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1759B1 - 웨이트붙이 볼밸브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웨이트붙이 볼밸브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1759B1
KR102021759B1 KR1020180094521A KR20180094521A KR102021759B1 KR 102021759 B1 KR102021759 B1 KR 102021759B1 KR 1020180094521 A KR1020180094521 A KR 1020180094521A KR 20180094521 A KR20180094521 A KR 20180094521A KR 102021759 B1 KR102021759 B1 KR 102021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lever
inlet
weigh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덕만
Original Assignee
서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4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7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타입 체크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는 밸브바디; 내부에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와 회전축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플러그와 함께 회전하는 레버부; 상기 레버부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플러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레버부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유입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레버부의 타측을 중력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웨이트를 포함하고, 역류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이트붙이 볼밸브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장치{BALL VALVE WITH WEIGHT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PIPE}
본 발명은 역류방지기능이 있는 웨이트붙이 볼밸브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는 설비나 배관에 설치되어, 배관의 유체 흐름을 개폐하거나 유량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밸브의 종류로 플러그 밸브, 글로브 밸브, 체크 밸브 및 볼 밸브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중 체크 밸브는 유체가 오직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이루어지고, 펌프 등이 정지되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유체의 역류를 막아 펌프 등의 장치를 보호한다.
통상적으로, 체크밸브는 배관을 따라 흐르는 유체에 의해 작동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체크밸브는 스윙 타입 체크 밸브와 리프트 타입 체크 밸브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스윙 타입 체크 밸브는 체크 밸브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태로 디스크가 몸통 시트에 평면으로 접촉되며, 암(arm)과 로드 핀(rod pin)에 의해 디스크가 회전하면서 개폐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스윙 타입 체크 밸브는 역류 시작 시 디스크가 몸통 시트에 평면으로 접촉되어 밸브가 닫힐 때 진동이나 소음이 크게 발생하고, 유체압력의 충격에 의한 밸브의 파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플러그 타입의 체크 밸브라는 새로운 개념의 밸브를 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관의 유체 압력이 중단되는 경우에 밸브의 닫힘 시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플러그 타입 체크 밸브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 닫힘 시 유체 압력의 충격에 의한 밸브의 파손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플러그 타입 체크 밸브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습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타입 체크 밸브는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는 밸브바디; 내부에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와 회전축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플러그와 함께 회전하는 레버부; 상기 레버부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플러그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레버부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유입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레버부의 타측을 중력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웨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길이방향으로 양측이 개방되는 플러그바디; 및 상기 플러그바디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유입구를 차폐시키는 복수의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유압 실린더 기구이고, 상기 유압 실린더 기구는, 상기 밸브바디의 일측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실린더 본체; 및 상기 실린더 본체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로드가 상기 레버부의 일단부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피스톤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와 상기 레버부의 일단부를 결합하는 결합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밸브바디의 일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 기구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로드의 단부가 상기 레버부의 일단부의 회전방향을 따라 추종하도록, 상기 실린더 본체는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는, 상기 플러그바디의 일측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회전축결합부; 및 상기 플러그바디의 타측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회전축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회전축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유입구의 내측단에 시트부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차폐부 중 하나의 