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8452B1 -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 - Google Patents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8452B1
KR102278452B1 KR1020180091597A KR20180091597A KR102278452B1 KR 102278452 B1 KR102278452 B1 KR 102278452B1 KR 1020180091597 A KR1020180091597 A KR 1020180091597A KR 20180091597 A KR20180091597 A KR 20180091597A KR 102278452 B1 KR102278452 B1 KR 102278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unit
coupled
elevating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6454A (ko
Inventor
박종환
Original Assignee
(주)우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신이엔지 filed Critical (주)우신이엔지
Priority to KR1020180091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452B1/ko
Publication of KR20200016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3/00Auxiliary closure means in valves, which in case of repair, e.g. rewashering, of the valve, can take over the function of the normal closure means; Devices for temporary replacement of parts of valves for the same purpo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27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permitting easy assembly or dis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6Guiding of the sl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 단수없이 밸브에 구비된 디스크, 실링과 같은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밸브에 구비된 교체대상인 디스크를 상기 밸브의 구성요소인 핏팅부로부터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밸브의 구성요소인 결합부로부터 덮개부와 마감패널부를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결합부의 상면에 게이트밸브를 설치한 후 상기 게이트밸브의 상면에 플러깅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결합된 플러그를 상기 플러깅장치를 통해 분리하는 단계; 상기 플러깅장치를 상기 게이트밸브로부터 분리시킨 후 디스크교체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디스크교체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교체대상인 디스크를 새로운 디스크로 교체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밸브로부터 상기 디스크교체장치를 분리시킨 후 상기 플러깅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상기 플러그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밸브로부터 상기 플러깅장치를 분리한 후 상기 밸브의 상기 결합부 상면에 상기 마감패널부와 상기 덮개를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교체된 새로운 디스크를 상기 밸브의 승강부를 통해 상기 핏팅부의 이송로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단수없이 밸브에 내장된 디스크, 실링 등과 같은 부품을 신속하면서 간단하게 교체가 가능하여 시간적 손실과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MAINTENANCE METHOD USING VALVE WITH REPLACEMENT OF PARTS}
본 발명은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수없이 밸브에 내장된 디스크, 실링 등과 같은 부품을 신속하면서 간단하게 교체가 가능하여 시간적 손실과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 설비는 차단, 제어, 수압의 조정, 역류방지 등의 목적으로 관로에 설치되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설비이다.
상기 밸브는 용도, 구조, 형식, 재질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 고유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최적화된 밸브를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밸브의 선정과 밸브의 설치에 있어서 유지관리가 필요없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장시간 사용되는 밸브는 밸브시트와 밸브 몸체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밸브시트의 표면이 마모되어 빈틈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빈틈을 통해 유체의 누수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기밀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밸브시트 등의 부품의 교체를 위해 밸브와 연결되는 관을 부단수공법을 이용하여 폐쇄한 후 우회로 순환되게 연결배관을 설치하여 연결배관을 통해 이동되는 유체를 분기시킨 다음 교체시킨다.
그러나, 종래 밸브의 부품교체방식은 부단수공법에 의해 유체를 차단하는 차단장치를 설치해야 하는데 교체시간 및 교체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밸브의 부품 중 디스크를 교체하는데, 디스크를 나사식으로 상, 하로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무리하게 나사산을 회전시키다가 나사산이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디스크만 교체가 불가능하므로 밸브 전체를 교체해야하므로 교체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0883373호(발명의 명칭: 디스크 교체형 버터플라이밸브, 등록일자: 2009년 02월 05일) 및 등록특허공보 제10-1723851호(발명의 명칭: 디스크 교체구조를 갖는 게이트 밸브, 등록일자: 2017년 03월 31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단수없이 밸브에 내장된 디스크, 실링 등과 같은 부품을 신속하면서 간단하게 교체가 가능하여 시간적 손실과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은, 단수없이 밸브에 구비된 디스크, 실링과 같은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밸브에 구비된 교체대상인 디스크를 상기 밸브의 구성요소인 핏팅부로부터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밸브의 구성요소인 결합부로부터 덮개부와 마감패널부를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결합부의 상면에 게이트밸브를 설치한 후 상기 게이트밸브의 상면에 플러깅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결합된 플러그를 상기 플러깅장치를 통해 분리하는 단계; 상기 플러깅장치를 상기 게이트밸브로부터 분리시킨 후 디스크교체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디스크교체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교체대상인 디스크를 새로운 디스크로 교체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밸브로부터 상기 디스크교체장치를 분리시킨 후 상기 플러깅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상기 플러그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밸브로부터 상기 플러깅장치를 분리한 후 상기 밸브의 상기 결합부 상면에 상기 마감패널부와 상기 덮개를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교체된 새로운 디스크를 상기 밸브의 승강부를 통해 상기 핏팅부의 이송로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는, 내부에 이송로가 형성되고, 유체나 가스를 이송하는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로를 통해 상기 유체나 상기 가스를 이송하는 핏팅부; 상기 핏팅부의 내부에 승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외주면에 승강홈이 형성되고, 상기 핏팅부의 내부에 승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승강홈에 상기 핏팅부의 승강돌기가 삽입되어 승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핏팅부의 