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034B1 -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034B1
KR102349034B1 KR1020180060862A KR20180060862A KR102349034B1 KR 102349034 B1 KR102349034 B1 KR 102349034B1 KR 1020180060862 A KR1020180060862 A KR 1020180060862A KR 20180060862 A KR20180060862 A KR 20180060862A KR 102349034 B1 KR102349034 B1 KR 102349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urine analysis
vending machine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5622A (ko
Inventor
손일수
Original Assignee
손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일수 filed Critical 손일수
Priority to KR1020180060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034B1/ko
Publication of KR20190135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2010/0003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 A61B2010/0006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including means for analysis by an unskilled person involving a colour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sychiatry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mat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는 소변분석 자판기가 사용자 결제에 따라 소변검사용 스트립을 개별 포장한 형태의 포장 스트립을 포함한 소변검사도구를 배출하는 소변검사도구 판매 단계; 사용자가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로 소변이 묻은 소변검사용 스트립을 투입하는 소변검사용 스트립 투입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에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포함하는 소변분석용 부가정보를 입력하는 부가정보 입력 단계;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가, 미리 저장된 소변분석기준에 따라, 상기 소변검사용 스트립 투입 단계에서 투입된 스트립을 분석하고 입력된 부가정보와 연관시켜 소변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소변분석정보 생성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부가정보 입력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사용자 단말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형태의 상기 부가정보가 근거리 무선 통신링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로 전송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ANONYMOUS USER CUSTOMIZED ANALYZING OF URINE USING URINE ANALYZER VENDING MACHINE AND MOBILE}
본 발명은 소변분석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공용 화장실과 같이 일반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소에 배치되어 건강 진단용 소변검사도구를 자동 판매하고, 투입된 소변 샘플로부터 소변분석정보를 자동 생성하도록 구성된 소변분석 자판기에 있어서, 소변 샘플과 함께 모바일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되는 신체 정보 등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소변분석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신속하고 안전할 뿐만 아니라 보다 정확하고 상세한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강 체크 방법 중 가장 널리 사용하는 방법은 혈액 검사 및 소변 검사다. 소변 검사는 소변 중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들이 혈액의 노폐물과 수분이 신장을 통해 여과되어 체외로 배출되는 것이라는 점에 기초하여 신체의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으로 널리 사용된다. 종래의 소변 검사기는 병원에서 환자 진료 목적의 검사에 사용되는 용도로 제조되어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의료기기라는 특수성 때문에 조작이 어려워서 일반인이 손쉽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가정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또는 가정용 소변 검사 장치도 제안되고 있으나, 이 또한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일반 사용자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에 배치되어 이용될 수 있는 소변분석 자판기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 특허 공개번호 10-2005-0091180 (2005.09.15. 공개) "자판용 소변분석기"의 공보에는 화장실과 같은 공공장소에 배치될 수 있고, 검사자가 지폐 등 현금을 투입하여 결제하면 소변검사를 위한 시료 스틱을 배출하고, 검사자가 배출된 시료 스틱에 소변을 묻혀서 투입하면, 이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인쇄된 페이퍼로 출력하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국내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36314 (2007.07.20. 등록) "간이소변검사가 가능한 소변검사지 자판기"의 공보에도 화장실과 같은 공공장소에 배치되어, 일반 사용자가 소변검사지를 구매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소변이 적셔진 소변검사지를 올려놓으면 이를 감지하여, 한편으로 소변검사지 반응부의 색깔 변화를 사용자가 직접 육안으로 직접 판별할 수 있도록 수동표시부에 표시하고, 다른 한편으로 소변검사지를 자동으로 판별하여 '정상/관리요망/전문의 상담'의 세 단계 중 어느 하나를 자동표시부에 표시하는 장치를 기재하고 있다. 이러한 소변분석 자판기 장치는 사용자가, 고가의 가정용 기기를 구매할 필요없이 또한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손쉽게 저렴한 비용으로 소변 분석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의 소변분석 자판기 장치는 소변 샘플과 관련된 사용자의 정보 없이 단순히 투입된 소변 샘플만을 감지하여 미리 정해진 판별 알고리즘에 따라 판단하는 단순 분석 방법만을 채택하고 있었으며, 그 결과 분석 내용도 매우 단순하여 실제로 유의미한 의학적 진단을 위한 소변 검사로는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통상 의학적 진단에 있어서, 사용자의 성별, 키, 체중, 나이 등의 신체 조건 , 나아가 사용자가 과거 또는 현재 어떠한 질병이 있었는지, 또는 현재 어떠한 질병을 진단받고 어떠한 약을 복용하고 있는지 등의 사용자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참조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 맞춘 상세한 분석 결과를 내기가 어렵다는 점은 자명하다.
그런데 소변분석 자판기 장치는 주로 공공 화장실과 같이 다수의 사람들이 수시로 임의 접근 가능한 장소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장치의 조작부를 통해 필요한 부가정보를 입력하는 것은 시간이 오래 걸리며 타인의 시선도 있어 불편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91180호 (2005.09.15.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6314호 (2007.07.26. 공고)
이에 본 발명자는 기존 소변분석 자판기 장치를 개선하여 기존의 단순 분석 결과 보다는 더 정확하고 상세하여 유의미한 건강 검진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 맞춤형 소변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하던 중에, 근래 널리 보급되어 있는 스마트폰(smart phone) 또는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모바일 사용자 단말 및 관련 통신기능을 이용한다면, 필요 부가정보를 쉽고 빠르게 자판기 장치로 제공할 수 있고, 관련된 사용자 맞춤형 소변분석정보를 타인의 시선과 상관없이 자판기 장치로부터 안전하게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분석결과를 누적시켜 추이 변화를 체크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추가 유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깨달았다.
