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160B1 -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 - Google Patents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160B1
KR102350160B1 KR1020210090061A KR20210090061A KR102350160B1 KR 102350160 B1 KR102350160 B1 KR 102350160B1 KR 1020210090061 A KR1020210090061 A KR 1020210090061A KR 20210090061 A KR20210090061 A KR 20210090061A KR 102350160 B1 KR102350160 B1 KR 102350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
welding
muscle
reinforcing bar
thermal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0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천
Original Assignee
(주)신화웰텍
이강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화웰텍, 이강천 filed Critical (주)신화웰텍
Priority to KR1020210090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1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6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to be we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02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1/0073Butt welding of long articles advanced 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18Dissimila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US근을 용접에 의해 일체화하여 철근의 단열성을 높일 수 있는 이종 철근 용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과 SUS근을 단부가 서로 이어지도록 일체로 용접함에 있어서, 철근과 SUS근을 정확한 위치에서 단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한 상태로 고압의 전기를 통전시키는 Flash butt 용접 방식을 이용해 간편하게 철근과 SUS근을 용접할 수 있는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는, 철근과 SUS근을 지지하고 이를 용접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어 철근과 SUS근을 용접하는 용접부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는 철근과 SUS근이 접합 위치에 지지된 상태에서 어느 한쪽을 지지하여 전류를 통하게 하는 제1 용접부 및 상기 제1 용접부에 지지된 다른 한쪽을 지지하여 전류를 통하게 하는 제2 용접부를 포함하여 철근(B)과 SUS근(S)이 서로 플래시버트 용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Flash butt welding device for dissimilar reinforcing bars with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and dissimilar rebars with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본 발명은 SUS근을 용접에 의해 일체화하여 철근의 단열성을 높일 수 있는 이종 철근 용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과 SUS근을 단부가 서로 이어지도록 일체로 용접함에 있어서, 철근과 SUS근을 정확한 위치에서 단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배치한 상태로 고압의 전기를 통전시키는 Flash butt 용접 방식을 이용해 간편하게 철근과 SUS근을 용접할 수 있는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서, 외부와 내부 사이에 열교가 발생하게 되고,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열교를 차단하지 않으면 건축물의 에너지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열교 차단재를 이용해 건축물을 시공함에 따라 열교에 의한 손실을 방지하고 있다.
특히 철근을 이용해 건축하는 건축물의 경우 건축물 외측과 내측으로 연통되게 시공된 철근을 통해 열교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단열 구조체를 사용하더라도, 단열 구조체를 관통하여 시공된 철근에 의해 열교가 발생하게 된다.
관련하여 선행문헌 1(공개특허 10-2019-0064240 철근 연결용 커플링 및 그 철근 연결용 커플링을 이용한 연결방법)에서는 철근의 각 단부를 맞대기 방식으로 커플러로 연결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은 커플러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결합이 어렵고, 결합 후 시공에 있어서도 커플러에 의해 원활한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선행문헌 1(공개특허 10-2019-0064240 철근 연결용 커플링 및 그 철근 연결용 커플링을 이용한 연결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철근과 단열성이 높은 SUS근을 일체로 용접하여 단열성이 높은 이종 철근으로 제조함에 있어서, 철근과 SUS근을 적정 길이로 배치하고 이를 Flash butt 용접을 통해 일체화되게 용접함으로서 인장 및 전단요소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건축물 시공 시 단열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은, 철근(B)과 SUS근(S)을 지지하고 이를 용접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 프레임(F)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F)의 상부에 구비되어 철근(B)과 SUS근(S)을 용접하는 용접부(300)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300)는 철근(B)과 SUS근(S)이 접합 위치에 지지된 상태에서 어느 한쪽을 지지하여 전류를 통하게 하는 제1 용접부(310) 및 상기 제1 용접부(310)에 지지된 다른 한쪽을 지지하여 전류를 통하게 하는 제2 용접부(320)를 포함하여 철근(B)과 SUS근(S)이 서로 플래시버트 용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용접부(300)에는 기준이 되는 제1 용접부(310)는 베이스 프레임(F)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용접 위치에 따라 이송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용접부(320)를 철근(B)과 SUS근(S)이 용접되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정밀 이송할 수 있는 용접부 