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806B1 -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 - Google Patents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806B1
KR102350806B1 KR1020210077703A KR20210077703A KR102350806B1 KR 102350806 B1 KR102350806 B1 KR 102350806B1 KR 1020210077703 A KR1020210077703 A KR 1020210077703A KR 20210077703 A KR20210077703 A KR 20210077703A KR 102350806 B1 KR102350806 B1 KR 102350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auxiliary
insulation
coupling means
r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주
Original Assignee
이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주 filed Critical 이창주
Priority to KR1020210077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8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06Apparatus for setting-out or dividing courts
    • A63C19/08Mechanical means for marking-ou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10Ice-skating or roller-skating rinks; Slopes or trails for skiing, ski-jumping or tobogga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06Apparatus for setting-out or dividing courts
    • A63C19/08Mechanical means for marking-out
    • A63C2019/085Fences; Nets;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케이트 링크 메인펜스의 링크 방향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단열펜스; 상기 단열펜스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한 지점에 마련되어 단열펜스를 보호하기 위한 비전도성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Thickness adjustable auxiliary fence for skate rink}
본 발명은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케이트 링크의 메인 펜스 전방부 또는 후방부에 설치되어 스케이트 링크와 메인펜스가 인접한 위치에서의 온기유입 및 냉기유출을 방지함으로써, 메인펜스 인접부의 얼음이 녹지 않고 전반적으로 균질한 빙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스케이트 링크는 스케이트 경기가 이루어지는 필드로서, 피겨 스케이팅, 스피드 스케이팅, 쇼트트랙 스케이팅, 아이스하키 등 다양한 경기가 열리며, 생활체육공간으로서 성인부터 아동까지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다양한 연령대가 애용하는 공간이다.
스케이트 링크는 스케이트 활동이 이루어지는 링크 부분의 최외곽 테두리에 펜스가 설치된다. 야외 스케이트 링크 및 실내 스케이트 링크 모두 관중, 코치 등과 선수 또는 스케이트를 즐기는 사람들과의 경계 구분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링크 부분의 최외곽 테두리에 펜스가 설치되어 있다.
펜스를 경계로 앞부분은 얼음이 형성된 링크의 영역이고, 여기에서는 얼음의 하부에 얼음이 녹지 않고 빙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냉각장치가 구성되어 있는 것에 반하여 펜스의 뒷부분은 링크의 영역이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냉각장치가 구성되어 있지 않다. 한편, 펜스 자체는 링크의 영역과 그 외의 영역을 구분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뿐, 그 자체로서 외곽영역에 의하여 유입되는 온기를 차단할 수는 없어 링크의 빙질을 유지시켜주기 어렵다. 따라서, 링크 영역 중 펜스와 인접한 영역은 항상 얼음이 녹아서 물이 고인상태인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냉각장치의 기능이 유입되는 온기까지 보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얼음이 녹아서 물이 고인 상태가 되는 경우에는 빙질이 고르지 못하고 나빠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스케이트를 타다가 옷이 젖는 경우가 발생됨은 물론, 빙질의 급작스로운 변화로 인하여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이 균형을 잃고 넘어질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하여 부상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생활 체육의 용도로 링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옷젖음의 문제와 부상의 문제가 더 커질 수 있다.
