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483B1 -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483B1
KR102346483B1 KR1020190124975A KR20190124975A KR102346483B1 KR 102346483 B1 KR102346483 B1 KR 102346483B1 KR 1020190124975 A KR1020190124975 A KR 1020190124975A KR 20190124975 A KR20190124975 A KR 20190124975A KR 102346483 B1 KR102346483 B1 KR 102346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mpanion animal
wall
bucke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2441A (ko
Inventor
차승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124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483B1/ko
Publication of KR20210042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로 물이 주입되거나, 외부로 물이 배출되도록 상단부에 입구(101)가 형성된 물통(10); 상기 물통(10)의 입구(101)를 개폐하며, 내부에 소정량의 물을 담을 수 있게 형성된 뚜껑(20); 을 포함하되,
상기 뚜껑(20)은,
소정량의 물이 담기도록 컵 형상으로 되되 내부 중앙에는 상기 물통(10) 입구(101)의 수나사부(101a)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201a)를 구비한 캡부(201);
상기 캡부(201)의 외벽 하단부(202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되되, 상단부 둘레의 길이보다 하단부(202a) 둘레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펼침부(202);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용기를 준비하지 않더라도, 반려동물과 함께 외출한 실외에서 반려동물에게 물을 먹일 때, 물통(10)의 물을 펼침부(202)에 부어서 반려동물에게 간편하게 물을 먹일 수 있고, 반려동물도 펼침부(202)에 담긴 물을 편하게 마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Portable pet water supply}
본 발명은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보관하는 물통의 뚜껑에 물을 담는 펼침부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야외에서 펼침부를 펼쳐 반려동물에게 간편하게 물을 먹일 수 있고, 반려동물은 편하게 물을 마실 수 있게 한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긴 혀를 가진 반려견(이하 '반려동물'이라 함)은 물을 먹을 때, 물속으로 혀를 집어넣은 뒤 혀를 뒤로 말아 국자처럼 물을 떠먹는 동시에, 관성에 의해 딸려 올라오는 물기둥을 순간적으로 베어 마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반려동물과 함께 야외에서 산책이나 운동을 하는 중에 반려동물에게 물을 먹이고자 할 때, 반려동물이 물을 먹는 방법을 정확히 잘 모르는 일반적인 사람들은 물이 담긴 물통 입구를 그대로 반려동물 입에 물린 상태로 물통을 기울여 물통에 담긴 물이 그대로 반려동물의 입으로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물을 그대로 들이키지 못하는 반려동물이 물을 잘 먹지 못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과정에서 다량의 물이 그대로 버려지는 경우가 빈번한 문제점이 있다.
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려동물이 물을 먹는 방법을 정확하게 하는 사람들은 야외에서 반려동물에게 물을 먹일 때, 자신의 손에 물을 받아서 반려동물이 손에 담긴 물을 먹을 수 있도록 하기도 하지만, 사람의 손은 크기가 작고, 손가락 사이의 틈이 있어서 많은 양의 물을 담을 수 있는 생김새가 아니기 때문에 물이 쉽게 흘러버릴 뿐만 아니라, 반려동물도 견주의 손에 받아진 소량의 물을 먹기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그리하여 일부 견주들의 경우에 반려동물과 장시간 외출을 할 때는 물통과 함께, 반려동물이 쉽게 물을 먹을 수 있도록 물을 담는 용기를 함께 챙기기도 하지만, 물통과 용기를 함께 챙겨 반려동물과 외출하는 것은 상당한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4719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을 보관하는 물통의 뚜껑에 반려동물이 물을 쉽게 먹을 수 있도록 물을 담는 펼침부를 일체로 구비한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을 담는 펼침부의 개구부가 확대 가능케 한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통에 담기 물을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한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는,
내부로 물이 주입되거나, 외부로 물이 배출되도록 상단부에 입구(101)가 형성된 물통(10);
상기 물통(10)의 입구(101)를 개폐하며, 내부에 소정량의 물을 담을 수 있게 형성된 뚜껑(20); 을 포함하되,
상기 뚜껑(20)은,
소정량의 물이 담기도록 컵 형상으로 되되 내부 중앙에는 상기 물통(10) 입구(101)의 수나사부(101a)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201a)를 구비한 캡부(201);
상기 캡부(201)의 외벽 하단부(202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되되, 상단부 둘레의 길이보다 하단부(202a) 둘레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펼침부(202); 를 포함한다.
