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955B1 -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955B1
KR102348955B1 KR1020200078439A KR20200078439A KR102348955B1 KR 102348955 B1 KR102348955 B1 KR 102348955B1 KR 1020200078439 A KR1020200078439 A KR 1020200078439A KR 20200078439 A KR20200078439 A KR 20200078439A KR 102348955 B1 KR102348955 B1 KR 102348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electrode
sample
measuring
binding force
impreg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603A (ko
Inventor
이용민
변승우
박주남
송지훈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078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955B1/ko
Publication of KR20220000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58Investigating machinability by cutting tools; Investigating the cutting ability of too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01N3/42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by performing impressions under a steady load by indentors, e.g. sphere, pyramid
    • G01N3/46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by performing impressions under a steady load by indentors, e.g. sphere, pyramid the indentors performing a scratching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시료 고정 기구 내에 시료를 넣어서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고정된 시료를 전해액에 함침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함침된 시료를 마이크로 칼날로 목표 깊이까지 절삭 및 박리하여 결착력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료 고정 기구를 이용함으로써 복합전극이 건조된 상태가 아니더라도 액체상에 함침된 상태의 복합전극의 깊이 별 결착력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전지 상태에서의 복합 전극의 강건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강건 전극 설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방법{Method for measuring cohesion of impregnated composite electrode}
본 발명은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내부 결착력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기의 전원소자로써 리튬이차전지 적용범위는 소형 IT기기에서 전기자동차, 에너지저장장치와 같은 고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중대형기기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적용범위의 확대에 발맞추어 고에너지밀도 리튬이차전지 개발을 위해 cell, pack, module 기반에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고, 그 중에서도 전극 기반의 고에너지밀도를 달성하는 연구들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고에너지밀도 달성을 위한 노력으로는 대표적으로 전극 소재를 고용량 소재로 대체하거나, 바인더 또는 도전재와 같은 용량을 구현하지 못하는 소재의 함량을 최소화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고에너지밀도 달성을 위한 바인더의 함량 최소화는 복합전극의 결착특성과 같은 기계적인 물성의 저하를 야기한다. 예를 들어, 충방전 시에 복합전극과 집전체 간 박리현상 또는 복합전극 내 전극재의 박리에 따른 전극재의 고립현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현상들은 장기 신뢰성 확보가 필수적인 중대형 어플리케이션의 상용화 관점에서 큰 장애 요소가 될 수 있다.
때문에, 복합전극의 기계적 물성 특히 결착 특성 개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복합전극의 결착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분석기기와 기술이 필요한데, 이에 관한 연구가 제한적인 상황이다.
종래기술은 도1(a)와 같이 테이프를 붙였다 떼는 방법에 의해 결착력을 측정하는 peel test가 있으나, 테이프의 접착력 등에 따라 떨어져나가는 전극의 양이 달라서 측정 깊이를 제어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도1(b)와 같이 마이크로 칼날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용 복합 전극을 절삭, 박리하는 방법, 이를 이용한 복합 전극 내부 결착력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것이 있으나, 복합 전극 시료 고정법이 진공으로 한정되어 건조상태에서만 측정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한계를 극복하여 보다 완화된 조건으로도 복합전극의 결착력 및 접착력을 측정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82571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시료 고정 기구 내에 시료를 넣어서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고정된 시료를 전해액에 함침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함침된 시료를 마이크로 칼날로 목표 깊이까지 절삭 및 박리하여 결착력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료 고정 기구는, 가장자리에 수 개의 나사홀을 포함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나사로 고정되는 테두리부; 를 포함하고, 시료를 내부에 포함하여 고정된 상태로 시료의 결착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 상에 위치하는 복합전극;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전극은 활물질, 도전제 및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삭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집전체에 도달할 때까지 또는 측정하고자 하는 목표 깊이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박리는 마이크로 칼날이 수평 방향으로 움직여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착력을 측정하는 단계는 SAICAS(surface and interfacial cutting analysis systems)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SAICAS는 정하중 분석 또는 정속도 분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료 고정 기구를 이용함으로써 복합전극이 건조된 상태가 아니더라도 액체상에 함침된 상태의 복합전극의 깊이 별 결착력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해액에 함침되어 있는 실제 전지 상태에서의 복합 전극의 강건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강건 전극 설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종래기술의 복합전극 측정 방법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3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고정 기구의 이미지 및 모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과정의 모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과정의 이미지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과정의 이미지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침상태 및 비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깊이별 결착력 그래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전극의 함침시간에 따른 전해질 흡수율 및 두께 증가율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3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료 고정 기구의 이미지 및 모식도이다. 도3(a)는 시료 고정 기구의 평면도, 도3(b) 및 (f)는 측면도, 도3(c) 및 (e)는 배면도, 도3(d)는 저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과정의 모식도이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방법은, 시료 고정 기구 내에 시료를 넣어서 고정시키는 단계(S100); 상기 고정된 시료를 전해액에 함침시키는 단계(S200); 및 상기 함침된 시료를 마이크로 칼날로 목표 깊이까지 절삭 및 박리하여 결착력을 측정하는 단계(S300); 를 포함한다.
