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639B1 - 고소 설치용 대형 조명탑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고소 설치용 대형 조명탑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639B1
KR102346639B1 KR1020200123518A KR20200123518A KR102346639B1 KR 102346639 B1 KR102346639 B1 KR 102346639B1 KR 1020200123518 A KR1020200123518 A KR 1020200123518A KR 20200123518 A KR20200123518 A KR 20200123518A KR 102346639 B1 KR102346639 B1 KR 102346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lows
frame
guide
circumferential surface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선미
김용인
김경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화티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화티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화티엔씨
Priority to KR1020200123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6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 설치용 대형 조명탑 어셈블리는, 지면에 하단이 고정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지지부;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나 또는 복수 개의조명 모듈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 상기 상부 지지부 및 하부 지지부 사이를 매개하되, 그 내부에 유체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지주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압축하며 상기 상부 지지부를 승강시키되,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주면이 상기 지주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벨로우즈부; 및 상기 지주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부를 상기 지주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소 설치용 대형 조명탑 어셈블리 {LARGE LIGHTING TOWER ASSEMBLY FOR HIGH-PLACE INSTALLATION}
본 발명은 고소 설치용 대형 조명탑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중량, 대형의 조명모듈을 지주 상단에 설치하기 위한 고소 설치용 대형 조명탑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조명탑은 일반적으로 야간에 스포츠 경기장, 야외 공연장, 골프장 등 야외의 영역을 조명하기 위한 시설로서, 작게는 트럭 등에 실려 운송되는 높이 수 미터 수준의 가설 조명탑이나 도로변의 가로등에서부터, 야구장 등에 사용되는 높이 수십 미터 수준의 대규모 고정 조명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대형 조명탑의 경우, 조명 모듈을 지지하는 지주의 높이가 매우 높기 때문에, 조명 모듈을 지주 상단에 고정시키기 위해 대형의 크레인이 필요한 것은 물론, 조명모듈의 고장 등으로 수리가 필요할 때마다 이러한 크레인을 동원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조명모듈을 지주를 따라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형 조명탑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승강형 조명탑은 대부분 와이어를 이용하여 조명모듈을 승강시키기 때문에, 와이어가 절단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면 조명모듈의 추락을 방지하기 어려운 것은 물론, 와이어를 활용하기 위해 지주 내부에 와이어 가이딩 구조가 요구되기 때문에 종래의 지주를 그대로 활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고중량 조명모듈을 지주 상단까지 승강시킬 수 있으면서, 종래의 지주를 활용할 수 있고, 추락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조명탑 구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을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006242 B1 (2011.01.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명모듈을 지주를 따라 승강시킬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면서, 종래의 지주를 활용할 수 있는 고소 설치용 대형 조명탑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 설치용 대형 조명탑 어셈블리는, 지면에 하단이 고정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지지부;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나 또는 복수 개의조명 모듈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 상기 상부 지지부 및 하부 지지부 사이를 매개하되, 그 내부에 유체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지주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압축하며 상기 상부 지지부를 승강시키되,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주면이 상기 지주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벨로우즈부; 및 상기 지주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부를 상기 지주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벨로우즈부는,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하는 내측 벨로우즈;와, 상기 내측 벨로우즈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내주면이 상기 내측 벨로우즈의 외주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 벨로우즈를 에워쌀 수 있도록 형성된 외측 벨로우즈;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벨로우즈의 내부 공간과, 상기 외측 벨로우즈의 내부 공간에는 각각 서로 섞이지 않는 다른 유체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내측 벨로우즈는, 상기 지주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내측 벨로우즈의 내주면과 상기 지주의 외주면 사이는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외측 벨로우즈는, 상기 내측 벨로우즈의 외주면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주의 상단부 측면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지주 내부로 삽입되도록 동작하는 쐐기형의 고정돌기;와, 상기 지주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지주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가압하는 고정부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지지부는, 상기 지주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는 구멍이 형성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해제가이드;와, 상기 해제가이드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주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구멍이 형성된 해제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지지부가 상승하면,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면이 상기 고정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지주 