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640B1 - 고정구 - Google Patents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640B1
KR102351640B1 KR1020170061033A KR20170061033A KR102351640B1 KR 102351640 B1 KR102351640 B1 KR 102351640B1 KR 1020170061033 A KR1020170061033 A KR 1020170061033A KR 20170061033 A KR20170061033 A KR 20170061033A KR 102351640 B1 KR102351640 B1 KR 102351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member
belt
vehicle
pet carrier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1245A (ko
Inventor
준이치 아사노
다케시 데라우치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1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236Transport 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for animals; Fittings therefor
    • A01K1/0272Boxes, bags, cages, baskets, harnesses e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in or on automobi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Abstract

고정구(5)는, 펫을 수용하는 펫 캐리어(PC)를 차량(V)의 좌석(S)에 고정한다. 고정구는, 분기 위치(bp)로부터 분기하도록 하여 서로 접속된 제1 벨트 부재(10), 제2 벨트 부재(20) 및 제3 벨트 부재(30)를 구비한다. 제1 벨트 부재는, 차량에 설치된 제1 앵커(A1)에 체결 가능한 제1 커넥터(14)를 갖는다. 제2 벨트 부재(20)는, 차량에 설치된 제2 앵커(A2)에 체결 가능한 제2 커넥터(24)를 갖는다. 제3 벨트 부재는, 차량에 설치된 제3 앵커(A3)에 체결 가능한 제3 커넥터(34)를 갖는다. 제1 벨트 부재, 제2 벨트 부재 및 제3 벨트 부재와, 차량의 좌석 사이에, 펫용 캐리어를 고정한다.

Description

고정구{FIXTURE}
본 발명은, 펫을 수용하는 펫 캐리어를 차량의 좌석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근년, 펫을 차량에 실을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이 경향에 수반하여, 예를 들어 JP2006-174712A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시트 벨트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좌석 상에 장착 가능한 펫 캐리어가, 보급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펫 캐리어에 펫을 수용함으로써, 차량의 급감속시, 예를 들어 충돌시에, 차량 내에서 펫이 사람과 부딪쳐 버리는 일이나, 펫이 차량의 어느 한 부위에 부딪쳐 버리는 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JP2006-174712A에 개시된 펫 캐리어는, 대략 직방체형상의 외윤곽을 갖고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펫 캐리어(90)에서는, 후벽부(91)에 상하 방향(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스트랩(9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트랩(92)은, 상단(92a) 및 하단(92b)에 있어서, 후벽부(91)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스트랩(92)은, 상단(92a) 및 하단(92b) 사이에 있어서 후벽부(91)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에 장비된 시트 벨트(97)의 허리 벨트(97a) 및 어깨 벨트(97b)는, 스트랩(92)과 후벽부(91) 사이를 통과한다. 이 상태에서, 시트 벨트(97)에 유지된 걸쇠(98a)가 버클(98b)에 고정되고, 펫 캐리어(90)가 차량 내에서 좌석(95)에 대해 고정되게 된다.
그러나, 펫 캐리어는, 특정 차량에 실을 때에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며, 물건을 사러 가거나 전철이나 버스로의 승차시에도 이용된다. 따라서, 특정 차량의 좌석에 고정하기 위한 특별한 구성을 펫 캐리어에 설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더욱이, JP2006-174712A의 펫 캐리어는, 차량의 시트 벨트를 이용하여 차량의 좌석에 고정된다. 따라서, 펫 캐리어를 좌석에 고정하려면, 좁은 차량 내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된 시트 벨트를 다를 필요가 있다. 즉, 시트 벨트를 이용한 펫 캐리어의 장착 및 떼어냄은, 매우 작업성이 나쁘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다양한 펫 캐리어를 차량의 좌석에 대해 용이하게 장착 및 때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 고정구는,
펫을 수용하는 펫 캐리어를 차량의 좌석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로서,
분기 위치로부터 분기하도록 하여 서로 접속된 제1 벨트 부재, 제2 벨트 부재 및 상기 제3 벨트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벨트 부재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제1 앵커에 체결 가능한 제1 커넥터를 갖고,
상기 제2 벨트 부재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제2 앵커에 체결 가능한 제2 커넥터를 가지며,
상기 제3 벨트 부재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제3 앵커에 체결 가능한 제3 커넥터를 갖고,
상기 제1 벨트 부재, 상기 제2 벨트 부재 및 상기 제3 벨트 부재와, 상기 차량의 상기 좌석 사이에, 상기 펫용 캐리어를 고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2 고정구는,
펫을 수용하는 펫 캐리어를 차량의 좌석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로서,
상기 차량에 설치된 제1 앵커에 체결 가능한 제1 커넥터를 갖고, 또한,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제1 접속부를 갖는 제1 벨트 부재와,
상기 차량에 설치된 제2 앵커에 체결 가능한 제2 커넥터를 가지며, 또한,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제2 접속부를 갖는 제2 벨트 부재와,
상기 차량에 설치된 제3 앵커에 체결 가능한 제3 커넥터를 갖고, 또한, 상기 제1 벨트 부재의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벨트 부재의 상기 제2 접속부의 양방과 접속되는 제3 접속부를 갖는 제3 벨트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벨트 부재, 상기 제2 벨트 부재 및 상기 제3 벨트 부재와, 상기 차량의 상기 좌석 사이에, 상기 펫용 캐리어를 고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 또는 제2 고정구가, 상기 제1 벨트 부재 및 상기 제2 벨트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와, 상기 제3 벨트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 벨트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벨트 부재 및 상기 제2 벨트 부재 중 상기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와, 상기 제3 벨트 부재와, 상기 보조 벨트 부재 사이에, 상기 펫 캐리어를 유지시키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 또는 제2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보조 벨트 부재는, 상기 제1 벨트 부재 및 상기 제2 벨트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벨트재와, 상기 연결 벨트재 및 상기 제3 벨트 부재를 연결하는 주(主)벨트재를 갖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 또는 제2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보조 벨트 부재는, 상기 제3 벨트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벨트 부재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3 벨트 부재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 또는 제2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보조 벨트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3 고정구는,
펫을 수용하는 펫 캐리어를 차량의 좌석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로서,
분기 위치로부터 분기하도록 하여 서로 접속된 제1 벨트 부재, 제2 벨트 부재 및 상기 제3 벨트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벨트 부재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제1 앵커에 체결 가능한 제1 커넥터를 갖고,
상기 제2 벨트 부재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제2 앵커에 체결 가능한 제2 커넥터를 가지며,
상기 제3 벨트 부재는, 상기 분기 위치로부터 이격한 접속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 부재 및 상기 제2 벨트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와 접속되고,
상기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와, 상기 제3 벨트 부재 사이에, 상기 펫 캐리어를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제4 고정구는,
펫을 수용하는 펫 캐리어를 차량의 좌석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로서,
상기 차량에 설치된 제1 앵커에 체결 가능한 제1 커넥터를 갖고, 또한,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제1 접속부를 갖는 제1 벨트 부재와,
상기 차량에 설치된 제2 앵커에 체결 가능한 제2 커넥터를 가지며, 또한,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제2 접속부를 갖는 제2 벨트 부재와,
상기 제1 벨트 부재의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벨트 부재의 상기 제2 접속부의 양방과 접속되는 제3 접속부를 갖는 제3 벨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3 벨트 부재는, 상기 제3 접속부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있어서도, 상기 제1 벨트 부재 및 상기 제2 벨트 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 접속하며,
