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940B1 - 드론용 운반체 - Google Patents

드론용 운반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940B1
KR102347940B1 KR1020210075593A KR20210075593A KR102347940B1 KR 102347940 B1 KR102347940 B1 KR 102347940B1 KR 1020210075593 A KR1020210075593 A KR 1020210075593A KR 20210075593 A KR20210075593 A KR 20210075593A KR 102347940 B1 KR102347940 B1 KR 102347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drone
frame
plate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대철
Original Assignee
제이티드론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티드론협동조합 filed Critical 제이티드론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210075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B64D1/02Dropping, ejecting, or releas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64C2201/12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드론용 운반체는, 외각프레임(10)의 내측으로 운송물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A)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A)의 하부가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으로 나뉘어지는 바닥판(20)에 의해 차단되거나 개방되며, 드론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드론용 운반체에 관한 것으로, 운송물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A)의 하부가 제1 바닥판(21) 및/또는 제2 바닥판(22)에 형성되는 지지바(30)와 락부재(40)의 체결 유무에 따라 쉽게 차단되거나 개방되고, 수용공간(A)의 하부가 개방되어 운송물품이 수용공간(A)에서 낙하된 후에는 탄성지지체(60)에 의해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이 수용공간(A)의 하부를 차단하도록 복귀되면서 지지바(30)와 락부재(40)가 다시 체결되어 자동으로 수용공간(A)의 하부가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에 의해 차단되는 효과를 갖는 드론용 운반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드론용 운반체{carrier for drone}
본 발명은 운송물품이 내부에 탑재되고, 드론에 의해 정해진 목표지점으로 이동하여 운송물품을 전달하는 드론용 운반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드론(무인비행체)이 상용화되면서 카메라 촬영 등 다양한 분야에서 드론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드론은 전자상거래가 보편화됨에 따라 물택배와 같은 품 배송에 활용되어 관련 업계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중량이 상당하거나 부피가 큰 물품의 경우에는 종래의 운송수단을 활용하는 것이 불가피하지만, 소형이면서 부피가 작은 물품의 경우에는 굳이 종래의 운송장비와 인력을 활용하는 대신 드론을 이용함으로써 업무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택배 드론은 택배물을 싣거나 내려놓는 하역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메인바디의 하부에 소정의 그리퍼(Gripper)가 장착이 되거나, 하단에 후크 형태의 걸림기구가 매달인 와이어 승강장치를 구비한다.
그러나, 와이어 승강장치가 사용되는 종래의 택배 드론은 택배물을 내려놓을 때 사람이 수작업으로 와이어의 걸림기구에서 택배물을 분리하는 작업을 해주어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택배 드론은 택배물을 싣거나 내려놓는 하역 작업 시, 로터의 바람에 의해 와이어가 흔들려서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로터의 바람에 의해 와이어가 흔들리는 문제는 드론으로부터 근접한 위치에서 특히 심하게 발생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7-005727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송물품이 탑재되는 수용공간의 하부가 제1 바닥판과 제2 바닥판으로 분할되는 바닥판에 의해 개폐되게 하고, 제1 바닥판과 제2 바닥판이 회전에 의해 벌어지면서 수용공간의 하부가 개방되어 운송물품이 목표지점에 낙하되며, 이로 인해 운송물품을 하역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 없이도 운송물품을 목표지점에 정확히 전달할 수 있는 드론용 운반체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바닥판 및/또는 제2 바닥판에 형성되는 지지바와 락부재의 체결에 의해 운반체의 내부에서 운송물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의 하부가 쉽게 차단되거나 개방되게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공간의 하부가 개방되어 운송물품이 수용공간에서 낙하된 후에는, 탄성지지체에 의해 제1 바닥판과 제2 바닥판이 수용공간의 하부를 차단하도록 복귀되면서 지지바와 락부재가 다시 체결되어 수용공간의 하부가 제1 바닥판과 제2 바닥판에 의해 자동으로 차단되게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드론용 운반체는, 외각프레임에 의해 운송물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가 제1 바닥판과 제2 바닥판으로 나뉘어지는 바닥판에 의해 차단되거나 개방되며, 드론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드론용 운반체에 있어서,
제1 바닥판에 형성되고, 일단부는 제2 바닥판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가 상기 제1 바닥판과 제2 바닥판에 의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닥판과 제2 바닥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바; 및
상기 제2 바닥판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와 체결되어 상기 제1 바닥판과 제2 바닥판이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를 차단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락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바의 타단부에는 체결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닥판에는 상기 체결고리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락부재는, 상기 제2 바닥판의 상면에서 상기 관통공의 상측에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내부로 삽입되는 체결고리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체결고리와 체결되는 걸이체가 형성되며, 상기 걸이체와 상기 체결고리의 체결에 의해 상기 지지바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은,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외각프레임의 좌,우측 하부에 각각 연결되고, 제1 바닥판과 제2 바닥판이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의 체결고리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상기 고정판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서 상기 관통공의 상측에 상기 락부재가 구비되며, 지지바의 일단부는 제2 바닥판이 연결되는 고정판으로 연장되고, 체결고리가 상기 락부재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각프레임은, 상기 바닥판의 좌,우측에 배치되고, 지면에 안착하는 베이스프레임;