내부로 삽입시키도록 동작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측면이 상기 고정돌기보다 높게 상승하면 상기 고정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해제프레임이 상기 해제가이드를 따라 상승하면, 상기 해제프레임의 상측면이 상기 고정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지주 내부로 삽입시키도록 동작하고, 상기 해제프레임의 상측면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측면이 맞닿은 이후 상기 메인프레임이 하강 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해제가이드를 회전시키는 구동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제가이드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해제프레임에는, 상기 해제가이드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너트 형상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기가 작동하여 상기 해제가이드를 회전시키면, 상기 해제프레임이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주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상기 지주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구멍이 형성된 서브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해제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서브프레임의 사이에서 승강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지주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벨로우즈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단부에 설치되는 신축가이드 탄성부재와, 상기 신축가이드 탄성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주의 외주면 상을 주행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벨로우즈부가 균일하게 신장 및 신축하도록 가이드하는 신축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은, 상측면이 평행하게 형성되고 하측면에 사면이 형성된 쐐기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면 상기 신축가이드부의 상승을 정지시키고, 상기 신축가이드부가 하강하면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모듈 고장시 크레인 등 중장비를 동원하지 않고도 손쉽게 승강시킬 수 있어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설치시 종래의 지주에 간단한 조정만 가하고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저렴하며, 비상시 추락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어 기물 파손 및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 설치용 대형 조명탑 어셈블리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벨로우즈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B 부분의 상부지지부와 고정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의 C 부분의 지주와 신축가이드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지주에 형성된 가이드홈의 모습을 각각 사시도 및 평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 설치용 대형 조명탑 어셈블리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벨로우즈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B 부분의 상부지지부와 고정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의 C 부분의 지주와 신축가이드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지주에 형성된 가이드홈의 모습을 각각 사시도 및 평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설치용 대형 조명탑 어셈블리의 상세한 내용을 기술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지면에 하단이 고정되는 지주(100)와, 지주(10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지지부(200)와, 지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조명 모듈(L)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300)와, 상부 지지부(300) 및 하부 지지부(200) 사이를 매개하되, 그 내부에 유체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지주(100)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압축하며 상부 지지부(300)를 승강시키되,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주면이 지주(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벨로우즈부(400) 및 지주(100) 상단에 설치되어 상부 지지부(300)를 지주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주(100)는 실질적으로 조명 모듈(L)을 높은 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일종의 기둥으로서, 그 길이 및 실질적인 형태, 각도 등은 설치 시설의 목적, 장소, 기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하부 지지부(200)는 지주(100)와 지면이 맞닿는 부위에 설치되어, 후술할 벨로우즈부(400)의 하단이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지주(10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내주면이 형성되어 지주(1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 지지부(300)는 별도의 조명 모듈(L)을 지지하면서 이러한 조명 모듈(L)과 함께 지주(100)의 길이 방향으로 승강함으로써, 조명 모듈(L)을 지주(100) 상단의 목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벨로우즈부(400)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으로서, 양단이 각각 하부 지지부(200)와 상부 지지부(300)에 고정 결합되며, 그 내부에 유체가 주입되면 상하 방향으로 팽창되면서 상부 지지부(300)를 지주(100)의 상단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반대로, 벨로우즈부(400) 내부의 유체를 배출하면 상하 방향으로 수축되면서 상부 지지부(300)를 지주(100)의 하단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부 지지부(300)를 지주(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지주(100)의 외부에 장착하는 벨로우즈부(400)에 의해 수행함으로써, 지주(100) 내부에 조명 모듈(L)의 승강을 위한 별도의 와이어나 롤러, 래치기어 등의 승강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승강이 필요할 때 별도로 지주(100) 외측에 하부 지지부(200), 상부 지지부(300) 및 벨로우즈부(400)를 설치함으로써, 승강식 조명 모듈 설치를 위한 지주(100)의 가공 소요가 최소화되고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부 지지부(200) 및 상부 지지부(300)는 단일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둘 또는 그 이상의 조각으로 분해 가능하게 마련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부 지지부(200) 및 상부 지지부(300)를 조립식으로 마련함으로써, 이들을 지주(100)의 하부에서 지주(100)를 감싸면서 설치가 가능하여, 이들 구성을 설치하기 위한 크레인 등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다.
