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621B1 - 무척추동물 유생 사육장치 - Google Patents

무척추동물 유생 사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621B1
KR102352621B1 KR1020190175271A KR20190175271A KR102352621B1 KR 102352621 B1 KR102352621 B1 KR 102352621B1 KR 1020190175271 A KR1020190175271 A KR 1020190175271A KR 20190175271 A KR20190175271 A KR 20190175271A KR 102352621 B1 KR102352621 B1 KR 102352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eding
shaft
rotating
screen
larv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5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2874A (ko
Inventor
권오남
박진철
양승진
임형규
김응철
Original Assignee
어업회사법인 가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업회사법인 가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어업회사법인 가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5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621B1/ko
Publication of KR20210082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생 사육장치(1)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유생 사육장치(1)는, 사육수가 저장되어 무척추 생물을 사육하는 사육조(3)와; 사육조(3)의 내부에 배치되어 무척추 생물의 성장에 맞추어 가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사육하는 회전부(5)와; 회전부(5)를 구동시키는 구동부(7)와; 무척추 생물을 외측으로 분산시키는 과밀 방지틀(25)과; 사육조(3)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27)과; 그리고 배수관(27)의 상측에 장착되어 배출되는 유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9)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척추동물 유생 사육장치{Rotating Arm for Invertebrate Larvi-culture and mass culture}
본 발명은 무척추동물 유생 사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육조 내의 유수를 적절한 유속으로 회전시켜서 유류를 형성함으로써 유생의 성장단계별로 회전수를 조절하여 원활하게 사육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끼리조개, 북방대합 그리고 가리비 같은 이매패류, 해삼 및 문어 등의 무척추동물은 어업인 소득증대를 위해 매우 중요한 수산자원이고, 형망조업과 잠수기어업의 주요 소득원이며, 수산양식에 있어서 천혜양식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수산생물들이다.
이들 수산생물은 초기 생활사를 부유성 유생의 시기를 채란, 수정 및 부화를 거쳐 유생시기를 20-30일 가량 보내는데, 이 시기 인력중심의 유생사육시설이 필요하여 각 기관에서 많은 인력을 투입하여 유생 및 종자생산에 힘을 기울이고 있지만, 사육시설의 한계로 인해 이매패류와 대부분의 무척추동물들은 수정과 부화 이후 20-30일 가량의 부유 유생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이 시기 생존율은 기존의 생산방법에서는 10% 이하로 설정하여 생산하고 있다.
이후 각정기 유생단계를 지나 착저기 유생 이후 착저하여 어린 치패로써 모래바닥이나 사니질에서 서식하면서 성장하게 된다.
이때, 해산 무척추동물의 유생은 치패, 혹은 어린개체들과는 달리 부유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위적인 해류를 조장하여 성장하는 유생을 수중으로 띄워줘야 그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유충(유생)의 사육과정에서 D-상유생에서 각정기로 가는 동안 유생의 중량이 면반과 같은 운동기관이 있지만, 그 운동성에 비해 무거워져서 가라앉는 현상과 가라앉음으로써 바닥에 주고 서식하고 있는 병원성 미생물과 원생동물에 노출될 확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49211호(어린 패류의 상향식 수류 실내사육장치)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19642호(말백합 어린조개의 인공사육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사육조 내의 유수를 적절한 유속으로 회전시켜서 유류를 형성함으로써 유생의 성장단계별로 회전수를 조절하여 원활하게 사육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육수가 저장되어 이매패류를 사육하는 사육조(3)와;
사육조(3)의 내부에 배치되어 이매패류의 성장에 맞추어 가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사육하는 회전부(5)와;
회전부(5)를 구동시키는 구동부(7)와;
이매패류를 외측으로 분산시키는 과밀 방지틀(25)과;
사육조(3)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27)과; 그리고
배수관(27)의 상측에 장착되어 배출되는 유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9)을 포함하는 유생 사육장치(1)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생 사육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사육조의 내측에 회전 암을 회전시켜서 유수를 형성하여 유생을 사육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에어리프트 방식에 비해 모든 유생을 수중에 부유할 수 있으며, 가라앉아서 폐사하는 유생의 생존율을 확보할 수 있고, 사육과정에서 줄어드는 유생의 밀도를 효과적으로 유지시켜서 최종 후기 각정기까지 최대한의 밀도를 유지시켜 작은 공간에서도 많은 량의 유생을 사육 관리할 수 있다.
