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327B1 - 구강센서 - Google Patents

구강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327B1
KR102351327B1 KR1020190147365A KR20190147365A KR102351327B1 KR 102351327 B1 KR102351327 B1 KR 102351327B1 KR 1020190147365 A KR1020190147365 A KR 1020190147365A KR 20190147365 A KR20190147365 A KR 20190147365A KR 102351327 B1 KR102351327 B1 KR 102351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ight emitting
emitting body
buffer memb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9937A (ko
Inventor
오근영
김동일
양진규
배경호
Original Assignee
(주)피코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코팩 filed Critical (주)피코팩
Priority to KR1020190147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327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61B6/512Intraoral means
    • A61B6/14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Safety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6/102Protection against mechanical damage, e.g. anti-collis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08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 A61B6/425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characterised by using a particular type of detector using detecto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the interior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0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raw data to produce diagnostic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TMEASUREMENT OF NUCLEAR OR X-RADIATION
    • G01T1/00Measuring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cosmic radiation
    • G01T1/16Measuring radiation intensity
    • G01T1/161Applications in the field of nuclear medicine, e.g. in vivo counting
    • G01T1/164Scintigraph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구강센서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윈도우가 마련되는 커버와;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기판과; 커버의 내부에서 회로기판과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며,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이미지센서와; 커버의 내부에서 이미지센서와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는 발광체; 및 커버의 내부에서 발광체와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강센서{INTRA-ORAL SENSOR}
본 발명은 치아 촬영에 이용되는 구강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를 치료하거나 인공치아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구강 내부를 촬영하여 치아의 영상정보를 획득해야 한다.
통상적으로, 치아 영상정보 획득장치는 환자의 정보를 입력하는 데스크 컴퓨터와, 환자의 치아상태를 촬영하기 위한 X-ray 촬영부와, 상기 X-ray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화면상에 구현하는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X-ray 촬영부는, X-ray 촬영을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러와, X-ray를 조사하여 치아의 상태를 촬영하기 위한 X-ray 촬영기와, 환자의 구강에 삽입되는 구강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벽면이나 별도의 스탠드에 구비되고, 회동이 자유로운 다수의 아암에 의해 X-ray 촬영기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구강센서는 케이블과 연결되고, 이 케이블은 컨트롤러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치아 영상정보 획득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치아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먼저 구강센서와 연결된 케이블을 컨트롤러와 연결하고, 구강센서를 환자의 구강에 삽입 삽입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치아 부위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X-ray 촬영기를 환자의 구강 부위에 위치시킨 후,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상기 구강센서를 향해 X선을 조사한다.
이어서 상기 구강센서가 치아의 영상정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컴퓨터로 전송하면, 모니터를 통해 치아의 영상을 확인할 수가 있다.
상기 치아 영상정보 획득장치 중에서, 구강센서는 고가이면서도 쉽게 파손될 수 있는 장치이므로, 그 취급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그런데 구강센서는, 그 특성 상 사용 과정에서 낙하 위험에 노출되기 쉬울 뿐 아니라, 컨트롤러와 연결 또는 분리되는 과정 및 거치 또는 보관되는 과정에서 바닥으로 떨어져 파손될 위험성이 높다.
구강센서 내부에는,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센서, 이미지센서가 X선을 센싱할 수 있도록 X선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체 등이 구비된다. 이미지센서나 발광체는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고, 특히 발광체는 충격에 매우 취약한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발광체의 특성으로 인해 구강센서가 바닥에 떨어졌을 때 발광체의 모서리 부분이 쉽게 파손될 수 있고, 그로 인해 구강센서의 센싱에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체의 파손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센서의 구조 설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격에 의한 파손이 억제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구강센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구강센서는, 커버의 내부에 수용된 발광체와 커버 사이에 완충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커버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이 완충부재에 의해 흡수됨으로써 발광체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구강센서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윈도우가 마련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커버의 내부에서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이미지센서와; 상기 커버의 내부에서 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는 발광체; 및 상기 커버의 내부에서 상기 발광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발광체와 마주보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상기 윈도우가 배치되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이미지센서 및 상기 발광체의 적층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전면부와 상기 측벽부가 연결되는 모서리를 덮으며 상기 발광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발광체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커버부; 및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발광체 사이에 배치되는 전면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커버부와 상기 전면커버부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커버의 모서리를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면커버부와 상기 전면커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전면부의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개의 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변이 서로 연결되어 폐단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부는, 상기 전면부의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개의 변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변이 서로 연결되어 폐단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전면커버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면커버부의 두 개 이상의 변과 연결되는 연결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발광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부는, 상기 전면커버부의 두 개 이상의 꼭지점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부는,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와 결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서로 결합된 상기 커버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발광체 및 상기 완충부재가 적층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발광체 및 상기 완충부재의 적층체가 상기 커버의 일측을 향해 밀착되도록 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발광체 및 상기 완충부재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커버의 일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광체는, 신틸레이터(Scintillat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강센서에 충격이 완충부재를 통해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발광체와 같이 충격에 취약한 내부 부품들을 파손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내부 부품의 파손으로 인해 센싱 결과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센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강센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강센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커버 및 완충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완충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구체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구체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구체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 질 줄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도시하기도 하였으나, 당업자라면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 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상부에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상부에 또는 하부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에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 요소들 및 '∼부'들은 디 바이 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 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를 나타내는 'X 내지 Y'는 'X 이상 Y 이하'를 의미한다.
