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314B1 -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314B1
KR102345314B1 KR1020210100378A KR20210100378A KR102345314B1 KR 102345314 B1 KR102345314 B1 KR 102345314B1 KR 1020210100378 A KR1020210100378 A KR 1020210100378A KR 20210100378 A KR20210100378 A KR 20210100378A KR 102345314 B1 KR102345314 B1 KR 102345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gital
band
channel
digital base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스트코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스트코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스트코아
Priority to KR1020210100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23Satellite systems for providing broadcast service to terrestrial stations, i.e. broadcast satellite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8Modifications for reducing interference; Modifications for reducing effects due to line faults ; Receiver end 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overcoming line f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주파수만을 선별하여 수신한 각 채널별 RF 입력신호를 증폭하는 입력부; RF 입력신호를 베이스밴드 I/Q(Base-Band In phase/Quadrature phase)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베이스밴드 I/Q 신호를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변환부; 변환된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채널 대역외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고,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한 뒤, 왜곡을 보정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조절부; 및 변환된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채널 대역외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여 원하는 주파수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뒤,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채널 대역외 불요파를 제거하고, 표준 동기신호에 따라 송신측으로 전송하는 제2 변환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변조신호와 관계없이 각 변조신호의 대역에 맞게 디지털 필터링 처리하는 FPGA FIR FILTER(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inite Impulse Response)를 통해 채널 대역폭 및 Roll-Off factor 조정하고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왜곡을 보정하며 잡음을 제거하는 이퀄라이저(Equalizer)로 처리함으로써, 단일채널 복조 처리후 재변조 처리 및 송출하는 절차 없이 재전송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Frequency modulating signal relay apparatus through digital signal process}
본 발명은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보드에 원칩화시켜 자원 효율성과 공간 효율성을 높이고, 주파수 변조신호에 종속되지 않고 원하는 대역의 주파수 변조 신호를 재전송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이란 음성, 데이터, 영상 등의 방송 신호를 디지털화한 후 디지털 방식의 전송 시스템으로 송신하고 수신하는 것을 일컫는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은 마이크, 비디오 카메라, 비디오 테이프 녹화기(VTR), 비디오 효과 장치, 신호 스위치 등 개별적인 기기가 모두 디지털 방식으로 구성되며, 디지털 방송 신호들은 표준화된 디지털 방송 방식에 실려 방송된다.
현재의 디지털 방송 송출 시스템은 RF(Radio Frequency)망, IP(Internet Protocol)망, 케이블망, 위성망 등을 이용하여 정형화된 데이터의 신호를 받아 송출하는 구조의 장비가 운용되고 있으며, 현재 방송 기술 측면에서 보면 각 국가별 사업자별로 각각의 표준에 맞는 서로 다른 변조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지상파 방송은 북미, 한국은 ATSC(8VSB) 변조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유럽은 DVB-T 방식, 일본은 ISDB-T 방식을 사용하며 케이블 방송은 DVB-C(QAM), 위성방송은 DVB-S, ISDB-S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변복조형 중계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BPF(Band Pass Filter)가 RF(Radio Frequency) 입력신호 외의 불요파를 제거하고, 복조기와 변조기를 통해 이를 재전송하기 위해 각각의 복조 및 변조 처리후 RF Upconverter가 송신 측으로 RF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FM, DMB,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등은 각각의 다른 변조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재전송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복조 및 변조 처리후 전송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각각의 변복조 처리 없이 동일한 플랫폼으로 재전송이 가능한 장치로 아날로그 방식은 있으나 신호 품질의 개선이 불가능하고 디지털 방식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단일채널 복조 처리후 재변조 처리 및 송출하는 절차 없이 재전송이 가능하고, 신호 품질의 개선이 가능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36040호(2016. 4. 1.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조신호와 관계없이 각 변조신호의 대역에 맞게 디지털 필터링 처리하는 FPGA FIR FILTER(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inite Impulse Response)를 통해 채널 대역폭 및 Roll-Off factor 조정하고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왜곡을 보정하며 잡음을 제거하는 이퀄라이저(Equalizer)로 처리함으로써, 단일채널 복조 처리 후 재변조 처리 및 송출하는 절차 없이 재전송이 가능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는, 특정 주파수만을 선별하여 수신한 각 채널별 RF 입력신호를 증폭하는 입력부; RF 입력신호를 베이스밴드 I/Q(Base-Band In phase/Quadrature phase)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베이스밴드 I/Q 신호를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변환부; 변환된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채널 대역외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고,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한 뒤, 왜곡을 보정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조절부; 및 변환된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채널 대역외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여 원하는 주파수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뒤,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채널 대역외 불요파를 제거하고, 표준 동기신호에 따라 송신측으로 전송하는 제2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입력부는 각 채널별 RF(Radio Frequency) 입력신호 외의 불요파를 제거하는 BPF(Band Pass Filter); 및 RF 입력신호의 미약한 전파를 증폭하며 자동 이득조절 기능이 포함된 AGC LNA(Auto Gain Control Low noise Amplifi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변환부는, RF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베이스밴드 I/Q(Base-Band In phase/Quadrature phase) 신호로 변환하는 Zero IF down converter; 및 변환된 베이스밴드 I/Q 신호를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절부는, 변환된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채널 대역외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는 FPGA FIR FILTER(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inite Impulse Response);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Digital AGC(Digital Auto Gain Control); 및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왜곡을 보정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Equaliz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변환부는, 