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657B1 - 방독면용 안경 - Google Patents

방독면용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657B1
KR101539657B1 KR1020140112970A KR20140112970A KR101539657B1 KR 101539657 B1 KR101539657 B1 KR 101539657B1 KR 1020140112970 A KR1020140112970 A KR 1020140112970A KR 20140112970 A KR20140112970 A KR 20140112970A KR 101539657 B1 KR101539657 B1 KR 101539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lock
locking member
spectacle frame
guide rai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2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김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기 filed Critical 김종기
Priority to KR1020140112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6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657B1/ko
Priority to PCT/KR2015/008924 priority patent/WO2016032228A1/ko
Priority to TW104128452A priority patent/TWI557464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2Assembling eyepieces, lenses or vision-correction means in or on gas-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2/00Producing frames
    • B29D12/02Spectacle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1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not fully classifiable according to technical characteristics, e.g. therapeutic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10Intermediate bars or bars between bridge and side-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yeglass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독면의 투시창 내측에 안경을 장착하여 저시력자가 방독면을 착용할 때 저시력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하는 방독면용 안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독면용 안경 장착장치는, 한 쌍의 안경렌즈가 마련된 안경테; 방독면의 투시창 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안경테에 결합되어 상기 안경테와 함께 상하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하여 그 상하 위치가 조절되는 가이드블록; 및 상기 안경테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 및 가이드블록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블록을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 위치에 고정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독면용 안경{THE SPECTACLES OF GAS MASK}
본 발명은 방독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독면의 투시창 내측에 안경을 장착하여 저시력자가 방독면을 착용할 때 저시력자의 시야를 정확히 확보할 수 있게 하는 방독면용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독면은 착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오염지역의 유독가스로부터 인체를 보호한다. 이러한 방독면은 마스크에 결합된 정화통을 통해 정화된 공기를 착용자의 호흡기에 제공한다. 따라서, 착용자는 오염지역에서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방독면은 안면부를 밀폐하는 안면부와, 안면부의 상부에 마련된 투시창과, 안면부의 측방에 마련된 정화통과, 안면부의 하부 중앙부에 마련된 배기유닛 등을 가진다.
이러한 방독면은 투시창을 통해 시계를 확보하지만, 저시력자의 경우 투시창만으로는 시계를 정확하게 확보할 수 없으므로 방독면의 투시창 내측에 저시력자에게 적합한 별도의 방독면용 안경을 방독면의 투시창 내측에 장착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방독면용 안경은 착용자의 안면구조 및 안면의 사이즈가 다르고 눈의 위치가 저마다 다르기 때문에 안경의 초점을 정확히 맞추지 못할 경우 저시력자의 시계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방독면용 안경의 위치를 적절하여 조절하여 저시력자의 시계 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위치조절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방독면용 안경은 그 위치조절구조가 매우 복잡함에 따라 안경의 위치조절이 어렵고, 또한 안경의 위치가 조절된 이후에 고정하는 고정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독면용 안경은 그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조절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어 사용되는 구성요소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그 조립이 번거로워 제조단가가 매우 높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KR 10-1172296 B1(2012.08.0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매우 단순한 위치조절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방독면용 안경의 위치 조절을 매우 간편하게 함과 더불어 안경의 조절된 위치를 매우 견고하고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방독면용 안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방독면용 안경 장착장치는,
한 쌍의 안경렌즈가 마련된 안경테;
방독면의 투시창 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안경테에 결합되어 상기 안경테와 함께 상하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하여 그 상하 위치가 조절되는 가이드블록; 및
상기 안경테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 및 가이드블록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블록을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 위치에 고정하는 록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경테에는 한 쌍의 결합돌기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는 안경테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가이드블록은 상기 안경테의 결합돌기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블록과 상기 안경테 사이에는 가이드레일이 통과하는 가이드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블록이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는 제1걸림치형 및 제2걸림치형이 상호 걸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블록은 그 양측에 한 쌍의 측벽 및 각 측벽에 인접하여 형성된 한 쌍의 결합공을 가지고, 상기 결합돌기는 그 선단에 상기 가이드블록의 결합공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부를 가지며,
