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513B1 -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ssistant pile - Google Patents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ssistant p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513B1
KR102349513B1 KR1020210053912A KR20210053912A KR102349513B1 KR 102349513 B1 KR102349513 B1 KR 102349513B1 KR 1020210053912 A KR1020210053912 A KR 1020210053912A KR 20210053912 A KR20210053912 A KR 20210053912A KR 102349513 B1 KR102349513 B1 KR 102349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auxiliary
hole
main
construc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9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성민
김채민
김수봉
Original Assignee
정성민
김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민, 김채민 filed Critical 정성민
Priority to KR1020210053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5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5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8Prestressed concrete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10Follow-blocks of pile-drivers or like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3Details of top sections of foundation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0Piles with protecting c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helically or spirally 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assistant pile, enabling a main pile to be constructed with high quality in a narrow place by using a dual pile formed by connecting the main pile and an assistant pile. To this end,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assistant pile, applied in a narrow area, comprises: a pile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 dual pile by connecting a main pile and an assistant pi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drilling step of making a hole in the ground with equipment to a depth including a foundation bed and a support layer; a pile input step of inserting the dual pile into the hole with the main pile being positioned at a lower part of the dual pile; a hitting step of hitting an end of the dual pile to fix the dual pile to the hole; a quality test step of carrying out multiple tests to determine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the dual pile; a pile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assistant pile from the main pile and removing the same from the hole; and an excavation step of excavating from the ground to the foundation bed.

Description

보조 말뚝을 이용한 말뚝 시공 방법{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ssistant pile}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ssistant piles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ssistant pile}

본 발명은 보조 말뚝을 이용한 말뚝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협소 지역용 보조 말뚝을 이용한 말뚝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auxiliary p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auxiliary pile for a narrow area.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말뚝 기초 시공방법은, 먼저 사전 제작된 말뚝을 운반해서 사용하는 PHC 말뚝 공법과 현장에서 말뚝을 직접 제작해서 시공하는 현장 타설 말뚝 공법을 들 수 있다.In general, concrete pile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s include the PHC pile method, which transports and uses pre-made piles, and the on-site pile construction method, which directly manufactures and constructs piles on site.

이 중에서 PHC 말뚝 공법은 또한, PHC 말뚝을 지반에 직접 항타하여 설치하는 항타 PHC 말뚝 공법과 먼저 굴착 장비를 이용하여 굴착홀을 생성하고, 상기 천공홀에 PHC 말뚝을 삽입한 후, 두부를 압입 또는 타격하여 설치하는 매입 PHC 말뚝 공법으로 구분되나, 이는 현장 상황이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Among them, the PHC pile method also includes the driving PHC pile method in which the PHC pile is driven and installed directly on the ground, and the excavation hole is first created using excavation equipment, the PHC pile is inserted into the drilling hole, and then the head is press-fitted or It is divided into the buried PHC pile method, which is installed by hitting, but it is generally selected appropriately depending on the site situation or use.

여기서 PHC 말뚝은 긴장력을 부여한 내부 강재와 나선형 보강 철선 및 고강도 콘크리트를 원형의 형틀 내에 넣고, 형틀을 고속으로 회전시킬 때 발생된 원심력을 이용하여 성형 제작되는 프리스트레스트(prestressed) 중공형 콘크리트 말뚝으로 가격대비 우수한 강도적 특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개량과 시공의 편리 등을 위한 주변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Here, the PHC pile is a prestressed hollow concrete pile that is molded and manufactured using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when the internal steel, spiral reinforcing wire, and high-strength concrete to which tension is applied is put into a circular mold, and the mold is rotated at high speed. It is widely used due to its superior strength characteristics, and peripheral technologies for various improvements and construction convenience have been proposed.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1226236호를 들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부재로서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 개의 내부 강재를 포함하는 중공형 PHC 말뚝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강재로서, 원주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 배치되어 있는 보강 강재; 환형 부재로서, 상기 보강 강재들 간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보강 강재와 결합되어 있는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내부 강재가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위치 고정될 수 있는 고정공;을 포함하는 중공형 PHC 말뚝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there may be mentioned Patent Registration No. 1226236, the invention is a hollow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membe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ternal steel materia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hollow PHC pile, the steel material extending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einforcing steel material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 annular member comprising: a connecting member coupled to the reinforcing steel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reinforcing steels; A hollow PHC pile comprising a; is provided to penetrate through the connection memb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nternal steel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can be fixed without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disclosed.

