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499B1 - 병충해 예방 및 생육 촉진을 위한 친환경 멀칭지 - Google Patents

병충해 예방 및 생육 촉진을 위한 친환경 멀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499B1
KR102352499B1 KR1020210096301A KR20210096301A KR102352499B1 KR 102352499 B1 KR102352499 B1 KR 102352499B1 KR 1020210096301 A KR1020210096301 A KR 1020210096301A KR 20210096301 A KR20210096301 A KR 20210096301A KR 102352499 B1 KR102352499 B1 KR 102352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ching paper
mulching
weight
paper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환
Original Assignee
임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환 filed Critical 임용환
Priority to KR1020210096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01G13/0275Fil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2Mulches, i.e. covering material not-pre-formed in mats or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52Mulch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28Colorants ; Pigments or opacify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6Biocidal agents, e.g. 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ag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이 재배되는 경작지에 덮어져 잡초억제와 수분유지 및 보온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멀칭지(10)에 관한 것으로, 상기 멀칭지(10)는 재생펄프, 순수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혼합 조성되고, 햇빛을 반사시켜 작물의 생육을 도모하도록 명도나 채도가 높은 밝은 색으로 형성하되, 상기 멀칭지(10)의 표면이나 이면 또는 양면에 어두운색이나 녹색계열의 도료를 인쇄 처리한 착색층(1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명도나 채도가 높은 밝은 색이나 명도나 채도가 낮은 어두운색을 표면과 이면에 이중으로 착색 처리함에 따라 단일의 제품만으로도 작물의 종류나 재배조건에 맞춰 밝은 색이나 어두운색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제작과 유통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구매와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어 판매자와 구매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병충해 예방 및 생육 촉진을 위한 친환경 멀칭지{Eco-friendly mulching paper for pest prevention and growth promotion}
본 발명은 농작물이 재배되는 경작지에 덮어져 잡초억제와 수분유지 및 보온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멀칭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명도나 채도가 높은 밝은 색이나 명도나 채도가 낮은 어두운색을 표면과 이면에 이중으로 착색 처리함에 따라 단일의 제품만으로도 작물의 종류나 재배조건에 맞춰 밝은 색이나 어두운색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제작과 유통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구매와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어 판매자와 구매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병충해 예방 및 생육 촉진을 위한 친환경 멀칭지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친환경 농업을 위한 여러 가지 기술 중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방법으로는 멀칭재배법이 있다.
멀칭재배란 농작물을 재배할 때 토양의 표면에 멀칭지를 덮어주는 것으로, 지온 조절, 잡초 및 병충해 발생 억제, 토양 내 수분 유지, 토양오염방지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멀칭지는 목적에 따라 대부분 흰색이나 검은색을 가진 멀칭지가 사용되고 있다.
흰색의 멀칭지는 빛을 반사시켜 하우스와 같은 환경에서는 우수한 보온성을 제공한다.
반면에 빛의 반사로 인해 작물에 따라 엽록체에 영향을 주어 병해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검은색의 멀칭지는 빛을 흡수하여 지면의 온도를 높여주고, 빛의 투과를 차단함에 따라 잡초의 성장을 억제할 수가 있다.
반면에 검은색으로 인한 복사열로 인해 고구마와 같은 뿌리식물의 생장에는 오히려 장애가 된다.
