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178B1 -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 Google Patents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178B1
KR102349178B1 KR1020207028276A KR20207028276A KR102349178B1 KR 102349178 B1 KR102349178 B1 KR 102349178B1 KR 1020207028276 A KR1020207028276 A KR 1020207028276A KR 20207028276 A KR20207028276 A KR 20207028276A KR 102349178 B1 KR102349178 B1 KR 102349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mechanism
agitator
axis
cleaner hea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8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6412A (ko
Inventor
리처드 이아인 막릿지
안소니 앤드류 뷰캐넌 하커
윌리엄 제임스 베이커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26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6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tilting, floating or similarly arranged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1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27Gearing or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9/0433Toothed gearings
    • A47L9/0438Toothed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g. planetary gear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94Height adjustment of dust-loosen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진공 청소기(100)용 청소기 헤드(10)는 하우징(12), 이 하우징(12) 내부에 장착되는 에지테이터(14), 및 에지테이터(14)를 제 1 축선(A)을 중심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16)를 포함한다. 구동 기구(16)는 제 2 축선(R)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우징(12)에 장착된다. 제 2 축선(R)은 제 1 축선(A)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에지테이터(14)가 청소될 표면과 접촉할 때, 그 표면은 구동 기구(16)가 제 2 축선(R)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는 반작용 토크를 에지테이터(14)에 가한다.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에 관한 것이다.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는 일반적으로 표면 상에 있는 부스러기를 진동시키기 위한 에지테이터(agitator)를 포함하며, 이 에지테이터는 청소기 헤드의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청소기 헤드가 청소될 표면을 가로질러 앞뒤로 움직임에 따라, 표면의 변화, 예컨대, 카펫 파일(carpet pile) 깊이 또는 밀도의 변화로 인해 에지테이터에 의해 카펫에 가해지는 힘과 파워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더욱이, 청소기 헤드가 상이한 특성을 갖는 표면, 예컨대, 상이한 파일 두께 또는 밀도를 갖는 카펫에 사용되는 경우, 에지테이터에 의해 카펫에 가해지는 힘과 파워는 청소되고 있는 표면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가 제공되고, 이 청소기 헤드는 하우징, 이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에지테이터, 및 에지테이터를 제 1 축선을 중심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를 포함하고, 구동 기구는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제 2 축선은 상기 제 1 축선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으며, 상기 에지테이터가 청소될 표면과 접촉할 때, 그 표면은 구동 기구가 상기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는 반작용 토크를 상기 에지테이터에 가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청소기 헤드는, 주로, 구동 기구가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제 2 축선은 제 1 축선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으며, 상기 에지테이터가 청소될 표면과 접촉할 때, 그 표면은 구동 기구가 상기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는 반작용 토크를 상기 에지테이터에 가함에 따라 유리할 수 있다.
특히, 제 2 축선이 제 1 축선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을 때, 구동 기구가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에지테이터는 하우징 내부에서 예컨대 위쪽/아래쪽 방향 및/또는 앞쪽/뒤쪽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청소기 헤드가 사용시에 청소될 표면 상에 위치되고 또한 에지테이터가 청소될 표면과 접촉할 때, 구동 기구는 이 구동 기구가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는 반작용 토크를 받게 된다. 받는 초기 반작용 토크는, 이 받는 반작용 토크를 줄이는 방향으로, 즉 에지테이터를 표면과의 접촉에서 벗어나게 하는 방향으로 구동 기구와 에지테이터를 하우징 내부에서 움직이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반작용 토크의 이러한 감소로, 청소기 헤드는 예컨대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는 에지테이터를 갖는 청소기 헤드 보다 더 많은 파워를 표면에 전달할 수 있다.
더욱이, 청소기 헤드가 청소될 표면을 가로질러 움직임에 따라, 변하는 받는 반작용 토크로 인해 하우징 내부에서의 구동 기구와 에지테이터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조절됨으로써, 청소기 헤드의 사용시에 파워 드로우의 변화가 더 작게 된다. 그러한 조절은 청소될 표면들 사이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헤드는, 청소기 헤드가 청소될 표면을 가로질러 또한 청소될 표면 사이에서 앞뒤로 움직일 때 하우징 내부에서의 에지테이터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그래서 청소기 헤드는, 예컨대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는 에지테이터를 갖는 청소기 헤드 보다 파워 드로우의 변화가 더 낮게 된다.
이로써, 상이한 표면을 가로지르는 파워 드로우의 큰 변화가 더 이상 고려될 필요가 없음에 따라, 청소기 헤드는 최대의 연속 작동점(예컨대, 구동 기구의 모터가 실속(stall)하거나 그의 허용 온도 한계를 초과할 수 있는 파워 드로우)에 더 가까이에서 작동할 수 있다. 이 결과, 픽업 성능의 증가가 일어날 수 있다.
더욱이, 에지테이터에는 전형적으로 청소될 표면을 진동시키기 위한 강모가 제공되고, 제조 공차로 인해 강모 높이가 에지테이터 마다 변할 수 있다. 이러한 강모 높이의 변화로 인해, 받는 반작용 토크가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 헤드는 하우징 내부에서의 에지테이터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그래서 상이한 강모 높이를 갖는 청소기 헤드는 청소될 통상의 표면에서 파워 드로우의 더 낮은 변화를 갖게 된다.