상기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와, 상기 제3 벨트 부재 사이에, 상기 펫 캐리어를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제3 또는 제4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제3 벨트 부재는, 상기 제1 벨트 부재 및 상기 제2 벨트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벨트재와, 상기 연결 벨트재로부터 상기 분기 위치까지 연장되는 주벨트재를 갖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3 또는 제4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제3 벨트 부재는, 상기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제4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 부재, 상기 제2 벨트 부재 및 상기 제3 벨트 부재는, 상기 분기 위치에 있어서, 떼어냄 가능하게 서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제4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 부재, 상기 제2 벨트 부재 및 상기 제3 벨트 부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길이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제4 고정구가, 수용 자루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벨트 부재, 상기 제2 벨트 부재 및 상기 제3 벨트 부재는, 상기 분기 위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 자루 내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제4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수용 자루에는, 상기 제1 벨트 부재 및 상기 제2 벨트 부재가 통과하는 제1 통과구와, 상기 제3 벨트 부재가 통과하는 제2 통과구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제4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수용 자루는, 상기 제1 통과구를 폐쇄하는 폐쇄 수단을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제4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수용 자루는, 상기 제1 통과구를 부분적으로 폐쇄하여 상기 제1 벨트 부재가 통과하는 부분과 상기 제2 벨트 부재가 통과하는 부분으로 상기 제1 통과구를 구분하는 보조 폐쇄 수단을 갖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제4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수용 자루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는, 그 양단에 있어서 상기 수용 자루에 접속되고,
상기 제2 통과구는, 상기 수용 자루 중 상기 손잡이의 양단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제4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수용 자루의 표면에는, 상기 펫 캐리어에 접촉하여 상기 펫 캐리어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제4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수용 자루는, 상기 제1 벨트 부재, 상기 제2 벨트 부재 및 상기 제3 벨트 부재를 수용 가능한 용적을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제4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 부재, 상기 제2 벨트 부재 및 상기 제3 벨트 부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기 펫 캐리어에 접촉하여 상기 펫 캐리어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제4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 부재, 상기 제2 벨트 부재 및 상기 제3 벨트 부재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지지된 커버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펫 캐리어를 덮는 포재(布材) 또는 그물형상재를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제4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앵커를 ISOFIX 방식 대응의 래치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제4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앵커 및 제2 앵커는, 횡 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3 앵커는, 상기 제1 앵커 및 제2 앵커보다 상방이며, 상기 차량의 상기 좌석에 배부(背部) 뒷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펫 캐리어를 차량의 좌석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를 제안한다. 이 고정구를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펫 캐리어를 차량의 좌석에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 및 다양한 펫 캐리어를 차량의 좌석으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고정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정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정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고정구의 보조 벨트 부재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고정구의 수용 자루를 제1 통과구의 옆에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고정구의 수용 자루를 제2 통과구의 옆에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 8a는 도 3에 대응하는 도이며, 고정구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b는 도 3에 대응하는 도이며, 고정구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도 3에 대응하는 도이며, 고정구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도 3에 대응하는 도이며, 고정구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펫 캐리어의 일 구체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펫 캐리어의 다른 구체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종래의 펫 캐리어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정구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이 중, 도 1 및 2는, 고정구의 사용 상태, 즉, 고정구를 이용하여 펫 캐리어를 차량의 좌석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및 도 4는, 고정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또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보조 벨트 부재의 가이드 부재(43)를 도시하는 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수용 자루(50)를 상이한 두 방향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고정구(5)는, 펫 캐리어(PC)를 차량(V)의 좌석(S) 상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펫 캐리어(PC)는, 예를 들어 개, 고양이, 원숭이 등의 펫을 그 내부에 수용하는 것이다. 고정구(5)를 이용하여 차량(V)의 좌석(S)에 고정된 펫 캐리어(PC) 내에 펫을 수용해 둠으로써, 차량(V)의 급감속시, 예를 들어 차량(V)의 충돌시에, 차량(V) 내에서 펫이 사람과 부딪쳐 버리는 일이나, 펫이 차량(V)의 어느 한 부위에 부딪쳐 버리는 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이하에 설명하는 고정구(5)에는, 다양한 펫 캐리어(PC)를 차량(V)의 좌석(S)에 대해 용이하게 장착 및 떼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안이 실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된 고정구(5)는, 분기 위치(bp)로부터 분기하도록 하여 서로 접속된 제1 벨트 부재(10), 제2 벨트 부재(20) 및 제3 벨트 부재(30)를 갖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벨트 부재(10)는, 차량(V)에 설치된 제1 앵커(A1)에 체결 가능한 제1 커넥터(14)를 갖고 있다. 제2 벨트 부재(20)는, 차량(V)에 설치된 제2 앵커(A2)에 체결 가능한 제2 커넥터(24)를 갖고 있다. 제3 벨트 부재(30)는, 차량(V)에 설치된 제3 앵커(A3)에 체결 가능한 제3 커넥터(34)를 갖고 있다. 펫 캐리어(PC)는, 제1 벨트 부재(10), 제2 벨트 부재(20) 및 제3 벨트 부재(30)와, 차량(V)의 좌석(S) 사이에 유지되게 된다.
또,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구(5)는,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 중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와, 제3 벨트 부재(30)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 벨트 부재(40)를 더 갖고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보조 벨트 부재(40)는,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의 양방과, 제3 벨트 부재(30)를 연결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구(5)는, 수용 자루(50)를 갖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사용 상태에 있어서, 제1 벨트 부재(10), 제2 벨트 부재(20) 및 제3 벨트 부재(30)는, 분기 위치(bp)에 있어서, 수용 자루(50) 내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고정구(5)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1 벨트 부재(10), 제2 벨트 부재(20), 제3 벨트 부재(30) 및 보조 벨트 부재(40)를, 수용 자루(50) 내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고정구(5)를 이루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해 차례로 설명해 나간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고정구(5) 및 그것의 구성 요소에 대해 사용하는 「전」, 「후」 등의 위치를 특정하는 용어는, 펫 캐리어(PC)를 차량(V)의 좌석(S)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 상태(도 1 및 도 2의 상태)에서의 고정구(5)에 대한, 상기 좌석(S)에 착좌한 사람을 기준으로 한 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지면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 하고, 특히, 도 2의 지면에 있어서의 오른쪽을, 「전」이라고 한다. 또, 도 2의 지면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하며, 도 2의 지면에 대한 안길이 방향을, 「횡 방향」 및 「폭 방향」이라고 한다.
