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787B1 - 펄스제어 인버터 일체형 흡수냉동기 - Google Patents

펄스제어 인버터 일체형 흡수냉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787B1
KR102346787B1 KR1020210059982A KR20210059982A KR102346787B1 KR 102346787 B1 KR102346787 B1 KR 102346787B1 KR 1020210059982 A KR1020210059982 A KR 1020210059982A KR 20210059982 A KR20210059982 A KR 20210059982A KR 102346787 B1 KR102346787 B1 KR 102346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unit
signal
control
col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팽정자
유경찬
Original Assignee
(주)씨엔에이치엔지니어링
팽정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엔에이치엔지니어링, 팽정자 filed Critical (주)씨엔에이치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059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sorpt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43Operating continuous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3Pump speed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스제어 인버터 일체형 흡수냉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수냉동기에 있어서, 인버터제어부를 흡수냉동기에 일체로 형성하여서, 시공이 용이도록 하며, 이격 설치로 인한 제어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냉동기본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냉동기본체에 구비되는 냉동기제어부, 냉동기에서 공급되는 냉수를 냉수사용처로 펌핑공급할 수 있게 구비되는 냉수주펌프, 냉수주펌프의 고장시 동작하여 냉동기에서 공급되는 냉수를 냉수사용처로 펌핑공급할 수 있게 구비되는 냉수보조펌프 및 냉동기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냉수주펌프와 냉수보조펌프로 공급되는 전원의 주파수를 조절공급할 수 있게 냉동기본체에 구비되는 인버터제어부로 구성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흡수냉동기에 있어서, 인버터제어부를 흡수냉동기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흡수냉동기의 시공이 용이하고, 이격 설치로 인한 제어오류가 최소화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펄스제어 인버터 일체형 흡수냉동기{Absorption chiller with integrated pulse control inverter}
본 발명은 펄스제어 인버터 일체형 흡수냉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수냉동기에 있어서, 인버터제어부를 흡수냉동기에 일체로 형성하여서, 전력손실을 최소화하고, 시공이 용이도록 하며, 이격 설치로 인한 제어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수냉동기란 냉매가 증발할 때의 기화열을 이용하여 열교환기를 흐르는 물을 냉각시키고, 증발된 냉매를 응축시켜 재사용하는 냉동기이다.
이와 같은 흡수냉동기는 2개의 사이클 갖고 있어 냉방부하가 80%이하로 낮아지면 하나의 사이클을 정지시켜 에너지이용효율(COP)을 25% 향상시키고 혹서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냉방시즌은 80% 이하의 냉방부하로 운전하여 운전비 절감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흡수식냉동기는 물을 냉매로 사용하는 무공해제품이고, 열에너지를 구동원으로 함으로써 하절기 전력집중을 방지할 수 있는 제품이다. 또한 진공상태에서 운전되어 매우 안전하며, 열교환기로 조합된 제품으로 자동운전이 가능하여 무인 운전을 할 수 있다.
상기 흡수식 냉동기는 제 1쉘(110)과, 제 2쉘(120)과, 제 3쉘(130)과, 제 1흡수열 열교환기(210)와, 제 2흡수열 열교환기(220)와, 제 1분배기(230)와, 제 2분배기(240)로 구성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 1쉘(110)은 증발기(111)와 흡수기(112)가 양측으로 구비되고, 증발기(111)와 흡수기(112) 사이에 제 1엘리미네이터가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 2쉘(120)은 제 1재생기(121)와 보조 재생기(122) 및 응축기(123)가 하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응축기(123)의 측면에 제 2엘리미네이터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제 3쉘(130)은 제 2재생기(131)와 보조 흡수기(132)가 상하고 구비되고, 제 2재생기(131)와 보조 흡수기(132) 사이에 제 3엘리미네이터가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저온 열교환기(140)와 고온 열교환기(150) 및 보조 열교환기(160)는 흡수액 라인을 