벨로우즈부(400)는 단일의 공간을 갖는 형식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물, 기름, 공기 등의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팽창 및 수축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벨로우즈부(400)를 내측 벨로우즈(410) 및 외측 벨로우즈(420)로 구분하여 이중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내측 벨로우즈(410)는 지주(100)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는 내주면 형상을 갖는 링 또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주면과 지주(100)의 외주면 사이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외측 벨로우즈(420)는 그 내주면을 내측 벨로우즈(410)의 외주면과 공유하도록 형성되고, 외측 벨로우즈(420)의 외주면만이 실질적으로 외부 공간과 맞닿게 된다.
이때, 내측 벨로우즈(410)와 외측 벨로우즈(420)의 사이는 완전히 폐쇄된 상태로 마련되고, 내측 벨로우즈(410)에 충전되는 제1유체(410a)와 외측 벨로우즈(420)에 충전되는 제2유체(420a)는 서로 섞이지 않는 다른 종류의 유체를 이용한다.
이렇게 내측 벨로우즈(410)와 외측 벨로우즈(420)를 두 구획으로 분할하고, 이들 내/외측 벨로우즈에 각각 다른 종류의 유체를 충전하는 이유는, 상부 지지부(300) 및 이에 설치되는 조명 모듈(L)의 하중이나, 기타 다른 요인에 의해 내측 벨로우즈(410)가 천공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내측 벨로우즈(410)의 제1유체(410a)가 외측 벨로우즈(420)의 내부로 유출될 때, 외측 벨로우즈(420) 내부에 충전된 제2유체(420a)가 제1유체(410a)와 혼합되지 않도록 저항하는 힘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또는, 외측 벨로우즈(420)의 외주측에 천공이 발생하더라도, 내측 벨로우즈(410)에 충전된 제1유체(410a)가 남아 있기 때문에, 내측 벨로우즈(410)가 상부 지지부(300)를 계속해서 지지할 수 있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작용을 통해, 내측 벨로우즈(410)에 천공이 발생하면 그 내부의 제1유체(410a)가 급격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측 벨로우즈(420)에 천공이 발생하더라도 내측 벨로우즈(410)로 상부 지지부(300)를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벨로우즈부(400)의 팽창 상태를 계속하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내측 벨로우즈(410) 및 외측 벨로우즈(420)는 링 또는 튜브 형상의 부재가 상하로 복수 개 층으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되거나, 벨로우즈의 각 마디마다 격벽이 형성되는 식으로,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의 구획이 나누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각의 구획을 나누는 부재간 벽면 또는 격벽에는 상하로 통공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유체홀이 형성되어, 이러한 유체홀을 통해 상술한 제1유체(410a) 또는 제2유체(420a)가 유동할 수 있다.