상기 측벽에는 스냅돌출부가 마련되고, 상기 결합돌기에는 상기 스냅돌출부가 스냅결합되는 결합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움부의 폭은 상기 결합돌기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끼움부와 결합돌기가 만나는 부분에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에는 상기 가이드블록의 결합공 후방면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재의 상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재의 전방에는 가압면이 형성되며,
상기 안경테의 결합돌기들 사이에는 상기 록킹부재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슬롯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장착슬롯의 상부에는 상기 록킹부재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홈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록킹부재의 경사면이 장착슬롯의 경사홈을 따라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록킹부재는 장착슬롯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후진하여 상기 가이드블록의 고정 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재의 상부에는 한 쌍의 탄성리브가 좌우 양측으로 벌어지게 형성되고, 각 탄성리브에는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장착슬롯의 내측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재의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돌기는 곡면진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홈의 하부에는 곡면지게 형성된 걸림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부재는 그 후방면에서 안경테의 후방으로 돌출된 파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파지부에는 요철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경테는 한 쌍의 안경렌즈가 설치되는 한 쌍의 개구를 가지고, 각 개구에는 안경렌즈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가이드블록을 안경테에 결합하는 단순한 위치조절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구성요소를 적게 소요할 뿐만 아니라 그 조립공정이 간소화되어 제조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안경테의 상하 위치조절을 매우 간편하게 함과 더불어 그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록킹부재에 의해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블록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가이드블록을 가이드레일의 일측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가이드블록에 결합된 안경테는 그 조절된 위치에서 매우 견고하고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블록이 안경테의 결합돌기에 결합되는 매우 단순한 결합구조를 통해 안경테와 가이드블록 사이에 가이드레일이 통과하는 가이드통로를 매우 간편하게 조성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블록은 가이드레일에 대해 그 상하 이동이 매우 안정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블록의 제1 및 제2 걸림치형이 상호 마주보게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가이드블록의 상하 이동에 따른 그 위치조절이 안정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결합돌기의 끼움부가 가이드블록의 결합공에 끼움결합됨에 따라 가이드블록은 안경테의 결합돌기에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고, 더불어 결합돌기의 끼움부가 가이드블록의 결합공에 결합될 때 가이드블록의 스냅돌출부가 결합돌기의 결합홈에 스냅결합됨에 따라 가이드블록은 안경테의 결합돌기에 매우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이드블록와 안경테 사이의 가이드통로를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블록의 결합공에 결합돌기의 끼움부가 결합될 때 가이드블록의 결합공 후방면이 결합돌기의 단턱부와 접촉함에 따라 가이드블록와 안경테 사이의 가이드통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이드통로를 보다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사면 및 경사홈에 의해 록킹부재의 상하 이동에 의해 록킹부재의 전후진이 안정되게 이루어짐으로써 록킹부재에 의한 가이드블록의 고정 및 해제 작동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고, 특히 록킹부재의 경사면이 장착슬롯의 경사홈을 따라 슬라이딩함에 따라 록킹부재가 가이드레일와 가이드블록을 가압함으로써 가이드블록을 가이드레일의 일측 위치에 매우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록킹부재의 상향 이동 시에 탄성리브의 걸림돌기가 장착슬롯의 걸림홈에 걸려짐에 따라 록킹부재에 의한 가이드레일 및 가이드블록의 고정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곡면진 구조의 걸림돌기 및 걸림턱에 의해 탄성리브의 탄성적인 걸림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록킹부재의 후방면에 마련된 파지부가 안경테의 후방으로 돌출된 구조에 의해 록킹부재에 의한 가이드블록의 고정 및 해제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안경테의 개구에 마련된 지지턱에 의해 안경테의 각 개구에 끼워진 안경렌즈가 외측으로 이탈됨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독면용 안경이 방독면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용 안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용 안경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용 안경의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용 안경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화살표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록킹부재가 상향 이동하여 가이드레일을 가이드블록 측으로 가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D-D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안경테의 후방면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용 안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독면용 안경 장착장치는, 한 쌍의 안경렌즈(11)가 마련된 안경테(10)와, 방독면(1)의 투시창(2)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0)과, 안경테(10)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20)에 대해 상하 이동하는 가이드블록(30)과, 안경테(10)에 설치되어 가이드블록(30)을 가이드레일(20)의 일측 위치에 고정하는 록킹부재(4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독면(1)은 착용자의 안면을 밀폐하는 안면부(2)와, 안면부(2)의 상부에 마련된 투시창(3)과, 안면부(2)의 측방에 마련된 정화통(4)과, 안면부(2)의 하부 중앙부에 마련된 배기유닛(5) 등을 가진다.