이러한 깨달음에 착안하여 본 발명은, 공공 화장실과 같이 일반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소에서 건강 진단용 소변검사도구를 자동 판매하고 소변 샘플으로부터 소변 분석 정보를 자동 생성하도록 구성된 소변분석 자판기에 있어서, 소변 샘플과 함께, 근거리 통신링크를 통해 연결된 모바일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신체 정보와 같은 부가정보를 신속 안전 정확하게 소변분석 자판기에 제공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상세한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정보를 안전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변분석 자판기에서 모바일 사용자 단말로 사용자 맞춤 소변분석 정보가 제공되면, 모바일 사용자 단말에서는 이를 누적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소변분석정보의 시간에 따른 추이에 기초하여 추가로 더 상세한 건강 진단이 가능해지도록 한 새로운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소변분석 자판기의 분석 결과 전문가에 의한 진단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소변분석 자판기 또는 모바일 사용자 단말이 원격의 관리서버의 도움을 받아 연결될 수 있는 전문가 단말을 통해 사용자와 전문가 사이의 온라인 상담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의 편리성과 만족도를 높이도록 한 새로운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소변분석 자판기를 통해 소변검사도구를 구매할 때 현금 이외에 신용카드, 체크카드, 교통카드, 포인트, 마일리지 등의 다양한 결제수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 경험의 편리성과 만족도를 높이도록 한 새로운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소변분석 자판기를 통해 사용자가 구매할 수 있는 소변검사도구에는 소변이 묻으면 색깔이 변화하는 검사영역들을 구비한 소변검사용 스트립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소변을 담을 수 있는 컵 형태의 소변 용기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의 편리성과 만족도를 높이도록 한 새로운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은, 소변분석 자판기가 사용자 결제에 따라 소변검사용 스트립을 개별 포장한 형태의 포장 스트립을 포함한 소변검사도구를 배출하는 소변검사도구 판매 단계; 사용자가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로 소변이 묻은 소변검사용 스트립을 투입하는 소변검사용 스트립 투입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에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포함하는 소변분석용 부가정보를 입력하는 부가정보 입력 단계;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가, 미리 저장된 소변분석기준에 따라, 상기 소변검사용 스트립 투입 단계에서 투입된 스트립을 분석하고 입력된 부가정보와 연관시켜 소변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소변분석정보 생성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부가정보 입력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사용자 단말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형태의 상기 부가정보가 근거리 무선 통신링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로 전송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입력 단계의 상기 부가정보는 이전 소변분석정보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질병 및 복용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변분석정보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소변분석정보는,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링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소변분석정보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변검사도구 판매 단계에서,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는 사용자가 신용카드, 체크카드, 교통카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결제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결제정보가 입력되면 대응하는 원격 결제서버와 통신함으로써 결제가 완료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변검사도구 판매 단계의 소변검사도구는 상기 소변검사용 스트립 이외에, 소변을 담을 수 있는 컵 형태의 소변 용기 또는 상기 소변검사용 스트립과 상기 소변 용기가 하나의 세트로 포장되어 있는 형태의 소변검사도구 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변분석정보 제공 단계 이후,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가 사용자로 하여금 추가로 온라인 상담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하도록 대기하는 단계; 만약 상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는 원격의 관리서버로 상기 소변분석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소변분석정보와 관련된 사용자와 전문가 사이의 온라인 상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단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시스템은, 사용자 결제에 따라 소변검사를 위해 소변을 묻히면 색깔이 변화하는 방식의 소변검사용 스트립을 개별 포장한 형태의 포장 스트립을 포함한 소변검사도구를 배출하는 소변분석 자판기, 및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링크로 연결된 모바일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로 소변이 묻은 상기 소변검사용 스트립을 투입하고, 또한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포함하는 소변분석용 부가정보를 상기 모바일 사용자 단말에서 전송하여 입력하면,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는, 미리 저장된 소변분석기준에 따라, 투입된 스트립을 분석하고 입력된 부가정보와 연관시켜 소변분석정보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에서 생성된 소변분석정보는 근거리 무선 통신링크를 통해 상기 모바일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사용자 단말은 상기 소변분석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누적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가 사용자로 하여금 추가로 온라인 상담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하도록 대기하고, 만약 상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는 원격의 관리서버로 상기 소변분석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소변분석정보와 관련된 사용자와 전문가 사이의 온라인 상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단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변분석 자판기는 소변 샘플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조건과 같은 부가정보를 더 사용하여 소변분석을 수행하기 때문에, 기존의 단순 분석 결과보다는 더 정확하고 상세하여 유의미한 건강 검진이 가능한 사용자 맞춤형 소변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근래 널리 보급되어 있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모바일 사용자 단말 및 그 통신기능을 이용하여 필요 부가정보를 쉽고 빠르게 소변분석 자판기 장치로 제공하고, 관련된 사용자 맞춤형 소변분석정보를 타인의 시선과 상관없이 소변분석자판기 장치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안전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간 경과에 따라 복수의 소변분석이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그 분석결과를 누적시켜 관리함으로써 분석결과의 추이 변화를 체크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성명이나 주민번호 등과 같이 민감한 개인 식별 정보는 모바일 사용자 단말에서만 유지되고, 소변분석 자판기에서는 개인 식별정보가 제외된 일반적인 정보만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민감한 개인 정보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소변분석 자판기의 분석 결과 전문가에 의한 진단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소변분석 자판기 또는 모바일 사용자 단말이 원격의 관리서버의 도움을 받아 연결될 수 있는 전문가 단말을 통해 사용자와 전문가 사이의 온라인 상담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경험의 편리성과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소변분석 자판기를 통해 소변검사도구를 구매할 때 현금 이외에 신용카드, 체크카드, 교통카드, 포인트, 마일리지 등의 다양한 결제수단을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 경험의 편리성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소변분석 자판기를 통해 사용자는 소변 샘플을 묻힐 수 있는 소변검사용 스트립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소변을 담을 수 있는 컵 형태의 소변 용기도 함께 구매할 수 있어, 사용자 경험의 편리성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 있는 소변분석 자판기의 구성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소변분석용 스트립의 예를 보여주는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의 흐름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흐름도.