[구강센서의 전반적인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센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강센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구강센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센서(100)는 케이스(110)와 커버(120)와 회로기판(130)과 이미지센서(140)와 발광체(150) 및 완충부재(16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와 커버(120)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강센서의 외관을 형성한다. 일례로서, 케이스(110)와 커버(120)의 결합체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110)는, 전방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용공간에 회로기판(130) 및 이 회로기판(130)과 연결된 케이블의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전방"이라 함은 케이스(110)로부터 커버(120)가 위치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이라 함은 그 반대방향으로서 커버(120)로부터 케이스(110)가 위치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케이스(110)는, 후면부(111)와 제1측벽부(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후면부(111)는, 후술할 회로기판(130)과 이미지센서(140)와 발광체(150)의 적층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측벽부(115)는, 후면부(111)의 테두리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후면부(111)에는, 볼록형상부(112)가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볼록형상부(112)에는, 케이블지지부(113)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회로기판(130)과 연결된 케이블은, 볼록형상부(112)의 내부에서 케이블지지부(113)를 통해 케이스(11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케이스(110)의 외부로 연장된 케이블은, 치아 영상정보 획득장치를 조작하기 위해 마련된 컨트롤러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커버(120)는, 케이스(110)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커버(120)는, 후방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120)는, 전면부(121) 및 제2측벽부(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부(121)는, 구강센서(100)의 최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부(121)가 후술할 회로기판(130)과 이미지센서(140)와 발광체(150)의 적층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전면부(121)에는, 윈도우(W)가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W)는, 후술할 발광체(150)와 마주보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강센서(100)를 향해 조사된 X선은, 윈도우(W)를 통해 커버(120)를 통과하여 발광체(150)에 도달할 수 있다.
제2측벽부(125)는, 전면부(121)로부터 회로기판(130)과 이미지센서(140) 및 발광체(150)의 적층방향, 즉 전방으로 연장되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20)의 내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케이스(110)와 커버(120)로 둘러싸인 수용공간에는, 회로기판(130)과 이미지센서(140) 및 발광체(150)가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120)의 후면부(111)와 가까운 측으로부터 회로기판(130)과 이미지센서(140) 및 발광체(150)가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구강센서의 내부 구조]
회로기판(130)은, 커버(120)의 내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케이스(110)와 커버(120)로 둘러싸인 수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로기판(130)이 회로기판(130)과 이미지센서(140) 및 발광체(150)의 적층체 중 케이스(110)의 후면부(111)와 가장 가까운 측, 최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회로기판(130)에는, 이미지센서(14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소자와 패턴이 마련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140)는, 커버(120)의 내부에서 회로기판(130)과 윈도우(W)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미지센서(140)가 CMOS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이미지센서(140)는, 윈도우(W)를 통과한 X선을 검출하여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발광체(150)는, 커버(120)의 내부에서 이미지센서(140)와 윈도우(W)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체(150)는, 신틸레이터(Scintillat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신틸레이터는, X선이나 감마선 등의 방사선이 닿으면 그 에너지를 흡수하여 눈에 보이는 빛을 발할 수 있다. 이러한 신틸레이터는 X선 세기에 따라 발광 정도가 달라지며, 이로써 신틸레이터에 조사된 X선에 의해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이미지센서(140)는, 이처럼 생성된 이미지를 센싱하는 방식으로 X선을 검출하여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신틸레이터는, GOS(Gadolinium OxySulfide Scintillator) 또는 FOS(Fiber Optic scintillator)일 수 있다. GOS는, 가격이 저렴하면서 플렉시블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수명이 짧고 해상도가 낮은 당점이 있다. FOS는, 수명이 길고 해상도가 높은 장점이 있으나, 딱딱하여 파손되기 쉽고 고가인 단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체(150)가 FOS 형태의 신틸레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신틸레이터를 포함하는 발광체(150)를 구비한 구강센서(100)는, 높은 해상도의 치아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케이스(110)의 