상기 이송로를 차단하는 디스크부; 상기 핏팅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배관이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양단부에 직교로 형성되는 일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중심부에 관통구가 형성되며, 외주면 둘레에 복수개의 결합돌기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결합돌기에 이웃하게 외주면 둘레에 실링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에 복수개의 삽입홈과 복수개의 삽입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후 회전으로 상기 삽입돌기에 결합되는 플러그; 중심부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 탈착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를 밀폐시키는 덮개부; 일단부는 상기 디스크에 회전으로 결합되고, 상기 디스크에 결합되는 일단부에 대응되는 타단부는 관통구가 각각 형성된 상기 플러그와 상기 덮개부를 관통하여 상기 디스크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중심부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외주면 둘레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돌기에 이웃하게 외주면 둘레에 실링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에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돌기가 삽입 후 회전하여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기 승강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를 회전시키는 어댑터부; 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중심부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에 개재되고,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실링이 형성되어 상기 핏팅부로부터 누수를 차단하는 마감패널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에 있어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크와 상기 승강부의 사이에 결합되되, 상기 디스크의 상단부에 일면에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을 통해 삽입되어 수용되고, 상기 승강부의 승강축에 결합되는 인서트너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핏팅부의 이송로와 상기 디스크부 닿는 각각의 일면에 밀림방지돌기와 밀림방지홈이 형성되되, 상기 핏팅부의 이송로에 밀림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부에 밀림방지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배관이 연결되는 상기 핏팅부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 신축성이 있는 신축관이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플러깅장치는, 중공 형상으로, 내부에 상기 플러그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핏팅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끝단에 상기 플러그가 결합되고, 상기 플러그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돌출하는 상기 승강부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승강회전부; 및 상기 승강회전부와 이격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직으로 승강되는 상기 승강부에 결합되고, 상기 핏팅에 고정과 해제가 가능하도록 상기 플러그를 상기 하우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플러그회전부; 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로 분할되어 구성되되, 상기 상부파이프와 상기 하부파이프 중에서 어느 하나의 파이프는 외부 둘레에 복수개의 나사산이 구성되는 파이프; 상기 상부파이프와 상기 하부파이프를 연결하고, 상기 플러그회전부에 구성되는 복수개의 손잡이가 각각 회전되어 결합되는 커플러; 상기 상부파이프에 관통되어 구비되되, 상기 커플러에 탈착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승강회전부와 결합되는 어댑터; 및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되, 일단부는 상기 상부파이프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부파이프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승강축; 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상부파이프와 상기 하부파이프 중에서 상기 상부파이프는 외부 둘레에 복수개의 나사산이 구성되고, 상기 상부파이프는 나사산이 구성되는 외주면 둘레에 승강홈이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형성되되, 직경보다 길게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단수없이 밸브에 내장된 디스크, 실링 등과 같은 부품을 신속하면서 간단하게 교체가 가능하여 시간적 손실과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를 개방한 상태에서 디스크나 실링과 같은 각종 부품들을 교체할 수 있어 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나 가스를 차단하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없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의 일 실시예의 순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따른 핏팅부에 디스크부의 승강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따른 핏팅부의 밀람방지돌기와 디스크부의 밀림방지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따른 핏팅부에 신축관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따른 플러깅장치의 일 실시예의 결합사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플러깅장치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9는 도 7에 따른 플러깅장치의 승강부회전부의 회전으로 플러그가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7에 따른 플러깅장치의 플러그회전부의 회전으로 플러그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7에 따른 커플러의 결합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서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의 일 실시예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핏팅부에 디스크의 승강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에 따른 핏팅부의 밀람방지돌기와 디스크의 밀림방지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 따른 핏팅부에 신축관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에 따른 플러깅장치의 일 실시예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플러깅장치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에 따른 플러깅장치의 승강부회전부의 회전으로 플러그가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7에 따른 플러깅장치의 플러그회전부의 회전으로 플러그가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7에 따른 커플러의 결합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S100)은,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동단계(S110), 제1분리단계(S120), 제1설치단계(S130), 제2분리단계(S140), 제2설치단계(S150), 교체단계(S160), 결합단계(S170), 제3설치단계(S180), 제2이동단계(S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이동단계(S110)는 단수없이 밸브에 구비된 디스크, 실링과 같은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에 있어서, 밸브(100)에 구비된 교체대상인 디스크를 밸브(100)의 구성요소인 핏팅부(110)로부터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100)는 핏팅부(110), 디스크부(120), 결합부(130), 플러그(140), 덮개부(150), 승강부(160), 고정부(170), 어댑터부(180)로 구성된다.
