촉부의 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면에서 돌출된 한 쌍의 이탈방지턱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폼 거푸집과 거푸집 인양용 클라이밍 시스템을 연결하는 커넥팅 브라켓.
According to claim 1,
A connecting bracket connecting the gang form formwork and the formwork climb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ntact portion is provided with a pair of separation preventing sills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to prevent the vertical support from being separated in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KR1020200050348A 2020-04-24 2020-04-24 Connecting bracket to connect the climbing system for the lifting of the mould with a gang-form mould KR1023528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348A KR102352843B1 (en) 2020-04-24 2020-04-24 Connecting bracket to connect the climbing system for the lifting of the mould with a gang-form moul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348A KR102352843B1 (en) 2020-04-24 2020-04-24 Connecting bracket to connect the climbing system for the lifting of the mould with a gang-form moul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797A KR20210131797A (en) 2021-11-03
KR102352843B1 true KR102352843B1 (en) 2022-01-19

Family

ID=78505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348A KR102352843B1 (en) 2020-04-24 2020-04-24 Connecting bracket to connect the climbing system for the lifting of the mould with a gang-form moul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843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042B1 (en) * 2007-11-09 2009-09-18 김상석 Size-adjustable Gang Form
KR101312400B1 (en) * 2012-02-08 2013-09-27 현대알루미늄(주) structure for safety working foothold having form fixing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1797A (en) 202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37810B (en) Manufacturing method of prefabricated column and assembling method of column beam
CN108532768B (en) Construction device of assemble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box building
US2003003377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building tall vertical structures
MXPA03006286A (en) Product attribute data mining in connection with a web converting manufacturing process.
CN104520521A (en) High rise building elevation concept
CN111894272A (en) Intelligent construction platform and installation process and construction process thereof
CN111663457A (en) Assembly module, modular construction platform and method and bridge abutment construction method
KR102352843B1 (en) Connecting bracket to connect the climbing system for the lifting of the mould with a gang-form mould
KR20090084163A (en) Gang form climbing guide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0676193B1 (en) Steel-frame stair structure
CN217439544U (en) Building top outer vertical surface overhanging structure template supporting system
US4260345A (en) Arrangement for casting concrete walls
KR101171746B1 (en) Method execution silo
JP6520533B2 (en) Overhead crane support device and load receiving member
KR102266630B1 (en)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with composite beam structure using module deck
KR102296982B1 (en) Transfer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U-shaped Steel Girder
KR102211218B1 (en) A Construction Method for Pre-Constructing Staircase and Constructing Materials Used therein
JP6320242B2 (en) How to install temporary pillars
KR101735539B1 (en) Jig for Prefabricated Column with Spirals
KR102121363B1 (en) Functional supporter and constructing method for a protrusion of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the construction structure constructed by the method
KR102386983B1 (en) Precast Concrete Panel for exterior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KR100788000B1 (en) A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tower crane cross beam
KR200409486Y1 (en) Assembly type of iron structure
KR102585356B1 (en) A System Foam Device for High-Rise Elevators for Installation of Embed-Plate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Embed-Plates for High-Rise Elevators using the same
JP7511883B2 (en) External formwork for arch structure and method for relocat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