이송부(33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접 장치중 어느 하나의 구조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은 철근과 철근 사이에 SUS근을 배치하고 이를 용접에 의해 일체화시킴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은 유지하면서 단열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용접 시 철근과 SUS근을 배치함에 있어서 정확한 위치로 배치하여 단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한 후 이를 지지한 상태에 안정적인 용접이 가능하며, 건축물 시공 시 기존 철근 시공과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여 시공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에서 용접부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에서 용접부의 동작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에서 모니터링 시스템을 간략히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에 철근 지지부 및 철근 고정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에서 SUS근 고정 클램프에 연질 에폭시 패드 및 고정 보조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에 의해 제조된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철근과 SUS근을 서로 용접하여 이종 철근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근과 SUS근의 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정위치로 지지한 상태에서 용접부에 의해 통전이 일어나게 하여 플래시 버트 방식으로 용접함에 따라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단열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종 철근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에서 용접부를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철근(B)과 SUS근(S)을 지지하고 이를 용접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 프레임(F)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F)의 상부에 구비되어 철근(B)과 SUS근(S)을 용접하는 용접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F)에는 철근의 배치 및 용접 동작 등을 일괄 제어하는 제어부(C)가 내장되고, 전면에는 장치를 작업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O)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용접부(300)는, 철근(B) 또는 SUS근(S)을 각각 지지하며 철근(B)과 SUS근(S)의 단부가 접촉된 상태에서 철근(B)과 SUS근(S)을 통전시켜 용접하는 제1 용접부(310) 및 제2 용접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용접부(310)는 철근(B) 또는 SUS근(S)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 용접 지지틀(311)과, 상기 제1 용접 지지틀(311)과 마주보며 상하 승하강되는 제1 용접 승강툴(3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용접 승강툴(312)은 상하 이동함에 있어서 정확한 위치로 수직 이동만 가능하게 유도하는 제1 승강 유도부(3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용접 승강툴(322)은 상기 제1 승강 유도부(313)에 의해 상하로만 승하강되도록 유도되어 철근(B) 또는 SUS근(S)을 배치할 때에는 승강되었다가 용접 시 철근(B) 또는 SUS근(S) 측으로 하강하여 상기 제1 용접 지지틀(311)과 함께 철근(B) 또는 SUS근(S)을 고정한 상태로 전류를 통전시켜 플래시 버트 용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용접 승강툴(312)은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승강 링크(314)에 의해 상하 구동된다.
상기 제1 승강 링크(314)는 상기 제1 승강 유도부(313)가 고정되는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상기 제1 승강 링크(314)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회동 지지부(315)에 의해 회동되고, 이때, 상기 제1 회동 지지부(315)의 뒤쪽에 구비되는 제1 승강 실린더(316)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1 승강 링크(314)가 회동되며 제1 용접 승강툴(312)을 승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용접부(320)는 상기 제1 용접부(31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2 용접 지지툴(321), 제2 용접 승강툴(322), 제2 승강 유도부(323), 제2 승강 링크(324), 제2 회동 지지부(325) 및 제2 승강 실린더(3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2 용접부(320)의 하부에는 용접 위치에 따라 제2 용접부(32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용접부 이송부(330)가 구비된다.
상기 용접부 이송부(330)는, 철근(B)과 SUS근(S)의 길이방향으로 제2 용접부를 이송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것으로, 제2 용접부(320)를 이송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송 플레이트(331) 및 상기 이송 플레이트(331)의 하부에 구비되어 이송 플레이트(331)를 철근(B)과 SUS근(S)이 배치된 길이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슬라이더(3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 슬라이더(332)는 전동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이송 슬라이더(332)에 내장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이송 플레이트(331)를 이송할 수 있는 볼스크류(332a)와, 상기 볼스크류(332a)가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이송 모터(332b) 및 상기 볼스크류(332a)와 동일축상에 구비되되 상기 이송 모터(332b)와 밸트에 의해 연결되어 이송 모터(332b)의 회전 동력을 볼스크류(332a)로 전달하는 연동기어(33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용접부 이송부(300)는 용접을 위해 소재 측으로 통전을 시작하면 서로 맞붙은 단부가 용융되면서 용융된 부분이 서로 밀착되며 용접되도록 제2 용접부(320)를 지속적으로 밀어주도록 이송한다.