또한, 등록특허 제1521263호를 들 수 있다. 상기 발명은 양쪽에 캡이 고정되고 내부에 빈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PHC 공법을 통해 제조된 말뚝을 축방향을 따라 상하로 연결하는 PHC 말뚝 조인트에 있어서, 상부 말뚝과 하부 말뚝이 동일 외경의 조인트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조인트가, 상기 하부 말뚝의 캡 상면에 원주면 둘레를 따라 원형을 이루도록 등간격으로 올려지는 복수개의 고정블럭; 상기 고정블럭의 상면에 올려지며 중공부를 갖는 상부 조인트판; 머리부가 상기 상부 조인트판의 상면에 형성된 머리삽입홈에 각각 걸림되어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면서 나사부가 상기 고정블럭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 말뚝의 캡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 머리부가 상기 상부 조인트판의 저면에 각각 걸림되고 상기 상부 말뚝의 캡에 나사 결합되는 복수개의 잠금볼트를 포함하는 PHC 말뚝 조인트가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re may be mentioned Registered Patent No. 1521263. The invention is a PHC pile joint in which the piles manufactured through the PHC method are vertically connected along the axial direction so that the caps are fixed on both sides and an empty hollow is formed therein, so that the upper pile and the lower pile are connected by a joint of the same outer diameter and; A plurality of fixing blocks that the joint is raised at equal intervals to form a circl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ap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ile; an upper joint plat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block and having a hollow portion; a fixing bolt screwed to the cap of the lower pile through the fixing block while the head is caught in the head insertion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joint plate and does not protrude to the upper surface; A PHC pile joint including a plurality of lock bolts each having a head engag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joint plate and screwed to a cap of the upper pile is disclosed.

한편, 일반적인 말뚝 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지하층을 형성하는 지면을 기초 바닥까지 굴착한 후, 기초 바닥에서 천공 작업을 하고, 말뚝을 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단일 건물을 시공하는 것과 같이 협소 지역에 건물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지면을 기초 바닥까지 굴착한 후, 말뚝을 시공하기에는 공간이 부족하여 지면 굴착전에 천공하여 주말뚝을 홀에 삽입한 후, 주말뚝 상단에 보조말뚝을 안착한 후 경타를 통하여 주말뚝을 시공하는 방법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if we look at the general pile construction method in detail, it is common to first excavate the ground that forms the basement floor to the bottom of the foundation, then drill a hole in the bottom of the foundation, and construct a pile, but in a narrow area like constructing a single building. In the case of constructing a building on the ground floor, after excavating the ground to the bottom of the foundation, there is not enough space to construct the pile, so before excavating the ground, drill the hole and insert the weekend pile into the hole.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weekend pile is carried out.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협소 지역에서의 말뚝 시공 방법은 주말뚝과 보조말뚝이 분리된 상태로 시공되므로, 주말뚝의 시공 상태를 확인하는 품질 확인 시험을 정확히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in a narrow area as described above is constructed in a state in which the weekend pile and the auxiliary pile are separate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perform a quality check test to check the construction state of the weekend pi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주 말뚝과 보조 말뚝을 연결한 이중 말뚝을 이용하여 협소 장소에서 높은 품질로 주 말뚝을 시공할 수 있는 보조 말뚝을 이용한 말뚝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pile construction using auxiliary piles that can construct the main pile with high quality in a narrow place using a double pile connecting the main pile and the auxiliary pil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협소 지역에 적용되는 보조 말뚝을 이용한 말뚝 시공 방법에 있어서, 주 말뚝과 보조 말뚝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한 이중 말뚝을 준비하는 말뚝 준비 단계; 지면에 장비를 이용하여 기초 바닥과 지지층을 포함하는 깊이로 홀을 형성하는 천공 단계; 상기 홀에 상기 주 말뚝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중 말뚝을 투입하여 안착시키는 말뚝 투입 단계; 상기 이중 말뚝의 끝단을 타격하여 이중 말뚝을 상기 홀에 고정하는 경타 단계; 상기 이중 말뚝의 시공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복수의 시험을 실시하는 품질 시험 단계; 상기 주 말뚝에서 보조 말뚝을 분리하여 상기 홀에서 제거하는 말뚝 분리 단계; 및 지면에서 기초 바닥까지 굴착하는 굴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auxiliary pile applied to a narrow area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ile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 double pile connecting the main pile and the auxiliary pi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drilling step of forming a hole in the ground using equipment to a depth including the foundation floor and the support layer; a pile input step of inserting the double pile into the hole so that the main pile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hitting the end of the double pile to fix the double pile to the hole; A quality test step of performing a plurality of tests to determine the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the double pile; A pile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auxiliary piles from the main piles and removing them from the hole;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excavation step of excavating from the ground to the bottom of the found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말뚝 투입 단계에서 상기 이중 말뚝의 끝단은 상기 홀의 외면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pile input step, the end of the double pi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e.