한편, 펜스는 보통 경질의 재질을 이루며, 외력에 의해서도 견고하게 지지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스케이트 링크를 이용하는 사람이 스케이트를 타다가 불가피하게 부딪치는 경우에는 큰 부상을 당할 수 있다. 따라서, 펜스에 연질의 재질을 갖는 보조펜스를 설치하여 이러한 부상을 어느 정도 예방하고 있다. 상기 보조펜스는 통상 단일의 스펀지를 내장하고 외피를 씌워서 제작을 한다. 이 때, 내장된 스펀지가 단단한 경우에는 스펀지의 내구성 측면에서 유리하나, 충돌시의 충격에너지가 사람에게 다소 많이 전달된다는 측면에서 충격 완충효과가 적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내장된 스펀지가 무른 경우에는 스펀지의 내구성 측면에서 불리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충격이 아주 큰 경우에는 스펀지의 완충효과가 실질적으로 유명무실해지는 단점도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87196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641687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펜스 외부로부터 펜스를 통해 링크 내로 유입되는 온기를 효과적이고 적극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링크내 빙질은 전반적으로 균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펜스를 운용함에 있어서 단열이 잘 이루어지는 결과, 메인펜스를 중심으로 링크 영역과 그 외의 영역간의 온도차이가 보다 더 커짐으로써 메인 펜스의 링크 외 영역 방향면에 발생될 수 있는 결로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펜스의 링크 방향면에 보조펜스를 더 설치하되, 보조펜스내 완충재의 내구성을 확보하면서도 보조펜스에 충격시 사람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최대한 완화할 수 있도록 두께와 완충재의 밀도를 가변할 수 있는 보조펜스를 더 포함하는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충격의 주체에 따라서 보다 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함으로써 부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펜스를 이중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하고, 두개 또는 그 이상의 보조펜스를 서로 지퍼 등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탈착함으로써, 보조펜스의 두께 변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케이트 링크 메인펜스의 링크 방향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단열펜스; 및 상기 단열펜스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한 지점에 마련되어 단열펜스를 보호하기 위한 비전도성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를 제공한다.
상기 단열펜스과 비전도성패널은 링크의 외주면에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펜스는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관통되는 채널이 그 내면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펜스는 격자형 프레임으로 제작되며, 상기 격자형 프레임이 이루는 단위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팬이 형성되고, 상기 팬으로부터 메인펜스의 링크 반대편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며, 배출된 공기는 배출가이드를 통하여 메인펜스의 링크 반대편 표면에 링크 영역과 그 외 영역의 온도차이에 따른 결로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펜스의 링크 방향에는 보조펜스가 더 설치되며, 상기 보조펜스는, 제1보조펜스; 상기 제1보조펜스에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제2보조펜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보조펜스와 제2보조펜스에는 완충재가 내장되고, 상기 제1보조펜스와 제2보조펜스에는 다중의 결합수단이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되되, 그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수단인 제1결합수단은 제1보조펜스와 제2보조펜스의 표면에 직접 구성되고, 다른 결합수단인 제2결합수단은 상기 제1보조펜스 또는 제2보조펜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보조펜스는 메인펜스와 인접하고, 상기 제2보조펜스는 제1보조펜스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보조펜스의 완충재와 제2보조펜스의 완충재는 서로 탄성이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기 제2보조펜스 완충재의 탄성은 제1보조펜스 완충재의 탄성에 비하여 높거나 제2보조펜스 완충재의 밀도는 제1보조펜스 완충재의 밀도에 비하여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보조펜스들을 결합하는 경우에는 보조펜스들이 상호 직접 결합되고, 제2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보조펜스들을 결합하는 경우에는 각 보조펜스들간의 간격을 상기 연장부의 두께만큼 이격할 수 있으며, 상기 이격에 의하여 보조펜스들간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는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연장부에 형성된 제2결합수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결합수단을 결합함으로써, 보조펜스들간 간격을 좁히거나, 제1결합수단을 해제하고, 제2결합수단을 연장부의 두께만큼 이동함으로써 보조펜스들간의 간격을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부로 인하여 보조펜스간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공간부에 추가적인 완충재를 더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펜스 외부로부터 펜스를 통해 링크 내로 유입되는 온기를 효과적이고 적극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링크내 빙질은 전반적으로 