둘째, 회전부에 과밀 방지틀을 구비함으로써 성장시 가운데로 몰리는 유생을 외측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사육 관리할 수 있다.
셋째, 스크린의 내부에 이물질 제거부를 장착함으로써 필요시 샤프트를 회전시켜서 다수개의 롤러가 스크린의 내측에 충돌함으로써 스크린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스크린의 막힘으로 인한 과부하를 해소하여 여과효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넷째, 높은 밀도의 유생이 수조 한두개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살아있는 미세조류를 먹이는 유생사육의 특성상 live algae의 배양에도 적은 시간과 노동력의 소비로 생산 비용을 극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생 사육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터 스크린이 이물질로 인한 과부하로 내측방향으로 압력을 받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필터 스크린에 장착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척추 동물의 유생 사육장치(1)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생 사육장치(1)는 사육수가 저장되어 무척추 생물을 사육하는 사육조(3)와; 사육조(3)의 내부에 배치되어 무척추 생물의 성장에 맞추어 가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사육하는 회전부(5)와; 회전부(5)를 구동시키는 구동부(7)와; 무척추 생물을 외측으로 분산시키는 과밀 방지틀(25)과; 사육조(3)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27)과; 배수관(27)의 상측에 장착되어 배출되는 유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Screen;9)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생 사육장치(1)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육조(3)는 내부에 저장된 사육수에 의하여 무척추 동물을 사육하는 바, 특히 코끼리 조개는 수정 후 상실기와 낭배기를 거쳐 포배기 단계에서 부화하여 운동성을 갖는다.
그리고, D상유생 단계에서 면반(velar lobes)의 발달로 유영을 하게 되고, 각정기 후기까지 면반으로 유영을 하다가 이후 착저기에 면반이 퇴화하면서 발(foot)이 생기면서 저서생활을 하게 된다.
이때 해류와 같은 수류가 도움을 주어 면반이 유생의 무게를 버티면서 지속적인 유영생활을 하지만, 면반퇴화와 발의 발달로 더 이상의 유영생활을 하지 못하게 되는데, 지속적인 해류가 충분히 없을 경우 유생의 무게를 면반의 운동력만으로 유영을 지속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수조 내의 지속적인 수류를 인위적으로 만들어 줄 필요가 있다.
따라서, 회전부(5)에 의하여 사육조(3)에 저장된 물을 유수식으로 회전시키면서 무척추 동물을 사육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부(5)는 사육조(3)의 상부에 배치된 지지대(21)와; 지지대(2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구동부(7)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19)과; 회전축(19)의 하부에 반경 외측방향으로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암(Rotating arm;23)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19)은 지지대(21)에 베어링(Bearing) 등의 회전부(5)재에 의하여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부(7)로부터 회전력이 전달되면 회전축(19)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 암(23)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 암(23)이 회전하는 경우, 사육조(3)에 저장된 물을 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사육조(3)의 내부에는 유수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육조(3) 내부에 사육되는 무척추 동물등은 유영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회전 암(23)은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4개가 사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암(23)은 사육조(3)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서 배치되어야 하는 바, 예를 들면 최소 100mm 이상 높이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전 암(23)을 회전시키는 구동부(7)는 사육조(3)의 외부 일측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7)는 모터(11)와; 모터(11)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13)과; 일측은 구동축(13)에 연결되고 타측은 회전축(19)에 연결되는 회전력 전달부재(17)와; 모터(11)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Controller;C)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구동부(7)에 있어서,
모터(11)가 구동하는 경우, 구동축(13)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력 전달부재(17)에 의하여 회전축(19)이 회전함으로써 회전 암(23)이 회전하여 유수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회전력 전달부재(17)는 구동축(13)와 회전축(19)을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성요소로서 다양한 전달부재(17)가 포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벨트(Velt), 체인(Chai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C)는 모터(11)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는 바, 입력된 회전수에 따라 모터(11)가 구동하게 되고 결국 회전축(19)도 연동하여 회전함으로써 회전 암(23)이 소정 회전수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컨트롤러(C)는 다양하게 회전축(19)의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1 내지 3 rpm(rotation per minute)의 범위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육조(3)의 회전 암(23)의 회전수를 가변시키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무척추 동물은 유영생활을 하지만, 면반퇴화와 발의 발달로 더 이상의 유영생활을 하지 못하게 되는데, 지속적인 해류가 충분히 없을 경우 유생의 무게를 면반의 운동력만으로 유영을 지속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사육조(3)내에 수류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유생이 발달하면서 무거워지는데 이 중량 증가에 따라 보다 강한 수류를 형성할 필요가 있는 바 회전수를 보다 높이게 된다.