안경테(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독면(1)의 투시창(2) 내측에서 그 상하 위치가 조절되도록 설치되고, 안경테(10)는 저시력자에게 적합한 한 쌍의 안경렌즈(11)가 스냅 결합방식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개구를 가진다.
그리고, 안경테(10)의 각 개구에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렌즈(1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턱(10a)이 돌출형성되고, 특히 지지턱(10a)은 안경테(10)의 개구 일측 가장자리에서 개구를 향해 단턱지게 형성되어 안경테(10)의 개구에 설치되는 안경렌즈(11)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안경테(10)의 각 개구에 끼워진 안경렌즈(11)는 지지턱(10a)에 의해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될 뿐만 아니라 외측으로 이탈됨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지지턱(10a)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테(10)의 개구 전방측에 마련되어 안경렌즈(11)가 안경테(10)의 후방에서 결합된 상태에서 전방측으로 이탈됨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테(10)는 그 전방 중앙부에 전방을 향해 돌출된 한 쌍의 결합돌기(15)를 가지고, 한 쌍의 결합돌기(15)는 안경테(10)의 폭방향으로 이격된다.
가이드레일(2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방독면(1)의 투시창(2) 내측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가이드레일(20)의 상단 및 하단은 방독면(1)의 투시창(2) 내측에 결합된다. 도 1과 같이 투시창(2)이 결합되는 방독면(1)의 상측 테두리 및 하측 테두리 각각에 포켓부(2a, 2b)가 각각 마련된다. 포켓부(2a, 2b)는 방독면(1)과 동일한 고무재로 이루어져 방독면(1)에 동일체로 성형되고, 고무재 재질의 특성에 의해 포켓부(2a, 2b)는 가이드레일(20)의 상단 및 하단을 탄력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레일(20)의 하단에는 하단절곡부(23)가 형성되고, 이러한 하단절곡부(23)에 의해 가이드레일(20)의 하단은 하측 포켓부(2b)에 보다 용이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다. 하단절곡부(23)는 방독면(1)의 투시창(2) 내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절곡되어 방독면(1)의 내부공간이 감소됨이 방지된다. 만약 가이드레일(20)의 하단이 일직선으로 형성될 경우 가이드레일(20)의 하단이 방독면(1)의 내측에서 돌출되므로 방독면(1)의 내부공간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가이드레일(20)은 그 하단에 하단절곡부(23)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절곡됨에 따라 방독면(1)의 내부공간이 감소하지 않고, 착용자의 얼굴과 가이드레일(20)의 하단이 접촉하지 않으므로 그 착용감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가이드레일(20)은 그 전방면에 톱니형의 제1걸림치형(21)이 형성되고, 제1걸림치형(21)은 일정 피치로 상하 연속되게 형성된다. 