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347B1 -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 - Google Patents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347B1
KR102348347B1 KR1020210039904A KR20210039904A KR102348347B1 KR 102348347 B1 KR102348347 B1 KR 102348347B1 KR 1020210039904 A KR1020210039904 A KR 1020210039904A KR 20210039904 A KR20210039904 A KR 20210039904A KR 102348347 B1 KR102348347 B1 KR 102348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uzzle
diagram
improving cognitive
cognitive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은영
Original Assignee
서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은영 filed Critical 서은영
Priority to KR1020210039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3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림, 문양 또는 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식하는 단위도(120)가 표면(110)과 저면(130)의 사이에 배치되며 단위테두리(140)와 단위측면(150)의 굴곡이 치합되어 서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단위 퍼즐(100);과 하나 이상의 상기 단위 퍼즐(100)이 상기 단위테두리(140)와 상기 단위측면(150)을 통해 서로 연접 결합되어 상기 단위도(120)가 일정한 의미를 갖게 결합되는 경우에 일군의 유의미한 그림, 문양 또는 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유의미 그룹(200);과 상기 단위 퍼즐(100)의 저면에서 상기 단위 퍼즐(100)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지지판(300);과 상기 베이스 지지판(300)의 테두리에서 내측 방향으로 상기 단위 퍼즐(10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어 상기 단위 퍼즐(100)가 외부 탈거가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배리어(400);와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의 모서리 부근에서 내측 방향에 상기 단위 퍼즐(100)과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 사이에 형성되는 픽업 공간부(500);를 포함하는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 { PUZZLE TEACHING AID ASSEMBLY FOR IMPROVING COGNITIVE HEALTH }
본 발명은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에 관한 것으로, 인지적, 정서적, 동작 능력을 향상시켜 치매발병의 방지 및 치매의 진행을 지연시키고, 사용자가 퍼즐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이미지 또는 사진을 자유롭게 그리거나 교체 가능하도록, 단위 퍼즐, 유의미 단위, 베이스 지지판, 베이스 배리어 및 픽업 공간부가 포함되는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치매란 의식이 청명한 상태에서 전반적인 인지기능의 장애를 나타내는 뇌질환으로 보통 만성 또는 진행성 뇌질환에 의해서 발생되며 기억, 사고, 이해, 계산, 학습, 언어 판단 등 다수의 고위 대뇌기능에 장애가 나타나는 증후군이다.
이러한 치매는 치료보다는 예방차원에서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이 방안이 될 수 있으며, 현재 치매관련 질환 예방을 위한 조치로서 뇌를 활성화하기 위한 퍼즐게임, 그림 그리기, 이야기하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각종 치매 예방 프로그램들은 고령자들의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고 있으며 대부분 획일적인 교육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72489호에서는 슬라이딩바들의 면접촉에 의해 형성된 나사홀에 여러 가지 색상이 입혀진 나사핀을 미리 준비된 도안에 맞추어 돌려 끼움으로써, 상기 도안을 인지함과 아울러 색상을 인지하여 여러 가지 색상의 나사핀들 중 구별하도록 하여 시각 인지능력 측정 및 발달에 도움을 주며, 상기 나사홀에 여러 가지 색상이 입혀진 나사핀을 도안에 맞게 정확한 위치에 삽입하도록 하여 공간 지각력 측정 및 발달에 영향을 주는 치매예방용 나사돌림기구가 제안된 바있으나, 상기 기술의 경우 도안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하여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진 못하였다.