우선, 제1 벨트 부재(10), 제2 벨트 부재(20) 및 제3 벨트 부재(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벨트 부재(10), 제2 벨트 부재(20) 및 제3 벨트 부재(30)는, 모두 가늘고 긴 벨트형상의 부재이다. 제1 벨트 부재(10)는, 제1 커넥터(14)를 갖고 또한 제1 커넥터(14)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제1 접속부(15)를 포함하고 있다. 제2 벨트 부재(20)는, 제2 커넥터(24)를 가지며 또한 제2 커넥터(24)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제2 접속부(25)를 포함하고 있다. 또, 제3 벨트 부재(30)는, 제3 커넥터(34)를 갖고 또한 제1 접속부(15) 및 제2 접속부(25)의 양방과 접속되는 제3 접속부(35)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접속부(15) 및 제2 접속부(25)와 제3 접속부(35)가 접속되는 위치에, 분기 위치(bp)가 형성된다. 제1 벨트 부재(10), 제2 벨트 부재(20) 및 제3 벨트 부재(30)는, 이 분기 위치(bp)로부터 분기하도록, 연장되고 있다.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는, 대칭적인 구성을 갖고 있다. 제3 벨트 부재(30)는,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의 선대칭축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벨트 부재(10), 제2 벨트 부재(20) 및 제3 벨트 부재(3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속되어 Y자를 형성하고 있다. 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1 벨트 부재(10), 제2 벨트 부재(20) 및 제3 벨트 부재(30)는, 분기 위치(bp)에 있어서, 떼어냄 가능하게 서로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벨트 부재(10)의 제1 커넥터(14)는, 제1 앵커(A1)에 체결된다. 제2 벨트 부재(20)의 제2 커넥터(24)는, 제2 앵커(A2)에 체결된다. 제1 앵커(A1) 및 제2 앵커(A2)는, 서로로부터 횡 방향으로 어긋나 차량(V)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앵커(A1) 및 제2 앵커(A2)는, 좌석(S)의 좌부(Sa)의 후방, 좌석(S)의 배부(Sb)의 하방, 또는 좌부(Sa)와 배부(Sb)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1 앵커(A1) 및 제2 앵커(A2)로서, ISOFIX 방식 대응의 래치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4) 및 제2 커넥터(24)로서, 대응하는 앵커(A1, A2)와 체결 가능한 다양한 부재나 부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벨트 부재(30)의 제3 커넥터(34)는, 제3 앵커(A3)에 체결된다. 제3 앵커(A3)는, 제1 앵커(A1) 및 제2 앵커(A2)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3 앵커(A3)는, 예를 들어, 차량 좌석(S)의 배부(Sb)의 뒷면에 설치되어 있다. 제3 앵커(A3)로서, ISOFIX 방식 대응의 래치를 이용할 수 있다. 제3 커넥터(34)로서, 대응하는 제3 앵커(A3)와 체결 가능한 다양한 부재나 부품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ISOFIX 방식 대응의 래치는, 어린이용 시트나 유아용 시트를 차량(V)의 좌석(S)에 안정적으로 또한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차량(V)에 설치되어 있으며, 공통의 규격으로서 전세계에 널리 보급되어 있다. 제1 앵커(A1) 및 제2 앵커(A2)로서, 어린이용 시트의 저부와 체결되는 앵커를 이용할 수 있다. 제3 앵커(A3)로서, 티저(tiser)라고도 불리는 벨트형상 부재를 이용하여 어린이용 시트의 상부와 연결되는 앵커를 이용할 수 있다. ISOFIX 방식 대응의 래치를 이용함으로써, 고정구(5)와의 체결만을 목적으로 한 특수한 앵커를 차량(V)에 설치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또, 커넥터(14, 24, 34)를 각 앵커(A1, A2, A3)에 매우 용이하게 체결 및 체결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시된 예를 참조하여, 각 벨트 부재(10, 20, 30)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벨트 부재(10)는, 제1 주벨트재(11), 제1 길이 조절구(12), 제1 접속 벨트재(13), 제1 커넥터(14), 제1 접속부(15) 및 제1 미끄럼 방지부(16)를 갖고 있다. 제1 접속부(15)는, 제3 벨트 부재(30)의 제3 접속부(35)와 떼어냄 가능하게 접속되는 다양한 부재나 부품 등에 의해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1 접속부(15)는, 제3 접속부(35)를 이루는 버클(35a)과 접속 가능한 제1 걸쇠(15a)로 되어 있다. 제1 주벨트재(11)는, 벨트형상의 재료이며, 그 일단에 있어서 제1 접속부(15)를 유지시키고 있다. 또, 제1 주벨트재(11)는, 제1 접속부(15)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있어서, 제1 길이 조절구(12)와 접속되어 있다. 제1 접속 벨트재(13)는, 그 일단에 있어서 제1 접속부(15)를 유지시키고, 그 타단에 있어서 제1 길이 조절구(12)를 유지시키고 있다.
제1 길이 조절구(12)는, 본체부(12a)와, 본체부(12a)에 대해 동작 가능한 해제 버튼(12b)을 갖고 있다. 제1 길이 조절구(12)는, 통상의 상태에 있어서 제1 주벨트재(11)를 유지시키고 있다. 단, 해제 버튼(12b)을 본체부(12a)에 대해 동작시킴으로써, 제1 길이 조절구(12)에 의한 제1 주벨트재(11)의 유지가 해제되어, 제1 길이 조절구(12)와 제1 주벨트재(11)의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해제 버튼(12b)을 조작함으로써, 제1 주벨트재(11) 상에 있어서의 제1 길이 조절구(12)의 접속 위치를, 제1 주벨트재(11)의 길이 방향에 어긋나게 할 수 있다. 제1 길이 조절구(12)에 의해, 제1 벨트 부재(10)의 전체 길이, 즉, 제1 벨트 부재(10)의 제1 커넥터(14)로부터 제1 접속부(15)까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미끄럼 방지부(16)는, 제1 벨트 부재(10)와 펫 캐리어(PC)와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1 미끄럼 방지부(16)와 펫 캐리어(PC)의 마찰 계수는, 제1 주벨트재(11)와 펫 캐리어(PC)의 마찰 계수보다 높아져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1 미끄럼 방지부(16)는, 외표면이 수지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통형상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1 주벨트재(11)가, 통형상의 제1 미끄럼 방지부(16) 내를 삽입 통과하고 있다. 제1 미끄럼 방지부(16)는, 제1 주벨트재(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주벨트재(11)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벨트 부재(20)는, 제1 벨트 부재(10)와 대칭성을 가지지만, 제1 벨트 부재(10)와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2 벨트 부재(20)는, 제2 주벨트재(21), 제2 길이 조절구(22), 제2 접속 벨트재(23), 제2 커넥터(24), 제2 접속부(25) 및 제2 미끄럼 방지부(26)를 갖고 있다. 또, 제2 길이 조절구(22)는, 본체부(22a) 및 해제 버튼(22b)을 갖고 있다. 제2 주벨트재(21), 제2 길이 조절구(22), 제2 접속 벨트재(23), 제2 커넥터(24), 제2 접속부(25) 및 제2 미끄럼 방지부(26)는, 각각, 제1 주벨트재(11), 제1 길이 조절구(12), 제1 접속 벨트재(13), 제1 커넥터(14), 제1 접속부(15) 및 제1 미끄럼 방지부(16)와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벨트 부재(30)는, 제3 주벨트재(31), 제3 길이 조절구(32), 제3 접속 벨트재(33), 제3 커넥터(34) 및 제3 접속부(35)를 갖고 있다. 제3 접속부(35)는, 제1 벨트 부재(10)의 제1 접속부(15) 및 제2 벨트 부재(20)의 제2 접속부(25)와 떼어냄 가능하게 접속되는 다양한 부재나 부품 등에 의해 구성된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3 접속부(35)는, 제1 접속부(15)를 이루는 제1 걸쇠(15a) 및 제2 접속부(25)를 이루는 제2 걸쇠(25a)와 접속 가능한 버클(35a)로 되어 있다. 제3 주벨트재(31)는, 벨트형상의 재료이며, 그 일단에 있어서 제3 접속부(35)를 유지시키고 있다. 또, 제3 주벨트재(31)는, 제3 접속부(35)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있어서, 제3 길이 조절구(32)와 접속되어 있다. 제3 접속 벨트재(33)는, 그 일단에 있어서 제3 커넥터(34)를 유지시키고, 그 타단에 있어서 제3 길이 조절구(32)를 유지시키고 있다. 제3 주벨트재(31) 상에 있어서의 제3 길이 조절구(32)의 접속 위치를, 제3 주벨트재(31)의 길이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3 길이 조절구(32)에 의해, 제3 벨트 부재(30)의 전체 길이, 즉, 제3 벨트 부재(30)의 제3 커넥터(34)로부터 제3 접속부(35)까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에, 보조 벨트 부재(4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보조 벨트 부재(40)는,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 중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와, 제3 벨트 부재(30) 사이를 연결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 있어서, 보조 벨트 부재(40)는,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의 양방과, 제3 벨트 부재(30)를 연결하고 있다.
