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867B1 -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867B1
KR102347867B1 KR1020170037526A KR20170037526A KR102347867B1 KR 102347867 B1 KR102347867 B1 KR 102347867B1 KR 1020170037526 A KR1020170037526 A KR 1020170037526A KR 20170037526 A KR20170037526 A KR 20170037526A KR 102347867 B1 KR102347867 B1 KR 102347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ir
filter
uni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8976A (ko
Inventor
임현철
김종욱
민중기
김찬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KR1020170037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867B1/ko
Publication of KR20180108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31Electro-spu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에 위치되는 전면에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실내에 위치되는 후면에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 공급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유닛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다공성 나노 웹으로 형성되어 미세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유닛으로 구성되어 창틀이나 환기구에 설치가 가능하여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미세먼지 필터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WINDOW TYPE AIR CLEANING SYSTEM}
본 발명은 창틀에 설치되어 실외공기를 직접 정화하여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어 환기와 공기정화를 동시에 수행하는 창문형 공기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장치는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키고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켜 실내공기를 쾌적한 상태를 유지하는 장치이다.
최근 환경오염에 따른 대기 오염이 심각해지고 황사나 미세먼지의 발생이 증가하면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단순 환기만으로는 실내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실내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장치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정화장치는 이미 오염된 실내공기를 정화시키기 때문에 실내환경을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실외공기를 직접 정화한 후 실내로 공급하여 환기와 공기정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창문용 미세먼지 차단필터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104130(2016년 09월 05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창문틀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프레임 내부에 설치되어 실외공기를 정화하는 방진필터시트로 구성되고, 방진필터시트는 부직포 또는 면재질의 섬유질 시트이고, 미세먼지 및 황사의 유입을 차단하는 다공질 흡착재가 포함된다.
하지만, 종래의 창문용 미세먼지 차단필터는 공기가 자연 통풍에 의해 통과할 수 있는 통기도를 가져야 된다. 이 경우 비교적 입자가 작은 나노 사이즈의 미세 먼지를 필터링 할 수 없어 정화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시간이 경과하면 방진필터시트의 기공이 먼지 등으로 인하여 막히게 되므로 필터 교체를 자주 해야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104130(2016년 09월 05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틀에 설치되어 실외공기를 직접 정화하여 실내로 공급하여 환기와 공기정화를 동시에 수행하고, 나노 섬유 웹을 필터로 사용하여 입자가 작은 미세 먼지의 필터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공기정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 청소 기능을 구비하여 필터를 주기적으로 청소하여 필터링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필터 교체 주기가 늘어남에 따라 사용이 편리한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창틀뿐만 아니라 기존의 배기덕트, 배기구 또는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배기장치에 설치할 수 있어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은 실외에 위치되는 전면에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실내에 위치되는 후면에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 공급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유닛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다공성 나노 웹으로 형성되어 미세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전면에 외부로 노출된 필터유닛을 보호하는 보호부가 형성되고, 실내측에 위치되는 후면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외면에는 하우징을 창틀 또는 환기구에 설치하는 레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유닛은 하우징에 고정되는 모터와, 모터의 구동축에 장착되는 블레이드와, 블레이드의 전면에 설치되어 블레이드를 보호하고 공기를 실내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필터를 청소하는 청소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청소유닛은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필터유닛에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송풍유닛과 분사노즐 사이에 연결되어 송풍유닛에서 발생되는 송풍압을 분사노즐에 제공하는 공기통로와, 상기 공기통로에 설치되어 공기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송풍유닛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을 제어하고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닛은 전기 방사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기공을 갖는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의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필터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는 전기 방사 가능한 고분자 물질과 용매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방사용액을 만들고, 상기 방사용액을 전기 방사에 의해 방사하여 나노 섬유를 만들고, 상기 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미세 기공을 갖는 다공성 나노 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공기정화 시스템이 창틀에 설치되어 실외공기를 직접 정화하여 실내로 공급하여 환기와 공기정화를 동시에 수행하고, 나노 섬유 웹을 필터로 사용하여 입자가 작은 미세 먼지의 필터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공기정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 청소 기능을 구비하여 필터를 주기적으로 청소하여 필터링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필터 교체 주기가 늘어남에 따라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창틀뿐만 아니라 기존의 배기덕트, 배기구 또는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배기장치에 설치할 수 있어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 정화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청소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유닛의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나노 웹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공성 나노 웹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은 창틀이나 환기구 등에 설치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장착되어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유닛(36)과, 송풍유닛(36)과 마주보게 장착되고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유닛(34)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전면 및 후면이 각각 개방된 사각틀 형태이고, 실외에 위치되고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8)가 형성되는 실외측 하우징(16)과, 실내에 위치되고 정화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구(20)가 형성되는 실내측 하우징(14)을 포함하고, 하우징(10)의 외면에는 하우징(10)을 창틀 또는 환기구에 장착하는 레일부(1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실외측 하우징(16)의 전면에는 비교적 면적이 큰 이물질이 필터유닛(34)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필터유닛(34)을 보호하며 슬롯형태의 공기 유입구(18)가 형성되는 보호부(41)가 장착된다.
