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604B1 - 탄산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탄산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604B1
KR102347604B1 KR1020150084443A KR20150084443A KR102347604B1 KR 102347604 B1 KR102347604 B1 KR 102347604B1 KR 1020150084443 A KR1020150084443 A KR 1020150084443A KR 20150084443 A KR20150084443 A KR 20150084443A KR 102347604 B1 KR102347604 B1 KR 102347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ated water
carbon dioxide
pressure
passage
col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8126A (ko
Inventor
박정철
노용연
김도한
박시준
서영주
송민섭
김종민
강태경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4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604B1/ko
Publication of KR20160148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3/04787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4Mixing with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B01F2003/04893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는, 냉수가 저장된 저장 탱크, 이산화탄소가 저장된 이산화탄소 실린더, 냉수 공급로를 통해 상기 저장 탱크와 연결되고, 이산화탄소 공급로를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와 연결되며, 상기 냉수 및 이산화탄소가 유입되어 탄산수가 생성되는 탄산수 생성 유로, 상기 냉수 공급로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 탱크의 냉수를 상기 탄산수 생성 유로에 공급하는 펌프,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기 냉수 공급로 및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로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냉수의 압력에 따라 상기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 상기 탄산수 생성 유로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유로 압력 조절부 및 탄산수 생성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탄산수 생성 유로 내부의 압력이 목표농도에 따른 압력이 되도록 상기 유로 압력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탄산수 제조 장치{CARBONATTED WATER PRODUCING DEVICE}
본 발명은 탄산수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탄산수 제조장치는 용기와, 오리피스를 통해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로 구성되어 용기내에 오리피스를 통해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기포를 발생시키고 이 기포를 물에 녹여 탄산수를 제조한다.
그러나, 종래의 탄산수 제조장치는 탄산 가스의 농도를 선택하여 탄산수를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부드러운 탄산수를 원하거나 거친 탄산수를 원하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의 탄산수를 제공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미리 탄산수를 생성하여 별도의 저장 탱크에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탄산수가 제공되므로, 생성된 탄산수에서 농도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은 탄산수 정수기에 관한 것이나, 상술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498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의 탄산수를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농도의 탄산수를 공급할 수 있는 탄산수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바로 탄산수를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으며, 생성된 탄산수의 농도 변화를 줄일 수 있는 탄산수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는, 냉수가 저장된 저장 탱크, 이산화탄소가 저장된 이산화탄소 실린더, 냉수 공급로를 통해 상기 저장 탱크와 연결되고, 이산화탄소 공급로를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와 연결되며, 상기 냉수 및 이산화탄소가 유입되어 탄산수가 생성되는 탄산수 생성 유로, 상기 냉수 공급로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 탱크의 냉수를 상기 탄산수 생성 유로에 공급하는 펌프,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기 냉수 공급로 및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로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냉수의 압력에 따라 상기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 상기 탄산수 생성 유로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유로 압력 조절부 및 탄산수 생성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탄산수 생성 유로 내부의 압력이 목표농도에 따른 압력이 되도록 상기 유로 압력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로 압력 조절부는, 상기 탄산수 생성 유로에서 생성되어 탄산수 추출관으로 배출되는 상기 탄산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농도에 따라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탄산수 생성 유로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농도의 크기에 비례하여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폐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농도 및 상기 탄산수 생성 유로 내부의 압력에 따른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폐정도에 대한 룩 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산수 제조 장치는, 상기 탄산수 생성 유로 내부의 압력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피드백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피드백되는 상기 탄산수 생성 유로 내부의 압력과 상기 목표농도에 대응되는 압력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탄산수가 생성되는 유로 내부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의 탄산수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탄산농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탄산농도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농도의 탄산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바로 탄산수를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으며, 생성된 탄산수의 농도 변화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에 제공되는 레귤레이터에 냉수가 유입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레귤레이터의 부분 절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에 제공되는 레귤레이터에 냉수가 유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레귤레이터의 부분 절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가 사용될 것이며,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는 저장 탱크(10), 이산화탄소 실린더(20), 탄산수 생성 유로(30), 펌프(40), 레귤레이터(50), 유로 압력 조절부(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산수 제조 장치는 탄산수 추출관(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 탱크(10)에는 냉수가 저장될 수 있다. 저장 탱크(10)는 냉수 공급로(L1)에 의하여 탄산수 생성 유로(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냉수 공급로(L1)에는 펌프(40) 및 레귤레이터(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 탱크(10)에 저장된 냉수는 펌프(40)의 압력에 의해 레귤레이터(50)를 거쳐 탄산수 생성 유로(30)로 유입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실린더(20)는 내부에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이산화탄소 실린더(20)는 이산화탄소 공급로(L2)에 의하여 탄산수 생성 유로(30) 및 레귤레이터(5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 실린더(20)는 레귤레이터(50)에 의해 상기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탄산수 생성 유로(30)로 배출할 수 있다.
