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041B1 -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041B1
KR102345041B1 KR1020210112824A KR20210112824A KR102345041B1 KR 102345041 B1 KR102345041 B1 KR 102345041B1 KR 1020210112824 A KR1020210112824 A KR 1020210112824A KR 20210112824 A KR20210112824 A KR 20210112824A KR 102345041 B1 KR102345041 B1 KR 102345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film
mesh
polymer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만
김흥대
정종민
조계성
임승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픽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픽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픽슨
Priority to KR1020210112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0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041B1/ko
Priority to AU2022333724A priority patent/AU2022333724A1/en
Priority to PCT/KR2022/008713 priority patent/WO2023027309A1/ko
Priority to US17/851,971 priority patent/US1171806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3Extrusion moulding in several steps, i.e. components merging outside the die
    • B29C48/0014Extrusion moulding in several steps, i.e. components merging outside the die producing flat articles having components brought in contact outside the extrusion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general shape other than plan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iron or st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2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continuous webs only
    • B32B37/203One or more of the layers being plastic
    • B32B37/206Laminating a continuous layer between two continuous plastic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8Net structure, e.g. spaced apart filaments bonded at the crossing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25LLDPE, i.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5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623/06PE, i.e. polyethylene
    • B29K26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623/065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6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7/00Tubular articles, e.g. hoses,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bstract

본 발명은, 강재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1 필름층; 상기 제1 필름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필름층; 및 상기 제2 필름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그물망 구조를 갖는 메쉬 필름층;을 포함하는 복합 필름에 관한 것으로, 상기 메쉬 필름층의 일부는, 상기 복합 필름의 가열 압착 과정을 거치면서 제2 필름층의 내부로 매립되도록 형성되어, 복합 필름이 코팅된 강재의 내수성, 내화학성, 내마모성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Complex mesh film for steel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필름층, 제2 필름층 및 메쉬 필름층을 포함하는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의 강도, 강재에 대한 접착력 및 필름 전체 면에서의 품질이 균일화 된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관은 오수 및 폐수의 배수, 농업용수, 염해지역, 해양공사, 건축분야 등에서 중공 거푸집이나 건축 슈트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기존 콘크리트관과 달리 시공 시 인력난과 비용 및 환경 훼손 등의 문제가 없는 장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높은 외압강도와 구조적 안전성, 내구성, 경제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파형 강관이 각광받고 있다.
파형 강관은 산과 골이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나선 형태로 연속되게 감겨진 형태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파형 강관의 내부식성 향상을 위해 내주연과 외주연에 아연 코팅층이 형성되며, 최근에는 추가적인 내부식성 확보를 위해 아연 코팅층 위에 PE 필름과 같은 고분자 필름층을 코팅한 파형 강관이 사용되기도 한다.
종래의 고분자 필름층은 아연 코팅층과의 접착력 확보를 위한 접착 필름층과 강도 확보를 위한 고강도 필름층을 포함하는 이중 필름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고분자 필름층은 고분자 필름층 자체가 외부 충격에 약하고 인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파형 강관을 생산, 운반, 시공하는 과정에서 고분자 필름층의 표면이 쉽게 훼손되므로, 결과적으로 파형 강관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자면, 시공 시 크레인이나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로 파형 강관을 이송하여 설치 장소에 매설하는 도중에 중장비에 의해 파형 강관 외주면을 스크래치(찍힘, 긁힘)하게 됨에 따라 약한 물성을 갖는 고분자 필름층으로부터 그 하부의 아연 도금 강판까지 손상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또한, 파형 강관을 시공한 후에는, 파형 강관의 내주면 내부에 오폐수 뿐만 아니라 돌, 자갈 등도 이송되는데 이러한 돌, 자갈에 의해 약한 물성을 갖는 고강도 PE 필름 및 접착성 PE 필름으로부터 그 하부의 아연 도금 강판까지 손상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에, 고분자 필름층의 강도 및 파형 강관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접착 필름층과 고강도 필름층 사이를 부직포와 같은 중간보강재로 보강한 고분자 필름층이 개발되었으나, 부직포와 접착 필름층, 고강도 필름층 사이의 접착력이 떨어져 부직포를 중심으로 박리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파형 강관의 외주면과 내주면에 코팅된 고분자 필름층의 고강도 필름층이 외부 충격이나 파형 강관을 흐르는 유체에 섞여있는 돌, 자갈과 같은 이물질에 의한 충격에 대해 완충 작용을 충분히 할 수 없어서 파형 강관의 수명이 단축되고, 생산성 측면에 있어서는 새로운 설비를 증설해야 하므로 제조 비용이 상당히 상승하고 양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강관에 코팅되는 고분자 필름층의 강도를 확보하고, 외부 충격에 대한 충분한 완충 작용이 가능하며, 고분자 필름층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고, 생산성이 우수한 새로운 고분자 필름층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824002호(2018.01.25 등록)
본 발명에서는 강관 및 강판을 포함하는 강재에 코팅되어, 강재의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며, 본 발명의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은 전체 면에서의 품질이 균일하고, 강재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여, 파형 강관과 같이 복잡한 형태의 강관에 적용되더라도 쉽게 박리되지 않고 강력한 결합력을 형성하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강재의 표면 보호 및 보강을 위한 복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복합 필름은, 강재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1 필름층; 상기 제1 필름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필름층; 및 상기 제2 필름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그물망 구조를 갖는 메쉬 필름층;을 포함한다.