이렇게 내측 벨로우즈(410) 및 외측 벨로우즈(420)를 상하로 복수 개의 구획으로 구분함으로써, 구획 중의 하나에 천공이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구획의 유체가 외부로 급격하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고에 의해 상부 지지부(300)가 낙하하더라도, 구획 중의 일부가 파손되면서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나머지 구획이 팽창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상부 지지부(300)의 낙하 속도를 감소시키고 완전한 추락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해서, 각각의 구획의 상측 및 하측에 형성되는 유체홀은 상하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이격 형성시킴으로써, 유체가 하측 방향으로 신속하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체 배출 또는 사고에 의한 유출시 하강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부 지지부(300)를 지주(10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500)는, 지주(100)의 상단부 측면으로 돌출되거나 지주(100) 내부로 삽입되도록 동작하는 쐐기형의 고정돌기(510)와, 지주(100) 내부에 설치되어 고정돌기(510)가 지주(100)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가압하는 고정부 탄성부재(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부 지지부(300)는, 지주(100)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는 구멍이 형성된 메인프레임(310)과, 메인프레임(31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해제가이드(311)와, 해제가이드(311)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주(100)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구멍이 형성된 해제프레임(312)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바, 메인프레임(310) 또는 해제프레임(312)의 승하강 동작에 의해 고정돌기(510)가 간섭되어 상부 지지부(300)를 지주(100)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벨로우즈부(400)에 의해 상부 지지부(300)가 지주(100)의 상단 방향으로 상승할 때, 메인프레임(310)의 상측면이 고정돌기(510)의 하측 사면을 가압하여 지주(100) 내부로 삽입되도록 동작하고, 메인프레임(310)의 하측면이 고정돌기(510)의 높이보다 높게 상승하면 고정부 탄성부재(520)가 고정돌기(510)를 가압하여 지주(100)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돌기(510)의 상측면이 메인프레임(310)의 하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후, 고정부(500)에 의해 지주(100)에 결속된 상부 지지부(300)의 연결을 해제시켜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메인프레임(310)이 고정돌기(510) 상측에 지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해제프레임(312)을 해제가이드(311)를 따라 상승시키고, 상승하는 해제프레임(312)의 상측면이 고정돌기(510)의 하측 사면을 가압하여 고정돌기(510)가 지주(100) 내부로 삽입되도록 동작시킨 후, 해제프레임(312)의 상측면과 메인프레임(310)의 하측면이 맞닿으면 고정돌기(510)는 지주(100) 내부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그 이후 메인프레임(310)이 하강 가능해질 수 있다.
상부 지지부(300)에는 상술한 해제프레임(312)을 승강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메인프레임(310) 상에 해제가이드(311)를 회전시키는 구동기(313)가 설치되며, 해제가이드(311)는 메인프레임(3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구동기(313)를 통해 회전되는 해제가이드(311)의 외주면에는 볼트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되며, 해제프레임(312)에는, 해제가이드(311)와 맞물리는 너트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구동기(313)가 작동하여 해제가이드(311)를 회전시키면, 해제가이드(311)와 나사 결합된 해제프레임(312)이 승강되는 것이다.
해제프레임(31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해제가이드(311)는 복수 개가 지주(100) 둘레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 개의 해제가이드(311)를 모두 동시에 회전시켜 해제프레임(312)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나의 해제가이드(311)의 회전에 연동되어 다른 해제가이드(31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연동기(314)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해서, 상부 지지부(300)는 추가적으로 연결프레임(320) 및 서브프레임(33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프레임(320)은 메인프레임(310)의 외주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서브프레임(330)은 연결프레임(320)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고 지주(100)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구멍이 형성된다.
메인프레임(310)과 서브프레임(330)은 연결프레임(320)을 매개로 하여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해제프레임(312)은 메인프레임(310)과 서브프레임(330)의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고, 그 공간 범위에서 승강 동작하게 된다.