차폐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부와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레버부의 일단부에 상기 결합핀이 결합되도록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로드는 상기 레버부의 회전 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승강 시 상기 결합핀은 상기 장공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른 배관연결장치는, 유체가 흐르는 제1배관과 제2배관을 연결하고,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의 유체 흐름을 개폐하는 플러그 타입 체크 밸브; 및 상기 플러그 타입 체크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타입 체크 밸브는, 양측에 유입구와 유출구를 각각 구비하여, 양측이 상기 제1배관 및 상기 제2배관 각각과 연통되는 밸브바디; 내부에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와 회전축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플러그와 함께 회전하는 레버부; 상기 레버부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플러그를 회전시키는 유압 실린더 기구; 및 상기 레버부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유입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레버부의 타측을 중력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웨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배관의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펌프의 압력이 중단 시, 상기 유압 실린더 기구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받아 유압을 해제하고, 상기 웨이트는 중력방향으로 상기 레버부를 회전시켜 상기 유입구를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플러그 타입 체크 밸브는 제1배관과 제2배관을 연결하도록 밸브바디의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플러그와, 밸브바디의 외부 일측면에 플러그와 회전축을 매개로 연결되는 레버부와, 레버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밸브 개방 시 플러그를 회전시키는 유압 구동부와, 레버부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밸브 폐쇄 시 중력에 의해 플러그를 회전시켜 역류방지 기능을 하는 웨이트를 구비하고, 배관에 흐르는 유체의 압력이 중단된 경우에 레버부의 일측을 유압으로 가압하는 유압 구동부의 작동을 멈추고 웨이트의 중량에 의해 레버부를 회전시켜 플러그를 직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플러그 내부의 유로가 닫힘으로 역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플러그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플러그의 내부에 유로가 일직선 형태로 형성되며, 밸브 개방 시에는 유로가 밸브바디의 유입구 및 유출구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역류가 시작되어 밸브 폐쇄 시에는 플러그가 웨이트에 의해 90도 회전하여, 플러그의 유로와 90도 각도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차폐부가 유입의 내측단부에 형성된 시트부를 차단함으로써, 밸브 폐쇄 시 유체 압력에 의한 진동이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플러그 타입 체크 밸브는 플러그의 회전각도에 따라 플러그의 유로의 개방상태와 차폐부의 폐쇄상태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유체의 충돌에 의한 밸브의 파손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넷째, 동력원으로 유압에 의한 유압 실린더 기구와 중력에 의한 웨이트가 레버의 양단부에 각각 선택적으로 작용하고, 역류 발생 시 유압 실린더 기구의 작동이 멈춤과 동시에 웨이트의 중력이 작용하여 역류를 방지함으로써, 밸브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타입 체크 밸브를 구비한 배관연결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바라본 플러그 타입 체크 밸브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밸브바디의 내부에 수용된 플러그의 닫힘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V-V선을 기준으로 플러그의 좌측은 닫힘 상태를 보여주고 플러그의 우측은 열림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플러그의 열림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레버부가 플러그의 개방방향으로 회전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버부에 장공이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플러그 타입 체크 밸브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 및 변형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변형예는 실시예와 구조적 차이가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모순이 되지 않는 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 기능 등은 변형예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타입 체크 밸브(3)를 구비한 배관연결장치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바라본 플러그 타입 체크 밸브(3)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밸브바디(30)의 내부에 수용된 플러그(4)의 닫힘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V-V선을 기준으로 플러그(4)의 좌측은 닫힘 상태를 보여주고 플러그(4)의 우측은 열림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플러그(4)의 열림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6은 도 1에서 레버부(47)가 플러그(4)의 개방방향으로 회전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 장치는 플러그 타입 체크 밸브(3)를 포함하여 유체가 흐르는 두 배관을 연결하고, 두 배관 내 유체의 흐름을 개폐할 수 있다.
두 배관 중 하나의 제1배관(1)은 플러그 타입 체크 밸브(3)의 유입구(310)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제2배관(2)은 플러그 타입 체크 밸브(3)의 유출구(320)에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 타입 체크 밸브(3)는 밸브바디(30), 플러그(4), 레버부(47), 구동부 및 웨이트(4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밸브바디(30)는 밸브의 외관을 형성한다. 밸브바디(3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밸브바디(30)의 양측에 유입관(31)과 유출관(32)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유입관(31) 내부에 유입구(310)가 형성되고, 유출관(32) 내부에 유출구(320)가 형성된다.