이와 같이 작물에 생육조건에 맞춰 흰색과 검은색의 멀칭지를 개별로 제작과 및 유통해야 되므로 수량의 증가로 소요되는 비용을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친환경적 농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일정시간 이후에 토양에서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생분해성 종이 멀칭지의 개발이 나날이 심화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3754호 (발명의 명칭: 이중배색 멀칭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멀칭 농사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명도나 채도가 높은 밝은 색이나 명도나 채도가 낮은 어두운색을 표면과 이면에 이중으로 착색 처리함에 따라 단일의 제품만으로도 작물의 종류나 재배조건에 맞춰 밝은 색이나 어두운색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제작과 유통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구매와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어 판매자와 구매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병충해 예방 및 생육 촉진을 위한 친환경 멀칭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농작물이 재배되는 경작지에 덮어져 잡초억제와 수분유지 및 보온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멀칭지에 관한 것으로, 상기 멀칭지는 재생펄프, 순수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혼합 조성되고, 햇빛을 반사시켜 작물의 생육을 도모하도록 명도나 채도가 높은 밝은 색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멀칭지는 케나프 10~30 중량%, 야자섬유 5~15 중량%, 침엽수펄프 50~60 중량%, 목화 8~10 중량%, 기능성 첨가제 0.5~2.5 중량%로 혼합 조성되어 액체비료의 사용과 함께 자연 분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멀칭지는 멀칭지원료 100 중량%에 대해 병충해 예방 기능을 갖는 은행잎 추출물 10~20 중량%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멀칭지는 곤죽상태의 멀칭지원료에 햇빛의 투과를 차단해서 잡초의 생장을 억제하며 햇빛을 흡수해서 지면의 온도를 높이도록 어두운색이나 녹색계열의 도료를 소정 중량비로 혼합하여 일체로 염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멀칭지는 표면이나 이면 또는 양면에 어두운색이나 녹색계열의 도료를 인쇄 처리한 착색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착색층은 멀칭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 변부에만 소정 폭으로 인쇄 처리되어 멀칭지의 밝은색과 함께 투톤으로 배색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도료는 물 100 중량%에 대해 숯가루 10~60 중량%와 전분 10~30 중량%로 조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각 성분 범위 내에서 조성비를 조절하여 색상 조정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멀칭지는 작물별 재배간격에 맞춰 설정 크기로 천공 배열되는 원형 또는 각형의 재배구멍들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멀칭지는 통수와 통풍(하절기)을 유도하도록 설정 크기로 천공 배열되는 원형 또는 각형의 통기구멍들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통기구멍들은 크기를 0.1~2mm로 형성하고, 2 내지 20mm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본 발명은 명도나 채도가 높은 밝은 색이나 명도나 채도가 낮은 어두운색을 표면과 이면에 이중으로 착색 처리함에 따라 단일의 제품만으로도 작물의 종류나 재배조건에 맞춰 밝은 색이나 어두운색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제작과 유통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구매와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어 판매자와 구매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순수 식물성 원료인 케나프와 침엽수를 주원료로 조성함으로써, 종이처럼 자연분해가 가능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양에 완전분해와 동시에 각종 미네랄 성분을 제공함으로써, 가벼운 중량과 수거의 불필요로 인해 노동력 절감은 물론 기름진 토양으로 개질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작물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재배구멍을 형성함에 따라 비숙련자라도 신속하고 정확한 위치에 작물을 심을 수가 있고,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통기구멍을 형성함에 따라 기온 상승과 가뭄 시 통수와 통풍이 원활하게 유지되어 작물의 수확량과 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칭지를 나타내는 렌더링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칭지를 나타내는 렌더링사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칭지를 나타내는 렌더링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칭지의 재배구멍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칭지의 통기구멍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농작물이 재배되는 경작지에 덮어져 잡초억제와 수분유지 및 보온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멀칭지(1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멀칭지(10)는 재생펄프, 순수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혼합 조성된다.
즉, 멀칭지(10)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조성할 수 있지만, 액체비료의 사용과 함께 자연 분해가 가능한 케나프와 침엽수펄프를 주원료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케나프 10~30 중량%, 야자섬유 5~15 중량%, 침엽수펄프 50~60 중량%, 목화 8~10 중량%, 기능성 첨가제 0.5~2.5 중량%로 혼합 조성될 수 있다.
케나프는 이산화탄소 흡수율이 상수리나무의 10배, 해바라기와 옥수수보다는 30~60배 보다 높은 기능을 가진다.
