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653B1 - 복수의 운영체제를 구동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운영체제를 구동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653B1
KR102345653B1 KR1020150062275A KR20150062275A KR102345653B1 KR 102345653 B1 KR102345653 B1 KR 102345653B1 KR 1020150062275 A KR1020150062275 A KR 1020150062275A KR 20150062275 A KR20150062275 A KR 20150062275A KR 102345653 B1 KR102345653 B1 KR 102345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system
area
display
display area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5256A (ko
Inventor
유재용
박찬주
이성민
정복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5/01427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37105A1/en
Priority to JP2017544631A priority patent/JP6841764B2/ja
Priority to US14/982,771 priority patent/US10372487B2/en
Priority to EP16155500.8A priority patent/EP3062222B1/en
Publication of KR20160105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256A/ko
Priority to US16/530,487 priority patent/US1124380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6Loading of operating system
    • G06F9/441Multiboot arrangements, i.e. selecting an operating system to be load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6Loading of operating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45Guest-host, i.e. hypervisor is an application program itself, e.g. VirtualBox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the whole image or part thereof

Abstract

복수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구동하는 디바이스는, 활성화된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1 운영체제를 활성화함에 따라 상기 제1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제2 운영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2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운영체제를 구동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RUNNING MULTIPLE OPERATING SYSTEMS}
본 개시는 복수의 운영체제를 구동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라, 운영 체제의 구동 화면을 전환하여 표시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컴퓨터를 쓸 수 있게 만들어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응용프로그램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면서 CPU, 주기억장치, 입출력장치 등의 컴퓨터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최근, 사용자들이 목적이나 필요에 따라 보다 다양한 컴퓨팅 환경을 기대함에 따라,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두 개 이상의 운영체제를 구동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는 복수의 운영체제를 구동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라, 운영 체제의 구동 화면을 전환하여 표시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구동하는 디바이스는, 활성화된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1 운영체제를 활성화함에 따라 상기 제1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제2 운영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2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운영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복수 개로 분할하고, 상기 제1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표시 영역 또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또는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 하나인 제1 영역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상기 제1 표시 영역 또는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이 아닌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에서 선택된 오브젝트를 복사하여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복사하여,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운영체제에 의해 제어되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운영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상기 운영체제를 전환하기 위한 복수의 인터페이스 중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운영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 운영체제를 비활성 상태로 구동하고, 상기 제2 운영체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입력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입력 이벤트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1 운영체제에 전달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구동하는 방법은, 제1 운영체제를 활성화함에 따라 상기 제1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제2 운영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구동하는 방법은, 상기 제2 운영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시 영역을 복수 개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구동하는 방법은, 미리 설정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표시 영역 또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구동하는 방법은, 상기 제1 표시 영역 또는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 하나인 제1 영역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상기 제1 표시 영역 또는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이 아닌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에서 선택된 오브젝트를 복사하여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구동하는 방법은, 상기 제1 영역에서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복사하여,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운영체제에 의해 제어되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운영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상기 운영체제를 전환하기 위한 복수의 인터페이스 중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구동하는 방법은, 상기 제2 운영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 운영체제를 비활성 상태로 구동하고, 상기 제2 운영체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구동하는 방법은, 소정의 입력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입력 이벤트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1 운영체제에 전달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복수의 운영체제를 구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복수의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6은 