탄산수 생성 유로(30)는 저장 탱크(10)로부터 유입되는 냉수와 이산화탄소 실린더(20)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레귤레이터(50)를 통해 공급받을 수 있으며, 상기 공급된 냉수와 이산화탄소가 혼합되어 탄산수가 생성될 수 있다.
펌프(40)는 저장 탱크(10)와 레귤레이터(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펌프(40)는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일정한 전압이 인가될 수 있으며, 상기 전압에 의해 저장 탱크(10)에 저장된 냉수를 펌핑하여 레귤레이터(50)를 통해 탄산수 생성 유로(30)로 유입시킬 수 있다.
레귤레이터(50)는 이산화탄소 실린더(20)의 일측에 결합하고, 저장 탱크(10)의 냉수 공급로(L1) 및 이산화탄소 공급로(L2)와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펌프(40)에 의해 레귤레이터(50)를 통과하여 탄산수 생성 유로(30)로 공급되는 냉수의 압력에 의해 이산화탄소 실린더(20)에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탄산수 생성 유로(30)로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레귤레이터(50)를 통과하는 냉수의 압력은 탄산수 생성 유로(30)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에 비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레귤레이터(50)를 통과하는 냉수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레귤레이터(50)를 통해 탄산수 생성 유로(30)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레귤레이터(50)에 대해서는 이하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유로 압력 조절부(60)는 탄산수 생성 유로(3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로 압력 조절부(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산수 생성 유로(30)에서 생성되어 탄산수 추출관(80)으로 배출되는 탄산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61)일 수 있다.
여기서, 유로 압력 조절부(60)는 탄산수 생성 유로(30)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탄산수 생성 유로(3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밸브(61)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산수 생성 유로(3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주지의 어떤 압력 조절 수단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유량조절밸브(61)는 제어부(70)의 제어에 따라 개폐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탄산수 생성 유로(3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유량조절밸브(61)를 많이 닫을수록 탄산수 생성 유로(30) 내부의 압력의 크기는 커 질 수 있으며, 유량조절밸브(61)를 많이 개방할수록 상기 압력의 크기는 작아질 수 있다.
제어부(70)는 탄산수 제조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70)는 탄산수 생성 신호가 입력되면, 탄산수 생성 유로(30) 내부의 압력이 목표농도에 대응되는 압력이 되도록 유로 압력 조절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목표농도는 탄산수 생성 유로(30)에서 생성되는 탄산수의 탄산농도를 의미하며, 기 설정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탄산수 생성 유로(30) 내부의 압력의 크기가 소정의 압력값 이상이 되면, 탄산수 생성 유로(30)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와 냉수가 혼합되어 탄산수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의 크기가 커질수록 상기 냉수에 녹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산수 생성 유로(30) 내부의 압력이 4 bar 이상이 되면 탄산수가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압력의 크기가 커질수록 고농도의 탄산수가 생성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목표농도의 탄산수를 생성하기 위해 탄산수 생성 유로(30) 내부의 압력이 상기 목표농도에 따른 압력이 되도록 유로 압력 조절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70)는 유량조절밸브(61)의 개폐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탄산수 생성 유로(3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70)는 목표농도에 따른 압력이 탄산수 생성 유로(30)의 내부에 가해지기 위한 유량조절밸브(61)의 개폐정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개폐정도는 상기 목표농도의 크기에 반비례할 수 있다.
즉, 제어부(70)는 상기 목표농도가 커질수록 유량조절밸브(61)를 많이 닫을 수 있고, 상기 목표농도가 작아질수록 유량조절밸브(61)를 많이 개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70)는 목표농도 및 탄산수 생성 유로(30) 내부의 압력에 따른 유량조절밸브(61)의 개폐정도에 대한 룩 업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70)는 상기 룩 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유량조절밸브(61)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의 실시예는 기본적인 구성은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탄산수 생성 유로(30)의 내부의 압력을 정확하게 조절하기 위한 압력센서(9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압력센서(90)는 탄산수 생성 유로(30) 내부의 압력을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검출된 압력에 대응되는 압력값을 생성하여 제어부(7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압력센서(90)로부터 탄산수 생성 유로(30)의 압력값을 피드백받을 수 있으며, 상기 피드백된 압력값과 목표농도에 대응되는 압력의 차이에 기초하여 유로 압력 조절부(60)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70)는 상기 압력센서(90)로부터 피드백된 탄산수 생성 유로(30)의 압력값과 목표농도의 탄산수를 생성하기 위한 압력값의 차이에 따라 유량조절밸브(61)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7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에서는 탄산수 생성 유로(30)의 내부로 공급되는 냉수와 이산화탄소가 연속적으로 흐르면서 혼합되어 탄산수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생성된 탄산수는 탄산수 제조 장치 내에 저장되지 않고, 탄산수 추출관(80)을 통해 생성되는 즉시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는 생성된 상기 탄산수가 바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직수식 탄산수 제조 장치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성된 상기 탄산수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저장 공간이 필요하지 않다.