핏팅부(110)는 금속 소재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이송로(111)가 형성되고, 유체나 가스를 이송하는 배관에 연결되어 이송로(111)를 통해 유체나 가스를 이송한다.
핏팅부(110)의 양측에 배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플랜지(113)가 형성되고, 양측의 플랜지(113) 하부는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바닥이 고르지 못한 설치 현장의 바닥에 흔들리지 않고 잘 세워지도록 하기 위함과 동시에 중량체인 핏팅부(110)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핏팅부(110)의 양측에 플랜지(113)가 형성되고, 양측의 플랜지(113)를 연결하는 연결부(114) 하부는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설치 현장에서 별도의 부목을 받치게 되는데, 이때 용이하게 받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핏팅부(110)의 연결부(114) 하부가 평평하게 형성되므로 작업을 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아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핏팅부(110)나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덮개부(15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쇠(L)가 형성되는데, 이는 중량체인 핏팅부(110), 덮개부(150) 또는 결합체를 크레인이나 기중기와 같은 별도의 장비를 이용할때 용이하게 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핏팅부(110)의 이송로(111)와 디스크부(120) 닿는 각각의 일면에 밀림방지돌기(115)와 밀림방지홈(123)이 형성되되, 핏팅부(110)의 이송로(111)에 밀림방지돌기(115)가 형성되고, 디스크부(120)에 밀림방지홈(123)이 형성된다.
이는 고압의 유체나 가스로 인해 디스크부(120)가 핏팅부(110)의 이송로(111)에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배관이 연결되는 핏팅부(110)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 즉, 플랜지(113)에 신축성이 있는 신축관(P)이 장착된다.
신축관(P)은 직경이 다른 관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신축관(P)은 직경이 다른 관과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핏팅부(110)에서 발생되는 소음, 진동, 관의 팽창 등으로 인해 핏팅부(110)를 포함하는 밸브 전체에 파손 등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핏팅부의 다른 일 실시예로,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결합부(130)의 형상과 동일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합부(130)의 형상과 동일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핏팅부는 핏팅부의 내부에 승강되는 디스크부(120)의 형상도 원기둥 형상 또는 Ÿ‡지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디스크부(120)는 핏팅부(110)의 내부에 승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외주면에 승강홈(121)이 형성되고, 핏팅부(110)의 내부에 승강돌기(112)가 형성되어 승강홈(121)에 핏팅부(110)의 승강돌기(112)가 삽입되어 승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핏팅부(110)의 이송로(111)를 차단한다.
디스크부(120)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지고, 핏팅부(110)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핏팅부(110)의 내부에 이송되는 유체나 가스를 차단하는 차수 역할을 한다.
디스크부(120)는 외주면에 승강홈(121)이 형성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디스크부(12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핏팅부(110)의 승강돌기(112)에 삽입되어 한쪽으로 치우침없이 용이하게 승강된다.
디스크부(120)는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승강부(160)의 승강축(161)이 관통하게 된다.
결합부(130)는 핏팅부(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되, 배관이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양단부에 직교로 형성되는 일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결합부(130)는 핏팅부(110)의 상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볼트나 나사와 같은 복수개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단단하게 결합된다.
결합부(130)의 상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는 결합되는 핏팅부(110)와 같이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결합부(13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부에 복수개의 삽입홈(131)과 복수개의 삽입돌기(132)가 각각 형성된다.