하부가 개방되는 "∩" 또는 "П"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후측부에 연결되며, 드론과 연결되는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
상기 전방프레임과 후방프레임에 연결되고, 좌우측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적어도 2개의 연결프레임; 및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되고, 하부에는 바닥판이 연결되며, 상부가 상기 연결프레임에 연결되는 측면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운반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운송물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의 하부가 제1 바닥판과 제2 바닥판으로 분할되는 바닥판에 의해 차단되고, 제1 바닥판과 제2 바닥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지지바가 바닥판 또는 고정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락부재의 체결에 의해 제1 바닥판과 제2 바닥판이 수용공간의 하부를 차단한 상태로 쉽게 유지되며, 지지바와 락부재와 락해제에 의해 제1 바닥판과 제2 바닥판이 벌어져 수용공간의 하부가 쉽게 개방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락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회전체를 원격으로 작동시켜 락부재의 락을 쉽게 해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운송물품이 목적지에 도달 시, 원격으로 락부재의 락을 해제하여 운송물품을 목적지에 정확하게 배송할 수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수용공간의 하부가 개방되어 운송물품이 수용공간에서 낙하된 후에는, 탄성지지체에 의해 제1 바닥면과 제2 바닥면이 수용공간의 하부로 회전하여 수용공간의 하부를 차단하고, 제1 바닥판과 제2 바닥판의 회전에 의해 지지바와 락부재가 체결되어 제1 바닥판과 제2 바닥판이 수용공간의 하부를 차단한 상태로 유지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운반체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운반체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운반체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운반체에 구비되는 락부재의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운반체의 락부재에 체결고리가 체결되어 지지바가 락된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운반체의 락부재에 체결고리가 락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운반체의 바닥판의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운반체에 구비되는 탄성지지체의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운반체의 전방프레임이 연결구에 의해 베이스프레임과 연결되는 결합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운반체의 수직프레임이 고정브라켓에 의해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되는 결합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운반체의 고정브라켓의 개략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운반체에 구비되는 배터리수용부의 개략도
도 14는 드론과 연결된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운반체의 사용상태도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운반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론용 운반체는, 외각프레임(10)에 의해 운송물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A)이 형성되고, 외각프레임(10)의 하부에는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으로 나뉘어지는 바닥판(20)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20)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A)의 하부가 차단되거나 개방되며, 드론(1)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드론용 운반체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20)은, 수용공간(A)의 내부에서 외각프레임(10)의 좌,우측 하부에 각각 연결되고, 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이 힌지(H)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판(23);을 포함하며, 제1 바닥판(21)에 고정되고, 일단부는 제2 바닥판(22)과 연결되는 고정판(23)으로 연장되며, 고정판(23)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체결고리(31)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A)의 하부가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에 의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바(30); 및 상기 제2 바닥판(22)에 연결되는 고정판(23)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30)의 체결고리(31)와 체결되며, 상기 지지바(30)를 고정시켜 상기 수용공간(A)의 하부가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에 의해 차단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락부재(40);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지지바(30)는 제2 바닥판(22)에 더 형성되고, 수용공간(A)의 하부가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에 의해 차단된 상태에서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지지바(30)가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2 바닥판(22)에 형성되는 지지바(30)는 제1 바닥판(21)과 연결되는 고정판(23)의 락부재(40)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판(23)의 하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측으로 절곡된 타단부는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의 하부를 지지하며, 수용공간(A)의 하측으로 회전하여 서로 벌어진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을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수용공간(A)의 하부를 차단하도록 하는 탄성지지체(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체(60)에 의해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이 상측으로 회전 시, 상기 지지바(30)의 일단부가 고정판(23)의 하부에 걸리거나, 지지바(30)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체결고리(31)가 고정판(23)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과하여 락부재(40)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론용 운반체는, 외각프레임(10)의 내측으로 운송물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A)이 형성되고, 수용공간(A)의 하부는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으로 분할되는 바닥판(20)에 의해 차단되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이 회전에 의해 벌어지면서 수용공간(A)의 하부가 개방되고, 바닥판(20)의 상부에 안착된 운송물품이 개방된 수용공간(A)의 하부를 통해 전달지점으로 낙하하는 것이다.