조절부로부터 인가받아 변환된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채널 대역외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는 FPGA FIR FILTER(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inite Impulse Response); FPGA FIR FILTER에 의해 신호 처리된 디지털 베이스밴드 I/Q(Base-Band In phase/Quadrature phase) 신호를 원하는 주파수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DDS(Direct Digital Synthesizer); 표준 동기신호를 발생시키는 레퍼런스 클럭 발생부; 디지털 베이스밴드 I/Q(In phase/Quadrature phase)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및 DAC에 의해 변환된 신호에서 채널 대역외 불요파를 제거하여 송신 측으로 전송하는 BPF(Band Pass Fil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변조신호와 관계 없이 각 변조신호의 대역에 맞게 디지털 필터링 처리하는 FPGA FIR FILTER(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inite Impulse Response)를 통해 채널 대역폭 및 Roll-Off factor 조정하고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왜곡을 보정하며 잡음을 제거하는 이퀄라이저(Equalizer)로 처리함으로써, 단일채널 복조 처리후 재변조 처리 및 송출하는 절차 없이 재전송이 가능하고, ADC, DAC의 복수개의 게이트 처리 및 FPGA 용량에 따라 다채널 전송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변복조형 중계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의 입력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의 제1 변환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의 조절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의 제2 변환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의 구동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의 구동절차에서 제S702 단계의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의 구동절차에서 제S704 단계의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의 구동절차에서 제S706 단계의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의 구동절차에서 제S708 단계의 세부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D)는, 특정 주파수만을 선별하여 수신한 각 채널별 RF 입력신호를 증폭하는 입력부(100)와, RF 입력신호를 베이스밴드 I/Q(Base-Band In phase/Quadrature phase)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베이스밴드 I/Q 신호를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변환부(200)와, 변환된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채널 대역외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고,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한 뒤,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왜곡을 보정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조절부(300), 및 변환된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채널 대역 외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여 원하는 주파수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뒤,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채널 대역외 불요파를 제거하고, 표준 동기신호에 따라 송신측으로 전송하는 제2 변환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A)의 입력부(100)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입력부(100)는 각 채널별 RF(Radio Frequency) 입력신호 외의 불요파를 제거하는 BPF(Band Pass Filter)(110), 및 RF 입력신호의 미약한 전파를 증폭하며 자동 이득조절 기능이 포함된 AGC LNA(Auto Gain Control Low noise Amplifier)(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BPF(110)는 다수의 주파수 중에서 필요한 주파수만 정확하게 선별하여 송신단에서 불필요한 주파수가 발신되지 않도록 필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AGC LNA(120)는 저항과 차동증폭기로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여 Dynamic Range를 개선하고, 제어 전압에 따른 이득이 변화하는 경우 선형성이 유지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득 조절 저잡음 증폭기(120)는 콜렉터 내부에 기 설정된 저항값을 갖는 다이오드를 구성함에 따라 넓은 AGC Range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A)의 제1 변환부(200)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1 변환부(200)는 RF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베이스밴드 I/Q(Base-Band In phase/Quadrature phase) 신호로 변환하는 Zero IF down converter(210), 및 변환된 베이스밴드 I/Q 신호를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Zero IF down converter(210)는 레퍼런스 클럭 발생부(420)로부터 표준 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입력부(100)의 RF 입력신호에 대한 주파수를 베이스밴드 I/Q(Base-Band In phase/Quadrature phase)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ADC(220)는 변환된 베이스밴드 I/Q 신호를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여 조절부(300)로 인가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A)의 조절부(300)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조절부(300)는 변환된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채널 대역외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는 FPGA FIR FILTER(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inite Impulse Response)(310)와,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Digital AGC(Digital Auto Gain Control)(320), 및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왜곡을 보정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Equalizer(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조절부(300)의 FPGA FIR FILTER(310)는 제1 변환부(200)로부터 인가받은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해 각 변조신호의 대역에 부합하도록 디지털 필터링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Digital AGC(320)는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자동으로 Gain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Equalizer(330)는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왜곡을 보정하고 잡음을 제거하여 균일하지 않은 주파수 특성을 가진 신호를 원래의 주파수 특성으로 되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A)의 제2 변환부(400)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2 변환부(400)는 조절부(300)로부터 인가받아 변환된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채널 대역외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는 FPGA FIR Filter(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inite Impulse Response)(410)와, FPGA FIR Filter(410)에 의해 신호 처리된 디지털 베이스밴드 I/Q(Base-Band In phase/Quadrature phase) 신호를 원하는 주파수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DDS(Direct Digital Synthesizer)(420)와, 표준 동기신호를 발생시키는 레퍼런스 클럭 발생부(430), 디지털 베이스밴드 I/Q(In phase/Quadrature phase)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440), 및 DAC(440)에 의해 변환된 신호에서 채널 대역외 불요파를 제거하여 송신측으로 전송하는 BPF(Band Pass Filter)(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변환부(400)의 FPGA FIR Filter(410)는 조절부(300)로부터 인가받은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해 각 변조신호의 대역에 부합하도록 디지털 필터링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DDS(420)는 FPGA FIR Filter(410)에 의해 디지털 필터링된 Zero IF 신호를 출력 주파수로 변환한다.
