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264B1 -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시스템 - Google Patents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264B1
KR102346264B1 KR1020210061660A KR20210061660A KR102346264B1 KR 102346264 B1 KR102346264 B1 KR 102346264B1 KR 1020210061660 A KR1020210061660 A KR 1020210061660A KR 20210061660 A KR20210061660 A KR 20210061660A KR 102346264 B1 KR102346264 B1 KR 102346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iner
frame
torqu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민강
Original Assignee
신민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민강 filed Critical 신민강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01L3/14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wherein the torque-transmitting element is other than a torsionally-flexible shaf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24Devices for determining the value of power, e.g. by measuring and simultaneously multiplying the values of torque and revolutions per unit of time, by multiplying the values of tractive or propulsive force and velocity

Abstract

본 발명은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토크 센서; 상기 토크 센서에서 감지되는 토크를 변환하여 토크 정보를 생성하고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전송되는 토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단말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토크 센서가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감지하고 제어부가 이를 변환하여 토크 정보로 가공하고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서 발생되는 토크가 수치화되어 사용자단말부에서 디스플레이되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시스템{DETECTION DEVICE EQUIPPED WITH A TORQUE SENSOR AND PERSONAL TRAINER MATCHING SYSTEM USING THIS DEVICE}
본 발명은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토크 센서가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감지하고 제어부가 이를 변환하여 토크 정보로 가공 후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서 발생되는 토크가 수치화되어 사용자단말부에서 디스플레이되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토크 센서란 토크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토크를 측정하는 데는 동력전달축을 제동장치와 결합하여 그 일을 열 또는 전기 에너지의 형태로 방산시켜 제동량으로부터 구하는 방법과 동력전달축의 비틀림 각이나 변형 등으로부터 측정하는 방법이 있다.
동력전달축을 제동장치와 결합하여 그 일을 열 또는 전기 에너지의 형태로 방산시켜 제동량으로부터 구하는 방법은 흡수동력계라 불리고, 전기, 물, 공기, 고체마찰 동력계로 분류된다.
동력전달축의 비틀림 각이나 변형 등으로부터 측정하는 방법은 토크 미터라 하여, 실제로 움직일 때의 전달 토크가 계측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토크 센서에는 자기변형 토크 센서, 변형 게이지식, 토크 센서, 위상차 검출형 토크 센서 등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982205 호(2019.05.20.)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811744 호(2017.12.18.)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토크 센서가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감지하고 제어부가 이를 변환하여 토크 정보로 가공 후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서 발생되는 토크가 수치화되어 사용자단말부에서 디스플레이되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토크 센서; 상기 토크 센서에서 감지되는 토크를 변환하여 토크 정보를 생성하고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전송되는 토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단말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관통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에는 상기 제1관통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2관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로드셀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드셀에서 감지되는 하중을 변환하여 하중 정보를 생성하고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서 발생되어 감지된 토크를 변환하여 토크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본체처리모듈; 및 상기 처리모듈에 의해 생성된 토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본체통신모듈이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부에는, 상기 제어부의 본체통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토크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통신모듈; 상기 수신된 토크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모듈; 및 상기 수신된 토크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시스템은, 트레이너이력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트레이너단말부; 및 상기 트레이너단말부에서 전송되는 트레이너이력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단말부와 매칭시키도록 구성되는 중앙서버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부는 사용자의 성별, 키, 몸무게, 지역, 기존 운동 경험 및 필요한 운동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가 포함된 