가이드레일(20)의 후방면은 평탄하게 형성되고, 가이드레일(20)의 후방면은 후술하는 록킹부재(40)의 가압면(41)에 의해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블록(30)은 결합돌기(15)에 결합됨에 따라 도 10과 같이 가이드블록(30)과 안경테(10) 사이에는 가이드레일(20)이 통과하는 가이드통로(25)가 형성되고, 가이드통로(25)의 양측은 한 쌍의 결합돌기(15)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가이드레일(20)의 사각형 단면에 대응하는 "ㅁ"자형 단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ㅁ"자형 단면의 가이드통로(25)는 한 쌍의 결합돌기(15), 가이드블록(20) 및 안경테(10)의 전면에 의해 그 윤곽이 드러나고, 이러한 가이드통로(25)에 가이드레일(20)이 안정되게 배치됨에 따라 가이드레일(20)에 대해 가이드블록(30) 및 안경테(10)는 그 상하 이동이 매우 안정되게 가이드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블록(30)의 후방면에는 가이드레일(20)의 제1걸림치형(21)에 대응하여 걸려지는 톱니형의 제2걸림치형(31)이 형성되고, 제2걸림치형(31)은 제1걸림치형(21)에 상응하는 일정 피치로 상하 연속되게 형성된다. 이에, 가이드블록(30)이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상하 이동할 때 가이드블록(30)의 제2걸림치형(31)은 가이드레일(20)의 제1걸림치형(21)에 걸려지면서 그 상하 이동 시의 위치 조절이 매우 안정되고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블록(30)이 안경테(10)의 결합돌기(15)에 결합되는 매우 단순한 결합구조를 통해 안경테(10)와 가이드블록(30) 사이에 가이드레일(20)이 통과하는 가이드통로(25)를 매우 간편하게 조성할 수 있으므로 가이드블록(30)은 가이드레일(20)에 대해 그 상하 이동이 매우 안정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가이드블록(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측에 한 쌍의 측벽(33)을 가진 "ㄷ"자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지고, 가이드블록(30)의 각 측벽(33)에 인접하여 결합공(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안경테(10)의 결합돌기(15)는 그 선단에 가이드블록(30)의 결합공(34)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부(14)를 가진다. 이렇게 결합돌기(15)의 끼움부(14)가 가이드블록(30)의 결합공(34)에 끼움결합됨에 따라 가이드블록(30)은 안경테(10)의 결합돌기(15)에 매우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14)의 폭(w1)이 결합돌기(15)의 폭(w2) 보다 작게 형성되고, 이에 끼움부(14)와 결합돌기(15)가 만나는 부분에 단턱부(16)가 형성된다. 이러한 단턱부(16)는 상하방향으로 평탄하게 형성되고, 이에 가이드블록(30)의 결합공(34) 후방면이 단턱부(16)와 접촉하여 가이드블록(30)의 결합위치가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블록(30)의 결합공(34)에 결합돌기(15)의 끼움부(14)가 결합될 때 가이드블록(30)의 결합공(34) 후방면이 결합돌기(15)의 단턱부(16)와 접촉함에 따라 가이드블록(30)과 안경테(10) 사이의 가이드통로(25)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이드통로(25)를 보다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블록(30)의 각 측벽(33)에는 결합돌기(15)의 외측면을 향해 스냅돌출부(36)가 후크 형상으로 돌출되고, 결합돌기(15)의 외측면에는 스냅돌출부(36)가 스냅결합되는 결합홈(13)이 형성된다. 이에, 결합돌기(15)의 끼움부(14)가 가이드블록(30)의 결합공(34)에 결합될 때 가이드블록(30)의 스냅돌출부(36)가 결합돌기(15)의 결합홈(13)에 스냅결합됨에 따라 가이드블록(30)은 안경테(10)의 결합돌기(15)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이드블록(30)과 안경테(10) 사이의 가이드통로(25)를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전술한 스냅돌출부(36)는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블록(30)의 측벽(33)에 형성된 결합공(34)의 내측에 돌출형성되어 안경테(10)의 결합돌기(15)에 형성된 결합홈(13)에 스냅결합된다.