바람직하게는, 상기 말뚝 투입 단계에서 상기 주 말뚝의 상단은 상기 기초 바닥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pile input step, the upper end of the main pi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on the base floor.

바람직하게는, 상기 말뚝 준비 단계에서 상기 주 말뚝은 상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말뚝은 부착구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구에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너트에 결합하여 주 말뚝과 보조 말뚝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the pile preparation step, the main pile includes a plurality of nut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auxiliary pile includes an attachment hole, and a bolt is inserted into the attachment hole and coupled to the nut to form a main pil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nects the auxiliary pil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말뚝은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의 체결과 분리를 위한 조작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auxiliary pi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peration tool for fastening and separation of the bolt and the nut.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작구는 볼트 헤드가 삽입되는 렌치부와 상기 렌치부와 연결되며, 상기 보조 말뚝에 길이방향의 이송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장봉과 상기 장봉의 끝에 형성되는 끝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operation tool is connected to the wrench part and the wrench part into which the bolt head is inserted, and includes a long rod coupled to the auxiliary pile to enable transport and rot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end formed at the end of the long rod. characterized in that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치부에는 상기 렌치부를 회전 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wrench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a separate member is inserted in order to rotate the wrench part is form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품질 시험 단계에서 수행하는 시험은 동재하시험 및 관입량과 리바운드 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test performed in the quality test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ynamic load test and penetration and rebound check-in.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구는 상기 보조 말뚝의 내경과 나사결합하는 체결나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attach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astening screw for screwing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auxiliary pil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봉은 상기 보조 말뚝의 회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지지구에 의하여 상기 보조 말뚝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long ro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with the auxiliary pile by a plurality of support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pile.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착구는 상기 보조 말뚝의 내경과 나사결합하는 체결나사부와 상기 체결나사부에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에 형성되는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장봉은 상기 보조 말뚝의 내경에 부착된 복수의 지지구에 의하여 상기 보조 말뚝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attachment hole includes a fastening screw part for screwing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auxiliary pile, a connecting part extending to the fastening screw part, a disc part formed at an end of the connecting part, and a coupling hole formed in the disc part, the The long ro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with the auxiliary pile by a plurality of supports attache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auxiliary pile.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말뚝을 이용한 말뚝 시공 방법는 사전에 주 말뚝의 끝단과 연결 결합하는 보조 말뚝을 포함하는 이중 말뚝을 이용하여 지면에 주 말뚝을 시공한 후, 주 말뚝의 품질 시험을 이중 말뚝으로 수행하여 주 말뚝 시공 특성을 완전히 파악한 후, 보조 말뚝을 분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협소 장소에서 주 말뚝을 정확히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uxiliary p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constructing the main pile on the ground using a double pile including an auxiliary pile connected and coupled with the end of the main pile in advance, the quality test of the main pile is performed with double piles Thus, after full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of the main pile, it proceeds by separating the auxiliary pile, which has the effect of accurately constructing the main pile in a narrow spa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말뚝을 이용한 말뚝 시공 방법의 절차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말뚝 준비 단계에서 준비되는 주 말뚝, 보조 말뚝 및 이중 말뚝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착구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4는 도 3이 말뚝에 결합된 상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천공 단계의 설명도이며,
도 6는 도 1에 도시된 말뚝 투입 단계의 설명도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경타 단계의 설명도이며,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말뚝 분리 단계의 설명도이며,
도 9은 도 1에 도시된 굴착 단계의 설명도이다.
1 is a flowchart of a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auxiliary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main pile, auxiliary pile and double pile prepared in the pile preparation step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attachment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state diagram of Figure 3 coupled to the pile,
Figure 5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drilling step shown in Figure 1,
Figure 6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pile input step shown in Figure 1,
7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putt stage shown in FIG. 1,
Figure 8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pile separation step shown in Figure 1,
9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excavation step shown in FIG. 1 .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between each component another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말뚝을 이용한 말뚝 시공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뚝 준비 단계(S1), 천공 단계(S2), 말뚝 투입 단계(S3), 경타 단계(S4), 품질 시험 단계(S5), 말뚝 분리 단계(S6) 및 굴착 단계(S7)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 1,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auxiliary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le preparation step (S1), a drilling step (S2), a pile input step (S3), a pounding step (S4), a quality test step ( S5), including a pile separation step (S6) and an excavation step (S7).

이하 각 단계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말뚝 준비 단계(S1)Pile preparation step (S1)

말뚝 준비 단계(S1)는 시공하고자 하는 주 말뚝(10)과 보조 말뚝(20)을 서로 연결하여 이중 말뚝(50)을 준비하는 단계이다.The pile preparation step (S1) is a step of preparing the double pile 50 by connecting the main pile 10 and the auxiliary pile 20 to be constructed with each other.