균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펜스를 운용함에 있어서 단열이 잘 이루어지는 결과, 메인펜스를 중심으로 링크 영역과 그 외의 영역간의 온도차이가 보다 더 커짐으로써 메인 펜스의 링크 외 영역 방향면에 발생될 수 있는 결로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열펜스의 링크 방향면에 보조펜스를 더 설치하되, 보조펜스내 완충재의 내구성을 확보하면서도 보조펜스에 충격시 사람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최대한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충격의 주체에 따라서 보다 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함으로써 부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펜스를 이중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하고, 두개 또는 그 이상의 보조펜스를 서로 지퍼 등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탈착함으로써, 보조펜스의 두께 변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스케이트 링크를 아래로 바라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펜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펜스가 메인펜스에 부착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펜스에 팬이 설치되어 배출 가이드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펜스가 링크의 바닥면 하부에 매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펜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펜스들에 결합수단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펜스들의 다양한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좌측 보조펜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펜스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충격의 완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되는 도면과 바람직할 실시예를 기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스케이트 링크 또는 아이스 링크는 그 원래의 정의와 무관하게 실내 링크, 실외 링크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도 1은 스케이트 링크를 아래로 바라본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펜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펜스가 메인펜스에 부착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펜스에 팬이 설치되어 배출 가이드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펜스가 링크의 바닥면 하부에 매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펜을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펜스들에 결합수단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펜스들의 다양한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좌측 보조펜스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펜스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충격의 완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스케이트 링크 메인펜스(150)의 링크 방향면에 설치되며, 이중층의 구조를 하고 있는데, 단열의 역할을 하며, 내부에 공기층(113)이 형성되는 단열펜스(110); 및 상기 단열펜스(110)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한 영역에 마련되어 단열펜스(110)를 보호하면서도 단열의 보조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비전도성패널(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링크(200)는 그 하부의 슬라브(300)에 냉각작용을 하는 냉각파이프(310)를 매립하고, 여기에 냉매를 흘려주거나 냉각파이프(310)를 냉각함으로써 형성된 빙판 영역이다. 특히 링크(200)와 메인펜스(150)가 인접한 부분에서 용해영역(M)이 발생되는데, 이는 메인펜스(150)에서의 단열 성능 저하가 원인이다. 이와 같이 용해영역(M)이 발생되는 경우, 경주과정에서 넘어졌을 때나 경주중에도 옷을 젖게 하거나 낙상 사고가 발생하기 십상이다. 그러므로, 용해영역(M)의 생성은 최대한 방지되어야 한다.
단열펜스(110)는 보통 다공질로 구성되어 열의 전도도를 공기층(113)에 의하여 크게 낮추도록 제작된다. 밀도가 낮기 때문에 작은 충격에도 쉽게 부서질 수 있으며, 대체로 고가이므로 단열펜스(110)를 설치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비전도성패널(130)을 덧대어줌으로써 단열펜스(110)를 보조하여 단열성능을 배가할 수 있고, 단열펜스(110)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스케이트 링크의 메인펜스(150) 자체를 단열펜스(110)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이는 매우 큰 공사가 될 것이며, 따라서, 기존의 메인펜스(150)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단열펜스(110)를 덧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단열펜스(110)와 비전도성패널(130)은 링크의 외주면에서 링크면 하부로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펜스(150)는 링크 부분에 매립되어 있거나, 얼음층이 메인펜스(150)가 설치된 하부의 슬라브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미 건설완료된 스케이트 링크에서 단열펜스(110)와 비전도성패널(130)을 메인펜스(150)와 함께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서는 링크의 외주면에 매립되도록 하는 것이 비교적 간단한 방법이 된다.