후면부(111)와 회로기판(130) 사이에는, 지지기판(170)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기판(170)은, 케이스(110)의 후면부(1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130)을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기판(170)은, 스테인리스(Stainless)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강센서(100)의 구동시, 회로기판(130)에는 높은 열이 발생될 수 있고, 이는 회로기판(130)의 휨 변형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지지기판(170)은, 회로기판(130)의 후방에서 회로기판(130)을 지지함으로써, 회로기판(130)의 휨 변형 발생이 억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지지기판(170)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회로기판(130)과 접촉하여 회로기판(13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로써 회로기판(130)의 과도한 온도 상승이 억제되는 한편, 열로 인한 회로기판(130)의 휨 변형 발생이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회로기판(130)와 이미지센서(140) 간의 결합은, 제1접착층(135)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센서(140)와 발광체(150) 간의 결합은, 제2접착층(145)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접착층(135)은, 회로기판(130)와 이미지센서(140) 사이에 연질 에폭시(Soft epoxy)가 도포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접착층(145)은, 이미지센서(140)와 발광체(150) 사이에 연질 에폭시가 도포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부재(160)는, 커버(120)의 내부에서 발광체(150)와 커버(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재(160)는, 발광체(150)가 커버(120)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면서 커버(120)를 통해 가해지는 충격이 발광체(150)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아울러 케이스(110)에는, 가압돌기(114)가 마련될 수 있다. 가압돌기(114)는, 볼록형상부(112)로부터 커버(120)를 향한 방향, 즉 하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돌기(114)는, 회로기판(130)과 이미지센서(140) 및 발광체(150)의 적층체 중 가압돌기(114)와 가장 가까이 배치된 구성, 즉 회로기판(130)을 하부방향으로 눌러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로기판(130)과 이미지센서(140) 및 발광체(150)의 적층체는 완충부재(160)와 밀착되면서 커버(120)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구강센서(100)의 촬영 결과 신뢰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완충부재의 구성 및 작용]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커버 및 완충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완충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완충부재(160)는 커버(120)의 내부에서 발광체(150)와 커버(120) 사이에 배치되되, 커버(120)의 전면부(121)와 제2측벽부(125)가 연결되는 모서리를 덮으며 발광체(150)와 커버(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재(160)는, 측면커버부(161) 및 전면커버부(1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측면커버부(161)는, 커버(120)의 제2측벽부(125)와 발광체(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커버부(161)는 전면부(121)의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개의 변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변이 서로 연결되어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측면커버부(161)는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전면부(121)의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는 네 개의 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네 개의 변이 서로 연결되어 사각 형상의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전면커버부(163)는, 커버(120)의 전면부(121)와 발광체(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커버부(163)는 전면부(121)의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개의 변을 포함하며, 복수개의 변이 서로 연결되어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전면커버부(163)는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전면부(121)의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는 네 개의 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네 개의 변이 서로 연결되어 사각 형상의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측면커버부(161)의 각 변과 전면커버부(163)의 각 변은 서로 연결되되, "ㄴ" 형상을 이루며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된 측면커버부(161)와 전면커버부(163)는, 커버(120)의 모서리를 덮는 형태로 커버(1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완충부재(16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완충부재(160)가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되, 쇼어 경도(Hs)가 20 내지 60A인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완충부재(160)는, 완충부재(160)로 가해지는 충격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경도를 가지면서도, 받은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이 충격이 발광체(15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데 적합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완충부재(160)의 외측은 커버(120)의 모서리를 덮으며, 이러한 완충부재(160)의 내측은 발광체(150)의 모서리를 외측에서 감쌀 수 있다. 