운영체제를 전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복수의 운영체제 구동과 관련된 설정 메뉴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2 내지 도 23은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 및 도 25는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디바이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디바이스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운영체제를 구동할 수 있으며, 활성화된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의 (a)는 제1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표시한 디스플레이부(121)의 예를 도시하고, 도 1의 (b)는 제2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표시한 디스플레이부(121)의 예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 예로서, 제1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Android)이며, 제 2 운영체제는 윈도우(Windows)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운영체제는, 타이젠(TIZEN), 웹OS, UNIX, Linux, 맥 OS 등일 수 있다.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예컨대, 위 아래 방향의 슬라이딩 입력(i10))을 수신하면,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영체제를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된 제1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a)을 제2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b)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제2 운영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선택된 제2 운영체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 때, 제1 운영체제는 비활성화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비활성화 상태란, 현재 구동되고 있던 상태 그대로 잠시 동작을 멈춘 상태가 됨을 의미할 수 있다. 구동 중인 응용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 상태 그대로 잠시 멈추는 것이므로, 프로세서의 상태 정보나 메모리의 내용 모두 보존되어 있다가, 다시 활성화 상태가 되면, 기존에 수행 중이던 응용 프로그램이 멈춘 상태로부터 다시 동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디바이스(100)는 서로 다른 운영체제를 구동하기 위해, 디바이스(100)를 매번 재 부팅시키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으며, 다른 운영체제가 부팅되기 위해 기다려야 하는 시간도 없앨 수 있다. 또한, 기존 작업을 재개하기 위해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다시 실행시키는 등의 작업이 생략되어 편리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일 예로서, 위 아래 방향의 슬라이딩 입력(i10)을 수신함에 따라 운영체제가 전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 예에 따라, 운영체제를 전환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할 도 8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운영체제 전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직접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각자에게 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간단한 제스처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1)는 서로 다른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자연스럽게 전환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편리하고 자연스러운 운영체제(OS)의 전환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인터페이스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운영체제를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다양한 인터페이스(예컨대, 터치 입력, 드래그 입력, 메뉴 선택 입력, 음성 입력 등) 중 하나를 운영체제를 전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직접 선택함으로써, 디바이스는 사용자 각자에게 직관적이고 편리한 운영체제 전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의 단계 S201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1 운영체제를 활성화함에 따라 제1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202에서, 디바이스(100)는 제2 운영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203에서, 디바이스(100)는 제2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21)를 손가락으로 두 번 두드리는 태핑(tapping) 입력)을, 운영체제를 전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미리 설정한 경우, 디바이스(100)는 두 번 태핑(tapping)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제1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운영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운영체제 즉, 제1 운영체제를 비활성화시키고, 비활성화되어 있는 운영체제 즉, 제2 운영체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제어부(130)는 제2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운영체제를 전환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제공될 때마다, 전술한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는 복수의 운영체제를 구동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type2, type1의 방식 등에 따라, 복수의 운영체제를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type2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운영체제를 구동하기 위해, 제1 운영체제(‘OS 1’) 상에서 가상의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는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을 실행할 수 있다.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은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자원을 할당 받아 생성되는 가상의 컴퓨팅 실행 환경으로서, 예컨대, 제2 운영체제(‘OS 2 kernel’)와 제2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OS 2 Apps’)을 포함할 수 있다.
type2의 방식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제1 운영체제(‘OS 1’)(호스트 OS)안에서 제2 운영체제(‘OS 2’)(게스트 OS)를 애플리케이션처럼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운영체제는, 가상 머신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리눅스 커널 모듈인 KVM(kernel virtual machine)을 통해, 하드웨어에 접근할 수 있다.
하드웨어는, 프로세서, 메모리, 디스플레이, 입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이크, 스피커, 전원 장치, 외장 착탈식 메모리, 안테나, 전파송수신부, GPS, 카메라, 모션 센서, 지자계 센서, 근접센서, 조도 센서 등의 부가 하드웨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type1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복수의 운영체제를 구동하기 위해, 복수의 독립실행 환경인 가상 머신(virtual machine)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각각의 가상 머신은, 독립된 운영체제,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운영체제(‘OS 1 kernel’)와 제1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OS 1 Apps’)을 포함하는 가상 머신, 제2 운영체제(‘OS 2 kernel’)와 제2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OS 2 Apps’)을 포함하는 가상 머신이 생성될 수 있다.
