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292B1 -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모자챙 - Google Patents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모자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292B1
KR102345292B1 KR1020190045469A KR20190045469A KR102345292B1 KR 102345292 B1 KR102345292 B1 KR 102345292B1 KR 1020190045469 A KR1020190045469 A KR 1020190045469A KR 20190045469 A KR20190045469 A KR 20190045469A KR 102345292 B1 KR102345292 B1 KR 102345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m
plate member
hat
molding plat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1710A (ko
Inventor
권승
Original Assignee
권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승 filed Critical 권승
Publication of KR20190121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8Thermoforming apparatus
    • B29C51/20Thermoforming apparatus having movable moulds or mould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1/00Manufacturing hats
    • A42C1/06Manipulation of hat-bri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264Auxiliary operations prior to the thermoforming operation, e.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42Heating or cooling
    • B29C51/421Heating or cooling of preforms, specially adapted for thermofo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4Bending or folding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4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8Co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83EVA, i.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자챙 평면재단 단계(S110)와, 모자챙 안착 단계(S120)와, 모자챙 가압 단계(S130)와, 스팀가열탱크 적층배열 단계(S140)와, 가열 밴딩성형 단계(S150)와, 냉각 단계(S160)로 구성되어서, 돌돌말리는 변형시에도 원래 모자챙형상으로 복원되고 다양한 디자인의 경량화된 모자챙을 양산하며, 모자 전체 중량을 최소화하여 장기간 모자 착용을 가능하도록 하며, 돌돌말아 가방에 휴대간편하게 보관하도록 하고, 개별 소포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모자챙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모자챙{Method of Manufacturing Flexible Visor of Hat and Visor of Hat of the Same}
본 발명은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모자챙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돌돌말거나 구김이 생기는 변형시에도 원래 모자챙형상으로 복원되고 다양한 디자인의 경량화된 모자챙을 양산하며, 모자 전체 중량을 최소화하여 장기간 모자 착용을 가능하도록 하며, 돌돌말아 가방 등에 간편하게 휴대 보관하도록 하고, 원통 포장박스 등에 담아 개별 소포장하여 판매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모자챙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모자는 캡과 모자챙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모자챙은 라운드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합성수지로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모자마다 모자챙 제조를 위한 사출 금형을 제작해야 했기 때문에 개발비가 많이 소요되고 그로 인해 모자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종래의 모자챙은 모자챙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경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어서 모자챙을 휴대하거나 보관할 때 캡부분은 접거나 말아서 휴대나 보관할 수 있었지만 모자챙 부분은 쉽게 말리지 않기 때문에 휴대성과 보관하는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모자챙 부분을 길이 방향으로 2등분 또는 3등분으로 분할하여 접을 수 있도록 하였으나 모자챙 연결부위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모자챙 디자인이 조잡한 문제가 있었으며, 착용하는 과정에서 라운드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절곡구조의 형태로 변형되는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연성을 갖는 모자챙을 제작하여 적용하였으나, 연성 재질의 모자챙의 형태를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여 제조하기 위한 장치나 제조방법이 없어 연질 재질의 모자챙이 적용된 모자를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어 이와 관련된 제조 장치 및 제조방법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33159호(모자의 제조방법. 2002.04.08)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06189호(모자 및 그 제조방법. 2011.01.20)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돌돌말리는 변형시에도 원래 모자챙형상으로 복원되고 다양한 디자인의 경량화된 모자챙을 양산하며, 모자 전체 중량을 최소화하여 장기간 모자 착용을 가능하도록 하며, 돌돌말아 가방에 휴대간편하게 보관하도록 하고, 개별 소포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모자챙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열가소성 연질시트를 실제 모자챙크기와 동일하거나 큰 모자챙 전개도형상으로 평면재단하는 단계; 상기 재단된 