송풍유닛(36)은 실내측 하우징(14)의 내부에 십자형태로 설치되는 지지대(60)에 고정되는 모터(22)와, 모터(22)에 연결되어 모터(22)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블레이드(24)와, 블레이드(24)의 전면에 장착되어 블레이드(24)에서 송풍되는 공기를 실내로 가이드함과 아울러 블레이드(24)를 보호하는 가이드 부재(26)를 포함한다.
실내측 하우징(14)의 내면에는 필터유닛(34)이 삽입되는 필터 삽입부(28)가 형성되고, 하우징(10)의 배면 또는 측면에는 필터유닛(34)이 인출 및 인입되는 출입구가 형성되어 필터유닛(34)을 교체할 때 출입구를 통해 필터유닛(34)이 쉽게 인출될 수 있어 필터유닛(34)의 교체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하우징(32)의 내부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필터유닛(34)을 주기적으로 청소하는 청소유닛(80)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34)은 다공성 나노 웹을 사용하고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미세먼지, 황사 및 기타 유해물질이 다공성 나노 웹의 표면에 붙지 않고 외부의 바람에 의해 필터유닛(34)의 표면에서 자연스럽게 분리되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나노 입자 사이즈의 미세 먼지의 경우 필터유닛(34)의 기공에 쌓이게 되어 기공을 막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때, 필터유닛(34)의 표면에 부착된 먼지를 주기적으로 분리하여 필터유닛(34)의 필터링 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청소유닛(80)이 사용된다.
청소유닛(80)은 필터유닛(34)의 후방에 복수로 배치되어 필터유닛(34)에 공기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82)과, 송풍유닛(36)과 분사노즐(82) 사이에 연결되어 송풍유닛(36)에서 발생되는 송풍압을 분사노즐(82)에 제공하는 공기통로(84)와, 공기통로(84)에 설치되어 공기통로(84)를 개폐하는 개폐밸브(86)와, 송풍유닛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 및 개폐밸브(86)를 제어하는 제어유닛(88)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유닛(88)은 타이머(90)에 의해 공기정화 시스템의 작동 시간이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청소유닛(80)을 작동시켜 필터유닛(34)의 청소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청소유닛(80)은 공기정화 시스템의 작동시간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유닛(88)은 송풍유닛(36)을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개폐밸브(86)를 개방하여 실내공기를 공기통로(84)로 공급한다. 그러면 분사노즐(82)에서 공기를 필터유닛(34)의 후면에 분사하여 필터유닛(34)에 진동을 주어 필터유닛(34)의 표면에 쌓인 먼지를 떨어뜨리고, 필터유닛(34)의 역방향으로 공기가 통과하도록 하여 필터유닛(34)의 기공에 쌓인 먼지를 제거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필터유닛(34)이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공기정화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필터유닛(3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기공을 갖는 필터부재(52)와, 필터부재(52)의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필터부재(52)를 지지하는 지지부재(5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50)는 수지재질로 형성되고 필터부재(52)의 가장자리에 융착되거나 접합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필터부재(5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공성 나노 웹(53)으로 형성되고, 다공성 나노 웹(53)은 전기 방사 가능한 고분자 물질과 용매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방사용액을 만들고, 이 방사용액을 전기 방사 방법에 의해 방사하여 나노섬유(54)를 제조하고, 나노섬유(54)가 축적되어 미세 기공(56)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분자물질은 전기방사가 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면, 합성 및 천연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분자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물질 중에서 본 발명의 필터재료로 특히 바람직한 것은 폴리아크릴로 나이트릴(PAN),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에스테르 설폰(PES: Polyester Sulfone), 폴리스티렌(PS),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Poly Vinychloride), 폴리카보네이트 (PC, Poly carbonate), 폴리우레탄 (PU, polyurethane) 등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와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을 혼합하거나, PVdF와 PES, PVdF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PVC, PC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사 방법으로는 노즐이 장착된 상향타입, 하향타입 및 노즐이 없이 방사 가능한 Nozzleless 타입이 사용 가능하며, 전기분사나 원심전기방사, 플래쉬 전기방사, 펄스전기방사 및 버블전기방사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다공성 나노 웹(53)은 전기 방사방법으로 제조되므로 고분자 물질의 방사량에 따라 두께가 결정된다. 따라서, 다공성 나노 웹(53)의 두께를 원하는 두께로 만들기가 쉬운 장점이 있다.