상기 주 말뚝(10)은 실제 건물 시공 등의 사용되는 말뚝으로 PHC 말뚝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강관 말뚝을 적용할 수 있다.As the main pile 10, PHC piles may be used as piles used in actual building construction, and if necessary, steel pipe piles may be applied.

다만, 상기 주 말뚝(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양 단면에는 볼트가 결합할 수 있는 너트(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However, as shown in FIG. 2 , the main pile 10 is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ncludes a nut 11 to which a bolt can be coupled to both end surfaces.

상기 주 말뚝(10)이 PHC 말뚝인 경우에는 내부에 강선으로 연결되는 PC 너트일 수 있으며, 다른 말뚝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와 같은 너트(11)를 장착한다.If the main pile 10 is a PHC pile, it may be a PC nut connected to the inside with a steel wire, and if other piles are used, the nut 11 as described above is mounted.

상기 너트(11)는 상기 주 말뚝(10)에 돌출되지 않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ut 11 is preferably disposed in a form that does not protrude from the main pile 10 .

한편, 상기 보조 말뚝(20)은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강관 말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끝단에는 결합하는 부착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auxiliary pile 20 can be used repeatedly, it is preferable to apply a steel pipe pile, and as shown in FIG. 2 , one end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ttachment port 30 for coupling.

상기 부착구(30)는 상기 보조 말뚝(20)의 내경과 나사결합하는 원통형상의 체결나사부(31)와 상기 체결나사부(31)의 끝단에 형성되는 원판부(32)와 상기 너트(1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홀(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ttachment port 30 includes a cylindrical fastening screw part 31 screwed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auxiliary pile 20, a disk part 32 formed at the end of the fastening screw part 31, and the nut 11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34 form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상기 체결나사부(31)는 상기 보조 말뚝(20)의 내경과 결합을 위한 것으로, 물론 상기 보조 말뚝(20)에 내경에서는 상기 체결나사부(31)와 대응되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The fastening screw part 31 is for coupling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auxiliary pile 20, of course, a screw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screw part 31 is formed in the auxiliary pile 20 in the inner diameter.

또한 상기 결합홀(34)이 위치한 지점에서 상기 보조 말뚝(20)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 말뚝(20)과 결합하는 조작구(40)를 포함한다.In addition, it includes an operation tool 40 coupled with the auxiliary pile 20 so as to be transportable and rotat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pile 20 at the point where the coupling hole 34 is located.

상기 조작구(40)는 볼트 헤드부를 수용하는 렌치부(41)와 상기 렌치부(41)에 연결되는 장봉(42)을 포함하며, 상기 장봉(42)은 상기 보조 말뚝(2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보조 말뚝(20) 외경에 용접 등에 의하여 부착되는 'U'자 형상의 지지구(25)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상기 보조 말뚝(20)과 결합한다.The manipulation tool 40 includes a wrench part 41 for accommodating the bolt head part and a long rod 42 connected to the wrench part 41 , wherein the long rod 42 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pile 20 . , and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auxiliary pile 20 by a 'U'-shaped support 25 attache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auxiliary pile 20 by welding or the like.

또한 상기 장봉(42)의 끝단(44)은 상기 조작구(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사각형 또는 육각형으로 구성한다.In addition, the end 44 of the long rod 42 is configured in a square or hexagonal shape so that the operation tool 40 can be rotated.

한편, 보조 말뚝(20)의 상단은 이후 경타가 수행되므로, 경타에 의한 조작구(40)의 망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끝단(44)은 상기 보조 말뚝(20) 상단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전체 장봉(42)의 길이를 설정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upper end of the auxiliary pile 20 is then put on, the end 44 is the entire long rod ( 42) set the length.

또한 상기 렌치부(41)에는 전체 조작구(4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부재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홀(43)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43 into which a separate member can be inserted in order to rotate the entire operation tool 40 may be formed in the wrench part 41 .

따라서, 상기 결합홀(34)에 볼트를 삽입한 후 상기 렌치부(41)의 삽입홀(43)에 별도의 부재를 삽입한 후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볼트를 상기 너트(11)와 결합시킬 수 있어, 주 말뚝(10)과 보조 말뚝(20)을 서로 결합할 수 있다.Therefore, when a separate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3 of the wrench part 41 after inserting the bolt into the coupling hole 34 and then rotated, the bolt can be coupled with the nut 11, , the main pile 10 and the auxiliary pile 20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렌치부(41)를 볼트의 헤드에 결합한 후, 상기 장봉(42)의 끝단(44)을 회전시키는 경우, 결합된 볼트를 상기 너트(11)와 분리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nd 44 of the long rod 42 is rotated after coupling the wrench part 41 to the head of the bolt, the coupled bolt can be separated from the nut 11 .