하이퍼바이져(Hypervisor)는, 가상 머신 상에서 실행되는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각각의 독립 실행 환경인 제1 운영체제(‘OS 1’)와 제2 운영체제(‘OS 2’)는, 하이퍼바이져의 제어에 의해, 각각 하드웨어에 접근할 수 있다. 즉, 하이퍼바이져는 적어도 하나의 운영체제(OS1, OS2)와 물리적 하드웨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type2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운영체제를 구동 할 때, 터치 이벤트 발생에 따른 호스트 OS(제1 운영체제)와 게스트 OS(제2 운영체제)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에 따른 입력 신호가 호스트 OS에 전달(1)되지 않고, 게스트 OS에게 전달(2)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하, 사용자의 입력 신호가 호스트 OS로 전달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을, ‘호스트 OS의 락킹(Locking)’으로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호스트 OS의 락킹(Locking)이 설정된 경우, 디스플레이부(터치 스크린)(121)를 통해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이벤트 리스너(EVENT LISTENER)의 제어에 따라, 터치 이벤트의 발생에 따른 입력 신호를 호스트 OS로 전달(1)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디바이스(100)는, 하이퍼바이저(HYPERVISOR)의 제어에 의해, 게스트 OS로 입력 신호를 전달(2)할 수 있다. 게스트 OS로 전달된 입력 신호는 호스트 OS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게스트 OS가 제공하는 특정 인터페이스 환경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OS(예컨대, 안드로이드(Android OS))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환경에 의하면, 화면 상단 부분을 터치하면, 설정 창(예컨대, Android의 Notification bar)이 내려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호스트 OS의 락킹(Locking)이 설정된 경우, 디스플레이부(터치 스크린)(121)를 통해 화면 상단 부분의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설정 창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100)는 호스트 OS의 락킹(Locking)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호스트 OS의 락킹(Locking)을 해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에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호스트 OS의 락킹(Locking)을 설정하고, 동일한 인터페이스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재 수신하면, 락킹(Locking)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6에 도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들은, 호스트 OS의 락킹(Locking)을 설정 또는 해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설정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
도 5는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의 단계 S501에서, 디바이스(100)는 제1 운영체제를 활성화함에 따라 제1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502에서, 디바이스(100)는 제2 운영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운영체제를 전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예컨대, 위아래 방향의 슬라이딩 터치 입력)를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을 미리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503에서,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1)의 표시 영역을 복수 개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멀티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504에서, 디바이스(100)는 제1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1)의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1)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제1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한 상태에서, 제2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함께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제1 운영체제(예컨대, 안드로이드(Android))의 구동 화면을 표시한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예컨대, 위 아래 방향의 슬라이딩 입력(i12))을 수신하면,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1)의 표시 영역을 제1 표시 영역(w1), 제2 표시 영역(w2)으로 분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제1 표시 영역(w1)에 제1 운영체제(예컨대, 안드로이드(Android))의 구동 화면을 표시하고, 제2 표시 영역(w2)에 제2 운영체제(예컨대, 윈도우(Windows))의 구동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운영체제를 구동하고 멀티 윈도우(w1, w2)를 제공함으로써, 서로 다른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1)에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복수의 화면의 크기를 조절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운영체제 구동 화면을 각각 디스플레이부(121)의 제1 표시 영역(w3), 제2 표시 영역(w4)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입력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1)의 제1 표시 영역(w3) 또는 제2 표시 영역(w4)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제1 표시 영역(w3), 제2 표시 영역(w4)의 경계 부분을 터치한 상태에서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입력(i14)을 수신하면, 제1 표시 영역(w3)과 제2 표시 영역(w4)의 경계를 우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표시 영역(w5)은 확대되고, 제2 표시 영역(w6)은 축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운영체제를 실행하는 가상 머신은 제1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과 같이 구동될 수 있으므로, 디바이스(100)는 리눅스 커널 모듈인 KVM(kernel virtual machine)의 제어를 통해(도 3 참조), 제2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화면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각각의 표시 영역(w5, w6)의 변경된 화면 크기에 맞도록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6>
도 8 내지 도 16은 운영체제를 전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전환된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의 (a)는 제1 운영체제(예컨대, 안드로이드(Andorid))의 구동 화면의 예이고, 도 8의 (b)는 제2 운영체제(예컨대, 윈도우(WINDOWS))의 구동 화면의 예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된 소정 아이콘(20)을 선택하는 사용자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운영체제로 전환하고 제2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에 마련된 물리 버튼(10)(예컨대, 홈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운영체제로 복귀하고, 제1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0을 참조하면, 운영체제를 전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부(121)에 대한 다양한 터치 입력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a-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2개의 손가락(f20)을 특정 방향(예컨대, 위아래, 좌우 등)으로 슬라이딩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운영체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a-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2개의 손가락(f21)으로 디스플레이부(121)를 