도 5는 도 4의 방법에서 부가정보 입력 과정을 더 상세히 예시하는 개략적인 흐름도.
도 6은 도 4의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에서 소변분석 자판기로 전송되는 부가정보와 이를 이용하는 소변분석모듈의 더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의 흐름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의 기재사항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발명의 기술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현장에서 구현할 때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이들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 내에 있다면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해상 기술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예시된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시스템(10)은 소변분석 자판기(11)와 근거리 무선 통신 링크(14)를 통해 소통하는 사용자 단말(19)을 포함하고, 인터넷(13)으로 예시되어 있는 원격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결제서버(15) 및 관리서버(17)를 포함한다.
소변분석 자판기(11)(본 명세서에서는 종종 '자판기'로 약칭하며, 도 2를 참조하여 더 설명된다)는 예컨대 화장실과 같은 장소에 설치되고, 소정 금액을 결제하면 판매 아이템이 배출되는 자판기 형태로서 특히 소변이 묻으면 색깔이 변하는 방식으로 소변 검사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소변검사용 스트립(본 명세서에서는 종종 '스트립'으로 약칭하며, 도 3을 참조하여 더 설명된다)을 포함하는 소변검사도구를 자동 판매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라 소변분석 자판기(11)에서 판매되는 소변검사도구는 소변검사용 스트립 이외에, 소변을 담을 수 있는 컵 형태의 소변 용기, 또는 상기 소변검사용 스트립과 상기 소변 용기가 하나의 세트로 포장되어 있는 형태의 소변검사도구 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변분석 자판기(11)는 사용자가 스트립에 소변을 묻혀서 투입하면, 투입된 스트립의 색깔 변화를 감지하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분석기준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자동 소변분석 기능을 구비한다.
나아가 소변분석 자판기(11)는 본 발명에 따라 모바일 사용자 단말(19)과 예컨대 블루투스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 링크(14)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소변분석 자판기(11)는 본 발명에 따라 예컨대 웹 환경에서 동작하는 관리서버(17)와 전용망(미도시) 또는 인터넷(13)을 통해 연결된다. 관리서버(17)는 복수의 소변분석자판기(11), 사용자 단말(19) 등이 접속가능하며, 소변분석자판기(11)로부터 소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9)에게 회원등록, 소변분석 관련 정보, 온라인 상담 전문가와의 연결 등 소변분석과 관련하여 사용자에게 유용한 다양한 추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소변분석 자판기(11)는 본 발명에 따라 신용카드, 체크카드, 또는 교통카드(예컨대 티머니 등) 등을 이용한 결제가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결제서버(15)와 전용망(미도시) 또는 인터넷(13)을 통해 연결된다.
사용자 단말(19)은 본 발명에 따라 예컨대 블루투스 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고, 예컨대 롱텀에볼루션(LTE) 또는 와이파이(Wi-Fi)와 같은 무선 인터넷 또는 광대역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원격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9)은 예컨대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스캐닝하고, QR코드 또는 바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판독하여, 이에 기초하여 어플 다운로드 사이트와 같은 원격의 모바일 웹사이트에 접속하고, 해당 소변검사용 어플리케이션(이하 종종 '어플', '앱, 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도 표기한다)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나아가 사용자 단말(19)은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요구되는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9)은 예컨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근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개인용, 휴대용 또는 모바일 컴퓨팅 장치로 쉽게 구현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은, 사용자가 소변분석 자판기(11)를 이용할 때, 예컨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19)을 이용하여 예컨대 블루투스 통신링크와 같은 근거리 통신방식에 따라 서로 커플링한 상태에서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한다는 특징을 제공한다. 이에 의해, 자판기(11)는 사용자 단말(19)로부터, 사용자의 성명이나 주민번호와 같은 사용자 식별정보를 제외하고, 건강 검진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사용자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쉽고 빠르고 정확하고 비공개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부가정보는 건강 검진을 위해 필요하다면 제한없이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나이(또는 생년월일), 성별, 키, 몸무게 등과 같은 신체 조건 데이터, 또는 사용자가 이전에 수행하였던 소변분석정보 데이터, 또는 사용자가 이전에 또는 현재 앓았거나 앓고 있는 질병이나 복용하고 있는 약과 관련된 의료정보 데이터 등의 다양한 부가정보를 미리 사용자 단말(19)에 저장하고 있다가, 소변분석을 위해 자판기(11)에 부가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있을 때 한꺼번에 전부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일부 데이터가 부가정보로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정보의 입력을 사용자가 자판기(11)에 구비된 키보드 등의 수단을 통해 수동으로 수행하는 경우, 자판기(11)가 화장실과 같이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공장소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고려할 때, 시간이 많이 걸리고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타인에게 공개하고 싶지 않은 질병과 같은 민감한 정보의 경우에는 입력이 꺼려지는 면도 있으므로, 그 결과 정확하면서도 상세한 정보를 입력하기 어렵다는 문제들이 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와 같이, 부가정보를 미리 사용자 단말(19) 내에 저장하고 있는 경우라면, 예컨대 사용자 단말(19)에서 실행된 소정 어플이 제공하는 '부가정보 전송'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은 단순 동작만으로, 민감한 개인적인 정보를 포함하여 매우 