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296B1 - 저시력자용 방독면 안경 - Google Patents

저시력자용 방독면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296B1
KR101172296B1 KR1020100060629A KR20100060629A KR101172296B1 KR 101172296 B1 KR101172296 B1 KR 101172296B1 KR 1020100060629 A KR1020100060629 A KR 1020100060629A KR 20100060629 A KR20100060629 A KR 20100060629A KR 101172296 B1 KR101172296 B1 KR 101172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glasses
mask
gas mask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319A (ko
Inventor
지영만
Original Assignee
삼공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공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공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0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296B1/ko
Publication of KR20120000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2Assembling eyepieces, lenses or vision-correction means in or on gas-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4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gasproof shel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02C3/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by headgear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독면용 안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독면 내부에 저시력자를 위해 설치되는 안경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저시력자용 방독면용 안경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에 설치되며 착용자의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투시창과, 오염된 공기를 걸러줄 수 있도록 한 정화통을 포함하는 방독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마스크의 내측으로 투시창 상하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축방향을 따라 요철이 형성된 가이드공을 포함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공에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접속구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구 양측으로 한 쌍의 렌즈고정구가 형성된 안경프레임과, 상기 접속구에 형성되는 결합공을 통해 일단이 상기 가이드공에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안경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하부에 위치되어 버튼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저시력자용 방독면 안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저시력자용 방독면 안경 {Gas mask glass for people with low vision}
본 발명은 방독면용 안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독면 내부에 저시력자를 위해 설치되는 안경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저시력자용 방독면용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독면은 유독가스 및 유해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 군인, 경찰 및 유해 환경에서 근무하는 근무자에 의해 사용된다.
상술한 방독면은 유독가스 및 유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된 지역에서 착용자가 불편함 없이 호흡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정화통을 이용하여 오염된 공기를 걸러낸 후 착용자가 흡입하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지역에서도 안전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독면은 정화통을 거치지 않은 외부의 공기는 유입되지 않도록 완전한 기밀을 유지해야하고, 착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불편함 없이 전방의 시야를 확인할 수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종래의 방독면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할 수는 있었으나, 시계를 확보함에 있어선 원활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즉,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일반 착용자의 경우엔 시계확보에 어려움이 없었으나, 저시력자의 경우에는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방독면을 착용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저시력자를 위해 방독면의 내부에 안경을 고정 설치하여 저시력자의 시계확보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마저도 착용자의 안면구조 및 안면의 크기가 다르고 눈의 위치가 저마다 다르기 때문에 렌즈의 각도 및 초점이 정확이 맞지 않는 등 올바른 시계확보가 이루어지지 않아 사물의 분별이 용이하지 못하여 활동에 지장을 주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방독면의 내부에 설치되는 안경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용자의 안면구조 및 안면의 크기에 관계없이 렌즈의 각도 및 초점이 정확이 맞도록 하여 저시력자도 시계확보에 어려움이 없도록 한 저시력자용 방독면 안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에 설치되며 착용자의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투시창과, 오염된 공기를 걸러줄 수 있도록 한 정화통을 포함하는 방독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마스크의 내측으로 투시창 상하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축방향을 따라 요철이 형성된 가이드공을 포함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공에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접속구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구 양측으로 한 쌍의 렌즈고정구가 형성된 안경프레임과, 상기 접속구에 형성되는 결합공을 통해 일단이 상기 가이드공에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안경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버튼과, 상기 버튼의 하부에 위치되어 버튼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저시력자용 방독면 안경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투시창의 중앙 상하부에 마련되는 레일결합구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구는 일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이드공에 삽입되게 위치되는 것으로, 삽입된 끝단부에 돌출턱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상기 안경프레임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은 상기 접속구의 결합공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끝단에 상기 가이드공에 형성되는 요철과 대응되게 구속돌기가 형성되는 위치구속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공은 상기 접속구에 단차지도록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버튼의 누름부가 위치되는 제1결합공과, 상기 버튼의 위치구속부가 위치되는 제2결합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방독면 안경은 저시력자를 위해 방독면 내부에 설치되는 안경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착용자의 안면 크기 및 안면의 구조에 관계없이 초점이 정확이 맞도록 함으로써, 저시력자도 방독면을 착용한 상태에 시계확보에 불편함이 없어 활동에 자유로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방독면 안경이 설치된 방독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방독면에 안경이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안경프레임과 가이드레일이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 안경이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안경의 높낮이를 조정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방독면 안경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방독면(100)은 착용자의 얼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110)와, 상기 마스크(110)에 설치되며 착용자의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투시창(120)과, 오염된 공기를 걸러줄 수 있도록 한 정화통(130)을 포함한다.
