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372B1 -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372B1
KR102352372B1 KR1020210076361A KR20210076361A KR102352372B1 KR 102352372 B1 KR102352372 B1 KR 102352372B1 KR 1020210076361 A KR1020210076361 A KR 1020210076361A KR 20210076361 A KR20210076361 A KR 20210076361A KR 102352372 B1 KR102352372 B1 KR 102352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pad part
valve
cov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환
Original Assignee
박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환 filed Critical 박종환
Priority to KR1020210076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3/00Auxiliary closure means in valves, which in case of repair, e.g. rewashering, of the valve, can take over the function of the normal closure means; Devices for temporary replacement of parts of valves for the same purp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227Pack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27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permitting easy assembly or disassembly

Abstract

본 발명은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외부에 복수의 플랜지, 내부에 이송로가 각각 형성되고, 유체나 가스를 이송하는 배관의 외주면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로를 통해 상기 유체나 상기 가스를 이송하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패킹홈에 삽입되어 상기 패드부와 상기 배관의 외경면 사이를 밀폐시키는 패킹부; 상기 패드부의 복수의 플랜지 중 상부에 형성되는 플랜지에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패드부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게이트밸브; 상기 패드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패드부에 형성되는 분기부를 밀폐시키되, 상기 패드부에 형성되는 플랜지의 내주면 둘레에 복수의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패드부의 복수의 끼움돌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끼움홈이 안착판에 형성되어 상기 패드부의 끼움돌기가 상기 안착판의 끼움홈에 끼워진 후 일방향으로 회전을 통해 상기 패드부의 분기부를 밀폐시키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내부에 승강되는 디스크부에 일단부가 회전으로 결합되고, 상기 디스크부에 결합되는 일단부에 대응되는 타단부는 상기 덮개부의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디스크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게이트밸브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배관에 천공홀을 형성시키는 천공기나 상기 배관의 이송로를 차단하거나 제어하는 상기 디스크부가 포함되는 덮개부의 외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천공기, 상기 덮개부, 상기 디스크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덮개부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승강부가 상기 덮개부로부터 분리를 방지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덮개부의 관통구와 연통되도록 연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통구를 통해 상기 디스크부가 결합되는 일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승강부의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어댑터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배관의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제어하는 기존의 교체대상 밸브를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적인면과 경제적인면에서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VALVE SYSTEM FOR EASIER PARTS REPLACEMENT WITH IMPROVED ORDER ROLE}
본 발명은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의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제어하는 기존의 교체대상을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적인면과 경제적인면에서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게이트 밸브는 배관 내의 유체 흐름을 차단 등을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개폐장치로, 게이트 밸브 내부의 디스크와 밸브 몸체가 서로 밀착되어 기밀성이 좋을수록 유체의 차단 등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게이트 밸브의 성능은 디스크의 구조에 의해 큰 차이가 생기며, 특히 게이트 밸브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디스크와 밸브 몸체의 밀착상태가 매우 긴밀해야 하며, 이로 인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밸브시트와 밸브 몸체 사이에는 마찰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밸브시트의 표면이 마모되어 빈틈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빈틈을 통해 유체의 누수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기밀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밸브의 부품교체방식은 부수단공법에 의해 배관에 구멍을 뚫고 연결배관을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발생하며, 배관을 따라 이동하는 액체 및 기체를 차단하는 차단장치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므로, 교체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교체비용이 과도하게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430423호(발명의 명칭: 새들붙이 분수전을 이용한 부단수 풍선지수장치, 등록일자: 2014년 08월 08일) 및 등록특허공보 제10-1815041호(발명의 명칭: 압축 공기식 부단수 차단방법, 등록일자: 2017년 12월 28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배관의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제어하는 기존의 교체대상 밸브를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적인면과 경제적인면에서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은, 외부에 복수의 플랜지, 내부에 이송로가 각각 형성되고, 유체나 가스를 이송하는 배관의 외주면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로를 통해 상기 유체나 상기 가스를 이송하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패킹홈에 삽입되어 상기 패드부와 상기 배관의 외경면 사이를 밀폐시키는 패킹부; 상기 패드부의 복수의 플랜지 중 상부에 형성되는 플랜지에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패드부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게이트밸브; 상기 패드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패드부에 형성되는 분기부를 밀폐시키되, 상기 패드부에 형성되는 플랜지의 내주면 둘레에 복수의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패드부의 복수의 끼움돌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끼움홈이 안착판에 형성되어 상기 패드부의 끼움돌기가 상기 안착판의 끼움홈에 끼워진 후 일방향으로 회전을 통해 상기 패드부의 분기부를 밀폐시키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내부에 승강되는 디스크부에 일단부가 회전으로 결합되고, 상기 디스크부에 결합되는 일단부에 대응되는 타단부는 상기 덮개부의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디스크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게이트밸브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배관에 천공홀을 형성시키는 천공기나 상기 배관의 이송로를 차단하거나 제어하는 상기 디스크부가 포함되는 덮개부의 외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천공기, 상기 덮개부, 상기 디스크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덮개부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승강부가 상기 덮개부로부터 분리를 방지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덮개부의 관통구와 연통되도록 연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통구를 통해 상기 디스크부가 결합되는 일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승강부의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어댑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며, 하부 외주면은 상기 