도시된 보조 벨트 부재(40)는, 연결 벨트재(41), 주벨트 부재(42) 및 가이드 부재(43)를 갖고 있다. 이 중, 연결 벨트재(41) 및 주벨트 부재(42)는, 가늘고 긴 벨트형상의 부재이다. 연결 벨트재(41)는,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를 연결하고 있다. 연결 벨트재(41)의 양단은,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링형상 부분에, 제1 벨트 부재(10) 또는 제2 벨트 부재(20)가, 연결 벨트재(41)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삽입 통과되어 있다. 즉, 연결 벨트재(41)는, 벨트 부재(10, 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벨트 부재(10, 2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벨트 부재(10, 20)에 접속되어 있다. 단,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벨트 부재(10)의 제1 접속 벨트재(13)가, 연결 벨트재(41)의 단부에 형성된 링형상부를 통과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벨트 부재(20)의 제2 접속 벨트재(23)가, 연결 벨트재(41)의 단부에 형성된 링형상부를 통과하고 있다. 그리고, 길이 조절구(12, 22) 및 커넥터(14, 24)는, 연결 벨트재(41)의 링형상부를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 벨트재(41)는, 접속 벨트재(13, 23)의 길이만큼, 벨트 부재(10, 20) 상을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주벨트 부재(42)는, 그 일단에 있어서, 연결 벨트재(41)의 중앙 부분에 접속되어 있다. 주벨트 부재(42)는, 연결 벨트재(41)에 대해, 예를 들어 봉착되어 있다. 주벨트 부재(42)는, 연결 벨트재(41)로의 접속 위치로부터 이격한 위치에서, 가이드 부재(43)를 유지시키고 있다. 가이드 부재(43)는, 예를 들어, 수지에 의한 사출 성형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43)는, 제3 벨트 부재(30)가 삽입 통과하기 위한 유도 구멍(유도 공간)(43a)이 형성되어 있다. 유도 구멍(43a)은, 제3 벨트 부재(30)의 단면 형상에 대응한 가늘고 긴 외윤곽의 구멍으로 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43)에는, 유도 구멍(43a)에 통하는 슬릿(43b)이 더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릿(43b)의 간극(폭)은 제3 벨트 부재(30)의 제3 주벨트재(31)의 두께보다 넓어지고 있다. 따라서, 제3 주벨트재(31)를, 유도 구멍(43a) 내에서 만곡시키면서 또는 접어 구부리면서, 슬릿(43b)을 통과시킴으로써, 유도 구멍(43a) 내에 제3 주벨트재(31)를 삽입하는 것 및 유도 구멍(43a) 내로부터 제3 주벨트재(31)를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3 벨트 부재(30)의 제3 주벨트재(31)는, 가이드 부재(43)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유도 구멍(43a)을 삽입 통과한다. 따라서, 보조 벨트 부재(40)는, 제3 벨트 부재(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3 벨트 부재(3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제3 벨트 부재(30)에 접속되게 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제3 주벨트재(31)에 유지된 제3 길이 조절구(32) 및 제3 접속부(35)는, 유도 구멍(43a)을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되어 있다.
또,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43)에는, 주벨트 부재(42)에 의해 삽입 통과되는 복수의 가늘고 긴 구멍(43c)이 형성되어 있다. 주벨트 부재(42)는, 복수의 가늘고 긴 구멍(43c)에 걸어맞춰짐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가늘고 긴 구멍(43c)을 접어 꺾도록 하여 삽입 통과함으로써, 가이드 부재(43)를 유지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주벨트 부재(42)의 가이드 부재(43)와의 걸어맞춤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주벨트 부재(42)의 연결 벨트재(41)로의 접속 위치로부터 주벨트 부재(42)의 가이드 부재(43)를 유지시키는 위치까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에, 수용 자루(50)에 대해 설명한다. 수용 자루(50)는, 예를 들어 직물로부터 형성된 자루이다. 이 수용 자루(50)는, 제1 벨트 부재(10), 제2 벨트 부재(20), 제3 벨트 부재(30) 및 보조 벨트 부재(40)를 수용 가능한 용적을 갖고 있다. 따라서, 고정구(5)의 불사용시에, 이들 벨트 부재(10, 20, 30, 40)를 수용 자루(50)에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고정구(5)의 불사용시에, 벨트 부재(10, 20, 30, 40)가 넓어져 버리는 일이나, 벨트 부재(10, 20, 30, 40)를 분실해 버리는 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구(5)의 사용시,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벨트 부재(10), 제2 벨트 부재(20) 및 제3 벨트 부재(30)는, 분기 위치(bp)에 있어서, 수용 자루(50)를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구(5)의 사용시에, 수용 자루(50)를 분실해 버리는 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수용 자루(50)에는,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가 통과하는 제1 통과구(51)(도 6 참조)와, 제3 벨트 부재(30)가 통과하는 제2 통과구(52)(도 7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 자루(50)는, 제1 통과구(51)를 폐쇄하는 폐쇄 수단(53)을 갖고 있다. 또, 수용 자루(50)는, 제1 통과구(51)를 부분적으로 폐쇄하여 제1 벨트 부재(10)가 통과하는 제1 부분(제1 개구)(51a)과 제2 벨트 부재(20)가 통과하는 제2 부분(제2 개구)(51b)으로 제1 통과구(51)를 구분하는 보조 폐쇄 수단(54)을 더 갖고 있다.
폐쇄 수단(53) 및 보조 폐쇄 수단(54)은, 제1 통과구(51)의 자유로운 개구를 규제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재나 부품을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버튼이나 면 파스너, 슬라이더 파스너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폐쇄 수단(53)은, 슬라이드 파스너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폐쇄 수단(53)은, 가늘고 긴 형상의 제1 통과구(51)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된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53a)와, 한 쌍의 파스너 스트링거(53a)를 체결 및 개방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더(53b)를 갖고 있다. 파스너 스트링거(53a)는, 제1 통과구(51)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에 접합된 파스너 테이프(53a1)와, 파스너 테이프(53a1)에 고정된 파스너 엘리먼트(53a2)를 갖고 있다. 슬라이더(53b)에 의해, 파스너 엘리먼트(53a2)가 서로 걸어맞춰짐으로써, 파스너 테이프(53a1)와 접속된 제1 통과구(51)의 한 쌍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가 체결된다.
한편, 보조 폐쇄 수단(54)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통과구(51)의 한쪽측에 있어서 수용 자루(50)의 내면에 장착된 제1 벨트재(54a)와, 제1 통과구(51)의 다른쪽측에 있어서 수용 자루(50)의 내면에 장착된 제2 벨트재(54b)와, 제1 벨트재(54a) 및 제2 벨트재(54b)를 떼어냄 가능하게 접속하는 잠금쇠(54c)를 갖고 있다. 잠금쇠(54c)는, 버튼이나 면 파스너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조 폐쇄 수단(54)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1 통과구(51)의 자유로운 개구를 규제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재나 부품을 이용할 수 있으며, 도시된 예와 같이, 제1 통과구(51)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폐쇄 수단(54)에 의해, 제1 벨트 부재(10)가 통과하는 제1 부분(제1 개구)(51a)과 제2 벨트 부재(20)가 통과하는 제2 부분(제2 개구)(51b)으로 제1 통과구(51)를 구분함으로써, 고정구(5)의 사용 중에, 벨트 부재(10, 20, 30)의 분기 위치(bp)가, 제1 통과구(51)를 개재하여 수용 자루(50)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2 통과구(52)(도 7 참조)를, 제3 벨트 부재(30)의 제3 접속부(35)가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해둠으로써, 고정구(5)의 사용 중에, 벨트 부재(10, 20, 30)의 분기 위치(bp)가, 제2 통과구(52)를 개재하여 수용 자루(50)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고정구(5)의 사용 중에 있어서의, 벨트 부재(10, 20, 30)와 수용 자루(50)의 위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과구(52)는, 제3 벨트 부재(30)의 제3 주벨트재(31), 제3 길이 조절구(32), 제3 접속 벨트재(33) 및 제3 커넥터(34)가 삽입 통과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3 접속부(35)가 제2 통과구(52)를 삽입 통과 불가능이라고 해도, 제2 통과구(52)보다 큰 제1 통과구(51)의 옆으로부터, 제3 벨트 부재(30)가 제2 통과구(52)를 삽입 통과하여 연장되도록 제3 벨트 부재(30)를 배치하는 것, 혹은, 제2 통과구(52)를 통과한 제3 벨트 부재(30)를 수용 자루(50)로부터 제1 통과구(51)를 개재하여 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 자루(50)에는 손잡이(5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59)는, 그 양단에 있어서, 수용 자루(50)에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59)의 양단부가, 수용 자루(50)에 봉착되어 있다. 제2 통과구(52)는, 수용 자루(50) 중 손잡이(59)의 양단 사이가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손잡이(59)는, 제2 통과구(52)를 덮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제2 통과구(52)가, 손잡이(59)에 의해 눈에 띄지 않게 되어 있다.