통해 각 기기들과 연결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제 1흡수열 열교환기(210)는 제 1쉘(110)의 흡수기(112) 상단에 설치되어 제 1쉘(110)에서 배출되는 묽어진 흡수액(희액)을 저온 열교환기(140)에서 흡수기(112) 상단으로 분사되는 농축된 흡수액(농액)의 열을 흡수하여 가열한 다음 저온 열교환기(140)로 공급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제 2흡수열 열교환기(220)는 제 3쉘(130)의 보조 흡수기(132) 상단에 설치되어 제 3쉘(130)에서 배출되는 묽어진 보조 흡수액(보조 중간액)을 보조 열교환기(160)에서 보조 흡수기(132) 상단으로 분사되는 농축된 보조 흡수액(보조 농액)의 열을 흡수하여 가열한 다음 보조 열교환기(160)로 공급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제 1분배기(240)는 전열관으로 이루어진 제 1쉘(110)의 증발기(111)의 중간 부위에 설치되어 증발기(111)로 분사되는 냉매를 일시 저장한 후 재낙하시켜 증발기(111)의 표면에 냉매가 골고루 접촉하도록 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제 2분배기(230)는 전열관으로 이루어지는 제 1쉘(110)의 흡수기(112)의 중간 부위에 설치되어 흡수기(112)로 분사되는 농축된 흡수액을 일시 저장한 후 재낙하시켜 흡수기(112)의 표면에 흡수액이 골고루 접촉하도록 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흡수식 냉동기는 냉방부하에 따라 냉수, 냉각수 유량이 변하지 않고 100% 범위에서 정유량으로 운전되고, 냉수/냉각수 펌프의 회전수는 냉방부하에 관계없이 항상 최대 ㎐로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로 인해 냉수/냉각수 펌프의 소비전력은 냉방부하조건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소비되어, 온수 조절 밸브의 개도량에 따라 상기 냉동기의 냉수 펌프의 회전 주파수(㎐)를 인버터 제어하여 냉수 유량을 조절하고, 냉각수 입구 온도에 따라 상기 냉동기의 냉각수 펌프의 회전 주파수(㎐)를 인버터 제어하여 냉각수 유량을 조절하는 인버터제어부를 별도 구비하여 실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흡수식 냉동기는 인버터제어부가 흡수식냉동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어서 이격시공되어 있어 별도의 배선작업이 요구되고 설치공간에 제한이 따라 그 시공이 용이하지 않으며, 제어과정에 있어 신호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2074912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흡수식 냉동기는 인버터제어부가 흡수식냉동기 본체로부터 분리되어서 이격시공되어 있어 별도의 배선작업이 요구되고 설치공간에 제한이 따라 그 시공이 용이하지 않으며, 제어과정에 있어 신호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냉동기본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냉동기본체에 구비되는 냉동기제어부, 냉동기에서 공급되는 냉수를 냉수사용처로 펌핑공급할 수 있게 구비되는 냉수주펌프, 냉수주펌프의 고장시 동작하여 냉동기에서 공급되는 냉수를 냉수사용처로 펌핑공급할 수 있게 구비되는 냉수보조펌프 및 냉동기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냉수주펌프와 냉수보조펌프로 공급되는 전원의 주파수를 조절공급할 수 있게 냉동기본체에 구비되는 인버터제어부로 구성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버터제어부를 전원입력단과 제어신호입력단, 인버터소자, 제어전류출력부, 주펌프마그네틱스위치 및 보조펌프마그네틱스위치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펌프조작부의 주펌프마그네틱스위치와 보조펌프마그네틱스위치 중 어느 하나의 조작을 감지하여 온 동작되면 제어전류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전력이 설정시간 동안 서서히 0Hz에 60Hz으로 증가펄스제어되게 하고 오프 동작되면 제어전류출력부를 통ㅊ하여 출력되는 전력이 설정시간 동안 서서히 60Hz에 0Hz으로 감소펄스제어되게 하는 펌프펄스증감조작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펌프펄스증감조작수단은 펌프조작부의 동작조작신호를 감지하는 동작조작신호감지부와 상기 동작조작신호감지부를 통한 펌프의 동작조작신호감지에 따라 인버터제어부로 펄스증감신호를 출력하는 펌프펄스증감기동신호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흡수냉동기에 있어서, 인버터제어부를 흡수냉동기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흡수냉동기의 시공이 용이하고, 이격 설치로 인한 제어오류가 최소화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예시도.