사용자신상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중앙서버에는, PT 매칭 플랫폼; 상기 트레이너단말부로부터 전송되는 트레이너이력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제1매칭모듈; 및 상기 사용자단말부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신상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제2매칭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T 매칭 플랫폼은 상기 제1매칭모듈에 의해 관리되는 트레이너이력정보를 상기 제2매칭모듈에 사용자신상정보를 전송하여 관리되는 사용자단말부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T 매칭 플랫폼은, 상기 제1매칭모듈에 의해 관리되는 트레이너이력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트레이너구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매칭모듈에 의해 관리되는 사용자신상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자구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트레이너구분정보와 사용자구분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비교하여 매칭함으로써, 선택되는 트레이너구분정보를 상기 제2매칭모듈에 사용자신상정보를 전송하여 관리되는 사용자단말부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너이력정보에는, 운동지도경력정보, 운동지도분야정보, 운동지도스타일정보, 운동지도자격증정보, 운동지도교육수료증정보, 운동지도가격정보, 운동지도횟수정보 및 대면운동지도가능위치정보 중 하나 또는 복수가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시스템에 의하면, 토크 센서가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감지하고 제어부가 이를 변환하여 토크 정보로 가공 후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서 발생되는 토크가 수치화되어 사용자단말부에서 디스플레이되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프레임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제1관통홈 및 제2프레임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제2관통홈이 형성되어 운동 등에 사용되는 기구에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 로드셀이 설치되어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감지하여 측정하고 제어부가 로드셀에서 감지되는 하중을 변환하여 하중 정보로 가공 후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서 발생되는 하중이 수치화되어 사용자단말부에서 디스플레이되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트레이너단말부에서 전송되는 트레이너이력정보 및 사용자단말부에서 전송되는 사용자신상정보가 중앙서버부에서 수신되어 트레이너단말부와 사용자단말부가 서로 매칭되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생성된 트레이너구분정보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생성된 사용자구분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비교하고 매칭함으로써, 선택되는 트레이너구분정보를 사용자단말부로 제공하여 중앙서버부에 의한 매칭의 적합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의 사용자단말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시스템의 중앙서버부를 나타내는 블록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에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명세서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실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토크 센서가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감지하고 제어부가 이를 변환하여 토크 정보로 가공 후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서 발생되는 토크가 수치화되어 사용자단말부에서 디스플레이되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의 실시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의 사용자단말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에는 제1프레임(100), 제2프레임(200), 토크 센서(300), 제어부(400) 및 사용자단말부(500)가 포함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는, 상기 토크 센서(300)가 상기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감지된 토크를 변환하여 토크 정보로 가공 후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사용자단말부(500)를 이용하여 상기 토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의 외부 형상을 이루는 케이스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이 이루는 형상은 상기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의 디자인적 요소 및 그립감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의 중앙으로부터 외곽으로 갈수록 점차 테이퍼지는 형상, 즉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실시 환경에 따라, 상기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의 형상은 상기 디자인적 요소 및 그립감 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얼마든지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100)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관통홈(11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프레임(200)에는 상기 제1관통홈(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2관통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관통홈(110) 및 제2관통홈(210)은 본 발명의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를 받침대 등에 나사 결합 등의 방식으로 고정하거나, 별도의 운동 기구 등에 고리 형태의 결합부재를 이용한 결합 등의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관통홈(110) 및 제2관통홈(210)은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100) 및 제2프레임(20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한 쌍의 제1관통홈(110)은 상기 제1프레임(100)을 정면으로 봤을 때 좌측 상단 및 우측 하단 또는 좌측 하단 및 우측 