상기 외각프레임(10)은, 운송물품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A)을 형성하는 것으로, 다수 프레임의 연결에 의해 내측에 소정 부피의 수용공간(A)을 형성하고, 내부가 빈 하우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드론(1)에 직접 연결되거나 줄 또는 끈과 같은 연결수단에 의해 드론(1)에 연결될 수 있고, 드론(1)의 이동에 의해 전달지점까지 운송물품을 싣고 이동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A)은,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을 갖는 바닥판(20)에 의해 하부가 개폐되고, 하부가 바닥판(20)에 의해 차단된 상태에서, 수용공간(A)의 내부의 운송물품이 상기 바닥판(20)에 안착 및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외각프레임(10)은, 바닥판의 좌,우측에 배치되고, 지면에 안착하는 베이스프레임(11); 하부가 개방되는 "∩" 또는 "П"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1)의 전,후측부에 연결되며, 드론(1)과 연결되는 전방프레임(12a)과 후방프레임(12b); 상기 전방프레임(12a)과 후방프레임(12b)을 연결하고, 좌우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적어도 2개의 연결프레임(14); 및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1)에 연결되고, 상기 바닥판(20)의 고정판(23)이 하부에 연결되며, 상부가 상기 연결프레임(14)에 연결되는 측면프레임(1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각프레임(10)은, 하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1)에 연결되고, 상부는 드론(1)에 연결되는 수직프레임(1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수용공간(A)의 하부는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으로 분할되는 바닥판(20)에 의해 차단되고, 수용공간(A)의 하부에서 "ㅡ"자 형태로 펼쳐진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의 내측부가 수용공간(A)의 하측으로 회전하면서 서로 벌어져 수용공간(A)의 하부가 개방된다.
상기 바닥판(20)은, 수용공간(A)의 하부에서 측면프레임(13) 또는 베이스프레임(11)에 연결되는 고정판(23); 및 상기 고정판(23)에 힌지 결합하여 회전하는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을 포함한다.
즉, 외각프레임(10)의 좌,우측부에 배치되는 측면프레임(13)의 하부 또는 베이스프레임(11)에 고정판(23)이 연결되고, 제1 바닥판(21)의 좌측단부와 제2 바닥판(22)의 우측단부가 상기 고정판(23)에 각각 힌지(H) 결합하며, 수용공간(A)의 하부는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이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차단되고,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이 회전하여 서로 벌어지면서 수용공간(A)의 하부가 개방되는 것이다.
한편,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은 지지바(30)와 락부재(40)의 체결에 의해 수용공간(A)의 하부를 차단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의 하부에는 제2 바닥판(22)에 연결되는 고정판(23)과 제1 바닥판(21)에 연결되는 고정판(23)으로 연장되어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의 하부에서 서로 교차하는 지지바(3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23)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바(30)와 체결되어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이 지지바(30)에 의해 지지되어 "ㅡ"자 형태의 펼쳐진 상태로 유지 또는 고정하는 락부재(4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바닥판(21)에 형성되는 지지바(30)는 제2 바닥판(22)에 연결되는 우측 고정판(23)으로 연장되고, 제2 바닥판(22)에 형성되는 지지바(30)는 제1 바닥판(21)과 연결되는 좌측 고정판(23)으로 연장되며, 각각의 상기 지지바(30)는,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의 하부를 지지할 때,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의 하부에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바(30)의 일단부가 고정판(23)의 상부에 구비되는 락부재(40)에 각각 체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30)는 제1 바닥판(21) 또는 제2 바닥판(22)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 모두에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판(23)으로 연장되는 지지바(30)의 일단부에는 락부재(40)와 체결되는 체결고리(31)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바닥판(21) 및 제2 바닥판(22)과 힌지(H)로 연결되는 좌,우측 고정판(23)에는 상기 지지바(30)의 체결고리(31)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23)의 상부에서 상기 관통공(23a)의 상측에는 상기 체결고리(31)와 체결되어 락되면서 상기 지지바(30)를 고정시키는 락부재(40)가 구비된다.