먼저, 시료 고정 기구 내에 시료를 넣어서 고정시킨다(S100).
상기 시료 고정 기구(sample holder)는 시료를 내부에 포함하여 고정된 상태로 시료의 결착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이다.
상기 시료 고정 기구는 상부가 개방된 원형 또는 다각형 용기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료 고정 기구는, 도3(가)와 같이, 가장자리에 수 개의 나사홀(30)을 포함하는 받침부(10); 및 상기 받침부(10)에 나사(40)로 고정되는 테두리부(2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0) 및 상기 테두리부(20)는 액체가 새지 않을 정도로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테두리부(20)는 상기 받침부(10)의 저면으로부터 나사홀(30)에 나사(40)를 끼워 넣어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시료 고정 기구 내에 시료를 넣어서 고정시키는 방법은, 예를 들어, 상기 시료 고정 기구 내부에 상기 시료를 상기 시료 고정 기구의 내부 면적과 동일한 크기가 되도록 알맞게 잘라서 넣거나, 알맞은 크기로 제조하여 넣을 수 있다(도3(나)).
또한, 상기 시료 고정 기구 내부 벽면(테두리부)에 시료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스프링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시료 고정 기구는 시료를 함침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으며, 시료를 고정시키는 방법도 시료 고정 기구의 형태 및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료 고정 기구는 고분자, 금속, 목재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시료를 적절하게 고정할 수 있는 강도와 성형 가공성을 가지고, 전해액이 상기 시료 고정 기구 외부로 새거나 침투하지 않도록 방수성이 있고, 상기 시료 및 전해액과 반응하지 않는 소재라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시료는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 상에 위치하는 복합전극;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전체는 알루미늄박(Al foil) 또는 구리박(Cu foil)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복합전극은 활물질, 도전제 및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물질은 양극 활물질 또는 음극 활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예를 들어,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로는 예를 들어, LiCoO2 등의 Li-Co계 복합 산화물LiNixCoyMnzO2 등의 Li-Ni-Co-Mn계 복합 산화물, LiNiO2 등의 Li-Ni계 복합 산화물 또는 LiMn2O4 등의 Li-Mn계 복합 산화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 또는 복수 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은 통상적으로 리튬 이온이 흡장 및 방출될 수 있는 탄소재, 리튬 금속 규소 또는 주석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탄소재 특히 흑연(graphit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흑연, 카본 블랙, 탄소 나노 튜브, 플루오로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산화아연, 산화 티탄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인더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PVDF-co-HFP),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fluoride, PVDF),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재생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산,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불소 고무 또는 폴리 아크릴산 (poly acrylic acid)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PVDF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된 시료를 전해액에 함침시킨다(S200).
상기 전해액은 리튬이온전지에서 리튬이온을 이동시키는 매개체이다.
상기 전해액은 염, 용매, 첨가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염은 LiPF6, LiBF4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용매는 EC/PC, DEC, DMC, EMC(MEC)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첨가제는 BP, CHB, VC, FE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실제 배터리 내부에서는 복합전극이 전해액에 함침되어 있는데, 복합전극의 결착력을 보다 실제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전해액에 함침된 상태의 복합전극으로 결착력을 측정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시료를 내부에 포함하는 시료 고정 기구에 전해액을 넣어 상기 시료를 함침시켜서 실제 배터리 내부의 환경과 비슷하게 만들 수 있다(도3(다)).
다음으로, 상기 함침된 시료를 마이크로 칼날로 목표 깊이까지 절삭 및 박리하여 결착력을 측정한다(S300).
상기 결착력을 측정하는 단계는 SAICAS(surface and interfacial cutting analysis systems)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도4).
SAICAS(surface and interfacial cutting analysis systems)는 다양한 기질에 대한 1μm 내지 1000μm 두께의 코팅층을 절삭 및 박리하면서 결착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SAICAS는 마이크로 칼날로 복합전극을 특정(목표) 깊이까지 절삭하고 집전체와 평행방향으로 복합전극을 박리시킬 때 걸리는 수평 방향의 힘을 측정하고 이를 복합전극의 결착력으로 환산한다. SAICAS는 peel test와는 다르게 복합전극의 특정 깊이까지 절삭 후 복합전극층을 박리시키기 때문에 특정 깊이 혹은 복합전극과 집전체간 계면에서의 정확한 결착특성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전극을 박리시키는 방향이 집전체와 평행하므로 복합전극의 절삭이 집전체와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지는 Microscratch test보다 실질적인 결착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SAICAS를 이용한 복합전극의 결착력 분석방법은 정하중 분석과 정속도 분석으로 나뉘어진다.