구동 기구가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그 구동 기구는 하우징 내부에서 예컨대 위쪽/아래쪽 방향 및/또는 앞쪽/뒤쪽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에지테이터는 실질적으로 중공일 수 있다. 구동 기구는 에지테이터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예컨대 실질적으로 전체가 에지테이터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는 컴팩트한 배치를 가능하게 하므로 유리할 수 있다. 구동 기구의 모터와 전동 장치(transmission)가 에지테이터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는 모터와 전동 장치를 사용시에 청소기 헤드를 통해 흐르는 더러운 공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므로 유리하다. 에지테이터는 구동 기구에 대해 회전 가능한데, 예컨대 구동 기구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에지테이터는 구동 기구를 에워싸는 실린더, 예컨대, 구동 기구를 둘러싸고 적어도 하나의 점에서 그 구동 기구와 접촉하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축선은 에지테이터 및/또는 구동 기구의 종축선, 예컨대 에지테이터 및/또는 구동 기구의 중심 종축선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기구와 에지테이터는 공통 중심 종축선을 포함할 수 있고, 그래서 예컨대 구동 기구와 에지테이터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동심적으로 배치된다. 구동 기구의 중심 종축선은, 구동 기구를 둘러싸는 가상 실린더, 예컨대 구동 기구를 둘러싸고 적어도 하나의 점에서 그 구동 기구와 접촉하는 가상 실린더의 중심을 통과해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의미한다. 구동 기구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전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2 축선은 구동 기구 및/또는 에지테이터의 중심점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제 2 축선은 하우징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제 2 축선은 제 1 축선 뒤에, 예컨대 사용시에 청소기 헤드의 앞쪽 운동 방향, 즉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청소기 헤드의 운동 방향에 대해 제 1 축선 뒤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사용시에 구동 기구가 낮은 크기의 초기 반작용 토크를 받는 최소 높이에 구동 기구와 에지테이터가 위치되고 또한 사용시에 구동 기구가 높은 크기의 초기 반작용 토크를 받는 최대 높이에 구동 기구와 에지테이터가 위치되는 구성을 가능하게 하므로 유리할 수 있다. 이는, 에지테이터가 받는 반작용 토크의 크기에 따라 청소될 표면으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일 수 있게 해주며, 제 2 축선이 제 1 축선의 앞에 위치되는 구성과는 대조적일 수 있다. 특히, 제 2 축선이 제 1 축선의 앞에 위치되는 경우, 받는 반작용 토크는 청소기 헤드 내부에서 에지테이터를 아래쪽으로 구동시켜 받는 반작용 토크의 크기를 더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청소기 헤드는 상기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구동 기구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스탑 기구를 포함할 수 있고, 그래서, 예컨대, 하우징 내부에서의 구동 기구의 운동은, 하우징 내부에서의 구동 기구 및 에지테이터의 최대 높이와 최소 높이 사이의 운동으로 제한된다. 이는, 사용시에 에지테이터가 청소될 표면에 너무 가까이 그리고/또는 그로부터 너무 멀리 위치되는 것을 억제하므로 유리할 수 있다. 스탑 기구는 제 1 스탑 부재와 제 2 스탑 부재를 포함하고, 제 1 스탑 부재는 구동 기구가 하우징 내의 구동 기구의 최대 높이의 위치를 지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제 2 스탑 부재는 구동 기구가 하우징 내의 구동 기구의 최소 높이의 위치를 지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구동 기구의 회전은, 구동 기구가 하우징 내부에서 최소 높이의 위치에 있을 때 에지테이터의 실질적으로 전체가 하우징 내부에 포함되도록 제한된다. 예컨대, 구동 기구가 하우징 내부에서 최소 높이의 위치에 있을 때 에지테이터의 강모를 제외한 에지테이터의 실질적으로 전체가 하우징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에지테이터의 본체가 사용시에 낮은 파워 드로우의 표면, 예컨대 딱딱한 표면과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고 그래서 그 낮은 파워 드로우의 표면에 손상을 야기하는 것을 억제하므로 유리할 수 있다. 구동 기구가 하우징 내부에서 최소 높이의 위치에 있을 때, 에지테이터의 실질적으로 전체가 하우징 내부에 포함되면, 에지테이터의 강모의 특성은 사용시에 낮은 파워 드로우의 표면 상에서 증가된 진동(agitation)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특성의 예를 들면, 강모 스트립의 수, 강모 길이, 강모 밀도, 강모 두께, 및 강모의 강직성이 있다.
구동 기구가 하우징 내부에서 최소 높이의 위치에 있을 때 에지테이터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우징 밖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 기구가 하우징 내부에서 최소 높이의 위치에 있을 때 에지테이터의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우징 밖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는, 에지테이터가 사용시에 청소될 표면 안으로 더 연장될 수 있게 해주고 그래서 청소될 표면의 향상된 진동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유리할 수 있다. 이로써, 더 작은 수의 강모 스트립 및/또는 더 짧은 길이의 강모가 에지테이터에 형성될 수 있다.
구동 기구의 일부분은 에지테이터를 회전시키기 위해 제 1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구동 기구 전체는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는 에지테이터가 그의 통상적인 진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에지테이터가 하우징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게 해주므로 유리할 수 있다.
구동 기구는 제 1 및 제 2 단부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단부 각각은, 구동 기구가 상기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는 예컨대 하우징 내부에 외팔보 형태로 지지되는 구동 기구와 비교하여, 구동 기구가 하우징 내부에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므로 유리할 수 있다.
구동 기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단단히 연결할 수 있다. 이는 구동 기구가 사용시에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구동 기구및/또는 에지테이터를 청소될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유리할 수 있다.
청소기 헤드는, 제 1 방향으로 제 2 축선에 대해 작용하는 편향 토크를 구동 기구에 가하는 편향 기구를 포함하고, 에지테이터가 청소될 표면과 접촉하면, 구동 기구에 가해지는 반작용 토크는 제 2 반대 방향으로 제 2 축선에 대해 작용하게 된다. 반작용 토크가 편향 기구에 의해 제공되는 편향 토크와 같지 않은 경우, 구동 기구는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그리하여 에지테이터 하우징 내부에서 움직이게 된다.
이는, 에지테이터가 청소중인 표면과의 접촉에서 벗어남에 따라, 추가의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구동 기구의 회전에 의해 받는 반작용 토크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유리할 수 있고, 구동 기구의 회전은 반작용 토크가 편향 기구에 의해 제공되는 편향 토크와 같을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평형점이라고 할 수 있는데, 하지만, 시스템은 반작용 토크 및 편향 기구의 편향 토크 외의 다른 힘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다른 힘은, 구동 기구의 중심 종축선과 추가의 회전 축선 사이의 오프셋 거리를 최소화함으로써 최소화될 수 있다. 청소기 헤드가 청소될 표면을 가로질러 움직임에 따라, 변하는 받는 반작용 토크로 인해 하우징 내부에서의 구동 기구와 에지테이터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조절됨으로써, 항상 평형점이 도달될 수 있다. 편형 기구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편향 토크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래서 청소기 헤드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파워 드로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조절은 청소될 표면들 사이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헤드는, 청소기 헤드가 청소될 표면을 가로질러 앞뒤로 또한 청소될 표면들 사이에서 움직일 때 하우징 내부의 에지테이터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며, 그래서 청소기 헤드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파워 드로우를 갖게 된다.