록킹부재(40)는 안경테(10)의 중앙부에 관통하여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록킹부재(40)는 안경테(10)에 대해 상하 이동함에 따라 가이드레일(20)을 가이드블록(10)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가이드블록(30) 및 이에 결합된 안경테(10)를 가이드레일(20)의 일측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안경테(10)의 중앙부 특히, 한 쌍의 결합돌기(15)들 사이에는 장착슬롯(18)이 형성되고, 록킹부재(40)는 장착슬롯(18)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록킹부재(40)는 그 상부에 형성된 경사면(42) 및 그 전방에 형성된 가압면(43)을 가지고, 록킹부재(40)의 경사면(42)에 대응하여 장착슬롯(18)의 상부에는 경사홈(17)이 형성된다. 도 7 및 도 8과 같이, 록킹부재(40)가 장착슬롯(18)을 따라 상하 이동하면 록킹부재(40)의 경사면(42)이 장착슬롯(18)의 경사홈(17)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이에 록킹부재(40)는 그 상하 이동이 전후 운동으로 변환됨으로써 가이드블록(30)의 고정 및 해제가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작동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7과 같이 록킹부재(40)가 장착슬롯(18) 내에서 하측에 위치할 때에 가이드레일(20)의 제1걸림치형(21)과 가이드블록(30)의 제2걸림치형(31)이 서로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가이드레일(20)의 제1걸림치형(21)과 가이드블록(30)의 제2걸림치형(31)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20)을 따라 가이드블록(30) 및 안경테(10)를 용이하게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가이드블록(30) 및 안경테(10)의 상하 위치를 매우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블록(30) 및 안경테(1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한 후에 도 8과 같이 장착슬롯(18) 내에서 록킹부재(40)를 상향 이동하면 록킹부재(40)는 전방으로 돌출하고, 록킹부재(40)의 가압면(43)이 가이드레일(20)을 가이드블록(30)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가이드레일(20)의 제1걸림치형(21)이 가이드블록(30)의 제2걸림치형(31)에 치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고, 이에 가이드블록(30)은 가이드레일(20)의 일측 위치에 매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록킹부재(40)는 그 상부에 좌우 양측으로 벌어지게 형성된 한 쌍의 탄성리브(45)를 가지고, 각 탄성리브(45)의 상단에는 걸림돌기(46)가 형성된다.
그리고, 장착슬롯(18)의 내측면에는 걸림홈(19)이 형성되고, 록킹부재(40)가 상향 이동함에 따라 록킹부재(40)의 탄성리브(45)가 장착슬롯(18) 내에서 탄성적으로 오무려진 이후에 벌어지며, 이에 탄성리브(45)의 걸림돌기(46)가 걸림홈(19)에 걸려져 결합된다.
이와 같이, 록킹부재(40)의 상향 이동 시에 탄성리브(45)의 걸림돌기(46)가 장착슬롯(18)의 걸림홈(19)에 걸려짐에 따라 록킹부재(40)에 의한 가이드레일(20) 및 가이드블록(30)의 고정을 매우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걸림돌기(46)는 곡면진 구조로 이루어지고, 걸림홈(19)의 하부에는 곡면지게 형성된 걸림턱(19a)이 마련되며, 이러한 곡면진 구조의 걸림돌기 및 걸림턱에 의해 탄성리브(45)의 탄성적인 걸림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록킹부재(40)는 그 후방면에 파지부(48)가 돌출하고, 이러한 파지부(48)는 안경테(10)의 장착슬롯(18)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이러한 파지부(48)를 손가락 등으로 파지하여 록킹부재(40)의 상하 이동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이드블록(30)의 고정 및 해제작업이 보다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파지부(4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요철부(48a)가 마련되어 록킹부재(40)의 조작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가이드블록(30)을 안경테(10)에 결합하는 단순한 위치조절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안경테(10)의 상하 위치조절을 매우 간편하게 함과 더불어 그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특히 록킹부재(40)에 의해 가이드레일(20)과 가이드블록(30)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가이드블록을 가이드레일의 일측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가이드블록에 결합된 안경테는 그 조절된 위치에서 매우 견고하고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안경테 11: 안경렌즈