상단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제2관통홈(210)은 상기 제2프레임(200)을 정면으로 봤을 때 좌측 상단 및 우측 하단 또는 좌측 하단 및 우측 상단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100)에 형성되는 제1관통홈(110)과 상기 제2프레임(200)에 형성되는 제2관통홈(210)의 위치는 실시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토크 센서(300)는 상기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400)로 감지된 토크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의 동력 전달축의 비틀림 각이나 변형 등을 통해 토크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토크 센서(300)는 토크 미터라 하여 실제로 움직일 때의 전달 토크가 계측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토크 센서(300)는 통상적인 구성과 유사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토크 센서(300)에서 전달되는 토크 신호를 토크 정보로 변환 및 가공 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400)에는,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모듈(430), 상기 토크 센서(300)에서 전달된 토크를 변환 및 가공하여 토크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본체처리모듈(410) 및 상기 본체처리모듈(410)에 의해 생성된 토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본체통신모듈(420)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의 사이에 설치되어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고 발생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토크 센서(300)에서 감지되는 토크 및 후술되는 로드셀(600)을 통해 감지되는 하중을 데이터화하여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단말부(5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사용자단말부(500)는 상기 제어부(400)에서 전송되는 토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수신된 토크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단말부(500)에는, 상기 제어부(400)의 본체통신모듈(420)로부터 전송되는 토크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통신모듈(510), 상기 수신된 토크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모듈(520) 및 상기 수신된 토크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모듈(530)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부(500)에는 상기 수신된 토크 정보 및 후술되는 로드셀(600)에 의해 감지되어 생성되는 하중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미리 저장된 운동스케줄정보와 비교 처리하여 스케줄이행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처리모듈(540)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에는 상기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에 설치되는 로드셀(600)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로드셀(600)에서 감지되는 하중을 변환 및 가공하여 하중 정보를 생성하고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셀(6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에 설치되어 상기 제1관통홈(110) 및 제2관통홈(210)에 발생되는 하중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인장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로드셀(600)은 일반적으로 힘 또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힘 또는 하중을 전기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측정 대상으로서 하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쉬운 양, 예를 들어, 변위나 변형으로 변환하는 1차 변환 요소와 1차 변환 출력(변위/변형)을 전기 신호로서 출력 가능한 양, 예를 들어, 인덕턴스 변화, 용량 변화 및 저항 변화 등으로 변환하는 2차 변환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100)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400)에는 상기 배터리모듈(43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되 일부는 상기 관통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부재(44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재(440)는 상기 배터리모듈(430)의 On / Off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본 발명의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관통구가 상기 제1프레임(100)의 상하면을 관통하고 상기 스위치부재(440)의 일부가 상기 관통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실시 환경에 따라서, 상기 관통구는 상기 제1프레임(100)의 상하면이 아니라 상기 제2프레임(200)의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부재(440)의 일부는 상기 제2프레임(200)의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는 관통구를 통해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시스템의 중앙서버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 5 및 도 6에 따르면, 본 발명의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시스템에는, 트레이너이력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트레이너단말부(700) 및 상기 트레이너단말부(700)에서 전송되는 트레이너이력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단말부(500)와 매칭시키도록 구성되는 중앙서버부(800)가 포함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시스템은 상기 중앙서버부(800)가 상기 트레이너단말부(700)에서 전송되는 트레이너이력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부(500)로 제공하여 상기 트레이너단말부(700)와 사용자단말부(500)가 서로 매칭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트레이너단말부(700)를 사용하는 트레이너가 상기 