즉, 케나프의 사용량을 증대시켜 개체수가 늘어난다면, 온실가스 감축과 함께 미세먼지 절감에 기여할 수가 있다.
그리고 침엽수, 즉 침엽수 펄프는 섬유질이 길고 질긴 성질이 있어 종이멀칭지에 탁월하다.
목화는 유전자 변형 식물이 아닌 재래종을 사용하며 가공되지 않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멀칭지(10)는 멀칭지원료 100 중량%에 대해 은행잎 추출물 10~20 중량%를 더 혼합 조성할 수도 있다.
은행잎 추출물은 병충해 예방 기능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초록색의 은행잎을 분쇄하여 분말화하거나 물에 넣고 끓여낸 채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멀칭지(10)는 도 1a처럼 밝은 색으로 형성할 수 있고, 도 1b처럼 어두운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밝은 색 멀칭지(10)는 햇빛을 반사하는 흰색이 형성되어 작물의 생육을 도모한다.
어두운색 멀칭지(10)는 햇빛의 투과를 차단함과 함께 햇빛을 흡수하는 검은색이나 녹색으로 형성되어 잡초를 억제함과 함께 지면의 온도를 높여준다.
여기서 밝은 색 멀칭지(10)는 멀칭지원료를 표백 처리할 경우 자동으로 흰색을 띠게 되는 반면, 어두운색은 검은색이나 녹색도료의 첨가가 필요하다.
즉, 멀칭지(10)를 이루는 멀칭지원료에 물, 천연접착제, 습강제, 중화제, 분산제를 혼합하는 과정에서 어두운색 도료를 첨가하여 제작한다.
이러한 도료는 중금속인 납, 카드뮴, 크롬, 안티몬, 비소, 바륨, 셀레늄, 수은, 구리, 니켈, 아연 등이 포함되지 않은 도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어두운색 도료는 물 100 중량%에 대해 숯가루 10~60 중량%와 전분 10~30 중량%로 조성된 천연물질을 사용한다.
여기서 멀칭지원료와 도료의 혼합비율을 통해 멀칭지(10)를 짙은 어두운색이나 옅은 어두운색 등 다채로운 명도로 염색할 수가 있다.
또한, 염색은 멀칭지 완성 후, 상기 멀칭지를 가공할 때 멀칭지에 염색한다.
또한, 멀칭지(10)는 도 1b와 같이 멀칭지(10) 자체에 염색할 수도 있지만, 도 2와 같이 멀칭지(10)의 이면에 도료를 인쇄(도포) 처리한 착색층(1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멀칭지(10)의 표면에는 흰색을 띠게 되고, 이면에는 도 2a처럼 검은색이나 도 2b처럼 녹색을 띠게 된다.
즉, 단일의 멀칭지(10)만으로도 작물의 종류나 재배조건에 맞춰 밝은 색이나 어두운색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제작과 유통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구매와 사용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멀칭지(10)는 도 2처럼 어느 한 면에 착색층(11)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도 3 및 도 4와 같이 착색층(11)의 어두운색과 밝은색이 공존하는 투톤을 띠게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 3a 및 도 4a처럼 멀칭지(10)의 이면 양측 변부로 검은색 또는 녹색을 띠는 착색층(11)을 소정 폭으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도 3b 및 도 4b처럼 멀칭지(10)의 양면 양측 변부로 검은색 또는 녹색을 띠는 착색층(11)을 소정 폭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멀칭지(10)는 잡초의 억제와 함께 빛의 투영이 필요한 고구마와 같은 뿌리작물용으로 적합하다.
여기서 멀칭지(10)의 이면 양측 변부로만 착색층(11)을 형성할 경우에는 전술한 것처럼 작물의 종류나 재배조건에 맞춰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한편, 멀칭지(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물별 재배간격에 맞춰 설정 크기로 천공 배열되는 원형 또는 각형의 재배구멍(12)들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재배구멍(12)은 설정 간격을 두고 1열로 배열할 수도 있고, 2열 내지 8열(도면 미 도시)로 배열할 수가 있다.