모자챙을 제1곡률의 파이프형상 또는 반원통형상의 하단성형판부재 상에 길이방항으로 다수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하단성형판부재 상에 안착된 상기 모자챙의 상단에 상기 제1곡률보다 큰 제2곡률의 반원통형상의 상단성형판부재를 위치시켜 상기 모자챙을 가압하는 단계; 상기 모자챙이 개재된 상기 성형판부재를 스팀가열탱크 내에 다수 적층배열시키는 단계; 가열부재에 의해, 상기 적층배열된 성형판부재를 70℃ 내지 120℃로 일정시간 가열하여 상기 모자챙을 밴딩성형하는 단계; 및 냉각부재에 의해, 상기 밴딩성형된 모자챙을 모자챙형태를 유지하도록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돌돌말리는 변형시에도 원래 모자챙형상으로 복원되고 다양한 디자인의 경량화된 모자챙을 양산하는,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열가소성 연질시트는 발포경도 60도와 3T 이하의 두께의 PP발포시트 또는 EVA발포시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성형판부재 또는 상기 상단성형판부재는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E또는 비금속 재질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단성형판부재는 120mm 내지 180mm 직경의 곡률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성형판부재는 상기 하단성형판부재의 외경에 상기 연질시트 두께를 합친 직경의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단성형판부재는 120mm 직경의 곡률으로 형성되면 연질시트의 두께가 2mm인 경우 상단성형판부재는 124mm 직경의 곡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적층배열된 성형판부재로 고온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분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하단성형판부재의 상면 또는 하면, 및 상기 하단성형판부재의 하면 및 상면에 부착형성되는 필름형 히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부재는 공냉식 냉각모듈 또는 수냉식 냉각모듈로 구성되어 상기 스팀가열탱크내의 상기 밴딩성형된 모자챙을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된 성형판부재를 적출하여 상기 성형판부재로 저온의 미스트 또는 냉각수를 분사하거나, 상기 성형판부재를 냉각조에 침수시켜 추가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모자챙의 표면온도가 110℃로 유지되도록 밴딩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성형판부재는 상기 하단성형판부의 일측에 힌지결합하여, 상기 재단된 모자챙을 상기 하단성형판에 안착시키기 위해 개방되고, 상기 하단성형판부재에 안착된 후 상기 상단성형판을 폐쇄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딩성형된 모자챙을 다른 곡률의 하단성형판부재 및 상단성형판부재에 재안착시켜, 다른 곡률의 모자챙을 반복적으로 밴딩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연질시트는 경량의 모자챙 심재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모자챙전개도형상으로 평면재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성형판부재에는 다수의 미세관이 형성되고, 상기 스팀분사모듈은 상기 하단성형판부재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미세관으로 고온스팀을 분사하여 상기 모자챙의 저면으로 직접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딩성형된 모자챙이 부착된 최종 모자를 원통형의 투명 또는 반투명의 케이스에 돌돌말아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발포경도 60도와 3T 이하의 두께의 PP발포시트를 실제 모자챙크기와 동일하거나 큰 모자챙 전개도형상으로 평면재단하며, 상기 재단된 모자챙을 직경 120mm 곡률의 파이프형상 또는 반원통형상의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E또는 비금속 재질 하단성형판부재 상에 길이방항으로 다수 안착시키며, 상기 하단성형판부재 상에 안착된 상기 모자챙의 상단에 직경 124mm 곡률의 반원통형상의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 상단성형판부재를 위치시켜 상기 모자챙을 가압하며, 상기 모자챙이 개재된 상기 성형판부재를 스팀가열탱크 내에 다수 적층배열시키며, 스팀분사모듈에 의해, 상기 적층배열된 성형판부재로 70℃ 내지 120℃의 고온스팀을 일정시간 분사가열하여 상기 모자챙의 표면온도가 110℃로 유지되도록 밴딩성형하고, 냉각부재에 의해, 상기 밴딩성형된 모자챙을 모자챙형태를 유지하도록 냉각하여, 제조되어, 돌돌말리는 변형시에도 원래 모자챙형상으로 복원되고, 경량화된 다양한 디자인으로 양산된, 모자챙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돌돌말리는 변형시에도 원래 모자챙형상으로 복원되고 다양한 디자인의 경량화된 모자챙을 양산하며, 모자 전체 중량을 최소화하여 장기간 모자 착용을 가능하도록 하며, 돌돌말아 가방에 휴대간편하게 보관하도록 하고, 개별 소포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질의 모자챙을 일정한 모양과 곡률을 유지하면서 대량 생산할 수 있어 최대한 수작업을 최소화하면서도 모자챙의 제조원가절감 및 대량생산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의 성형판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의 스팀가열탱크에 의한 밴딩성형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모자챙을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의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의 성형판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1의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의 스팀가열탱크에 의한 밴딩성형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은, 전체적으로, 모자챙 평면재단 단계(S110)와, 모자챙 안착 단계(S120)와, 모자챙 가압 단계(S130)와, 스팀가열탱크 적층배열 단계(S140)와, 가열 밴딩성형 단계(S150)와, 냉각 단계(S160)로 구성되어서, 돌돌말리는 변형시에도 원래 모자챙형상으로 복원되고 다양한 디자인의 경량화된 모자챙을 양산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우선, 모자챙 평면재단 단계(S110)에서는, 열가소성 연질시트를 실제 모자 완성시의 모자챙크기와 동일하거나 큰 모자챙 전개도형상으로 칼선재단 또는 컴퓨팅커팅에 의해 평면재단한다.