복합전극의 정하중 분석은 일정한 하중을 가진 마이크로 칼날이 일정 수직 및 수평 속도로(방향으로) 복합전극을 절삭하고 집전체에 도달하면 마이크로 칼날의 하중을 초기값보다 작게 수정하여 복합전극을 집전체로부터 박리시킨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칼날의 하중을 초기값 0.5N 에서 집전체 도달 후 0.2N으로 수정할 수 있다.
수정된 하중은 마이크로 칼날이 집전체를 절삭하지 못하게 함과 동시에 마이크로 칼날이 복합전극과 집전체의 계면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복합전극을 집전체로부터 박리시키고 이때 걸리는 수평방향 힘을 결착력으로 환산한다. 정하중 분석방법은 조도차가 없고 강성이 있는 기판이나 접합체를 구성하는 두 가지 층의 물성이 확연히 다른 경우 사용이 용이하다.
한편, 복합전극의 정속도 분석방법은 마이크로 칼날의 초기 설정된 수직 및 수평 방향 속도로 복합전극 층을 절삭 하다가 특정 깊이에서 칼날의 수직방향 절삭 속도를 0 μm/s으로 재설정하여 칼날이 수평방향으로만 움직여 복합 전극층을 박리시키고 이때 걸리는 수평방향 힘을 결착력으로 환산한다. 예를 들어, 초기 수직 속도 0.2μm/s, 수평속도 2μm/s 로 설정하여 절삭 하다가 목표 깊이에서 수직 속도 수직 속도 0μm/s, 수평속도 2μm/s 로 재설정하여 박리 할 수 있다.
정속도 분석방법은 기판의 강성이 낮고 복합전극 층 내 구성물질간의 결착력을 분석하는 경우 사용이 용이하다.
이때, 마이크로 칼날은 예리한 다이아몬드 칼날 또는 질화붕소 칼날일 수 있다.
실시예
먼저, 시료 고정 기구에 복합전극과 집전체를 포함하는 시료를 넣었다. 다음으로, 시료가 포함된 시료 고정 기구에 전해액을 넣어서 시료를 함침시켰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칼날로 상기 함침된 시료를 집전체 계면까지 절삭하였다. 다음으로 집전체 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박리하여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먼저, 복합전극과 집전체를 포함하는 시료를 진공으로 고정시켰다. 다음으로, 마이크로 칼날로 상기 시료를 집전체 계면까지 절삭하였다. 다음으로 집전체 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박리하여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과정의 이미지이다. 도5(a)는 마이크로 칼날로 함침상태의 복합전극을 절삭하여 집전체 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박리하는 이미지이고, 도5(b)는 함침상태 복합전극이 박리된 후의 이미지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과정의 이미지이다. 도6(a)는 마이크로 칼날로 건조상태의 복합전극을 절삭하여 집전체 계면에서 수평방향으로 박리하는 이미지이고, 도6(b)는 건조상태 복합전극이 박리된 후의 이미지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침상태 및 비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깊이별 결착력 그래프이다.
도7을 참조하면, 함침상태(wet)의 복합전극의 결착력이 비함침상태(dry)보다 훨씬 낮고, 이 두 상태에서의 결착력 경향이 매우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절삭 깊이 30μm 에서 보면 비함침상태의 결착력은 더 높아졌지만 함침상태의 복합전극의 결착력은 오히려 낮아졌는데, 이를 통해 그동안 진공 상태의 건조 상태에서 실시해 오던 복합전극의 내부 결착력은 실제 전지의 내부 결착력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복합전극의 깊이가 약 50μm 내지 60μm 이상부터는, 함침 상태에서 집전체와의 계면(interface)까지의 깊이가 더 확장되는 걸 알 수 있는데, 이는 복합전극이 전해액을 흡수 하여 두꺼워졌기 때문이다. 즉, 실질적인 결착력 측정을 위해서는 함침상태에서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전극의 함침시간에 따른 전해질 흡수율 및 두께 증가율 그래프이다.