정교하고 상세한 부가정보를 자판기(11)에 입력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쉽게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에서, 소변분석 자판기(11)는 사용자가 투입한 소변이 묻어있는 스트립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소변분석기준에 따라 사용자의 소변 샘플의 성분을 분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함께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포함하는 소변분석용 부가정보를 참조하여 분석결과를 보정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고 상세한 사용자 맞춤 소변분석정보의 생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소변분석 자판기(11)에서 생성된 사용자 맞춤 소변분석정보는 근거리 무선 통신링크(14)를 통해 사용자 단말(19)로 전송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소변분석 자판기의 경우 인쇄된 종이 형태 또는 소변분석 자판기 자체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또는 모니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소변분석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비교하여, 소변분석결과의 비밀보장의 면 및 데이터 저장과 후속 이용의 면에서 크게 우수하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자판기(11)가 화장실과 같이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공장소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고려할 때, 종래의 제공 방식은 타인에게 보여주고 싶지 않은 질병 정보가 부지불식간에 공개될 위험이 있음은 물론이고, 이후 해당 데이터를 재사용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은, 소변분석정보가 근거리 무선 통신링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9)에서 수신되고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19)에서 소변분석정보를 누적 관리할 수 있고, 시간 경과에 따른 소변분석정보의 추이를 분석하여 더 상세한 건강 진단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소변분석정보는 원격의 서버로 전송되어 추가적인 온라인 상담 등에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 이렇게 저장된 소변분석정보는 미래에 또 소변분석을 수행할 때 자판기(11)에 소변분석을 위한 부가정보로서 쉽게 전환되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 있는 소변분석 자판기의 구성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예시된 소변분석 자판기(200)는, 도 1의 소변분석 자판기(11)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사람 키 높이 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대체로 직육면체의 하우징(미도시) 내외에 배치되는 제어부(201), 메모리(202), 결제모듈(203), 터치스크린(205), 소변분석모듈(207), 스트립 투입구(208), 포장스트립 저장부(209), 소변용기 저장부(211), 소변용기 및 포장스트립 배출구(213), 근거리 통신모듈(215), 원격 통신모듈(216), 및 쓰레기통(2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201)는 각 부분의 동작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부분이고, 메모리(202)는 소변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시저와 소변분석용 기준 및 보정 데이터, 및 광고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결제모듈(203)은 사용자가 신용카드, 체크카드, 또는 교통카드 등을 이용하여 접촉/비접촉식으로 결제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하우징 외측에 노출되어 있는 부품이다. 터치스크린(205)은 예컨대 소변분석 장치의 사용 정보 및/또는 명령 버튼 및/또는 소프트 키보드 등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소정 명령이 입력되는 입출력장치이며, 예컨대 하우징의 상단부에 노출되는 부품이다. 소변분석 기능이 수행되고 있지 않는 경우, 터치스크린(205)에는 광고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소변분석모듈(207)은 예컨대, 소변검사용 스트립 투입구(208)에 투입된 스트립의 색깔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부분과 검출된 색깔 변화에 의해 미리 저장된 분석 기준에 따라 소변분석결과를 생성하는 데이터 처리 부분을 포함한다. 소변분석이 완료되면, 소변분석이 완료된 스트립은 투입구(208)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시 배출된다. 사용자는 분석이 완료된 스트립을 투입구(208)에서 꺼내 쓰레기통에 넣을 수 있다. 소변분석모듈(207)은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4583호(2016년 05월 26일 공고) "소변 검사 방법 및 관련 장치"에 기재된 소변검사장치와 유사하게 스트립을 촬영하여 분석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으로만 제한될 필요는 없고, 기존에 알려져 있는 소변 검사 장치의 구성을 제한 없이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포장스트립 저장부(209), 소변용기 저장부(211),및 배출구(213)는 소변검사도구를 자동 판매하기 위한 부분이다. 여기서 '포장스트립'이라는 용어는 소변검사용 스트립을 한 개씩 개별적으로 밀봉 포장한 제품을 지칭하기 위한 것이다. 포장스트립 저장부(209)는 이렇게 한 개씩 개별적으로 진공 밀봉 포장된 포장스트립 제품들을 저장하고 있다가, 제어부(201)에 의해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 개수의 제품을 배출구(213)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유사하게 소변용기 저장부(211)는 사용자가 스트립에 소변을 묻히는 과정에서 사용하기 위해 소변 등 액체를 담을 수 있는 컵 형태의 소변용기 제품을 저장하고 있다가, 제어부(201)에 의해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 개수의 제품을 배출구(213)로 배출할 수 있다. 제어부(201)는 결제모듈(203)을 통해 결제된 금액에 따라 대응하는 수의 포장스트립 및/또는 소변용기를 배출하도록 저장부(209, 21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배출구의 구성은 자동 판매되는 제품의 기능과 형태만이 다를 뿐이므로, 예컨대 기존에 알려져 있는 캔음료 자동판매기의 구성과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자판기에서 판매되는 소변검사도구로서, 소변검사용 스트립을 개별적으로 포장한 포장스트립 및 소변을 담을 수 있는 컵 형태의 소변 용기 만을 예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라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포장스트립과 소변 용기가 하나의 세트로서 포장되어 있는 형태의 세트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쓰레기통(217)은 예컨대 하우징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고, 사용된 소변용기, 스트립을 사용하기 위해 벗겨낸 포장지, 소변분석이 완료된 스트립 등을 수집하는 통 또는 용기 형태의 부품이다.