따라서 수용공간(A)의 하부가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에 의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닥판(21)에 형성되는 지지바(30)는 제2 바닥판(22)을 지지하면서 우측 고정판(23)에 구비되는 락부재(40)에 체결되고, 상기 제2 바닥판(22)에 형성되는 지지바(30)는 제1 바닥판(21)을 지지하면서 좌측 고정판(23)에 구비되는 락부재(40)에 체결되며,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이 지지바(30)에 의해 지지되어 "ㅡ"자로 펼쳐져 수용공간(A)의 하부를 차단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락부재(40)는, 도 4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에는 체결고리(31)가 삽입되는 요홈부(42)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측걸이체(41a)와 상기 상측걸이체(41a)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하측걸이체(41b)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포크형태의 걸이체(41)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일측에는 상측걸이체(41a)와 체결되어 상기 걸이체(41)를 체결고리(31)의 상승방향에 교차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고리형태의 락지지체(4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락지지체(43)의 상부에는 상기 락지지체를 회전시켜 상기 상측걸이체(41a)와 락지지체(43)의 체결을 분리하여 상기 걸이체(41)의 락을 해제시키는 락해제스위치(44)가 형성되고, 상기 락부재(40)의 일측에는 외부의 신호에 따라 회전하여서 상기 락해제스위치(44)를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락부재(40)의 락해제작동을 일으키는 회전체(50)가 구비된다.
상기 락지지체(43)와 상기 락해제스위치(44)는 상하로 연결될 수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기 락지지체(43)와 상기 락해제스위치(44)가 일체로 형성될 경우, 락해제스위치(44)가 상부에 형성되어 락부재(4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락지지체(43)는 하부에 형성되어 락부재(4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락지지체(43)와 상기 락해제스위치(44) 사이에는 축에 연결된다.
상기 회전체(50)는,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 상기 신호수신부의 신호에 따라 공급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하고, 회전에 의해 락해제스위치(44)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는 회전바(51);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락부재(40)의 락작동에 대해 살펴보면,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이 수용공간(A)의 하부에서 "ㅡ"자 형태로 펼쳐지고, 상기 지지바(30)의 체결고리(31)가 고정판(23)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락부재(40)의 요홈부(42)로 삽입되어 상승하고, 상승하는 상기 체결고리(31)에 의해 걸이체(41)의 상측걸이체(41a)가 상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걸이체(41)가 상방으로 회전하며, 회전하는 상기 걸이체(41)의 하측걸이체(41b)에 체결고리(31)가 끼워져 체결되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걸이체(41a)는 체결고리(31)의 이동방향에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면서 락지지체(43)와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측걸이체(41a)와 락지지체(43)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걸이체(41)가 체결고리(31)와 체결된 상태로 락되며, 이로 인해 상기 지지바(30)가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고정되고, 제1 지지판과 제2 지지판이 수용공간(A)의 하부를 차단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락부재(40)의 락해제작동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에 의해 회전체(50)의 회전바(51)가 회전하여 락해제스위치(44)를 일방향으로 가압하고, 락해제스위치(44)가 일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락지지체(43)와 걸이체(41)의 상측걸이체(41a)의 체결이 해제되어 걸이체(41)의 락이 해제되며, 걸이체(41)가 하방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체결고리(31)가 하측걸이체(41b)에서 분리되며, 이로 인해 지지바(30)가 락부재(40)에서 분리되어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이 자중 또는 운송물품의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하면서 서로 벌어져 수용공간(A)의 하부가 개방되고, 운송물품이 수용공간(A)에서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론용 운반체는, 수용공간(A)의 하부가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이 "-"자 형태로 펼쳐져 차단되고, 지지바(30)가 락부재(40)에 의해 락됨으로써,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이 수용공간(A)의 하부를 차단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락부재(40)의 락해제작동에 의해 지지바(30)가 락부재(40)에서 분리되면,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의 내측부가 하측으로 회전하면서 베이스프레임(11) 또는 측면프레임(13) 방향으로 서로 벌어져 수용공간(A)의 하부가 개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고정판(23)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고정판(23)의 상부에 락부재(40)가 구비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관통공을 제1 바닥판(21)의 좌측부와 제2 바닥판(22)의 우측부에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락부재(40)는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의 상부에서 상기 관통공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은 고정판(23)없이 외각프레임(10)의 하부에 직접 힌지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그리고 상기 지지바(30)의 하부에는 소정 높이를 갖는 지지목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목은 고무, 실리콘,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 또는 나무 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특히 본 발명의 드론용 운반체가 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바(30)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지지해 줄 수 있고,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의 회전시, 운반체 또는 근접해 있는 물체에 상기 지지바(30)가 부딪칠 경우 이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켜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30)의 일단부에는 실리콘 재질의 보호캡이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론용 운반체는, 상기 고정판(23)의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체(61); 및 일단부가 상기 고정체(6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측으로 절곡된 타단부는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의 하부를 지지하며, 수용공간(A)의 하측으로 회전하여 서로 벌어진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을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측으로 회전시키는 탄성지지체(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지지체(60)의 일단부에는 롤러(62)가 구비될 수 있다.