유입관(31)의 일단은 제1배관(1)에 연통되게 체결되고, 유입관(31)의 타단은 밸브바디(30)의 일단에 체결될 수 있다. 유입관(31)의 양단은 각각 복수의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유출관(32)의 일단은 제2배관(2)에 연통되게 체결되고, 유출관(32)의 타단은 밸브바디(30)의 타단에 체결될 수 있다. 유출관(32)의 양단은 각각 복수의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유입관(31)은 제1배관(1)에서 밸브바디(30)를 향하여 갈수록 단면적(직경)이 크게 형성되고, 유출관(32)은 제2배관(2)에서 밸브바디(30)를 향하여 갈수록 단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밸브바디(30)의 저면에 복수의 레그부(33)가 설치되어 지면 등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레그부(33)는 밸브바디(3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분과 상기 경사부분에서 지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베이스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밸브바디(30)의 내부에 플러그(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플러그(4)는 플러그 바디(40) 및 복수의 차폐부(421,4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플러그 바디(4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바디(40)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41)를 구비한다. 플러그 바디(40)의 양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유로(41)는 길이방향을 따라 유입구(310)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4)는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90도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위치는 플러그(4)의 폐쇄위치이고, 제2위치는 플러그(4)의 개방위치이다.
플러그(4)는 제1위치에서 유로(41)의 양단부가 밸브바디(30)의 상하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고, 제2위치에서 유로(41)의 양단부가 밸브바디(30)의 전후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밸브바디(30)의 전방은 유입구(310)를 향하고, 밸브바디(30)의 후방은 유출구(320)를 향한다.
플러그(4)는 제1위치에 배치될 경우에 유입구(310)를 차단하고, 제2위치에 배치될 경우에 유입구(310)를 개방할 수 있다.
차폐부(421,422)는 플러그(4)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될 수 있다. 차폐부(421,422)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폐부(421,422)는 유입구(310)보다 직경이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차폐부(421,422)는 플러그(4)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차폐부 각각은 제1위치에서 유입구(310) 또는 유출구(320)를 향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차폐부(421,422) 중 하나의 제1차폐부(421)는 유입구(310)를 향하여 마주보게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제2차폐부(422)는 유출구(320)를 향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차폐부(421,422)는 내측에 십자형태의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차폐부(421)는 제1위치에서 상단(최정점)으로부터 하단으로 갈수록 돌출 길이가 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310)의 내측단에 시트부(4210)가 설치될 수 있다. 시트부(4210)는 원형의 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시트부(4210)의 내측면은 밀봉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시트부(4210)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1차폐부(421)는 외주면에 실링부재(4211)가 부착될 수 있다. 실링부재(4211)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4211)는 차폐부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결합부분과 결합부분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접촉부분은 시트부(4210)의 테이퍼진부분에 접촉되어 실링부재(4211)와 시트부(421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결합부분의 내측면에 복수의 오링이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오링은 차폐부와 실링부재(4211)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실링부재(4211)는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제1차폐부(421)에 체결될 수 있다.
플러그 바디(40)의 외주면 양측에서 복수의 회전축결합부(431,432)가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회전축결합부(431,432) 각각은 밸브바디(3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회전축결합부(431,432) 각각은 유로(41)의 길이방향과 차폐부(421,422)의 돌출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회전축결합부(431,432)는 플러그 바디(40)의 외측면 일측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회전축결합부(431)와, 플러그 바디(40)의 외측면 타측에서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회전축결합부(432)로 구성될 수 있다.
밸브바디(30)의 양측면에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회전축지지부(34,35)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회전축지지부(34,35)는 밸브바디(30)의 양측면에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과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회전축지지부(34,35)는 밸브바디(3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회전축지지부(34)와 밸브바디(30)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2회전축지지부(35)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회전축(441)은 일측이 제1회전축결합부(431)에 결합되어, 플러그(4)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1회전축(441)의 타측은 밸브바디(3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제1회전축지지부(3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2회전축(442)은 일측이 제2회전축결합부(432)에 결합되어, 플러그(4)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2회전축(442)의 타측은 밸브바디(30)의 타측면을 관통하여 결합되며 제2회전축지지부(3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복수의 회전축지지부(34,35)는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회전축의 단부에 결합되는 베어링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회전축지지부(34,35) 중 하나의 제1회전축지지부(34)는 후술할 레버부(47)와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회전축지지부(34,35) 중 다른 하나의 제2회전축지지부(35)에 샤프트커버(36)가 제2회전축(442)을 덮도록 체결될 수 있다.