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제어부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7과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흡수냉동기의 시공이 용이하고, 이격 설치로 인한 제어오류가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할 수 있게 구비한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할 수 있게 구비한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냉동기본체(100)와 냉동기제어부(200), 냉수주펌프(310), 냉수보조펌프(320) 및 인버터제어부(400)로 구성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냉동기본체는 제 1쉘(110)과 제 2쉘(120), 제 3쉘(130), 제 1흡수열 열교환기(210), 제 2흡수열 열교환기(220), 제 1분배기(230) 및 제 2분배기(240)로 구성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 1쉘(110)은 증발기(111)와 흡수기(112)가 양측으로 구비되고, 증발기(111)와 흡수기(112) 사이에 제 1엘리미네이터가 설치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 2쉘(120)은 제 1재생기(121)와 보조 재생기(122) 및 응축기(123)가 하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설치되고, 응축기(123)의 측면에 제 2엘리미네이터가 설치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 3쉘(130)은 제 2재생기(131)가 상부에 설치되고, 보조 흡수기(132)가 하부에 설치되며, 저면에 제 2재생기(131) 및 보조 흡수기(132)에서 각각 적하되는 흡수액이 한쪽으로 모여 배출이 용이하도록 형성하고, 제 2재생기(131)와 보조 흡수기(132) 사이에 제 3엘리미네이터가 설치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 1흡수열 열교환기(210)는 제 1쉘(110)의 흡수기(112) 상단에 설치되어 제 1쉘(110)에서 배출되는 묽어진 흡수액(희액)을 저온 열교환기(140)에서 흡수기(112) 상단으로 분사되는 농축된 흡수액(농액)의 열을 흡수하여 가열한 다음 저온 열교환기(140)로 공급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 2흡수열 열교환기(220)는 제 3쉘(130)의 보조 흡수기(132) 상단에 설치되어 제 3쉘(130)에서 배출되는 묽어진 보조 흡수액(보조 중간액)을 보조 열교환기(160)에서 보조 흡수기(132) 상단으로 분사되는 농축된 보조 흡수액(보조 농액)의 열을 흡수하여 가열한 다음 보조 열교환기(160)로 공급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 1분배기(240)는 전열관으로 이루어진 제 1쉘(110)의 증발기(111)의 중간 부위에 설치되어 증발기(111)로 분사되는 냉매를 일시 저장한 후 재낙하시켜 증발기(111)의 표면에 냉매가 골고루 접촉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냉동기제어부(200)는 냉동기본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냉동기본체에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냉수주펌프(310)는 냉동기에서 공급되는 냉수를 냉수사용처로 펌핑공급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냉수보조펌프(320)는 냉수주펌프의 고장시 동작하여 냉동기에서 공급되는 냉수를 냉수사용처로 펌핑공급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인버터제어부(400)는 냉동기제어부(2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냉수주펌프(310)와 냉수보조펌프(320)로 공급되는 전원의 주파수를 조절공급할 수 있게 냉동기본체(100)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인버터제어부(400)는 전원입력단(410)과 제어신호입력단(420), 인버터소자(430), 제어전류출력부(440), 주펌프마그네틱스위치(451) 및 보조펌프마그네틱스위치(452)로 구성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전원입력단(410)은 20KW 이상의 3상 60Hz의 전원이 입력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신호입력단(420)은 냉동기제어부(200)에서 리턴되는 냉수온도에 따라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인버터소자(430)는 제어신호입력단(420)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력의 주파수를 제어출력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전류출력부(440)는 인버터소자(430)에 의하여 주파수가 조절되는 3상 전력이 출력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주펌프마그네틱스위치(451)는 냉수주펌프(310)로 공급되는 전력공급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위칭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펌프마그네틱스위치(452)는 냉수보조펌프(320)로 공급되는 전력공급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위칭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펌프조작부(330)의 주펌프마그네틱스위치(451)와 보조펌프마그네틱스위치(452) 중 어느 하나의 조작을 감지하여 온 동작되면 제어전류출력부(440)를 통하여 출력되는 전력이 설정시간 동안 서서히 0Hz에 60Hz으로 증가펄스제어되게 하고 오프 동작되면 제어전류출력부(440)를 통하여 출력되는 전력이 설정시간 동안 서서히 60Hz에 