상기 메쉬 필름층의 일부는, 상기 복합 필름의 가열 압착 과정을 거치면서 제2 필름층의 내부로 매립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층은 PE 고분자와 무수말레산을 포함하는 제1 고분자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필름층은 PE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2 고분자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쉬 필름층은 합성수지 원사로 제직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 원사는 HDPE와 무기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 원사의 비중이 제2 고분자 혼합물의 비중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필름층과 제2 필름층에 포함되는 PE 고분자는 LLDP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미경화 상태의 제1 필름층(11)과 제2 필름층(12)이 합지된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필름층(12) 상에 메쉬 필름층(13)을 공급하고 압착하여 메쉬 필름층(13)의 일부가 제2 필름층(12)으로 매립된 복합 필름(10)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 필름(10)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필름층과 제2 필름층은 PE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제1 고분자 혼합물을 가열하고 필름 형태로 압출하는 제1 필름층 제조 단계; 제2 고분자 혼합물을 가열하고 필름 형태로 압출하는 제2 필름층 제조 단계; 및 제1 필름층과 제2 필름층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분자 혼합물은 PE 고분자와 무수말레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은 강재에 코팅되어 강재의 부식과 산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복합 필름 자체의 강도가 우수하고, 강재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여 강재의 내구성을 장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이 제1 필름층, 제2 필름층 및 메쉬 필름층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메쉬 필름층이 제2 필름층에 일부만 매립되며, 최외곽에 메쉬 필름층이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필름층, 제2 필름층 및 메쉬 필름층이 서로 단단하게 결합되어 쉽게 박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이 일면에 코팅된 강재의 단면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의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은 강재에 코팅되어 강재의 내부식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강재는 강(steel)으로 이루어진 제품으로, 강판 및 강관을 포함하며, 이들 표면에 아연 도금층이 형성된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이 일면에 코팅된 강재의 단면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10)은 강재(20)의 표면을 보호 혹은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복합 필름은 강재(20)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1 필름층(11); 상기 제1 필름층(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필름층(12); 및 상기 제2 필름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그물망 구조를 갖는 메쉬 필름층(1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메쉬 필름층(13)의 일부는, 상기 복합 필름의 가열 압착 과정을 거치면서 제2 필름층(12)의 내부로 매립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며 및 일체형의 복합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합 필름(10)을 구성하는 각 레이어 중 제1 필름층(11)은 복합 필름(10)을 강재에 부착시키기 위해 형성되고, 제2 필름층(12)은 복합 필름(10)의 일정 강도를 확보하면서 동시에 강재의 표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어 강재(20)의 표면을 보호 및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메쉬 필름층(13)은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어 복합 필름(10) 자체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제1 필름층(11)과 제2 필름층(12)은 PE(폴리에틸렌) 고분자를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고분자를 포함함으로써, 제1 필름층(11)과 제2 필름층(12)의 서로에 대한 접착력, 강재에 대한 접착력 및 메쉬 필름층(13)에 대한 접착력이 매우 우수하므로, 복합 필름(10)이 강재(20)로부터 박리되거나, 복합 필름(10)의 층간 박리가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이며 장기적인 강재 보호, 보강 효과가 지속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름층(11)은 복합 필름(10)과 강재(20) 사이에 접착력을 제공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제1 필름층(11)은 0.01~0.1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0.01mm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접착 강도 확보가 어렵고, 0.1mm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오히려 접착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술한 두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필름층(11)은 PE와 무수말레산이 혼합된 제1 고분자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고분자 혼합물을 얇은 필름 형태로 성형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고분자 혼합물은 PE 고분자, 무수말레산 및 기능 향상을 위한 마스터배치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PE 고분자 50~85 wt%, 무수말레산 12~45 wt% 및 마스터배치 2~5 wt%를 포함한다.
