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218B1 - 다목적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218B1
KR102348218B1 KR1020200128918A KR20200128918A KR102348218B1 KR 102348218 B1 KR102348218 B1 KR 102348218B1 KR 1020200128918 A KR1020200128918 A KR 1020200128918A KR 20200128918 A KR20200128918 A KR 20200128918A KR 102348218 B1 KR102348218 B1 KR 102348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ate part
transport device
purpose transport
device characte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128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5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endless tracks 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8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dula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전원 공급에 따라 회전되어 이동되는 롤러부,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되며, 설정된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에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부의 형상을 변경하는 확장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다목적 운반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다목적 운반장치{TRANSPORT UNIT FOR MULTI-PURPOSE}
본 발명은 플레이트부의 형상이 변형되어 활용성이 증대된 다목적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목적 운반장치는 중량물을 다양한 경사로에서 안전하게 이동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화재진압, 군사정찰, 폭발물제거 등 위험하거나 제한된 공간에 투입되어 사람이 직접 작업하기 곤란한 임무 수행에 활용되고 있다.
다목적 운반장치는 전장, 테러 의심 지역에 설치된 폭발물을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군이나 경찰의 임무를 보조하여 활용될 수 있다. 다목적 운반장치는 원격에서 조종되어 폭박물 탐색 및 처리를 수행한다. 따라서 경찰의 소중한 생명을 보호할 수 있다.
다목적 운반장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성이다. 다목적 운반장치에 의하여 폭발물 또는 그 밖에 물건을 안전하게 옮기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다목적 운반장치는 그립퍼, 댐퍼 등이 기술 개량되고 있다. 그러나 안전성을 목적으로 한 이 다목적 운반장치의 기술 개량에서 놓치고 있던 부분이 있었는데, 이는 플레이트의 변경 가능성이다.
다목적 운반장치는 기본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된 플레이트에 물건을 위치시켜 운반한다. 그러나 평평하게 형성된 플레이트로 인하여 폭발물이 넘어지거나, 비탈진 경사로를 이동하지 못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되곤 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플레이트의 형상 변형이 필요한 경우 플레이트에 벽이 생겨서 폭발물을 지지하거나, 액상물이 담긴 물체를 지지 가능하다면, 다목적 운반장치의 활용 가능성이 증가될 것이고, 이는 결국 응용 활용성의 증가로 인하여 안전성도 담보될 것이다.
국내 등록특허 등록번호 10-1836080 국내 등록특허 등록번호 10-1624107
본 발명은 플레이트부의 형상의 다양한 변경을 가능하게 하여, 활용 가능성이 증가된 다목적 운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장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전원 공급에 따라 회전되어 이동되는 롤러부,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되며, 설정된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에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부의 형상을 변경하는 확장플레이트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메인부와 상기 메인부에서 상기 메인부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여서 상기 메인부와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부와 측면부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부에는 복수의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확장플레이트부는 플랫부와 상기 플랫부의 단부에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측면부와 맞닿으며, 고정홀이 형성되어서, 상기 연결홀과 고정홀에 고정수단이 위치되어 상기 확장플레이트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부는 복수의 피스로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각각의 피스는 피스톤과 연결되어서, 피스톤의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높이가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부의 각각의 피스는 일측이 제1피스톤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2피스톤과 연결되어 일측과 타측의 높이가 다르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부의 하측에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롤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부의 측면에는 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에는 슬라이딩플레이트가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가 인출되어 상기 플레이트부의 외측으로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부의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깊이 방향을 따라서 인입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인입홈에 상기 고정돌기가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는 박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부에는 댐퍼홈이 형성되고, 상기 댐퍼홈에는 댐퍼돌기가 형성된 댐퍼부가 배치되어 상기 박스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플레이트부의 형상이 변형될 수 있어서 활용 가능성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레이트부는 다양한 홀 또는 홈 등이 형성되어 박스부, 그립퍼 등을 설치할 수 있어서 활용 가능성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의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장치의 프레임부와 플레이트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장치에 확장플레이트부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장치의 플레이트부가 변경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장치에 박스부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장치의 그립퍼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장치의 플레이트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장치는 프레임부(100), 롤러부(600), 플레이트부(20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00)는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장치의 기본 뼈대를 구성한다. 따라서 프레임부(100)를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 각각에 롤러부(600)와 플레이트부(200)가 설치될 수 있다. 롤러부(600)는 프레임부(100)의 하측에 위치되다. 롤러부(600)는 전원공급에 따라서 회전되어 이동되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롤러부(600)는 다양한 지형을 문제없이 이동하여야 하므로, 궤도바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부(200)는 프레임부(100)의 상측에 설치되고, 플랫한 형태로 형성된다. 플레이트부(200)의 상면에는 운반의 대상이되는 물품이 위치될 수 있다. 롤러부(600)의 동작에 따라 플레이트부(200)는 이동되어 물품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장치의 프레임과 플레이트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프레임부(100)는 메인부(110)와 연결부(120)로 구성될 수 있다.