14: 끼움부 15: 결합돌기
16: 단턱부 17: 경사홈
18: 장착슬롯 19: 걸림홈
20: 가이드레일 21: 제1걸림치형
25: 가이드통로 30: 가이드블록
31: 제2걸림치형 33: 측벽
34: 결합공 36: 스냅돌출부
40: 록킹부재 42: 경사면
43: 가압면 45: 탄성리브
46: 걸림돌기

Claims (4)

  1. 한 쌍의 안경렌즈(11)가 마련된 안경테(10);
    방독면(1)의 투시창(2) 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0);
    상기 안경테(10)에 결합되어 상기 안경테와(10) 함께 상하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상하 이동하여 그 상하 위치가 조절되는 가이드블록(30); 및
    상기 안경테(10)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0) 및 가이드블록(30)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블록(30)을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일측 위치에 고정하는 록킹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안경테(10)에는 한 쌍의 결합돌기(15)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15)는 안경테(10)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가이드블록(30)은 상기 안경테(10)의 결합돌기(15)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블록(30)과 상기 안경테(10) 사이에는 가이드레일(20)이 통과하는 가이드통로(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록킹부재(40)의 상부에는 경사면(42)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재(40)의 전방에는 가압면(43)이 형성되며,
    상기 안경테(10)의 결합돌기(15)들 사이에는 상기 록킹부재(40)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슬롯(18)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장착슬롯(18)의 상부에는 상기 록킹부재(40)의 경사면(42)에 대응하는 경사홈(17)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부재(4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록킹부재(40)의 경사면(42)이 장착슬롯(18)의 경사홈(17)을 따라 슬라이딩함에 따라, 상기 록킹부재(40)는 장착슬롯(18)에서 전후진하여 상기 가이드블록(30)의 고정 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록킹부재(40)의 상부에는 한 쌍의 탄성리브(45)가 좌우 양측으로 벌어지게 형성되고, 각 탄성리브(45)에는 걸림돌기(46)가 마련되며, 상기 장착슬롯(18)의 내측면에는 걸림홈(19)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재(40)의 걸림돌기(46)가 걸림홈(19)에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상기 가이드블록(30)과 대향하는 부분에 톱니형으로 형성되는 제1걸림치형(21);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블록(30)은,
    상기 제1걸림치형(21)과 대향하는 부분에 톱니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치형(21)과 교합되는 제2걸림치형(31);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블록(30)은,
    상기 안경테(10)의 상기 결합돌기(15)와 대향하는 결합공(34)을 가지며,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에 제각기 형성된 측벽(33);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돌기(15)는,
    상기 측벽(33)의 상기 결합공(34)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부(14);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록킹부재(40)는,
    상기 안경테(10)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표면에 요철부(48a)를 갖는 파지부(4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경테(10)는,
    상기 안경렌즈(11)가 설치되는 개구에 돌출형성되고, 개구에 설치되는 상기 안경렌즈(11)를 지지하여 상기 안경렌즈(11)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턱(10a);을 더 포함하는 방독면용 안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30)은,
    상기 측벽(33)에서 상기 결합공(34)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스냅돌출부(3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경테(10)는,
    상기 결합돌기(15)에 마련되어 상기 스냅돌출부(36)가 스냅결합되는 결합홈(13);을 더 포함하는 방독면용 안경.