근거리 통신모듈(215)은 제어부(201)로 하여금 예컨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링크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이다.
원격 통신모듈(216)은 제어부(201) 또는 결제모듈(203)로 하여금 예컨대 전용망 또는 인터넷을 통해 원격의 관리서버 또는 결제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이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소변분석 자판기는 예컨대 지하철, 공원, 백화점 등에 구비되어 있는 공용 화장실의 소변기 또는 좌변기 옆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는 교통카드나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결제함으로써 소변검사용 스트립을 쉽게 구매하여 소변검사를 수행하고, 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링크를 통해 자신의 스마트폰에 사용자 맞춤으로 보정된 소변검사 결과를 저장하고 확인할 수 있다는 편리함이 제공된다.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소변분석용 스트립의 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의 (a)에는 12개의 검사영역을 포함하는 스트립이 예시된다. 예시된 스트립을 사용하는 경우, 검사영역 중 하나는 보정을 위한 것이므로, 한 번의 소변분석을 통해 모두 11개 항목이 검사될 수 있다. 도시된 예는 단지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소변분석 자판기에서 소변검사용 스트립의 종류와 검사영역의 수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고,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별다른 제한 없이 기존에 알려져 있는 다양한 종류의 소변검사용 스트립이 모두 사용될 수 있음이 자명할 것이다.
한편 도 3의 (b)는 각각의 소변검사용 스트립을 비닐 포장지를 이용하여 진공 포장한 형태를 예시한다. 소변검사용 스트립 상에는 매우 소량의 화학물질 성분에 노출된 경우에도 색깔이 쉽게 변화되는 물질들이 도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물질과의 접촉을 최대한 방지하는 방식으로 유통기한을 늘이기 위하여 예컨대 비닐 또는 수지 재질의 포장재를 이용하여 진공 밀봉함으로써, 도시된 예와 같이 포장스트립 형태로 판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의 흐름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400)은, 소변검사도구 판매 단계(401-405), 소변검사용 스트립 투입 단계(407), 부가정보 입력 단계(409), 소변분석정보 생성 단계(411), 및 소변분석정보 제공 단계(413)를 포함한다.
소변검사도구 판매 단계(401-405)는 사용자가 자판기에 소정 금액의 결제정보를 입력하고(401), 스트립 종류(또는 구매할 소변검사도구의 종류)를 선택하면(403), 자판기가 원격 결제서버와 통신하여 결제 정보를 확인하여 결제가 완료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종류의 스트립이 밀봉 포장되어 있는 제품인 포장스트립(또는 소변 용기, 또는 포장스트립과 소변 용기가 함께 포장되어 있는 세트 제품)을 배출(405)하는 단계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결제수단인 신용카드, 체크카드, 교통카드 중 어느 하나를 자판기의 결제모듈에 삽입하거나 근접시킴으로써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으로 결제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 결과 결제정보가 입력되면 자판기는 대응하는 원격 결제서버와 통신함으로써 결제가 완료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제 방식은 현재 지하철 요금이나 버스 요금을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이후 단계를 위해, 사용자는 소변분석을 위해 구매한 포장스트립의 포장지를 벗겨 내고, 분석을 원하는 소변을 스트립에 묻혀야 한다.
그 다음 소변검사용 스트립 투입 단계(407)는 사용자가 소변분석 자판기의 스트립 투입구에 소변이 묻은 스트립을 투입하는 단계이다. 스트립이 투입되면, 소변분석 자판기는 투입된 스트립을 소변분석 모듈 내로 이송하여 촬영하고 분석할 수 있다.
부가정보 입력 단계(409)는 소변검사용 스트립 투입 단계(407)와 동시에 또는 그 이전에 또는 그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소변분석정보가 생성되기 위해서는 소변이 묻어있는 스트립과 부가정보가 필요하므로, 부가정보 입력 단계(409) 및 소변검사용 스트립 투입 단계(407)는 둘 모두 소변분석정보 생성 단계(411) 이전에 수행된다.
여기서 부가정보는 사용자 맞춤 소변분석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나이, 성별, 키, 몸무게 등의 신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부가정보는 이전에 수행되었던 소변분석정보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질병 및 복용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부가정보의 입력은 사용자가 예컨대 소변분석 자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입력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폰에는 대응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소변분석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소변분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킴으로써 스마트폰과 소변분석 자판기가 블루투스 통신 링크로 서로 커플링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자동으로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 상에 '부가정보 전송' 버튼이 생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이 버튼을 터치하면 미리 저장되어 있던 사용자의 신체 정보 등이 즉시 커플링되어 있는 소변분석 자판기로 전송됨으로써, 부가정보가 자동 입력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소변분석정보 생성 단계(411)에서, 소변분석 자판기는, 자판기 내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소변분석기준에 따라, 투입된 스트립 및 입력된 부가정보 둘 모두를 고려하여 소변분석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변분석 자판기는 소변 스트립을 통한 사용자의 소변 샘플로부터 유래하는 데이터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조건과 같은 사용자 입력 부가정보를 더 사용하여 소변분석을 수행하기 때문에, 기존의 단순 분석 결과보다는 더 정확하고 상세하여 유의미한 건강 검진이 가능한 사용자 맞춤형 소변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제공된다.