락부재(40)의 락해제작동에 따라 상기 지지바(30)가 락부재(40)에서 분리되고,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이 하측으로 회전하여 서로 벌어지면서 수용공간(A)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지지체(60)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이 상측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이 수용공간(A)의 하부에서 "ㅡ"자로 펼쳐지면서 지지바(30)가 고정판(23)에 걸려 회전을 멈추거나, 상기 지지바(30)가 락부재(40)에 체결되어 수용공간(A)의 하부가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에 의해 다시 차단된다.
즉,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이 서로 벌어져 수용공간(A)의 하부가 개방된 후, 탄성지지체(60)에 의해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이 상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용공간(A)의 하부에서 "ㅡ"자로 펼쳐져 수용공간(A)의 하부를 차단하던 상태로 복귀하고,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이 복귀하면서 상기 지지바(30)가 락부재(40)에 체결됨으로써, 수용공간(A)의 하부가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에 의해 자동으로 차단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상기 탄성지지체(60)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체(6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소정 길이를 갖는 타단부가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의 하부를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지지체(60)는 상기 고정체 내부의 탄성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을 상측으로 가압한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체(60)는,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을 가압하는 타단부에 롤러(62)가 장착되고, 상기 롤러(62)에 의해 제1 바닥판(21) 및 제2 바닥판(22)의 하면에서 쉽고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운송물품이 수용공간(A)에서 낙하된 후, 상기 수용공간(A)의 하부를 개방하고 있는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이 탄성지지체(6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수용공간(A)의 하부를 차단하도록 상방으로 회전하고, 지지바(30)가 락부재(40)에 체결됨으로써, 수용공간(A)의 개방 후 수용공간(A)의 하부를 자동으로 다시 차단할 수 있고, 운반체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제1 바닥판(21), 제2 바닥판(22) 및 지지바(30)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제1 바닥판(21), 제2 바닥판(22) 및 지지바(30)가 운반체의 하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운반체의 전체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외각프레임(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의 좌,우측에 배치되고, 지면에 안착하는 베이스프레임(11); 하부가 개방되는 "∩" 또는 "П"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1)의 전,후측부에 연결되며, 드론(1)과 연결되는 전방프레임(12a)과 후방프레임(12b); 상기 전방프레임(12a)과 후방프레임(12b)에 연결되고, 소정 거리 이격되는 적어도 2개의 연결프레임(14); 및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1)에 연결되고, 상기 바닥판의 고정판(23)이 하부에 연결되며, 상부가 상기 연결프레임(14)에 연결되는 측면프레임(1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각프레임(10)은, 하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에 연결되고, 상부는 드론(1)에 연결되는 수직프레임(15);을 더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은 지면에 안착되고 프레임 전체를 지지하는 것으로, 고정판(23)의 좌측과 우측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고, 스폰지, 실리콘 또는 고무 등의 합성수지로 감싸져 지면에 안착할 때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바다 또는 호수 등 물 위에 안착할 경우를 위해 튜브 또는 부력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방프레임(12a,12b)은 가로바가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12)의 전,후단부는 상기 전,후방프레임(12a,12b)의 상부 또는 상기 가로바에 연결될 수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1)의 선단부에는 전방프레임(12a)이 연결구(8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1)의 후단부에는 후방프레임(12b)이 연결구(80)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결구(80)는, 일측은 전,후방프레임(12a,12b)에 연결되고, 타측은 베이스프레임(11)의 일측부를 감싸는 제1 연결구(81); 및 일측은 제1 연결구와 결합하면서 베이스프레임(11)의 타측부를 감싸고, 제1 연결구(81)와 연결되는 제2 연결구(82); 및 상기 제2 연결구(82)의 타측부로 삽입되고, 제1 연결구(81)를 통과하여 전,후방프레임(12a,12b)에 체결되는 볼트(83);를 포함한다.