두드리는 태핑(tapping)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운영체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의 (a-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미리 설정된 문자(예컨대, ‘S’)를 디스플레이부(121)에 그리는 터치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운영체제를 전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1의 (a-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하나의 손가락을 터치한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입력을, 운영체제를 전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중지 손가락의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검지 손가락을 터치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운영체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a-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하나의 손가락을 터치한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으로 두드리는 태핑(tapping) 입력을, 운영체제를 전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중지 손가락의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검지 손가락으로 태핑(tapping)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운영체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a-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하나의 손가락을 터치한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으로 슬라이딩(sliding)하는 입력을, 운영체제를 전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중지 손가락의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검지 손가락으로 위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운영체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a-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손가락(f28)을 롱 프레스(long-press)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소정 아이콘(30)을 디스플레이부(121)에 생성하고, 생성된 아이콘(30)을 중심으로 상, 하,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하는 입력을, 운영체제를 전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소정 아이콘(30)을 생성한 후, 다양한 조합의 터치 입력을, 운영체제의 전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2의 (a-2)를 참조하면, 예컨대, 디바이스(100)는, 2개의 손가락(f29)으로 디스플레이부(121)에 대해 길게 누르는(long-press)입력을 수신하면, 전환할 수 있는 운영체제 명을 포함하는 메뉴 창(31)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된 메뉴 창(31) 중 전환하고자 하는 운영체제 명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운영체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a-3)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2개의 손가락(f30)으로 디스플레이부(121)의 특정 부분을 터치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전환할 수 있는 운영체제 명을 포함하는 메뉴 창(32)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소정 아이콘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된 메뉴 창(32) 중 전환하고자 하는 운영체제 명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운영체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1)에 제공되는 특정 메뉴 버튼(33)을 누르는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운영체제의 종류를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34)를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썸네일 이미지(34)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운영체제를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1)의 일 측면에 메뉴 바(35)를 표시할 수 있고, 운영체제를 전환하기 위한 선택 메뉴 또는 아이콘(36)을 메뉴 바(35)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운영체제를 전환하기 위한 아이콘(36)을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함으로써, 운영체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1)의 상측 모서리 부분에서 시작하여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입력(i21)을 수신하면, 디바이스(100)의 설정 메뉴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 메뉴를 포함하는 화면은, 운영 체제를 전환하기 위한 선택 메뉴로서, 운영체제의 종류를 나타내는 썸네일 이미지(37)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썸네일 이미지(37) 중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운영체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터치 스크린에 대한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스타일러스 펜(38)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21) 중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에 사각 형태(39)의 선을 그리고, 롱 터치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전환할 운영체제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창(40)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메뉴 창(40)에 표시된 특정 운영체제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도 1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형태로 둘러 쌓인 영역(41) 내에 제2 운영체제(예컨대, 윈도우(Windows))의 구동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6은 음성 인식에 의해 운영 체제를 전환하는 예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함에 따라, 활성화될 운영체제를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특정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의 음성 메시지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윈도우 전환”이라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응답하여,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운영체제(예컨대, 윈도우)를 활성화하고 디스플레이부(121)에 제2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0>
도 17 내지 도 20은 복수의 운영체제 구동과 관련된 설정 메뉴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1)의 일 모서리 부분을 2개의 손가락(f35)으로 가로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게스트 운영체제의 설정 관련 메뉴(42)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8의 (a), (b), (c)를 참조하면, 게스트 OS의 설정 메뉴로서, 예컨대, CPU, GPU, 메모리(Memory)의 할당이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 19의 (a), (b), (c)를 참조하면, 예컨대, 게스트 OS의 공유 폴더 경로, CD/DVD 관련 설정, USB 관련 항목이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도 20은 운영체제 전환 등을 위해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설정 예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운영체제 전환을 위한 인터페이스(51)로서, 예컨대, 두 개의 손가락으로 슬라이딩하는 입력(2-finger sliding) 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운영체제를 락킹(Locking)하기 위한 인터페이스(52)로서, 예컨대, 음성 인식이 설정될 수 있다. 음성 인식 설정을 위해, 사용자는 원하는 음성 명령을 미리 녹음(REC)하고, 재생(PLAY)해볼 수 있다.