또, 수용 자루(50)의 표면에는, 펫 캐리어(PC)에 접촉하여 펫 캐리어(PC)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자루 미끄럼 방지부(55)가 설치되어 있다. 자루 미끄럼 방지부(55)는, 고정구(5)와 펫 캐리어(PC)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자루 미끄럼 방지부(55)와 펫 캐리어(PC)의 마찰 계수는, 주벨트재(11, 21, 31) 등과 펫 캐리어(PC)의 마찰 계수보다 높아지고 있다. 자루 미끄럼 방지부(55)는, 수지나 고무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구(5)를 이용하여, 펫 캐리어(PC)를 차량(V)의 좌석(S)에 장착하는 방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펫 캐리어(PC)를 차량(V)에 반입하기 전에, 고정구(5)의 제1 벨트 부재(10), 제2 벨트 부재(20) 및 제3 벨트 부재(30)를 차량(V)에 장착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커넥터(14)를 제1 앵커(A1)에 체결함으로써, 제1 벨트 부재(10)를 차량(V)에 장착한다. 제2 커넥터(24)를 제2 앵커(A2)에 체결함으로써, 제2 벨트 부재(20)를 차량(V)에 장착한다. 제3 커넥터(34)를 제3 앵커(A3)에 체결함으로써, 제3 벨트 부재(30)를 차량(V)에 장착한다. 벨트 부재(10, 20, 30)의 장착시, 벨트 부재(10, 20, 30)의 접속부(15, 25, 35)는 서로로부터 이탈하여, 세 개의 벨트 부재(10, 20, 30)는 접속되어 있지 않도록 해도 된다. 세 개의 벨트 부재(10, 20, 30)를 비접속으로 함으로써, 벨트 부재(10, 20, 30)를 차량(V)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세 개의 벨트 부재(10, 20, 30)의 장착에 앞서, 벨트 부재(10, 20, 30, 40)의 대략적인 길이 조절을 행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보조 벨트 부재(40)의 길이를 조절한 후, 보조 벨트 부재(40)의 가이드 부재(43)의 유도 구멍(43a) 내에, 제3 벨트 부재(30)의 제3 주벨트재(31)를 넣는다(도 5 참조). 그 후, 펫 캐리어(PC)를 차량(V) 내에 반입한다. 다음에, 세 개의 벨트 부재(10, 20, 30)의 길이 조절을 행한 후, 펫 캐리어(PC)의 전측에서, 제1 벨트 부재(10)의 제1 접속부(15)를 제3 벨트 부재(30)의 제3 접속부(35)에 접속하고, 제2 벨트 부재(20)의 제2 접속부(25)를 제3 벨트 부재(30)의 제3 접속부(35)에 접속한다. 이때, 제3 접속부(35)는, 수용 자루(50) 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접속부(15) 및 제2 접속부(25)를, 제1 통과구(51)로부터 수용 자루(50) 내에 삽입하고, 제3 접속부(35)에 접속한다. 그 후, 보조 폐쇄 수단(54)으로 제1 통과구(51)를 제1 부분(51a) 및 제2 부분(51b)으로 구분한다.
이상의 결과, 제1 벨트 부재(10), 제2 벨트 부재(20) 및 제3 벨트 부재(30)와, 차량(V)의 좌석(S) 사이에, 펫 캐리어(PC)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가, 횡 방향에 서로로부터 이격하여, 펫 캐리어(PC)의 전방 및 하방에 위치함과 더불어, 제3 벨트 부재(30)가, 펫 캐리어(PC)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Y자형상으로 배치된 고정구(5)에 의해, 펫 캐리어(PC)를 안정적으로, 차량(V)의 좌석(S)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차량(V)의 급감속시, 예를 들어 차량(V)의 충돌시 등에, 차량(V) 내에서 펫이 사람과 부딪쳐 버리는 일이나, 펫이 차량(V)의 어느 한 부위에 부딪쳐 버리는 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펫 캐리어(PC)는, 좌석(S) 상에 있어서,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와, 제3 벨트 부재(30)와, 보조 벨트 부재(40) 사이에 유지된다. 따라서, 좌석(S) 상에서의 펫 캐리어(PC)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접속부(15)를 이루는 제1 걸쇠(15a), 제2 접속부(25)를 이루는 제2 걸쇠(25a) 및 제3 접속부(35)를 이루는 버클(35a)이, 수용 자루(50) 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펫 캐리어(PC) 내의 펫이 걸쇠(15a, 15b)나 버클(35a)과 부딪쳐 버리는 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 자루(50)의 표면에는 자루 미끄럼 방지부(55)가 설치되어 있다. 자루 미끄럼 방지부(55)가 펫 캐리어(PC)와 접촉함으로써, 수용 자루(50)를 포함하는 고정구(5)와 펫 캐리어(PC)의 위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는, 각각, 미끄럼 방지부(16, 26)를 갖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들 미끄럼 방지부(16, 26)가 펫 캐리어(PC)와 접촉함으로써,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를 포함하는 고정구(5)와 펫 캐리어(PC)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펫 캐리어(PC)를 차량(V)으로부터 꺼낼 때는, 펫 캐리어(PC)를 차량(V)에 고정할 때와, 대체로 반대의 순서를 밟게 된다. 우선, 제3 접속부(35)를 이루는 버클(35a)로부터, 제1 접속부(15)를 이루는 제1 걸쇠(15a) 및 제2 접속부(25)를 이루는 제2 걸쇠(25a)를 떼어낸다. 이것에 의해, 펫 캐리어(PC)를 차량(V)의 좌석(S) 상으로부터 꺼낼 수 있다.
그 후, 제1 커넥터(14)와 제1 앵커(A1)의 체결을 해제하여, 제1 벨트 부재(10)를 차량(V)으로부터 떼어낸다. 제2 커넥터(24)와 제2 앵커(A2)의 체결을 해제하여, 제2 벨트 부재(20)를 차량(V)으로부터 떼어낸다. 제3 커넥터(34)와 제3 앵커(A3)의 체결을 해제하여, 제3 벨트 부재(30)를 차량(V)으로부터 떼어낸다. 다음에, 보조 벨트 부재(40)의 가이드 부재(43)로부터, 제3 벨트 부재(30)를 떼어낸다. 이것에 의해, 제1 벨트 부재(10), 제2 벨트 부재(20) 및 보조 벨트 부재(40)와, 제3 벨트 부재(30)를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제3 벨트 부재(30)를, 제2 통과구(52)로부터, 수용 자루(50) 내로 끌어들여 수납한다. 또, 제1 벨트 부재(10), 제2 벨트 부재(20) 및 보조 벨트 부재(40)를, 제1 통과구(51)로부터 수용 자루(50) 내에 수납하고, 또한, 폐쇄 수단(53)으로 제1 통과구(51)를 폐쇄한다. 이것에 의해, 불사용 상태가 된 고정구(5)를, 수용 자루(50)에 모을 수 있어, 부품의 분실 등을 효과적으로 회피하면서 고정구(5)를 보관할 수 있다.