플러그(140)는 중심부에 관통구(141)가 형성되며, 외주면 둘레에 복수개의 결합돌기(142) 형성되고, 복수개의 결합돌기(142)에 이웃하게 외주면 둘레에 고무패킹(R)이 구비되며, 플러그(140)의 결합돌기(142)가 삽입홈(131)에 삽입된 후 회전으로 삽입돌기(132)에 결합된다.
플러그(140)는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돌기(142)를 통해 결합부(130)의 내부에 회전으로 단단하게 고정된다.
고무패킹(R)은 플러그(140)와 결합부(130)의 내경과의 상호 접촉하는 부분의 이격을 없애 유체나 가스의 누설을 방지한다.
덮개부(150)는 중심부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결합부(130)에 탈착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결합부(130)를 밀폐시킨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덮개부(150)는 하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하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덮개부(150)의 상부는 내부에 고정홈(151)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고정부(170)가 삽입 후 회전을 하면서 고정된다.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덮개부(150)의 하부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마감패널부(190)와 결합부(130)에 각각 형성된 구멍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나 너트와 같은 복수개의 결합수단을 통해 단단하게 결합시킨다.
승강부(160)는 일단부가 디스크부(120)에 회전으로 결합되고, 디스크부(120)에 결합되는 일단부에 대응되는 타단부는 관통구(141)가 각각 형성된 플러그(140)와 덮개부(150)를 관통한다.
승강부(160)는 덮개부(150)에 구비되어 디스크부(120)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어댑터부(18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는 복수개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승강축(161)이 형성된다.
고정부(170)는 플러그(140)와 같이 중심부에 관통구(171)가 형성되고, 외주면 둘레에 복수개의 돌기(172)가 형성되며, 복수개의 돌기(172)에 이웃하게 외주면 둘레에 고무패킹(R)이 형성되고, 덮개부(150)의 고정홈(151)에 복수개의 돌기(172)를 삽입한 후 회전하여 고정된다.
어댑터부(180)는 고정부(17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승강부(16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부(160)를 회전시킨다.
어댑터부(180)는 승강부(16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승강부(160)의 상부와 같은 형상이 어댑터부(180)의 내부에도 형성되어 승강부(16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마감패널부(190)는 승강부(160)가 관통하는 관통구(191)가 중심부에 형성되며, 결합부(130)와 덮개부(150) 사이에 개재되고,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고무패킹이 형성되어 핏팅부(110)로부터 누수를 차단한다.
인서트너트(N)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고, 디스크부(120)와 승강부(160)의 사이에 결합되되, 디스크부(120)의 상단부에 일면에 개방된 수용홈(122)이 형성되어 수용홈(122)을 통해 삽입되어 수용되고, 승강부(160)의 승강축(161)에 결합된다.
제1분리단계(S120)는 밸브(100)의 구성요소인 결합부(130)로부터 덮개부(150)와 마감패널부(190)를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결합부(130)에 볼트나 너트와 같은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된 덮개부(150)와 마감패널부(190)는 결합수단의 회전을 통해 결합상태를 해제하여 덮개부(150)와 마감패널부(190)를 순차적으로 분리한다.
제1설치단계(S130)는 결합부(130)의 상면에 게이트밸브를 설치한 후 게이트밸브의 상면에 플러깅장치(20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플러깅장치(200)는 하우징(210), 승강부(220), 승강회전부(230), 플러그회전부(240)로 구성된다.
하우징(210)은 하우징(210)을 중심으로 플랜지(211)에 방사형으로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게이트밸브에도 방사형으로 형성된 구멍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복수개의 볼트를 통해 결합된다.
하우징(210)은 차수가 되는 구조로, 하우징(210)을 관통하는 승강부(260)의 승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다.
하우징(210)은 외주면 둘레에 밸브 또는 압력계가 플랜지(211)와 이격상태로 결합된다.
하우징(210)은 외주면 둘레에 관통구(212)가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플러그회전부(240) 즉, 손잡이가 관통하여 하우징(210)의 내부에 삽입되는 승강부(220)의 커플러(222)에 결합된다.
승강부(220)는 하우징(210)의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끝단에 플러그(140)가 결합되고, 플러그(140)를 승강시킨다.
승강부(220)는 파이프(221), 커플러(222), 어댑터(223) 및 승강축(224)으로 구성된다.