또한, 멀티 윈도우로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53)로서, 예컨대, 하나의 손가락으로 터치 입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입력(1-finger press and 1-finger touch) 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멀티 OS의 설정 메뉴로 진입하기 위한 인터페이스(54)로서, 예컨대, 세 개의 손가락으로 길게 누르는 터치 입력(3-finger long-press)이 설정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3>
도 21은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1의 단계 S2101에서, 디바이스(100)는 제1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1)의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제2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1)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멀티 윈도우를 제공하며, 복수의 운영체제 구동 화면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21의 단계 S2102에서, 디바이스(100)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또는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 하나인 제1 영역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상기 제1 표시 영역 또는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이 아닌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2103에서, 디바이스(100)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선택된 오브젝트를 복사하여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오브젝트는,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된 객체인 아이콘, 텍스트, 이미지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소정 콘텐트를 복사하여,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운영체제에 의해 제어되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콘텐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파일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파일, 표시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3은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제1 표시 영역(w8)에 제1 운영 체제의 구동 화면이 표시되고, 제2 표시 영역(w9)에 제2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이 표시된 예이다.
도 22의 (a)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제1 표시 영역(w8)에 제1 운영체제에 의해 제어되는 파일 브라우저를 실행시키고, 제2 표시 영역(w9)에 제2 운영체제에 의해 제어되는 파일 브라우저를 실행시킬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제2 표시 영역(w9)에 표시된 파일 아이콘(61)을 선택하여 제1 표시 영역(w8)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입력(f37)을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파일 아이콘(61)을 복사하여, 제1 표시 영역(w8)에 파일 아이콘(62)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파일 아이콘(61)에 대응하는 파일을 복사하여, 제1 운영체제에 의해 제어되는 메모리 영역으로 이동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 2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제1 표시 영역(w10)에 제1 운영체제의 구동에 따른 바탕 화면을 표시하고, 제2 표시 영역(w11)에 제2 운영체제에 의해 제어되는 파일 브라우저를 실행시킬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제2 표시 영역(w11)에 표시된 파일 아이콘(63)을 선택하여 제1 표시 영역(w10)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입력(f38)을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파일 아이콘(63)을 복사하여, 제1 표시 영역(w10)에 파일 아이콘(64)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파일 아이콘(63)에 대응하는 파일을 복사하여, 제1 운영체제에 의해 제어되는, 파일 공유를 위해 미리 설정된 경로에 따른 메모리 영역으로 이동 및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100)는, 제2 표시 영역(w9, w11)에 표시된 파일 아이콘(61, 63)들을 제1 표시 영역(w8, w10)으로 복사하여 표시할 때, 파일 아이콘의 모양, 형태 등을 동일하게 복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제1 표시 영역(w8, w10)에서 구동되는 제1 운영체제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따른 아이콘의 모양 및 형태 등에 따라, 파일 아이콘(61, 63)의 모양, 형태 등을 변형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3은 제1 표시 영역(w12)에 제1 운영 체제의 구동 화면이 표시되고, 제2 표시 영역(w13)에 제2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이 표시된 예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제2 표시 영역(w13)에 표시된 소정 텍스트(62)(예컨대, ‘Have a nice day’)를 선택하여, 제1 표시 영역(w12)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선택된 텍스트(62)를 복사하여, 제1 표시 영역(w12) 상의 텍스트 입력 창에, 복사된 텍스트(66)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4 및 도 25>
도 24 및 도 25는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어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디바이스(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디바이스(100)는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1) 및 제어부(130) 이외에, 사용자 입력부(110), 출력부(120), 센싱부(140), 통신부(150), A/V 입력부(160) 및 메모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제어부(130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21)와 음향 출력부(122), 진동 모터(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제어부(130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1)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2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21)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21)는 힌지(hinge)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21)는, 활성화된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운영체제 구동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1)는 표시 영역을 복수 개로 분할하여, 멀티 윈도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21)는 제1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1)의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제2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1)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22)는 통신부(150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는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2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123)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123)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123)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통상적으로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부(110), 출력부(120), 센싱부(140), 통신부(150), A/V 입력부(16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30)는, 제1 운영체제를 활성화함에 따라 상기 제1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2 운영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2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1)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2 운영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인터페이스에 따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부(121)의 표시 영역을 복수 개로 