도8을 참조하면, 복합전극의 함침시간이 증가할수록 무게 및 두께가 증가하여 전해액을 일부 흡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료 고정 기구를 이용함으로써 복합전극이 건조된 상태가 아니더라도 액체상에 함침된 상태의 복합전극의 깊이 별 결착력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해액에 함침되어 있는 실제 전지 상태에서의 복합 전극의 강건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강건 전극 설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받침부
20: 테두리부
30: 나사홀
40: 나사

Claims (8)

  1. 시료 고정 기구 내에 시료를 넣어서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고정된 시료를 전해액에 함침시키는 단계; 및
    상기 함침된 시료를 마이크로 칼날로 목표 깊이까지 절삭 및 박리하여 결착력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시료는, 집전체; 및 상기 집전체 상에 위치하는 복합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고정 기구 내에 시료를 넣어서 고정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시료 고정 기구는,
    가장자리에 수 개의 나사홀을 포함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나사로 고정되는 테두리부; 를 포함하고,
    시료를 내부에 포함하여 고정된 상태로 시료의 결착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전극은 활물질, 도전제 및 바인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력을 측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절삭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집전체에 도달할 때까지 또는 측정하고자 하는 목표 깊이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력을 측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박리는 마이크로 칼날이 수평 방향으로 움직여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력을 측정하는 단계는 SAICAS(surface and interfacial cutting analysis systems)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SAICAS는 정하중 분석 또는 정속도 분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방법.
KR1020200078439A 2020-06-26 2020-06-26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방법 KR102348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439A KR102348955B1 (ko) 2020-06-26 2020-06-26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439A KR102348955B1 (ko) 2020-06-26 2020-06-26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603A KR20220000603A (ko) 2022-01-04
KR102348955B1 true KR102348955B1 (ko) 2022-01-11

Family

ID=79342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439A KR102348955B1 (ko) 2020-06-26 2020-06-26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9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6263A (ja) 2008-05-16 2009-11-26 Daipura Uintesu Kk 材料の機械的特性の評価装置および切削装置
JP2013109853A (ja) 2011-11-17 2013-06-06 Toyota Motor Corp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101745283B1 (ko) 2015-11-30 2017-06-08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적층 세퍼레이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부재 및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727Y1 (ko) * 2012-03-29 2012-11-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스크래치 시험용 고정 지그
KR101982571B1 (ko) 2015-10-08 2019-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내 바인더 분포 측정방법
KR102222794B1 (ko) * 2016-02-15 2021-03-03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에스터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하드 코트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화상 표시 장치와 터치 패널
US10661528B2 (en) * 2016-10-24 2020-05-26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Separator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eparator
KR102128857B1 (ko) * 2018-02-06 2020-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경화성 조성물,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프라이머층 및 이를 포함하는 데코 필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6263A (ja) 2008-05-16 2009-11-26 Daipura Uintesu Kk 材料の機械的特性の評価装置および切削装置
JP2013109853A (ja) 2011-11-17 2013-06-06 Toyota Motor Corp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101745283B1 (ko) 2015-11-30 2017-06-08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적층 세퍼레이터,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용 부재 및 비수 전해액 이차 전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바인더 함량에 따른 Li(Ni0.5Co0.2Mn0.3)O2 전극의 접착력 및 전기화학 성능에 관한 연구’, 노영준 등, 전기화학회지 21(3), 2018, 47-54, 2018.8.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603A (ko)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34179B (zh) 具有穿孔的集电器的电极和包含其的锂二次电池
JP5262323B2 (ja) 多孔性保護膜付き負極、及び多孔性保護膜付き負極の製造方法
US10749172B2 (en) Electrode for energy storage devices
JP4454340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10749183B2 (en) Electrode for energy storage devices
KR20090023196A (ko)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및 전극의 제조 방법
CN115693028A (zh) 隔离膜与包含其的电化学装置及电子装置
US20150372274A1 (en) Separator coated with polymer and conductive salt and electrochemical device using the same
JP2018524784A (ja) 電極内のバインダー分布の測定方法
US20230307786A1 (en) Separator, preparation method of same,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same, and electrical device
EP3101708A1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101475734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KR101606958B1 (ko) 집전체,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차 전지
KR102348955B1 (ko) 함침상태 복합전극의 결착력 측정 방법
KR101619424B1 (ko) 전극탭과 전극리드의 접합부에 형성된 다공성 보호재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CN115362579A (zh) 一种双极性集流体、电化学装置及电子装置
CN113491029A (zh) 电芯及包含其的电化学装置和电子装置
KR20210130176A (ko) 에너지 저장 디바이스 전극용 박막 형성용 조성물
KR20010001828A (ko) 리튬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TWI761785B (zh) 多孔性載體以及電化學裝置隔離膜
EP3886232B1 (en) Press ji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US20230118224A1 (en) Separator, electrochemical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JP6997252B2 (ja) 多孔質担体および電気化学素子セパレータ
EP4160808A1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7212045A (ja) 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