즉, 상기 주 말뚝(10)과 보조 말뚝(20)의 연결 시에는 상기 결합홀(34)을 이용하여 볼트를 체결하여 이중 말뚝(50)으로 준비하고, 상기 주 말뚝(10)과 보조 말뚝(20)의 분리 시에는 상기 이중 말뚝(50)이 지면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끝단(44)을 조작하여 볼트를 분리한다.That is, when the main pile 10 and the auxiliary pile 20 are connected, the bolt is fastened using the coupling hole 34 to prepare a double pile 50, and the main pile 10 and the auxiliary pile ( When the 20) is separated, since the double pile 50 is inserted into the ground, the end 44 is operated to remove the bolt.

물론 볼트의 분리가 부적절한 경우, 상기 조작구(40)를 모두 상방향으로 이송시켜 고정한 후, 보조 말뚝(20) 자체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체결나사부(31)가 보조 말뚝(20)과 분리되므로, 보조 말뚝(20)을 최종 분리할 수 있다.Of course, when the separation of the bolts is inappropriate, the fastening screw 31 is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pile 20 when the auxiliary pile 20 itself is rotated after the operation tool 40 is transferred and fixed in the upward direction, The auxiliary pile 20 may be finally separated.

상기와 같은 부착구(30)의 구성은 보조 말뚝(20)의 직경이 주 말뚝(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인 경우 적용되는 구성이나, 직경이 주 말뚝(10)과 유사하거나 큰 경우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형태의 부착구(30)를 적용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attachment port 30 as described above is a configuration that is applied when the diameter of the auxiliary pile 20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main pile 10, but when the diameter is similar to o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main pile 10, see Fig. 3 and 4 can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attachments 30 as shown.

상기 부착구(30)는 보조 말뚝(20)의 내경과 결합하는 원통형상의 체결나사부(31)와 상기 체결나사부(31)의 끝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33)와 상기 연결부(33)의 끝단에 형성되는 원판부(32)와 상기 원판부(32)에서 상기 연결부(33)가 형성되지 않는 지점에 상기 너트(1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홀(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ttachment port 30 includes a cylindrical fastening screw part 31 coupled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auxiliary pile 20, a connecting part 33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end of the fastening screw part 31, and the connecting part 33 Includ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34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nut 11 at the disc part 32 formed at the end and the connecting part 33 in the disc part 32 is not formed. is composed

또한 상기와 같은 부착구(30)에서는 상기 조작구(40)는 상기 보조 말뚝(10)의 내경부에 위치하며, 보조 말뚝(10) 내경부에 역시 'U'자 형상의 지지구(25)가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조작구(40)를 수직으로 이송 가능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한다.In addition, in the attachment port 30 as described above, the manipulation tool 40 is located in the inner diameter of the auxiliary pile 10, and also in the inner diameter of the auxiliary pile 10, a 'U'-shaped support member 25 A plurality of are installed to couple the operation tool 40 so as to be vertically transportable and rotatable.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체결나사부(31)의 끝단 내경부에는 별도의 환형의 판을 추가할 수 있으며, 상기 판에는 상기 장봉(42)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은 상기 결합홀(34)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In addition, if necessary, a separate annular plate may be added to the inner diameter part of the end of the fastening screw part 31, and a hole into which the long rod 42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plate, and the hole is the coupling hole 34. to be formed in the same position as

상기와 같은 부착구(30)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주 말뚝(10)과 보조 말뚝(20)의 결합과 분리는 이전 부착구(30)를 적용하는 방식과 동일하다.Even in the case of applying the attachment port 30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main pile 10 and the auxiliary pile 20 is the same as the method of applying the previous attachment hole 30 .

천공 단계(S2)perforation step (S2)

상기 말뚝 준비 단계(S1)를 통하여 이중 말뚝(50)이 준비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친공 작업을 통하여 지면(1)에 수직 방향으로 홀(2)을 형성하는 천공 단계(S2)가 수행된다.When the double pile 50 is prepared through the pile preparation step (S1), as shown in FIG. 5, a drilling step (S2) of forming a hole (2)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ground (1) through a friendly operation (S2) is performed

상기 천공 작업은 오거 스크류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수행하며, 상기 홀(2)은 기초 바닥(4)과 지지층(3)을 통과하는 깊이로 형성한다.The drilling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equipment such as an auger screw, and the hole (2) is formed to a depth passing through the base floor (4) and the support layer (3).

상기 기초 바닥(4)은 건물 지하 공간 형성을 위한 깊이며, 일반적으로 상기 기초 바닥(4)에 지하 최저층의 바닥이 위치한다.The foundation floor 4 is a depth for forming a building underground space, and in general, the floor of the lowest basement floor is located on the foundation floor 4 .