분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제1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1)의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21)의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표시 영역 또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또는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 하나인 제1 영역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상기 제1 표시 영역 또는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이 아닌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에서 선택된 오브젝트를 복사하여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복사하여,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운영체제에 의해 제어되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운영체제를 전환하기 위한 복수의 인터페이스 중,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제2 운영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기 제2 운영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 운영체제를 비활성 상태로 구동하고, 상기 제2 운영체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소정의 입력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입력 이벤트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1 운영체제에 전달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디바이스(100)의 상태 또는 디바이스(1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1400)는, 지자기 센서(Magnetic sensor)(141),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142), 온/습도 센서(143), 적외선 센서(144), 자이로스코프 센서(145), 위치 센서(예컨대, GPS)(146), 기압 센서(147), 근접 센서(148), 및 RGB 센서(illuminance sensor)(14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센싱부(1400)는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및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입력 도구에 의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의 하부에 위치하거나,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50)는, 디바이스(100)와 외부 단말 또는 디바이스(100)와 외부 서버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는, 근거리 통신부(151), 이동 통신부(152), 방송 수신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151)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152)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53)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디바이스(100)가 방송 수신부(153)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6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61)와 마이크로폰(16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6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13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미도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6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5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61)는 디바이스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1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62)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 또는 클라우드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다.
메모리(17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171), 터치 스크린 모듈(172), 알림 모듈(173)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171)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디바이스(100)과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172)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
알림 모듈(173)은 디바이스(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173)은 디스플레이부(121)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122)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123)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2, 5, 21의 흐름도에서 도시한 동작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 일부 단계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각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실시 예 중 일부만 구현되거나, 복수의 실시 예가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는 프로세서 또는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hardware component),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구성(software component)일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바이스
121 : 디스플레이부
130 : 제어부

Claims (16)

  1. 복수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구동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및
    제1 운영체제를 활성화함에 따라 상기 제1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2 운영체제를 활성화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상기 제1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상기 제2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크기와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이고,
    상기 제1 및 2 표시 영역으로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이 나타내는 신호는 상기 제1 운영체제에 전달되지 않는, 디바이스.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표시 영역 또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디바이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또는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 하나인 제1 영역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상기 제1 표시 영역 또는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이 아닌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에서 선택된 오브젝트를 복사하여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디바이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에서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복사하여,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운영체제에 의해 제어되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디바이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운영체제를 전환하기 위한 복수의 인터페이스 중 상기 제2 운영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디바이스.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운영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 운영체제를 비활성 상태로 구동하고, 상기 제2 운영체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디바이스.
  8. 삭제
  9. 디바이스가 복수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운영체제를 활성화함에 따라 상기 제1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2 운영체제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1 표시 영역과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상기 제1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상기 제2 운영체제의 구동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크기와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이고,
    상기 제1 및 2 표시 영역으로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이 나타내는 신호는 상기 제1 운영체제에 전달되지 않는, 방법.