한편, 상기 용접부(300)는 모니터링 시스템(400)이 더 구비되어 용접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용접 품질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철근(B)과 SUS근(S)을 이어지게 배치한 상태에서 용접하여 이종 철근으로 일체화 시켜 제조할 수 있어서 건축물에 시공 시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단열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에서 용접부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용접부(310)와 제2 용접부(320)는 제1 용접 승강툴(312)과 제2 용접 승강툴(322)이 상부로 승강된 상태에서 철근(B)과 SUS근(S)을 나란하게 배치한다.
이때, 철근(B)과 SUS근(S)은 단부가 서로 맞닿아 지도록 밀착시킨 상태에서 제1 용접 지지툴(311)과 제2 용접 지지툴(321)에 안착된다.
이후, 상기 제1 용접 승강툴(312)과 제2 용접 승강툴(322)이 하강하여 철근(B)과 SUS근(S)이 유동되지 않도록 밀착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1 용접 승강툴(312)과 제2 용접 승강툴(322)은 제1 승강 실린더(316)와 제2 승강 실린더(326)의 동작이 제1 승강 링크(314)와 제2 승강 링크(324)에 의해 전달되어 제1 승강 실린더(316)와 제2 승강 실린더(326)가 상승 동작함에 따라 제1 용접 승강툴(312)과 제2 용접 승강툴(322)은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용접 승강툴(312)과 제2 용접 승강툴(322)은 제1 승강 링크(314)와 제2 승강 링크(324)의 지렛대 구조에 의해 보다 강하게 안정적으로 철근(B)과 SUS근(S)을 가압하여 고정한 상태로 용접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제1 용접 지지툴(311)과 제1 용접 승강툴(312), 제2 용접 지지툴(321) 및 제2 용접 승강툴(322)은 전류를 철근(B)과 SUS근(S)으로 통전시킴에 따라 플러스 버트 용접되어 이종의 철근이 일체화되도록 제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철근(B)과 SUS근(S)을 용접한 상태에서 SUS근(S)에서 철근(B)이 용접되지 않은 쪽에 다른 철근(B)을 용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철근(B) 사이에 SUS근(S)이 배치된 상태로 일체로 용접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단열성을 증대시킨 철근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건축물 시공 시 단열재에 이종 철근을 삽입하여 건축물의 외부와 내부 벽체에는 SUS근(S)이 배치되도록 함에 따라 외부온도와 내부 온도차에 의한 열교를 최소화하여 건축물의 에너지 소부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이종 철근은 철근(B)의 열전도율이 50W/m.k인 반면에 SUS근(S)은 열전도율이 15W/m.k에 그쳐 단열성이 높은 이종 철근을 제조함에 있어서 생산 원가를 낮추고 단열성은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에서 모니터링 시스템을 간략히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시스템(400)은 제1 용접부(310)와 제2 용접부(320)에 각각 구비되어 용접 시 피 용접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410)와, 제1 용접 승강툴(312) 및 제2 용접 승강툴(322)에 구비되어 용접 시 통전되는 전압/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센서(4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송 플레이트(331)의 하부에 구비되어 볼스크류(332a)의 회전 수나 이송 플레이트(331)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2 용접부(320)의 이송 거리를 감지하는 이송 감지 센서(430) 및 상기 볼스크류(332a)와 이송 플레이트(331)의 연동 부위에 구비되어 이송 플레이트(331)가 이송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들은 베이스 프레임(F)의 일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450)에 의해 일괄적으로 표시 및 제어된다.