패드부의 플랜지에 배치되고, 하부 내주면은 상기 덮개부의 안착판에 배치되어 상기 패드부에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되는 마감패널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하부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받침부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디스크부의 하단부를 받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내부에 승강홈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부에 상기 패드부의 승강홈에 대응되는 승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패드부의 승강홈과 상기 디스크부의 승강돌기는 하부방향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플랜지의 외주면 둘레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패드부의 복수의 구멍에 대응되는 상기 덮개부의 외주면 둘레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부의 구멍과 상기 덮개부의 홈에 나사나 핀을 이용하여 상기 패드부에 구비되는 상기 덮개부의 회전을 억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부와 상기 승강부의 사이에 결합되되, 상기 디스크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일단부가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승강부의 승강축에 결합되는 인서트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하부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받침부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패드부의 내부에 있는 쇳가루와 같은 이물질이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부패드부와 하부패드부로 구성되며, 상기 패드부의 하부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받침부에 닿게 되는 상기 디스크부는 하단부에 밀림방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림방지홈에 대응되는 상기 받침부에 밀림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의 밀림방지돌기에 상기 디스크부의 밀림방지홈이 삽입되면서 상기 배관의 내부에 이송하는 상기 유체나 가스로 인한 힘에 상기 디스크부가 상기 하부패드부로부터 밀림을 억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부는 외주면 둘레에 고무패킹이 형성되어 상기 배관의 내부에 이송되는 상기 유체나 상기 가스를 차단하는 차수 역할을 하고, 상기 고무패킹은 상기 패드부의 승강홈에 대응되는 일면이나 양면에 승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패드부의 승감홈을 통해 승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하부에 차단편이 형성되어 상기 패드부의 내부에 삽입을 통해 상기 배관으로부터 상기 유체나 상기 가스의 승강을 차단하여 외부로 상기 유체나 상기 가스의 누출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차단편 외주면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이 구비되어 상기 패드부의 분기부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덮개부의 차단편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이 구비되어 상기 패드부의 분기부 내주면 바닥에 밀착되어 상기 패드부를 통해 이송하는 상기 유체나 상기 가스의 누출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부의 외주면 둘레에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고무패킹이 형성되고, 상기 고무패킹이 형성되는 상기 디스크부는 상기 배관으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유체나 상기 가스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밀려 상기 디스크부가 구비되는 상기 패드부의 관통구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유체나 상기 가스의 다른 방향으로 이송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부패드부와 하부패드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패드부와 상기 하부패드부는 밀착되는 각각의 일면 중 어느 하나의 패드부 일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대응되는 다른 하나의 패드부 일면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외부에 복수의 플랜지가 형성되되, 상기 게이트밸브가 설치되는 상부플랜지와 상기 상부플랜지와 직교로 배치되는 끝단부플랜지가 상기 패드부의 양끝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끝단부플랜지의 외주면 둘레에 나사와 같은 누름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패드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배관의 외주면 둘레를 상기 누름수단을 이용하여 누른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디스크부가 구비되는 부분이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외부에 복수의 플랜지가 형성되되, 상기 게이트밸브가 설치되는 상부플랜지와 상기 상부플랜지와 직교로 배치되는 끝단부플랜지가 상기 패드부의 양끝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패드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배관의 외주면 둘레와 상기 끝단부플랜지의 내주면 둘레 사이에 밀착수단이 개재되고, 상기 밀착수단은 상기 끝단부플랜지의 외주면 둘레에 구비되는 나사에 연계되어 상기 나사의 회전을 통해 상기 밀착수단이 이동하여 상기 배관의 외주면 둘레에 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플랜지와 상기 덮개부의 안착판에 배치되는 상기 마감패널부의 사이에 오링이 구비되어 상기 패드부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유체나 상기 가스의 누출을 차단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배관의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제어하는 기존의 교체대상 밸브를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적인면과 경제적인면에서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순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의 마감패널부가 더 포함된 일 실시예의 순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게이트밸브와 구동부를 제외한 구성요소들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게이트밸브와 구동부를 제외한 구성요소들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상부패드부의 내부에 덮개부가 회전을 통해 구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따른 패드부의 저면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따른 상부패드부와 덮개부가 마감패널부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따른 디스크부의 외주면 둘레에 고무패킹이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1에 따른 상부패드부와 덮개부의 다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10은 도 1에 따른 배관이 설치되어 차수역할이 향상된 밸브 중 내부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도 1에 따른 패킹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서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의 마감패널부가 더 포함된 일 실시예의 순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게이트밸브와 구동부를 제외한 구성요소들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게이트밸브와 구동부를 제외한 구성요소들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따른 상부패드부의 내부에 덮개부가 회전을 통해 구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패드부의 저면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따른 상부패드부와 덮개부가 마감패널부를 이용하여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에 따른 디스크부의 외주면 둘레에 고무패킹이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1에 따른 상부패드부와 덮개부의 다른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1에 따른 배관이 설치되어 차수역할이 향상된 밸브 중 내부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1에 따른 패킹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100)은,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부(110), 패킹부(120), 게이트밸브(130), 덮개부(140), 승강부(150), 구동부(160), 어댑터부(17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패드부(110)는 외부에 복수의 플랜지(111a, 111b, 112e), 내부에 이송로가 각각 형성되고, 유체나 가스를 이송하는 배관(10)의 외주면 둘레에 설치되어 이송로를 통해 유체나 가스를 이송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패드부(110)는 금속 소재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과 같이 중심으로 기준으로 하프파이프 형상의 상부패드부(111)와 하부패드부(112)로 분할되거나 분할되지 않는다.