또한, 벨로우즈부(400)의 상단은 서브프레임(330)에 고정되는 바, 해제프레임(312)이 승강되더라도 벨로우즈부(400)와는 전혀 간섭되지 않기 때문에, 벨로우즈부(400)의 동작 여부와 무관하게 상부 지지부(300)와 지주(100)의 결합을 자유롭게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지주(100)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홈(110)이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할 신축가이드부(600)와 상호작용하여 벨로우즈부(400)가 지주(100)로부터 이탈되거나, 벨로우즈부(400)의 부위에 따라 유체가 불균일하게 충전되어 신장 및 신축 정도가 불균일해지고, 이에 따라 벨로우즈부(400)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신축가이드부(600)는, 벨로우즈부(40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제1프레임(610)과, 제1프레임(610)의 단부에 설치되는 신축가이드 탄성부재(620)와, 신축가이드 탄성부재(620)에 지지되어 가이드홈(11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2프레임(630)과, 제2프레임(6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주(100)의 외주면 상을 주행하는 롤러부재(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프레임(610)은 벨로우즈부(400)의 내주면, 바람직하게는 내측 벨로우즈(410)의 내주면에 고정 설치되며, 그 형태는 지주의 외주면 방향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프레임(610)의 내부 공간에는 신축가이드 탄성부재(620)가 설치되어, 신축가이드 탄성부재(620)의 단부에 설치된 제2프레임(630)을 지주(100)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부여한다.
제2프레임(630)은 상측면이 평행하고 하측면서 경사진 사면으로 형성된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쐐기 형상의 뾰족한 단부가 지주(100)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 제2프레임(630)에 형성된 사면은 후술하겠지만, 벨로우즈부(400)의 하강시 제2프레임(630)을 가이드홈(110)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롤러부재(640)는 지주(100)의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주행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롤러부재(640)가 지주(100)를 따라 주행할 때에는 제2프레임(630)의 쐐기형 단부가 지주(100)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신축가이드부(6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벨로우즈부(400)가 팽창하면서 상승할 때, 신축가이드부(600)가 벨로우즈부(400)와 함께 상승하면서, 롤러부재(640)가 지주(100)의 외주면을 따라 주행하여 지주(100)의 가이드홈(110)의 위치까지 도달하게 된다.
신축가이드부(600)가 가이드홈(110)에 도달하면, 롤러부재(640) 및 이와 연결된 제2프레임(630)이 가이드홈(110) 내부로 삽입되는 바, 롤러부재(640)와 제2프레임(630)이 가이드홈(110)의 상측면에 맞닿아 지지되면서 정지된다.
이렇게 신축가이드부(600)가 소정의 가이드홈(110)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그 신축가이드부(600)가 설치된 위치의 벨로우즈부(400)가 더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되는데, 이는 벨로우즈부(400)가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팽창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이다.
즉, 상기와 같은 신축가이드부(600)가 설치되지 않는다면, 예를 들어 벨로우즈부(400)의 하단부는 더 많이 팽창하고, 상단부는 거의 팽창하지 않는 등 불균일한 팽창이 일어날 수 있다. 이렇게 불균일하게 팽창될 경우, 통상보다 더 많이 팽창한 부분은 더 많은 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파열, 찢어짐, 천공 등의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신축가이드부(600)는 벨로우즈부(400)가 정상적으로 팽창했을 때의 높이를 설정하여, 그 이상 팽창하여 신장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가이드홈(110)의 입구 상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11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러한 가이드홈(111)는 롤러부재(640)가 가이드홈(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프레임(630)의 상단을 지지하여 제2프레임(630) 및 이와 연결된 신축가이드부(600) 및 벨로우즈부(400)가 더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제한하게 된다.