상기 펼침부(202)는,
탄성을 가진 플랙시블한 소재로 되되, 양측 가장자리(202b)를 따라 탄성을 가진 심재(203)가 매입되어 심재(20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물통(10)의 외벽을 감싸면서 접히거나, 탄성력에 의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재(203)는 펼침부(202)의 내측 방향으로 말리도록 탄성을 가진 소정 두께의 금속 판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펼침부(202)는,
하단부(202a) 둘레의 길이를 물통(10) 외벽의 원주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하단부(202a)의 양측 모서리 부분이 중첩되면서 물통(10)의 외벽을 감싸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부(201)는, 외벽 일측에 고리부(201c)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펼침부(202)는, 세로 방향으로 다수의 주름선(204)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을 보관하는 물통의 뚜껑에 반려동물이 물을 쉽게 먹을 수 있도록 물을 담는 펼침부가 일체로 구비됨으로써, 별도의 용기를 준비하지 않더라도, 반려동물과 함께 외출한 실외에서 반려동물에게 물을 먹일 때, 물통의 물을 펼침부에 부어서 반려동물에게 간편하게 물을 먹일 수 있고, 반려동물도 펼침부에 담긴 물을 편하게 마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크기에 따라 펼침부의 개구부를 확대함으로써 반려동물이 펼침부에 담긴 물을 마실 때, 반려동물의 얼굴이 개구부의 테두리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어 반려동물이 물을 더욱 편하게 마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이 반복적으로 물을 마시더라도 물통의 입구와 반려동물의 직, 간접적 접촉을 방지하여 물통 내부의 물을 더욱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펼침부가 오므라든 상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정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펼침부의 사용 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리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름선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펼침유도선을 나타낸 예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 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펼침부가 오므라든 상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정면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펼침부의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는 야외에서 반려동물에게 간편하게 물을 먹일 수 있고, 반려동물은 편하게 물을 마실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물통(10), 뚜껑(20)을 포함한다.
상기 물통(10)은 내부로 물이 주입되거나, 외부로 물이 배출되도록 상단부에 입구(101)가 형성되되,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입구(101)의 외측에는 뚜껑(20)을 결합하여 입구(101)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하되, 결합수단으로서 수나사부(101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아울러, 물통(10)은 일반 편의점이나 마트 등에서 쉽게 구입 가능한 300 내지 500㎖ 용량의 생수가 담긴 물통(10)을 대신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뚜껑(20)은 물통(10)의 입구(101)를 개폐 가능케 함과 동시에 내부에 소정량의 물을 담을 수 있도록 캡부(201), 펼침부(202)를 포함한다.
상기 캡부(201)는 소정량의 물이 담기도록 컵 형상으로 되되 내부 중앙에는 상기 물통(10) 입구(101)의 수나사부(101a)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201a)가 형성된다.
이때, 캡부(201)의 내부에는 소정량의 물이 담기도록 저수공간(201b)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펼침부(202)는 캡부(201)의 외벽 하단부(202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되되, 상단부 둘레의 길이보다 하단부(202a) 둘레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부(201) 및 펼침부(202)는 플라스틱, 우레탄, 실리콘 등 탄성을 가진 플랙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되, 세척의 편의성 및 위생적인 관리를 위하여 실리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펼침부(202)에는 심재(203)가 구비된다.
상기 심재(203)는 펼침부(202)의 내측 방향으로 말리도록 탄성을 가진 소정 두께의 금속 판재로 되되 펼침부(202)의 양측 가장자리(202b)를 따라 매입 형성된다.
이때, 심재(203)는 펼침부(202)의 내측 방향으로 말리는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심재(203)의 길이방향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가운데가 소정 각도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펼침부(202)의 양측 가장자리(202b)는 물통(10)의 외벽에 펼침부(202)의 내면이 밀착되었을 때, 물통(10)의 외벽을 따라 자연스럽게 감싸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뚜껑(20)이 물통(10)의 입구(101)에 결합된 상태에서 펼침부(202)의 가장자리(202b)는 심재(203)의 탄성력에 의해 물통(10)의 외벽을 감싸게 됨으로써 물이 담기는 펼침부(202)의 내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억제되어 펼침부(202) 내면의 오염이 방지된다.
또한, 심재(203)의 탄성력에 의해 펼침부(202)가 물통(10)의 외벽 형상을 따라 자연스럽게 감싸짐으로써 휴대 중 펼침부(202)가 펄럭이며 유동하는 것이 억제되어 물통(10)의 휴대 및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다양한 형상의 물통(10)을 사용하더라도 심재(203)의 탄성력에 의해 펼침부(202)가 물통(10)의 외벽 형상을 따라 감싸짐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디자인의 물통(10)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펼침부(202)의 하단부(202a) 둘레의 길이는 물통(10) 외벽의 원주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펼침부(202)가 심재(203)의 탄성력에 의해 물통(10)의 외벽을 감쌀 때, 펼침부(202)의 하단부(202a) 양측 모서리 부분이 중첩되면서 물통(10)의 외벽을 감싸지게 함으로써 펼침부(202)가 물통(10) 외벽을 더욱 견고하게 감싸게 되어 물통(10)의 외벽과 펼침부(202) 간의 이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뚜껑(20)을 물통(10)에서 분리한 후, 펼침부(202)의 양측 가장자리(202b)를 바깥쪽으로 벌리면, 심재(203)의 탄성력에 의해 펼침부(202)의 양측 가장자리(202b)가 바깥쪽으로 펼쳐지면서 펼침부(202)가 넓게 펼쳐진다.