따라서, 사용자의 강한 흥미를 유발시키도록 사용자가 원하는 그림 및 이미지를 자유롭게 그리거나 교체할 수 있는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의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하는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21-0029435호 (2021년03월16일 공개), 발명의 명칭 : 폐도자기를 활용한 퍼즐타일과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지적, 정서적, 동작 능력을 향상시켜 치매발병의 방지 및 치매의 진행을 지연시키고, 사용자가 퍼즐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이미지 또는 사진을 자유롭게 그리거나 교체 가능하도록, 단위 퍼즐, 유의미 단위, 베이스 지지판, 베이스 배리어 및 픽업 공간부가 포함되는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림, 문양 또는 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식하는 단위도(120)가 표면(110)과 저면(130)의 사이에 배치되며 단위테두리(140)와 단위측면(150)의 굴곡이 치합되어 서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단위 퍼즐(100)과 하나 이상의 상기 단위 퍼즐(100)이 상기 단위테두리(140)와 상기 단위측면(150)을 통해 서로 연접 결합되어 상기 단위도(120)가 일정한 의미를 갖게 결합되는 경우에 일군의 유의미한 그림, 문양 또는 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유의미 그룹(200)으로 치매 또는 뇌질환 환자에게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퍼즐을 하거나, 치매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단위 퍼즐(100)의 저면에서 상기 단위 퍼즐(100)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지지판(300)과 상기 베이스 지지판(300)의 테두리에서 내측 방향으로 상기 단위 퍼즐(10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어 상기 단위 퍼즐(100)가 외부 탈거가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배리어(400)와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의 모서리 부근에서 내측 방향에 상기 단위 퍼즐(100)과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 사이에 형성되는 픽업 공간부(500)로 상기 단위 퍼즐(100)을 용이하게 수용하도록 하는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베이스 지지판(300)과 접촉되는 상기 단위 테두리(140)가 상기 저면(130)과 평평하게 구비되어 상기 표면(110)에 위치하는 상기 단위 테두리(140)는 상기 표면(110) 보다 더 돌출되게 돌출 테두리(141)와 상기 유의미 단위(200)을 형성하는 상기 단위도(120)의 윤곽이 위치하는 곳에서는 상기 표면(110)과 평평한 돌출 제한 테두리(141a)로 퍼즐 난이도 조절이 용이하게 조절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퍼즐에 흥미를 유발하도록 하는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단위도(120) 방향에 위치한 표면저면(111)에는 상기 단위도(120)를 결합 고정하도록 제 1 결합요홈(111a)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상기 저면(130)의 상부면(131)에는 상기 단위도(120)를 결합 고정하도록 제 2 결합요홈(131a)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상기 단위도(120)의 상면과 저면에는 상기 제 1,2 요홈(111a,131a)에 삽입되도록 결합돌출라인(121)이 상기 상기 제 1,2 요홈(111a,131a)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 1,2 요홈(111a,131a)은 서로 수직되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표면(110)으로 퍼즐이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투명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단위도(120)가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표면(110)에는 필기구로 그림 또는 글자 작성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부로 돌출되게 점자표식(112)이 더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단위 퍼즐(100)의 상기 단위측면(150)은 상기 베이스 지지판(300)에 입설 가능하도록 일자평면으로 구비되며, 상기 일자평면으로 구비되는 상기 단위 퍼즐(100)의 상기 표면(110)의 상부면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입설표식(113)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 또는 그림을 통해 퍼즐에 흥미를 유발시켜 인지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초성(210), 중성(220) 및 종성(230)으로 1 조의 한글 글자로 구비되되, 상기 중성(220)은 형성하려는 한글 글자에 따라서 상기 초성(210)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중성(221)과 상기 초성(210) 우측 하부에 배치되는 하측중성(222)으로 구비되며, 상기 초성(210), 상기 중성(220) 또는 상기 종성(230)이 구비되는 상기 단위도(120)을 갖는 상기 단위 퍼즐(100)의 상기 표면(110)에는 한글 글자를 나타내는 돌출 점자표식(112)가 구비되는 상기 유의미 단위(200)로 인지능력 또는 시력이 떨어지는 사용자가 퍼즐을 사용할때에도 용이하게 퍼즐 교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길이 진행 방향을 따라 복수의 자석수용홈(410)이 구비되고, 상기 자석수용홈(410)에 수용되는 수용자석(420)을 통해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가 서로 연접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로 복수의 퍼즐 교구를 용이하게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는 먼저, 그림, 문양 또는 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식하는 단위도(120)가 표면(110)과 저면(130)의 사이에 배치되며 단위테두리(140)와 단위측면(150)의 굴곡이 치합되어 서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단위 