메인부(110)는 4개의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바가 상호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사각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메인부(110)는 두 개의 길게 된 바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이 바의 양단을 약간 짧게 형성된 바가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20)는 메인부(11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연결될 수 있다. 즉, 연결부(120)는 메인부(110)의 길이가 긴 종방향과 길이가 짧은 횡방향 중 종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20)는 복수개가 대칭되는 형태로 메인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20)는 제1연결부(121), 제2연결부(12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121)는 메인부(110)의 중앙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2연결부(122)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1연결부(121)는 프레임부(100)의 측면부(220)를 지지하여 프레임부(10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연결부(122)는 메인부(110)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연결부(122)의 길이는 제1연결부(121)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부(100)에 고정수단이 결합될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연결부(122)에는 인입홀(123)이 형성될 수 있다. 인입홀(123)은 후술할 고정수단이 위치되어 확장플레이트의 결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플레이트부(200)는 베이스부(210)와 측면부(22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210)는 플랫한 형태로 형성된다. 측면부(220)는 베이스부(210)의 둘레에 베이스부(210)를 관통하는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210)와 측면부(220)는 'ㄱ'의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200)에는 인입홈(211), 댐퍼홈(212), 그립홈(213), 연결홀(221)을 포함한다.
인입홈(211)은 플레이트부(200)의 모서리에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 인입홈(211)은 베이스부(210)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다. 인입홈(211)은 후술할 박스부(400)의 고정돌기(410)와 연결될 수 있다.
댐퍼홈(212)은 플레이트부(200)의 인입홈(211)과 이격된 중앙측에 형성된다. 즉, 댐퍼홈(212)은 베이스부(210)에 형성된다. 댐퍼홈(212)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댐퍼홈(212)은 베이스부(210)의 중앙에서 이격된 위치에 사각형을 그리는 형태로 복수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연결홀(221)은 플레이트부(200)의 측면부(220)에 형성된다. 플레이트부(200)의 연통홀은 제2연결부(122)의 인입홀(123)과 연통되도록 배치된다. 연통홀과 인입홀(123)을 통하여 플레이트부(200)에 확장플레이트부(3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부(200)의 측면부(220)의 하측에는 보조롤러(650)가 설치될 수 있다. 보조롤러(650)는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장치의 이동을 보조한다. 일례로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장치가 단턱을 넘어서 이동되어야 하는 경우 보조롤러(650)는 단턱과 맞닿게 되고 이동 시 회전되어 플레이트부(200)가 단턱을 쉽게 넘도록 보조할 수 있다.
플레이트부(200)의 측면부(220)에는 라이트(66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장치의 정면, 즉, 보조롤러(650)가 배치된 부분에는 라이트(660)가 배치되어 전원 공급에 따라 빛을 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장치의 조작을 더욱 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부(200)의 측면에는 윈치(800)가 설치될 수 있다. 윈치(800)는 라이트(660)와 보조롤러(650) 사이에 위치되는 부분의 플레이트부(200)의 측면부(22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윈치(800)를 활용하여 물건 운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장치에 확장플레이트부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장치는 확장플레이트부(300)를 설치하여 플레이트부(200)의 면적을 확장할 수 있다. 즉, 확장플레이트부(300)는 플레이트부(200)에 연결되어 플레이트부(200)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확장플레이트부(300)는 플랫부(310)와 연장부(320)를 포함한다. 플랫부(310)는 평평한 형태로 형성된다. 확장플레이트부(300)는 플레이트부(200)의 양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랫부(310)는 플레이트부(200)에 연결되어 플레이트부(200)의 면적을 확장한다. 플랫부(310)의 전방측과 후방측에는 연장부(320)가 형성된다.