유체나 가스를 이송하는 배관(10)과 패드부(110)의 설치 관계는 외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플랜지(111a, 111b, 112e) 중 양측에 형성되는 플랜지(111b, 112e)에 배관(10)이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되거나 본 발명과 같이 배관(10)의 외주면 둘레 즉 패드부(110)의 내부에 배관(10)이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패드부(110)는 외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플랜지(111a, 111b, 112e) 중 양측에 형성되는 플랜지(111b, 112e)의 하부는 평평하게 형성되어 돌이나 모래 등과 같이 바닥이 고르지 못한 설치 현장의 바닥에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잘 세워지도록 하기 위함과 동시에 중량체인 패드부(110)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근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패드부(110)의 양측에 형성되는 플랜지(111b, 112e)는 하부가 평평하게 형성되어 바닥이 고르지 못한 설치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세워지도록 함은 물론 설치 현장에서 사용되는 별도의 부목을 용이하게 받치도록 한다.
패드부(110)는 상부패드부(111)와 하부패드부(112)로 구성된다.
상부패드부(111)는 하프파이프 형상으로 유체나 가스를 이송하는 배관(10)의 상부 외주면 둘레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부 중앙(111a)과 양끝단부에 플랜지(111b)가 각각 형성된다.
상부패드부(111)는 양끝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플랜지(111b)의 사이에 평평하게 형성되는 부분에 고정수단인 나사 복수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부패드부(111)는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하부패드부(112)와 같이 양끝단부에 플랜지(111b, 112e)가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양끝단부에 플랜지(111b, 112e)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양끝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는 상부패드부(111)와 하부패드부(112)는 양끝단부에 배관의 외주면 둘레를 누르거나 밀착시킬 수 있는 누름수단과 밀착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누름수단과 밀착수단에 의해 패드부(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배관(10)은 천공기를 이용하여 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에도 흔들림이 없게 된다.
하부패드부(112)는 상부패드부(111)와 대응되는 하프파이프 형상으로, 배관(10)의 하부 외주면 둘레에 감싸도록 결합되되, 상부패드부(111)와 밀착되게 결합되고, 양끝단부에 플랜지(112e)가 각각 형성된다.
하부패드부(112)는 상부패드부(111)와 같이 양끝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플랜지(112e)의 사이에 평평하게 형성되는 부분에 결합수단인 나사 복수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되, 상부패드부(111)에 형성되는 복수의 구멍과 일치되도록 형성된다.
하부패드부(112)와 상부패드부(111)는 배관(10)의 외주면 둘레에 감싸도록 한 상태에서 결합수단인 복수개의 나사를 이용하여 배관(10)의 외주면 둘레에 단단하게 결합된다.
패드부(110) 중 하부패드부(112)는 하부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받침부(112a)에 삽입홈(112b)이 형성되고, 삽입홈(112b)에 삽입되는 디스크부(D)의 하단부를 받친다.
하부패드부(112)는 하부에 디스크부(D)의 하단부를 받치는 받침부(112a)가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돌출 형성되는 받침부(112a)가 디스크부(D)의 하단부를 평평하게 형성되는 구조보다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기 위함이다.
하부패드부(112)에 돌출 형성되는 받침부(112a)는 받침부(112a)에 삽입홈(112b)이 형성되는 것으로, 받침부(112a)에 형성되는 삽입홈(112b)으로 인해 받침부(112a)에 삽입되는 디스크부(D)를 더욱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다.
패드부(110)의 하부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받침부(112a)에 배출구(112c)가 형성되고, 배출구(112c)를 통해 패드부(110)의 내부에 있는 쇳가루와 같은 이물질이 배출된다.
천공홀(11)이 형성되는 배관(10)의 하부를 감싸는 하부패드부(112)의 하부 즉, 받침부(112a)에 천공기를 이용하여 천공홀(11)을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쇳가루가 가라앉게 되는 것으로, 받침부(112a)에 형성되는 배출구(112c)를 통해 쇳가루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받침부(112a)에 형성되는 배출구(112c)는 배출구(112c) 인근에 자석이 구비되어 천공기를 통해 발생되는 쇳가루를 모이도록 하여 유체나 가스의 흐름으로 인해 떠내려가는 것을 최대한 억제시키면서 최대한 좁은 범위 즉, 배출구(112c) 인근에 쇳가루를 모이도록 하여 배출시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구(112c) 인근에 구비되는 자석은 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파손되거나 시간의 경과 등으로 인해 쇳가루를 끌어당기는 자석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면 신속하게 교체가 가능하다.