이어서, 벨로우즈부(400)에서 유체를 배출하여 수축하여 하강할 때에는, 벨로우즈부(400)의 하강과 함께 신축가이드부(600)의 제1프레임(610) 및 제2프레임(630)이 함께 하강하고, 제2프레임(630)의 하측면 사면이 가이드홈(110)의 하측면에 맞닿으면서, 하강하는 수직 방향의 힘이 수평 방향으로 전환되어 제2프레임(630)을 벨로우즈부(400)의 내주면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 힘에 의해 신축가이드 탄성부재(620)가 압축되면서 제2프레임(630)이 가이드홈(110)으로부터 이탈되고, 마지막으로 롤러부재(640)가 이탈되면서 다시 지주(100)의 외주면을 주행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가이드홈(110)은 바람직하게는 높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소에 설치되되, 높이 방향으로 이경된 가이드홈(110)들은 서로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홈(110)이 지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격된 세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고 가정하면, 가장 하측에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110a)의 위치는 지주의 0°각도, 중간에 형성되는 제2가이드홈(110b)의 위치는 지주의 60°각도, 가장 상측에 형성되는 제3가이드홈(110c)의 위치는 지주의 120°각도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이드홈(110)은 같은 높이에 한 쌍이 설치되고, 그 가이드홈(110)들은 지주(100)의 서로 반대측 외주면에 위치함으로써, 신축가이드부(600) 한 쌍이 벨로우즈부(400)의 한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지주 110: 가이드홈
111: 스토퍼 200: 하부 지지부
300: 상부 지지부 310: 메인프레임
311: 해제가이드 312: 해제프레임
313: 구동기 314: 연동기
320: 연결프레임 330: 서브프레임
400: 벨로우즈부 410: 내측 벨로우즈
420: 외측 벨로우즈 500: 고정부
510: 고정돌기 520: 고정부 탄성부재
600: 신축가이드부 610: 제1프레임
620: 신축가이드 탄성부재 630: 제2프레임
640: 롤러부재 L: 조명 모듈

Claims (8)

  1. 지면에 하단이 고정되는 지주;
    상기 지주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지지부;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조명 모듈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
    상기 상부 지지부 및 하부 지지부 사이를 매개하되, 그 내부에 유체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지주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압축하며 상기 상부 지지부를 승강시키되,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주면이 상기 지주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벨로우즈부; 및
    상기 지주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부를 상기 지주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벨로우즈부는,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하는 내측 벨로우즈;와, 상기 내측 벨로우즈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내주면이 상기 내측 벨로우즈의 외주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 벨로우즈를 에워쌀 수 있도록 형성된 외측 벨로우즈;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 벨로우즈의 내부 공간과, 상기 외측 벨로우즈의 내부 공간에는 각각 서로 섞이지 않는 다른 유체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설치용 대형 조명탑 어셈블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벨로우즈는, 상기 지주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내측 벨로우즈의 내주면과 상기 지주의 외주면 사이는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외측 벨로우즈는, 상기 내측 벨로우즈의 외주면을 감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설치용 대형 조명탑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지주의 상단부 측면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지주 내부로 삽입되도록 동작하는 쐐기형의 고정돌기;와, 상기 지주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지주의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가압하는 고정부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지지부는,
    상기 지주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는 구멍이 형성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해제가이드;와, 상기 해제가이드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주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구멍이 형성된 해제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지지부가 상승하면,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측면이 상기 고정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지주 내부로 삽입시키도록 동작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측면이 상기 고정돌기보다 높게 상승하면 상기 고정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측면을 지지하며,
    상기 해제프레임이 상기 해제가이드를 따라 상승하면, 상기 해제프레임의 상측면이 상기 고정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지주 내부로 삽입시키도록 동작하고, 상기 해제프레임의 상측면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측면이 맞닿은 이후 상기 메인프레임이 하강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설치용 대형 조명탑 어셈블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해제가이드를 회전시키는 구동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해제가이드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해제프레임에는, 상기 해제가이드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너트 형상의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기가 작동하여 상기 해제가이드를 회전시키면, 상기 해제프레임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설치용 대형 조명탑 어셈블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외주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상기 지주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구멍이 형성된 서브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해제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서브프레임의 사이에서 승강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설치용 대형 조명탑 어셈블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벨로우즈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단부에 설치되는 신축가이드 탄성부재와, 상기 신축가이드 탄성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주의 외주면 상을 주행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벨로우즈부가 균일하게 신장 및 신축하도록 가이드하는 신축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설치용 대형 조명탑 어셈블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은, 상측면이 평행하게 형성되고 하측면에 사면이 형성된 쐐기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면 상기 신축가이드부의 상승을 정지시키고, 상기 신축가이드부가 하강하면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설치용 대형 조명탑 어셈블리.