따라서, 다공성 나노 웹(53)의 두께에 따라 기공수 및 기공의 평균 사이즈가 결정되므로 PM 2.5 이하의 미세 먼지를 필터링하기 적합한 기공 평균 사이즈를 제조할 수 있다.
나노 섬유(54)의 직경은 0.5~3㎛ 범위이고, 평균 기공의 크기는 0.2~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유닛(34)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다공성 나노 웹(53)은 빗물이 통과할 수 없는 기공 사이즈를 갖는다. 그리고 다공성 나노 웹(53)의 표면에는 발수 코팅층이 형성되어 빗물이 다공성 나노 웹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공성 나노 웹(53)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다공성 나노 웹(53) 표면에 스크래치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강도 보강층(58)이 적층될 수 있다.
강도 보강층(58)은 안료, 바인더 및 용매를 일정 비율로 혼합되고 다공성 나노 웹(52)의 표면에 도포된다. 강도 보강층(58)에 사용되는 안료는 검정 또는 컬러 색상의 안료를 사용하게 되는데, 안료의 사용량, 종류에 따라 다양한 색상, 톤을 구현할 수 있다.
강도 보강층(58)의 도포 방법은 그라비아 인쇄, 코팅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다공성 나노 웹(52)를 만드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전기 방사에 의해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강도 보강층(58)에는 다공성 나노 웹(52)의 강도를 강화시키는 바인더가 포함되어 다공성 나노 웹(52)의 표면 강도를 강화시켜 내스크래치성을 갖게 된다.
즉, 다공성 나노 웹(52)은 전기 방사방법에 의해 제조되어 나노섬유(54)가 축적된 형태이므로 나노섬유 사이에 기공(56)이 형성되고, 강도 보강층(58)이 나노섬유(54)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 도포되어 다공성 나노 웹(53)의 강도를 강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이나 소리의 압력에 다공성 나노 웹(53)이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기재(92)와, 다공성 기재(92)에 적층되고 전기 방사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나노 웹(nano web)(94)을 포함한다.
다공성 나노 웹(94)은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다공성 나노 웹(53)과 동일하다.
다공성 기재(92)는 써멀본드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케미칼본드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및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공성 기재는 부직포 이외에도 기공을 가지는 직물지, 스티로폼, 종이, 메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공성 기재와 다공성 나노 웹은 열에 의해 융착될 수 있고, 다공성 기재의 가장자리에 양면 접착 테이프를 형성하여 상호 접착될 수 있다.
이때, 다공성 나노 웹(94)의 두께는 1~5㎛이고, 공기투과도는 10~20 CFM이다.
다공성 기재(92)와 다공성 나노 웹(94)이 적층된 경우 다공성 기재의 두께에 따라 전체 두께가 달라질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기재(92)와, 다공성 기재(92)의 일면에 적층되고 전기 방사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기공을 갖는 제1다공성 나노 웹(95)과, 다공성 기재의 타면에 적층되고 전기 방사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제2다공성 나노 웹(96)을 포함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는 공기투과도는 7~15 CFM로서, 다공성 기재(92)의 양면에 각각 다공성 나노 웹이 적층되어 공기투과도는 저하되지만 필터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하우징 14: 실내측 하우징
16: 실외측 하우징 18: 공기 유입구
20: 공기 공급구 34: 필터유닛
36: 송풍유닛 50: 지지부재
52: 필터부재 53: 다공성 나노 웹

Claims (14)

  1. 전면 및 후면이 각각 개방된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지고, 실외에 위치되는 전면에 실외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실외측 하우징 및 실내에 위치되는 후면에 공기가 실내로 공급되도록 공기 공급구가 형성되는 실내측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공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송풍유닛;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다공성 나노 웹으로 형성되어 미세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는 하우징을 창틀 또는 환기구에 장착하기 위한 레일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실내측 하우징의 내부에 십자 형태로 설치되는 지지대에 고정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측 하우징의 내면에는, 상기 필터유닛의 교체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필터유닛이 삽입되는 필터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배면 또는 측면에는 상기 필터유닛이 인출 및 인입되는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유닛은 전기 방사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기공을 갖는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의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상기 필터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필터부재는 전기 방사 가능한 고분자 물질과 용매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방사용액을 만들고, 상기 방사용액을 전기 방사에 의해 나노 섬유를 만들고, 상기 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미세 기공을 갖는 다공성 나노 웹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공성 나노 웹의 표면에는 상기 나노섬유가 서로 만나는 지점에 안료, 바인더 및 용매를 일정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이 도포되어 형성되는 강도 보강층을 구비하는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상기 필터유닛을 청소하는 청소유닛을 더 포함하는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장착되는 블레이드와, 블레이드의 전면에 설치되어 블레이드를 보호하고 공기를 실내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유닛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필터유닛에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송풍유닛과 분사노즐 사이에 연결되어 송풍유닛에서 발생되는 송풍압을 분사노즐에 제공하는 공기통로;