또한, 레퍼런스 클럭 발생부(430)는 제1 변환부(200)의 제로 아이 에프 다운 컨버터(210) 및 DAC(440)로 표준 동기신호를 인가한다.
또한, DAC(440)는 디지털 I/Q 신호를 송신측으로 전송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BPF(450)는 DAC(440)로부터 인가받은 아날로그 신호에서 채널 대역외 불요파를 제거하여 송신측으로 전송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의 구동절차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입력부(100)가 특정 주파수만을 선별하여 수신한 각 채널별 RF 입력신호를 증폭시킨다(S702).
이어서, 제1 변환부(200)가 RF 입력신호를 베이스밴드 I/Q(Base-Band In phase/Quadrature phase)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베이스밴드 I/Q 신호를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한다(S704).
뒤이어, 조절부(300)가 변환된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채널 대역외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고,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한 뒤, 왜곡을 보정하고 잡음을 제거한다(S706).
그리고, 제2 변환부(400)가 변환된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채널 대역외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여 원하는 주파수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뒤,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채널 대역외 불요파를 제거하고, 표준 동기신호에 따라 송신측으로 전송한다(S708).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의 구동절차의 제S702 단계의 세부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입력부(100)가 각 채널별 RF(Radio Frequency) 입력신호 외의 불요파를 제거한다(S802).
그리고, 입력부(100)가 RF 입력신호의 미약한 전파를 증폭하며 자동 이득조절 기능을 수행한다(S804).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의 구동절차의 제S704 단계의 세부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702 단계 이후, 제1 변환부(200)가 RF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베이스밴드 I/Q 신호로 변환한다(S902).
그리고, 제1 변환부(200)가 변환된 베이스밴드 I/Q 신호를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한다(S904).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의 구동절차의 제S706 단계의 세부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704 단계 이후, 조절부(300)가 변환된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채널 대역외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한다(S1002).
이어서, 조절부(300)가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한다(S1004).
그리고, 조절부(300)가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왜곡을 보정하고 잡음을 제거한다(S1006).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의 구동절차의 제S708 단계의 세부과정에 대해 살피면 아래와 같다.
제S706 단계 이후, 제2 변환부(400)가 조절부(300)로부터 인가받아 변환된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채널 대역외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한다(S1102).
이어서, 제2 변환부(400)가 불필요한 신호가 제거된 디지털 베이스밴드 I/Q 신호를 원하는 주파수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S1004).
뒤이어, 제2 변환부(400)가 디지털 베이스밴드 I/Q(In phase/Quadrature phase)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S1006).
그리고, 제2 변환부(400)가 변환된 신호에서 채널 대역외 불요파를 제거하여 송신측으로 전송한다(S1008).