이로써, 상이한 표면을 가로지르는 파워 드로우의 변화가 더 이상 고려될 필요가 없음에 따라, 청소기 헤드는 그의 최대의 연속 작동점(예컨대, 모터가 실속하거나 그의 허용 온도 한계를 초과할 수 있는 파워 드로우)에 더 가까이에서 작동할 수 있다. 이 결과, 픽업 성능의 증가가 일어날 수 있다.
더욱이, 에지테이터에는 전형적으로 청소될 표면을 진동시키기 위한 강모가 제공되고, 제조 공차로 인해 강모 높이가 에지테이터 마다 변할 수 있다. 이러한 강모 높이의 변화로 인해, 받는 반작용 토크가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소기 헤드는 하우징 내부에서의 에지테이터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 그래서 상이한 강모 높이를 갖는 청소기 헤드는 청소될 통상의 표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파워 드로우를 갖게 된다.
에지테이터가 사용시에 청소될 표면과 접촉하면, 구동 기구는 제 2 방향으로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에지테이터가 사용시에 청소될 표면으로부터 들리면, 구동 기구는 제 1 방향으로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에지테이터는 제 1 방향으로 제 1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편향 기구는 사용시에 구동 기구가 받는 반작용 토크에 반대인 그리고/또는 그와 같은 편향 토크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편향 기구는 사용시에 에지테이터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편향 토크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편향 토크는, 예컨대 반작용 토크가 없을 때 구동 기구를 하우징 내부에서 초기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이는 하우징 내부의 구동 기구와 에지테이터에 대한 알려진 출발 위치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유리할 수 있다. 초기 위치는 하우징 내부의 구동 기구의 최대 또는 최소 높이의 위치, 예컨대, 청소기 헤드가 청소될 표면 상에 위치되어 있을 때 그 청소될 표면에 수직하게 측정되는 최대 또는 최소 거리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기구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 2 축선을 규정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 기구는 제 2 축선을 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곳(spigot)을 포함할 수 있다.
편향 기구는 제 2 축선에 대한 회전력, 예컨대 편향 토크를 전달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스피곳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에지테이터가 사용시에 청소될 표면과 접촉할 때 받는 반작용 토크의 결과로 일어나는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구동 기구의 회전을 편향 기구가 억제할 수 있게 해주므로 유리할 수 있다. 편향 기구에 의해 가해지는 편향 토크에 대항하여 구동 기구가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하우징 내부의 구동 기구 및/또는 에지테이터가 움직여, 예컨대 구동 기구 및/또는 에지테이터가 하우징 내부에서 상승 및/또는 하강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하우징 내부에서 앞쪽 및/또는 뒤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편향 기구는 인장 하에서 유지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그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는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스피곳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의 사용으로, 예컨대 사용자 입력 및/또는 컴퓨터화된 제어 입력에 대해 독립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간단한 편향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단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단일 스프링이 더 큰 예압의 사용으로 구동 기구를 청소기 헤드 내부에서 초기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게 해주므로 유리할 수 있다. 더 큰 예압은, 주어진 양의 스프링 연장이 그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는 힘의 더 작은 비례적인 변화를 일으킴을 의미한다. 예컨대, 스프링의 비교적 작은 연장은, 스프링의 복원력이 실질적으로 일정하다고 볼 수 있을 정도의 힘의 작은 증가를 일으킬 수 있다. 더 큰 예압으로 스프링은 더 작은 반경 상으로 끌어 당기도록 설치될 수 있고, 그래서 구동기의 주어진 각회전을 통한 스프링 연장의 필요한 변화가 최소화되며 또한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힘의 변화도 최소화된다.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 또는 일정한 힘의 스프링 또는 비틀림 스프링일 수 있다. 코일 스프링은 간단하며 저렴하고 긴 수명을 가지며 또한 제조 후에 편향 기구의 비교적 쉬운 조정을 가능하게 하므로 유리할 수 있다.
편향 기구는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를 적어도 하나의 스피곳에 연결하는 연장 가능하지 않은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가 적어도 하나의 스피곳에 힘을 가할 수 있게 해주므로 유리할 수 있다. 스피곳은 드럼을 포함할 수 있고, 연장 가능하지 않은 연결 부재가 그 드럼 주위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이는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의 선형 변위가 적어도 하나의 스피곳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게 해주므로 유리할 수 있다. 예컨대,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에 의해 가해지는 선형 변위는 제 2 축선에 대한 회전력, 즉 토크로 전환될 수 있다.
드럼은 가변적인 반경을 가질 수 있으며, 그래서 그 드럼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타원형이다. 이는 편향 기구에 의해 제공되는 편향 토크의 변화를 최소화하는데에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유리할 수 있다.
청소기 헤드는 적어도 하나의 풀리를 포함할 수 있고, 연장 가능하지 않은 연결 부재가 사용시에 그 풀리를 통과할 수 있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풀리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이 청소기 헤드 내부에서 구동 기구에서 멀리 떨어져 위치될 수 있게 해주므로 유리할 수 있다.
하우징은, 에지테이터와 구동 기구가 장착되는 챔버, 이 챔버와 유체 연통하는 더러운 공기 입구, 및 편향 기구가 위치되는 추가의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편향 기구가 사용시에 청소기 헤드를 통과하는 더러운 공기 흐름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될 수 있고 그래서 오물 및 부스러기 등에 의한 편향 기구의 막힘이 회피될 수 있으므로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청소기 헤드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고 또한 본 발명이 어떻게 실시될 수 있는지를 더 명확히 보여주기 위해,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헤드의 상측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청소기 헤드의 회전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청소기 헤드의 하측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전방 벽이 제거되어 있는 도 1의 청소기 헤드의 상측 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단독으로 나타나 있는 도 1의 청소기 헤드의 에지테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단독으로 나타나 있는 도 1의 청소기 헤드의 구동 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구동 기구의 개략적인 단부도이다.