따라서, 무척추 동물의 성장에 따라 중량도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 암(23)의 회전수도 가변시키게 된다.
그리고, 회전 암(23)의 회전수가 일정 수 이하인 경우, 예를 들면 2 rpm 이하인 경우에는 유생들이 사육조(3) 바닥에 머무는 양이 증가하게 되고, 그 이상인 경우에는 과도한 유속으로 인하여 스트레스 상태가 되어 성장이 느려지게 된다.
한편, 무척추 동물이 일정 기간 이상, 예를 들면 D상 유생 중기 이상으로 성장하면 사육조(3)의 중간으로 몰리는 현상이 나타나는 바, 상기 과밀 방지틀(25)에 의하여 외측으로 분산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밀 방지틀(25)은 회전 암(23)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H형상 구조를 갖는다.
즉, 한 쌍의 방지판이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며, 그 사이에 연결바에 의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이러한 방지판은 회전 암(23)에 고정된다. 이때, 과밀 방지틀(25)은 2개가 바람직하며, 2개의 과밀 방지틀(25)이 서로 대칭을 이루는 2개의 회전 암(23)에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2개의 과밀 방지틀(25)도 서로 대칭을 이루어 배치된다.
이와 같이 회전 암(23)에 일체로 고정된 과밀 방지틀(25)은 회전 암(23)이 회전하는 경우 같이 회전함으로써 이 과정에서 유수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게 되고, 따라서 무척추 동물도 외측으로 밀려나게 됨으로써 중간에 집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보다 효과적으로 분사시키기 위하여 회전 암(23)의 회전수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한편, 사육조(3)의 물은 배수관(27)을 통하여 배출되는 바, 이때 물에 함유된 이물질은 상기 스크린(9)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9)은 배수관(27)의 상측에 배치되는 필터(Filter)를 포함하며, 스크린(9) 망은 다양한 크기를 갖는 바, 예를 들면 40 내지 100μm의 망크기를 갖는 뮬러거즈(Muller gauze)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유생 사육기간 동안 정지식 배양을 하면서 매일매일 30% 가량 이상의 사육수를 1일 1회 정도 환수를 해주면서 유생에게 스트레스를 주게 되는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수관(27)에 스크린(9)을 설치하여 지속적으로 사육수를 공급하는 유수식 사육방법으로 사육 유생의 밀도를 극대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9)의 외측에는 외부관(31)을 배치하여 스크린(9)을 감쌀 수 있다.
스크린(9)의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경우 물이 배수관(27)으로 배출될 수 없게 되어 사육조(3)의 물이 넘칠 수 있다.
따라서, 외부관(31)을 배치함으로써 스크린(9)이 막혀도 배수관(27)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즉, 외부관(31)은 배수관(27)의 상측에 장착되는 바, 이때, 외부관(31)의 내측에 스크린(9)이 배치되고, 외부관(31)의 하부는 배수관(27)과 연결되어 물이 흘러갈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우선 외부관(31)을 통하여 유입된 후, 스크린(9)이 막혀있어도 외부관(31)의 하부는 배수관(27)과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물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스크린(9)을 장기적으로 사용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이 표면에 부착되는 바, 과부하로 스크린(9)이 내측으로 압력을 받게 된다(53).
따라서, 이물질을 스크린(9)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스크린(9)의 내측에 이물질 제거부(29)를 장착할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제거부(29)는 스크린(9)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샤프트(Shaft;37)와; 샤프트(37)에서 외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Frame;49)과; 프레임(49)에 구비되어 스크린(9)의 내측에 접촉하여 충격을 가함으로써 이물질을 제거하는 롤러(Roller;51)와; 사육조(3)의 내부에 장착되어 유수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샤프트(37)를 회전시키는 회전판(47)과; 회전판(47)과 샤프트(37)의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39)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이물질 제거부(29)에 있어서,
샤프트(37)는 스크린(9)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부가 스크린(9)의 바닥에 베어링 등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샤프트(37)의 상부는 전달기어(39)를 통하여 회전판(47)에 연결된다.
