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280B1 -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용 조립체 - Google Patents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280B1
KR102346280B1 KR1020200023344A KR20200023344A KR102346280B1 KR 102346280 B1 KR102346280 B1 KR 102346280B1 KR 1020200023344 A KR1020200023344 A KR 1020200023344A KR 20200023344 A KR20200023344 A KR 20200023344A KR 102346280 B1 KR102346280 B1 KR 102346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elevating
gas mask
eyeglass frame
gogg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8584A (ko
Inventor
진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 (Inno)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 (Inno)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 (Inno)
Priority to KR1020200023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280B1/ko
Publication of KR20210108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2Assembling eyepieces, lenses or vision-correction means in or on gas-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4Gas helme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2Magnetic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 조립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량된 공용 탈착구조가 형성되어 방독면의 투시창의 내벽과, 고글의 투시창의 내벽에 공용된 탈착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방독면이나 고글의 선택적인 착용에 따라 단일 보조 안경테의 공용된 사용을 통해 시력의 교정이 가능하도록 한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 조립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용 조립체{Auxiliary spectacle frame assembly}
본 발명은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 조립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량된 공용 탈착구조가 형성되어 방독면의 투시창의 내벽과, 고글의 투시창의 내벽에 공용된 탈착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방독면이나 고글의 선택적인 착용에 따라 단일 보조 안경테의 공용된 사용을 통해 시력의 교정이 가능하도록 한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 조립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독면은 유독가스 및 유해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 군인, 경찰 및 유해 환경에서 근무하는 근무자에 의해 사용된다.
상술한 방독면은 유독가스 및 유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된 지역에서 착용자가 불편함 없이 호흡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정화통을 이용하여 오염된 공기를 걸러낸 후 착용자가 흡입하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지역에서도 안전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독면은 정화통을 거치지 않은 외부의 공기는 유입되지 않도록 완전한 기밀을 유지해야하고,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불편함 없이 전방의 시야를 확인할 수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종래의 방독면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할 수는 있었으나, 시계를 확보함에 있어선 원활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즉,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일반 착용자의 경우엔 시계확보에 어려움이 없었으나, 저시력자의 경우에는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방독면을 착용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저시력자를 위해 방독면의 내부에 안경을 고정 설치하여 저시력자의 시계확보에 도움을 줄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마저도 착용자의 안면구조 및 안면의 크기가 다르고 눈의 위치가 저마다 다르기 때문에 렌즈의 각도및 초점이 정확이 맞지 않는 등 올바른 시계확보가 이루어지지 않아 사물의 분별이 용이하지 못하여 활동에 지장을 주는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 군인, 경찰 등 야외 활동이 많거나 근무하는 근무자들에게 고글이 지급되고 있으며, 상기 고글은 그 특성상 저시력자의 착용이 어려운 관계로, 저시력자들은 고글의 내측에 시력 교정용 렌즈를 장착한 보조 안경 조립테를 배치하여서, 시력의 교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근무자들은 환경에 따라 방독면을 착용하거나, 고글을 선택적으로 착용하게 되므로, 저시력자의 경우에는 고글용 보조 안경테와 방독면용 보조 안경테를 각각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중복적인 비용이 소모된다.
즉, 종래 제시된 방독면 전용의 보조 안경테 고정구조와, 고글 전용의 보조 안경테 고정구조는 상호 호환이 불가능한 관계로, 단일 보조 안경테의 공용된 사용이 불가능하였다.