연장부(320)는 플랫부(310)가 플레이트부(200)의 측면에 정렬되어 위치되는 경우 측면부(220)와 맞닿도록 배치된다. 연장부(320)에는 고정홀(321)이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320)가 정렬되어 위치되면 고정홀(321)과, 연결홀(221)과, 인입홀(123)은 연통되어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홀들이 연통되면 각각의 연통된 부분에는 고정수단이 위치되어 확장플레이트부(300)를 플레이트부(200)에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320)에 형성된 고정홀(321)과 측면부(220)에 형성된 연결홀(221)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연장부(320)에 고정홀(321)은 이격되어 2개, 측면부(220)에 연결홀(221)은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중 하나의 고정홀(321)과 연결홀(221)만이 제2연결부(122)의 인입홀(123)과 연통될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고정홀(321)은 연결홀(221)과만 연통되고, 다른 하나의 고정홀(321)은 연결홀(221), 인입홀(123)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확장플레이트부(300)는 프레임부(100)와도 연결되어 견고하게 플레이트부(200)와 연결되며, 플레이트부(200)와만 연결되는 부분이 있으므로 연결이 용이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확장플레이트부(300)는 플레이트부(200)에 견고하면서, 쉽게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장치의 플레이트부가 변경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장치의 플레이트부(200)는 복수의 피스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 플레이트부(200)는 제1피스 내지 제9피스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피스는 높이부를 포함한다. 즉, 전술한 베이스부(210)가 상측에 위치되고, 베이스부(210)에 연결된 측면부(220)와 마찬가지로 분할된 베이스부(210)의 둘레에 높이부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상 전술한 프레임부(100)와 맞닿게 되는 높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홈이 형성되어 프레임부(100)와 맞닿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인 플레이트부(200)는 복수의 피스로 구분되어 실린더(700)의 동작에 따라서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피스 중 가운데 위치된 피스만을 남겨두고 이 피스를 중심으로 좌, 우, 상, 하에 위치된 피스를 피스톤이 상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운데 피스에는 좌, 우, 상, 하를 둘러싸는 벽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플레이트부(200)는 복수의 피스로 구성되고, 실린더(700)와 연결되어 각각의 피스가 독립적으로 이동되어 플레이트부(20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플레이트부(200)의 각각의 피스에 복수의 실린더(700)가 연결되어 플레이트부(200)의 형상은 더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하나의 피스의 일측에 실린더(700)가 연결되고 타측에 실린더(700)가 연결된 경우, 이 실린더(700)의 길이를 다르게 하면 하나의 피스는 경사져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각각의 피스에 연결된 실린더(700)의 길이를 다르게 하여 플레이트부(200)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활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장치에 박스부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장치는 박스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플레이트부(200)에는 박스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
박스부(400)는 프레임들이 사각의 직육면체의 뼈대를 형성하고, 각각의 면에는 유리 또는 내부가 관찰되는 합성수지가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박스부(400)의 하측은 사각의 형태로 형성되므로, 모서리를 포함한다. 그리고 박스부(400)의 하측 모서리에는 고정돌기(410)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410)는 전술한 프레임부(100)의 인입홈(211)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박스부(400)는 고정돌기(410)가 플레이트부(200)의 인입홈(211)에 인입되어 배치되는 것만으로 박스부(400)는 플레이트부(20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박스부(400)의 하측에는 댐퍼부가 설치될 수 있다. 댐퍼부는 탄성을 가지는 몸체부(420)를 포함하며, 몸체부(420)의 하측으로 댐퍼돌기(421)가 형성될 수 있다. 박스부(400)가 플레이트부(200)에 정렬되어 위치되면 댐퍼부는 전술한 플레이트부(200)의 댐퍼홈(212)에 대응되는 위치의 박스부(400)에 복수개 설치된다. 따라서 단순하게 박스부(400)를 정렬하여 플레이트부(200)에 위치시키면 댐퍼부도 자동으로 플레이트부(200)에 설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장치의 그립퍼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장치는 그립홈(213)이 플레이트부(200)에 형성되어 그립퍼(50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립퍼(500)는 수평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측에 두 개 이상의 홀이 이격되어 형성된다. 다목적 운반장치의 플레이트부(200)에는 그립퍼(500)의 홀과 대응되는 그립홈(213)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그립홈(213)은 전술한 프레임부(100)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또한, 실린더(700)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다목적 운반장치는 그립퍼(500)를 플레이트부(200)에 설치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장치의 플레이트부를 도시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다목적 운반장치의 플레이트부(200)에는 슬라이드홈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라이드홈은 플레이트부(200)의 측면들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드홈은 전술한 피스톤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 피스톤의 바닥보다 하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홈에는 슬라이딩플레이트(224)가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딩플레이트(224)는 일측에 절곡부가 형성되어 절곡부를 기준으로 절곡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플레이트(224)는 플레이트부(200)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다가 외측으로 인출된 후, 절곡부를 기준으로 절곡되어 플레이트부(200)의 측면에 수직의 벽을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드플레이트는 플레이트부(2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프레임부