또한, 고정구(5)를 이용한 펫 캐리어(PC)의 좌석(S)으로의 장착은, 펫 캐리어(PC)의 특별한 구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각 벨트 부재(10, 20, 30, 4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 및 다양한 형식의 펫 캐리어(PC)에 대해,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11에 도시된 가방형 펫 캐리어(PC1)나, 도 12에 도시된 바스켓형 펫 캐리어(PC2)를, 고정구(5)에 의해, 차량(V)의 좌석(S)에 고정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해 온 상기 서술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펫을 수용하는 펫 캐리어(PC)를 차량(V)의 좌석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5)는, 분기 위치(bp)로부터 분기하도록 하여 서로 접속된 제1 벨트 부재(10), 제2 벨트 부재(20) 및 제3 벨트 부재(30)를 갖고 있다. 제1 벨트 부재(10)는, 차량(V)에 설치된 제1 앵커(A1)에 체결 가능한 제1 커넥터(14)를 갖고, 제2 벨트 부재(20)는, 차량(V)에 설치된 제2 앵커(A2)에 체결 가능한 제2 커넥터(24)를 가지며, 제3 벨트 부재(30)는, 차량(V)에 설치된 제3 앵커(A3)에 체결 가능한 제3 커넥터(34)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제1 벨트 부재(10), 제2 벨트 부재(20) 및 제3 벨트 부재(30)와, 차량(V)의 좌석(S) 사이에, 펫용 캐리어(PC)가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구(5)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펫 캐리어(PC)와는 상이하게, 차량(V)의 좌석(S)에 시트 벨트를 이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특별한 구성을 펫 캐리어(PC)에 설치할 필요성을 배제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펫 캐리어(PC)에 대해, 고정구(5)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차량(V)에 고정된 시트 벨트를 이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펫 캐리어(PC)의 차량 좌석(S)으로의 장착 및 떼어냄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분기 위치(bp)로부터 분기하도록 하여 서로 접속된 세 개의 벨트 부재(10, 20, 30)를 이용함으로써, 펫 캐리어(PC)를 좌석(S)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고정구(5)는,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 중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와, 제3 벨트 부재(30)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 벨트 부재(40)를 더 갖고 있다. 고정구(5)는, 차량(V)의 좌석(S) 상에 있어서,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 중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와, 제3 벨트 부재(30)와, 보조 벨트 부재(40) 사이에, 펫 캐리어(PC)를 유지시킨다. 보조 벨트 부재(40)를 설치함으로써, 펫 캐리어(PC)를 둘레형상으로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펫 캐리어(PC)를 차량(V)의 좌석(S) 상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 있어서, 보조 벨트 부재(40)는, 제3 보조 벨트 부재(30)를,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의 양방에 접속하고 있다. 따라서, 펫 캐리어(PC)를 차량(V)의 좌석(S) 상에 매우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특히 도시된 예에 있어서, 보조 벨트 부재(40)는,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를 연결하는 연결 벨트재(41)와, 연결 벨트재(41) 및 제3 벨트 부재(30)를 연결하는 주벨트 부재(42)를 갖고 있다. 즉, 도시된 예에 있어서, 보조 벨트 부재(40)는, 제3 보조 벨트 부재(30)를,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의 양방에 연결시키고 있다. 따라서, 제1~제3 벨트 부재(10, 20, 30) 및 보조 벨트 부재(40)에 의해, 확실히 펫 캐리어(PC)를 유지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펫 캐리어(PC)를 안정적으로 차량(V)의 좌석(S)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벨트 부재(40)는, 제3 벨트 부재(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3 벨트 부재(3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제3 벨트 부재(30)에 접속되어 있다. 또, 보조 벨트 부재(40)는,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 중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제3 벨트 부재(10, 20, 30) 및 보조 벨트 부재(40)에 의해, 확실히 펫 캐리어(PC)를 유지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펫 캐리어(PC)를 안정적으로 차량(V)의 좌석(S)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벨트 부재(10), 제2 벨트 부재(20) 및 제3 벨트 부재(30)는, 분기 위치(bp)에 있어서, 떼어냄 가능하게 서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펫 캐리어(PC)의 차량 좌석(S)으로의 장착 및 떼어냄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벨트 부재(10), 제2 벨트 부재(20) 및 제3 벨트 부재(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길이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다. 펫 캐리어(PC)의 형상이나 크기에 맞추어 각 벨트 부재(10, 20, 30)의 길이를 조절해 둠으로써, 제1~제3 벨트 부재(10, 20, 30)를 이용하여, 확실히 펫 캐리어(PC)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펫 캐리어(PC)를 안정적으로 차량(V)의 좌석(S)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고정구(5)는, 수용 자루(50)를 더 갖는다. 제1 벨트 부재(10), 제2 벨트 부재(20) 및 제3 벨트 부재(30)는, 분기 위치(bp)에 있어서, 수용 자루(50) 내에 위치한다. 즉, 수용 자루(50)가, 단단해지기 쉬운 벨트 부재(10, 20, 30)의 분기 위치(bp)를 수용한다. 따라서, 비교적 단단한 벨트 부재(10, 20, 30)의 분기 위치(bp)가, 직접, 펫 캐리어(PC)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펫 캐리어(PC) 내의 펫을 벨트 부재(10, 20, 30)의 분기 위치(bp)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용 자루(50)에는,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가 통과하는 제1 통과구(51)와, 제3 벨트 부재(30)가 통과하는 제2 통과구(52)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구(5)의 불사용시에, 제1 통과구(51)를 개재하여,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를 수용 자루(50)에 수용할 수 있고, 제2 통과구(52)를 개재하여, 제3 벨트 부재(30)를 수용 자루(50)에 수용할 수 있다. 즉, 분기 위치(bp)를 덮기 위한 수용 자루(50)를, 벨트 부재(10, 20, 30, 40)를 보관하기 위한 자루(50)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용 자루(50)는, 제1 통과구(51)를 폐쇄하는 폐쇄 수단(53)을 갖고 있다. 폐쇄 수단(53)으로 제1 통과구(51)를 폐쇄함으로써, 고정구(5)의 불사용시에,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를 수용 자루(50)에 수용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가 의도치않게 수용 자루(50)로부터 나와 버리는 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용 자루(50)는, 제1 통과구(51)를 부분적으로 폐쇄하여 제1 벨트 부재(10)가 통과하는 부분(51a)과 제2 벨트 부재(20)가 통과하는 부분(51b)으로 상기 제1 통과구(51)를 구분하는 보조 폐쇄 수단(54)을 갖고 있다. 보조 폐쇄 수단(54)을 이용함으로써, 분기 위치(bp)를 수용 자루(50)에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고정구(5)의 사용 중, 제1~제3 벨트 부재에 대해 수용 자루가 상대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용 자루(50)에 손잡이(59)가 설치되어 있고, 손잡이(59)는, 그 양단에 있어서, 수용 자루(50)에 접속되어 있다. 제2 통과구(52)는, 수용 자루(50) 중 손잡이(59)의 양단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에 의해, 제3 벨트 부재(30)가 의도치않게 수용 자루(50)로부터 나와 버리는 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손잡이(59)에 의해 제2 통과구(52)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어,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용 자루(50)의 표면에는, 펫 캐리어(PC)에 접촉하여 펫 캐리어(PC)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55)가 설치되어 있다. 자루 미끄럼 방지부(55)에 의해, 수용 자루(50)와 펫 캐리어(PC)의 위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펫 캐리어(PC)를 안정적으로 차량(V)의 좌석(S)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용 자루(50)는, 제1 벨트 부재(10), 제2 벨트 부재(20) 및 제3 벨트 부재(30)를 수용 가능한 용적을 갖고 있다. 고정구(5)의 불사용시에, 제1 벨트 부재(10), 제2 벨트 부재(20) 및 제3 벨트 부재(30)를 수용 자루(50)에 수용할 수 있다. 즉, 분기 위치(bp)를 덮기 위한 수용 자루(50)를, 벨트 부재(10, 20, 30, 40)를 보관하기 위한 자루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벨트 부재(10), 제2 벨트 부재(20) 및 제3 벨트 부재(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펫 캐리어(PC)에 접촉하여 펫 캐리어(PC)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16, 26)가 설치되어 있다. 미끄럼 방지부(16, 26)에 의해, 벨트 부재(10, 20, 30)와 펫 캐리어(PC)의 위치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펫 캐리어(PC)를 안정적으로 차량(V)의 좌석(S)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차량(V)의 앵커(A1, A2, A3)는, ISOFIX 방식 대응의 래치이다. 예를 들어, 제1 앵커(A1) 및 제2 앵커(A2)는, 횡 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제3 앵커(A3)는, 제1 앵커(A1) 및 제2 앵커(A2)보다 상방이며, 차량(V)의 좌석(S)에 배부(Sb) 뒷면에 설치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앵커(A1, A2, A3)를 이용함으로써, 벨트 부재(10, 20, 30)의 커넥터(14, 24, 34)를 용이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차량(V)의 앵커(A1, A2, A3)에 체결 및 체결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펫 캐리어(PC)의 좌석(S)으로의 장착 및 떼어냄을 더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시하는 일 실시 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 밖에도 다양한 양태로 실시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변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및 이하의 설명에서 이용하는 도면에서는,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상기 서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 이용한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이용함과 더불어,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서술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3 벨트 부재(30)가, 차량(V)의 제3 앵커(A3)와 체결하는 예를 나타냈는데,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벨트 부재(130)가, 분기 위치(bp)로부터 이격한 접속 위치에 있어서,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 중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와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이 예에 있어서, 고정구(5)는, 차량(V)의 제1 앵커(A1) 및 제2 앵커(A2)를 이용하고, 제3 앵커(A3)를 이용하는 일 없이, 펫 캐리어(PC)를 좌석(S)에 고정하고 있다.