그리고 소변분석정보 제공 단계(41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소변분석정보는, 소변분석 자판기와 블루투스 통신링크를 통해 커플링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방법에서 부가정보 입력 과정을 더 상세히 예시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예시된 부가정보의 입력 과정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어플을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준다. 예컨대 사용자가 소변이 묻은 스트립을 자판기에 투입하고, 이를 감지한 자판기가 부가정보를 입력하도록 프롬프트함으로써, 부가정보 입력이 개시될 수 있다(501). 그러면, 대응하는 소변분석 어플의 사용자인지 여부(503)에 따라, 어플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사용자라면(아니오), 예컨대 소변분석 자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 안내되어 있는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사용자 단말로 스캔(505)함으로써, 사용자 단말은 QR코드 또는 바코드에 연결되어 있는 모바일 어플 다운로드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해당 어플을 다운로드하여 사용자 단말에 설치(507)할 수 있다. 사용자가 처음 어플을 설치한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서 어플을 실행하고 소변검사에 사용될 부가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511).
일단 사용자 단말에서 어플이 실행되면, 주위에 있는 블루투스 기기 중에서 소변분석 자판기를 자동으로 탐색하고 커플링할 수 있다(513). 예컨대, 사용자가 소변분석 자판기와 대략 10m 이내로 근접하여 있다면, 사용자 단말은 소변분석 자판기와 즉시 커플링될 수 있다. 만약 주위에 다수의 소변분석 자판기가 존재하는 경우라면, 검색된 다수의 자판기들 중에서 사용자가 커플링을 선택한 특정 자판기와 커플링될 수 있다.
일단 커플링이 완료되면, 실행 중인 어플은 자동으로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 상에 '부가정보 전송' 버튼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미리 저장되어 있던 사용자의 신체 정보 등이 즉시 소변분석 자판기로 전송됨으로써, 소변분석용 부가정보가 자동으로 소변분석 자판기로 입력될 수 있다(515).
도 6은 도 4의 방법에서 사용자 단말에서 소변분석 자판기로 전송되는 부가정보와 이를 이용하는 소변분석모듈의 더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예컨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60)에서 실행 중인 소변분석 어플(61)은 소변분석용 부가정보로서, 사용자의 나이, 성별, 키, 체중 등과 같은 신체정보(603), 이전에 수행한 소변분석정보로 이루어진 이전 분석정보(605), 및 사용자의 과거 병력, 현재 치료 중인 질병 및/또는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 등과 관련된 의료정보(607)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였거나, 이전에 소변분석 자판기로부터 수신하였던 데이터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소변분석 자판기에 내장되어 있는 소변분석모듈(62)은 소변분석용 스트립을 촬영하여 소변 샘플에서 유래하는 성분 데이터를 분석하는 부분 이외에, 사용자 맞춤 소변분석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소변 샘플 성분 데이터를 보정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부분으로서 기초분석모듈(622), 추이분석모듈(624) 및 통합분석모듈(6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초분석모듈(622)은 스트립을 촬영하여 색깔 변화를 감지한 데이터와 부가정보로서 입력된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 맞춤 소변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추이분석모듈(624)은 부가정보로서 입력된 사용자의 시간 경과에 따른 이전 분석정보가 있는 경우, 이를 더 고려하여 사용자 맞춤 소변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나아가 통합분석모듈(626)은 부가정보로서 입력된 사용자의 과거 및/또는 현재 의료정보가 있는 경우, 이를 추가로 고려하여 사용자 맞춤 소변분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예시된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시스템(70)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10)과 유사하게 소변분석 자판기(71)와 근거리 무선 통신 링크(74)를 통해 소통하는 사용자 단말(78)을 포함하고, 인터넷(73)으로 예시되어 있는 원격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결제서버(75) 및 관리서버(77)를 포함하며, 전문가 단말(79)을 더 포함하는 점만이 상이하다.
도시된 시스템(70)은 소변분석 자판기(71)가 사용자 단말(78)로 소변분석정보를 제공하는 것까지는 상술한 도 1의 시스템(10)과 유사하며, 다만 사용자 단말(78)에게 전문가 단말(79)을 연결하여 온라인 상담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는 점만이 상이하다.
다시 말해서, 소변분석 자판기(71)가 소변분석정보를 제공한 후, 사용자로 하여금 추가로 온라인 상담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하도록 제공한다. 만약 소변분석정보의 내용이 별문제가 없다면 사용자는 온라인 상담을 선택하지 않을 것이다 반면에 만약 소변분석정보의 내용에 전문가와 상담이 요구된다는 평가가 포함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온라인 상담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온라인 상담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소변분석 자판기(71)는 원격의 관리서버(77)로 소변분석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관리서버(77)는 소변분석정보와 관련된 사용자와 전문가 사이의 온라인 상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단(예컨대, 관리서버(77)에 의해 지정된 전문가와 1:1 온라인 상담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웹페이지 링크)를 사용자 단말(78)로 제공한다. 그 결과, 사용자 단말(78)이 제공받은 웹페이지 링크에 접속하면, 지정된 전문가가 사용하는 전문가 단말(79)과 사용자 단말(78)이 문자 또는 음성을 교환하여 실시간으로 상담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의 흐름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800)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방법(400)과 유사하게, 소변검사도구 구매 단계(801), 소변검사용 스트립 투입 단계(803), 부가정보 입력 단계(805-809), 분석정보 생성 단계(811), 및 분석정보 제공 단계(813)를 포함하며, 온라인 상담 단계(815-823)이 추가되는 점만이 상이하다.