이로 인해 용접 시의 온도와, 전압/전류를 감지함과 동시에 이송 거리 및 압력을 감지하여 접합 상태를 인지하거나 분석하여 용점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적절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어서 용접 품질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에 철근 지지부 및 철근 고정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F)에서 철근이 위치되는 하부에는 철근 지지부(100)가 구비된다.
상기 철근 지지부(100)는 적어도 복수개 이상의 롤러 형태로 철근(B)의 하부를 지지하는 철근 지지 롤러(110) 및 상기 철근 지지 롤러(110)와 마주보며 철근(B)의 상부에 구비되어 회전력에 의해 철근(B)을 이송하는 철근 이송 롤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1 용접부(310)에서 SUS근(S)이 위치되는 일측에는 용접 시 용접부 이송부(330)에 의해 제2 용접부(320)가 이송되며 철근(B)이 SUS근(S) 측으로 밀착 이송될 때, 제1 용접부(310)에 고정된 SUS근(S)이 후퇴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SUS근 고정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SUS근 고정부(200)는 SUS근(S)의 상부와 하부에서 상하 승하강되면서 SUS근(S)을 고정하는 SUS근 고정 클램프(210) 및 상기 SUS근 고정 클램프(210)를 이동하여 SUS근(S)을 고정하도록 가압하는 고정 실린더(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에서 SUS근 고정 클램프에 연질 에폭시 패드 및 고정 보조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SUS근 고정 클램프(210)에는 SUS근(S)을 고정함에 있어서,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SUS근(S)이 고정되는 상하 양측에 연질 에폭시 패드(211)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연질 에폭시 패드(211)는 절연 및 내열성이 우수하면서 연성을 가지고 있어서 안정적인 파지 및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SUS근 고정 클램프(210)에서 SUS근(S)이 파지되는 내측에는 SUS근(S) 측으로 탄성에 의해 밀려지도록 동작되는 고정 보조부(212)가 더 구비된다.
상기 고정 보조부(212)는 SUS근 고정 클램프(210)에서 SUS근(S)이 파지되는 상하 양측에 구비되어 탄성에 의해 항시 SUS근(S) 측으로 밀려지게 동작되는 탄성 지지부(212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지지부(212a)에서 SUS근(S)이 고정되는 내측으로 돌출되되, SUS근(S)이 이동되는 방향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용접 시 용접되는 철근(B)에 의해 밀려지는 힘을 받는 방향에는 SUS근(S)을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수직 형태로 이루어진 고정 쐐기부(212b)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 쐐기부(212b)는 탄성 지지부(212a) 내측에 구비된 탄성 스프링(212c)에 의해 고정 쐐기부(212b)가 항시 SUS근(S) 측으로 밀려지도록 탄성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용접 과정에서 용융되는 만큼 철근(B)이 SUS근(S) 측으로 이동하며 밀착될 때, 철근(B)이 밀려지는 힘에 의해 SUS근(S)이 함께 밀려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면에 의해 철근 지지부(100)와 SUS근 고정부(200)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SUS근(S)과 철근(B)의 배치에 따라 SUS근(S)과 철근(B)은 반대로 고정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에 의해 제조된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의 시공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은 건축물 시공시 건물 벽체에 보강을 위한 철근을 시공함에 있어서, 단열 구조체(H)가 시공되는 위치에 시공된다.
이때, 건축물의 내측과 외측에는 각각 철근(B)이 배치되도록 시공되고, 단열 구조체(H)가 시공되는 위치에 SUS근(S)이 위치되도록 시공한다.