따라서 연결구(80)가 볼트(83)에 의해 전,후방프레임(12a,12b)에 고정됨과 동시에 베이스프레임(11)에 전,후방프레임(12a,12b)이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하나의 상기 베이스프레임(11)의 중간부에는 2개의 측면프레임(13)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연결되고, 상기 측면프레임(13)은 상부로 갈수록 수용공간(A) 방향으로 기울어져 상부가 상기 연결프레임(14)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1)의 중간부에서 상기 측면프레임(13) 사이에는 드론(1)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15)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5)은 고정브라켓(90)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1)에 결합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90)은, 대략 "T"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가로방향의 머리부와 세로방향의 몸체부로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1)에 결합하고, 상기 몸체부에 상기 수직프레임(15)이 고정된다.
상기 고정브라켓(90)의 몸체부는 수직프레임(15)이 통과하는 지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에 수직프레임(15)이 억지끼움되어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공에서 말단부까지 중앙부가 절개될 수 있고, 절개되어 분할된 말단부에 볼트를 체결하며, 상기 볼트를 조여 지지공을 통과하는 수직프레임(15)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9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의 머리부(91a,92a)와 세로방향의 몸체부(91b,91b)를 갖는 "ㄱ"자 형상의 제1 고정브라켓(91) 및 제2 고정브라켓(92)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브라켓(91) 및 제2 고정브라켓(92)은, 내측면에 상기 수직프레임(15)의 외주연에 대응하는 형상의 지지홈(91c,92c)이 형성되고, 지지홈(91c,92c)이 상기 수직프레임(15)의 외주연을 감싸면서 내측면이 서로 마주하여 결합하며, 상기 몸체부(91b,92b)가 볼트 체결에 의해 결합하면서 지지홈(91c,92c) 내측의 수직프레임(15)을 가압하고, 상기 머리부(91a,92a)가 베이스프레임(11)에 볼트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직프레임(15)이 베이스프레임(11)에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1)의 중간부에 연결구(80)를 장착하고, 상기 수직프레임(15)에 장착된 상기 고정브라켓(90)을 상기 연결구(80)에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프레임(12a,12b) 및/또는 수직프레임(15)은 프로펠라가 말단부에 장착되는 드론(1)의 날개부와 결합하고, 측면프레임(13)은 드론(1) 몸체와 결합한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2개의 연결프레임(14) 사이에는 배터리수용부(70)가 구비된다.
상기 배터리수용부(70)는 드론(1)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전면(71) 또는 일면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다.
배터리수용부(70)는, 전면(71)의 일단부가 배터리수용부(70)의 좌측면과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또는 축 결합하고, 타단부는 배터리수용부(70)의 우측면과 자물쇠, 클립 또는 체결수단으로 결합한다.