KR 10-0952333 KR 10-1172296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 안경테와 방독면 사이, 그리고 보조 안경테와 고글 사이에 공용 탈착구조를 마련하여 방독면의 투시창의 내벽과, 고글의 투시창의 내벽에 공용된 탈착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보조 안경테를 방독면이나 고글에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시력의 교정이 가능하도록 한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 조립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 조립구조체는,
좌우 양편에 렌즈가 장착된 렌즈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렌즈 장착부 사이에 브릿지부가 형성된 보조 안경테와; 방독면의 투시창 내측에 형성되어 보조 안경테를 조립하는 방독면측 커플러; 및 고글의 내측에 형성되어 보조 안경테를 조립하는 고글측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방독면측 커플러와 보조 안경테 사이, 그리고 고글측 커플러와 보조 안경테 사이에는, 영구자석에서 발산되는 자기 결합력에 의해 상호 자기 결합되는 자기 결합구조가 형성되어서,
상기 보조 안경테는 방독면측 커플러와, 고글측 커플러에 자기 결합력을 통해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방독면과 고글과의 선택적인 공용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안경테의 브릿지부에는, 중공 규합블록과, 상기 중공 규합블록의 중공부 내에 배치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자기 결합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방독면측 커플러는, 보조 안경테의 중공 규합블록을 중공부 내에 삽입하여 규합하는 중공 규합포켓과; 상기 중공 규합포켓의 중공부 내에 배치되어 중공 규합블록에 배치된 영구자석과 자기 결합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자기 결합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고글측 커플러에는, 상기 보조 안경테의 중공 규합블록을 중공부 내에 삽입하여 규합하는 중공 규합포켓과; 상기 중공 규합포켓의 중공부 내에 배치되어 중공 규합블록에 배치된 영구자석과 자기 결합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자기 결합구조가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독면측 커플러는 방독면의 투시창 내측에 상하 이격되게 형성된 조립소켓에 상단과 하단을 삽입하여 투시창 내측에 상하 직립하여 배치되는 승강 레일과; 상기 승강 레일에 상하 승강구조로 배치되며, 후방에 자기 결합구조가 형성된 승강 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자기 결합구조를 형성하는 중공 규합포켓과 영구자석은 승강 가이드에 형성되어 승강 가이드의 승강에 의해 보조 안경테의 장착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방독면에 배치된 방독면측 커플러와 고글에 배치된 고글측 커플러에, 영구자석에서 발산되는 자기 결합력을 통한 자기 결합과, 중공 규합블록과 중공 규합포켓 사이의 규합구조에 의해 간편하고 안정된 조립상태의 확보와 함께 간편한 탈착을 통해 보조 안경테의 치환 장착이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자기 결합된 안경 프론트는 방독면측 커플러와, 고글측 커플러에, 중공 규합블록과 중공 규합포켓을 통해 상호 규합된 상태를 형성하므로, 자기 결합된 보조 안경테는 착용과정에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임의로 유동하거나 분리되는 현상이 예방되고, 결과적으로 보조 안경테의 안정적인 착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 조립구조체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조 안경테 조립구조체를 구성하는 보조 안경테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조 안경테 조립구조체를 구성하는 방독면측 커플러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조 안경테 조립구조체를 구성하는 고글측 커플러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 조립구조체를 통한 보조 안경테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 조립구조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 조립구조체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조 안경테 조립구조체를 구성하는 보조 안경테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조 안경테 조립구조체를 구성하는 방독면측 커플러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보조 안경테 조립구조체를 구성하는 고글측 커플러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 조립구조체를 통한 보조 안경테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 조립구조체(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력 교정렌즈가 장착된 하나의 보조 안경테(10)를, 방독면(100)과 고글(200)에 공용되게 장착하는 공용 조립구조를 마련하여, 근무자는 하나의 보조 안경테(10)를 착용을 요하는 방독면(100)이나 고글(200)에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해당 물품의 착용시에 시력 교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보조 안경테 