물론, 작물의 특성에 따라 각 열들이 동일선상에 배열될 수 있고, 각 열들이 지그재그로도 배열할 수가 있다.
이처럼 작물에 맞춘 재배구멍(12)으로 인해 멀칭지(10)를 찢는 작업과 위치선정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노동력을 단축할 수가 있다.
무엇보다 비숙련자라도 작물 특성에 맞춰 신속하고 정확한 위치에 작물을 심을 수가 있으므로 올바른 재배가 가능하여 기본 수확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멀칭지(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크기로 천공 배열되는 원형 또는 각형의 통기구멍(13)들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즉, 통기구멍(13)들은 크기를 0.1~2mm로 형성하고, 2 내지 20mm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한 것으로, 기온 상승과 가뭄 시 통수와 통풍을 원활하게 유도하여 작물의 수확량과 품질을 높여준다.
이러한 통기구멍(13)은 재배구멍(12)과 함께 형성할 수도 있고, 독립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멀칭지
11: 착색층
12: 재배구멍
13: 통기구멍

Claims (7)

  1. 농작물이 재배되는 경작지에 덮어져 잡초억제와 수분유지 및 보온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멀칭지(10)에 있어서,
    상기 멀칭지(10)는 재생펄프, 순수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혼합 조성되고, 햇빛을 반사시켜 작물의 생육을 도모하도록 명도나 채도가 높은 밝은 색으로 형성되며,
    상기 멀칭지(10)의 이면 또는 양면에 양측 변부로 검은색을 띠는 착색층(11)을 소정 폭으로 인쇄 처리하여 형성하며,
    상기 밝은 색의 멀칭지(10)는 멀칭지원료를 표백 처리하여 자동으로 흰색을 띠게 하고, 어두운색은 검은색 도료의 첨가하여 형성하며,
    상기 착색층(11)은 검은색의 도료를 인쇄 처리하여 곤죽상태의 멀칭지원료에 햇빛의 투과를 차단해서 잡초의 생장을 억제하며 햇빛을 흡수해서 지면의 온도를 높이도록 검은색이나 녹색계열의 도료를 소정 중량비로 혼합하여 일체로 염색하고,
    상기 염색은 멀칭지 완성 후, 상기 멀칭지를 가공할 때 멀칭지에 염색하며,
    상기 멀칭지(10)는 케나프 10~30 중량%, 야자섬유 5~15 중량%, 침엽수펄프 50~60 중량%, 목화 8~10 중량%, 기능성 첨가제 0.5~2.5 중량%로 혼합 조성되어 액체비료의 사용과 함께 자연 분해가 가능하며,
    상기 착색층(11)은 멀칭지(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변부에만 검은색의 도료를 인쇄 처리하여 소정 폭으로 인쇄 처리되어 멀칭지(10)의 중앙부 밝은색과 함께 투톤으로 배색 처리하며,
    상기 검은색 도료는 물 100 중량%에 대해 숯가루 10~60 중량%와 전분 10~30 중량%로 조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충해 예방 및 생육 촉진을 위한 친환경 멀칭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칭지(10)는 멀칭지원료 100 중량%에 대해 병충해 예방 기능을 갖는 은행잎 추출물 10~20 중량%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충해 예방 및 생육 촉진을 위한 친환경 멀칭지.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칭지(10)는 작물별 재배간격에 맞춰 설정 크기로 천공 배열되는 원형 또는 각형의 재배구멍(12)들을 형성하며,
    통수와 통풍을 유도하도록 설정 크기로 천공 배열되는 원형 또는 각형의 통기구멍(13)들을 구비하고,
    상기 통기구멍(13)들은 크기를 0.1~2mm로 형성하고, 2 내지 20mm 간격을 두고 연속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충해 예방 및 생육 촉진을 위한 친환경 멀칭지.