따라서, 사육조(3)의 유수가 회전판(47)에 충돌하는 경우, 회전판(47)이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력은 전달기어(39)를 통하여 샤프트(37)에 전달됨으로써 샤프트(37)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전달기어(39)는 회전판(47)의 회전력을 샤프트(37)에 전달할 수 있는 기어를 의미하는 바, 예를 들면 베벨기어(Bevel gear)일 수 있다.
이러한 베벨기어는 회전판(47)에 연결되는 제 1기어(41)와; 제 1기어(41)와 일정 각도로 치합되어 회전력을 샤프트(37)로 전달하는 제 2기어(43)를 포함한다.
따라서, 회전판(47)이 회전하는 경우, 제 1기어(41)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치합된 제 2기어(43)도 회전함으로써 결국은 샤프트(37)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샤프트(37)의 회전에 의하여 다수개의 롤러(51)가 회전함으로써 스크린(9)의 내측면에 충돌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롤러(51)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3개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샤프트(37)의 외주면에 3개의 프레임(49)이 일정 각도를 이루어 3방향으로 돌출되고, 각 프레임(49)에 롤러(51)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샤프트(37)가 회전할 때 3개의 롤러(51)도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롤러(51)의 갯수는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측에 3개의 롤러(51)가 1셋트를 이루어 구비되고, 그 하측에 다른 3개의 롤러(51)가 1셋트를 이루어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측에 3개의 롤러(51)가 배치되고, 하측에 3개의 롤러(51)가 배치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롤러(51)의 갯수는 스크린(9)의 규격, 유생의 개체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크린(9)을 장시간 사용할 경우, 스크린(9)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여과효율이 저하되는 바, 스크린(9)의 내부에 이물질 제거부(29)를 설치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은, 먼저 회전판(47)이 유수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면, 회전판(47)에 연결된 제 1기어(41)가 회전하게 되고, 제 1기어(41)에 치합된 제 2기어(43)도 같이 회전함으로써 샤프트(37)를 회전시키게 된다. 샤프트(37)가 회전하게 되면 샤프트(37)에 프레임(49)에 의하여 연결된 롤러(51)도 회전하게 되고, 롤러(51)가 회전하면서 스크린(9)의 내측에 충돌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유생 사육장치(1)를 이용하여 실제 실시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코끼리조개 유생 사육 시 회전암의 설치와 유생단계별 회전수에 따른 유생의 공간적 분포 밀도 비교
1) 수조 설치 및 사육 방법
유생사육을 위한 사육조(3)에 회전암 및 보일러를 설치하였다. 회전암은 0.5 회전/분 이상으로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었으며, 회전암은 4개가 설치되었다. 코끼리조개의 산란은 1 ppm Serotonin을 1-1.5 mL 주사를 통해서 개체별로 산란용 통에 수용하여 산란시킨 후 2,000 sperms/mL의 농도로 5,000,000개의 성숙란을 10 L 수조에 수용하여 20초간 수정시킨 후 즉시 세란하여 정자와 성숙란을 합친 후 30초 이내에 세란까지 마쳤다.
세란을 마친 수정란은 20℃ 환경에서 2,000,000 개/10 L의 수용밀도로 부화를 시켰으며, 부화 후 포배기의 유생단계에서 각 실험 수조에 수용하였다.
최초 부화 후 포배기의 유생 10 in,/mL의 밀도로 수용하였다. 먹이는 Chaetoceros calcitransIsochrysis galbana를 5:5의 비율로 포배기 10,000 cells./mL의 밀도에서 각정기 후기에 150,000 cells./mL의 밀도로 순차적으로 공급해 주었다.
그리고 사육수온은 18±1.0℃로 보일러를 이용한 가온을 하여 유지하였다. 회전암은 처음부터 끝까지 2회전/분으로 조절하여 회전시켜 주었다. 그리고 유생 성장 단계별 도5에서와 같이 가장자리의 상단과 하단, 중앙부의 상단과 하단으로 구분하여 유생의 밀도를 ind./mL로 나타내었다.
2) 사육 결과
초기 포배기에는 25 ind./mL의 고른 분포를 보였다. D상유생 초기에는 1.5 회전/분의 속도로 올려 주었으며, 가장자리에서는 7 ind./mL의 밀도였지만, 하단 그리고 중앙으로 갈수록 유생의 밀도는 높아져서 중앙 하단에는 31 ind./mL의 밀도를 보였다. 이 때의 생존율은 85.0%였다.