조립구조체(1)는, 좌우 양편에 렌즈가 장착된 렌즈 장착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렌즈 장착부(11) 사이에 브릿지부(12)가 형성된 보조 안경테(10)와; 방독면(100)의 투시창(110) 내측에 형성되어 보조 안경테(1)를 조립하는 방독면측 커플러(20); 및 고글(200)의 내측에 형성되어 보조 안경테(10)를 조립하는 고글측 커플러(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독면측 커플러(20)와 고글측 커플러(30), 및 상기 방독면측 커플러(20)와 고글측 커플러(30)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보조 안경테(10) 사이에 자기 결합구조를 마련하여서, 보조 안경테(10)는, 자기 결합구조를 형성하는 영구자석과 영구자석 사이에 형성되는 자기 결합력에 의해 방독면측 커플러(20)와 고글측 커플러(3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방독면(100)과 고글(200)에 공용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근무자는 여러개의 보조 안경테를 구비하지 아니하고, 하나의 보조 안경테(10)를 착용을 요하는 방독면(100)이나 고글(200)에 선택적으로 장착하여서 시력 교정기능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기에서는, 자기 결합구조를 갖는 보조 안경테(10)와, 상기 보조 안경테(10)가 장착되는 방독면측 커플러(20), 및 고글측 커플러(30)의 구조를 상술하기로 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 결합구조를 갖는 보조 안경테(1)는, 도 2와 같이 우수한 경량성이 확보된 플라스틱 사출품으로 구성되며, 좌우 이격된 렌즈 장착부(11)와 렌즈 장착부(11) 사이에 형성된 브릿지부(12)의 전방에는 자기 결합구조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 결합구조는 전방으로 돌출된 사각의 중공 규합블록(13)의 중공부 내에, 자기 결합력을 제공하는 영구자석(14)이 배치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보조 안경테(10)는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중공 규합블록(13)은 후술되는 방독면측 커플러(20)에 형성된 규합포켓(23)과, 고글측 커플러(30)에 형성된 규합포켓(31)에 진입하여, 외접하는 규합포켓의 내벽에 의해 상하좌우로 규합된 상태로 조립되어서, 임의로 회전하거나 상하 및 좌우로 유동하는 현상이 억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방독면측 커플러(2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독면(100)의 투시창(110) 내측에 상하 이격되게 형성된 조립소켓(111)에 상단과 하단을 삽입하여 투시창(110) 내측에 상하 직립하여 배치되는 승강 레일(21)과; 상기 승강 레일(21)에 상하 승강구조로 배치되며, 후방에 자기 결합구조가 형성된 승강 가이드(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레일(21)은 중앙부에 상하 절개된 승강 레일홈(21a)이 형성되고 승강 레일홈(21a)의 양측에 승강 레일바(21b)가 형성된 중공의 사출편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 가이드(22)는 좌우 양편에 승강 레일(21)의 양측에 형성된 승강 레일바(21b)의 외측면을 감싼 상태로 조립되어 승강 레일바(21b)에 승강구조로 견착되는 탄성 클립암(22a)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양측외벽이 승강 레일바(21b)와 외접된 상태로 승강 가이드(22)의 승강 레일홈(21a) 내에 삽입되는 중공 규합포켓(23)이 일체로 형성된 사출 성형품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 레일바(21b)의 외벽을 감싼 탄성 클립암(22a)의 단부에는 미늘형의 걸림턱(22a-a)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 가이드(22)는 승강 레일(2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탄성 압입하여 견착하여서 승강 레일(21)에 승강구조로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 가이드(22)는 승강 레일(21)에 형성된 한 쌍의 승강 레일바(21b)와 이들 사이에 형성된 승강 레일홈(21a)을 통해 3중 지지되어, 외력이나 충격이 의해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없이 정형된 승강구조로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레일(21)에서 승강 레일홈(21a)의 양측벽을 형성하는 승강 레일바(21b)의 내벽에는, 다단의 견착돌기(21c)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 레일(21)과의 조립시 승강 레일바(21b)의 내벽과 외접하는 승강 가이드(22)의 중공 규합포켓(23) 양측벽에도 다단의 견착돌기(23a)가 형성되어서, 상기 승강 레일(21)과 승강 가이드(22)는 다단의 견착돌기(21c, 23a)들을 통해 다단의 스토핑 상태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 가이드(22)는 다단 견착돌기(21c, 23a) 사이에 형성된 견착력 보다 상대적으로 큰 작용력이 제공되면, 승강 가이드(22)는 승강 레일(21)을 따라 승강하여 요하는 높이에 고정되고, 결과적으로 승강 가이드(22)에 보조 안경테(10)를 장착하여 방독면(100)을 착용한 근무자는 승강 가이드(22)를 상하로 이동하여 높이를 조절하여서 자신의 시야높이에 적당한 높이로 보조 안경테(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레일(21)의 승강 레일홈(21a)에 삽입된 중공 규합포켓(23)의 중공부에는, 상기 보조 안경테(10)의 중공 규합블록(13) 내에 배치된 영구자석(14)과 자기 결합되는 영구자석(24)이 배치된다.