여기서, 열가소성 연질시트는, 발포경도 60도와 3T 이하의 두께의 PP(PolyPropylene)발포시트 또는 EVA(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발포시트일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연질시트는 모자챙형상 유지를 위한 경량의 모자챙 심재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모자챙전개도형상으로 평면재단될 수도 있다.
후속하여, 모자챙 안착 단계(S120)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단된 모자챙을 제1곡률의 파이프형상 또는 반원통형상의 하단성형판부재(120) 상에 길이방항으로 다수 안착시킨다.
여기서, 하단성형판부재(120)는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으로 구성되고, 하단성형판부재(120)는 120mm 직경의 곡률의 파이프형상 또는 반원통형상으로 구성된다.
후속하여, 모자챙 가압 단계(S130)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성형판부재(120) 상에 안착된 모자챙의 상단에 제1곡률보다 큰 제2곡률의 반원통형상의 상단성형판부재(130)를 위치시켜 모자챙을 가압한다.
여기서, 상단성형판부재(130)는 예컨대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으로 구성되고, 상단성형판부재(130)는 연질시트의 두께가 2mm 인경우 124mm 직경의 곡률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단성형판부재(130)는 하단성형판부의 일측에 힌지축(131)을 통해 힌지결합하여, 재단된 모자챙을 하단성형판부재(120)에 안착시키기 위해 개방되고(도 2의 (a) 참조), 하단성형판부재(120)에 재단된 모자챙이 안착된 후 상단성형판부재(130)를 폐쇄하여(덮어)(도 2의 (b) 참조)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후속하여, 스팀가열탱크(140) 적층배열 단계(S140)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챙이 개재된 성형판부재(120,130)를 스팀가열탱크(140) 내에 다수 적층배열시킨다.
후속하여, 가열 밴딩성형 단계(S150)에서는, 가열부재(미도시)에 의해, 적층배열된 성형판부재(120,130)를 70℃ 내지 120℃로 일정시간 가열하여 최종 완성시의 모자챙형태의 일정곡률로 굽어지도록 밴딩성형한다.
여기서, 가열부재는 스팀분사모듈로 구성되어, 적층배열된 성형판부재(120,130)로 고온스팀을 분사하여서, 성형판부재(120,130)를 70℃ 내지 120℃로 일정시간 가열하여 모자챙의 표면온도가 110℃로 유지되도록 밴딩성형할 수 있다.
또는, 가열부재는 하단성형판부재(120)의 상면 또는 하면, 및 하단성형판부재(120)의 하면 및 상면에 부착형성되는 필름형 히터(A)로 구성되어, 적층배열된 성형판부재(120,130)로 고온스팀을 분사하여서, 성형판부재(120,130)를 70℃ 내지 120℃로 일정시간 가열하여 모자챙의 표면온도가 110℃로 유지되도록 밴딩성형할 수 있다.
후속하여, 냉각 단계(S160)에서는, 냉각부재(미도시)에 의해, 앞서 밴딩성형된 모자챙을 모자챙형태를 유지하도록 냉각한다.
여기서, 냉각부재는 공냉식 냉각모듈 또는 수냉식 냉각모듈로 구성되어 스팀가열탱크(140)내의 밴딩성형된 모자챙을 냉각할 수 있다.