사용자단말부(5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비대면 퍼스널 트레이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레이너단말부(700)와 사용자단말부(500)가 서로 매칭된 상태에서, 상기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의 제어부(400)를 통해 전송되는 토크 정보 및 하중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상기 트레이너단말부(700)에서 수신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트레이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사용자단말부(500)는 사용자의 성별, 키, 몸무게, 지역, 기존 운동 경험 및 필요한 운동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가 포함된 사용자신상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중앙서버부(800)에는, PT 매칭 플랫폼(810), 상기 트레이너단말부(700)로부터 전송되는 트레이너이력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제1매칭모듈(820) 및 상기 사용자단말부(5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신상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제2매칭모듈(830)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중앙서버부(800)는 상기 제1매칭모듈(820)에서 관리되는 트레이너이력정보와 상기 제2매칭모듈(830)에서 관리되는 사용자신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트레이너단말부(700)와 사용자단말부(500)를 관리 및 서로 매칭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너단말부(700)와 사용자단말부(500)를 매칭시키는 중앙서버부(800)는 상기 사용자신상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성별, 키, 몸무게, 지역, 기존 운동 경험 및 필요한 운동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고려하여 상기 트레이너단말부(700)를 선별하여 상기 선별된 트레이너단말부(700)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부(5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상기 중앙서버부(800)에서 공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너단말부(700)로부터 전송되어 상기 제1매칭모듈(820)에 의해 관리되는 트레이너이력정보에는 운동지도경력정보, 운동지도분야정보, 운동지도스타일정보, 운동지도자격증정보, 운동지도교육수료증정보, 운동지도가격정보, 운동지도횟수정보 및 대면운동지도가능위치정보 중 하나 또는 복수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부(500)는 상기 PT 매칭 플랫폼(810)으로부터 전송된 트레이너구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트레이너구분정보에 해당하는 트레이너단말부(700)로 상기 사용자단말부(500)의 운동스케줄정보와 사용자처리모듈(540)에 의해 생성된 스케줄이행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트레이너단말부(700)는 사용자단말부(500)에서 전송되는 사용자의 운동스케줄정보 및 스케줄이행정보를 수신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사용자신상정보, 운동스케줄정보 및 스케줄이행정보에 적합한 운동계획스케줄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단말부(5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단말부(500)와 트레이너단말부(700)는 서로 간에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하면서 상기 트레이너단말부(700)가 상기 사용자단말부(500)에게로 운동계획스케줄정보를 전송하는 등의 방법으로 상기 트레이너단말부(700)를 사용하는 트레이너가 상기 사용자단말부(500)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트레이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PT 매칭 플랫폼(810)은 다양한 방법 및 조건으로 상기 트레이너단말부(700)와 사용자단말부(500)를 매칭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상기 PT 매칭 플랫폼(810)은 상기 제1매칭모듈(820)에 의해 관리되는 트레이너이력정보를 조건에 관계 없이 상기 제2매칭모듈(830)에 사용자신상정보를 전송하여 관리되는 사용자단말부(500)로 전송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첫 번째 방법은, 상기 사용자단말부(500)에서 전송되는 사용자신상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사용자의 성별, 키, 몸무게 및 지역의 정보만을 고려하여 상기 트레이너이력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단말부(500)에서 전송되는 사용자신상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기존 운동 경험 및 필요한 운동 정보가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양의 트레이너이력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은, 상기 PT 매칭 플랫폼(810)은, 상기 제1매칭모듈(820)에 의해 관리되는 트레이너이력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트레이너구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매칭모듈(830)에 의해 관리되는 사용자신상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자구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트레이너구분정보와 사용자구분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비교하여 매칭함으로써, 선택되는 트레이너구분정보를 상기 제2매칭모듈(830)에 사용자신상정보를 전송하여 관리되는 사용자단말부(500)로 전송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매칭모듈(820)에 의해 관리되는 트레이너이력정보 중 재활 운동 관련 이력이 기재된 트레이너이력정보는 트레이너구분정보에서 재활 관련 부분으로 분류될 수 있고, 상기 제2매칭모듈(830)에 의해 관리되는 사용자신상정보 중 필요한 운동 정보에 재활 관련 운동이 필요한 것으로 기재된 사용자신상정보는 사용자구분정보에서 재활 관련 운동이 필요한 사용자로 분류될 수 있으며, 상기 PT 매칭 플랫폼(810)은, 상기 트레이너구분정보에서 재활 관련 부분으로 분류된 트레이너이력정보를 상기 사용자구분정보에서 재활 관련 운동이 필요한 것으로 기재된 사용자신상정보를 전송한 사용자단말부(500)로 전송하여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두 번째 방법은, 상기 사용자단말부(500)에서 전송되는 사용자신상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사용자의 성별, 키, 몸무게, 지역, 기존 운동 경험 및 필요한 운동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고려하여 상기 