퍼즐(1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상기 단위 퍼즐(100)이 상기 단위테두리(140)와 상기 단위측면(150)을 통해 서로 연접 결합되어 상기 단위도(120)가 일정한 의미를 갖게 결합되는 경우에 일군의 유의미한 그림, 문양 또는 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유의미 그룹(2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단위 퍼즐(100)의 저면에서 상기 단위 퍼즐(100)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지지판(3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지지판(300)의 테두리에서 내측 방향으로 상기 단위 퍼즐(10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어 상기 단위 퍼즐(100)가 외부 탈거가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배리어(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의 모서리 부근에서 내측 방향에 상기 단위 퍼즐(100)과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 사이에 형성되는 픽업 공간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지지판(300)과 접촉되는 상기 단위 테두리(140)는 상기 저면(130)과 평평하게 구비되되, 상기 표면(110)에 위치하는 상기 단위 테두리(140)는 상기 표면(110) 보다 더 돌출되게 돌출 테두리(141)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 테두리(141)는 상기 유의미 단위(200)을 형성하는 상기 단위도(120)의 윤곽이 위치하는 곳에서는 상기 표면(110)과 평평한 돌출 제한 테두리(141a)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면(110)은 상기 단위도(120) 방향에 위치한 표면저면(111)에는 상기 단위도(120)를 결합 고정하도록 제 1 결합요홈(111a)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상기 저면(130)의 상부면(131)에는 상기 단위도(120)를 결합 고정하도록 제 2 결합요홈(131a)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상기 단위도(120)의 상면과 저면에는 상기 제 1,2 요홈(111a,131a)에 삽입되도록 결합돌출라인(121)이 상기 상기 제 1,2 요홈(111a,131a)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 1,2 요홈(111a,131a)은 서로 수직되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면(110)는 투명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단위도(120)가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표면(110)에는 필기구로 그림 또는 글자 작성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표면(110)은 상부로 돌출되게 점자표식(112)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단위 퍼즐(100)의 상기 단위측면(150)은 상기 베이스 지지판(300)에 입설 가능하도록 일자평면으로 구비되며, 상기 일자평면으로 구비되는 상기 단위 퍼즐(100)의 상기 표면(110)의 상부면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입설표식(11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의미 단위(200)는 초성(210), 중성(220) 및 종성(230)으로 1 조의 한글 글자로 구비되되, 상기 중성(220)은 형성하려는 한글 글자에 따라서 상기 초성(210)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중성(221)과 상기 초성(210) 우측 하부에 배치되는 하측중성(222)으로 구비되며, 상기 초성(210), 상기 중성(220) 또는 상기 종성(230)이 구비되는 상기 단위도(120)을 갖는 상기 단위 퍼즐(100)의 상기 표면(110)에는 한글 글자를 나타내는 돌출 점자표식(11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는 길이 진행 방향을 따라 복수의 자석수용홈(410)이 구비되고, 상기 자석수용홈(410)에 수용되는 수용자석(420)을 통해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가 서로 연접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를 제공하여,
첫째, 그림, 문양 또는 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식하는 단위도(120)가 표면(110)과 저면(130)의 사이에 배치되며 단위테두리(140)와 단위측면(150)의 굴곡이 치합되어 서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단위 퍼즐(100)과 하나 이상의 상기 단위 퍼즐(100)이 상기 단위테두리(140)와 상기 단위측면(150)을 통해 서로 연접 결합되어 상기 단위도(120)가 일정한 의미를 갖게 결합되는 경우에 일군의 유의미한 그림, 문양 또는 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유의미 그룹(200)으로 치매 또는 뇌질환 환자에게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퍼즐을 하거나, 치매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단위 퍼즐(100)의 저면에서 상기 단위 퍼즐(100)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지지판(300)과 상기 베이스 지지판(300)의 테두리에서 내측 방향으로 상기 단위 퍼즐(10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어 상기 단위 퍼즐(100)가 외부 탈거가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배리어(400)와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의 모서리 부근에서 내측 방향에 상기 단위 퍼즐(100)과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 사이에 형성되는 픽업 공간부(500)로 상기 단위 퍼즐(100)을 용이하게 수용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베이스 지지판(300)과 접촉되는 상기 단위 테두리(140)가 상기 저면(130)과 평평하게 구비되어 상기 표면(110)에 위치하는 상기 단위 테두리(140)는 상기 표면(110) 보다 더 돌출되게 돌출 테두리(141)와 상기 유의미 단위(200)을 형성하는 상기 단위도(120)의 윤곽이 위치하는 곳에서는 상기 표면(110)과 평평한 