이로 인해 단열 구조체(H)에 시공된 SUS근(S)은 건축물의 외측에 배치되는 철근(B)과 내측에 배치되는 철근(B) 사이에서 열교를 최소화 하여 인장 및 전단요소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단열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건축물에 사용되는 철근을 제조함에 있어서 단열성이 우수한 SUS근을 철근 사이에 용접하되 단부가 서로 맞닿아진 상태로 유지하면서 플래시 버트 용접 방식을 이용해 용접하여 이종 철근으로 제조함에 따라 철근의 구조적 안정성은 유지하면서 단열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B : 철근 S : SUS근
F : 베이스 프레임 C : 제어부
O : 조작부 100 : 철근 지지부
110 : 철근 지지 롤러 120 : 철근 이송 롤러
200 : SUS근 고정부 210 : SUS근 고정 클램프
211 : 연질 에폭시 패드 212 : 고정 보조부
212a : 탄성 지지부 212b : 고정 쐐기부
212c : 탄성 스프링 220 : 고정 실린더
300 : 용접부 310 : 제1 용접부
311 : 제1 용접 지지툴 312 : 제1 용접 승강툴
313 : 제1 승강 유도부 314 : 제1 승강 링크
315 : 제1 회동 지지부 316 : 제1 승강 실린더
320 : 제2 용접부 321 : 제2 용접 지지툴
322 : 제2 용접 승강툴 323 : 제2 승강 유도부
324 : 제2 승강 링크 325 : 제2 회동 지지부
326 : 제2 승강 실린더 330 : 용접부 이송부
331 : 이송 플레이트 332 : 이송 슬라이더
332a : 볼스크류 332b : 이송 모터
332c : 연동기어 400 : 모니터링 시스템
410 : 온도 센서 420 : 전류 센서
430 : 이송 감지 센서 440 : 압력 센서
450 : 디스플레이부 H : 단열 구조체

Claims (3)

  1. 철근(B)과 SUS근(S)을 지지하고 이를 용접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 프레임(F);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F)의 상부에 구비되어 철근(B)과 SUS근(S)을 용접하는 용접부(300);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300)는 철근(B)과 SUS근(S)이 접합 위치에 지지된 상태에서 어느 한쪽을 지지하여 전류를 통하게 하는 제1 용접부(310); 및 상기 제1 용접부(310)에 지지된 다른 한쪽을 지지하여 전류를 통하게 하는 제2 용접부(320);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부(310)에서 SUS근(S)이 위치되는 일측에는 용접 시 용접부 이송부(330)에 의해 제2 용접부(320)가 이송되며 철근(B)이 SUS근(S) 측으로 밀착 이송될 때, 제1 용접부(310)에 고정된 SUS근(S)이 후퇴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SUS근 고정부(200)가 더 구비되되,
    상기 SUS근 고정부(200)는, US근(S)의 상부와 하부에서 상하 승하강되면서 SUS근(S)을 고정하는 SUS근 고정 클램프(210) 및 상기 SUS근 고정 클램프(210)를 이동하여 SUS근(S)을 고정하도록 가압하는 고정 실린더(220)를 포함하고,
    상기 SUS근 고정 클램프(210)에는 SUS근(S)이 고정되는 상하 양측에 연질 에폭시 패드(211)가 더 구비되며,
    상기 SUS근 고정 클램프(210)에서 SUS근(S)이 파지되는 내측에는 SUS근(S) 측으로 탄성에 의해 밀려지도록 동작되는 고정 보조부(212)가 더 구비되되,
    상기 고정 보조부(212)는, SUS근 고정 클램프(210)에서 SUS근(S)이 파지되는 상하 양측에 구비되어 탄성에 의해 항시 SUS근(S) 측으로 밀려지게 동작되는 탄성 지지부(212a)가 더 구비되고,
    상기 탄성 지지부(212a)에서 SUS근(S)이 고정되는 내측으로 돌출되되, SUS근(S)이 이동되는 방향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용접 시 용접되는 철근(B)에 의해 밀려지는 힘을 받는 방향에는 SUS근(S)을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수직 형태로 이루어진 고정 쐐기부(212b)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 쐐기부(212b)는 탄성 지지부(212a) 내측에 구비된 탄성 스프링(212c)에 의해 고정 쐐기부(212b)가 항시 SUS근(S) 측으로 밀려지도록 탄성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용접부(300)에는 기준이 되는 제1 용접부(310)는 베이스 프레임(F)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용접 위치에 따라 이송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용접부(320)를 철근(B)과 SUS근(S)이 용접되는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정밀 이송할 수 있는 용접부 이송부(33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
  2. 삭제
  3. 청구항 1항에 의헤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