받침부(112a)가 형성되는 배출구(112c)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경우에 따라서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출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패드부(110)의 하부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받침부(112a)에 닿게 되는 디스크부(D)는 하단부에 밀림방지홈(D2)이 형성되고, 밀림방지홈(D2)에 대응되는 받침부(112a) 즉 삽입홈(112b)에 밀림방지돌기(112f)가 형성되어 받침부(112a)의 밀림방지돌기(112f)에 디스크부(D)의 밀림방지홈(D2)이 삽입되면서 배관(10)의 내부에 이송하는 유체나 가스로 인한 고압의 힘에 디스크부(D)가 하부패드부(112)로부터 밀림을 억제시켜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다.
패드부(110)의 내부에 승강홈(111f, 112d)이 형성되고, 디스크부(D)에 패드부(110)의 승강홈(111f, 112d)에 대응되는 승강돌기(D1)가 형성되며, 패드부(110)의 승강홈(111f, 112d)과 디스크부(D)의 승강돌기(D1)는 하부방향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패드부(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승강홈(111f, 112d)은 상부패드부(111)의 승강홈(111f)과 하부패드부(112)의 승강홈(112d)으로 구성되고, 상부패드부(111)의 승강홈(111f)과 하부패드부(112)의 승강홈(112d)은 연계되도록 구성된다.
상부패드부(111)와 하부패드부(112)에 각각 형성되는 승강홈(111f, 112d)은 배관(10)에 차수역할을 하기 위해 패드부(110)에 삽입되는 디스크부(D)가 디스크부(D)의 승강돌기(D1)와 결합으로 인해 안정적이면서 신속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역할을 한다.
상부패드부(111)와 하부패드부(112)에 각각 형성되는 승강홈(111f, 112d)과 디스크부(D)의 승강돌기(D1)는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디스크부(D)가 상부패드부(111)와 하부패드부(112)에 용이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디스크부(D)의 하단부가 하부패드부(112)의 받침부(112a)에 안착되면서 흔들림이 없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어 고압의 유체나 가스로 인해 충분히 차수역할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패드부(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승강홈(111f, 112d)은 상부패드부(111)와 하부패드부(112)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디스크부(D)가 제일 먼저 삽입되는 상부패드부(111)에만 승강홈(111f)이 형성될 수 있다.
패드부(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플랜지(111a)의 외주면 둘레에 복수의 구멍(111e)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패드부(110)의 복수의 구멍(111e)에 대응되는 덮개부(140)의 외주면 둘레에 복수의 홈(143a)이 형성되고, 패드부(110)의 구멍(111e)과 덮개부(140)의 홈(143a)에 나사나 핀을 이용하여 패드부(110)에 구비되는 덮개부(140)의 회전을 억제시킨다.
도면을 기준으로, 패드부(110)의 상부플랜지(111) 외주면 둘레에 4개의 구멍(111e)이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패드부(110) 즉, 상부패드부(111)에 삽입되어 구비되는 덮개부(140)의 구성요소인 차단편(143)의 외주면 둘레에 4개의 홈(143a)이 형성되며, 상부패드부(111)의 내부에 덮개부(140)를 삽입시키되, 상부패드부(111)의 구멍(111e)과 덮개부(140)의 홈(143a)을 일치하도록(연계되도록) 삽입시켜 나사나 핀을 끼움결합하여 덮개부(140)가 상부패드부(111)로부터 회전을 억제시킴은 물론 상부패드부(111)와 덮개부(140)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패드부(110)는 상부패드부(111)와 하부패드부(112)로 구성되며, 상부패드부(111)와 하부패드부(112)는 밀착되는(닿는) 각각의 일면 중 어느 하나의 패드부(110) 일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대응되는 다른 하나의 패드부(110) 일면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결합돌기가 결합홈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부패드부(111)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하부패드부(112)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부패드부(111)와 하부패드부(112)의 결합시 상부패드부(111)의 결합돌기가 하부패드부(112)의 결합홈에 결합되어 상부패드부(111)와 하부패드부(112)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킨다.
패드부(110)는 외부에 복수의 플랜지(111a, 111b, 112e)가 형성되되, 게이트밸브(130)가 설치되는 상부플랜지(111a)와 상부플랜지(111a)와 직교로 배치되는 끝단부플랜지(111b)가 패드부(110)의 양끝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끝단부플랜지(111b, 112e)의 외주면 둘레에 나사와 같은 누름수단이 구비되어 패드부(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배관(10)의 외주면 둘레를 누름수단을 이용하여 누른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패드부(110)는 끝단부플랜지(111b, 112e)의 외주면 둘레에 복수의 구멍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되, 나사와 같은 누름수단이 회전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패드부(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배관(10)의 외주면 둘레에 나사와 같은 복수의 누름수단이 회전하여 배관(10)의 외주면 둘레에 닿게 되면서 밀착력이 향상된다.
복수의 누름수단에 의해 패드부(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배관(10)은 천공기를 이용하여 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에도 흔들림이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 패드부(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배관(10)을 누름수단인 나사를 이용하여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스프링이 구비된 핀과 같은 다른 누름수단으로도 변경이 가능하다.