돌출 제한 테두리(141a)로 퍼즐의 난이도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상기 단위도(120) 방향에 위치한 표면저면(111)에는 상기 단위도(120)를 결합 고정하도록 제 1 결합요홈(111a)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상기 저면(130)의 상부면(131)에는 상기 단위도(120)를 결합 고정하도록 제 2 결합요홈(131a)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상기 단위도(120)의 상면과 저면에는 상기 제 1,2 요홈(111a,131a)에 삽입되도록 결합돌출라인(121)이 상기 상기 제 1,2 요홈(111a,131a)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 1,2 요홈(111a,131a)은 서로 수직되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표면(110)으로 접촉 면적을 넓혀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투명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단위도(120)가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표면(110)에는 필기구로 그림 또는 글자 작성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부로 돌출되게 점자표식(112)이 더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단위 퍼즐(100)의 상기 단위측면(150)은 상기 베이스 지지판(300)에 입설 가능하도록 일자평면으로 구비되며, 상기 일자평면으로 구비되는 상기 단위 퍼즐(100)의 상기 표면(110)의 상부면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입설표식(113)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 또는 그림을 통해 퍼즐에 흥미를 유발시켜 인지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초성(210), 중성(220) 및 종성(230)으로 1 조의 한글 글자로 구비되되, 상기 중성(220)은 형성하려는 한글 글자에 따라서 상기 초성(210)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중성(221)과 상기 초성(210) 우측 하부에 배치되는 하측중성(222)으로 구비되며, 상기 초성(210), 상기 중성(220) 또는 상기 종성(230)이 구비되는 상기 단위도(120)을 갖는 상기 단위 퍼즐(100)의 상기 표면(110)에는 한글 글자를 나타내는 돌출 점자표식(112)가 구비되는 상기 유의미 단위(200)로 인지능력 또는 시력이 떨어지는 사용자가 퍼즐을 사용할때에도 용이하게 퍼즐 교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퍼즐을 통해 언어 학습 교육이 가능한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곱째, 길이 진행 방향을 따라 복수의 자석수용홈(410)이 구비되고, 상기 자석수용홈(410)에 수용되는 수용자석(420)을 통해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가 서로 연접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로 복수의 퍼즐 교구를 용이하게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의 전체적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2 내지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의 단위 퍼즐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7 내지 10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의 단위 퍼즐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1 및 1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의 유의미 단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1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의 베이스 지지판와 베이스 베리어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17 내지 1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의 결합요홈과 결합돌출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3D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의 전체적인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2 내지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의 단위 퍼즐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7 내지 10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의 단위 퍼즐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1 및 1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의 유의미 단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3 내지 1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의 베이스 지지판와 베이스 베리어를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17 내지 1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의 결합요홈과 결합돌출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3D도면이며, 도 20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3D도면이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는 먼저, 그림, 문양 또는 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식하는 단위도(120)가 표면(110)과 저면(130)의 사이에 배치되며 단위테두리(140)와 단위측면(150)의 굴곡이 치합되어 서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단위 퍼즐(100)이 구비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상기 단위 퍼즐(100)이 상기 단위테두리(140)와 상기 단위측면(150)을 통해 서로 연접 결합되어 상기 단위도(120)가 일정한 의미를 갖게 결합되는 경우에 일군의 유의미한 그림, 문양 또는 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유의미 그룹(200)이 구비된다.