트레이너이력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단말부(500)에서 전송되는 사용자신상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사용자의 성별, 키, 몸무게, 지역, 기존 운동 경험 및 필요한 운동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고려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비교적 적은 양의 트레이너이력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상기 사용자단말부(500)가 원하는 조건의 트레이너단말부(700)를 매칭할 확률은 상승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PT 매칭 플랫폼(810)이 상기 제1매칭모듈(820)에 의해 관리되는 트레이너이력정보와 상기 제2매칭모듈(830)에 의해 관리되는 사용자신상정보를 매칭하여 사용자단말부(500)로 트레이너이력정보를 전송 및 제공하도록 하는 방법 및 조건은 실시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토크 센서가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감지하고 제어부가 이를 변환하여 토크 정보로 가공하고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서 발생되는 토크가 수치화되어 사용자단말부에서 디스플레이되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제1프레임 110 : 제1관통홈
200 : 제2프레임 210 : 제2관통홈
300 : 토크 센서
400 : 제어부
410 : 본체처리모듈 420 : 본체통신모듈
430 : 배터리모듈 440 : 스위치부재
500 : 사용자단말부
510 : 사용자통신모듈 520 : 디스플레이모듈
530 : 저장모듈 540 : 사용자처리모듈
600 : 로드셀 700 : 트레이너단말부
800 : 중앙서버부
810 : PT 매칭 플랫폼 820 : 제1매칭모듈
830 : 제2매칭모듈

Claims (10)

  1. 제1프레임(100);
    상기 제1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프레임(200);
    상기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에서 발생되는 토크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토크 센서(300);
    상기 토크 센서(300)에서 감지되는 토크를 변환하여 토크 정보를 생성하고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제어부(400); 및
    상기 제어부(400)에서 전송되는 토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단말부(500);
    가 포함되며,
    상기 사용자단말부(500)에는,
    상기 제어부(400)의 본체통신모듈(420)로부터 전송되는 토크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통신모듈(510), 상기 수신된 토크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저장모듈(530), 상기 수신된 토크 정보를 미리 저장된 운동스케줄정보와 비교하여 스케줄이행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처리모듈(540) 및 상기 수신된 토크 정보 및 스케줄이행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모듈(520)이 포함되고,
    상기 제1프레임(100)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1관통홈(110)이 형성되며,
    상기 제2프레임(200)에는 상기 제1관통홈(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2관통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로드셀(600)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로드셀(600)에서 감지되는 하중을 변환하여 하중 정보를 생성하고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에는,
    상기 제1프레임(100)과 제2프레임(200)에서 발생되어 감지된 토크를 변환하여 토크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본체처리모듈(410); 및
    상기 본체처리모듈(410)에 의해 생성된 토크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본체통신모듈(420);
    이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지는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시스템에 있어서,
    트레이너이력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트레이너단말부(700); 및
    상기 트레이너단말부(700)에서 전송되는 트레이너이력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단말부(500)와 매칭시키도록 구성되는 중앙서버부(800);
    가 포함되며,
    상기 사용자단말부(500)는,
    사용자의 성별, 키, 몸무게, 지역, 기존 운동 경험 및 필요한 운동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가 포함된 사용자신상정보;
    상기 사용자단말부(500)의 운동스케줄정보; 및
    상기 사용자처리모듈(540)에 의해 생성된 스케줄이행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부(800)에는,
    PT 매칭 플랫폼(810);
    상기 트레이너단말부(700)로부터 전송되는 트레이너이력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제1매칭모듈(820); 및
    상기 사용자단말부(5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신상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제2매칭모듈(830);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T 매칭 플랫폼(810)은,
    상기 제1매칭모듈(820)에 의해 관리되는 트레이너이력정보를 상기 제2매칭모듈(830)에 사용자신상정보를 전송하여 관리되는 사용자단말부(5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T 매칭 플랫폼(810)은,
    상기 제1매칭모듈(820)에 의해 관리되는 트레이너이력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트레이너구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매칭모듈(830)에 의해 관리되는 사용자신상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자구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트레이너구분정보와 사용자구분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비교하여 매칭함으로써, 선택되는 트레이너구분정보를 상기 제2매칭모듈(830)에 사용자신상정보를 전송하여 관리되는 사용자단말부(5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너이력정보에는,
    운동지도경력정보, 운동지도분야정보, 운동지도스타일정보, 운동지도자격증정보, 운동지도교육수료증정보, 운동지도가격정보, 운동지도횟수정보 및 대면운동지도가능위치정보 중 하나 또는 복수가 포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시스템.