0Hz으로 감소펄스제어되게 하는 펌프펄스증감조작수단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펌프펄스증감조작수단은 펌프조작부(330)의 동작조작신호를 감지하는 동작조작신호감지부(510)와 상기 동작조작신호감지부(510)를 통한 펌프의 동작조작신호감지에 따라 인버터제어부(400)로 펄스증감신호를 출력하는 펌프펄스증감기동신호부(520)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펌프펄스증감조작수단에 의하여 펄스증감제어 이전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펌프조작부(330)의 주펌프마그네틱스위치(451)와 보조펌프마그네틱스위치(452) 중 어느 하나가 동작조작되면 제어전류출력부(440)를 통하여 출력되는 전력을 2초 이내 동안 최고주파수로 출력되게 하는 기동펄스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기동펄스제어수단은 동작조작신호감지부(510)를 통한 펌프의 동작조작신호감지에 따라 인버터제어부(400)로 최고주파수로 출력되게 신호를 입력하는 펌프초기기동신호부(530)와 상기 펌프초기기동신호부(530)의 동작시 펌프펄스증감기동신호부(520)의 동작을 지연시킬 수 있게 지연신호를 입력하는 펄스증가기동지연신호출력부 및 펌프초기기동신호부(530)의 신호에 의한 펌프의 회전시 이를 감지하여 펌프초기기동신호부(53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게 기동완료감지부(540)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인버터제어부(400)에 의한 펌프의 제어과정에 펌프 배출관의 수압이 설정압력의 이상 상승시 펌프가 감속운전되도록 인버터제어부(40)에서 출력되는 펄스가 제어되게 하는 압력비례제어신호출력부(610)을 구비하고, 펌프 배출관에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수압센서(6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압력비례제어신호출력부(610)에 의한 압력비례펄스제어에 의하여도 설정된 시간동안 수압센서(6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되지 않으면 냉동기제어부(200)에 알람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압력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압력이상신호출력부(63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용실시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냉동기본체(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냉동기본체에 구비되는 냉동기제어부(200), 냉동기에서 공급되는 냉수를 냉수사용처로 펌핑공급할 수 있게 구비되는 냉수주펌프(310), 냉수주펌프의 고장시 동작하여 냉동기에서 공급되는 냉수를 냉수사용처로 펌핑공급할 수 있게 구비되는 냉수보조펌프(320) 및 냉동기제어부(20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냉수주펌프(310)와 냉수보조펌프(320)로 공급되는 전원의 주파수를 조절공급할 수 있게 냉동기본체에 구비되는 인버터제어부(400)로 구성된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흡수냉동기의 시공이 용이하고, 이격 설치로 인한 제어오류가 최소화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펌프조작부(330)의 주펌프마그네틱스위치(451)와 보조펌프마그네틱스위치(452) 중 어느 하나의 조작을 감지하여 온 동작되면 제어전류출력부(440)를 통하여 출력되는 전력이 설정시간 동안 서서히 0Hz에 60Hz으로 증가펄스제어되게 하고 오프 동작되면 제어전류출력부(440)를 통하여 출력되는 전력이 설정시간 동안 서서히 60Hz에 0Hz으로 감소펄스제어되게 하는 펌프펄스증감조작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펌프펄스증감조작수단은 펌프조작부(330)의 동작조작신호를 감지하는 동작조작신호감지부(510)와 상기 동작조작신호감지부(510)를 통한 펌프의 동작조작신호감지에 따라 인버터제어부(400)로 펄스증감신호를 출력하는 펌프펄스증감기동신호부(520)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펌프의 초기동작시 서서히 속도가 증가되어 배관 내부에서 급격한 압력변화가 방지되게 펌프의 정지시도 서서히 속도가 감속되어 배관 내부에서 급격한 압력변화가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펌프펄스증감조작수단에 의하여 펄스증감제어 이전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펌프조작부(330)의 주펌프마그네틱스위치(451)와 보조펌프마그네틱스위치(452) 중 어느 하나가 동작조작되면 제어전류출력부(440)를 통하여 출력되는 전력을 2초 이내 동안 최고주파수로 출력되게 하는 기동펄스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동펄스제어수단을 동작조작신호감지부(510)를 통한 펌프의 동작조작신호감지에 따라 인버터제어부(400)로 최고주파수로 출력되게 신호를 입력하는 펌프초기기동신호부(530)와 상기 펌프초기기동신호부(530)의 동작시 펌프펄스증감기동신호부(520)의 동작을 지연시킬 수 있게 지연신호를 입력하는 펄스증가기동지연신호출력부 및 펌프초기기동신호부(530)의 신호에 의한 펌프의 회전시 이를 감지하여 펌프초기기동신호부(53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게 