상기 보조 안경테(10)는 승강 레일(21)에 승강구조로 조립된 승강 가이드(22)의 영구자석(24)과 결합되어서, 방독면측 커플러(20)에 정형화되게 장착된다.
이때,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상기 내설된 영구자석(14, 24)에 의해 상호 자기 결합되며, 방독면측 커플러(20)에 형성된 중공 규합포켓(23)의 중공부와, 보조 안경테(10)에 형성된 중공 규합블록(13)의 외벽은 상호 각각 규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7과 같이 상기 중공 규합블록(13) 내에 배치된 방독면측 커플러(20)에 배치된 영구자석(24)의 자기 결합면(24a)과, 상기 영구자석(24)과 자기 결합되는 보조 안경테(10)의 영구자석(14)의 자기 결합면(14a)은 경사진 빗면구조로 구성하여, 방독면측 커플러(20)의 영구자석(24)과 보조 안경테(10)의 영구자석(14)은 빗면구조를 통해 접촉면적을 증대하여 보다 강한 자기 결합력과 함께 빗면구조의 결합에 의해 자기 결합된 보조 안경테(10)의 흔들림이나 회전 발생이 억제되도록 한다.
따라서, 자기 결합된 방독면측 커플러(20)에 자기 결합하여 장착된 보조 안경테(10)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흔들리거나 방독면측 커플러(20)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안정되게 예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글(200)에 형성된 고글측 커플러(30)는 도 4와 같이 하부에 분지된 코받침대(30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단부가 고글(200)의 고글 브릿지(121)에 직립되게 고정된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출 성형품의 중앙부 배면에 사각의 중공 규합포켓(31)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 규합포켓(31) 내에 영구자석(32)을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보조 안경테(10)의 중공 규합블록(13)은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고글측 커플러(30)에 형성된 중공 규합포켓(31)의 중공부 내에 진입하여, 영구자석(14, 32)에서 발산되는 자기 결합력에 의해 고글측 커플러(30)에 자기 결합되고, 특히 중공 규합블록(13)은 외접하는 중공 규합포켓(31)의 내벽에 의해 상하좌우로 규합된 상태로 조립되어 임의로 회전하거나 상하 및 좌우로 유동하는 현상이 억제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7과 같이 상기 중공 규합블록(13) 내에 배치된 고글측 커플러(30)에 배치된 영구자석(32)의 자기 결합면(32a)과, 상기 영구자석(32)과 자기 결합되는 보조 안경테(10)의 영구자석(14)의 자기 결합면(14a)은 경사진 빗면구조로 구성하여, 고글측 커플러(30)의 영구자석(32)과 보조 안경테(10)의 영구자석(14)은 빗면구조를 통해 접촉면적을 증대하여 보다 강한 자기 결합력과 함께 빗면구조의 결합에 의해 자기 결합된 보조 안경테(10)의 흔들림이나 회전 발생이 억제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 조립구조체(1)는, 방독면(100)에 배치된 방독면측 커플러(20)와 고글(200)에 배치된 고글측 커플러(30)에, 영구자석에서 발산되는 자기 결합력을 통한 자기 결합과, 중공 규합블록과 중공 규합포켓 사이의 규합구조에 의해 간편하고 안정된 조립상태의 확보와 함께 간편한 탈착을 통해 보조 안경테의 치환 장착이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방독면측 커플러(20)에 브릿지부(12)를 자기 결합하여 투시창(110) 내측에 배치되거나, 고글측 커플러(30)에 브릿지부(12)를 자기 결합하여 고글렌즈(220) 내에 배치되는 보조 안경테(10)에서, 브릿지부(12)의 양편에 형성된 렌즈 장착부(11)는 착용과정에 전방에 형성된 방독면(100)의 투시창(110)이나 고글(200)의 고글렌즈(210)의 내벽과 물리적인 간섭이 야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시창(110)이나 고글렌즈(220)와의 반복적인 간섭이 야기되면, 투시창(110)이나 고글렌즈(210), 및 렌즈 장착부(11)에 장착된 렌즈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등 투시창이나 고글렌즈, 및 렌즈의 물리적인 손상이 야기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조 안경테(10)의 양측에 지지돌기(15)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돌기(15)에 간극 지지링(16)을 배치하여서, 상기 간극 지지링(16)에 의해 보조 안경테(10)는 투시창(110)이나 고글렌즈(220)에서 이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간극 지지링(16)은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져 우수한 완충성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앙부에 형성된 브릿지부(12)를 방독면측 커플러(20), 또는 고글측 커플러(3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자기 결합력을 통해 고정한 