110 : 메인부
120 : 연결부
121 : 제1연결부
122 : 제2연결부
123 : 인입홀
200 : 플레이트부
210 : 베이스부
211 : 인입홈
212 : 댐퍼홈
213 : 그립홈
220 : 측면부
221 : 연결홀
224 : 슬라이딩플레이트
300 : 확장플레이트부
310 : 플랫부
320 : 연장부
321 : 고정홀
400 : 박스부
410 : 고정돌기
420 : 몸체부
421 : 댐퍼돌기
500 : 그립퍼
600 : 롤러부
650 : 보조롤러
660 : 라이트
700 : 실린더
800 : 윈치

Claims (9)

  1.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전원 공급에 따라 회전되어 이동되는 롤러부;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되며, 설정된 형상을 가지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에 연결되어 상기 플레이트부의 형상을 변경하는 확장플레이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부는
    복수의 피스로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부의 각각의 피스는 피스톤과 연결되어서, 피스톤의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높이가 변경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메인부와 상기 메인부에서 상기 메인부의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둘레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여서,
    상기 메인부와 연결부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부와 측면부가 지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는 복수의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확장플레이트부는 플랫부와 상기 플랫부의 단부에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측면부와 맞닿으며, 고정홀이 형성되어서,
    상기 연결홀과 고정홀에 고정수단이 위치되어 상기 확장플레이트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에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의 각각의 피스는
    일측이 제1피스톤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2피스톤과 연결되어 일측과 타측의 높이가 다르게 변경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하측에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롤러가 배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의 측면에는 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에는 슬라이딩플레이트가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가 인출되어 상기 플레이트부의 외측으로 위치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의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깊이 방향을 따라서 인입홈이 형성되고,
    하부에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인입홈에 상기 고정돌기가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는 박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에는 댐퍼홈이 형성되고,
    상기 댐퍼홈에는 댐퍼돌기가 형성된 댐퍼부가 배치되어 상기 박스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반장치.
KR1020200128918A 2020-10-06 2020-10-06 다목적 운반장치 KR102348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918A KR102348218B1 (ko) 2020-10-06 2020-10-06 다목적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918A KR102348218B1 (ko) 2020-10-06 2020-10-06 다목적 운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218B1 true KR102348218B1 (ko) 2022-01-07

Family

ID=7935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918A KR102348218B1 (ko) 2020-10-06 2020-10-06 다목적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21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107B1 (ko) 2016-02-26 2016-05-25 주식회사 본부엠트론 중량물 이송을 위한 로봇이송장치
JP6136435B2 (ja) * 2013-03-25 2017-05-31 村田機械株式会社 自律移動装置
KR101836080B1 (ko) 2016-10-27 2018-04-19 대한민국 이동로봇
KR20200001835A (ko) * 2018-06-28 2020-01-07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운반차량 주행 시스템
KR102111536B1 (ko) * 2019-07-15 2020-05-15 주식회사 오디텍 수하물 정렬감지가 가능한 물류 이송로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36435B2 (ja) * 2013-03-25 2017-05-31 村田機械株式会社 自律移動装置
KR101624107B1 (ko) 2016-02-26 2016-05-25 주식회사 본부엠트론 중량물 이송을 위한 로봇이송장치
KR101836080B1 (ko) 2016-10-27 2018-04-19 대한민국 이동로봇
KR20200001835A (ko) * 2018-06-28 2020-01-07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운반차량 주행 시스템
KR102111536B1 (ko) * 2019-07-15 2020-05-15 주식회사 오디텍 수하물 정렬감지가 가능한 물류 이송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352502T1 (de) Automatisches regallager
ES2110567T3 (es) Bastidor de almacenamiento con chasis moviles.
KR102348218B1 (ko) 다목적 운반장치
WO2022156780A1 (zh) 一种货箱搬运系统和机器人
KR101807350B1 (ko) 에너지 저장 장치용 컨테이너
ATE146746T1 (de) Zusammenklappbarer artikelträger mit abgeschrägter seitenwandecken
ES1050425U (es) Bandeja para aplicaciones logisticas.
US2764377A (en) Extensible pallet
KR101530784B1 (ko) 확장 가능한 운반카트
CN212447621U (zh) 一种物流传递支架
CN105888072A (zh) 一种新型活动板房
JP2008100726A (ja) フォークリフト用のパレット
JP3201210U (ja) 梱包材及び梱包体
KR20170000772U (ko) 트롤리
US2974917A (en) Pallet
KR100383060B1 (ko) 절첩식 콘테이너 하우스
JP2016088607A (ja) 収容ラック
EP1860036B1 (en) Pallet intended for transport of long elements, especially plastic sections
CN114074891B (zh) 一种土木建筑用吊运装置
KR20200125111A (ko) 측면 결합수단을 구비한 운반대차
CN217673915U (zh) 一种防脱落的高稳定性立库用托盘
EP3081503A1 (en) Assemblable pallet
CN208986435U (zh) 一种配电箱
CN219077853U (zh) 一种蒸压粉煤灰砖抱砖机架
CN212893543U (zh) 大型构件滑移运输装置及其滑移底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