파이프(221)는 상부파이프(221a)와 하부파이프(221b)로 분할되어 구성되되, 상부파이프(221a)와 하부파이프(221b) 중에서 상부파이프(221a)는 외부 둘레에 복수개의 나사산이 구성된다.
상부파이프(221a)는 외주면 둘레에 승강홈(221a')이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형성되되, 직경보다 길게 각각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부파이프(221a)의 승강홈(221a')은 커플러(222)의 내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222a)에 결합한다.
커플러(222)는 상부파이프(221a)와 하부파이프(221b)를 연결하고, 복수개의 손잡이로 구성된 플러그회전부(240)가 회전되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커플러(222)는 외주면 둘레에 복수개의 결합홈(223a)이 형성되고, 플러그회전부(240)의 복수개의 손잡이는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결합홈(223a)에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커플러(222)의 결합홈(223a)은 플러그회전부(240)의 손잡이와 동일한 갯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플러(222)는 플러그회전부(240)의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210)의 관통구 곡률방향으로 회전된다.
하우징(210)의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커플러(222)는 하우징(210)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림으로 하부방향으로 내려가지 않는다.
커플러(222)는 베어링이 구비되어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어댑터(223)와 부착된 상태에서 회전운동을 지지한다.
어댑터(223)는 상부파이프(221a)에 관통되어 구비되되, 커플러(222)에 탈착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승강회전부(230)와 결합된다.
커플러(222)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커플러(222) 방향으로 하강하는 어댑터(223)가 커플러(222)의 공간에 삽입되면서 부착되되, 커플러(222)에 구비된 베어링이 부착된다.
어댑터(223)가 부착되는 커플러(222)는 하우징(210)의 걸림턱에 걸린 상태로 유지하고, 어댑터(223)는 걸림턱에 걸린 커플러(222) 방향으로 하강하여 커플러(222)에 부착된다.
어댑터(223)는 외주면 둘레에 복수개의 결합홈(223a)이 형성되되, 결합홈(223a)은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어댑터(223)의 결합홈(223a)은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승강회전부(230)의 덮개(231)에 형성된 구멍과 일치한 상태에서 복수개의 결합볼트의 결합으로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어댑터(223)는 커플러(222)와 같이 베어링이 구비되어 회전운동을 지지한다.
승강축(224)은 파이프(221)의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되, 일단부는 상부파이프(221a)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하부파이프(221b)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승강축(224)은 일단부가 플랜지가 형성되어 파이프(221) 중 상부파이프(221a)의 상부에 복수개의 결합볼트를 통해 결합되고, 타단부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하부파이프(221b)로부터 외부로 돌출 형성된다.
외부로 돌출 형성된 승강축(224)의 타단부는 플러그(140)에 회전으로 결합된다.
승강회전부(230)는 하우징(210)의 상부를 돌출하는 승강부(220)와 결합되고, 하우징(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승강부(220)를 승강시킨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승강회전부(230)는 덮개(231), 손잡이(232)로 구성된다.
덮개(231)는 링 형상으로 하부가 개방되고, 승강부(220)가 관통된다.
덮개(231)는 하우징(210)으로부터 돌출되는 승강부(220)의 어댑터(223)를 덮는 것으로, 덮개(231)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을 어댑터(223)의 결합홈(223a)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복수개의 결합볼트를 통해 결합한다.
손잡이(232)는 덮개(231)의 외주면 둘레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구멍에 회전을 통해 결합된다.
플러그회전부(240)는 승강회전부(230)와 이격상태로 하우징(210)에 결합되되, 하우징(210)의 내부에 수직으로 승강되는 승강부(220)에 결합되고, 밸브(100)에 고정과 해제가 가능하도록 플러그(140)를 하우징(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플러그회전부(240)는 복수개의 손잡이로 구성되되, 복수개의 손잡이는 하우징(210)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관통구(212)과 동일한 갯수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손잡이의 끝단은 하우징(210)의 관통구(212)을 관통하여 하우징(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승강부(220)의 커플러(222) 외주면에 둘레에 형성된 결합홈(222b)에 회전으로 결합된다.
플러그(140)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어 하우징(210)으로부터 노출되어 밸브(100)의 개구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회전부(240)는 복수개의 손잡이 중 어느 한 개 이상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하우징(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관통구(212) 내에 회전되어 플러그(140)를 회전시킨다.