도 8은 구동 기구의 중심 종축선을 따라 취한 도 6의 구동 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전방 벽이 제거되어 있는 도 1의 청소기 헤드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전방 벽이 제거되어 있는 도 1의 청소기 헤드의 제 2 상측 전방 사시도이다.
도 11은 스탑 핀이 제위치에 있는 도 1의 청소기 헤드의 제 1 개략 정면도이다.
도 12는 스탑 핀이 제위치에 있는 도 1의 청소기 헤드의 제 2 개략 정면도이다.
도 13은 구동 기구가 하우징 내의 중간 지점에 있는 도 1의 청소기 헤드의 제 3 상측 전방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의 청소기 헤드의 구동 기구와 편향 기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도 1의 청소기 헤드의 구동 기구와 편향 기구 사이의 상호 작용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6은 사용시 도 1의 청소기 헤드의 구동 기구에 작용하는 토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7은 사용시 도 1의 청소기 헤드 내부에서의 구동 기구의 운동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8은 도 1의 청소기 헤드의 에지테이터의 최소 높이의 위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9는 도 1의 청소기 헤드의 에지테이터의 중간 높이의 위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0은 도 1의 청소기 헤드의 에지테이터의 최대 높이의 위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1은 구동 기구가 최대로 하우징 내부에 있을 때 도 1의 청소기 헤드의 제 3 상측 전방 사시도이다.
도 22는 스탑 핀이 제위치에 있는 도 1의 청소기 헤드의 제 3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헤드(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10"으로 표시되어 있음)가 도 1 - 4, 9 - 13 및 21 - 22에 나타나 있다. 청소기 헤드(10)는 하우징(12), 브러시바아(14) 형태의 에지테이터, 구동 기구(16) 및 편향 기구(18)를 갖는다.
하우징(12)은 전방 벽(20), 후방 벽(22), 상측 벽(24), 밑판(26), 제 1 측벽(28)과 제 2 측벽(30) 및 분할 벽(32)으로 형성된다.
통칭적으로, 후방 벽(22), 상측 벽(24), 밑판(26), 제 1 측벽(28)과 제 2 측벽(30) 및 분할 벽(32)은 에지테이터 챔버(34)를 규정한다. 에지테이터 챔버(34)는 브러시바아(1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대체로 원통형이다. 그러나, 에지테이터 챔버(34)는 브러시바아(14) 보다 다소 크며, 브러시바아(14)가 사용시 에지테이터 챔버(34) 내부에서 위쪽/아래쪽 및 앞쪽/뒤쪽 방향 모두로 움직일 수 있게 치수 결정된다. 밑판(26)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은 에지테이터 챔버(34)의 더러운 공기 입구(36)를 규정한다.
통칭적으로, 전방 벽(20), 밑판(26), 제 1 측벽(28)과 제 2 측벽(30) 및 분할 벽(32)은 전방 챔버(38)를 규정한다. 전방 챔버(38)는 편향 기구(18)의 스프링(80) 및 케이블(82)을 수용하도록 성형되고 치수 결정된다. 전방 챔버(38)는 에지테이터 챔버(34)와 더러운 공기 입구(36)로부터 실질적으로 시일링되며, 그래서 부스러기가 사용시 전방 챔버(38)에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전방 벽(20)은 예컨대 편향 기구(18)의 유지 보수가 가능하도록 전방 챔버(38)에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제거 가능하다.
후방 벽(22)은 더러운 공기 출구(23)를 가지며, 이 공기 출구는 청소기 헤드(10)를 사용시에 진공 청소기(100)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기구(25)에 이어져 있다. 청소기 헤드(10)는 더러운 공기 출구(23)와 연결 기구(25) 사이에 위치되는 한쌍의 바퀴(26)를 가지며, 이 바퀴는 청소기 헤드(10)가 사용시에 청소될 표면을 가로질러 움직이는 것을 용이하게 해준다. 상측 벽(24)은, 사용자가 사용시에 브러시바아(14)를 볼 수 있게 해주는 선택적인 보기 창(21)을 갖는다.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보기 창(21)은 에지테이터 챔버(34)의 일부분을 규정하는 투명한 플라스틱을 포함하며, 그래서 에지테이터 챔버(34)의 상단부가 에워싸인다. 밑판(26)은 추가 쌍의 바퀴(29)를 가지며, 이 바퀴 또한 청소기 헤드(10)가 사용시에 청소될 표면을 가로질러 움직이는 것을 용이하게 해준다. 밑판(26)은 사용시에 청소될 표면과 접촉하는 가요성 부재(31)를 가지며, 이 가요성 부재는 청소기 헤드(10)와 표면 사이의 시일링을 도와줄 수 있다.
제 2 측벽(30)은 엔드 캡(40)을 가지며, 이 엔드 캡(40)은 브러시바아(14) 및/또는 구동 기구(16)가 유지 보수를 위해 에지테이터 챔버(34)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제거 가능하다.
브러시바아(14)는 도 5에 단독으로 나타나 있다. 브러시바아(14)는 본체(42) 및 4개의 강모 스트립(44)을 갖는다. 본체(14)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중공 내부(46)를 갖는다. 본체(42)는, 구동 기구(16)의 실질적으로 전체가 중공 내부(46)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성형되고 치수 결정된다. 4개의 강모 스트립(44) 각각은 본체(14)의 원주 주위에 고르게 이격되어 있고, 4개의 스트립(44) 각각은 본체(14)의 외면 주위에 360도로 연장되어 있다. 스트립(44)의 수, 강모의 길이, 및 강모의 재료는 사용시에 청소될 표면의 원하는 진동을 이루기 위해 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현재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강모는 나일론으로 형성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추가의 강모 스트립, 예컨대 탄소 섬유 강모 스트립이 브러시바아(14)의 본체(42)에 형성된 적절한 슬롯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추가의 강모 스트립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추가의 슬롯이 제거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구동 기구(16)는 도 6 및 8에 나타나 있다. 구동 기구(16)는 제 1 단부 스피곳(spigot)(48)과 제 2 단부 스피곳(50), 구동 하우징(52), 모터(54), 제 1 플래닛 캐리어(56)와 제 2 플래닛 캐리어(58), 플래닛 기어(59), 태양 기어(60), 링 기어(62), 구동 도그(64), 및 제 1 구동 베어링(66)과 제 2 구동 베어링(68)을 갖는다.