결국, 메인펜스(150)-단열펜스(110)-비전도성패널(130) 또는 메인펜스(150)-비전도성패널(130)-단열펜스(110) 또는 메인펜스(150)-비전도성패널(130)-단열펜스(110)-비전도성패널(130)의 순서로 배치되며, 비전도성패널(130)과 스케이트 링크의 외주면이 인접하게 된다. 단열펜스(110)와 비전도성패널(130)의 하부에는 냉각장치가 더 구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온기를 더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상기 단열펜스(110)는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관통되는 채널이 그 내면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열펜스(110)는 두께를 갖는 판재의 내부에 채널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가공한 것이다. 물론, 단열펜스(110)의 내부 구조는 이와 같은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복잡한 구조는 제작이 어렵기 때문에 제조를 단순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채널에는 공기층(113)이 존재하거나, 단열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단열재가 충전될 수 있고, 이로써 열의 이동이 제한되는 효과가 존재한다. 비전도성패널(130)은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비전도성패널(130)과 단열펜스(110)의 사이에 접착제 또는 비전도성패널(130)로부터 작용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완충재를 더 추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메인펜스(150)는 예를 들어 철골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예를 들어 세로 프레임(151)과 가로 프레임(153)으로 구성되는 격자구조일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가 이루는 단위 공간에는 팬(400)이 설치될 수 있으며, 팬(400)은 공기의 유동을 위하여 작용하며, 흡입 및 송풍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메인펜스(150) 중 하부의 천공으로부터 팬(400)에 의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메일펜스(150)중 상부의 천공을 통하여 외부로 흐를 수 있으며, 이 때, 팬(400)은 상부의 천공에 인접한 부분에 설치된다. 공기는 도 4에서와 같이 메인펜스(150)의 링크 방향으로 토출되어 냉각되면서 아래로 흐르게 되는데, 메인펜스(150)와 함께 일종의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링크의 냉기가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며, 따라서, 링크의 메인펜스(150)와 접하는 사이드 부분의 얼음이 녹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흐르는 냉기는 에어커튼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경기중에는 물론 상시 작용하도록 팬이 구동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은 메인펜스(150) 내에 팬(400)을 설치하고, 상기 팬(400)이 메인펜스(150)의 링크 영역의 반대영역으로 공기를 이동시켜 그 영역에 공기가 유통되도록 함으로써, 링크 영역의 반대영역에 발생될 수 있는 결로가 예방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단열펜스(110)과 비전도성패널(130)의 링크방향의 면에는 보조펜스(510)가 더 설치되며, 상기 보조펜스(510)는 제1보조펜스(511); 상기 제1보조펜스(511)에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제2보조펜스(513);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보조펜스(511)와 제2보조펜스(513)에는 완충재가 내장되고, 상기 제1보조펜스(511)와 제2보조펜스(513)에는 다중의 결합수단이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되되, 그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수단인 제1결합수단(515)은 제1보조펜스(511)와 제2보조펜스(513)의 표면에 직접 구성되고, 다른 결합수단인 제2결합수단(517)은 상기 제1보조펜스(511) 또는 제2보조펜스(5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512)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가변성의 스케이트 링크용 보조 펜스를 제공한다.
보조펜스는 외피와 그 외피내에 내장된 완충재로 구성되며, 완충재는 예를 들면 스티로폼,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고밀도 스펀지, 라텍스 등 그 재질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완충재는 반복되는 충격에 대하여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람에 대한 충격을 완충하여 부상을 예방하는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적절한 재질과 탄성(단단한 정도)을 갖는 것을 선택한다.
상기 제1보조펜스(511)는 단열펜스(110) 외부에 설치된 비전도성패널(130)과 인접하고, 상기 제2보조펜스(513)는 제1보조펜스(511)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보조펜스(511)의 완충재와 제2보조펜스(513)의 완충재는 서로 탄성이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사람이 직접 충격하는 상기 제2보조펜스(513) 완충재의 탄성은 제1보조펜스(511) 완충재의 탄성에 비하여 높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2보조펜스(513)의 탄성이 제1보조펜스(511)의 탄성보다 낮더라도 제1보조펜스(511)가 메인펜스(150)와의 사이에서 한 번 더 완충작용을 하므로 제2보조펜스(513)는 내구성을 중점으로 두기보다는 충격의 완충에 더 중점을 두어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더라도 부상을 최소화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와 함께 제1보조펜스(511)와 제2보조펜스(513)의 밀도차이를 둠으로써 충격을 순차적으로 완화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제2보조펜스(513)의 밀도가 제1보조펜스(511)의 밀도보다 낮게 구성할 수 있다.