플러그회전부(240)의 회전으로 인한 플러그(140)는 플러그(140)의 걸림부(142)가 플러그바디의 회전으로 인해 회전되어 핏팅부(110)에 고정되어 핏팅부(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반대로, 플러그회전부(240)의 역회전으로 인한 플러그(140)는 플러그(140)의 걸림부가 플러그바디의 역회전으로 인해 회전되어 핏팅부(110)의 고정이 해체되어 핏팅부(110)으로부터 이탈된다.
제2분리단계(S140)는 결합부(130)의 내부에 결합된 플러그(140)를 플러깅장치(200)를 통해 분리하는 단계이다.
결합부(130)의 내부에 결합된 플러그(140)는 플러깅장치(200)의 구성요소인 승강부(220)의 끝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승강부(220)의 승강으로 인해 플러그(140)를 승강시키면서 핏팅부(110)로부터 분리시킨다.
플러그(140)는 플러그 바디, 고무패킹(R) 및 걸림부(142)로 구성된다.
플러그 바디는 원형 형상의 판재로, 가스(기체)나 유체(액체)를 수송하는 배관에 구비된 핏팅부(110)에 결합되되, 복층으로 적층된 게이트밸브에 결합된다.
플러그 바디는 핏팅부(110)의 개구부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되어 핏팅부(110)의 개구부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결합된다.
고무패킹(R)은 플러그 바디의 외주면 둘레에 형성된 패킹홈에 끼워져 결합된다.
고무패킹(R)은 플러그 바디와 핏팅부(110)의 개구부 내경과의 상호 접촉하는 부분의 이격을 없애 가스나 유체의 누설을 방지한다.
걸림부(142)는 플러그 바디의 외주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핏팅부(110)의 개구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플러그 바디의 회전으로 핏팅에 고정된다.
제2설치단계(S150)는 플러깅장치(200)를 게이트밸브로부터 분리시킨 후 디스크교체장치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설치단계(S150)는 플러깅장치(200)를 이용하여 결합부(130)로부터 플러그(140)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게이트밸브로부터 플러깅장치(200)를 분리하여 그 자리에 디스크교체장치를 설치한다.
교체단계(S160)는 디스크교체장치를 이용하여 교체대상인 디스크부(디스크, 120)를 새로운 디스크부(디스크)로 교체하는 단계이다.
교체단계(S160)는 밸브(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표면이 마모되는 등의 디스크부(120)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교체대상인 디스크부를 새로운 디스크부로 교체한다.
결합단계(S170)는 게이트밸브로부터 디스크교체장치를 분리시킨 후 플러깅장치(200)를 설치하여 결합부(130)의 내부에 플러그(140)를 결합하는 단계이다.
결합단계(S170)는 디스크교체장치를 통해 밸브(100)에 새로운 디스크로 교체시킨 후 게이트밸브를 결합부(130)로부터 분리시킨 후 그 자리에 플러깅장치(200)를 설치하여 플러깅장치(200)를 이용하여 밸브(100)의 내부에 플러그(140)를 결합시킨다.
제3설치단계(S180)는 게이트밸브로부터 플러깅장치(200)를 분리한 후 밸브(100)의 결합부(130) 상면에 마감패널부(190)와 덮개(150)를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단계이다.
제3설치단계(S180)는 밸브(100)의 내부에 플러그(140)를 결합시킨 후 플러깅장치(200)를 게이트밸브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밸브(100)의 결합부(130)에 마감패널부(190)와 덮개(150)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나 너트와 같은 복수개의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시킨다.