제 1 단부 스피곳(48)과 제 2 단부 스피곳(50)은 대체로 관형이고, 구동 기구(16)와 브러시바아(14)의 공통 중심 종축선(A)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제 1 단부 스피곳(48)의 외면은 드럼형 수집 부재(70)를 가지며, 이 수집 부재 주위에는 편향 기구(18)의 케이블(82)이 사용시에 감기고 풀릴 수 있다. 제 1 단부 스피곳(48)과 제 2 단부 스피곳(50)은 베어링(51)에 의해 제 1 측벽(28)과 엔드 캡(40)의 고정점에 장착되며, 그래서 제 1 단부 스피곳(48)과 제 2 단부 스피곳(50)은 사용시에 에지테이터 챔버(34) 내부에서 하우징(12)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제 1 단부 스피곳(48)과 제 2 단부 스피곳(50)의 오프셋 특성은, 구동 기구(16) 및 그래서 브러시바아(14)는 사용시에 에지테이터 챔버(34) 내부에서 위쪽/아래쪽 및 앞쪽/뒤쪽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 1 단부 스피곳(48)과 제 2 단부 스피곳(50)은 구동 기구(16)의 회전 축선(R)을 규정한다. 제 1 단부 스피곳(48)과 제 2 단부 스피곳(50)이 구동 기구(16)와 브러시바아(14)의 공통 중심 종축선(A)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기구(16)와 브러시바아(14)는 사용시에 편심적으로 구동 기구(16)의 회전 축선(R)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 1 단부 스피곳(48)과 제 2 단부 스피곳(50)은, 규정된 회전 축선(R)이 구동 기구(16)와 브러시바아(14)의 공통 중심 종축선(A)의 뒤쪽에 위치되며, 그리하여, 브러시바아(14)는 받는 반작용 토크에 의해 에지테이터 챔버(34) 내부에서 아래쪽이 아닌 위쪽으로 구동된다. 단부 스피곳(48, 50)과 회전 축선(A, R)의 개략도가 도 7에 나타나 있고, 화살표(D)는 사용시에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앞쪽 방향으로의 청소기 헤드(10)의 운동 방향을 나타내며. 화살표(RT)는 구동 기구(16)가 받는 반작용 토크를 나타낸다.
구동 하우징(52)은 대체로 관형이고, 제 1 단부 스피곳(48)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모터(54) 및 제 1 플래닛 캐리어(56)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한다. 모터(54)는 통상적인 형태이며, 사용시에 태양 기어(60)에 회전 출력을 제공한다. 플래닛 핀(72)은 제 1 플래닛 캐리어(56)와 제 2 플래닛 캐리어(58)를 단단히 연결하고, 제 2 플래닛 캐리어(58)는 제 2 단부 스피곳(50)에 단단히 연결된다. 태양 기어(60)는 제 1 플래닛 캐리어(56)와 제 2 플래닛 캐리어(58) 사이에 위치되며, 플래닛 기어(59)를 통해 링 기어(62)에 부착되고, 링 기어(62)는 구동 도그(64)에 단단히 연결된다.
구동 기구(16)는, 제 1 플래닛 캐리어(56)와 제 2 플래닛 캐리어(58)는 움직이지 않고 플래닛 기어(59)가 자신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링 기어(62)는 그 플래닛 기어(59) 주위로 회전하도록(즉, 플래닛 기어(59)는 태양 기어(60) 주위로 회전하지 않음) 구성되어 있다. 이리하여, 제 1 단부 스피곳(48)과 제 2 단부 스피곳(50) 사이의 단단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연결에 의해, 구동 기구(16)가 사용시에 회전 축선(R)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구동 기구(16) 및/또는 브러시바아(14)는 청소될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다.
사용시, 태양 기어(60)는 모터 토크를 플래닛 기어(59)를 통해 링 기어(62)에 전달하고, 그래서 구동 도그(64)는 구동 기구(16)와 브러시바아(14)의 공통 중심 종축선(A)을 중심으로 하는 브러시바아(14)의 회전을 일으킬 수 있다. 제 1 구동 베어링(66) 및 제 2 구동 베어링(68)은 사용시에 브러시바아(14)의 회전을 용이하게 해준다.
구동 기구(16)는 브러시바아(14)의 본체(42)의 중공 내부(46) 내에 위치되며, 그래서 구동 기구(16)는 사용시에 더러운 공기 입구(36)를 통해 에지테이터 챔버(34) 안으로 유입하는 부스러기로부터 보호된다. 현재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브러시바아(14)는 베어링(51)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구동 기구(16)의 연장을 덮는다. 구동 기구(16)는 브러시바아(14)를 에지테이터 챔버(34) 내부에 위치시키는 작용을 하며, 회전 축선(R)을 중심으로 하는 구동 기구(16)의 회전에 의해 브러시바아가 에지테이터 챔버(34)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다.
구동 기구(16)는 청소기 헤드(10)에 형성되어 있는 스탑 핀(78)과 결합하기 위한 제 1 스탑 부재(74)와 제 2 스탑 부재(76)에 연결된다. 현재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제 1 스탑 부재(74)와 제 2 스탑 부재(76)는 각각의 제 1 단부 스피곳(48)과 제 2 단부 스피곳(5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스탑 핀(78)은 도 11, 12 및 22에 나타나 있고, 스탑 핀(78)은 청소기 헤드(10)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고 또한 제 1 스탑 부재(74)와 제 2 스탑 부재(76)는 청소기 헤드(1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스탑 부재(74, 76)와 스탑 핀(78)은 청소기 헤드(10) 내부에 위치될 수도 있다. 제 1 스탑 부재(74)와 제 2 스탑 부재(76) 및 스탑 핀(78)은 회전 축선(R)을 중심으로 하는 구동 기구(16)의 회전을 제한하는 작용을 하고, 그래서 사용시에 에지테이터 챔버(34) 내부에서의 브러시바아(14)의 운동을 제한하는 작용을 한다.