이러한 완충부재(160)는, 구강센서(100)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커버(120)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발광체(150)가 받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구강센서(100)는, 구강센서(100)에 충격이 완충부재(160)를 통해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발광체(150)와 같이 충격에 취약한 내부 부품들을 파손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내부 부품의 파손으로 인해 센싱 결과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체(150)가 FOS 형태의 신틸레이터를 포함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구비된 발광체(150)는, 높은 해상도의 치아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딱딱하여 파손되기 쉽고 고가인 단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구강센서(100)가 높은 해상도의 치아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FOS 형태의 신틸레이터가 사용되어야 하지만, 이 경우 발광체(150)가 작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될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체(150)와 커버(120) 사이에 완충부재(160)가 개재되고, 구강센서(100)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커버(120)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이 완충부재(160)에 의해 흡수되도록 하는 보호 구조가 채용된다. 이로써, 발광체(150)가 충격에 의한 파손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부주의나 이동 및 보관 상의 실수로 구강센서(10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발광체(150)가 쉽게 파손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완충부재(160)는, 연결지지부(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지지부(165)는, 전면커버부(163)의 내측에 배치되며, 전면커버부(163)의 두 개 이상의 변과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지지부(165)는, 커버(120)의 전면부(121)와 발광체(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지지부(165)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완충부재(160)가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완충부재(160)는, 측면커버부(161)와 전면커버부(163) 및 연결지지부(165)가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지지부(165)는 전면커버부(163)의 두 개 이상의 꼭지점과 연결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지지부(165)가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연결지지부(165)가 배치된 완충부재(160)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관통홀(167)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완충부재(160)의 전면에는,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지지부(165)의 사이사이에 복수개의 관통홀(167)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완충부재(160)에 연결지지부(165)가 마련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첫째, 완충부재(160)의 측면커버부(161) 및 전면커버부(163)에 가해지는 충격이 연결지지부(165)로 분산될 수 있다.
구강센서(100)가 바닥에 떨어졌을 때에는 주로 커버(120)의 모서리나 꼭지점 부분이 바닥에 부딪치게 되며, 이로 인해 커버(120)의 모서리나 꼭지점에 큰 충격이 가해지게 된다. 특히 커버(120)의 꼭지점 부분이 바닥에 부딪치게 되면, 해당 부분에 매우 큰 충격이 집중적으로 가해지게 되며, 이 충격은 측면커버부(161) 및 전면커버부(163)의 꼭지점 부분에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면커버부(161) 및 전면커버부(163)의 꼭지점 부분에 전달되는 충격이 완충부재(160)에 의해 되도록 많이 흡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완충부재(160)의 두께가 증가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완충부재(160)의 두께가 증가되는 만큼, 구강센서(100)의 전체 크기가 증가되는 문제점, 그리고 구강센서(100)의 촬영 결과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완충부재(160)에 연결지지부(165)가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측면커버부(161) 및 전면커버부(163)의 꼭지점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이 연결지지부(165)를 통해 효과적으로 분산되도록 하였다.
특히 연결지지부(165)가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연결지지부(165)는 전면커버부(163)의 평면방향을 따라 어느 정도 변형될 수 있다. 그 결과, 연결지지부(165)로 충격이 전달되었을 때 연결지지부(165)는 그 형상이 변형되면서 그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즉 측면커버부(161) 및 전면커버부(163)의 꼭지점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이 연결지지부(165)를 통해 분산되고, 형상이 변형될 수 있게 마련된 연결지지부(165)는 그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되므로, 완충부재(160)로 전달되는 충격이 매우 효과적으로 흡수되어 발광체(150)가 완충부재(160)에 의해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완충부재(160)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커버(120)의 모서리나 꼭지점에 큰 충격도 완충부재(160)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구강센서(100)의 크기 증가 및 촬영 결과 신뢰도 저하가 방지되면서도 발광체(150)가 충격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게 된다.