기동완료감지부(540)을 구비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펌프의 초기동작시 펌프의 기동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인버터제어부(400)에 의한 펌프의 제어과정에 펌프 배출관의 수압이 설정압력의 이상 상승시 펌프가 감속운전되도록 인버터제어부(40)에서 출력되는 펄스가 제어되게 하는 압력비례제어신호출력부(610)을 구비하고, 펌프 배출관에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수압센서(620)를 구비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펌프의 제어가 배관의 압력에 비례하여 동작되어 펌프의 과동작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압력비례제어신호출력부(610)에 의한 압력비례펄스제어에 의하여도 설정된 시간동안 수압센서(6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되지 않으면 냉동기제어부(200)에 알람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압력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압력이상신호출력부(630)를 구비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동작과정에서 배관 내부의 이상을 압력으로 방지하고 다른 기기의 고장과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냉동기본체
200 : 냉동기제어부
310 : 냉수주펌프 320 : 냉수보조펌프
330 : 펌프조작부
400 : 인버터제어부
410 : 전원입력단 420 : 제어신호입력단
430 : 인버터소자 440 : 제어전류출력부
451 : 주펌프마그네틱스위치 452 : 보조펌프마그네틱스위치
510 : 동작조작신호감지부 520 : 펌프펄스증감기동신호부
530 : 펌프초기기동신호부
540 : 기동완료감지부
610 : 압력비례제어신호출력부
620 : 수압센서
630 : 압력이상신호출력부

Claims (4)

  1. 흡수식 냉동기에 있어서;
    냉동기본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냉동기본체에 구비되는 냉동기제어부, 냉동기에서 공급되는 냉수를 냉수사용처로 펌핑공급할 수 있게 구비되는 냉수주펌프, 냉수주펌프의 고장시 동작하여 냉동기에서 공급되는 냉수를 냉수사용처로 펌핑공급할 수 있게 구비되는 냉수보조펌프 및 냉동기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냉수주펌프와 냉수보조펌프로 공급되는 전원의 주파수를 조절공급할 수 있게 냉동기본체에 구비되는 인버터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인버터제어부는 전원입력단과 제어신호입력단, 인버터소자, 제어전류출력부, 주펌프마그네틱스위치 및 보조펌프마그네틱스위치로 구성되되;
    상기 전원입력단은 20KW 이상의 3상 60Hz의 전원이 입력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어신호입력단은 냉동기제어부에서 리턴되는 냉수온도에 따라 출력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게 구비되며;
    상기 인버터소자는 제어신호입력단을 통하여 입력되는 전력의 주파수를 제어출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어전류출력부는 인버터소자에 의하여 주파수가 조절되는 3상 전력이 출력되게 구비되며;
    상기 주펌프마그네틱스위치는 냉수주펌프로 공급되는 전력공급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위칭할 수 있게 구비되고;
    상기 보조펌프마그네틱스위치는 냉수보조펌프로 공급되는 전력공급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위칭할 수 있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펌프조작부의 주펌프마그네틱스위치와 보조펌프마그네틱스위치 중 어느 하나의 조작을 감지하여 온 동작되면 제어전류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전력이 설정시간 동안 서서히 0Hz에 60Hz으로 증가펄스제어되게 하고 오프 동작되면 제어전류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전력이 설정시간 동안 서서히 60Hz에 0Hz으로 감소펄스제어되게 하는 펌프펄스증감조작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펌프펄스증감조작수단은 펌프조작부의 동작조작신호를 감지하는 동작조작신호감지부와 상기 동작조작신호감지부를 통한 펌프의 동작조작신호감지에 따라 인버터제어부로 펄스증감신호를 출력하는 펌프펄스증감기동신호부로 구성하며;
    펌프펄스증감조작수단에 의하여 펄스증감제어 이전에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펌프조작부의 주펌프마그네틱스위치와 보조펌프마그네틱스위치 중 어느 하나가 동작조작되면 제어전류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전력을 2초 이내 동안 최고주파수로 출력되게 하는 기동펄스제어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기동펄스제어수단은 동작조작신호감지부를 통한 펌프의 동작조작신호감지에 따라 인버터제어부로 최고주파수로 출력되게 신호를 입력하는 펌프초기기동신호부와 상기 펌프초기기동신호부의 동작시 펌프펄스증감기동신호부의 동작을 지연시킬 수 있게 지연신호를 입력하는 펄스증가기동지연신호출력부 및 펌프초기기동신호부의 신호에 의한 펌프의 회전시 이를 감지하여 펌프초기기동신호부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게 기동완료감지부로 구성하고;