도 8a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3 벨트 부재(130)는, 연결 벨트재(131), 주벨트 부재(132) 및 제3 접속부(133)를 갖고 있다. 연결 벨트재(131) 및 주벨트 부재(132)는, 가늘고 긴 벨트형상의 부재이다. 연결 벨트재(131)는, 상기 서술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보조 벨트 부재(40)의 연결 벨트재(41)와 마찬가지로 구성할 수 있다. 주벨트 부재(132)는, 연결 벨트재(131)의 중간 부분에 접속되어 있다. 일례로서, 주벨트 부재(132)는, 연결 벨트재(131)에 봉착되어 있다. 주벨트 부재(132)는, 연결 벨트재(131)로의 접속 위치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있어서, 제3 접속부(133)를 유지시키고 있다. 상기 서술한 일 실시 형태의 보조 벨트 부재(40)에 있어서, 주벨트 부재(42) 상에서 가이드 부재(43)를 유지시키는 위치가 가변으로 되어 있던 것과 마찬가지로, 주벨트 부재(132) 상에서 제3 접속부(133)를 유지시키는 위치가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3 접속부(133)로부터 연결 벨트재(131)까지의 주벨트 부재(132)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3 접속부(133)는, 제1 벨트 부재(10)의 제1 접속부(15)를 이루는 제1 걸쇠(15a) 및 제2 벨트 부재(20)의 제2 접속부(25)를 이루는 제2 걸쇠(25a)와 떼어냄 가능하게 접속되는 버클(133a)로 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변형예에 있어서, 펫을 수용하는 펫 캐리어(PC)를 차량(V)의 좌석(S)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5)는, 상기 서술한 일 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고정구(5)는, 분기 위치(bp)로부터 분기하도록 하여 서로 접속된 제1 벨트 부재(10), 제2 벨트 부재(20) 및 제3 벨트 부재(130)를 갖고 있다. 제1 벨트 부재(10)는, 차량(V)에 설치된 제1 앵커(A1)에 체결 가능한 제1 커넥터(14)를 갖고, 제2 벨트 부재(20)는, 차량(V)에 설치된 제2 앵커(A2)에 체결 가능한 제2 커넥터(24)를 갖고 있다. 제3 벨트 부재(130)는, 분기 위치(bp)로부터 이격한 접속 위치에 있어서,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 중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V)의 좌석(S) 상에 있어서,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 중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와, 제3 벨트 부재(130) 사이에, 펫 캐리어(PC)가 유지된다. 이러한 고정구(5)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펫 캐리어(PC)와는 상이하게, 차량(V)의 좌석(S)에 시트 벨트를 이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특별한 구성을 펫 캐리어(PC)에 설치할 필요성을 배제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펫 캐리어(PC)에 대해, 고정구(5)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차량(V)에 고정된 시트 벨트를 이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펫 캐리어(PC)의 차량 좌석(S)으로의 장착 및 떼어냄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분기 위치(bp)로부터 분기하도록 하여 서로 접속된 세 개의 벨트 부재(10, 20, 130)를 이용함으로써, 펫 캐리어(PC)를 좌석(S)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특히 도 8a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3 벨트 부재(130)는,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를 연결하는 연결 벨트재(131)와, 연결 벨트재 및 제3 벨트 부재를 연결하는 주벨트 부재(132)를 갖고 있다. 즉,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3 벨트 부재(130)는,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의 양방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제3 벨트 부재(10, 20, 130)에 의해, 확실히 펫 캐리어(PC)를 유지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펫 캐리어(PC)를 안정적으로 차량(V)의 좌석(S)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제3 벨트 부재(130)는, 제1 벨트 부재(10) 및 제2 벨트 부재(20) 중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게,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제3 벨트 부재(10, 20, 130)에 의해, 확실히 펫 캐리어(PC)를 유지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펫 캐리어(PC)를 안정적으로 차량(V)의 좌석(S)에 고정할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예로서, 보조 벨트 부재(40)나 제3 벨트 부재(130)가, 제1 벨트 부재(10) 또는 제2 벨트 부재(20)에 접속하는 위치는, 접속 벨트재(13, 23)에서 없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벨트 부재(130)가, 제1 커넥터(14)나 제2 커넥터(24)에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또, 제3 벨트 부재(130)가, 제1 주벨트재(11), 제1 길이 조절구(12), 제2 주벨트재(21), 제2 길이 조절구(22) 등에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보조 벨트 부재(40)가, 제1 커넥터(14)나 제2 커넥터(24)에 접속하도록 해도 되고, 제1 주벨트재(11), 제1 길이 조절구(12), 제2 주벨트재(21), 제2 길이 조절구(22) 등에 접속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다른 변형예로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구(5)가, 제1 벨트 부재(10), 제2 벨트 부재(20) 및 제3 벨트 부재(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벨트 부재에 의해 지지된 커버 부재(60)를, 더 갖도록 해도 된다. 커버 부재(60)는, 펫 캐리어(PC)를 덮는 포재 또는 그물형상재를 포함하고 있다. 고정구(5)가, 벨트 부재(10, 20, 30)뿐만 아니라, 유연성을 갖는 시트형상의 커버 부재(60)에 의해 면으로 펫 캐리어(PC)를 덮음으로써, 펫 캐리어(PC)를 차량(V) 내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예는, 도 3에 도시된 고정구(5)에 커버 부재(60)를 더한 것이며, 도 10에 도시된 예는, 도 8a에 도시된 고정구(5)에 커버 부재(60)를 더한 것이다. 커버 부재(60)를 갖는 고정구(5)에 의하면, 커버 부재(60)에 의해, 펫 캐리어(PC)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펫 캐리어(PC)가 고정구(5)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펫 캐리어(PC)를 보다 안정적으로 차량(V)의 좌석(S)에 고정할 수 있다.

Claims (15)

  1. 펫을 수용하는 펫 캐리어를 차량의 좌석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로서,
    분기 위치로부터 분기하도록 하여 서로 접속된 제1 벨트 부재, 제2 벨트 부재 및 제3 벨트 부재와,
    상기 제1 벨트 부재 및 상기 제2 벨트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와, 상기 제3 벨트 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 벨트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벨트 부재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제1 앵커에 체결 가능한 제1 커넥터를 갖고,
    상기 제2 벨트 부재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제2 앵커에 체결 가능한 제2 커넥터를 가지며,
    상기 제3 벨트 부재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제3 앵커에 체결 가능한 제3 커넥터를 갖고,
    상기 제1 벨트 부재, 상기 제2 벨트 부재 및 상기 제3 벨트 부재와, 상기 차량의 상기 좌석 사이에, 상기 펫 캐리어를 고정하고,
    상기 제1 벨트 부재 및 상기 제2 벨트 부재 중 상기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와, 상기 제3 벨트 부재와, 상기 보조 벨트 부재 사이에, 상기 펫 캐리어를 유지시키는, 고정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벨트 부재는, 상기 제1 벨트 부재 및 상기 제2 벨트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벨트재와, 상기 연결 벨트재 및 상기 제3 벨트 부재를 연결하는 주(主)벨트재를 갖는, 고정구.