둘째, 완충부재(160)의 형상이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완충부재(160)는 연질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완충부재(160)가 연결지지부(165) 없이 측면커버부(161) 및 전면커버부(163)로만 형성된다면, 완충부재(160)는 사각 형상을 제대로 유지하지 못하고 쉽게 찌그러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커버부(163)의 각 변이 연결지지부(165)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완충부재(160)는 그 형상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구조적 강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완충부재(160)가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갖게 됨으로써, 커버(120)와 발광체(150) 사이에 완충부재(160)를 끼워 넣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구강센서(100) 제조가 좀 더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구체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구체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00 : 구강센서
110 : 케이스
111 : 후면부
112 : 볼록형상부
113 : 케이블지지부
114 : 가압돌기
115 : 제1측벽부
120 : 커버
121 : 전면부

Claims (13)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윈도우가 마련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상기 커버의 내부에서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이미지센서; 상기 커버의 내부에서 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는 발광체; 및 상기 커버의 내부에서 상기 발광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발광체와 마주보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상기 윈도우가 배치되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의 테두리로부터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이미지센서 및 상기 발광체의 적층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측벽부와 상기 발광체 사이에 배치되는 측면커버부;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발광체 사이에 배치되는 전면커버부; 및 상기 전면커버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면커버부의 두개 이상의 변과 연결되는 연결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측면커버부와 상기 전면커버부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커버의 모서리를 덮으며,
    상기 전면커버부는 상기 전면부의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개의 변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변이 서로 연결되어 폐단면을 형성하는 구강센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커버부와 상기 전면커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전면부의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는 복수개의 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변이 서로 연결되어 폐단면을 형성하는 구강센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와 상기 발광체 사이에 배치되는 구강센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부는, 상기 전면커버부의 두 개 이상의 꼭지점과 연결되는 구강센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부는,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강센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와 결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서로 결합된 상기 커버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발광체 및 상기 완충부재가 적층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발광체 및 상기 완충부재의 적층체가 상기 커버의 일측을 향해 밀착되도록 상기 이미지센서와 상기 발광체 및 상기 완충부재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커버의 일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더 포함하는 구강센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신틸레이터(Scintillat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강센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구강센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구강센서.
KR1020190147365A 2019-11-18 2019-11-18 구강센서 KR102351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365A KR102351327B1 (ko) 2019-11-18 2019-11-18 구강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365A KR102351327B1 (ko) 2019-11-18 2019-11-18 구강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937A KR20210059937A (ko) 2021-05-26
KR102351327B1 true KR102351327B1 (ko) 2022-01-14

Family

ID=76137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365A KR102351327B1 (ko) 2019-11-18 2019-11-18 구강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3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2832B1 (ko) * 2020-12-29 2022-12-01 오스템글로벌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1130A (ja) * 2003-03-24 2006-09-21 カルテンバッハ ウント ホイク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カンパニー カーゲー 口腔内センサ
US20070053498A1 (en) 2005-09-08 2007-03-08 Schick Technologies, Inc. Flexible intra-oral x-ray imag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04415D0 (en) * 2005-03-03 2005-04-06 E2V Tech Uk Ltd Non-planar x-ray sensor
KR101420250B1 (ko) * 2012-11-26 2014-07-17 한국전기연구원 플렉서블 엑스레이 디텍터의 제조 방법 및 플렉서블 엑스레이 디텍터를 갖는 방사선 검출 장치
KR101695404B1 (ko) * 2015-03-25 2017-01-12 주식회사 레이언스 방수기능을 갖는 구강촬영센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1130A (ja) * 2003-03-24 2006-09-21 カルテンバッハ ウント ホイク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カンパニー カーゲー 口腔内センサ
US20070053498A1 (en) 2005-09-08 2007-03-08 Schick Technologies, Inc. Flexible intra-oral x-ray imag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937A (ko) 202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5967B2 (en) X-ray detector with impact absorbing cover
JP5972196B2 (ja) 電子カセッテ
JP5908668B2 (ja) 可搬型放射線撮影装置
CN104905806B (zh) 可移动式放射线摄影装置及箱体
JP3815766B2 (ja) 二次元撮像装置
JP4650399B2 (ja) カセッテ型放射線画像検出器
JP5693173B2 (ja) 放射線検出装置及び放射線検出システム
US20170090044A1 (en) Radiation imaging apparatus and radiation imaging system
JP5642451B2 (ja) 可搬型放射線撮影装置セット、可搬型放射線撮影装置
JP4393528B2 (ja) X線撮像装置
TWI780129B (zh) 放射線檢測器及放射線圖像攝影裝置
JP2009189790A (ja) ディテクタパネルおよびx線撮影装置
JP2008510130A5 (ko)
JP6907054B2 (ja) 放射線撮影装置
KR102351327B1 (ko) 구강센서
US8637822B2 (en) Radiological image detection cassette
CN105662442B (zh) 放射线成像系统
JP2006058168A (ja) 放射線撮像素子および放射線撮像方法
TW201834615A (zh) 放射線檢測器以及放射線圖像攝影裝置
JP6944868B2 (ja) 放射線検出装置
JP2010160044A (ja) 可搬型放射線画像撮影装置
JP2012008256A (ja) 電子カセッテ
JP6869064B2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
JP6377101B2 (ja) 放射線検出装置及び放射線検出システム
JP7370950B2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