소변검사도구 구매 단계(801)에서, 사용자는 자판기에 소정 금액의 결제정보를 입력하고, 원하는 소변검사도구 종류(스트립 종류 또는 소변용기, 스트립과 소변용기가 함께 있는 세트 제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그러면 자판기가 원격 결제서버와 통신하여 결제 정보를 확인하며, 결제가 완료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종류의 스트립이 밀봉 포장되어 있는 제품인 포장스트립 등을 배출하게 된다.
사용자는 소변분석을 위해 구매한 포장스트립의 포장지를 벗겨 내고, 분석을 원하는 소변을 스트립에 묻힌다. 그 다음 소변검사용 스트립 투입 단계(803)에서 사용자는 소변분석 자판기의 스트립 투입구에 소변이 묻은 스트립을 투입한다.
부가정보 입력 단계(805-809)에서, 사용자의 나이, 성별, 키, 몸무게 등의 신체정보 등으로 이루어진 부가정보를 모바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예컨대 소변분석 자판기는 원격 관리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어플 설치 유무 및 회원가입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805). 회원 등록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아니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소변분석 자판기 상에 안내되어 있는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회원 등록하고 어플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며, 필요한 부가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807). 한편 이미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예),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소변분석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킴으로써 스마트폰과 소변분석 자판기가 블루투스 통신 링크로 서로 커플링되고, 미리 저장되어 있던 사용자의 신체 정보 등이 즉시 커플링되어 있는 소변분석 자판기로 전송됨으로써, 부가정보가 자동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809).
그런 다음 소변분석정보 생성 단계(811)에서, 소변분석 자판기는, 자판기 내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소변분석기준에 따라, 투입된 스트립 및 입력된 부가정보 둘 모두를 고려하여 소변분석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소변분석정보 제공 단계(81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소변분석정보는, 소변분석 자판기와 블루투스 통신링크를 통해 커플링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소변분석정보 제공 단계(813) 이후, 사용자로 하여금 추가로 온라인 상담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하도록 제공한다(815). 만약 소변분석정보의 내용이 별문제가 없다면 사용자는 온라인 상담을 선택하지 않을 것이다(아니오). 이 경우 소변분석은 그대로 종료된다(817).
반면에 만약 소변분석정보의 내용에 전문가와 상담이 요구된다는 평가가 포함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온라인 상담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예). 이 경우, 소변분석 자판기는 원격의 관리서버로 소변분석정보를 전송한다(819). 그러면, 관리서버는 소변분석정보와 관련된 사용자와 전문가 사이의 온라인 상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단(예컨대, 관리서버에 의해 지정된 전문가와 1:1 온라인 상담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웹페이지 링크)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과 동시에 관련 소변분석정보를 전문가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821). 그 결과, 사용자는 제공받은 웹페이지 링크에 접속함으로써, 지정된 전문가와 문자 또는 음성을 교환하여 실시간으로 상담할 수 있게 된다(823).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고,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Claims (10)

  1. 다수 사용자 접근가능 장소에 배치되어 건강 진단용 소변검사도구를 자동 판매하고 또한 투입된 소변 샘플로부터 소변분석정보를 자동 생성하도록 구성된 소변분석 자판기를 이용한,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으로서,
    소변분석 자판기가 사용자 결제에 따라 소변검사용 스트립을 개별 포장한 형태의 포장 스트립을 포함한 소변검사도구를 배출하는 소변검사도구 판매 단계;
    사용자가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로 소변이 묻은 소변검사용 스트립을 투입하는 소변검사용 스트립 투입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에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제외한 신체정보를 포함하는 소변분석용 부가정보를 입력하는 부가정보 입력 단계;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가, 미리 저장된 소변분석기준에 따라, 상기 소변검사용 스트립 투입 단계에서 투입된 스트립을 분석하고 입력된 부가정보와 연관시켜 소변분석정보를 생성하는 소변분석정보 생성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부가정보 입력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사용자 단말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형태의 상기 부가정보가 근거리 무선 통신링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로 전송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스캐닝하고, 상기 QR코드 또는 바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 다운로드를 위해 원격의 모바일 웹사이트에 접속하고, 해당 소변검사용 어플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어플에 의해 요구되는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상기 어플의 동작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된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로 출력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 입력 단계의 상기 부가정보는 이전 소변분석정보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질병 및 복용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분석정보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소변분석정보는,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링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소변분석정보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검사도구 판매 단계에서,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는 사용자가 신용카드, 체크카드, 교통카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결제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결제정보가 입력되면 대응하는 원격 결제서버와 통신함으로써 결제가 완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검사도구 판매 단계의 소변검사도구는 상기 소변검사용 스트립 이외에, 소변을 담을 수 있는 컵 형태의 소변 용기 또는 상기 소변검사용 스트립과 상기 소변 용기가 하나의 세트로 포장되어 있는 형태의 소변검사도구 세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분석정보 제공 단계 이후,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가 사용자로 하여금 추가로 온라인 상담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하도록 대기하고; 만약 상기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는 원격의 관리서버로 상기 소변분석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소변분석정보와 관련된 사용자와 전문가 사이의 온라인 상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단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온라인 상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
  7. 다수 사용자 접근가능 장소에 배치되어 건강 진단용 소변검사도구를 자동 판매하고 또한 투입된 소변 샘플로부터 소변분석정보를 자동 생성하도록 구성된 소변분석 자판기를 이용한,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결제에 따라 소변검사를 위해 소변을 묻히면 색깔이 변화하는 방식의 소변검사용 스트립을 개별 포장한 형태의 포장 스트립을 배출하는 소변분석 자판기, 및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 링크로 연결된 모바일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은 QR코드 또는 바코드를 스캐닝하고, 상기 QR코드 또는 바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 다운로드를 위해 원격의 모바일 웹사이트에 접속하고, 해당 소변검사용 어플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기능을 구비하며, 또한 상기 어플에 의해 요구되는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였다가 상기 어플의 동작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된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로 출력하는 방식으로 동작하고;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로 소변이 묻은 스트립이 투입되고, 또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제외한 신체정보를 포함하는 소변분석용 부가정보가 상기 모바일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로 전송되는 경우,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는, 미리 저장된 소변분석기준에 따라, 투입된 스트립의 색깔 변화를 감지하고 입력된 부가정보와 연관시켜 사용자 맞춤 소변분석정보를 생성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는, 생성된 사용자 맞춤 소변분석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모바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사용자 단말은 상기 소변분석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누적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분석 자판기는, 상기 사용자 맞춤 소변분석정보를 제공한 후, 사용자로 하여금 추가로 온라인 상담을 선택하는 명령을 입력하도록 대기하고 있다가, 만약 상기 명령이 입력되면, 원격의 관리서버로 상기 소변분석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소변분석정보와 관련된 사용자와 전문가 사이의 온라인 상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단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시스템.