여기에, 상기 단위 퍼즐(100)의 저면에서 상기 단위 퍼즐(100)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지지판(3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지지판(300)은 아크릴 재질의 퍼즐 가이드판(310)과 베이스 저면(320)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퍼즐 가이드판(310)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단위 퍼즐(100)을 알맞은 위치에 놓을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그림을 용이하게 그리거나 지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지지판(300)의 테두리에서 내측 방향으로 상기 단위 퍼즐(10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어 상기 단위 퍼즐(100)가 외부 탈거가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배리어(4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는 베이스 베리어 표면(430)과 베이스 베리어 저면(440)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베리어 표면(430)은 인지 능력 향상을 위해 투명 재질로 구비되고, 상기 베리어 저면(440)은 연장 단위도(450)가 더 구비되어 상기 단위도(120)와 연결되어 그림, 사진 또는 한글 등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의 모서리 부근에서 내측 방향에 상기 단위 퍼즐(100)과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 사이에 형성되는 픽업 공간부(500)가 구비된다.
여기에, 상기 베이스 지지판(300)과 접촉되는 상기 단위 테두리(140)는 상기 저면(130)과 평평하게 구비되되, 상기 표면(110)에 위치하는 상기 단위 테두리(140)는 상기 표면(110) 보다 더 돌출되게 돌출 테두리(141)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 테두리(141)는 상기 유의미 단위(200)을 형성하는 상기 단위도(120)의 윤곽이 위치하는 곳에서는 상기 표면(110)과 평평한 돌출 제한 테두리(141a)로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표면(110)은 상기 단위도(120) 방향에 위치한 표면저면(111)에는 상기 단위도(120)를 결합 고정하도록 제 1 결합요홈(111a)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상기 저면(130)의 상부면(131)에는 상기 단위도(120)를 결합 고정하도록 제 2 결합요홈(131a)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상기 단위도(120)의 상면과 저면에는 상기 제 1,2 요홈(111a,131a)에 삽입되도록 결합돌출라인(121)이 상기 상기 제 1,2 요홈(111a,131a)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 1,2 요홈(111a,131a)은 서로 수직되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표면(110)은 투명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단위도(120)가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표면(110)에는 필기구로 그림 또는 글자 작성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표면(110)은 상부로 돌출되게 점자표식(112)이 더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단위 퍼즐(100)의 상기 단위측면(150)은 상기 베이스 지지판(300)에 입설 가능하도록 일자평면으로 구비되며, 상기 일자평면으로 구비되는 상기 단위 퍼즐(100)의 상기 표면(110)의 상부면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입설표식(113)이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의미 단위(200)는 초성(210), 중성(220) 및 종성(230)으로 1 조의 한글 글자로 구비되되, 상기 중성(220)은 형성하려는 한글 글자에 따라서 상기 초성(210)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중성(221)과 상기 초성(210) 우측 하부에 배치되는 하측중성(222)으로 구비되며, 상기 초성(210), 상기 중성(220) 또는 상기 종성(230)이 구비되는 상기 단위도(120)을 갖는 상기 단위 퍼즐(100)의 상기 표면(110)에는 한글 글자를 나타내는 돌출 점자표식(112)가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에,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는 길이 진행 방향을 따라 복수의 자석수용홈(410)이 구비되고, 상기 자석수용홈(410)에 수용되는 수용자석(420)을 통해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가 서로 연접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르는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를 이용하면, 그림, 문양 또는 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식하는 단위도(120)가 표면(110)과 저면(130)의 사이에 배치되며 단위테두리(140)와 단위측면(150)의 굴곡이 치합되어 서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단위 퍼즐(100)과 하나 이상의 상기 단위 퍼즐(100)이 상기 단위테두리(140)와 상기 단위측면(150)을 통해 서로 연접 결합되어 상기 단위도(120)가 일정한 의미를 갖게 결합되는 경우에 일군의 유의미한 그림, 문양 또는 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유의미 그룹(200)으로 치매 또는 뇌질환 환자에게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퍼즐을 하거나, 