이처럼,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변조신호와 관계없이 각 변조신호의 대역에 맞게 디지털 필터링 처리하는 FPGA FIR FILTER(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inite Impulse Response)를 통해 채널 대역폭 및 Roll-Off factor 조정하고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왜곡을 보정하며 잡음을 제거하는 이퀄라이저(Equalizer)로 처리함으로써, 단일채널 복조 처리후 재변조 처리 및 송출하는 절차 없이 재전송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D: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
100: 입력부
110: BPF(Band Pass Filter)
120: AGC LNA(Auto Gain Control Low noise Amplifier)
200: 제1 변환부
210: Zero IF down converter
220: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300: 조절부
310: FPGA FIR FILTER(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inite Impulse Response)
320: Digital AGC(Digital Auto Gain Control)
330: Equalizer
400: 제2 변환부
410: FPGA FIR Filter(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inite Impulse Response)
420: DDS(Direct Digital Synthesizer)
430: 레퍼런스 클럭 발생부
440: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450: BPF(Band Pass Filter)

Claims (5)

  1. 특정 주파수만을 선별하여 수신한 각 채널별 RF 입력신호를 증폭하는 입력부;
    상기 RF 입력신호를 베이스밴드 I/Q(Base-Band In phase/Quadrature phase)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베이스밴드 I/Q 신호를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는 제1 변환부;
    상기 변환된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채널 대역외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고,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한 뒤, 왜곡을 보정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조절부; 및
    상기 변환된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채널 대역외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여 원하는 주파수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뒤,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채널 대역외 불요파를 제거하고, 표준 동기신호에 따라 송신측으로 전송하는 제2 변환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변환부는,
    상기 조절부로부터 인가받아 변환된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채널 대역외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는 FPGA FIR FILTER(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inite Impulse Response);
    상기 FPGA FIR FILTER에 의해 신호 처리된 디지털 베이스밴드 I/Q(Base-Band In phase/Quadrature phase) 신호를 원하는 주파수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DDS(Direct Digital Synthesizer);
    표준 동기신호를 발생시키는 레퍼런스 클럭 발생부;
    상기 디지털 베이스밴드 I/Q(In phase/Quadrature phase)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및
    상기 DAC에 의해 변환된 신호에서 채널 대역외 불요파를 제거하여 송신 측으로 전송하는 BPF(Band Pass Fil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각 채널별 RF(Radio Frequency) 입력신호 외의 불요파를 제거하는 BPF(Band Pass Filter); 및
    상기 RF 입력신호의 미약한 전파를 증폭하며 자동 이득조절 기능이 포함된 AGC LNA(Auto Gain Control Low noise Amplifi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변환부는,
    상기 RF 입력신호의 주파수를 베이스밴드 I/Q(Base-Band In phase/Quadrature phase) 신호로 변환하는 Zero IF down converter; 및
    변환된 베이스밴드 I/Q 신호를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변환된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채널 대역외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는 FPGA FIR FILTER(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inite Impulse Response);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Digital AGC(Digital Auto Gain Control); 및
    디지털 베이스밴드 신호의 왜곡을 보정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Equaliz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
  5. 삭제
KR1020210100378A 2021-07-30 2021-07-30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 KR102345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378A KR102345314B1 (ko) 2021-07-30 2021-07-30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378A KR102345314B1 (ko) 2021-07-30 2021-07-30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314B1 true KR102345314B1 (ko) 2021-12-31

Family

ID=7917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378A KR102345314B1 (ko) 2021-07-30 2021-07-30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3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569A (ko) * 2003-09-23 2005-03-28 한국방송공사 디지털 왜곡보상 기능을 가진 디지털 tv 동일 채널 중계기
KR20090062907A (ko) * 2007-12-13 2009-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중계 장치 및 그의 중계 방법
KR100990653B1 (ko) * 2009-09-04 2010-10-29 주식회사 웨이브컴 광대역 무선 채널 신호 시분할 중계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160036040A (ko) 2014-08-22 2016-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569A (ko) * 2003-09-23 2005-03-28 한국방송공사 디지털 왜곡보상 기능을 가진 디지털 tv 동일 채널 중계기
KR20090062907A (ko) * 2007-12-13 2009-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중계 장치 및 그의 중계 방법
KR100990653B1 (ko) * 2009-09-04 2010-10-29 주식회사 웨이브컴 광대역 무선 채널 신호 시분할 중계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160036040A (ko) 2014-08-22 2016-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6636B1 (en)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level controller with a disturbance detection unit
JP5150146B2 (ja) ケーブル通信装置およびケーブル通信方法
US813968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ulti-channel signals and multi-channel receiver using the same
JP2008535329A (ja) 複数の信号対雑音比測定源を使用した非線形信号歪み検出
US833548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controlling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CN101960809B (zh) Dc补偿
KR102345314B1 (ko) 디지털 신호처리를 통한 주파수 변조신호 중계장치
EP0903937A2 (en) Digital television signal receiving tuner system
CA2553753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dulating of on-channel repeater
KR100379490B1 (ko)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의 자동 이득 제어 장치
EP0519465B1 (en) Satellite television broadcasting receiver
JP4618868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機及びセグメント数検出装置
JP3449164B2 (ja) 受信装置
US7280463B2 (en) Digital FM bandwidth control
JP6200367B2 (ja) 信号処理装置、catvヘッドエンド、およびcatvシステム
US200901806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a phase or frequency modulated audio signal
EP1981270A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JPH11205204A (ja) 復調器
KR100577264B1 (ko) 자동 이득 제어 장치를 포함한 수신 시스템
JP2002359569A (ja) 放送受信装置
JPH07326980A (ja) 移動通信用受信機
JP2006270582A (ja) 受信回路
KR101185561B1 (ko) 방송 수신기의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30091525A (ko) 전화기 채널에서 ham 신호의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수신기 및 신호 복조 방법
JPH0965236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