한편, 하단성형판부재(120)에는 다수의 미세관이 관통형성되고, 스팀분사모듈은 하단성형판부재(120)의 내측으로부터 미세관으로 고온스팀을 분사하여 모자챙의 저면으로 직접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냉각된 성형판부재(120,130)를 전체를 적출하여 성형판부재(120,130)로 저온의 미스트 또는 냉각수를 분사하거나, 성형판부재(120,130)를 냉각조에 침수시켜 추가 냉각하는 단계(S17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최종적으로, 앞서 제조된 모자챙이 부착된 최종 모자를 원통형의 투명 또는 반투명의 케이스(미도시)에 돌돌말아 포장하여서(S180), 휴대간편하도록 개별 소포장하도록 하거나, 구매후, 케이스를 통해 간편하게 휴대하도록 하거나 가방에 돌돌말아 보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최종적으로 밴딩성형된 모자챙을 다른 곡률의 하단성형판부재 및 상단성형판부재에 재안착시켜, 다른 곡률의 모자챙을 반복적으로 밴딩성형하여서, 다른 타입의 모자챙 형성에 따른 원단의 불필요한 낭비를 최소화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의 구성에 의해서, 돌돌말리는 변형시에도 원래 모자챙형상으로 복원되고 다양한 디자인의 경량화된 모자챙을 양산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모자챙을 예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모자챙은, 발포경도 60도와 3T 이하의 두께의 PP발포시트를 실제 모자챙크기와 동일하거나 큰 모자챙 전개도형상으로 평면재단하며, 재단된 모자챙을 직경 120mm 곡률의 파이프형상 또는 반원통형상의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 하단성형판부재(120) 상에 길이방항으로 다수 안착시키며, 하단성형판부재(120) 상에 안착된 모자챙의 상단에 직경 124mm 곡률의 반원통형상의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 상단성형판부재(130)를 위치시켜 모자챙을 가압하며, 모자챙이 개재된 성형판부재를 스팀가열탱크(140) 내에 다수 적층배열시키며, 스팀분사모듈에 의해, 적층배열된 성형판부재로 70℃ 내지 120℃의 고온스팀을 일정시간 분사가열하여 모자챙의 표면온도가 110℃로 유지되도록 밴딩성형하고, 냉각부재에 의해, 밴딩성형된 모자챙을 모자챙형태를 유지하도록 냉각하여, 제조되어서, 돌돌말리는 변형시에도 원래 모자챙형상으로 복원되고, 경량화된 다양한 디자인으로 양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모자챙의 구성에 의해서, 모자 전체 중량을 최소화하여 장기간 모자 착용을 가능하도록 하며, 돌돌말아 가방에 휴대간편하게 보관하도록 하고, 개별 소포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S110 : 모자챙 평면재단 단계 S120 : 모자챙 안착 단계
S130 : 모자챙 가압 단계 S140 : 스팀가열탱크 적층배열 단계
S150 : 가열 밴딩성형 단계 S160 : 냉각 단계
S170 : 추가 냉각 단계 S180 : 케이스 포장 단계
120 : 하단성형판부재 130 : 상단성형판부재
131 : 힌지축 140 : 스팀가열탱크

Claims (14)

  1. 열가소성 연질시트를 실제 모자챙크기와 동일하거나 큰 모자챙 전개도형상으로 평면재단하는 단계; 상기 재단된 모자챙을 제1곡률의 파이프형상 또는 반원통형상의 하단성형판부재 상에 길이방항으로 다수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하단성형판부재 상에 안착된 상기 모자챙의 상단에 상기 제1곡률보다 큰 제2곡률의 반원통형상의 상단성형판부재를 위치시켜 상기 모자챙을 가압하는 단계; 상기 모자챙이 개재된 상기 성형판부재를 스팀가열탱크 내에 다수 적층배열시키는 단계; 가열부재에 의해, 상기 적층배열된 성형판부재를 70℃ 내지 120℃로 일정시간 가열하여 상기 모자챙을 밴딩성형하는 단계; 및 냉각부재에 의해, 상기 밴딩성형된 모자챙을 모자챙형태를 유지하도록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돌돌말리는 변형시에도 원래 모자챙형상으로 복원되고 다양한 디자인의 경량화된 모자챙을 양산하되,
    상기 열가소성 연질시트는 발포경도 60도와 3T 이하의 두께의 PP발포시트 또는 EVA발포시트이며,
    상기 하단성형판부재 또는 상기 상단성형판부재는 열전도성을 갖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하단성형판부재는 120mm 내지 180mm 직경의 곡률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성형판부재는 상기 하단성형판부재의 외경에 상기 연질시트 두께를 합친 직경의 곡률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적층배열된 성형판부재로 고온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분사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모자챙의 표면온도가 110℃로 유지되도록 밴딩성형하며,
    상기 상단성형판부재는 상기 하단성형판부의 일측에 힌지결합하여, 상기 재단된 모자챙을 상기 하단성형판에 안착시키기 위해 개방되고, 상기 하단성형판부재에 안착된 후 상기 상단성형판을 폐쇄하여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밴딩성형된 모자챙을 다른 곡률의 하단성형판부재 및 상단성형판부재에 재안착시켜, 다른 곡률의 모자챙을 반복적으로 밴딩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는, 상기 하단성형판부재의 상면 또는 하면, 및 상기 하단성형판부재의 하면 및 상면에 부착형성되는 필름형 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재는 공냉식 냉각모듈 또는 수냉식 냉각모듈로 구성되어 상기 스팀가열탱크내의 상기 밴딩성형된 모자챙을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된 