또한 상기 오거 스크류는 필요한 경우 시멘트 등을 천공 작업을 통하여 형성된 홀(2)의 하단에 투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ger screw may, if necessary, put cement or the like into the lower end of the hole 2 formed through a drilling operation.

한편, 상기 홀(2)은 상기 이중 말뚝(50)을 수용할 수 있는 직경으로 구성되며, 깊이는 일부 이중 말뚝(50)이 지면 외부로 돌출된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hole 2 is composed of a diameter that can accommodate the double pile 50, the depth is formed in a size that allows some of the double pile 50 to protrude out of the ground.

상기 천공 단계(S2)는 일반적으로 지면(1)을 기초 바닥(4)까지 먼저 굴착한 후 수행하는 방식과 달리 지면 굴착 전에 수행하므로, 협소 장소에 따른 별도의 장비를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The drilling step (S2) is generally performed before excavating the ground, unlike the method in which the ground 1 is first excavated to the foundation floor 4, so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disadvantage of not being able to use separate equipment according to the narrow place. can

말뚝 투입 단계(S3)Pile input step (S3)

상기 말뚝 투입 단계(S3)는 상기 천공 단계(S2)를 통하여 형성된 홀(2)에 상기 준비 단계(S1)를 통하여 준비된 이중 말뚝(50)을 투입하는 공정이다.The pile input step (S3) is a process of putting the double pile 50 prepared through the preparation step (S1) into the hole 2 formed through the drilling step (S2).

이때 상기 이중 말뚝(50)은 주 말뚝(10)이 하방향에 배치되도록 하고, 상단에 보조 말뚝(20)이 위치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double pile 50 is such that the main pile 10 is arrang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auxiliary pile 20 is located at the top.

상기 이중 말뚝(50)은 별도의 크래인 등과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홀(2)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한다.The double pile 50 is put into the hole 2 using equipment such as a separate crane, as shown in FIG. 6 .

경타 단계(S4)Putting Step (S4)

상기 경타 단계(S4)는 상기 말뚝 투입 단계(S3)를 통하여 투입된 이중 말뚝(50)의 상단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롭 해머 등을 이용하여 타격하여 상기 홀(2)에 안착시키는 공정이다.The putting step (S4) is a process of hitting the upper end of the double pile 50 input through the pile input step (S3) using a drop hammer, etc., as shown in FIG. 7, to seat it in the hole 2 to be.

또한 필요한 경우 홀(2) 하단에 시멘트가 부족한 경우, 홀(2) 내부와 주 말뚝(10) 사이에는 시멘트 밀크를 추가할 수 있다.In addition, if necessary, if there is insufficient cement at the bottom of the hole (2), it is possible to add cement milk between the inside of the hole (2) and the main pile (10).

또한 상기 헤머는 드롭형을 이외에 다른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mmer may be applied in a method other than the drop type.

품질 시험 단계(S5)Quality test step (S5)

상기 품질 시험 단계(S5)는 상기 경타 단계(S4)를 통하여 시공된 이중 말뚝(50)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는 공정이다.The quality test step (S5) is a process of performing a test on the double pile 50 constructed through the pounding step (S4).

이때 시험은 주 말뚝(10)과 보조 말뚝(20)이 결합된 이중 말뚝(50)에 대하여 수행하며, 특히 이중 말뚝(50)의 끝단, 즉, 보조 말뚝(20)의 끝단에 드롭 해머를 타격하면서 필요한 시험을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test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double pile 50 in which the main pile 10 and the auxiliary pile 20 are combined, in particular, hitting the drop hammer at the end of the double pile 50, that is, the end of the auxiliary pile 20. while performing the necessary tests.

상기 품질 시험 단계(S5)를 통하여 수행하는 시험은 동재하시험 및 관입량과 리바운드 체크 등을 들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다른 추가적인 시험들도 실시 가능하다.The test performed through the quality test step (S5) includes a dynamic load test and a penetration and rebound check, and, if necessary, other additional tests are also possible.

상기 품질 시험을 통하여 상기 주 말뚝(10)의 시공 상태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Through the quality test,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heck the construction state of the main pile 10 .

말뚝 분리 단계(S6)Pile separation step (S6)

말뚝 분리 단계(S6)를 상기 품질 시험 단계(S5)를 통하여 주 말뚝(10)의 양호한 시공 상태를 확인할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 말뚝(10) 상단에 부착된 보조 말뚝(20)을 분리하여 홀(2)에서 제거하는 공정이다.After confirming the good construction state of the main pile 10 through the quality test step (S5) in the pile separation step (S6), as shown in FIG. 8, the auxiliary pile attached to the top of the main pile 10 ( 20) is separated and removed from the hole (2).