치매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상기 단위 퍼즐(100)의 저면에서 상기 단위 퍼즐(100)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지지판(300)과 상기 베이스 지지판(300)의 테두리에서 내측 방향으로 상기 단위 퍼즐(10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어 상기 단위 퍼즐(100)가 외부 탈거가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배리어(400)와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의 모서리 부근에서 내측 방향에 상기 단위 퍼즐(100)과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 사이에 형성되는 픽업 공간부(500)로 상기 단위 퍼즐(100)을 용이하게 수용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베이스 지지판(300)과 접촉되는 상기 단위 테두리(140)가 상기 저면(130)과 평평하게 구비되어 상기 표면(110)에 위치하는 상기 단위 테두리(140)는 상기 표면(110) 보다 더 돌출되게 돌출 테두리(141)와 상기 유의미 단위(200)을 형성하는 상기 단위도(120)의 윤곽이 위치하는 곳에서는 상기 표면(110)과 평평한 돌출 제한 테두리(141a)로 퍼즐의 난이도를 용이하게 조절하며, 상기 단위도(120) 방향에 위치한 표면저면(111)에는 상기 단위도(120)를 결합 고정하도록 제 1 결합요홈(111a)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상기 저면(130)의 상부면(131)에는 상기 단위도(120)를 결합 고정하도록 제 2 결합요홈(131a)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상기 단위도(120)의 상면과 저면에는 상기 제 1,2 요홈(111a,131a)에 삽입되도록 결합돌출라인(121)이 상기 상기 제 1,2 요홈(111a,131a)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 1,2 요홈(111a,131a)은 서로 수직되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표면(110)으로 접촉 면적을 넓혀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하며, 투명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단위도(120)가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표면(110)에는 필기구로 그림 또는 글자 작성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부로 돌출되게 점자표식(112)이 더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단위 퍼즐(100)의 상기 단위측면(150)은 상기 베이스 지지판(300)에 입설 가능하도록 일자평면으로 구비되며, 상기 일자평면으로 구비되는 상기 단위 퍼즐(100)의 상기 표면(110)의 상부면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입설표식(113)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 또는 그림을 통해 퍼즐에 흥미를 유발시켜 인지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초성(210), 중성(220) 및 종성(230)으로 1 조의 한글 글자로 구비되되, 상기 중성(220)은 형성하려는 한글 글자에 따라서 상기 초성(210)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중성(221)과 상기 초성(210) 우측 하부에 배치되는 하측중성(222)으로 구비되며, 상기 초성(210), 상기 중성(220) 또는 상기 종성(230)이 구비되는 상기 단위도(120)을 갖는 상기 단위 퍼즐(100)의 상기 표면(110)에는 한글 글자를 나타내는 돌출 점자표식(112)가 구비되는 상기 유의미 단위(200)로 인지능력 또는 시력이 떨어지는 사용자가 퍼즐을 사용할때에도 용이하게 퍼즐 교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퍼즐을 통해 언어 학습 교육이 가능하며, 길이 진행 방향을 따라 복수의 자석수용홈(410)이 구비되고, 상기 자석수용홈(410)에 수용되는 수용자석(420)을 통해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가 서로 연접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로 복수의 퍼즐 교구를 용이하게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0 ... 단위 퍼즐
110 ... 표면
111 ... 표면저면
111a ... 제 1 결합요홈
112 ... 점자표식
113 ... 입설표식
120 ... 단위도
121 ... 결합돌출라인
130 ... 저면
131 ... 상부면
131a ... 제 2 결합요홈
140 ... 단위테두리
141 ... 돌출 테두리
141a ... 돌출 제한 테두리
150 ... 단위측면
200 ... 유의미 단위
210 ... 초성
220 ... 중성
221 ... 우측중성
222 ... 하측중성
230 ... 종성
300 ... 베이스 지지판
400 ... 베이스 배리어
410 ... 자석수용홈
420 ... 수용자석
500 ... 픽업 공간부

Claims (8)

  1. 그림, 문양 또는 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식하는 단위도(120)가 표면(110)과 저면(130)의 사이에 배치되며 단위테두리(140)와 단위측면(150)의 굴곡이 치합되어 서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단위 퍼즐(100);
    하나 이상의 상기 단위 퍼즐(100)이 상기 단위테두리(140)와 상기 단위측면(150)을 통해 서로 연접 결합되어 상기 단위도(120)가 일정한 의미를 갖게 결합되는 경우에 일군의 유의미한 그림, 문양 또는 글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유의미 그룹(200);
    상기 단위 퍼즐(100)의 저면에서 상기 단위 퍼즐(100)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지지판(300);