탄산수를 미리 생성하여 장치 내의 별도의 저장 공간에 저장하였다가 나중에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탄산수가 저장된 상태로 소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므로, 탄산수의 농도 변화가 초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의 탄산수를 공급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탄산수를 추출할 때마다 다른 농도의 탄산수가 공급되는 문제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탄산수를 생성하여 생성된 탄산수를 바로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으므로, 농도 변화없이 일정한 농도의 탄산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에 제공되는 레귤레이터에 냉수가 유입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레귤레이터의 부분 절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 장치에 제공되는 레귤레이터에 냉수가 유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레귤레이터의 부분 절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레귤레이터(50)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레귤레이터(50)는 이산화탄소 실린더(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이산화탄소 실린더(20)로부터 탄산수 생성 유로(30)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50)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본체(51), 내부 공간과 연통하도록 본체(51)의 측면부에 구비되는 냉수 입수구(52)와 냉수 출수구(53) 및 냉수 출수구(53)의 하측에 구비되고 이산화탄소 실린더(20)와 연결되는 이산화탄소 공급구(54)를 포함할 수 있다.
냉수 입수구(52)와 냉수 출수구(53)는 냉수 공급로(L1)와 각각 연결되며, 저장 탱크(10)의 냉수는 펌프(40)의 압력에 의하여 냉수 입수구(52)로 입수되고 냉수 출수구(53)를 통해 출수된다. 이때, 본체(51)의 내부 공간은 냉수가 흐르는 유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체(51)의 내부 공간에는 이산화탄소 실린더(20)를 개방 또는 밀폐시키는 핀(55)이 배치되며, 핀(55)은 이산화탄소 실린더(20)에 탄성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핀(55)에 외부 힘이 가해지면 상기 핀(55)이 눌리게 되고,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 실린더(20)가 개방되어 이산화탄소 공급구(54)를 통해 이산화탄소가 공급되며, 이산화탄소는 이산화탄소 공급구(54)와 연결된 이산화탄소 공급로(L2)를 통해 탄산수 생성 유로(30)로 공급된다.
핀(55)에 가해지는 외부 힘이 제거되면 이산화탄소 실린더(20)가 밀폐되며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의 공급이 중지되게 된다.
이때, 핀(55)에 가해지는 외부 힘이 제거되면, 핀(55)은 이산화탄소 실린더(20)의 내부 압력에 의하여 원래 위치(상기 핀(55)에 외부 힘이 가해지기 전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본체(51)의 내부 공간에는 핀(55)에 힘을 가하는 매개체로서 플런저(56)가 구비될 수 있다.
플런저(56)의 외부면과 본체(51)의 내부면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플런저(56)의 상측과 하측을 밀폐할 수 있으며, 플런저(56)의 하측에는 핀(55)이 배치될 수 있다.
플런저(56)에 외부 힘(즉, 본체(51)의 내부 공간에 흐르는 냉수의 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핀(55)에도 힘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실린더(20)는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체(51)의 내부 공간에 냉수가 유입되면, 냉수의 압력에 따라 플런저(56)가 핀(55)을 향하여 눌리게 되고,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 실린더(20)가 개방되어 이산화탄소 공급구(54)를 통해 이산화탄소가 공급되게 된다.