제2보조펜스(513)에 큰 충격이 가해져 제2보조펜스(513)가 찢어지거나 스케이트날 등에 의하여 관통되더라도 보다 더 단단한 제1보조펜스(511)가 한 번 더 완충작용을 하면서도 내구력을 유지하므로 부상을 경감할 수 있고, 제1보조펜스(511)의 과도한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보조펜스(511)와 제2보조펜스(513)가 연장부(512)에 의하여 이격된 상태인 경우라면 충격을 더 완화하여 부상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결합수단(515)은 이용하여 보조펜스들을 결합하는 경우에는 보조펜스들이 상호 직접 결합되고, 제2결합수단(517)을 이용하여 보조펜스들을 결합하는 경우에는 각 보조펜스들간의 간격을 상기 연장부(512)의 두께만큼 이격할 수 있으며, 상기 이격에 의하여 보조펜스들간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은 제2보조펜스(513)의 유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유동성으로 인하여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보다 더 완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장부(512)는 제1보조펜스(511) 또는 제2보조펜스(513)에 구성될 수 있고, 제1보조펜스(511), 제2보조펜스(513) 모두에도 구성될 수 있는데, 연장부(512)에는 제2결합수단(517)이 구성되며, 연장부(512)에 구성된 제2결합수단(517)에 의하여 제1보조펜스(511)와 제2보조펜스(513)가 결합되면 연질의 연장부(512)를 최대한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두 펜스를 이격시킬 수 있으며, 그만큼 두 펜스간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연장부(512)는 본 발명의 펜스에 의한 충격완화를 위한 핵심구성 중 하나이다. 결합수단은 예를 들어 보조펜스들이 4각인 경우, 4변 모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부(512)에 형성된 제2결합수단(517)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결합수단(515)을 결합함으로써, 보조펜스들간 간격을 좁히거나, 제1결합수단(515)을 해제하고, 제2결합수단(517)을 연장부(512)의 두께만큼 이동함으로써 보조펜스들간의 간격을 넓힐 수도 있고, 이 경우 제2결합수단(517)은 항상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결합수단(515)의 해제 및 체결에 따라서 두 보조펜스간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512)에 제2결합수단(517)을 형성하는 대신 단순히 제1보조펜스(511)와 제2보조펜스(513)를 연장부(512)에 의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박음질을 이용하여 제1보조펜스(511)와 제2보조펜스(513)에 각각 연장부(512)를 결합하여도 제1보조펜스(511)와 제2보조펜스(513)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충격이 주로 가해지는 제2보조펜스(513)는 제1보조펜스(511)에 비하여 파손의 위험이 커서 제2보조펜스(513)만 교체하기 위해서는 제2결합수단(517)이 필요하며, 따라서, 제2결합수단(517)이 연장부(512)에 구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연장부(512)로 인하여 보조펜스간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공간부에 추가적인 완충재를 더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재는 목각, 스펀지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됨 없이 두루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단열펜스 111 : 단열펜스 프레임
113 : 공기층 130 : 비전도성패널
150 : 메인펜스 151 : 세로프레임
153 : 가로프레임 170 : 마감패널
180 : 피스 190 : 킥플레이트(kick plate)
200 : 링크 300 : 슬라브
310 : 냉각파이프 400 : 팬
510 : 보조펜스 511 : 제1보조펜스
512 : 연장부 513 : 제2보조펜스
515 : 제1결합수단 517 : 제2결합수단

Claims (10)

  1. 스케이트 링크 메인펜스의 링크 방향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단열펜스;
    상기 단열펜스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한 지점에 마련되어 단열펜스를 보호하기 위한 비전도성패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펜스과 비전도성패널은 링크의 외주면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펜스는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관통되는 채널이 그 내면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펜스는 격자형 프레임으로 제작되며, 상기 격자형 프레임이 이루는 단위 공간에 적어도 하나의 팬이 형성되고, 상기 팬으로부터 메인펜스의 링크 반대편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며, 배출된 공기는 배출가이드를 통하여 메인펜스의 링크 반대편 표면에 링크 영역과 그 외 영역의 온도차이에 따른 결로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펜스의 링크 방향에는 보조펜스가 더 설치되며, 상기 보조펜스는
    제1보조펜스;
    상기 제1보조펜스에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제2보조펜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보조펜스와 제2보조펜스에는 완충재가 내장되며,
    상기 제1보조펜스와 제2보조펜스에는 다중의 결합수단이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되되, 그 중 적어도 하나의 결합수단인 제1결합수단은 제1보조펜스와 제2보조펜스의 표면에 직접 구성되고, 다른 결합수단인 제2결합수단은 상기 제1보조펜스 또는 제2보조펜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연장부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펜스는 메인펜스와 인접하고, 상기 제2보조펜스는 제1보조펜스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보조펜스의 완충재와 제2보조펜스의 완충재는 서로 탄성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펜스 완충재의 탄성은 제1보조펜스 완충재의 탄성에 비하여 높거나 제2보조펜스 완충재의 밀도는 제1보조펜스 완충재의 밀도에 비하여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