    상기 베이스 지지판(300)의 테두리에서 내측 방향으로 상기 단위 퍼즐(10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어 상기 단위 퍼즐(100)가 외부 탈거가 방지되도록 구비되는 베이스 배리어(400); 및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의 모서리 부근에서 내측 방향에 상기 단위 퍼즐(100)과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 사이에 형성되는 픽업 공간부(500);를 포함하는,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지지판(300)과 접촉되는 상기 단위 테두리(140)는,
    상기 저면(130)과 평평하게 구비되되 상기 표면(110)에 위치하는 상기 단위 테두리(140)는 상기 표면(110) 보다 더 돌출되게 돌출 테두리(141)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테두리(141)는,
    상기 유의미 그룹(200)을 형성하는 상기 단위도(120)의 윤곽이 위치하는 곳에서는 상기 표면(110)과 평평한 돌출 제한 테두리(141a)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110)은,
    상기 단위도(120) 방향에 위치한 표면저면(111)에는 상기 단위도(120)를 결합 고정하도록 제 1 결합요홈(111a)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상기 저면(130)의 상부면(131)에는 상기 단위도(120)를 결합 고정하도록 제 2 결합요홈(131a)이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상기 단위도(120)의 상면과 저면에는 상기 제 1,2 요홈(111a,131a)에 삽입되도록 결합돌출라인(121)이 상기 상기 제 1,2 요홈(111a,131a)에 대응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 1,2 요홈(111a,131a)은 서로 수직되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110)는,
    투명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단위도(120)가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표면(110)에는 필기구로 그림 또는 글자 작성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110)은,
    상부로 돌출되게 점자표식(112)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단위 퍼즐(100)의 상기 단위측면(150)은 상기 베이스 지지판(300)에 입설 가능하도록 일자평면으로 구비되며, 상기 일자평면으로 구비되는 상기 단위 퍼즐(100)의 상기 표면(110)의 상부면에는 상부로 돌출되게 입설표식(11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의미 단위(200)는 초성(210), 중성(220) 및 종성(230)으로 1 조의 한글 글자로 구비되되 상기 중성(220)은 형성하려는 한글 글자에 따라서 상기 초성(210)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중성(221)과 상기 초성(210) 우측 하부에 배치되는 하측중성(222)으로 구비되며, 상기 초성(210), 상기 중성(220) 또는 상기 종성(230)이 구비되는 상기 단위도(120)을 갖는 상기 단위 퍼즐(100)의 상기 표면(110)에는 한글 글자를 나타내는 돌출 점자표식(112)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는 길이 진행 방향을 따라 복수의 자석수용홈(410)이 구비되고 상기 자석수용홈(410)에 수용되는 수용자석(420)을 통해 상기 베이스 배리어(400)가 서로 연접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
KR1020210039904A 2021-03-26 2021-03-26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 KR102348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904A KR102348347B1 (ko) 2021-03-26 2021-03-26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904A KR102348347B1 (ko) 2021-03-26 2021-03-26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347B1 true KR102348347B1 (ko) 2022-01-10

Family

ID=7934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904A KR102348347B1 (ko) 2021-03-26 2021-03-26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34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7785U (ko) * 1984-10-11 1986-05-09
KR200350647Y1 (ko) * 2003-12-24 2004-05-13 서민정 퍼즐식 유아용 카드놀이기구
KR20140120591A (ko) * 2013-04-03 2014-10-14 한국과학기술원 인지 발달 상태 증진 장치 및 방법
KR101715225B1 (ko) * 2015-03-30 2017-03-10 이준구 퍼즐 달력
KR20210029435A (ko) 2019-09-06 2021-03-16 사회적협동조합 상생 폐도자기를 활용한 퍼즐타일과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7785U (ko) * 1984-10-11 1986-05-09
KR200350647Y1 (ko) * 2003-12-24 2004-05-13 서민정 퍼즐식 유아용 카드놀이기구
KR20140120591A (ko) * 2013-04-03 2014-10-14 한국과학기술원 인지 발달 상태 증진 장치 및 방법
KR101715225B1 (ko) * 2015-03-30 2017-03-10 이준구 퍼즐 달력
KR20210029435A (ko) 2019-09-06 2021-03-16 사회적협동조합 상생 폐도자기를 활용한 퍼즐타일과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llar Visual experience or translation rules? Drawing the human figure by blind and sighted children