KR1020210096301A 2021-07-22 2021-07-22 병충해 예방 및 생육 촉진을 위한 친환경 멀칭지 KR102352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301A KR102352499B1 (ko) 2021-07-22 2021-07-22 병충해 예방 및 생육 촉진을 위한 친환경 멀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301A KR102352499B1 (ko) 2021-07-22 2021-07-22 병충해 예방 및 생육 촉진을 위한 친환경 멀칭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499B1 true KR102352499B1 (ko) 2022-01-17

Family

ID=80051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301A KR102352499B1 (ko) 2021-07-22 2021-07-22 병충해 예방 및 생육 촉진을 위한 친환경 멀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4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709A (ko) * 2002-05-31 2003-12-06 기 석 서 녹색과 백색을 띤 농자재 비닐필름
KR20170122700A (ko) * 2017-10-25 2017-11-06 임동업 살균 및 살충효과를 갖는 멀칭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485926Y1 (ko) * 2017-09-29 2018-03-13 김영준 통기슬릿 및 급수슬릿이 형성된 고추재배용 멀칭비닐
KR102013754B1 (ko) 2017-11-10 2019-08-23 손철수 이중배색 멀칭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멀칭 농사방법
KR102236033B1 (ko) * 2020-09-24 2021-04-05 임용환 친환경 자연분해 멀칭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709A (ko) * 2002-05-31 2003-12-06 기 석 서 녹색과 백색을 띤 농자재 비닐필름
KR200485926Y1 (ko) * 2017-09-29 2018-03-13 김영준 통기슬릿 및 급수슬릿이 형성된 고추재배용 멀칭비닐
KR20170122700A (ko) * 2017-10-25 2017-11-06 임동업 살균 및 살충효과를 갖는 멀칭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13754B1 (ko) 2017-11-10 2019-08-23 손철수 이중배색 멀칭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멀칭 농사방법
KR102236033B1 (ko) * 2020-09-24 2021-04-05 임용환 친환경 자연분해 멀칭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737205T2 (de) Pflanzenbehandlungsstoff und verwendungsverfahren
Chhodavadia et al. Pre-and post-emergence herbicides for integrated weed management in summer greengram
Coolong Mulches for weed management in vegetable production
Baiyeri Seedling emergence and growth of pawpaw [Carica papaya] grown under different coloured shade polyethylene
KR102352499B1 (ko) 병충해 예방 및 생육 촉진을 위한 친환경 멀칭지
DE7629967U1 (de) Bodenabdeckungsbahn
US20090277082A1 (en) Sheet for agricultural use
EP1582555A1 (de) Thermoplastische photobiologische Kunststofffolie
US20040103580A1 (en) Weed-preventing paper for use in plant cultivation
KR100248939B1 (ko) 토양 산성화 방지 및 잡초 성장억제용 부직포
KR101282850B1 (ko) 근적외선 반사기능을 갖는 농업용 멀칭필름
JP2762825B2 (ja) 植物保育シートおよび植物の栽培方法
JP4246883B2 (ja) 農業用マルチ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農業用マルチの使用方法
Jagtap et al. An investigation on the effect of soil solarization on soil temperature and soil moisture conservation
JPH1094336A (ja) 土壌被覆シート
JP3187788B2 (ja) 農業用マルチシートの製造方法
EP1424004A1 (en) Weed-preventing paper for use in plant cultivation
JP4077686B2 (ja) 生分解マルチフィルムを用いた栽培方法
JP4486116B2 (ja) 米ぬか・炭粉混合資材によるキャベツ等の無農薬栽培方法
JP3042418U (ja) 土壌被覆シート
KR20140122501A (ko) 농업용 펼침 날개형 멀칭시트
RU226190U1 (ru) Посевная пленка
JP3075577U (ja) 紙製マルチシート
JP2008289457A (ja) 植物周囲を覆う土壌シート
KR20010111469A (ko) 볏짚 및 키토산을 이용한 농업용 종이 멀칭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