따라서 배터리수용부(70)의 상측에 드론(1)이 배치될 경우, 배터리수용부(70)의 전면을 개방하여 배터리의 공급 또는 교환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드론용 운반체는, 운송물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A)의 하부가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으로 분리되는 바닥판(20)에 의해 개폐되고, 제1 바닥판(21) 및/또는 제2 바닥판(22)에 형성되는 지지바(30)와 락부재(40)의 체결 유무에 따라 수용공간(A)의 하부가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에 의해 쉽게 차단되거나 개방되며, 수용공간(A)의 하부가 개방되어 운송물품이 낙하된 후에는 탄성지지체(60)에 의해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이 수용공간(A)의 하부를 차단하도록 복귀되면서 지지바(30)와 락부재(40)가 다시 체결되어 자동으로 수용공간(A)의 하부가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에 의해 차단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드론 10 : 외각프레임
11 : 베이스프레임 12a,12b : 전,후방프레임
13 : 측면프레임 14 : 연결프레임
15 : 수직프레임 20 : 바닥판
21 : 제1 바닥판 22 : 제2 바닥판
23 : 고정판 23a : 관통공
30 : 지지바 31 : 체결고리
40 : 락부재 41 : 걸이체
42 : 요홈부 43 : 락지지체
44 : 락해제스위치 50 : 회전체
51 : 회전바 60 : 탄성지지체
70 : 배터리수용부 80 : 연결구
90 : 고정브라켓
A : 수용공간 H : 힌지

Claims (13)

  1. 외각프레임(10)에 의해 운송물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A)이 형성되고, 외각프레임(10)의 하부에는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으로 나뉘어지는 바닥판(20)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20)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A)의 하부가 차단되거나 개방되며, 드론(1)에 연결되어 이동하는 드론용 운반체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20)은, 수용공간(A)의 내부에서 외각프레임(10)의 좌,우측 하부에 각각 연결되고, 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이 힌지(H)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판(23);을 포함하며,
    제1 바닥판(21)에 고정되고, 일단부는 제2 바닥판(22)과 연결되는 고정판(23)으로 연장되며, 고정판(23)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체결고리(31)가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A)의 하부가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에 의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바(30); 및
    상기 제2 바닥판(22)에 연결되는 고정판(23)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30)의 체결고리(31)와 체결되며, 상기 지지바(30)를 고정시켜 상기 수용공간(A)의 하부가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에 의해 차단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락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운반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부재(40)는,
    상기 관통공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내부로 삽입되는 체결고리(31)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체결고리(31)와 체결되는 걸이체(41)가 구비되며, 상기 걸이체(41)와 상기 체결고리(31)의 체결에 의해 상기 지지바(30)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운반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락부재(40)는,
    체결고리(31)가 삽입되는 요홈부(42)가 하부에 형성되고, 상측걸이체(41a)와 하측걸이체(41b)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걸이체(41)가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요홈부(42)로 삽입되는 체결고리(31)에 의해 상측걸이체(41a)가 상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걸이체(41)가 회전하고, 회전에 의해 상기 걸이체(41)가 상기 체결고리(31)의 삽입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락되며, 상기 체결고리(31)가 하측걸이체(41b)에 끼워져 걸이체(41)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운반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락부재(40)는,
    상측걸이체(41a)와 체결되고, 상기 상측걸이체(41a)를 고정시켜 걸이체(41)를 고정시키는 락지지체(43); 및
    상기 락지지체(43)의 상부에 형성되고, 일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락지지체(43)와 상측걸이체(41a)의 체결을 해제시켜 걸이체(41)를 원위치로 이동되게 하는 락해제스위치(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운반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락해제스위치(44)의 작동에 의해 지지바(30)와 락부재(40)의 체결이 해제되고,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이 자중 또는 운송물품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회전하면서 서로 벌어져 수용공간(A)의 하부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운반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30)는 제2 바닥판(22)에 더 형성되고, 수용공간(A)의 하부가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에 의해 차단된 상태에서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지지바(30)가 서로 교차하면서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2 바닥판(22)에 형성되는 지지바(30)의 일단부에 체결고리(31)가 형성되고, 제1 바닥판(21)과 연결되는 고정판(23)의 상부에는 락부재(40)가 구비되며, 제2 바닥판(22)에 형성되는 지지바(30)의 체결고리(31)가 제1 바닥판(21)과 연결되는 고정판(23)의 락부재(40)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운반체.