그리고 후기 D상 유생에서는 공간적 유생의 분포 밀도가 더 큰차이를 보여서 회전수를 보다 높였는데 가장자리 상단에는 0.5 ind./mL의 밀도였지만, 중각 하단에서는 37 ind./mL의 높은 밀도를 보였으며 생존율은 79.5%로 높게 유지 되었다. 그리고 각정기에서는 회전수를 3.0 회전/분으로 높여줬지만, 하지만 중앙부 과밀현상은 보다 더 현저히 차이를 보여 가장자리에서는 유생이 확인되지 않았지만, 중앙 하단에서는 43 ind./mL의 밀도로 생존율 62.0%를 보였다.
그리고, 코끼리조개 유생의 회전암의 회전수에 따른 수조 내 위치에 따른 밀도(ind./mL)를 아래 표1과 같이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134190406-pat00001
<실시예 2>. 코끼리조개 유생 사육 시 정지식과 유수식 회전암 적용과의 비교
1) 수조 설치 및 사육 방법
코끼리조개의 산란, 수정란 확보 및 먹이공급체계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단 1톤 정지식 유생사육수조와 5톤 회전암 설치 사육 수조에서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2) 사육 결과
정지식 사육에서는 10 ind./mL의 초기 수용밀도에서 초기 D상유생기에 65.0%로 비교적 수조에 공간적으로 골고루 분포하였으며, 후기 D상유생기에는 중앙 하단부에 4 ind./mL, 가장자리 상단에 2 ind./mL의 밀도로 밀도차이를 보이면서 30.0%의 생존율을 보였다. 각정기에는 공간적인 분포는 D상유생기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후기 유생기의 생존율은 11.0%였다. 회전암 적용 수조에서는 최초 10ind./mL의 밀도에서 초기 D상유생기에 가장자리 상단에 2 ind./mL, 중앙 하단에 10 ind./mL의 밀도로 공간적인 차이를 많이 보였고, 75%의 생존율을 보였다. 이후 후기 D상 유생시기에 가장자리 상단과 하단의 밀도가 줄어들면서 중앙부의 하단에서 초기 10 ind./mL를 초과하여 15 ind./mL의 밀도로 증가하였으며, 생존율은 66.3%를 보였다. 최종 후기 각정기에서는 가장자리에서는 유생이 관찰되지 않았지만, 중앙부에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8 ind./mL와 17 ind./mL의 밀도를 보여 전체적으로 63.8%의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그리고, 코끼리조개 유생의 정지식과 유수식 회전암 적용 시의 단계별 지점별 유생의 밀도(ind./mL)(%)와 같이 표2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134190406-pat00002
* Rotation number on rotating culture was 2.0 times rotation/min.
<실시예 3> 코끼리조개 유생 사육 시 회전암의 H 형
1) 수조 설치 및 사육 방법
코끼리조개의 산란, 수정란 확보 및 먹이공급체계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단, 회전암의 중앙 부위에 H형 과밀방지틀(베이플)을 설치하여 베이플의 설치 여부에 따른 공간적 유생 분포 밀도를 조사하였다.
2) 사육 결과
회전암의 적용에서 중앙 베이플(H형 과밀방지틀) 설치 여부에 따른 결과에서 회전암만 설치한 경우 초기 밀도 37 ind./mL에서 초기 D상유생단계에서 가장자리 상단에는 11 ind./mL의 밀도를 보이지만, 중앙하단에는 46 ind./mL로 과밀되기 시작하고, 후기 D상유생기에는 가장자리 상단에서 1 ind./mL의 밀도였고, 중앙하단에는 51 ind./mL를 보였다. 이때 생존율을 73%로 높게 유지되었다. 그리고 후기 각정기에는 가장자리 상단에서 0 ind./mL였지만, 중앙 하단에서는 62 ind./mL로 과밀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반면 H형 베이플이 설치된 수조에서 초기 D상유생기에는 가장자리 상단에서 31 ind./mL, 중앙 상단에서 42 ind./mL의 밀도를 보였다. 그리고 후기 D상유생기에는 가장자리 상단에서 28 ind./mL의 밀도를 보였고, 가장자리 하단에서 41 ind./mL로 가장 높았고, 중앙 상하단에서 각각 38 ind./mL와 34 ind./mL의 밀도를 보여 유생의 과밀 현상은 해소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각정기 유생에서는 가장자리 상단에서 21 ind./mL의 밀도를 보였고, 중앙 상단에서 37 ind./mL로 유생 밀도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코끼리조개 유생의 유수식 회전암에 H형 과밀방지틀 장착 여부에 따른 유생 단계별 지점별 유생의 밀도(ind./mL)를 아래 표3과 같이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134190406-pat00003
* Rotation number on rotating culture was 2.0 times rotation/min until middle D-shape larvae and 3 times rotation/min. after D-shape larvae.