보조 안경테(10)는 간극 지지링(16)을 통해 투시창(110)이나 고글렌즈(210)의 내벽에 양단을 고정하여서, 상기 보조 안경테(10)는 3점 지지구조를 형성하여 방독면이나 고글의 내측에 정형화되게 지지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정원형의 간극 지지링(16)은 중공부에 관통되는 지지돌기(15)에 의해 상하로 긴형상으로 전개되어, 전방에 배치된 투시창(110)이나 고글렌즈(210)와 안정되게 탄성 지지하고, 보조 안경테(10)에 형성된 렌즈와, 방독면이나 고글에 형성된 투시창(110)이나 고글렌즈(210)의 물리적인 마찰 발생을 방지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보조 안경테(10)의 양측에 지지돌기(15)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돌기(15)에 간극 지지링(16)을 삽입 고정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간극 지지링(16)이 장시간 착용과 햇빛이나 습도에 노출되어 변성된 경우, 새로운 간극 지지링(16)의 치환 설치를 통해 간편한 유지 보수가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1. 보조 안경테 조립구조체
10. 보조 안경테 11. 렌즈 장착부
12. 브릿지부 13. 중공 규합블록
14. 영구자석 14a. 자기 결합면
15. 견착돌기
20. 방독면측 커플러 21. 승강레일
21a. 승강 레일홈 21b. 승강 레일바
21b-a. 견착
21c. 다단의 견착돌기 22. 승강 가이드
22a. 탄성 클립암 22a-a. 걸림턱
23. 중공 규합포켓 23a. 다단의 견착돌기
24. 영구자석 24a. 자기 결합면
30. 고글측 커플러 30a. 코받침대
31. 중공 규합포켓 32. 영구자석
32a. 자기 결합면
100. 방독면 110. 투시창
111. 조립소켓
200. 고글 210. 고글 브릿지
220. 고글렌즈

Claims (3)

  1. 좌우 양편에 렌즈가 장착된 렌즈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렌즈 장착부 사이에 브릿지부가 형성된 보조 안경테와; 방독면의 투시창 내측에 형성되어 보조 안경테를 조립하는 방독면측 커플러; 및 고글의 내측에 형성되어 보조 안경테를 조립하는 고글측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방독면측 커플러와 보조 안경테 사이, 그리고 고글측 커플러와 보조 안경테 사이에는, 영구자석에서 발산되는 자기 결합력에 의해 상호 자기 결합되는 자기 결합구조가 형성되어서,
    상기 보조 안경테는 방독면측 커플러와, 고글측 커플러에 자기 결합력을 통해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방독면과 고글과의 선택적인 공용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 안경테의 브릿지부에는, 중공 규합블록과, 상기 중공 규합블록의 중공부 내에 배치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자기 결합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방독면측 커플러는, 보조 안경테의 중공 규합블록을 중공부 내에 삽입하여 규합하는 중공 규합포켓과; 상기 중공 규합포켓의 중공부 내에 배치되어 중공 규합블록에 배치된 영구자석과 자기 결합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자기 결합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고글측 커플러에는, 상기 보조 안경테의 중공 규합블록을 중공부 내에 삽입하여 규합하는 중공 규합포켓과; 상기 중공 규합포켓의 중공부 내에 배치되어 중공 규합블록에 배치된 영구자석과 자기 결합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자기 결합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방독면측 커플러는 방독면의 투시창 내측에 상하 이격되게 형성된 조립소켓에 상단과 하단을 삽입하여 투시창 내측에 상하 직립하여 배치되는 승강 레일과; 상기 승강 레일에 상하 승강구조로 배치되며, 후방에 자기 결합구조가 형성된 승강 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자기 결합구조를 형성하는 중공 규합포켓과 영구자석은 승강 가이드에 형성되어 승강 가이드의 승강에 의해 보조 안경테의 장착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승강 레일은 중앙부에 상하 절개된 승강 레일홈이 형성되고 승강 레일홈의 양측에 승강 레일바가 형성된 형태이고,
    상기 승강 가이드는 좌우 양편에 승강 레일의 양측에 형성된 승강 레일바의 외측면을 감싼 상태로 조립되어 승강 레일바에 승강구조로 견착되는 탄성 클립암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양측 외벽이 상기 승강 레일바와 외접된 상태로 승강 가이드의 승강 레일홈 내에 삽입되는 중공 규합포켓이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 레일바의 외벽을 감싼 탄성 클립암의 단부에는 미늘형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 가이드는 승강 레일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탄성 압입하여 견착하여서 승강 레일에 승강구조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 조립구조체.