KR1020180060862A 2018-05-29 2018-05-29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 및 시스템 KR102349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862A KR102349034B1 (ko) 2018-05-29 2018-05-29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862A KR102349034B1 (ko) 2018-05-29 2018-05-29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622A KR20190135622A (ko) 2019-12-09
KR102349034B1 true KR102349034B1 (ko) 2022-01-07

Family

ID=68837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862A KR102349034B1 (ko) 2018-05-29 2018-05-29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0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3423A (ko) 2022-02-16 2023-08-23 이명오 키오스크 타입 소변분석기와 이를 이용한 건강 예찰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550B1 (ko) * 2019-12-23 2020-09-04 (주)빅케어리저브 키오스크형 소변분석장치
KR102152551B1 (ko) * 2019-12-23 2020-09-04 (주)빅케어리저브 스트립자판기와 소변분석기가 일체화된 키오스크형 소변분석장치
KR102152552B1 (ko) * 2019-12-23 2020-09-04 (주)빅케어리저브 스트립 판매 및 소변검사가 가능한 일체형 키오스크 소변분석장치와 상기 소변분석장치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1180A (ko) 2004-03-11 2005-09-15 종 신 김 자판용 소변분석기
KR200436314Y1 (ko) 2007-03-21 2007-07-26 강은순 간이소변검사가 가능한 소변검사지 자판기
KR20090072639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케이티 체액 검사를 이용한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1500673B1 (ko) * 2011-10-26 2015-03-10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이동 통신 기기 및 건강 관리 방법
KR20130035267A (ko) * 2013-03-19 2013-04-08 강한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소변분석장치와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25629A (ko) * 2013-08-29 2015-03-11 서울대학교병원 환자맞춤형질환정보제공 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3423A (ko) 2022-02-16 2023-08-23 이명오 키오스크 타입 소변분석기와 이를 이용한 건강 예찰시스템
EP4231013A2 (en) 2022-02-16 2023-08-23 Myung Oh Lee Kiosk type urine analyzer and health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622A (ko) 201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9034B1 (ko) 소변분석 자판기 기반 사용자 맞춤 모바일 소변 분석 방법 및 시스템
US9945837B2 (en) Single-use handheld diagnostic test device, and an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test samples
KR101433570B1 (ko) 원격 의료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068338B1 (ko) 패키지 보관 약제의 복용을 상기시키는 쌍방향 리마인더 장치
US9390458B2 (en) Network for health management and mobile device controlled access
US200901871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consumable item usage and providing replenishment thereof
US10152702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nalyzing a medical condition
JP6755595B2 (ja) スポット尿を用いたヘルスケアシステム
KR20180106236A (ko) 네트워크 기반의 키오스크 타입 소변 검사 시스템 및 방법
CN114008715A (zh) 遗传相关用户账户的安全设立
KR20020092420A (ko) 생체정보 처리시스템, 단말장치, 생체정보 처리장치,생체정보 처리방법 및 프로그램
WO2010021061A1 (ja) 飲料容器
KR102572069B1 (ko) 피부진단 및 추천 기능을 갖는 화장품 무인 자동판매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무인 자동판매방법
KR102136218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건강정보 제공형 화장실 관리 시스템
WO2007132375A1 (en) Assay system and method
KR20170075324A (ko) 개인 생활 패턴 정보 기반의 심리 진단을 통한 심리 치유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12068155A (ja) 検査自動機及び検査自動機システム
KR20090072639A (ko) 체액 검사를 이용한 건강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20210003639A (ko) 메뉴 제공부가 구비된 관리 장치 및 관리 방법
JP2003252721A (ja) 化粧品調合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化粧品販売システム
JP2005157995A (ja) 情報収集方法
KR102216150B1 (ko) 벽 설치형 소변분석검사기기를 포함하는 소변분석검사시스템
JP4095864B2 (ja) 化粧品販売システムおよび化粧品の販売方法
KR20010000587A (ko) 통신시스템을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5224841B (zh) 一种网络智能荧光免疫定量检测管理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