이때 상기 보조 말뚝(20)의 장봉(42)을 조작하여 상기 렌치부(41)가 볼트 헤드에 결합시키고, 장봉(42)의 끝단(44)을 회전시키면, 상기 너트(11)에 체결된 볼트들이 분리되므로, 상기 보조 말뚝(20)을 상기 주 말뚝(20)에서 분리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long rod 42 of the auxiliary pile 20 is manipulated so that the wrench part 41 is coupled to the bolt head, and the end 44 of the long rod 42 is rotated, the bolt fastened to the nut 11 . Since they are separated, the auxiliary pile 20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pile 20 .

물론 분리된 보조 말뚝(20)은 재사용 가능하다.Of course, the separated auxiliary pile 20 is reusable.

굴착 단계(S7)excavation step (S7)

상기 굴착 단계(S7)는 상기 말뚝 분리 단계(S6)를 통하여 보조 말뚝(20)이 분리되면, 지면을 기초 바닥(4)까지 굴토하는 공정이다.The excavation step (S7) is a process of excavating the ground to the foundation floor (4) when the auxiliary pile (20) is separated through the pile separation step (S6).

상기 공정이 완료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층 형성을 위한 지하 공간 형성이 완료되며, 이후에는 통상의 건물 시공과 같은 방법으로 건설 시공을 실시한다.When the process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9 , the formation of the underground space for the formation of the stratum is completed, and thereafter, the construction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normal building construction.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말뚝을 이용한 말뚝 시공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an embodiment for implementing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auxiliary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departs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below. Without this,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say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1: 지면 2: 홀
3: 기초 바닥 4: 지지층
10: 주 말뚝 11: 너트
20: 보조 말뚝 25: 지지구
30: 부착구 31: 체결나사수
32: 원판부 33: 연결부
34: 결합홀 40: 조작구
41: 렌치부 42: 장봉
43: 삽입홀 44: 끝단
50: 이중 말뚝 S1: 말뚝 준비 단계
S2: 천공 단계 S3: 말뚝 투입 단계
S4: 경타 단계 S5: 품질 시험 단계
S6: 말뚝 분리 단계 S7: 굴착 단계
1: Ground 2: Hall
3: foundation floor 4: support layer
10: main stake 11: nut
20: auxiliary pile 25: support
30: mounting hole 31: number of fastening screws
32: disk part 33: connection part
34: coupling hole 40: operation tool
41: wrench part 42: long rod
43: insertion hole 44: end
50: double pile S1: pile preparation stage
S2: drilling step S3: pile loading step
S4: Putting Stage S5: Quality Testing Stage
S6: Pile separation stage S7: Excavation stage

Claims (11)