KR1020210061660A 2021-02-09 2021-05-12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시스템 KR102346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164 2021-02-09
KR20210018164 2021-0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264B1 true KR102346264B1 (ko) 2022-01-03

Family

ID=79348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660A KR102346264B1 (ko) 2021-02-09 2021-05-12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2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441B1 (ko) * 2022-08-03 2023-03-31 임태호 운동 서비스 시스템 및 운동 서비스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7985A (ja) * 2005-12-05 2007-06-21 Sogo Keiso Kk 非接触タイプの電源供給システム
KR101418010B1 (ko) * 2013-02-26 2014-07-10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소재 성형품의 절삭 가공성 평가시스템 및 평가방법
KR20160136816A (ko) * 2015-05-21 2016-11-30 조재현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퍼스널 트레이너 간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플랫폼 시스템 및 매칭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11744B1 (ko) 2016-03-07 2017-12-22 (주)아이투에이시스템즈 광센서를 이용한 토크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토크 측정 장치
KR101982205B1 (ko) 2017-03-16 2019-05-24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형화가 가능한 힘/토크 센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7985A (ja) * 2005-12-05 2007-06-21 Sogo Keiso Kk 非接触タイプの電源供給システム
KR101418010B1 (ko) * 2013-02-26 2014-07-10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소재 성형품의 절삭 가공성 평가시스템 및 평가방법
KR20160136816A (ko) * 2015-05-21 2016-11-30 조재현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퍼스널 트레이너 간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플랫폼 시스템 및 매칭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11744B1 (ko) 2016-03-07 2017-12-22 (주)아이투에이시스템즈 광센서를 이용한 토크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토크 측정 장치
KR101982205B1 (ko) 2017-03-16 2019-05-24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형화가 가능한 힘/토크 센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6441B1 (ko) * 2022-08-03 2023-03-31 임태호 운동 서비스 시스템 및 운동 서비스 방법
WO2024029843A1 (ko) * 2022-08-03 2024-02-08 임태호 운동 서비스 시스템 및 운동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6264B1 (ko) 토크 센서가 구비되는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퍼스널 트레이너 매칭 시스템
CN103196534A (zh) 具备无线传输功能的电子秤系统
CN207993033U (zh) 一种带脚掌纹识别功能的体重秤
CN208043221U (zh) 共享体脂秤及共享体脂秤系统
CN108489585A (zh) 一种智能识别的电子秤
US20190041282A1 (en) Force measurement system for exercise equipment
CN101934135A (zh) 一种体能自动化测试系统
US10339831B2 (en) Smart drill guide device for muscle training of hand drilling operations
CN108002197A (zh) 一种自动扶梯制动性能检测装置
CN209659349U (zh) 一种物联网称重传感器及系统
Shirehjini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ystem for body posture recognition
CN101598548A (zh) 数字式水平量测装置
CN108140329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及程序
CN206019826U (zh) 一种二维码显示人体胖瘦等级的电子秤
Hatthasin et al. Assessment on A Talking Device of Weight and Height for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KR102060328B1 (ko) 최대근력 측정 장치
CN107525980A (zh) 测试装置和方法
CN109712336A (zh) 一种高安全性智能寄收快递柜
CN112912740A (zh) 测量装置
KR20200000173A (ko) 척추 건강을 위한 자세균형 측정 시스템
JP6599737B2 (ja) 電力計測システム、電力計測装置、及び外部装置
KR102510277B1 (ko) 신체 균형 훈련을 위한 밸런싱 스테이지 장치
JP2011205805A (ja) 携帯型蓄電装置を利用する売電システム
CN214763188U (zh) 一种智能健身装置的控制电路及智能健身装置
TWI753423B (zh) 健身設備量測及管理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