또한, 마스크(110)는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의 밴딩부(140)가 형성되어 착용자의 얼굴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 안경(150)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방독면(100)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시창(120) 후방에 고정설치되어 착용자의 얼굴 구조 및 안구의 높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 안경(15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60)과, 안경프레임(170)과, 버튼(180), 그리고, 탄성부재(190)를 포함한다.
가이드레일(160)은 상기 방독면(100)의 내측으로 투시창(120) 중앙 상하부에 마련되는 레일결합구(162)에 끼움결합되는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60)은 내부에 중공부를 갖도록 형성되며, 전면 중앙부에 축방향을 따라 가이드공(164)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공(164)은 서로 마주보게 복수의 요철(166)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버튼(180)과의 결합시 안경프레임(170)의 승하강을 구속한다.
안경프레임(170)은 저시력자를 위한 시력 교정용 렌즈(172)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레일(160)에 일단이 슬라이딩 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수평방향으로 렌즈(172)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렌즈고정구(174)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렌즈고정구(174) 사이에는 접속구(176)가 마련된다.
상기 접속구(176)는 일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끝단부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160)의 가이드공(16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접속구(176)는 끝단부가 상기 가이드레일(160)의 가이드공(164)을 통해 삽입되게 위치되되, 삽입된 끝단부가 가이드레일(160)에서 이격되지 않도록 돌출턱(176a)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경프레임(170)에 형성된 접속구(176)는 내부에 버튼(18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결합공(177)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공(17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버튼(180)의 누름부(181)가 위치되는 제1결합공(177a)과, 위치구속부(186)가 결합되는 제2결합공(177b)으로 이루어진다.
버튼(180)은 안경프레임(170)의 접속구(176)에 형성되는 결합공(177)에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누름부(181)와 위치구속부(186)로 이루어진다.
상기 누름부(181)는 측면 일측에 복수개의 가압돌기(18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구(176)가 위치되는 방향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확장되는 걸림돌기(183)가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181)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83)는 하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고, 중앙에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하여 걸림돌기(183)가 상기 제1결합공(177a)에 삽입시 내측으로 모아졌다가 제1결합공(177a)에 걸림돌기(183)가 완전히 삽입되면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버튼(180)이 접속구(176)에서 이격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183) 사이에는 한 쌍의 스프링돌기(184)가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위치구속부(186)는 상기 스프링돌기(184) 사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레일(160)의 가이드공(164)에 형성된 요철(166)과 대응되게 구속돌기(187)가 형성된다.
상기 구속돌기(187)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철(166)에 삽입되어 화살표 방향으로 승하강됨에 따라 위치를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재(190)는 상기 버튼(180)과 상기 접속구(176)의 제2결합공(177b)이 형성된 면 사이에 설치되어 버튼(180)을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190)는 스프링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버튼(180)의 누름부(181) 측면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돌기(184)에 끼움되게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제2결합공(177b)이 형성된 접속구(176)의 일면에 탄성지지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버튼(18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 안경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결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우선 렌즈(172)가 결합된 안경프레임(170)의 접속구(176)에 버튼(180)이 탄성지지되도록 결합한다.