    상기 공기통로에 설치되어 공기통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 및
    상기 송풍유닛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을 제어하고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70037526A 2017-03-24 2017-03-24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 KR102347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526A KR102347867B1 (ko) 2017-03-24 2017-03-24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526A KR102347867B1 (ko) 2017-03-24 2017-03-24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976A KR20180108976A (ko) 2018-10-05
KR102347867B1 true KR102347867B1 (ko) 2022-01-07

Family

ID=63878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526A KR102347867B1 (ko) 2017-03-24 2017-03-24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8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5232A (ko) 2022-09-08 2024-03-15 (주)엔티전기 공기 정화 필터 교체가 용이한 환기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51077B (zh) * 2018-10-29 2023-11-24 江苏欧迈机械工程有限公司 一种涂装车间空气净化装置
KR102308179B1 (ko) * 2019-08-06 2021-10-01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자동세척기능이 있는 전기집진기의 전처리 분진제거 필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0217A (ja) * 1996-11-27 1998-06-19 Fuji Kogyo Corp 換気装置
KR101500743B1 (ko) * 2008-11-13 2015-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0458368Y1 (ko) * 2009-03-25 2012-02-15 최구락 창틀고정용 환기장치
KR20130017658A (ko) * 2011-08-11 2013-02-20 동 규 김 환기장치
KR101747322B1 (ko) * 2014-03-18 2017-06-1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자연 환기형 멤브레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창호
KR20160104130A (ko) 2015-02-25 2016-09-05 (주) 드림에어 창문용 미세먼지 차단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5232A (ko) 2022-09-08 2024-03-15 (주)엔티전기 공기 정화 필터 교체가 용이한 환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976A (ko) 2018-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7866B1 (ko)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
KR102432767B1 (ko) 미세먼지 제거가 가능한 공기정화 시스템
KR102347867B1 (ko)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
US9689096B2 (en) Composite non-woven fibrous webs having continuous particulate phas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2429469B1 (ko) 미세먼지 차단이 가능한 스마트 환풍기
US7988860B2 (en) Superabsorbent-containing web that can act as a filter, absorbent, reactive layer or fuel fuse
CN110678619B (zh) 智能窗户及其驱动方法
KR101747322B1 (ko) 자연 환기형 멤브레인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창호
US9186608B2 (en) Process for forming a high efficiency nanofiber filter
JP2009526635A (ja) ファインファイバーと反応性、吸着性または吸収性微粒子とを含むウェブ
JP5978460B2 (ja) エアフィルタと、このエアフィルタを備えた空気清浄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40957B1 (ko) 공기정화 시스템을 구비한 스마트 창호
CN100484607C (zh) 可清洁的高效过滤介质结构及其应用
KR20210064154A (ko) 스탠드 타입 공기정화 시스템
CN107177934B (zh) 一种高透光防尘纱窗材料及纱窗的制备方法
KR102359553B1 (ko)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
KR102347869B1 (ko)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
JP2013188734A (ja) エアフィルタとこのエアフィルタを備えた空気清浄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064163B2 (ja) エアフィルタ濾材およびエアフィルタとこれを備えた空気清浄装置
KR20200076605A (ko) 운송수단용 공기정화 환기 시스템
KR102237649B1 (ko) 미세먼지 창문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14249892U (zh) 空气净化器
JP6145699B2 (ja) エアフィルタ濾材およびエアフィルタとそれを用いた空気清浄装置
JP6078784B2 (ja) エアフィルタ濾材とエアフィルタ、およびこのエアフィルタを装着した空気清浄装置と加湿機能付き空気清浄装置
KR20080095615A (ko) 공기 청정용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