  3. 삭제
  4. 삭제
KR1020140112970A 2014-08-28 2014-08-28 방독면용 안경 KR101539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970A KR101539657B1 (ko) 2014-08-28 2014-08-28 방독면용 안경
PCT/KR2015/008924 WO2016032228A1 (ko) 2014-08-28 2015-08-26 방독면용 안경
TW104128452A TWI557464B (zh) 2014-08-28 2015-08-28 防毒面具用眼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2970A KR101539657B1 (ko) 2014-08-28 2014-08-28 방독면용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9657B1 true KR101539657B1 (ko) 2015-07-29

Family

ID=53876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2970A KR101539657B1 (ko) 2014-08-28 2014-08-28 방독면용 안경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39657B1 (ko)
TW (1) TWI557464B (ko)
WO (1) WO20160322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13423A1 (en) * 2020-05-19 2021-11-24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Adjustable lens holder for protective eyewear
US11400323B2 (en) 2020-06-17 2022-08-02 Sleevz Inc. Protective face covering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892A (ko) * 2005-05-04 2008-01-08 애번 프로텍션 시스템 인코포레이티드 교정 렌즈 프레임 조립체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
KR100952333B1 (ko) * 2009-05-29 2010-04-09 주식회사 산청 방독면용 안경
KR20120000319A (ko) * 2010-06-25 2012-01-02 삼공물산 주식회사 저시력자용 방독면 안경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1539A (en) * 1985-06-18 1987-12-08 American Optical Corporation Support structure for protective mask optical insert
TWM307421U (en) * 2006-07-12 2007-03-11 204Th Aresnal Combined Service Single windowed gas mask with inner attachable glasses
KR100949085B1 (ko) * 2009-08-31 2010-03-22 주식회사 산청 방독면용 약시자안경
TWM462867U (zh) * 2010-10-08 2013-10-01 Day Sun Ind Corp 工業眼鏡之防護結構(二)
TWM465346U (zh) * 2013-06-27 2013-11-11 Xin-Xi Xie 潛水鏡用之矯正鏡片裝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892A (ko) * 2005-05-04 2008-01-08 애번 프로텍션 시스템 인코포레이티드 교정 렌즈 프레임 조립체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
KR100952333B1 (ko) * 2009-05-29 2010-04-09 주식회사 산청 방독면용 안경
KR20120000319A (ko) * 2010-06-25 2012-01-02 삼공물산 주식회사 저시력자용 방독면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32228A1 (ko) 2016-03-03
TWI557464B (zh) 2016-11-11
TW201621402A (zh)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24482B2 (ja) 有害閃光遮断と防眩用の電子保護眼鏡
JP2019509161A5 (ko)
KR101263197B1 (ko) 교정 렌즈 프레임 조립체를 구비한 방독 마스크
US9256080B2 (en) Receptor and lock for glasses with removable lenses
US20180242677A1 (en) Protective helmet with flip-up visor/goggles
WO2016115064A1 (en) Eyewear lens attachment assembly
CN112040913A (zh) 护目镜系统和方法
KR101539657B1 (ko) 방독면용 안경
KR200367353Y1 (ko) 다용도 안경
KR20120000319A (ko) 저시력자용 방독면 안경
JP2015114337A (ja) 曇り止めメガネ
KR20160004555A (ko) 고글의 렌즈 탈부착장치
KR102383474B1 (ko) 눈용 보호구
US11333900B2 (en) Eyewear system for lens exchange
TWI743341B (zh) 穿戴式裝置的保持具、及具備該保持具的顏面或頭部裝設具
CN108292052B (zh) 用于可佩带设备的佩戴工具
KR101374129B1 (ko) 안경용 렌즈 프레임 탈착구조
CN110007463B (zh) 头戴显示装置
TW202036097A (zh) 眼鏡側蓋之組裝結構
JP2015108798A (ja) 二重装着式の保護メガネ
JP7371918B2 (ja) 眼鏡用シールド取付具およびそのシールド取付具を備えた眼鏡
JP2005049669A (ja) 補助眼鏡の着脱構造
KR100789315B1 (ko) 고정클립 및 분리형 안경테를 갖는 방독면용 렌즈결합체
TWI815207B (zh) 頭戴顯示裝置
KR101403702B1 (ko) 작업용 보호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