제1회전축(441)은 레버부(47)와의 결합을 위해 제2회전축(442)보다 길이가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회전축지지부(34)의 단부에 연장부(45)가 설치될 수 있다. 연장부(45)에 지지대(46)가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연장부(45)는 축방향 연장부와 수직연장부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회전축지지부(34)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수직연장부는 축방향 연장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대(46)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대(46)는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플레이트(461)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플레이트(461)는 가장자리부를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플레이트(461) 사이에 레버부(47)의 일부가 수용되고, 레버부(47)의 다른 일부는 복수의 지지플레이트(461)에서 유출관(32)을 향해 밸브바디(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레버부(47)는 제1회전축(441)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레버부(47)의 길이방향으로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축결합부(470)가 구비될 수 있다. 축결합부(470)는 레버부(47)의 길이의 중앙부에 위치하지 않고 일단부를 향해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
레버부(47)의 일단부와 축결합부(470) 사이의 제1길이가 레버부(47)의 타단부와 축결합부(470) 사이의 제2길이보다 더 짧게 연장될 수 있다.
유체가 유입구(310)로 유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밸브바디(30)의 오른쪽 측면에서 지지대(46)를 바라볼 때 레버부(47)는 일단부에서 축결합부(470)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타단부에서 축결합부(470)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레버부(47)의 일단부에 구동부가 결합되어, 레버부(47)의 일단부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는 제1회전축(441)을 중심으로 레버부(47)의 일단부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 플러그(4)의 유로(41)가 유입구(310)와 일치되게 배치되어 플러그(4)를 개방시킬 수 있다.
레버부(47)의 타단부에 웨이트(49; weight)가 장착되어, 레버부(47)의 타단부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웨이트(49)는 제1회전축(441)을 중심으로 레버부(47)의 타단부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 플러그(4)의 차폐부가 유입구(310)와 일치되게 배치되어 플러그(4)를 폐쇄할 수 있다.
웨이트(49)는 복수의 무게추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무게추는 중심부에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레버부(47)의 타단부에 원형의 막대(bar) 형태로 형성된 웨이트 장착부(471)가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무게추의 관통홀을 통해 웨이트 장착부(471)가 삽입되어, 웨이트(49)가 웨이트 장착부(471)에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무게추는 웨이트 장착부(47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구동부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 실린더 기구(48)일 수 있다.
유압 실린더 기구(48)는 내부에 오일이 저장되는 실린더본체(480)와, 실린더본체(480)의 내부에서 오일의 압력에 의해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로드(481)로 구성될 수 있다.
실린더본체(48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피스톤로드(481)는 실린더본체(480)에서 하방향으로 인출되고, 상방향으로 인입되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린더본체(480)는 지지플레이트(461)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린더본체(480)의 양측면에 각각 힌지축이 결합될 수 있다. 힌지축(4841,4842)은 복수의 지지플레이트(461)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힌지축(4841,4842)은 복수의 지지플레이트(461) 중 하나의 지지플레이트(461)에 설치되는 제1힌지축(4841)과 다른 하나의 지지플레이트(461)에 설치되는 제2힌지축(48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피스톤로드(481)의 하단부에 커플러(482)가 결합될 수 있다. 커플러(482)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레버부(47)의 일단부에서 결합핀(483)이 레버부(47)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핀(483)은 레버부(47)의 일단부과 커플러(482)에 관통 결합되어, 레버부(47)와 피스톤로드(481)가 서로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실린더본체(480)는 피스톤로드(481)가 레버부(47)의 일단부의 회전방향을 따라 추종하도록 힌지축을 중심으로 실린더본체(480)의 상단부가 유출관(32)을 향해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제어부는 플러그 타입 체크 밸브(3) 및 유압 실린더 기구(48)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플러그 타입 체크 밸브(3)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유체는 플러그 타입 체크 밸브(3)가 개방됨에 따라 펌프로부터 동력(압력)을 제공받아 제1배관(1)에서 제2배관(2)으로 이송될 수 있다.