현재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스탑 부재(74, 76)와 스탑 핀(78)은, 사용시 청소될 표면에 수직인 축선에 대해 측정될 때 40°에서 140°까지 100°의 범위로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구동 기구(16)의 회전으로 에지테이터 챔버(34) 내부에서 브러시바아(14)의 높이의 매끄러운 변화가 제공된다. 현재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회전 축선(R)과, 구동 기구와 브러시바아(14)의 공통 중심 종축선(A) 사이의 오프셋은 3 mm 이다. 이리하여, 일반적으로, 에지테이터 챔버(34) 내부에서 브러시바아(14)의 상측 위치와 하측 위치 사이에서 6 mm 범위의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운동이 위에서 특정된 각도 범위로 한정됨으로써, 에지테이터 챔버(34) 내부에서 브러시바아(14)의 상측 위치와 하측 위치 사이에서의 운동 범위는 4.6 mm 의 거리로 제한될 수 있다.
편향 기구(18)는 코일 스프링(80), 케이블(82), 풀리(84), 및 제 1 단부 스피곳(48)의 드럼형 수집 부재(70)를 포함한다. 편향 기구(18)의 개략도를 도 14 및 15에서 볼 수 있고, 이들 도에서 선(RT)은 사용시에 구동 기구가 받는 반작용 토크를 나타내며, RF는 회전 축선(R)에 대한 토크로 전환되는 코일 스프링(80)의 복원력을 나타낸다.
코일 스프링(80)은 통상적인 코일 스프링이고, 제 1 단부(86)에서 전방 챔버(38) 내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코일 스프링(80)의 제 2 단부(88)는 케이블(82)에 연결된다. 코일 스프링(80)은, 코일 스프링(80)이 생성할 힘에 따라 요구되는 스프링 상수를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케이블(82)은 연장 가능하지 않은 케이블이고, 예컨대, 낚시줄 등일 수 있다. 현재 바람직하게는, 케이블(82)은, 사용시에 케이블(82)이 청소기 헤드(10) 내부에서 움직일 때 발생할 수 있는 마찰을 줄이도록 코팅된다. 케이블(82)의 제 1 단부(90)는 연결 부재(83)에 의해 코일 스프링(80)의 제 2 단부(88)에 연결되며, 케이블(82)의 제 2 단부(92)는 제 1 단부 스피곳(48)의 드럼형 수집 부재(70)에 연결되며, 그래서 케이블(82)의 적어도 일부분이 항상 드럼형 수집 부재(70) 주위에 감긴다. 케이블(82)은 코일 스프링(80)과 드럼형 수집 부재(70) 사이를 지남에 따라 풀리(84) 주위를 지나며, 코일 스프링(80)과 드럼형 수집 부재(70) 사이의 경로에 위치되는 하우징(12)의 채널(나타나 있지 않음)을 통해 연장된다.
케이블(82)은, 가해지는 다른 힘이 없을 때 코일 스프링(80)이 높은 예압 조건으로 유지되도록, 드럼형 수집 부재(70) 주위에 감긴다. 케이블(82)은 코일 스프링(80)의 복원력을 드럼형 수집 부재(70)에 작용하는 편향 토크로 전환시키고, 그래서 구동 기구(16)에 작용하는 회전 축선(R)에 대한 토크로 전환시킨다. 케이블(82)은, 코일 스프링(80)에 의해 가해지는 회전 축선(R)에 대한 편향 토크가 브러시바아(14)가 사용시에 청소될 표면과 접촉할 때 받는 반작용 토크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되도록, 드럼형 수집 부재(70) 주위에 감기는데, 즉 코일 스프링(80)은 회전 축선(R)에 대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이 회전력은 사용시에 에지테이터 챔버(34) 내부에 있는 구동 기구(16)와 브러시바아(14)의 공통 중심 종축선(A)을 중심으로 하는 브러시바아(14) 회전의 방향에 대체로 대응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코일 스프링(80)이 크게 예압된다는 것은, 코일 스프링(80)이 연장되면 그 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의 작은 증가만 일어남을 의미한다. 따라서, 구동 기구(16)가 반작용 토크를 받아 회전함으로 인해 케이블(82)이 드럼형 수집 부재 상에 감김으로써 생기는 복원력의 증가는, 코일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는 힘은 실질적으로 일정하다고 생각될 수 있도록, 충분히 작을 수 있다. 또한, 드럼형 수집 부재(70)는 비원형인 타원형 단면을 형상을 가지며, 이 또한 사용시에 코일 스프링(80)의 복원력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작용을 한다.
현재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구동 기구(16)와 브러시바아(14)의 초기 위치는 에지테이터 챔버(34) 내의 최소 높이의 위치, 즉 청소될 표면과 브러시바아(14) 사이의 거리(청소될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측정됨)가 최소인 위치이다.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16) 및 브러시바아(14)가 청소될 표면에 더 가까이 움직이는 것은, 제 1 및 2 스탑 부재(74, 76)와 최하측 스탑 핀(78)의 결합에 의해 방지된다. 초기 위치에서, 브러시바아(14)의 강모만 더러운 공기 입구(36)를 통과해 밑판(26)을 지나 연장되는데, 그래서, 사용시에 브러시바아(14)의 본체(42)가 청소될 표면, 예컨대, 딱딱한 바닥과 접촉하여 그를 손상시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제, 도 9 - 22를 참조하여 청소기 헤드의 작동을 설명한다.
청소기 헤드(10)를 사용하고자 할 때, 그 청소기 헤드(10)는 진공 청소기(100)에 연결되고, 청소기 헤드(10)는 청소될 바닥 표면 상으로 내려 놓여 진다. 도 9 - 11 및 1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청소기 헤드(10)가 표면과 접촉하기 전에, 브러시바아(14)는 에지테이터 챔버(34) 내의 초기 최소 위치에 유지된다. 브러시바아(14)가 구동 기구(16)와 브러시바아(14)의 중심 종축선(A)을 중심으로 에지테이터 챔버(34) 내부에서 회전하고 표면과 접촉함에 따라, 구동 기구(16)는 브러시바아(14)의 회전에 반대인 방향으로 반작용 토크를 받게 된다.