최종적으로 정지식 사육보다 회전암의 적용에서 생존율이 5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고, 회전암의 적용에 있어서 과밀방지틀(25)을 설치했을 때 유생의 수조내 공간적인 분포도 비교적 균등하게 유지되었으며, 85%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5톤 수조 1개에 회전암과 과밀방지틀(25)을 설치하였을 경우, 187.5 백만개의 후기 각정기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을 고려한다면, 1톤짜리 수조 5개에서 정지식 사육으로 생산하는 각정기 후기 유생 5백만개라면 37.5배의 효율이 높아졌다. 결국 3ㅧ7 m 사각 콘크리트 수조에 코끼리조개 착저기 유생 20만개를 수용한다고 하고 사각 콘크리트 수조가 900개 있다면 1톤 정지식 사육 수조는 180개가 있어서 수용할 착저기 각정기 유생(척저기 유생)을 생산할 수 있지만, 원형 5톤(물량) 회전암 적용 수조는 0.96개(1개)로 모든 양을 확보할 수 있는 생산능력이 된다. 하지만 유수식으로 진행하는 회전암 수조라도 폐사의 우려가 없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최소 2개 이상의 수조에서 좀더 밀도를 낮춰서 사육하는 편이 안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1톤 정지식과 5톤회전암 적용 수조에서 각정기 후기 유생을 생산하는 경우 효율 비교와 바다양식 가능 ha 수를 아래 표4와 같이 나타내었다.
항 목 1톤 정지식 5톤 회전암
각정기 밀도 1 37.5
유생사육 수조 개수 5 1
총 각정기유생 생산량 5,000,000 187,500,000
5톤회전암의 착저기 유생 생산효율 (배수) 37.5
착저기 유생 수용 사각 수조 개수 (예상) 900
착저기 유생 수용 수조당 소요 마리수 200,000
소요되는 착저기 유생의 마리수 180,000,000
소요되는 유생사육 수조의 개수 180 0.96
사각수조당 1 cm 치패 생산마리수(예상) 35,000
예상 전체 생산 1cm 치패 (마리수) 31,500,000
바다양식에서 1 ha 당 방류량(마리수) 100,000
바다양식가능 ha 수 315

Claims (5)

  1. 사육수가 저장되어 이매패류를 사육하는 사육조(3)와;
    사육조(3)의 내부에 배치되어 이매패류의 성장에 맞추어 가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사육하는 회전부(5)와;
    회전부(5)를 구동시키는 구동부(7)와;
    이매패류를 외측으로 분산시키는 과밀 방지틀(25)과;
    사육조(3)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27)과; 그리고
    배수관(27)의 상측에 장착되어 배출되는 유수에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스크린(9)을 포함하며,
    과밀 방지틀(25)은 회전 암(23)에 배치되며 서로 일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한 쌍의 방지판과, 한 쌍의 방지판을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유생 사육장치(1).
  2. 제 1항에 있어서,
    회전부(5)는 사육조(3)의 상부에 배치된 지지대(21)와; 지지대(2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구동부(7)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19)과; 회전축(19)의 하부에 반경 외측방향으로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암(23)을 포함하는 유생 사육장치(1).
  3. 제 2항에 있어서,
    구동부(7)는 모터(11)와; 모터(11)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13)과; 일측은 구동축(13)에 연결되고 타측은 회전축(19)에 연결되는 회전력 전달부재(17)와; 모터(11)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C)를 포함하는 유생 사육장치(1).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스크린(9)의 내측에는 이물질 제거부(29)가 추가로 포함되며,
    이물질 제거부(29)는 스크린(9)의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샤프트(37)와; 샤프트(37)에서 외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49)과; 프레임(49)에 구비되어 스크린(9)의 내측에 접촉하여 충격을 가함으로써 이물질을 제거하는 롤러(51)와; 사육조(3)의 내부에 장착되어 유수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샤프트(37)를 회전시키는 회전판(47)과; 회전판(47)과 샤프트(37)의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기어(39)를 포함하는 유생 사육장치(1).