따라서, 펼침부(202)를 넓게 펼친 상태에서 뚜껑(20)의 캡부(201)에 소정량의 물을 담은 후, 뚜껑(20)을 적절한 각도로 기울이면 캡부(201)의 하단부(202a)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펼침부(202)의 오목한 부분에 물이 모이면서 넓은 물그릇 형태가 됨으로써 별도의 물그릇 없이도 야외에서 반려동물에게 간편하게 물을 먹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펼침부(202)가 넓게 펼쳐진 상태에서 물이 담기기 때문에 물 속으로 혀를 집어넣은 뒤 혀를 뒤로 말아 국자처럼 물을 떠먹는 반려동물의 습성 상, 펼침부(202)에 담긴 물을 쉽게 마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펼침부(202)의 물을 마시는 과정에서 반려동물의 코나 눈 안면부가 뚜껑(20) 가장자리(202b)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어 편한 자세로 물을 마실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리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캡부(201)는, 고리부(201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리부(201c)는 캡부(201)의 외벽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되, 외벽의 세로 방향으로 따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물통(10)에 뚜껑(20)을 결합한 상태로 휴대할 때, 고리부(201c)에 손가락을 끼워 파지하거나, 고리부(201c)에 손목용 스트랩을 연결하여 손목용 스트랩을 이용해 파지 가능케 됨으로써 휴대성이 향상된다.
또한, 펼침부(202)를 펼치고, 캡부(201)에 물을 부어 반려동물에게 물을 먹일 때, 고리부(201c)에 손가락을 끼워 견고하게 파지 가능케 됨으로써 반려동물이 물을 먹을 때, 뚜껑(20)에 손에서 이탈하면서 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름선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펼침부(202)는, 주름선(20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주름선(204)은 펼침부(202)의 세로 방향으로 다수가 형성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주름선(204) 간의 간격이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라스틱, 우레탄, 실리콘 등 탄성을 가진 플랙시블한 소재로 형성된 펼침부(202)의 특성 상, 펼침부(202)가 물통(10)의 외벽을 감싸는 형태로 되었을 때, 상기 주름선(204)는 전통부채인 합죽선의 한지와 같이 접히면서 중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주름선(204)이 형성된 펼침부(202)가 오므라든 상태에서는 펼침부(202)의 하단부(202a)의 길이가 짧은 반면, 펼침부(202)가 완전히 펼쳐지면 주름선(204)이 없는 펼침부와 대비하여 하단부(202a)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펼침부(202)를 더 넓게 펼칠 수 있게 됨으로써 머리의 크기가 큰 대형견이 물을 마실 때 더욱 편하게 물을 마실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펼침유도선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펼침부(202)는, 펼침유도선(205)을 더 구비하여 펼침부(202)가 바깥쪽으로 오목하게 펼쳐지게 할 수 있다.
상기 펼침유도선(205)은 펼침부(202)의 상부 양측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뚜껑(20)을 물통(10)에서 분리한 후, 펼침부(202)의 양측 가장자리(202b)를 바깥쪽으로 벌리면, 심재(203)의 탄성력에 의해 펼침부(202)의 양측 가장자리(202b)가 바깥쪽으로 펼쳐지면서 펼침부(202)가 넓게 펼쳐지되, 펼침부가 펼쳐지면서 형성되는 물이 담기는 오목한 부분이 펼침부(202)의 바깥쪽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펼침부(202)를 넓게 펼쳐진 상태에서 펼침부(202)의 오목한 부분에 물을 부어주면, 오목한 부분에 물이 모이면서 넓은 물그릇 형태가 됨으로써 별도의 물그릇 없이도 야외에서 반려동물에게 간편하게 물을 먹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반려동물이 물을 먹는 동안에 반려동물의 입이나 혀가 펼침부(202)의 외벽에 닿거나, 펼침부(202)에 담아진 물에 닿더라도, 물통(10)의 입구(101)를 밀폐하는 뚜껑(20)의 캡부(201) 내부에 형성된 암나사부(201a)에는 반려동물의 입이나 혀가 직접 접촉하거나, 반려동물이 마시던 물이 간접적으로 물통(10)의 입구(101)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물통(10) 내부에 담긴 물을 더욱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물통
101: 입구
101a: 수나사부
20: 뚜껑
201: 캡부
201a: 암나사부
201b: 저수공간
201c: 고리부
202: 펼침부
202a: 하단부
202b: 가장자리
203: 심재
204: 주름선
205: 펼침유도선

Claims (5)

  1. 내부로 물이 주입되거나, 외부로 물이 배출되도록 상단부에 입구(101)가 형성된 물통(10);
    상기 물통(10)의 입구(101)를 개폐하며, 내부에 소정량의 물을 담을 수 있게 형성된 뚜껑(20); 을 포함하되,
    상기 뚜껑(20)은,
    소정량의 물이 담기도록 컵 형상으로 되되 내부 중앙에는 상기 물통(10) 입구(101)의 수나사부(101a)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201a)를 구비한 캡부(201);
    상기 캡부(201)의 외벽 하단부(202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일체로 형성되되, 상단부 둘레의 길이보다 하단부(202a) 둘레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펼침부(202); 를 포함하고,