즉, 상기 접속구(176)에 형성된 제1결합공(177a)으로 탄성부재(190)가 결합된 버튼(180)을 삽입하여 버튼(180)이 탄성지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위치구속부(186)가 상기 제2결합공(177b)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버튼(180)과 상기 안경프레임(170)의 결합시 버튼(180)에 형성된 누름부(181)의 하부에 경사지게 형상된 걸림돌기(183)가 제1결합공(177a)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변형되면서 수축된 상태로 결합되다 걸림돌기(183)가 제1결합공(177a)을 완전이 통과하면 탄성복원되면서 걸림돌기(183)가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어 접속구(176)의 제1결합공(177b) 하부면에 걸리면서 고정되게 된다.
이후, 버튼(180)이 결합된 안경프레임(170)의 접속구(176) 끝단을 가이드레일(160)의 일측을 통해 중공부에 슬라이딩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속구(176)의 끝단에 형성된 돌출턱(176a)이 상기 가이드레일(160)의 중공부에 삽입되도록 하는 동시에 버튼(180)의 누름부(181)를 가압하여 구속돌기(187)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한 후 결합한다.
이후, 상기 안경프레임(170)과 가이드레일(160)의 결합이 완료되면, 방독면의 투시창(120) 상하부에 마련된 레일결합구에 상기 가이드레일(160)의 양단을 각각 끼움결합하여 모든 결합을 완료한다.
이후, 저시력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150)의 높낮이를 조절할 경우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80)의 누름부(181)를 가압하여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가이드공(164)에 형성된 요철(166)에서 구속돌기(187)가 이격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안경프레임(170)을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올리거나 내려 위치를 조정한 후 가압하고 있던 버튼(180)을 놓게 되면 탄성부재(19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버튼(180)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는 동시에 구속돌기(187)가 상기 가이드공(164)에 형성된 요철(166)에 삽입되어 안경프레임(170)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시력자용 방독면 안경(150)은 착용자의 안면구조 및 안면 크기에 관계없이 안경의 높낮이를 쉽고 간편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계확보에 불편함이 없어 활동에 자유로울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인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 방독면 110 : 마스크
120 : 투시창 130 : 정화통
140 : 밴딩부 150 : 안경
160 : 가이드레일 162 : 레일결합구
164 : 가이드공 166 : 요철
170 : 안경프레임 172 : 렌즈
174 : 렌즈고정구 176 : 접속구
176a: 돌출턱 177 : 결합공
177a : 제1결합공 177b : 제2결합공
180 : 버튼 181 : 누름부
182 : 가압돌기 183 : 걸림돌기
184: 스프링돌기 186 : 위치구속부
187 : 구속돌기 190 : 탄성부재

Claims (5)

  1.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에 설치되며 착용자의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투시창과, 오염된 공기를 걸러줄 수 있도록 한 정화통을 포함하는 방독면에 설치되는 저시력자용 방독면 안경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내측으로 투시창 상하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축방향을 따라 요철이 형성된 가이드공을 포함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공에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접속구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구 양측으로 한 쌍의 렌즈고정구가 형성된 안경프레임;
    상기 접속구에 형성되는 결합공을 통해 일단이 상기 가이드공에 끼움결합되는 것으로 안경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는 버튼;
    상기 접속구에 대해 상기 버튼이 탄성지지되도록 상기 접속구와 버튼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저시력자용 방독면 안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상기 투시창의 중앙 상하부에 마련되는 레일결합구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시력자용 방독면 안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는
    일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끝단이 상기 가이드레일의 가이드공에 삽입되게 위치되는 것으로, 삽입된 끝단부에 돌출턱을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에서 상기 안경프레임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시력자용 방독면 안경.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접속구의 결합공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누름부;
    상기 접속구가 위치된 방향으로 상기 누름부의 측면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끝단에 상기 가이드공에 형성되는 요철과 대응되게 구속돌기가 형성되는 위치구속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시력자용 방독면 안경.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은
    상기 접속구에 단차지도록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버튼의 누름부가 위치되는 제1결합공과;
    상기 버튼의 위치구속부가 위치되는 제2결합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시력자용 방독면 안경.