패드부(110)는 디스크부(D)가 구비되는 부분이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패드부(110) 중 하부패드부(112)는 하부패드부(112) 전체 중 디스크부(D)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구비되는 삽입홈(112b) 인근만 유선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배관(10)의 직경이 Φ100이고, 천공기의 직경이 Φ125일 경우에 천공기의 천공 작업으로 인해 디스크부(D)가 삽입되는 하부패드부(112)의 삽입홈(112b)이 망가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패드부(110)는 외부에 복수의 플랜지(111a, 111b, 112e)가 형성되되, 게이트밸브(130)가 설치되는 상부플랜지(111a)와 상부플랜지(111a)와 직교로 배치되는 끝단부플랜지(111b, 112e)가 패드부(110)의 양끝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패드부(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배관(10)의 외주면 둘레와 끝단부플랜지(111b, 112e)의 내주면 둘레 사이에 밀착수단이 개재되고, 밀착수단은 끝단부플랜지(111b, 112e)의 외주면 둘레에 구비되는 나사에 연계되어 나사의 회전을 통해 밀착수단이 이동하여 배관(10)의 외주면 둘레에 밀착된다.
패드부(110)의 끝단부플랜지(111b, 112e)의 내주면에 고무소재나 천과 같은 밀착수단이 구비되되, 밀착수단은 패드부(110)의 끝단부플랜지(111b, 112e)의 외주면 둘레에 구비되는 누름수단인 나사와 연계되어 나사의 회전을 통해 밀착수단이 이동하여 배관(10)의 외주면 둘레에 닿게 되면서 밀착력이 향상된다.
밀착수단에 의해 패드부(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배관(10)은 나사인 누름수단과 함께 밀착력이 향상되어 천공기를 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에도 흔들림이 없을 뿐만 아니라 배관(10)의 외주면 둘레에 흠이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 패드부(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배관(10)에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밀착수단이 하나로 이루어지거나 복수로 이루어지되, 누름수단과 동일한 갯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드부(110)의 상부플랜지(111a)와 덮개부(140)의 안착판(142)에 배치되는 마감패널부(180)의 사이에 오링(O)이 구비되어 패드부(110)를 통해 이송되는 유체나 가스의 누출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패드부(110) 중 상부패드부(111)의 상부플랜지(111a)와 상부패드부(111)의 상부플랜지(111a)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마감패널부(180)는 사이에 고무소재의 오링(O)이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있을지도 모를 경우를 대비하여 배관(10)의 내부에 이송하는 유체나 가스가 상부방향으로 누출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시키는 구조이다.
패킹부(120)는 패드부(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패킹홈(112g)에 삽입되어 패드부(110)와 배관(10)의 외경면 사이를 밀폐시킨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패킹부(120)는 상부패킹부(121)와 하부패킹부(122)로 구성되고, 신축성, 차수역할이 우수한 고무소재로 이루어지거나 내마모성이 뛰어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이소시아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진다.
패킹부(120)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막대 형상의 삽입편(121a, 122a)과 삽입편(121a, 122a)의 양끝단부에 원호 형상으로 연결되는 밀착편(121b, 122b)으로 구성된다.
패킹부(120)의 삽입편(121a, 122a)은 상부패드부(111)와 하부패드부(112)에 각각 형성되는 패킹홈(112g)에 삽입되어 상호 밀착하는 부분의 이격을 없애 배관(10)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나 가스가 상부패드부(111)와 하부패드부(112)의 사이로부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패킹부(120)의 밀착편(121b, 122b)은 상부패드부(111)와 하부패드부(112)의 양끝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111b, 112e) 내부에 구비되어 상부패드부(111)와 하부패드부(112)의 사이에 삽입되는 배관(10)의 외주면 둘레에 밀착된다.
도면을 기준으로 패킹부(120)의 삽입편(121a, 122a)은 굴곡되지 않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유선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밸브(130)는 패드부(110)의 복수의 플랜지(111a, 111b, 112e) 중 상부에 형성되는 플랜지(111a)에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패드부(110)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덮개부(140)는 패드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패드부(110)에 형성되는 분기부(111c)를 밀폐시키되, 패드부(110)에 형성되는 플랜지(111a)의 내주면 둘레에 복수의 끼움돌기(111d)가 형성되고, 패드부(110)의 복수의 끼움돌기(111d)에 대응되는 복수의 끼움홈(142a)이 안착판(142)에 형성되어 패드부(110)의 끼움돌기(111d)가 덮개부(140)의 끼움홈(142a)에 끼워진 후 일방향으로 회전을 통해 패드부(110)의 분기부(111c)를 밀폐시킨다.
덮개부(140)는 하부에 차단편(143)이 형성되어 패드부(110)의 내부에 삽입을 통해 배관(10)으로부터 유체나 가스의 승강을 차단하여 외부로 유체나 가스의 누출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덮개부(140)는 디스크부(D)가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141), 본체(141)의 하부에 연계되는 원형 형상의 안착판(142), 안착판(142)의 하부에 연계되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복수의 오링(O)이 구비되도록 형성되는 차단편(143)으로 구성된다.