  10. 삭제
  11. 제9 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표시 영역 또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크기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또는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 하나인 제1 영역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상기 제1 표시 영역 또는 상기 제2 표시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이 아닌 제2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에서 선택된 오브젝트를 복사하여 상기 제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서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복사하여,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운영체제에 의해 제어되는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9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운영체제를 전환하기 위한 복수의 인터페이스 중 상기 제2 운영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운영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제1 운영체제를 비활성 상태로 구동하고, 상기 제2 운영체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삭제
KR1020150062275A 2015-02-27 2015-05-01 복수의 운영체제를 구동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KR102345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14270 WO2016137105A1 (en) 2015-02-27 2015-12-24 Device and method of running multiple operating systems
JP2017544631A JP6841764B2 (ja) 2015-02-27 2015-12-24 複数の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を駆動するデバイス、及びその方法
US14/982,771 US10372487B2 (en) 2015-02-27 2015-12-29 Device and method of running multiple operating systems and presenting multiple operation screens
EP16155500.8A EP3062222B1 (en) 2015-02-27 2016-02-12 Device and method of running multiple operating systems
US16/530,487 US11243802B2 (en) 2015-02-27 2019-08-02 Device and method of running multiple operating systems and presenting multiple operation screens using locking of host opera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26069P 2015-02-27 2015-02-27
US62/126,069 2015-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256A KR20160105256A (ko) 2016-09-06
KR102345653B1 true KR102345653B1 (ko) 2021-12-30

Family

ID=56946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275A KR102345653B1 (ko) 2015-02-27 2015-05-01 복수의 운영체제를 구동하는 디바이스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43802B2 (ko)
JP (1) JP6841764B2 (ko)
KR (1) KR1023456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44279A1 (ja) * 2018-06-20 2019-12-26 三菱電機株式会社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設計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の画面設計方法
CN110727486B (zh) * 2019-08-30 2021-12-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20210145958A (ko) * 2020-05-26 2021-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계정을 등록하기 위한 전자 장치
CN114647450A (zh) * 2020-12-18 2022-06-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输入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0314A1 (en) 2004-07-07 2006-01-12 Yongyong Xu Methods and systems for running multiple operating systems in a single mobile device
JP2013140516A (ja) 2012-01-05 2013-07-1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6041A1 (en) * 2000-02-18 2004-11-11 Xsid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arallel data display of multiple executing environments
US8933949B2 (en) 2010-10-01 2015-01-13 Z124 User interaction across cross-environment applications through an extended graphics context
US7503049B2 (en) 2003-05-29 2009-03-10 Panasonic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operable to switch operating systems
JP2005011336A (ja) 2003-05-29 2005-0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切り替え可能な情報処理装置
US8274518B2 (en) * 2004-12-30 2012-09-2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izing graphics subsystems
KR100746025B1 (ko) * 2006-01-12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운영체제 스위칭 장치 및 방법
US8196055B2 (en) * 2006-01-30 2012-06-05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ing application windows in an operating system
US8433889B2 (en) 2010-04-28 2013-04-30 Acer Cloud Technology, Inc. Operating system context switching
WO2012001787A1 (ja) 2010-06-30 2012-01-05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727041B1 (ko) * 2010-10-29 2017-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U2011202838B2 (en) * 2010-12-21 2014-04-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a mode screen display therein
JP5585721B2 (ja) 2011-03-22 2014-09-10 富士通株式会社 情報装置、画面切替え方法、及び画面切替えプログラム
KR101844222B1 (ko) 2011-05-27 2018-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모드 제어 방법
KR101907486B1 (ko) 2012-09-14 2018-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보안성이 우수한 실행환경을 제공하는 이동 컴퓨팅 시스템
KR20140144562A (ko) 2013-06-11 2014-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동작 방법
CN103391374B (zh) * 2013-08-08 2015-07-08 北京邮电大学 一种支持无缝切换的双系统终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0314A1 (en) 2004-07-07 2006-01-12 Yongyong Xu Methods and systems for running multiple operating systems in a single mobile device
JP2013140516A (ja) 2012-01-05 2013-07-1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41764B2 (ja) 2021-03-10
JP2018514014A (ja) 2018-05-31
US11243802B2 (en) 2022-02-08
KR20160105256A (ko) 2016-09-06
US20190370056A1 (en)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5484B2 (en) Method of controlling device having plurality of operating systems installed therein, and the device
KR102230708B1 (ko)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102010955B1 (ko) 프리뷰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
EP3062222B1 (en) Device and method of running multiple operating systems
KR102220085B1 (ko) 멀티윈도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9898155B2 (en) Multiple window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US10296127B2 (en) Object control method performed in device including transparent display, the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2144553B1 (ko) 다중 디스플레이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KR102044826B1 (ko) 마우스 기능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
KR10208970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84673B1 (ko)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243802B2 (en) Device and method of running multiple operating systems and presenting multiple operation screens using locking of host operating system
KR102021048B1 (ko) 사용자 입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283546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KR102162828B1 (ko) 베젤에 프로그램 가능한 버튼을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US20130086523A1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20150169216A1 (en) Method of controlling scree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2006826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20190114044A1 (en) Touch input method through edge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US20170242580A1 (e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evice
KR102161061B1 (ko) 복수의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102475336B1 (ko)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14207288A1 (en) User interfaces and associated methods for controlling user interface elements
KR102322033B1 (ko) 운영 체제 간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160105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