  2. 삭제
  3. 삭제
KR1020200023344A 2020-02-26 2020-02-26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용 조립체 KR102346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344A KR102346280B1 (ko) 2020-02-26 2020-02-26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용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344A KR102346280B1 (ko) 2020-02-26 2020-02-26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용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584A KR20210108584A (ko) 2021-09-03
KR102346280B1 true KR102346280B1 (ko) 2022-01-03

Family

ID=77784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344A KR102346280B1 (ko) 2020-02-26 2020-02-26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용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104B1 (ko) * 2023-02-13 2023-10-26 김재복 휴대용 스마트 실리콘 방독 마스크와 그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928B1 (ko) * 2015-12-17 2017-05-02 (주)써보레 자동차광 보안경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291B1 (ko) * 2004-12-22 2008-01-28 김영남 탈,부착이 용이한 방독면 투시창용 안경
KR100952333B1 (ko) 2009-05-29 2010-04-09 주식회사 산청 방독면용 안경
KR101172296B1 (ko) * 2010-06-25 2012-08-09 삼공물산 주식회사 저시력자용 방독면 안경
KR101482166B1 (ko) * 2013-03-12 2015-01-14 (주)써보레 마스크 탈착형 자동 차광 고글
KR20160001709U (ko) * 2014-11-12 2016-05-20 현도명 고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1928B1 (ko) * 2015-12-17 2017-05-02 (주)써보레 자동차광 보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584A (ko) 202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5839Y1 (ko) 안경과 클립의 결합구조
US20110083256A1 (en) Structure for Securing a Secondary Goggle Frame
WO2003016984A3 (en) Sunglasses with removable sealing member
KR102346280B1 (ko)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용 조립체
CN201210202Y (zh) 眼镜之改良构造
US7144108B2 (en) Spectacles and sunshade clip assembly using magnets
KR101420774B1 (ko) 분리형 다기능 안경
JP3203761U (ja) 眼鏡用保持装置
CN211426965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眼镜
JP2015099217A (ja) インナーフレーム付き眼鏡フロント枠
KR200435376Y1 (ko) 안경테의 렌즈 고정장치
KR200483592Y1 (ko) 안경위에 착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
CN217360477U (zh) 一种具有屈光矫正功能的防护眼镜
JP2012047962A (ja) 保護眼鏡
KR20160003557U (ko) 안경테
KR102629394B1 (ko) 수차저감구조를 포함하는 도수클립 안경렌즈
CN219016734U (zh) 具有磁吸式镜片更换功能的眼镜
KR101698409B1 (ko) 다기능 복합 안경
CN218675553U (zh) 眼镜
CN212623409U (zh) 一种磁铁组装侧罩的tr90眼镜架
KR102369218B1 (ko) 수중 고글용 안경 구조체
CN216561251U (zh) 一种滑雪防护装置
KR102480469B1 (ko) 고글에 장착되는 클립 연결형 안경테
CN211215275U (zh) 一种镜片可换式水镜
KR200310430Y1 (ko) 높이 조절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