    인버터제어부에 의한 펌프의 제어과정에 펌프 배출관의 수압이 설정압력의 이상 상승시 펌프가 감속운전되도록 인버터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펄스가 제어되게 하는 압력비례제어신호출력부를 구비하고, 펌프 배출관에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수압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압력비례제어신호출력부에 의한 압력비례펄스제어에 의하여도 설정된 시간동안 수압센서를 통하여 입력되는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되지 않으면 냉동기제어부에 알람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압력이상신호를 출력하는 압력이상신호출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제어 인버터 일체형 흡수냉동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59982A 2021-05-10 2021-05-10 펄스제어 인버터 일체형 흡수냉동기 KR102346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982A KR102346787B1 (ko) 2021-05-10 2021-05-10 펄스제어 인버터 일체형 흡수냉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982A KR102346787B1 (ko) 2021-05-10 2021-05-10 펄스제어 인버터 일체형 흡수냉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787B1 true KR102346787B1 (ko) 2022-01-04

Family

ID=79342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982A KR102346787B1 (ko) 2021-05-10 2021-05-10 펄스제어 인버터 일체형 흡수냉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78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7471B2 (ja) * 1990-09-18 1998-07-16 三洋電機株式会社 吸収冷温水機の制御装置
JP2854121B2 (ja) * 1990-11-05 1999-02-03 三洋電機株式会社 吸収ヒートポンプ
JP2000083399A (ja) * 1998-09-03 2000-03-21 Ebara Densan Ltd ポンプの駆動装置
JP2002195596A (ja) * 2000-12-21 2002-07-10 Rinnai Corp 空調装置
JP2007102350A (ja) * 2005-09-30 2007-04-19 Smc Corp 外部配管保護機能をもつ恒温液循環装置
KR102074912B1 (ko) 2019-04-16 2020-03-17 (주)월드에너지 부하량에 따른 펌프 인버터 제어가 가능한 냉동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7471B2 (ja) * 1990-09-18 1998-07-16 三洋電機株式会社 吸収冷温水機の制御装置
JP2854121B2 (ja) * 1990-11-05 1999-02-03 三洋電機株式会社 吸収ヒートポンプ
JP2000083399A (ja) * 1998-09-03 2000-03-21 Ebara Densan Ltd ポンプの駆動装置
JP2002195596A (ja) * 2000-12-21 2002-07-10 Rinnai Corp 空調装置
JP2007102350A (ja) * 2005-09-30 2007-04-19 Smc Corp 外部配管保護機能をもつ恒温液循環装置
KR102074912B1 (ko) 2019-04-16 2020-03-17 (주)월드에너지 부하량에 따른 펌프 인버터 제어가 가능한 냉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4912B1 (ko) 부하량에 따른 펌프 인버터 제어가 가능한 냉동기
KR102346787B1 (ko) 펄스제어 인버터 일체형 흡수냉동기
KR20220027796A (ko) 펄스제어 인버터 일체형 흡수냉동기
KR20220027047A (ko) 펄스제어 인버터 일체형 흡수냉동기
KR20220027048A (ko) 펄스제어 인버터 일체형 흡수냉동기
KR20220027797A (ko) 펄스제어 인버터 일체형 흡수냉동기
KR20220027046A (ko) 펄스제어 인버터 일체형 흡수냉동기
KR20220027795A (ko) 펄스제어 인버터 일체형 흡수냉동기
KR20220027045A (ko) 펄스제어 인버터 일체형 흡수냉동기
KR20220027044A (ko) 펄스제어 인버터 일체형 흡수냉동기
JP2004101129A (ja) 冷凍機制御方法および冷凍装置
JP3554858B2 (ja) 吸収冷凍機
WO2018056024A1 (ja) 吸収式冷凍機
KR20100019422A (ko) 흡수 냉각기의 부하조정비를 확장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7372197B2 (ja) 吸収式熱源装置
JP3086594B2 (ja) 一重二重効用吸収式冷凍機
JPH0384371A (ja) 二重効用吸収冷凍機
JPH0359360A (ja) 吸収冷凍機
JP2918665B2 (ja) 吸収冷凍機・冷温水機の運転停止法および停止制御装置
JP6078898B2 (ja) 吸収式システム
KR20240082541A (ko) 흡수식 칠러
JP3182233B2 (ja) 吸収冷凍機における運転制御方法
JPH0447567Y2 (ko)
JP2006194453A (ja) 吸収式冷凍機
JPH0275865A (ja) 吸収冷凍機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