본체(141)는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으로 평평하게 형성되는 디스크부(D)와 같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디스크부(D)가 충분히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진다.
안착판(142)은 원형 형상으로, 외주면 둘레에 복수의 끼움홈(142a)이 형성되고, 끼움홈(142a)에 대응되는 상부패드부(111)의 플랜지(111a) 내주면 둘레에 복수의 끼움돌기(111d)가 형성되어 안착판(142)의 끼움홈(142a)이 상부패드부(111)의 플랜지(111a) 끼움돌기(111d)에 일방향으로 회전을 통해 구비되는 구조이다.
상부패드부(111)에 회전을 통해 구비(결합)되는 안착판(142)은 안착판(142)을 포함하는 덮개부(140)가 상부패드부(111)로부터 이탈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안착판(142)은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끼움홈(142a)이 상부패드부(111)의 끼움돌기(111d)에 회전을 통해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안착판(142)을 포함하는 덮개부(140)가 상부패드부(111)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라면 다른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안착판(142)의 하부에 연계되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복수의 오링(O)이 구비되도록 형성되는 차단편(143)으로 구성된다.
차단편(143)은 안착판(142)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차수역할을 하는 과정에서 시간의 경과 등으로 인해 차수역할을 수행하지 못할 경우에 신속하게 분리하여 결합이 가능하다.
차단편(143)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패드부(110) 중 상부패드부(11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S)에 삽입되되, 공간(S)을 메울 수 있도록 형성되어 삽입된다.
차단편(143)은 직경이 상부패드부(111)의 공간(S)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이루어지고, 차단편(143)과 상부패드부(111)의 공간(S) 사이를 차단편(143)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복수의 오링(O)으로 채워 상부방향으로 이송되는 유체나 가스의 누출을 차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차단편(143)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내부가 비어있는 경량체이거나 내부가 채워진 중량체로 이루어진다.
차단편은 상부패드부의 공간을 메울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상부패드부의 공간 높이만큼 워터포켓이 형성되는데 워터포켓(Water Pocket)은 상부패드부(111)의 내부에 워터(유체)가 채워지는 것으로, 배관(10)을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방해한다.
또한, 물 등의 비압축성 유체의 아주 높은 압력으로 인해 상부패드부(111)의 내부에 설치된 덮개부(140)에 진동이 발생되고, 심한 경우에 패드부(110)의 내부와 덮개부(140)의 설치부위가 손상되어 워터포켓의 폭발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배관(10)의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디스크부(D)는 외주면 둘레에 고무패킹(R)이 형성되어 배관(10)의 내부에 이송되는 유체나 가스를 차단하는 차수 역할을 하고, 고무패킹(R)은 패드부(110)의 승강홈(111f, 112d)에 대응되는 일면이나 양면에 승강돌기(D1)가 형성되어 패드부(110)의 승강홈(111f, 112d)을 통해 승강된다.
승강부(150)는 일단부가 디스크부(D)에 회전으로 결합되고, 디스크부(D)에 결합되는 일단부에 대응되는 타단부는 덮개부(140)의 관통구(141a)를 관통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디스크부(D)를 승강시킨다.
승강부(150)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지고, 덮개부(140)의 관통구(141a)를 관통하는 상부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어댑터부(17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는 복수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승강축(151)이 형성된다.
디스크부(D)와 승강부(150)의 사이에 결합되되, 디스크부(D)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일단부가 삽입되고, 타단부는 승강부(150)의 승강축(151)에 결합되는 인서트부(I)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서트부(I)는 디스크부(D)와 승강부(150)의 사이에 결합되되, 디스크부(D)의 상부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디스크부(D)의 수용홈은 인서트부(I)가 삽입되는 일단부와 일단부에 대응되는 타단부의 크기나 형상이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경우는 인서트부(I)가 디스크부(D)의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인서트부(I)는 승강부(150)가 관통하여 디스크부(D)의 구멍에 삽입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인서트부(I)는 디스크부(D)와 승강부(150)의 사이에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되, 디스크부(D)와 인서트부(I)의 사이에 개재부가 개재된다.
구동부(160)는 게이트밸브(130)의 상부에 구비되되, 배관(10)에 천공홀을 형성시키는 천공기나 배관(10)의 이송로를 차단하거나 제어하는 디스크부(D)가 포함되는 덮개부(140)의 외부에 각각 구비되어 천공기, 덮개부(140), 디스크부(D)를 구동시킨다.
어댑터부(170)는 덮개부(14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되, 승강부(150)가 덮개부(140)로부터 분리를 방지하도록 고정되고, 덮개부(140)의 관통구(141a)와 연통되도록 연통구(171)가 형성되며, 연통구(171)를 통해 디스크부(D)가 결합되는 일단부에 대응되는 승강부(150)의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어댑터부(170)는 덮개부(140)의 본체(141)에 나사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어 승강부(150)가 덮개부(14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에 오링(O)이 형성되어 덮개부(140)의 관통구(141a)와 사이를 밀폐시키는 구조이다.