유압 실린더 기구(48)는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작동될 수 있다. 유압 실린더 기구(48)는 플러그 타입 체크 밸브(3)의 개방을 위해 실린더본체(480) 내부의 오일압력이 피스톤로드(481)를 하방향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유압은 웨이트(49)에 의한 중력보다 더 크다.
인출된 피스톤로드(481)는 웨이트(49)의 중력저항을 이기며 레버부(47)의 일단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레버부(47)의 일단부는 제1회전축(44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레버부(47)의 타단부는 제1회전축(44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상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레버부(47)의 타단부에 장착된 웨이트(49)는 상방향으로 회전된다.
제1회전축(441)으로 레버부(47)와 연결된 플러그(4)는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함으로, 플러그(4) 내부의 유로(41)는 유입구(310)와 일치되어, 유입구(310)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유로(41)를 따라 이동하고 유출구(320)를 통해 제2배관(2)으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유체에 제공된 펌프의 압력이 중단될 경우에 유체는 제2배관(2)에서 제1배관(1)으로 역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유압 실린더 기구(48)는 제어신호를 받아 유압이 정지될 수 있다. 즉, 피스톤로드(481)가 실린더본체(480)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작용했던 유압이 해제되는 것이다.
유압이 해제됨에 따라 웨이트(49)는 중력에 의해 레버부(47)의 타단부를 시계방향(하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레버부(47)의 일단부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피스톤로드(481)를 실린더본체(480) 내부로 인입시킨다.
레버부(47)의 회전에 따라 플러그(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플러그(4)의 차폐부가 유입구(310)와 일치되어 유입구(310)는 차폐부에 의해 폐쇄된다.
이에 의해, 유입구(310)가 차폐부에 의해 폐쇄됨에 따라 역류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버부(147)에 장공(1470)이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버부(147)의 일단부에 장공(1470)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피스톤로드(481)의 하단부에 형성된 커플러(482)와 레버부(147)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결합핀(483)은 장공(1470)에 결합되어, 피스톤로드(481)가 수직방향으로 이동 시 결합핀(483)이 장공(1470)을 따라 슬라이딩함으로, 실린더본체(480)가 레버부(47)의 회전각도에 따라 회전하지 않고 피스톤로드(481)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도 레버부(147)의 일단부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기타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 타입 체크 밸브(3)는 제1배관(1)과 제2배관(2)을 연결하도록 밸브바디(30)의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플러그(4)와, 밸브바디(30)의 외부 일측면에 플러그(4)와 회전축(441)을 매개로 연결되는 레버부(47)와, 레버부(47)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밸브 개방 시 플러그(4)를 회전시키는 유압 실린더 기구(48)와, 레버부(47)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밸브 폐쇄 시 중력에 의해 플러그(4)를 회전시켜 역류방지 기능을 하는 웨이트(49)를 구비하고, 배관에 흐르는 유체의 압력이 중단된 경우에 레버부(47)의 일측을 유압으로 가압하는 유압 실린더 기구(48)의 작동을 멈추고 웨이트(49)의 중량에 의해 레버부(47)를 회전시켜 플러그(4)를 직각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플러그(4) 내부의 유로(41)가 닫힘으로 역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4)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플러그(4)의 내부에 유로(41)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 형태로 형성되며, 밸브 개방 시에는 유로(41)가 밸브바디(30)의 유입구(310) 및 유출구(320)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역류가 시작되어 밸브 폐쇄 시에는 플러그(4)가 웨이트(49)에 의해 90도 회전하여, 플러그(4)의 유로(41)와 90도 각도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차폐부(421)가 유입의 내측단부에 형성된 시트부(4210)를 차단함으로써, 밸브 폐쇄 시 유체 압력에 의한 진동이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플러그 타입 체크 밸브(3)는 플러그(4)의 회전각도에 따라 플러그(4)의 유로(41)의 개방상태와 차폐부(421)의 폐쇄상태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유체의 충돌에 의한 밸브의 파손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넷째, 동력원으로 유압에 의한 유압 실린더 기구(48)와 중력에 의한 웨이트(49)가 레버부(47)의 양단부에 각각 선택적으로 작용하고, 역류 발생 시 유압 실린더 기구(48)의 작동이 멈춤과 동시에 웨이트(49)의 중력이 작용하여 역류를 방지함으로써, 밸브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실시예
1 : 제1배관 2 : 제2배관
3 : 플러그 타입 체크 밸브
30 : 밸브바디
31 : 유입관 310 : 유입구
32 : 유출관 320 : 유출구
33 : 레그부 34 : 제1회전축지지부
35 : 제2회전축지지부 36 : 샤프트커버
4 : 플러그 40 : 플러그 바디
41 : 유로 421 : 제1차폐부
4210 : 시트부 4211 : 실링부재
422 : 제2차폐부 431 : 제1회전축결합부
432 : 제2회전축결합부 441 : 제1회전축
442 : 제2회전축 45 : 연장부