    상기 펼침부(202)는,
    탄성을 가진 플랙시블한 소재로 되되, 양측 가장자리(202b)를 따라 탄성을 가진 심재(203)가 매입되어 심재(20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물통(10)의 외벽을 감싸면서 접히거나, 탄성력에 의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되,
    펼침부(202)의 하단부(202a) 둘레의 길이를 물통(10) 외벽의 원주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하단부(202a)의 양측 모서리 부분이 중첩되면서 물통(10)의 외벽을 감싸지게 하며,
    펼침부(202)의 세로 방향으로 다수의 주름선(204); 이 더 형성되되,
    상기 주름선(204)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주름선(204) 간의 간격이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201)는,
    외벽 일측에 고리부(201c);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
  5. 삭제
KR1020190124975A 2019-10-10 2019-10-10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 KR102346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975A KR102346483B1 (ko) 2019-10-10 2019-10-10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975A KR102346483B1 (ko) 2019-10-10 2019-10-10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441A KR20210042441A (ko) 2021-04-20
KR102346483B1 true KR102346483B1 (ko) 2022-01-03

Family

ID=75743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975A KR102346483B1 (ko) 2019-10-10 2019-10-10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4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600U (ko) 2022-01-24 2023-08-01 김병림 반려동물을 위한 물받이 일체형 휴대용 물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9879A (ja) 2008-01-04 2009-07-23 I Wechsler Lawrence 動物のための携帯用給餌・給水器
KR101934535B1 (ko) * 2018-09-07 2019-01-02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반려동물용 물통
CN208924937U (zh) 2018-09-10 2019-06-04 乐烁榕城(深圳)实业有限公司 一种便携式宠物水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719Y1 (ko) 2003-09-16 2003-11-28 권대원 애완동물용 급수장치
CN205794435U (zh) * 2016-06-08 2016-12-14 杨天乐 一种宠物户外饮水装置
KR102197206B1 (ko) * 2018-02-19 2021-01-04 주식회사 지아이엘 애완동물용 물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9879A (ja) 2008-01-04 2009-07-23 I Wechsler Lawrence 動物のための携帯用給餌・給水器
KR101934535B1 (ko) * 2018-09-07 2019-01-02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반려동물용 물통
CN208924937U (zh) 2018-09-10 2019-06-04 乐烁榕城(深圳)实业有限公司 一种便携式宠物水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600U (ko) 2022-01-24 2023-08-01 김병림 반려동물을 위한 물받이 일체형 휴대용 물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441A (ko) 202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0329B2 (en) Portable water container and drinking bowl for pets
US7931170B2 (en) Pet waste bag dispenser
KR20180089880A (ko) 신축 가능한 종이빨대
US8256379B2 (en) Dog leash assembly with removable containers
US20170354120A1 (en) Outdoor pet drinking apparatus
US10144569B2 (en) Portable single-use lotion container with integrated applicator
US20100308006A1 (en) Closure and bottle
KR102346483B1 (ko) 휴대용 반려동물 급수장치
US20140190983A1 (en) Towelette Dispenser
JPS5865109A (ja) 化粧用粉おしろい容器
US20110089188A1 (en) Plush animal waste bag dispenser
US7175069B1 (en) Food dispenser
KR102623823B1 (ko) 애완동물을 위한 휴대용 음료 급수기
KR101530480B1 (ko) 유아용품용 백팩
US6739484B2 (en) Sanitary liquid dispenser
US20070199831A1 (en) Contact Lens Package and Applicator With Method For Its Use
KR102609011B1 (ko) 애완동물용 물통
KR102384203B1 (ko) 반려견 휴대용 컵
CN214296843U (zh) 一种可手提奶茶纸杯
JP6839435B2 (ja) ボトル装着型定量コップ
JP3867214B2 (ja) 携帯用糞取り器
JP2501214Y2 (ja) 玩具を兼ねた容器用キャップ
JP2004291988A (ja) 容器の口栓
KR20190060088A (ko) 위생용 뚜껑
KR20190000327U (ko) 페트병용 티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