반작용 토크가 예압 코일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는 복원력과 균형을 이루지 않으면, 즉 회전 축선(R)에 대한 반작용 토크가 그 회전 축선(R)에 대해 제공되는 편향 토크 보다 크면, 구동 기구(16)는 브러시바아(14)의 회전에 대체로 반대인 방향으로 회전 축선(R)을 중심으로 회전할 것이다. 앞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제 1 및 2 오프셋 스피곳(48, 50)은, 회전 축선(R)이 구동 기구(16)와 브러시바아(14)의 공통 중심 종축선(A)의 뒤쪽에 있도록 위치되며, 그래서, 도 1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16)는 회전 축선(R)을 중심으로 편심적으로 회전하며, 받는 반작용 토크가 브러시바아(14)를 에지테이터 챔버(34) 내부에서 위쪽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도 17에서, MIN은 브러시바아(14)의 초기 최소 위치를 나타내고, MID는 에지테이터 챔버(34) 내의 브러시바아(14)의 중간 높이의 위치를 나타내며, MAX는 에지테이터 챔버(34) 내의 브러시바아(14)의 최대 높이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 15에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16)가 브러시바아(14)의 회전에 대체로 반대인 방향으로 회전 축선(R)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케이블(82) 길이의 더 많은 부분이 제 1 단부 스피곳(48)의 드럼형 수집 부재(70) 상에 감기게 된다. 그러나, 코일 스프링(80)의 높은 예압은, 코일 스프링(80)의 길이의 변화는 힘의 단지 작은 변화만 일으킴을 의미하고, 그래서, 코일 스프링(80)의 복원력은 실질적으로 일정하다고 생각될 수 있다. 케이블(82)이 풀리(84) 주위를 지나 드럼형 수집 부재(70) 상에 감김에 따라, 케이블(82)은 코일 스프링(80)의 복원력을 반작용 토크에 반대인 회전 축선(R)에 대한 편향 토크로 전환시킨다. 구동 기구(16)가 에지테이터 챔버(34) 내부에서 위쪽으로 움직임에 따라, 받는 반작용 토크가 코일 스프링(80)의 복원력과 같게 될 때가지, 즉 받는 반작용 토크가 편향 토크와 같게 될 때까지, 브러시바아(14)가 표면과의 접촉에서 벗어남에 따라 그 받는 반작용 토크는 감소된다.
이때, 회전 축선(R)을 중심으로 하는 구동 기구(16)의 회전이 끝나고, 구동 기구(16) 및 브러시바아(14)는 에지테이터 챔버(34) 내부에서 고정된 높이에 유지된다. 개략적인 힘선도가 도 16에 나타나 있다. 회전 축선(R)에 대한 편향 토크로 전환되는 코일 스프링(80)의 복원력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고 또한 받는 반작용 토크가 코일 스프링(80)의 복원력과 같게 될 때가지 구동 기구(16)가 에지테이터 챔버(34)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음에 따라, 청소기 헤드(10)가 사용되는 표면에 무관하게, 받는 반작용 토크도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그래서, 청소기 헤드는 모든 표면을 가로질러 실질적으로 일정한 파워 드로우를 가질 수 있다. 코일 스프링(80)의 복원력이 받는 반작용 토크와 같은 구성을 도 12 - 13 및 19에서 볼 수 있다.
청소기 헤드(10)가 사용시에 표면을 가로질러 앞뒤로 움직임에 따라, 또한 사실 청소기 헤드(10)가 상이한 표면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편향 기구(18)는 일정한 파워 드로우를 보장해 준다.
청소될 상이한 표면에서의 파워 드로우의 변화가 더 이상 고려될 필요가 없음에 따라, 구동 기구(16)는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청소기 헤드에서 보다 그의 선택된 최적 작동점에 더 가까이에서 작동할 수 있다. 이로써, 공지된 청소기 헤드에 비해 청소기 헤드(10)의 픽업 성능이 증가할 수 있다. 더욱이, 청소기 헤드(10)는, 제조 공차로 인해 변하는 강모 높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파워 드로우의 변화를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다.
구동 기구가 받는 반작용 토크가 예압 위치에 있는 코일 스프링(80)의 복원력과 일치하기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구동 기구(16) 및 브러시바아(14)는 에지테이터 챔버(34) 내부에서 그의 초기 위치에 유지된다.
에지테이터 챔버(34) 내의 브러시바아(14)의 최대 높이의 위치가 도 20 - 22에 나타나 있고, 이 위치에서, 코일 스프링(80)은 전방 챔버(38) 내부에서 최대 연장 위치에 있다.

Claims (19)

  1.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로서,
    청소기 헤드는 하우징, 이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에지테이터(agitator), 및 에지테이터를 제 1 축선을 중심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를 포함하고,
    구동 기구 그 자체는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제 2 축선은 상기 제 1 축선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으며,
    상기 에지테이터가 청소될 표면과 접촉할 때, 그 표면은 구동 기구가 상기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는 반작용 토크를 상기 에지테이터에 가하는,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테이터는 중공이며, 상기 구동 기구는 에지테이터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와 에지테이터는 공통 중심 종축선을 가지며, 그래서 구동 기구와 에지테이터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동심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축선은 상기 공통 중심 종축선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축선은 상기 제 1 축선 뒤에 위치되는,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헤드는 상기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구동 기구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스탑 기구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구동 기구의 회전은, 구동 기구가 하우징 내부에서 최소 높이의 위치에 있을 때 에지테이터의 전체 또는 에지테이터의 강모를 제외한 에지테이터의 전체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포함되도록 제한되는,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가 하우징 내부에서 최소 높이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에지테이터의 본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 밖으로 연장되는,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제 1 및 제 2 단부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단부 각각은, 구동 기구가 상기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단단히 연결하는,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헤드는, 제 1 방향으로 상기 제 2 축선에 대해 작용하는 편향 토크를 상기 구동 기구에 가하는 편향 기구를 포함하고, 에지테이터가 청소될 표면과 접촉하면, 상기 구동 기구에 가해지는 반작용 토크는 제 2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 2 축선에 대해 작용하는,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토크는 사용시에 상기 구동 기구가 받는 반작용 토크의 반대이며 그리고/또는 그와 같은,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토크는, 받는 반작용 토크가 없을 때 상기 구동 기구를 하우징 내부에서 구동 기구의 최소 높이의 초기 위치에 유지시키는,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제 2 축선을 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곳(spigot)을 포함하고, 상기 편향 기구는 상기 제 2 축선에 대한 편향 토크를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곳에 연결되어 있는,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기구는 인장 하에서 유지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단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에지테이터와 구동 기구가 장착되는 챔버, 이 챔버와 유체 연통하는 더러운 공기 입구, 및 상기 편향 기구가 위치되는 추가 챔버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19.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청소기 헤드를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