KR1020100060629A 2010-06-25 2010-06-25 저시력자용 방독면 안경 KR101172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629A KR101172296B1 (ko) 2010-06-25 2010-06-25 저시력자용 방독면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629A KR101172296B1 (ko) 2010-06-25 2010-06-25 저시력자용 방독면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319A KR20120000319A (ko) 2012-01-02
KR101172296B1 true KR101172296B1 (ko) 2012-08-09

Family

ID=4560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629A KR101172296B1 (ko) 2010-06-25 2010-06-25 저시력자용 방독면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2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8584A (ko) 2020-02-26 2021-09-03 주식회사 이노 (Inno)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용 조립체
US11400323B2 (en) 2020-06-17 2022-08-02 Sleevz Inc. Protective face covering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657B1 (ko) * 2014-08-28 2015-07-29 김종기 방독면용 안경
US9851569B2 (en) 2015-11-06 2017-12-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unting apparatus for head-mounted display device
WO2018012656A1 (ko) * 2016-07-15 2018-01-18 (주)씨아이인벤투스 안경 착용자의 활동성 개선을 위한 안경보호기구
EP3913423A1 (en) * 2020-05-19 2021-11-24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Adjustable lens holder for protective eyewea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1539A (en) 1985-06-18 1987-12-08 American Optical Corporation Support structure for protective mask optical insert
US20080186447A1 (en) 2005-05-04 2008-08-07 Avon Protection Systems, Inc. Respirator Mask with Corrective Lens Frame Assemble
US7637611B1 (en) 2007-03-23 2009-12-29 Rotella John R Adjustable spectacle kit
KR100952333B1 (ko) 2009-05-29 2010-04-09 주식회사 산청 방독면용 안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1539A (en) 1985-06-18 1987-12-08 American Optical Corporation Support structure for protective mask optical insert
US20080186447A1 (en) 2005-05-04 2008-08-07 Avon Protection Systems, Inc. Respirator Mask with Corrective Lens Frame Assemble
US7637611B1 (en) 2007-03-23 2009-12-29 Rotella John R Adjustable spectacle kit
KR100952333B1 (ko) 2009-05-29 2010-04-09 주식회사 산청 방독면용 안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8584A (ko) 2020-02-26 2021-09-03 주식회사 이노 (Inno)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용 조립체
US11400323B2 (en) 2020-06-17 2022-08-02 Sleevz Inc. Protective face cover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319A (ko) 201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2296B1 (ko) 저시력자용 방독면 안경
KR101263197B1 (ko) 교정 렌즈 프레임 조립체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
CN101453968B (zh) 带有面罩连接部件的护目镜
KR102028304B1 (ko) 밀착력이 강화된 마스크
KR20170003887A (ko) 입김차단용 마스크
US7494218B1 (en) Adjustable spectacle kit
KR20170031457A (ko) 고글 마스크
WO2012144809A3 (ko) 김서림 방지용 마스크
KR102177919B1 (ko) 고글 마스크
KR102346280B1 (ko)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용 조립체
TWI557464B (zh) 防毒面具用眼鏡
CN211608327U (zh) 一种防飞沫护目安全帽
US8651658B2 (en) Masks
CN219148192U (zh) 一种防雾式医用护目镜
TWM600629U (zh) 遮罩結構
KR102487621B1 (ko) 내열성이 우수한 일회용 밀폐 보안경
KR102369218B1 (ko) 수중 고글용 안경 구조체
KR102163639B1 (ko) 보호필름이 구비된 마스크 고정부재
JP3228822U (ja) フェイスカバー
CN212088266U (zh) 一种可防起雾的多功能面罩
CN212326734U (zh) 一种医用防护眼罩
CN207708351U (zh) 一种面罩用眼镜支架系统
KR100696078B1 (ko) 촛점 유지가 가능한 방독면용 렌즈 결합구
JP2023109661A (ja) マスクおよびマスクとメガネから成る分割式フェイスシールド
KR20210109289A (ko) 일회용 밀폐 보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