  8.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보조펜스들을 결합하는 경우에는 보조펜스들이 상호 직접 결합되고, 제2결합수단을 이용하여 보조펜스들을 결합하는 경우에는 각 보조펜스들간의 간격을 상기 연장부의 두께만큼 이격할 수 있으며, 상기 이격에 의하여 보조펜스들간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연장부에 형성된 제2결합수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결합수단을 결합함으로써, 보조펜스들간 간격을 좁히거나, 제1결합수단을 해제하고, 제2결합수단을 연장부의 두께만큼 이동함으로써 보조펜스들간의 간격을 넓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로 인하여 보조펜스간 공간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공간부에 추가적인 완충재를 더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
KR1020210077703A 2021-06-15 2021-06-15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 KR102350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703A KR102350806B1 (ko) 2021-06-15 2021-06-15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703A KR102350806B1 (ko) 2021-06-15 2021-06-15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806B1 true KR102350806B1 (ko) 2022-01-13

Family

ID=79342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703A KR102350806B1 (ko) 2021-06-15 2021-06-15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80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2548U (ja) * 1991-11-15 1993-06-08 株式会社大林組 空気断熱膜構造
KR100641687B1 (ko) 2003-12-11 2006-11-02 홍석균 스포츠시설용 다층판재 및 그 제조방법
US20130040745A1 (en) * 2011-08-10 2013-02-14 Marc Kapsalis Dasher board assembly
KR20140097708A (ko) * 2013-01-29 2014-08-07 주식회사 삼화엔지니어링 아이스링크용 펜스
KR20170122574A (ko) * 2016-04-27 2017-11-06 장수정 빙상장용 안전휀스
KR200487196Y1 (ko) 2018-02-20 2018-08-21 (주)알앤알스포츠 빙면광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빙상 스포츠설비
WO2019013283A1 (ja) * 2017-07-13 2019-01-17 プランツラボラトリー株式会社 遮熱パネル及び組立式建築物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2548U (ja) * 1991-11-15 1993-06-08 株式会社大林組 空気断熱膜構造
KR100641687B1 (ko) 2003-12-11 2006-11-02 홍석균 스포츠시설용 다층판재 및 그 제조방법
US20130040745A1 (en) * 2011-08-10 2013-02-14 Marc Kapsalis Dasher board assembly
KR20140097708A (ko) * 2013-01-29 2014-08-07 주식회사 삼화엔지니어링 아이스링크용 펜스
KR20170122574A (ko) * 2016-04-27 2017-11-06 장수정 빙상장용 안전휀스
WO2019013283A1 (ja) * 2017-07-13 2019-01-17 プランツラボラトリー株式会社 遮熱パネル及び組立式建築物
KR200487196Y1 (ko) 2018-02-20 2018-08-21 (주)알앤알스포츠 빙면광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빙상 스포츠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1153B2 (en) Protective headgear with non-rigid outer shell
US9474318B2 (en) Protective snow and ski helmet
US6321386B1 (en) Heat deflection and retaining apparatus
US20090100578A1 (en) Protective Clothing
KR102350806B1 (ko) 온기의 유입과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는 스케이트 링크용 단열펜스
KR101249888B1 (ko) 벽면 부착용 안전보호매트
KR102182783B1 (ko) 충격흡수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937381B1 (ko) 빙상 트랙 운용을 위한 돔 시스템
KR200487757Y1 (ko) 머리 보호대
KR102180897B1 (ko) 아이스링크의 냉각 구조
KR20220051452A (ko) 충격 완충패드를 구비한 인조잔디 시스템
CN205658427U (zh) 消防头盔
ES2965655T3 (es) Alfombrilla amortiguadora para campos deportivos artificiales
ES2952100T3 (es) Campo deportivo y métodos para formar y operar el mismo
KR20140039106A (ko) 스포츠 시설 안전 펜스 보호 매트
CA2237738A1 (en) The maharaj cushion
KR101916709B1 (ko) 안전패딩
KR101849217B1 (ko) 아이스링크장용 선수부상 방지를 위한 데쉬보드
KR200483299Y1 (ko) 충격흡수용 보드 패드
KR101681610B1 (ko) 스크린 골프 및 실내 골프 연습장용 페어웨이 구조
CN216165327U (zh) 一种极限运动防寒用自主控温防护服
KR102237972B1 (ko) 냉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한 다목적 빙상경기장
JP3031764U (ja) 換気帽子
CN207179625U (zh) 一种具有隔热功能的锅炉防护栏
CN215913458U (zh) 具有散热降温功能的高安全性建筑安全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