  7. 제1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고정판(23)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의 하부를 지지하며,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을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하는 탄성지지체(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운반체.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닥판(21)과 제2 바닥판(22)은,
    수용공간(A)의 하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탄성지지체(60)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하면서 체결고리(31)가 락부재(40)에 체결되어 수용공간(A)의 하부를 차단하거나, 상기 탄성지지체(60)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하면서 지지바(30)의 일단부가 고정판(23)에 걸린 후 탄성지지체(60)의 가압력에 의해 수용공간(A)의 하부에서 "ㅡ"자 형태로 펼쳐저 수용공간(A)의 하부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운반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체(60)의 타단부에는 롤러(6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운반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각프레임(10)은,
    상기 바닥판(20)의 좌,우측에 배치되고, 지면에 안착하는 베이스프레임(11);
    하부가 개방되는 "∩" 또는 "П"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1)의 전,후측부에 연결되는 전방프레임(12a)과 후방프레임(12b);
    상기 전방프레임(12a)과 후방프레임(12b)에 연결되고, 소정 거리 이격되는 적어도 2개의 연결프레임(14); 및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11)에 연결되고, 하부에는 바닥판(20)이 연결되며, 상부가 상기 연결프레임(14)에 연결되는 측면프레임(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운반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14)에 하부가 연결되고, 상부는 개방되며, 내부에 배터리가 수용되고, 전면이 측면과 힌지 결합하여 개폐되는 배터리수용부(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운반체.
  12. 제10항에 있어서,
    하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1)에 연결되고, 상부는 드론(1)에 연결되는 수직프레임(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운반체.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락부재(40)의 일측에 형성되고, 외부의 작동신호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어 회전바(51)가 회전하며, 회전바(51)가 회전하면서 락해제스위치(44)를 일방향으로 밀어 락부재(40)의 락해제작동을 일으키는 회전체(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용 운반체.
KR1020210075593A 2021-06-10 2021-06-10 드론용 운반체 KR102347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593A KR102347940B1 (ko) 2021-06-10 2021-06-10 드론용 운반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593A KR102347940B1 (ko) 2021-06-10 2021-06-10 드론용 운반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940B1 true KR102347940B1 (ko) 2022-01-06

Family

ID=79347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593A KR102347940B1 (ko) 2021-06-10 2021-06-10 드론용 운반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94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368Y1 (ko) * 2000-08-01 2001-01-15 주식회사코삼 자동판매기용 랙의 상품낙하장치
KR20170057279A (ko) 2014-09-22 2017-05-24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보안 입력 메커니즘 기반 관리자 모드를 위한 방법
KR102062695B1 (ko) * 2019-05-31 2020-01-06 제이티드론협동조합 드론용 운반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368Y1 (ko) * 2000-08-01 2001-01-15 주식회사코삼 자동판매기용 랙의 상품낙하장치
KR20170057279A (ko) 2014-09-22 2017-05-24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보안 입력 메커니즘 기반 관리자 모드를 위한 방법
KR102062695B1 (ko) * 2019-05-31 2020-01-06 제이티드론협동조합 드론용 운반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803244B (zh) 一种用于仓储运输前端装卸料机构
KR101550168B1 (ko) 차량용 자전거캐리어
JP6779442B2 (ja) ドローン用荷物運搬容器とこれを搭載したドローン
US10384563B1 (en) Protection cover of battery box of electric vehicle
KR102347940B1 (ko) 드론용 운반체
KR102110911B1 (ko) 접이식 날개를 구비한 무인항공기
KR102062695B1 (ko) 드론용 운반체
US7942277B1 (en) Multi-saddle rack
CN109436308B (zh) 一种承载物可方便存取的轻型载物无人机
CN113544079A (zh) 起重机及其线缆卷筒
CN113148200A (zh) 一种悬吊式载物无人机及其控制方法
KR102340632B1 (ko) 드론 이착륙대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드론 캐리어
US20220025610A1 (en) Storage assembly for battery energizing switches of electric machines
CN108482233B (zh) 无人机收放跟踪控制车
CN113581779A (zh) 送货机器人
CN110667777B (zh) 一种应用于水下机器人的滑索式可折叠布放装置及其布放方法
KR20150107325A (ko) 중량물 운반 시스템
KR200479416Y1 (ko) 돈사에서 폐사된 돼지의 처리 및 다목적 이동장치
CN216468496U (zh) 一种具有多角度调控结构的物品投送用救援无人机
CN218368309U (zh) 一种折叠式农业无人机挂载装置
JP2694537B2 (ja) 小型無人ヘリコプタの運搬装置
PT84054B (pt) Aparelho para empilhar contentores de carga intermedios, pilha de contentores de carga intermedios e respectivo involucro exterior
CN218368302U (zh) 一种应用于无人机上的投放装置、吊具及无人机
GB2167634A (en) Header carrier frame control in a harvester
NL1029394C2 (nl) Inrichting voor het middels onderdruk aangrijpen, wielgestel daarvoor en werkwijze voor heffen van een voorwer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