여기서, 플런저(56)가 핀(55)을 누르는 힘은 본체(51)의 내부 공간을 흐르는 냉수의 압력의 크기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즉, 냉수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크면 플런저(56)가 핀(55)을 상대적으로 세게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탄산수 생성 유로(30)에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냉수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작으면 플런저(56)가 핀(55)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누르게 되고, 이에 따라 탄산수 생성 유로(30)에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탄산수 생성 유로(30)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은 냉수의 압력에 영향을 받게 되므로, 펌프(40)의 작동에 의해 공급되는 냉수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냉수의 압력은 상기 펌프(4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영향을 받게 되므로, 결국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은 펌프(4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4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농도의 탄산수(예를 들어, 고농도, 중농도 저농도)를 공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 저장 탱크
20: 이산화탄소 실린더
30: 탄산수 생성 유로
40: 펌프
50: 레귤레이터
60: 유로 압력 조정부
61: 유로조절밸브
70: 제어부
80: 탄산수 추출관
90: 압력센서

Claims (8)

  1. 냉수가 저장된 저장 탱크;
    이산화탄소가 저장된 이산화탄소 실린더;
    냉수 공급로를 통해 상기 저장 탱크와 연결되고, 이산화탄소 공급로를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와 연결되며, 상기 냉수 및 이산화탄소가 유입되어 탄산수가 생성되는 탄산수 생성 유로;
    상기 냉수 공급로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 탱크의 냉수를 상기 탄산수 생성 유로에 공급하는 펌프;
    상기 이산화탄소 실린더의 일측에 결합하고, 상기 냉수 공급로 및 상기 이산화탄소 공급로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냉수의 압력에 따라 상기 이산화탄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레귤레이터;
    상기 탄산수 생성 유로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유로 압력 조절부; 및
    탄산수 생성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탄산수 생성 유로 내부의 압력이 목표농도에 따른 압력이 되도록 상기 유로 압력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압력 조절부는,
    상기 탄산수 생성 유로에서 생성되어 탄산수 추출관으로 배출되는 상기 탄산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농도에 따라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탄산수 생성 유로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농도의 크기에 비례하여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폐정도를 감소시키는 탄산수 제조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농도 및 상기 탄산수 생성 유로 내부의 압력에 따른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폐정도에 대한 룩 업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수 생성 유로 내부의 압력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피드백하는 압력센서; 를 더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압력 조절부는,
    상기 탄산수 생성 유로에서 생성되어 탄산수 추출관으로 배출되는 상기 탄산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를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로부터 피드백되는 상기 탄산수 생성 유로 내부의 압력과 상기 목표농도에 대응되는 압력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개폐정도를 조절하는 탄산수 제조 장치.


KR1020150084443A 2015-06-15 2015-06-15 탄산수 제조 장치 KR102347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443A KR102347604B1 (ko) 2015-06-15 2015-06-15 탄산수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443A KR102347604B1 (ko) 2015-06-15 2015-06-15 탄산수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126A KR20160148126A (ko) 2016-12-26
KR102347604B1 true KR102347604B1 (ko) 2022-01-07

Family

ID=57733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443A KR102347604B1 (ko) 2015-06-15 2015-06-15 탄산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6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027B1 (ko) 2012-05-01 2012-07-30 (주)대우건설 순환압력과 듀얼펌프를 이용한 고집적 막여과 이동 정수장치 및 방법
KR101307245B1 (ko) 2012-03-23 2013-09-11 주식회사 엠씨테크 급수밸브와 가스밸브가 연동 개폐되는 가스용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103B2 (ja) * 1991-07-25 1995-04-05 三浦工業株式会社 炭酸ガス中和装置
KR20100060219A (ko) * 2008-11-27 2010-06-0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탄산수 제조장치
KR20130044988A (ko) 2011-10-25 2013-05-03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탄산수 정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245B1 (ko) 2012-03-23 2013-09-11 주식회사 엠씨테크 급수밸브와 가스밸브가 연동 개폐되는 가스용해장치
KR101169027B1 (ko) 2012-05-01 2012-07-30 (주)대우건설 순환압력과 듀얼펌프를 이용한 고집적 막여과 이동 정수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126A (ko) 201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9825B2 (en) Flow rate control device
JP2022125287A (ja) 液体循環装置、及び液体吐出装置
MY190850A (en) Liquid material discharge device
US20230365393A1 (en) High ratio fluid control
US3352456A (en) Combined pressure regulating and cartridge piercing assembly
KR102347604B1 (ko) 탄산수 제조 장치
JP2013091281A (ja) ダンパ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8104983A (ja) 超微細気泡発生器及び超微細気泡発生システム
US10940447B2 (en) Control circuit for stopping the flow of fluid in a primary circuit, and related methods and devices
KR102394049B1 (ko) 탄산수 제조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62651B1 (ko) 탄산수 제조 장치
JP2002081561A (ja) 逆止弁構造
TWI274238B (en) Proportion controlling valve for pressure and flow rate
KR102385555B1 (ko) 탄산수 제조 장치
JPH11244757A (ja) 液体吐出装置
KR20160114786A (ko) 탄산수 제조 장치
KR102385172B1 (ko) 탄산수 제조 시스템
JP5264530B2 (ja) 炭酸ガス圧力調整器
JP2007152208A (ja) 液体供給システム
KR102473893B1 (ko) 탄산수 제조 장치
JP2681729B2 (ja) 薬液供給装置
JP7041466B2 (ja) オゾン水供給システム
JP2007267775A (ja) 泡混合装置
KR102374260B1 (ko) 탄산수 제조 장치
JP2007148512A (ja) 流量制御方法及び流量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