KR1020200123518A 2020-09-24 2020-09-24 고소 설치용 대형 조명탑 어셈블리 KR102346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518A KR102346639B1 (ko) 2020-09-24 2020-09-24 고소 설치용 대형 조명탑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518A KR102346639B1 (ko) 2020-09-24 2020-09-24 고소 설치용 대형 조명탑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639B1 true KR102346639B1 (ko) 2022-01-03

Family

ID=79348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518A KR102346639B1 (ko) 2020-09-24 2020-09-24 고소 설치용 대형 조명탑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6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88142A (zh) * 2022-11-29 2023-03-14 中电装备青岛豪迈钢结构有限公司 一种高强度frp复合材料杆塔
KR20240027375A (ko) 2022-08-23 2024-03-04 주식회사 신화티엔씨 이상 표시 기능을 갖는 led모듈이 적용된 조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569U (ko) * 1999-03-22 1999-07-05 박천돈 조명탑의안전걸쇠장치
KR20060124096A (ko) * 2005-05-31 2006-12-05 장석은 야외 조형물용 수중 부양장치
KR101006242B1 (ko) 2008-07-30 2011-01-06 박천돈 등기구 승강식 조명탑의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569U (ko) * 1999-03-22 1999-07-05 박천돈 조명탑의안전걸쇠장치
KR20060124096A (ko) * 2005-05-31 2006-12-05 장석은 야외 조형물용 수중 부양장치
KR101006242B1 (ko) 2008-07-30 2011-01-06 박천돈 등기구 승강식 조명탑의 안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7375A (ko) 2022-08-23 2024-03-04 주식회사 신화티엔씨 이상 표시 기능을 갖는 led모듈이 적용된 조명장치
CN115788142A (zh) * 2022-11-29 2023-03-14 中电装备青岛豪迈钢结构有限公司 一种高强度frp复合材料杆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6639B1 (ko) 고소 설치용 대형 조명탑 어셈블리
CN206278848U (zh) 一种整体自动顶升廻转式多吊机基座运行平台
US6732479B2 (en) Movable defensive apparatus
US2003003377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building tall vertical structures
BR112021014703A2 (pt) Torre de turbina eólica de múltiplas colunas e método de erguimento
KR101123989B1 (ko) 풍하중에 안전한 수평지지력을 갖는 승강식 지하주차 설비시스템
CN108928783B (zh) 一种既有建筑加装电梯用剪式攀爬吊装机
EP0128901B1 (en) Improvements in columns
CN211496852U (zh) 一种用于建筑工地的伸缩式升降机
CN211201250U (zh) 一种土木工程用支撑装置
CN114182937B (zh) 一种狭小空间施工作业平台
CN109451366B (zh) 一种便于维护的简易型移动通信基站
CN107859604B (zh) 一种风电机组塔筒内部组装式升降作业平台的使用方法
CN111074780A (zh) 一种高墩柱自动升降施工平台及升降施工平台的使用方法
CN112343388A (zh) 一种立体车库的安全抬升设备
WO2020263074A1 (es) Badén de control de tráfico escamoteable con movimiento vertical
CN105672166A (zh) 一种利用单向弯曲传动链构成的举升机构
CN115450120B (zh) 一种大跨度步履式钢箱梁顶推施工设备
CN111206905B (zh) 一种井口支撑系统
CN220467491U (zh) 一种新型升降装置
CN105173951B (zh) 一种电梯通用型机械阻止装置
CN218622734U (zh) 一种惯容tmd防风阻尼器
CN217758561U (zh) 一种用于水利工程的防渗挡墙
CN218715795U (zh) 一种建筑基坑防护栏
KR102390491B1 (ko) 폴의 승하강 무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