제2이동단계(S190)는 교체된 새로운 디스크를 밸브(100)의 승강부(160)를 통해 핏팅부(110)의 이송로(111)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제2이동단계(S190)는 마무리단계로, 승강부(16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댑터(223)를 회전시켜 교체된 디스크를 승강부(160)의 바닥까지 하강시켜 밸브(100)의 내부를 밀폐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S100 :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
S110 : 제1이동단계
S120 : 제1분리단계
S130 : 제1설치단계
S140 : 제2분리단계
S150 : 제2설치단계
S160 : 교체단계
S170 : 결합단계
S180 : 제3설치단계
S190 : 제2이동단계
100 :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밸브
110 : 핏팅부
111 : 이송로
112 : 승강돌기
113 : 플랜지
114 : 연결부
115 : 밀림방지돌기
120 : 디스크부
121 : 승강홈
122 : 수용홈
123 : 밀림방지홈
130 : 결합부
131 : 삽입홈
132 : 삽입돌기
140 : 플러그
141 : 관통구
142 : 결합돌기
150 : 덮개부
151 : 고정홈
160 : 승강부
161 : 승강축
170 : 고정부
171 : 관통구
172 : 돌기
180 : 어댑터부
190 : 마감패널부
191 : 관통구
L : 걸쇠
N : 인서트너트
P : 신축관
R : 고무패킹
200 : 플러깅장치
210 : 하우징
211 : 플랜지
212 : 관통구
220 : 승강부
221 : 파이프
221a : 상부파이프
221a' : 승강홈
221b : 하부파이프
222 : 커플러
222a : 결합돌기
222b : 결합홈
223 : 어댑터
223a : 결합홈
224 : 승강축
230 : 승강회전부
231 : 덮개
232 : 손잡이
240 : 플러그회전부
250 : 마감패널부

Claims (9)

  1. 디스크부, 실링과 같은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구성요소인 핏팅부의 이송로에 구비되어 상기 핏팅부의 이송로를 차단시키는 교체대상인 디스크부를 상기 핏팅부로부터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밸브의 구성요소인 결합부의 상면에 구비된 덮개부와 마감패널부를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덮개부와 상기 마감패널부를 분리한 상기 결합부의 상면에 상기 결합부의 통로를 개폐시키는 게이트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게이트밸브의 상면에 플러깅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결합된 플러그를 상기 플러깅장치를 통해 분리하는 단계;
    상기 플러깅장치를 상기 게이트밸브로부터 분리시킨 후 디스크부교체장치를 상기 게이트밸브의 상면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디스크부교체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교체대상인 디스크부를 새로운 디스크부로 교체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밸브로부터 상기 디스크부교체장치를 분리시킨 후 상기 플러깅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상기 플러그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밸브로부터 상기 플러깅장치를 분리하고, 상기 밸브의 상기 결합부 상면에 상기 게이트밸브를 분리한 후 상기 마감패널부와 상기 덮개를 상기 결합부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교체된 새로운 디스크부를 상기 밸브의 승강부를 통해 상기 핏팅부의 이송로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는,
    내부에 이송로가 형성되고, 유체나 가스를 이송하는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로를 통해 상기 유체나 상기 가스를 이송하는 핏팅부;
    상기 핏팅부의 내부에 승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외주면에 승강홈이 형성되고, 상기 핏팅부의 내부에 승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승강홈에 상기 핏팅부의 승강돌기가 삽입되어 승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핏팅부의 상기 이송로를 차단하는 디스크부;
    상기 핏팅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배관이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양단부에 직교로 형성되는 일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중심부에 관통구가 형성되며, 외주면 둘레에 복수개의 결합돌기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결합돌기에 이웃하게 외주면 둘레에 실링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에 복수개의 삽입홈과 복수개의 삽입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후 회전으로 상기 삽입돌기에 결합되는 플러그;
    중심부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 탈착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를 밀폐시키는 덮개부;
    일단부는 상기 디스크부에 회전으로 결합되고, 상기 디스크부에 결합되는 일단부에 대응되는 타단부는 관통구가 각각 형성된 상기 플러그와 상기 덮개부를 관통하여 상기 디스크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중심부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외주면 둘레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돌기에 이웃하게 외주면 둘레에 실링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에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돌기가 삽입 후 회전하여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기 승강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를 회전시키는 어댑터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중심부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에 개재되고,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실링이 형성되어 상기 핏팅부로부터 누수를 차단하는 마감패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
  4. 제2항에 있어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크부와 상기 승강부의 사이에 결합되되, 상기 디스크부의 상단부에 일면에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을 통해 삽입되어 수용되고, 상기 승강부의 승강축에 결합되는 인서트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핏팅부의 이송로와 상기 디스크부 닿는 각각의 일면에 밀림방지돌기와 밀림방지홈이 형성되되, 상기 핏팅부의 이송로에 밀림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부에 밀림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이 연결되는 상기 핏팅부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 신축성이 있는 신축관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깅장치는,