46 : 지지대 461 : 지지플레이트
47 : 레버부 470 : 축결합부
471 :웨이트 장착부 48 : 유압 실린더 기구
480 : 실린더본체 481 : 피스톤로드
482 : 커플러 483 : 결합핀
4841 : 제1힌지축 4842 : 제2힌지축
49 : 웨이트
제2실시예
147 : 레버부 1470 : 장공

Claims (10)

  1. 길이방향으로 양측에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는 밸브바디;
    내부에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와 함께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플러그와 상기 회전축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플러그와 함께 회전하는 레버부;
    상기 레버부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플러그를 회전시키는 유압 실린더 기구;
    상기 유압 실린더 기구를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레버부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유입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레버부의 타측을 중력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웨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유압 실린더 기구는,
    상기 밸브바디의 일측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실린더 본체; 및
    상기 실린더 본체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단부가 상기 레버부의 일단부의 회전방향을 따라 추종하도록, 상기 실린더 본체는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붙이 볼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로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길이방향으로 양측이 개방되는 플러그바디; 및
    상기 플러그바디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유입구를 차폐시키는 복수의 차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붙이 볼밸브.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로드가 상기 레버부의 일단부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피스톤로드의 단부에 결합되는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와 상기 레버부의 일단부를 결합하는 결합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붙이 볼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바디의 일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부가 연장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붙이 볼밸브.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상기 플러그바디의 일측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회전축결합부; 및
    상기 플러그바디의 타측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회전축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회전축결합부에 결합되는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붙이 볼밸브.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의 내측단에 시트부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차폐부 중 하나의 차폐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부와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붙이 볼밸브.
  9. 삭제
  10. 유체가 흐르는 제1배관과 제2배관을 연결하고,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의 유체 흐름을 개폐하는 웨이트붙이 볼밸브; 및
    상기 웨이트붙이 볼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트붙이 볼밸브는,
    양측에 유입구와 유출구를 각각 구비하여, 양측이 상기 제1배관 및 상기 제2배관 각각과 연통되는 밸브바디;
    내부에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바디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와 함께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플러그와 상기 회전축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플러그와 함께 회전하는 레버부;
    상기 레버부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도록 상기 플러그를 회전시키는 유압 실린더 기구;
    상기 유압 실린더 기구를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레버부의 타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유입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레버부의 타측을 중력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웨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 실린더 기구는,
    상기 밸브바디의 일측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실린더 본체; 및
    상기 실린더 본체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단부가 상기 레버부의 일단부의 회전방향을 따라 추종하도록, 상기 실린더 본체는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 및 제2배관의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펌프의 압력이 중단 시, 상기 유압 실린더 기구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받아 유압을 해제하고, 상기 웨이트는 중력방향으로 상기 레버부를 회전시켜 상기 유입구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연결장치.