마감패널부(180)는 덮개부(14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구(141a)가 형성되며, 하부 외주면은 패드부(110)의 플랜지(111a)에 배치되고, 하부 내주면은 덮개부(140)의 안착판(142)에 배치되어 패드부(110)에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수단을 통해 패드부(110)의 플랜지(111a)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마감패널부(180)는 원판으로 형성되고, 외주면 둘레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부패드부(111)의 상부플랜지(111a)에 형성되는 복수의 구멍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수단을 통해 상부패드부(111)의 상부플랜지(111a)에 단단하게 체결된다.
상부패드부(111)의 상부플랜지(111a) 내주면에 형성되는 끼움돌기(111d)에 덮개부(140)의 안착판(142)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끼움홈(142a)이 일방향으로 회전을 통해 구비(결합)되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마감패널부(180)는 상부패드부(111)의 상부플랜지()에 체결을 통해 덮개부(140)가 상부패드부(111)로부터 이탈을 원천적으로 봉쇄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
110 : 패드부
111 : 상부패드부
111a : 상부플랜지
111b : 끝단부플랜지
111c : 분기부
111d : 끼움돌기
111e : 구멍
111f : 승강홈
112 : 하부패드부
112a : 받침부
112b : 삽입홈
112c : 배출구
112d : 승강홈
112e : 끝단부플랜지
112f : 밀림방지돌기
120 : 패킹부
120a : 패킹홈
121 : 상부패킹부
121a : 삽입편
121b : 밀착편
122 : 하부패킹부
122a : 삽입편
122b : 밀착편
130 : 게이트밸브
140 : 덮개부
141 : 본체
141a :관통구
142 : 안착판
142a : 끼움홈
143 : 차단편
143a : 홈
150 : 승강부
151 : 승강축
160 : 구동부
170 : 어댑터부
171 : 연통구
180 : 마감패널부
181 : 관통구
D : 디스크부
D1 : 승강돌기
D2 : 밀림방지홈
I : 인서트부
O : 오링
R : 고무패킹
S : 공간
10 : 배관
11 : 천공홀

Claims (17)

  1. 외부에 복수의 플랜지, 내부에 이송로가 각각 형성되고, 유체나 가스를 이송하는 배관의 외주면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로를 통해 상기 유체나 상기 가스를 이송하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패킹홈에 삽입되어 상기 패드부와 상기 배관의 외경면 사이를 밀폐시키는 패킹부;
    상기 패드부의 복수의 플랜지 중 상부에 형성되는 플랜지에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수단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패드부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게이트밸브;
    상기 패드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패드부에 형성되는 분기부를 밀폐시키되, 상기 패드부에 형성되는 플랜지의 내주면 둘레에 복수의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패드부의 복수의 끼움돌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끼움홈이 안착판에 형성되어 상기 패드부의 끼움돌기가 상기 안착판의 끼움홈에 끼워진 후 일방향으로 회전을 통해 상기 패드부의 분기부를 밀폐시키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내부에 승강되는 디스크부에 일단부가 회전으로 결합되고, 상기 디스크부에 결합되는 일단부에 대응되는 타단부는 상기 덮개부의 관통구를 관통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디스크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게이트밸브의 상부에 구비되되, 상기 배관에 천공홀을 형성시키는 천공기나 상기 배관의 이송로를 차단하거나 제어하는 상기 디스크부가 포함되는 덮개부의 외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천공기, 상기 덮개부, 상기 디스크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덮개부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승강부가 상기 덮개부로부터 분리를 방지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덮개부의 관통구와 연통되도록 연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통구를 통해 상기 디스크부가 결합되는 일단부에 대응되는 상기 승강부의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어댑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덮개부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며, 하부 외주면은 상기 패드부의 플랜지에 배치되고, 하부 내주면은 상기 덮개부의 안착판에 배치되어 상기 패드부에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는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패드부의 플랜지에 체결되는 마감패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하부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받침부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디스크부의 하단부를 받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내부에 승강홈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부에 상기 패드부의 승강홈에 대응되는 승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패드부의 승강홈과 상기 디스크부의 승강돌기는 하부방향으로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플랜지의 외주면 둘레에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패드부의 복수의 구멍에 대응되는 상기 덮개부의 외주면 둘레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패드부의 구멍과 상기 덮개부의 홈에 나사나 핀을 이용하여 상기 패드부에 구비되는 상기 덮개부의 회전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부와 상기 승강부의 사이에 결합되되, 상기 디스크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수용홈에 일단부가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승강부의 승강축에 결합되는 인서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하부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받침부에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패드부의 내부에 있는 쇳가루와 같은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부패드부와 하부패드부로 구성되며, 상기 패드부의 하부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받침부에 닿게 되는 상기 디스크부는 하단부에 밀림방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림방지홈에 대응되는 상기 받침부에 밀림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의 밀림방지돌기에 상기 디스크부의 밀림방지홈이 삽입되면서 상기 배관의 내부에 이송하는 상기 유체나 가스로 인한 힘에 상기 디스크부가 상기 하부패드부로부터 밀림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부는 외주면 둘레에 고무패킹이 형성되어 상기 배관의 내부에 이송되는 상기 유체나 상기 가스를 차단하는 차수 역할을 하고, 상기 고무패킹은 상기 패드부의 승강홈에 대응되는 일면이나 양면에 승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패드부의 