    중공 형상으로, 내부에 상기 플러그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핏팅부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끝단에 상기 플러그가 결합되고, 상기 플러그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돌출하는 상기 승강부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승강회전부; 및
    상기 승강회전부와 이격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직으로 승강되는 상기 승강부에 결합되고, 상기 핏팅부에 고정과 해제가 가능하도록 상기 플러그를 상기 하우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플러그회전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부파이프와 하부파이프로 분할되어 구성되되, 상기 상부파이프와 상기 하부파이프 중에서 어느 하나의 파이프는 외부 둘레에 복수개의 나사산이 구성되는 파이프;
    상기 상부파이프와 상기 하부파이프를 연결하고, 상기 플러그회전부에 구성되는 복수개의 손잡이가 각각 회전되어 결합되는 커플러;
    상기 상부파이프에 관통되어 구비되되, 상기 커플러에 탈착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승강회전부와 결합되는 어댑터; 및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되, 일단부는 상기 상부파이프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부파이프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승강축;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파이프와 상기 하부파이프 중에서 상기 상부파이프는 외부 둘레에 복수개의 나사산이 구성되고, 상기 상부파이프는 나사산이 구성되는 외주면 둘레에 승강홈이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형성되되, 직경보다 길게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
KR1020180091597A 2018-08-07 2018-08-07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 KR102278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597A KR102278452B1 (ko) 2018-08-07 2018-08-07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597A KR102278452B1 (ko) 2018-08-07 2018-08-07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454A KR20200016454A (ko) 2020-02-17
KR102278452B1 true KR102278452B1 (ko) 2021-07-19

Family

ID=69670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597A KR102278452B1 (ko) 2018-08-07 2018-08-07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4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374B1 (ko) * 2021-06-11 2022-01-18 박종환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밸브를 이용한 공법
KR102352372B1 (ko) * 2021-06-11 2022-01-18 박종환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
KR102352373B1 (ko) * 2021-06-11 2022-01-18 박종환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994Y1 (ko) 1999-01-14 2002-03-18 안선희 밸브
KR101723851B1 (ko) 2016-12-21 2017-04-06 김제현 디스크 교체구조를 갖는 게이트 밸브
KR101859107B1 (ko) 2017-09-29 2018-05-21 서광공업 주식회사 떨림 방지된 소프트실 슬루스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9985B1 (ko) * 2016-01-28 2017-11-20 박종환 플러깅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994Y1 (ko) 1999-01-14 2002-03-18 안선희 밸브
KR101723851B1 (ko) 2016-12-21 2017-04-06 김제현 디스크 교체구조를 갖는 게이트 밸브
KR101859107B1 (ko) 2017-09-29 2018-05-21 서광공업 주식회사 떨림 방지된 소프트실 슬루스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454A (ko) 202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8452B1 (ko)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밸브를 이용한 유지보수 공법
JP2022031039A (ja) 着脱に適した防汚管路バルブ
CA2371373C (en) Coiled tubing hanger assembly
ES2718341T3 (es) Válvula de obturación y conjunto de sellado de vástago
US9909391B2 (en) Device for ensuring continuous circulation in well drilling
US5143114A (en) Ball valve lockout mechanism
BRPI0705790B1 (pt) “Conjunto de vedação e método de instalar um conjunto de tubo de lavagem”
CN102301165A (zh) 双盘闸板阀门
US7497268B1 (en) Drill pipe elevators and methods of moving drill pipe
CN104976393A (zh) 紧急关断阀
US3809114A (en) Underground valve having below-surface parts removable from above-surface position
US9243460B2 (en) Rod clamping devices for hanging or pulling rod strings in a wellbore
KR101174330B1 (ko) 중력 유동 차단 장치
KR102352372B1 (ko)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시스템
KR102014182B1 (ko) 부품교체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밸브
KR100856735B1 (ko) 락킹 수단을 구비한 매뉴얼 밸브 장치
KR20220097618A (ko) 배관의 누수방지용 차단장치
KR200471865Y1 (ko) 배관차단용 플러깅머신의 피스톤로드 휨 방지장치
KR102352373B1 (ko)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부품교체가 용이한 밸브를 이용한 장치
KR101789985B1 (ko) 플러깅 장치
CN213839753U (zh) 一种方便清理的管道阀门
KR102352374B1 (ko) 차수역할이 향상되면서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밸브를 이용한 공법
KR20160049560A (ko) 플러깅 시스템
KR101380120B1 (ko) 가변형 제수밸브
CN204372245U (zh) 紧急关断阀和用于该紧急关断阀的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