KR1020190175271A 2019-12-26 2019-12-26 무척추동물 유생 사육장치 KR102352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271A KR102352621B1 (ko) 2019-12-26 2019-12-26 무척추동물 유생 사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5271A KR102352621B1 (ko) 2019-12-26 2019-12-26 무척추동물 유생 사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874A KR20210082874A (ko) 2021-07-06
KR102352621B1 true KR102352621B1 (ko) 2022-01-19

Family

ID=76860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5271A KR102352621B1 (ko) 2019-12-26 2019-12-26 무척추동물 유생 사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6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442491A1 (pl) * 2022-10-10 2024-04-15 Instytut Zootechniki - Państwowy Instytut Badawczy Urządzenie do wybudzania bezkręgowców morskich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828B1 (ko) 1997-10-29 2000-05-15 유선진 호수 및 저수지의 폐수정화 처리장치
KR101402648B1 (ko) 2013-11-21 2014-06-03 대한민국 뱀장어 초기 자어 대량 생산용 도넛형 수조
JP2017012121A (ja) * 2015-07-03 2017-01-19 株式会社二枚貝養殖研究所 貝類飼育装置
KR101728224B1 (ko) 2015-05-22 2017-04-21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천마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
JP6497847B2 (ja) 2014-03-24 2019-04-10 佐々木 正志 広い池・湖沼・入り海の活性化を可能にした耕水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642B1 (ko) 2011-07-22 2013-01-24 대한민국 말백합 어린조개의 인공사육 방법
KR101549211B1 (ko) 2015-02-16 2015-09-02 대한민국 어린 패류의 상향식 수류 실내사육장치
KR102084308B1 (ko) * 2018-04-25 2020-03-03 문경현 김 실내 양식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828B1 (ko) 1997-10-29 2000-05-15 유선진 호수 및 저수지의 폐수정화 처리장치
KR101402648B1 (ko) 2013-11-21 2014-06-03 대한민국 뱀장어 초기 자어 대량 생산용 도넛형 수조
JP6497847B2 (ja) 2014-03-24 2019-04-10 佐々木 正志 広い池・湖沼・入り海の活性化を可能にした耕水機
KR101728224B1 (ko) 2015-05-22 2017-04-21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천마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
JP2017012121A (ja) * 2015-07-03 2017-01-19 株式会社二枚貝養殖研究所 貝類飼育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442491A1 (pl) * 2022-10-10 2024-04-15 Instytut Zootechniki - Państwowy Instytut Badawczy Urządzenie do wybudzania bezkręgowców morski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874A (ko)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84396C (zh) 一种头足类苗种培育的方法及所用的装置
WO2015129582A1 (ja) 被養殖生物の養殖方法およびその養殖施設
Browdy¹ et al. 11 Shrimp Culture in Urban, Super-intensive Closed Systems
KR101027277B1 (ko) 해삼 및 전복 종묘 복합 양식 방법
CA2581100A1 (en) Method for raising aquatic animals
KR102352621B1 (ko) 무척추동물 유생 사육장치
JP2014054195A (ja) 陸上養殖システム
JP2019050764A (ja) マシジミの養殖方法及び養殖装置
KR101806086B1 (ko)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방법
CN103270982B (zh) 解放眉足蟹人工苗种培育方法
JPH1156162A (ja) 循環海水を用いた海産動物養殖方法及び海産動物養殖用水槽システム
CN102428894A (zh) 蚂蟥人工养殖方法
JP3535103B2 (ja) 真珠養殖方法とそのシステム
US40809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oding fish
JP6762262B2 (ja) 貝類飼育システム及び貝類飼育方法
KR20160133274A (ko) 사료통이 장착된 해삼 양식용 쉘터
KR20200102788A (ko) 이동식 수산생물 방류장치를 이용한 종묘 방류 시스템
Mozes et al. Production systems
CN104488793B (zh) 一种鱼类单体养殖系统及其养殖方法
KR101890563B1 (ko) 문어 치어의 단계별 생육 양식어장 구조
JP2019041701A (ja) 貝類の養殖装置
KR102060864B1 (ko) 노지양식용 해삼 양식장치
CN112021227A (zh) 一种水产养殖用网箱装置
KR101822738B1 (ko) 이종생물 사육을 통한 바이오플락 슬러지 조절 양식장치 및 방법
CN114651754B (zh) 一种黄条鰤苗种工厂化培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