  4. 펫을 수용하는 펫 캐리어를 차량의 좌석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로서,
    분기 위치로부터 분기하도록 하여 서로 접속된 제1 벨트 부재, 제2 벨트 부재 및 제3 벨트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벨트 부재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제1 앵커에 체결 가능한 제1 커넥터를 갖고,
    상기 제2 벨트 부재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제2 앵커에 체결 가능한 제2 커넥터를 가지며,
    상기 제3 벨트 부재는, 상기 분기 위치로부터 이격한 접속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 부재 및 상기 제2 벨트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와 접속되고,
    상기 적어도 한쪽의 벨트 부재와, 상기 제3 벨트 부재 사이에, 상기 펫 캐리어를 유지시키는, 고정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 벨트 부재는, 상기 제1 벨트 부재 및 상기 제2 벨트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벨트재와, 상기 연결 벨트재로부터 상기 분기 위치까지 연장되는 주벨트재를 갖는, 고정구.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 부재, 상기 제2 벨트 부재 및 상기 제3 벨트 부재는, 상기 분기 위치에 있어서, 떼어냄 가능하게 서로 접속되어 있는, 고정구.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수용 자루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벨트 부재, 상기 제2 벨트 부재 및 상기 제3 벨트 부재는, 상기 분기 위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 자루 내에 위치하는, 고정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용 자루에는, 상기 제1 벨트 부재 및 상기 제2 벨트 부재가 통과하는 제1 통과구와, 상기 제3 벨트 부재가 통과하는 제2 통과구가 설치되어 있는, 고정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용 자루는 상기 제1 통과구를 폐쇄하는 폐쇄 수단을 갖고 있는, 고정구.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용 자루는, 상기 제1 통과구를 부분적으로 폐쇄하여 상기 제1 벨트 부재가 통과하는 부분과 상기 제2 벨트 부재가 통과하는 부분으로 상기 제1 통과구를 구분하는 보조 폐쇄 수단을 갖는, 고정구.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용 자루에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는, 그 양단에 있어서 상기 수용 자루에 접속되고,
    상기 제2 통과구는, 상기 수용 자루 중 상기 손잡이의 양단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구.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용 자루의 표면에는, 상기 펫 캐리어에 접촉하여 상기 펫 캐리어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미끄럼 방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고정구.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수용 자루는, 상기 제1 벨트 부재, 상기 제2 벨트 부재 및 상기 제3 벨트 부재를 수용 가능한 용적을 갖고 있는, 고정구.
  1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 부재, 상기 제2 벨트 부재 및 상기 제3 벨트 부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벨트 부재에 의해서 지지된 커버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펫 캐리어를 덮는 포재(布材) 또는 그물형상재를 포함하는, 고정구.
  1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앵커는 ISOFIX 방식 대응의 래치인, 고정구.
KR1020170061033A 2016-05-19 2017-05-17 고정구 KR1023516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00874A JP6755710B2 (ja) 2016-05-19 2016-05-19 固定具
JPJP-P-2016-100874 2016-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245A KR20170131245A (ko) 2017-11-29
KR102351640B1 true KR102351640B1 (ko) 2022-01-14

Family

ID=60416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033A KR102351640B1 (ko) 2016-05-19 2017-05-17 고정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55710B2 (ko)
KR (1) KR102351640B1 (ko)
CN (1) CN107410083B (ko)
TW (1) TWI7281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727B1 (ko) * 2018-11-08 2021-05-25 이선용 반려동물 카시트
KR200491384Y1 (ko) * 2019-05-08 2020-03-30 주식회사 제주아가랑 버스용 카시트 장착장치
GB202107464D0 (en) * 2021-05-26 2021-07-07 Mccrudden Susan Pet restraint in vehicle
ES1273549Y (es) * 2021-06-17 2021-10-18 Gomez Sergio Gasco Dispositivo de retencion para el transporte de mascotas en vehiculos con seguridad
WO2024010527A2 (zh) * 2022-07-06 2024-01-11 居佳国际有限公司 动物运输装置
WO2024054160A1 (zh) * 2022-09-08 2024-03-14 居佳国际有限公司 载具及其带引导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3447U (ja) * 1982-08-05 1984-02-14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シ−ト
JPH01178149U (ko) * 1988-06-07 1989-12-20
JPH03126736U (ko) * 1990-02-14 1991-12-20
JP2523467Y2 (ja) * 1990-08-02 1997-01-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3点式シートベルト装置
ATE330502T1 (de) * 2001-03-17 2006-07-15 Kijuro Kawakita Verlängerbare riemenvorrichtung und damit ausgerüstete tasche
JP4695304B2 (ja) * 2001-08-09 2011-06-08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容器保持装置付き車両用シート
WO2005074674A1 (ja) * 2004-02-06 2005-08-18 Cksales Corporation ペット収納ボックス固定構造、ペット収納ボックス及び連結具
WO2005120910A1 (en) * 2004-06-09 2005-12-22 Britax Childcare Pty Ltd Child safety seat, shell and harness
JP4032432B2 (ja) * 2005-06-01 2008-01-16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車載ケース保持装置
CH698199B1 (de) * 2006-02-03 2009-06-15 Great Circle Services Ltd Gurtzeug für Sitze.
US7614689B2 (en) * 2007-06-14 2009-11-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 integrated tether system
US20100288204A1 (en) * 2009-05-12 2010-11-18 Tk Holdings Inc. Vehicle pet restraint system
DE102009047351A1 (de) 2009-12-01 2011-06-09 Evonik Goldschmidt Gmbh Komposit-Siliconmembranen mit hoher Trennwirkung
CN201712510U (zh) * 2010-06-12 2011-01-19 上海愉辉纺织品有限公司 车载宠物安全篮
CN201961274U (zh) * 2011-03-25 2011-09-07 杭州天元宠物用品有限公司 狗用汽车安全套带
CN202211069U (zh) * 2011-08-01 2012-05-09 南通优贝卡宠物用品有限公司 一种宠物汽车安全背心
JP6195056B2 (ja) * 2013-04-04 2017-09-1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荷物固定具
JP6338844B2 (ja) * 2013-11-15 2018-06-06 コンビ株式会社 ペット収容具
CN204598976U (zh) * 2015-04-16 2015-09-02 福州威凯宠物用品有限公司 宠物狗用户外背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28113B (zh) 2021-05-21
TW201741171A (zh) 2017-12-01
JP6755710B2 (ja) 2020-09-16
CN107410083B (zh) 2021-12-21
KR20170131245A (ko) 2017-11-29
JP2017205081A (ja) 2017-11-24
CN107410083A (zh) 2017-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1640B1 (ko) 고정구
US7488038B2 (en) Portable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US7347494B2 (en) Vehicle safety restraint system
CN113071388B (zh) 儿童安全座椅
TWI516391B (zh) 兒童座椅
EP2925559B1 (en) Vehicle child safety seat and harness cover
US10214132B2 (en) Cargo restraint systems
US20090212549A1 (en) Passenger safety restraint, seat height adjustment assembly and method of restraining a passenger
EP2925557B1 (en) Vehicle child safety seat
US20130229045A1 (en) Seat with stowable securing system
CN102233835A (zh) 车辆用座椅
US8550036B2 (en) Animal restraint system
JP2018023324A (ja) ペット飼育具
US8801097B2 (en) Anchor system for juvenile vehicle seat
AU2010224308B2 (en) Tether strap
US10464449B2 (en) Web management system
TW202327913A (zh) 兒童座椅
AU2014253490A1 (en) Tether strap
CN116620125A (zh) 儿童安全座椅及安全带限位装置
JP2014113851A (ja) ペット用車載拘束装置
WO2012037375A2 (en) Semi-rigid restraint systems for use with child seats and other occupant restraint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