KR1020210090061A 2021-07-09 2021-07-09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 KR102350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061A KR102350160B1 (ko) 2021-07-09 2021-07-09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0061A KR102350160B1 (ko) 2021-07-09 2021-07-09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160B1 true KR102350160B1 (ko) 2022-01-12

Family

ID=79339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0061A KR102350160B1 (ko) 2021-07-09 2021-07-09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1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40528A (zh) * 2023-12-05 2024-01-05 安徽哈工道一智能制造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副车架焊接装配夹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3551A (ko) * 2016-04-29 201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래시버트 용접을 이용한 강판의 접합 방법
KR101920636B1 (ko) * 2017-05-26 2018-11-23 동서페더럴모굴 주식회사 차량엔진용 이종접합 피스톤 제조장치
KR20190064240A (ko) 2017-11-30 2019-06-10 전병수 철근 연결용 커플링 및 그 철근 연결용 커플링을 이용한 연결방법
JP2020530398A (ja) * 2017-08-10 2020-10-22 エス・エム・エス・グループ・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熱間金属製品の摩擦溶接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3551A (ko) * 2016-04-29 201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플래시버트 용접을 이용한 강판의 접합 방법
KR101920636B1 (ko) * 2017-05-26 2018-11-23 동서페더럴모굴 주식회사 차량엔진용 이종접합 피스톤 제조장치
JP2020530398A (ja) * 2017-08-10 2020-10-22 エス・エム・エス・グループ・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熱間金属製品の摩擦溶接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20190064240A (ko) 2017-11-30 2019-06-10 전병수 철근 연결용 커플링 및 그 철근 연결용 커플링을 이용한 연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40528A (zh) * 2023-12-05 2024-01-05 安徽哈工道一智能制造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副车架焊接装配夹具
CN117340528B (zh) * 2023-12-05 2024-02-13 安徽哈工道一智能制造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副车架焊接装配夹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0160B1 (ko)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용 플래시 버트 용접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열성이 우수한 이종 철근
JP4928649B1 (ja) マッシュシーム溶接方法および装置
KR101473441B1 (ko) 트러스거더 자동 용접기
KR101094565B1 (ko) 트러스거더와 단부재의 자동용접장치
CN113927228A (zh) 一种钢筋笼主筋焊接装置
KR102524618B1 (ko) Srd 전단보강재 제조용 평철 절단장치
JP2021123946A (ja) 防水シート接合装置、接合ユニット、及び防水シートの接合方法
KR101280463B1 (ko) 전기로의 용융물 높이측정장치
CN114801207A (zh) 热熔套塑料板对焊机
CN108581158B (zh) 一种竖向设置的建筑用对焊机
JP2725983B2 (ja) 鉄筋結合ロボット溶接装置
TWM616447U (zh) 高拉力鋼棒強度安全檢測裝置
JP7221775B2 (ja) プレキャスト壁高欄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KR100615941B1 (ko) 철근 콘크리트용 트러스 거더의 크랭크 자동 용접장치 및그 방법
CN113118658A (zh) 一种桥梁钢结构安装施工方法
CN206899793U (zh) 一种聚乙烯板材上热压电热丝网带装置
CN112356446A (zh) 一种卷材热熔对接装置、卷材传送方法及系统
KR102512742B1 (ko) 보강된 단부의 강도 모니터링이 가능한 합성보
KR101553813B1 (ko) 빔의 크랙 검출장치
JPS6325008Y2 (ko)
JPH08164486A (ja) 鉄筋自動溶接機及び鉄筋の溶接方法
KR102483667B1 (ko) 내진 박스 기둥 용접 장치 및 방법
CN216633158U (zh) 一种钢筋笼焊接装置
KR101482410B1 (ko) 와이어 접합 장치
JP4487178B2 (ja) スポット溶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