KR1020207028276A 2018-03-01 2019-02-26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KR1023491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803345.6 2018-03-01
GB1803345.6A GB2571552B (en) 2018-03-01 2018-03-01 A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PCT/GB2019/050528 WO2019166794A1 (en) 2018-03-01 2019-02-26 A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412A KR20200126412A (ko) 2020-11-06
KR102349178B1 true KR102349178B1 (ko) 2022-01-10

Family

ID=61903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8276A KR102349178B1 (ko) 2018-03-01 2019-02-26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849904B2 (ko)
EP (1) EP3758572A1 (ko)
JP (1) JP7125497B2 (ko)
KR (1) KR102349178B1 (ko)
CN (1) CN111787838B (ko)
GB (1) GB2571552B (ko)
WO (1) WO20191667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6256A1 (zh) * 2021-10-18 2023-04-27 宁波富佳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刀片的往复运动结构、切毛滚刷及清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2267A (en) * 1959-12-08 1961-12-12 Gen Electric Vacuum cleaner with movable nozzle brush
US3639941A (en) * 1970-06-16 1972-02-08 Sunbeam Corp Vacuum cleaner
GB1323259A (en) 1971-07-14 1973-07-11 Wessel H Carpet or floor cleaning appliances
US3802026A (en) 1972-07-03 1974-04-09 Electrolux Ab Vacuum cleaning apparatus
US4268769A (en) 1978-09-22 1981-05-19 The Scott & Fetzer Company Motor for rotary brush
DE3017072A1 (de) 1980-05-03 1981-11-05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5600 Wuppertal Antribseinrichtung fuer bodenpflegegeraet
DE3239347C2 (de) 1982-10-23 1985-04-18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5600 Wuppertal Bodenpflegegerät
JPS6449523A (en) * 1987-08-20 1989-02-27 Sanyo Electric Co Upright type electric cleaner
DE3913390A1 (de) * 1989-04-24 1990-10-25 Stein & Co Gmbh Einstellvorrichtung fuer bodenpflegegeraete
US4976003A (en) * 1990-04-11 1990-12-11 Williams William H Cleaning apparatus
JP3738459B2 (ja) * 1994-12-28 2006-01-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自走式掃除機
JP3260604B2 (ja) * 1995-10-24 2002-02-25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込口本体
GB2336994B (en) 1998-05-08 2000-06-21 Numatic Int Ltd Rotating brush arrangement for vacuum cleaner
US6243917B1 (en) 1999-06-30 2001-06-12 Fantom Technologies Inc. Floating brush for a vacuum cleaner head
JP2001321304A (ja) 2000-05-17 2001-11-20 Hitachi Ltd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口体
US7571511B2 (en) 2002-01-03 2009-08-11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floor-cleaning robot
DE10305276B4 (de) 2003-02-07 2013-06-27 Stein & Co Gmbh Vorrichtung für Bodenpflegegeräte
DE102010000577B4 (de) 2010-02-04 2024-01-04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ürstengerät
WO2012080710A1 (en) * 2010-12-14 2012-06-21 Dyson Technology Limited A cleaner head
GB2499214B (en) * 2012-02-08 2014-03-26 Dyson Technology Ltd A cleaner-head for a vacuum cleaner
WO2014094833A1 (de) * 2012-12-18 2014-06-26 Alfred Kärcher Gmbh & Co. Kg Reinigungsbürste für ein bodenreinigungsgerät und bodenreinigungsgerät mit einer reinigungsbürste
GB201404917D0 (en) * 2014-03-19 2014-04-30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WO2016022270A1 (en) * 2014-07-25 2016-02-11 Euro-Pro Operating Ll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a sideways pivoting handle
GB2529819B (en) 2014-09-02 2017-06-14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DE102015100483B4 (de) 2015-01-14 2024-04-18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Saugeinheit für einen Staubsau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87838B (zh) 2021-11-23
GB2571552B (en) 2020-09-16
EP3758572A1 (en) 2021-01-06
JP2021514759A (ja) 2021-06-17
GB2571552A (en) 2019-09-04
CN111787838A (zh) 2020-10-16
GB201803345D0 (en) 2018-04-18
US20200405105A1 (en) 2020-12-31
US11849904B2 (en) 2023-12-26
WO2019166794A1 (en) 2019-09-06
JP7125497B2 (ja) 2022-08-24
KR20200126412A (ko)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2139B2 (en) Surface cleaning head with leading roller
KR102349178B1 (ko) 진공 청소기용 청소기 헤드
KR102083193B1 (ko) 로봇 청소기
US5515568A (en) Scrubbing machine having offset cylindrical brushes
JP2681100B2 (ja) コード型草刈機用の刈刃装置
AU2005246978B2 (en) Head for a suction cleaner
JP3930914B2 (ja) 表面処理装置
EP3646756B1 (en) A vacuum cleaner
CA2627884C (en) Height adjustable drive arrangement for a floor care machine
CA2850499C (en) Animal keeping installation
US5481776A (en) Brush pressure system
DE102018119181A1 (de) Saugdüse für einen Staubsauger sowie Staubsauger zum Reinigen eines Untergrundes
EP0707790B1 (en) Spinning reel anti-reverse device
US6308360B1 (en) Rotating disc-type floor polishing machine
CN111329391A (zh) 一种滚刷与一种吸尘器
US6056222A (en) Spinning reel anti-reverse device
EP3766398B1 (en) Brush roller bar for a cleaning device
US11412656B2 (en) Trimmer head with improved line release feature
JP2922787B2 (ja) 魚釣用リール
JP2500303Y2 (ja) スピニングリ―ル
US588313A (en) beall
JPH0860727A (ja) 衛生洗浄装置におけるノズル装置
ITPD20060155A1 (it) Scopa elettrica ad avanzamento automatico
JPH065468U (ja) 釣り用リールの往復作動機構
JPH0655361U (ja) 両軸受リールのレベルワイン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