KR1020180094521A 2018-08-13 2018-08-13 웨이트붙이 볼밸브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장치 KR102021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521A KR102021759B1 (ko) 2018-08-13 2018-08-13 웨이트붙이 볼밸브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521A KR102021759B1 (ko) 2018-08-13 2018-08-13 웨이트붙이 볼밸브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759B1 true KR102021759B1 (ko) 2019-09-17

Family

ID=68070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521A KR102021759B1 (ko) 2018-08-13 2018-08-13 웨이트붙이 볼밸브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7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0632A (zh) * 2020-12-18 2021-05-11 环旭电子股份有限公司 气压缸的选择方法、旋转机构的设计方法及其旋转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904A (ko) * 2006-06-23 2007-12-28 주식회사 에이치아이테크 컨트롤체크밸브
KR20080113664A (ko) * 2007-06-25 2008-12-31 서광공업 주식회사 메탈시트를 갖는 볼 밸브
KR20100126091A (ko) * 2009-05-22 2010-12-01 서광공업 주식회사 체크밸브
KR101404656B1 (ko) * 2013-12-30 2014-06-09 김만영 볼 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904A (ko) * 2006-06-23 2007-12-28 주식회사 에이치아이테크 컨트롤체크밸브
KR20080113664A (ko) * 2007-06-25 2008-12-31 서광공업 주식회사 메탈시트를 갖는 볼 밸브
KR20100126091A (ko) * 2009-05-22 2010-12-01 서광공업 주식회사 체크밸브
KR101404656B1 (ko) * 2013-12-30 2014-06-09 김만영 볼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80632A (zh) * 2020-12-18 2021-05-11 环旭电子股份有限公司 气压缸的选择方法、旋转机构的设计方法及其旋转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8238C2 (ru) Скважинная гидравл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с отказоустойчивыми характеристиками (варианты)
AU2012202101B2 (en) Snubber for shovel dipper
CA1295983C (en) Ball valve
BR112013001001B1 (pt) válvula para uso subterrâneo
KR102021759B1 (ko) 웨이트붙이 볼밸브 및 이를 구비한 배관연결장치
EP0208412B1 (en) Valve assembly for pipeline
US20120060943A1 (en) Water hammer proof and silent check valve
JP2005515328A (ja) 回転支持テーブル
CN107869158B (zh) 用于机铲铲斗的阻尼器
KR101117540B1 (ko) 체크밸브
US9976276B2 (en) Assembly of buffers, roadway device and corresponding usage
CN102979480A (zh) 球阀组件
KR200352379Y1 (ko) 역류방지밸브
CN108506560B (zh) 一种优先阀及其先导阀
KR20070009766A (ko) 체크밸브 시스템
KR102229349B1 (ko) 슬램방지용 체크밸브
GB2278905A (en) Emergency shutdown valve
KR20100020334A (ko) 개폐표시용 레버가 구비된 웨이퍼형 스윙체크밸브
KR200432125Y1 (ko) 체크밸브
KR100363229B1 (ko) 복합 기능 안전밸브
GB2546216B (en) Valve assembly for drilling systems
KR200303550Y1 (ko) 바이패스 기능이 구비된 버터플라이 밸브
KR102104038B1 (ko) 펌프전용 버터플라이 밸브
KR101698347B1 (ko) 로터리 액추에이터
KR100646048B1 (ko) 버터플라이형 투웨이 체크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