성형판부재를 적출하여 상기 성형판부재로 저온의 미스트 또는 냉각수를 분사하거나, 상기 성형판부재를 냉각조에 침수시켜 추가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연질시트는 경량의 모자챙 심재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모자챙전개도형상으로 평면재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성형판부재에는 다수의 미세관이 형성되고, 상기 스팀분사모듈은 상기 하단성형판부재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미세관으로 고온스팀을 분사하여 상기 모자챙의 저면으로 직접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성형된 모자챙이 부착된 최종 모자를 원통형의 투명 또는 반투명의 케이스에 돌돌말아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
  14. 삭제
KR1020190045469A 2018-04-18 2019-04-18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모자챙 KR102345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45156 2018-04-18
KR1020180045156 2018-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710A KR20190121710A (ko) 2019-10-28
KR102345292B1 true KR102345292B1 (ko) 2022-01-03

Family

ID=6842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469A KR102345292B1 (ko) 2018-04-18 2019-04-18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모자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2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6161B (zh) * 2021-07-29 2021-09-28 南通衣之韵服饰有限公司 一种涂抹胶水全覆盖布料的加热变形的鞋帽加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2796B1 (ko) * 1997-10-01 2000-04-15 조병우 모자(帽子)의챙성형방법과장치및그모자의챙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3159B1 (ko) 2001-08-22 2002-04-18 이성택 챙 일체형 모자의 제조방법
KR20080009535A (ko) * 2006-07-24 2008-01-29 주식회사 디와이스포츠 모자의 챙 제조방법
KR101104372B1 (ko) 2009-07-13 2012-01-16 주식회사유풍 모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2796B1 (ko) * 1997-10-01 2000-04-15 조병우 모자(帽子)의챙성형방법과장치및그모자의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710A (ko) 201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5292B1 (ko) 가요성 모자챙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모자챙
US20050050617A1 (en) Custom fitted helme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10450023B2 (en) Bicycle saddle manufacturing method
FR2529761A1 (fr) Garnitures internes individuellement reglables pour casques
FR2768903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faconner une visiere de casquette et cette visiere
WO2018012018A1 (ja) 蓋付容器製造装置及びブリスタ包装機
CN105855382A (zh) 一种壁板蠕变时效成形的方法和预压模具
CN101027372A (zh) 用于运动用具的手柄的适贴覆盖带、制造方法以及包含这种带的覆盖组件
JP4129001B2 (ja) 浮き彫りのパターンを備えた熱収縮材料製の物品用包装材
CN102271896B (zh) 热装填的薄壁塑料容器的处理方法及相关装置
US8453709B1 (en) Jewelry with positive fingerprint impression
US20150313289A1 (en) Collar Shaping Device
Nojiri et al. Self-assembly of shape memory polymer printed by fused deposition modeling
ITRM20100084U1 (it) Cuscino perfezionato
US610630A (en) Die for making frames from sheets of celluloid
CN214338115U (zh) 一种新型耳机头带
JP2002326297A (ja) プラスチック中空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07214911A (zh) 一种软质塑料产品的模内装饰注射成型的方法及产品
JP5877062B2 (ja) 容器の製造方法
TW201924892A (zh) 囊袋之製造方法及其模具
US10524584B2 (en) Multilayer furniture protective devices and methods of use
KR20120090924A (ko) 과일 포장재
US20020176959A1 (en) Curled decorative grass having a texture or appearance simulating the texture or appearance of paper
JP7455474B2 (ja) 容器製造方法及び容器
US20200290244A1 (en) Processing a thermoplastic text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