협소 지역에 적용되는 보조 말뚝을 이용한 말뚝 시공 방법에 있어서,
주 말뚝과 보조 말뚝을 길이 방향으로 연결한 이중 말뚝을 준비하는 말뚝 준비 단계;
지면에 장비를 이용하여 기초 바닥과 지지층을 포함하는 깊이로 홀을 형성하는 천공 단계;
상기 홀에 상기 주 말뚝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중 말뚝을 투입하여 안착시키는 말뚝 투입 단계;
상기 이중 말뚝의 끝단을 타격하여 이중 말뚝을 상기 홀에 고정하는 경타 단계;
상기 이중 말뚝의 시공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복수의 시험을 실시하는 품질 시험 단계;
상기 주 말뚝에서 보조 말뚝을 분리하여 상기 홀에서 제거하는 말뚝 분리 단계; 및
지면에서 기초 바닥까지 굴착하는 굴착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말뚝 준비 단계에서 상기 주 말뚝은 상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말뚝은 부착구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구에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너트에 결합하여 주 말뚝과 보조 말뚝을 연결하고,
상기 보조 말뚝은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의 체결과 분리를 위한 조작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말뚝을 이용한 말뚝 시공 방법.
In the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auxiliary pile applied to a narrow area,
A pile preparation step of preparing a double pile connecting the main pile and the auxiliary pi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drilling step of forming a hole in the ground using equipment to a depth including the foundation floor and the support layer;
A pile input step of inserting the double pile to be seated in the hole so that the main pile is located in the lower part;
hitting the end of the double pile to fix the double pile to the hole;
A quality test step of performing a plurality of tests to determine the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the double pile;
A pile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auxiliary piles from the main piles and removing them from the hole; and
An excavation step of excavating from the ground to the bottom of the foundation,
In the pile preparation step, the main pile includes a plurality of nut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The auxiliary pile includes an attachment hole, and a bolt is inserted into the attachment hole and coupled to the nut to connect the main pile and the auxiliary pile,
The auxiliary pile is a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auxiliary pi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anipulation tool for fastening and separating the bolt and the nu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말뚝 투입 단계에서 상기 이중 말뚝의 끝단은 상기 홀의 외면 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말뚝을 이용한 말뚝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d of the double pile in the pile input step is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auxiliary pil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말뚝 투입 단계에서 상기 주 말뚝의 상단은 상기 기초 바닥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말뚝을 이용한 말뚝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main pile in the pile input step is a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auxiliary pile,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on the base flo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구는 볼트 헤드가 삽입되는 렌치부와 상기 렌치부와 연결되며, 상기 보조 말뚝에 길이방향의 이송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장봉과 상기 장봉의 끝에 형성되는 끝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말뚝을 이용한 말뚝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nipulation tool is connected to the wrench part and the wrench part into which the bolt head is inserted, and comprising a long rod coupled to the auxiliary pile to enable transport and rot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end formed at the end of the long rod. A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auxiliary pil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렌치부에는 상기 렌치부를 회전 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말뚝을 이용한 말뚝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wrench unit has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a separate member is inserted to rotate the wrench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품질 시험 단계에서 수행하는 시험은 동재하시험 및 관입량과 리바운드 체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말뚝을 이용한 말뚝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st performed in the quality test step is a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auxiliary p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ynamic load test, penetration and rebound check-i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는 상기 보조 말뚝의 내경과 나사결합하는 체결나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말뚝을 이용한 말뚝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ttachment hole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auxiliary pi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astening screw for screwing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auxiliary pil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장봉은 상기 보조 말뚝의 회면에 부착되는 복수의 지지구에 의하여 상기 보조 말뚝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말뚝을 이용한 말뚝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long rod is a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auxiliary pil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auxiliary pile by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pil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는 상기 보조 말뚝의 내경과 나사결합하는 체결나사부와 상기 체결나사부에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에 형성되는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장봉은 상기 보조 말뚝의 내경에 부착된 복수의 지지구에 의하여 상기 보조 말뚝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말뚝을 이용한 말뚝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attachment hole comprises a fastening screw portion screwed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auxiliary pile,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to the fastening screw portion, a disk formed at an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coupling hole formed in the disk portion, The long rod is a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n auxiliary pil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auxiliary pile by a plurality of supports attache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auxiliary pile.
KR1020210053912A 2021-04-26 2021-04-26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ssistant pile KR1023495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912A KR102349513B1 (en) 2021-04-26 2021-04-26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ssistant p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912A KR102349513B1 (en) 2021-04-26 2021-04-26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ssistant p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513B1 true KR102349513B1 (en) 2022-01-11

Family

ID=79355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912A KR102349513B1 (en) 2021-04-26 2021-04-26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ssistant p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51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382B1 (en) * 2012-05-14 2013-03-11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Micro pile capable of withdrawing upper cass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foundation using the same
KR20200037948A (en) * 2018-10-02 2020-04-10 주식회사 파일웍스 Concrete filled steel pile for dynamic pile load test and pile load test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382B1 (en) * 2012-05-14 2013-03-11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Micro pile capable of withdrawing upper cass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foundation using the same
KR20200037948A (en) * 2018-10-02 2020-04-10 주식회사 파일웍스 Concrete filled steel pile for dynamic pile load test and pile load test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166B1 (en) PHC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removeable auxiliary pile
US7112012B2 (en) Piling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95873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upling a drill rig to a screw pile
CN100567659C (en) The base configuration of iron tower
US7494299B1 (en) Piling apparatus having rotary drive
KR100886922B1 (en) Footing reinforcing or structure recovering method
US7578637B2 (en) Pile with an extended head and working method of its operation
JP5948838B2 (en) Column and beam joining method
KR20210012525A (en) Steel structures and top-down method using it
KR102349513B1 (en)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assistant pile
JP2011163009A (en) Subsidence prevention structure of foundation steel pipe
JP4373824B2 (en) Joining method of cast-in-place pile and steel pipe column
JP5456627B2 (en)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connection between pile and steel column
JP3359197B2 (en) Load test method for ready-made piles and support used for it
JP2010031568A (en) Aseismatic reinforcing construction method for existing foundation and aseismatic reinforcing structure of existing foundation
KR100933739B1 (en) Structure to guide pillar construction casing buried in basement floor
US6641333B2 (en) Method of forming enlarged pile heads
KR101124203B1 (en) Pile structure
KR102268120B1 (en) PHC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casing guide and removeable auxiliary pile
JP6346387B1 (en) Housing foundation structure and housing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KR102043582B1 (en)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using panel having base for reinforce
JP6588585B2 (en) Pile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JP2020029703A (en) Pile body and construction method of pile
KR101765061B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n augered pile
KR102166168B1 (en) Foundation pile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pile assembly of found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