RU185375U1 (ru) Тренажер-куб с треугольными ячейками для занятий п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ю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восприятия у боль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ой клиники
Kennedy How the blind draw
RU199753U1 (ru) Тренажер-шахматная фигура для групповых коррекционно-развивающих занятий и тренировки зрительной памяти
RU179376U1 (ru) Магнитный куб-тренажер для занятий п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ю зрительно-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восприятия и памяти у боль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ой клиники
RU177258U1 (ru) Магнитный тренажер для занятий п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ю зрительно-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й памяти у боль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ой клиники
RU166674U1 (ru) Тренажер для занятий п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ю зрительной памяти и внимания у боль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ой клиники
JPH08511633A (ja) 触知パターン識別を利用する記号言語の教授及び伝達システム
KR102192379B1 (ko) 손끝으로 읽는 입체북
RU185361U1 (ru) Тренажер-тарелка для занятий п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ю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восприятия у боль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ой клиники
KR20100005645A (ko) 언어 재활 교구
RU185275U1 (ru) Тренажер-куб с квадратными ячейками для занятий п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ю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восприятия у боль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ой клиники
KR102348347B1 (ko) 인지건강 증진용 퍼즐 교구
RU187758U1 (ru) Тренажер-куб с линейными углублениями для занятий п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ю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восприятия у боль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ой клиники
CN204382930U (zh) 推拉式教学板
López Audio description as language development and language learning for blind and visual impaired children
RU185031U1 (ru) Тренажер-куб для занятий п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ю зрительно-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восприятия у боль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ой клиники
WO2019009694A1 (es) Mosaicos cuyos valores visuales son identificables al tacto, proceso de fabricación y método para su aplicación en obras de arte visuales producidas por invidentes
US4016660A (en) Educational system alphabet cards
RU185414U1 (ru) Тренажер-куб с окружностями для занятий п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ю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восприятия и мелкой моторики у боль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ой клиники
RU182366U1 (ru) Тренажер-планшет для групповых занятий п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ю нарушенных движений глаз и произвольного внимания у боль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ой клиники
RU176522U1 (ru) Устройство-тренажер для занятий по восстановлению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й деятельности у больных неврологической клиники методом анализа элементов таблицы
JP3048738U (ja) 文字学習パネルセット
Hottendorf Mainstreaming deaf and hearing children in dance classes
Walls THE PROBLEM OF VISUAL DIRECTION*: PART III. EXPERIMENTAL ATTACKS AND THEIR RESUL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