승감홈을 통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하부에 차단편이 형성되어 상기 패드부의 내부에 삽입을 통해 상기 배관으로부터 상기 유체나 상기 가스의 승강을 차단하여 외부로 상기 유체나 상기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차단편 외주면 둘레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이 구비되어 상기 패드부의 분기부 내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덮개부의 차단편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링이 구비되어 상기 패드부의 분기부 내주면 바닥에 밀착되어 상기 패드부를 통해 이송하는 상기 유체나 상기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부의 외주면 둘레에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고무패킹이 형성되고, 상기 고무패킹이 형성되는 상기 디스크부는 상기 배관으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유체나 상기 가스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밀려 상기 디스크부가 구비되는 상기 패드부의 관통구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유체나 상기 가스의 다른 방향으로 이송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부패드부와 하부패드부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패드부와 상기 하부패드부는 밀착되는 각각의 일면 중 어느 하나의 패드부 일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대응되는 다른 하나의 패드부 일면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외부에 복수의 플랜지가 형성되되, 상기 게이트밸브가 설치되는 상부플랜지와 상기 상부플랜지와 직교로 배치되는 끝단부플랜지가 상기 패드부의 양끝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끝단부플랜지의 외주면 둘레에 나사와 같은 누름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패드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배관의 외주면 둘레를 상기 누름수단을 이용하여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상기 디스크부가 구비되는 부분이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외부에 복수의 플랜지가 형성되되, 상기 게이트밸브가 설치되는 상부플랜지와 상기 상부플랜지와 직교로 배치되는 끝단부플랜지가 상기 패드부의 양끝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패드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배관의 외주면 둘레와 상기 끝단부플랜지의 내주면 둘레 사이에 밀착수단이 개재되고, 상기 밀착수단은 상기 끝단부플랜지의 외주면 둘레에 구비되는 나사에 연계되어 상기 나사의 회전을 통해 상기 밀착수단이 이동하여 상기 배관의 외주면 둘레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의 플랜지와 상기 덮개부의 안착판에 배치되는 상기 마감패널부의 사이에 오링이 구비되어 상기 패드부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유체나 상기 가스의 누출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
KR1020210076361A 2021-06-11 2021-06-11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 KR102352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361A KR102352372B1 (ko) 2021-06-11 2021-06-11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361A KR102352372B1 (ko) 2021-06-11 2021-06-11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372B1 true KR102352372B1 (ko) 2022-01-18

Family

ID=8005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361A KR102352372B1 (ko) 2021-06-11 2021-06-11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3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7996A (ja) * 1999-12-28 2001-07-10 Suido Gijutsu Kaihatsu Kiko:Kk 管接続部用補強継手
JP2016070464A (ja) * 2014-10-01 2016-05-09 コスモ工機株式会社 弁装置
KR101938518B1 (ko) * 2018-05-10 2019-04-11 송기용 부단수 공법용 버터플라이 형식의 밸브
KR20200016454A (ko) * 2018-08-07 2020-02-17 (주)우신이엔지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
KR20210006978A (ko) * 2018-05-10 2021-01-19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게이트 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7996A (ja) * 1999-12-28 2001-07-10 Suido Gijutsu Kaihatsu Kiko:Kk 管接続部用補強継手
JP2016070464A (ja) * 2014-10-01 2016-05-09 コスモ工機株式会社 弁装置
KR101938518B1 (ko) * 2018-05-10 2019-04-11 송기용 부단수 공법용 버터플라이 형식의 밸브
KR20210006978A (ko) * 2018-05-10 2021-01-19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게이트 밸브
KR20200016454A (ko) * 2018-08-07 2020-02-17 (주)우신이엔지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1422B2 (en) Chromatography column
US3561471A (en) Safety valve
US20010050168A1 (en) Pump drive head with stuffing box
CN103449347B (zh) 容器升降装置
KR102278452B1 (ko)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
CN206928347U (zh) 用于机铲铲斗的阻尼器和用于采矿机铲的铲斗组件
KR102352372B1 (ko)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
CN104314142B (zh) 龙头安装
US5791809A (en) Dragline with improved pin-retaining structure
KR102352373B1 (ko)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장치
KR102352374B1 (ko)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밸브를 이용한 공법
US5143198A (en) Turnable cylinder for a conveyor system
US10274101B2 (en) Handle for valve assembly
CN1312423C (zh) 用于复合材料装袋的自密封、单件式的真空配件
GB2144057A (en) High-pressure transfer device
US3044489A (en) Armored valves
US20050184514A1 (en) Swivel adaptor assembly
KR102021759B1 (ko) 웨이트붙이 볼밸브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장치
KR20220097618A (ko) 배관의 누수방지용 차단장치
KR20040085604A (ko) 회전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후크장치
KR102659661B1 (ko) 회전 전용 링크
KR102374806B1 (ko) 웜동력발생장치
KR200247360Y1 (ko) 차량정비용 리프트
KR100643151B1 (ko) 후크장치
US1674255A (en) Goggle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