상기 PE 고분자는 제1 고분자 혼합물의 기본적인 물성, 예를 들어 접착력, 강도, 내화학성 등의 특성을 발현한다. 특히, PE 고분자의 경우에는, 저온에서도 높은 충격 강도를 나타내고, 내마모성, 내화학성, 내부식성이 우수하며 수분 흡수성이 낮아 물이 포함된 유체를 수송하는 파이프라인에 적용되었을 때 물에 의한 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PE 고분자로 바람직하게는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가 사용될 수 있는데, LLDPE는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에 비해 접착성이 현저히 우수하고 유연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매끄럽지 않거나 굴곡진 강재의 표면에도 강력하게 접착되며, 복합 필름(10)이 코팅된 강재의 형태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복합 필름(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1 고분자 혼합물에 포함되는 PE 고분자는 50~85 wt%로 포함될 수 있는데, 50 wt%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1 필름층(11)의 기본적인 강도나 유연성, 접착력 성능 발현이 이루어지지 않고, 성형성이 부족하여 제1 필름층(11)이 필름 형상으로 잘 성형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반면, 85 wt%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무수말레산이나 마스터배치의 함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제1 필름층(11)의 접착력이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수말레산은 제1 필름층(11)의 이종 재질에 대한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이다. 일반적으로 접착성 고분자는 동종 재질에 대한 접착력은 매우 우수하나, 이종 재질에 대한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특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1 필름층(11)과 이종 재질인 강재에 대한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무수말레산을 사용한다.
상기 무수말레산은 제1 고분자 혼합물에 12~45 wt%로 포함될 수 있는데, 무수말레산의 함량이 12 wt%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력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45 wt%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PE 고분자나 마스터배치의 함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제1 필름층(11)의 강도나 접착성이 불량해질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스터배치는 제1 고분자 혼합물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색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제1 고분자 혼합물 내에 2~5 wt%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중량 범위로 포함될 때 제1 필름층(11)의 접착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마스터배치는 PE 고분자 63~79 wt%, 카본블랙 20~36 wt% 및 아세트산 0.1~1.2 w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PE 고분자는 제1 고분자 혼합물에 포함되는 PE 고분자와 동일한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PE 고분자는 마스터배치와 제1 고분자 혼합물이 보다 더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첨가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카본블랙은 제1 필름층(11)에 색을 부여하고 강도를 높이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20~36 wt%로 첨가될 수 있으며, 20 wt%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1 필름층(11) 내 카본블랙의 함량이 부족하여 색상 발현 및 강도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36 wt%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마스터배치 내 카본블랙의 함량이 높아 제1 고분자 혼합물 내에서의 균일한 혼합이 어려울 수 있고, 제1 필름층(11)의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세트산은 카본블랙과 PE 고분자의 혼합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는 성분으로, 0.1~1.2 wt%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함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혼합성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함량을 초과하도록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1 필름층(11) 표면에서의 마찰력이 적어지며 제1 필름층(11)이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접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필름층(12)은 제1 필름층(11)에 의해 강재(20) 표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강재(20)에 내수성, 내화학성, 내부식성, 내마모성을 높여 강재(20) 표면을 보호함으로써 강재(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필름층(12)은 0.1~0.5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0.1mm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2 필름층(12)의 강도가 낮아, 복합 필름(10)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있고, 0.5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2 필름층(12)의 두께가 과도하게 두꺼워져 다른 층과 쉽게 박리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동일한 이유로 인해 복합 필름(10)이 강재(20)로부터 쉽게 박리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두께 범위로 상술한 두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필름층(12)은 PE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2 고분자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고분자 혼합물을 필름 형태로 얇게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분자 혼합물은 PE 고분자 95~99 wt% 및 마스터배치 1~5 wt%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필름층(12)에 포함되는 PE 고분자는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일 수 있다. LLDPE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착성, 굴곡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으며, 제1 필름층(12)에 적용된 PE 고분자와 동종 재질이기 때문에 제1 필름층(11)과 제2 필름층(12) 사이에 더욱 강력한 접착력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2 필름층(12)에 포함되는 PE 고분자로 LLDPE가 사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LLDPE의 경우 제1 필름층(11)을 구성하는 PE 고분자와의 구조가 유사하여 더욱 강력한 접착력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필름층(12) 내부로 메쉬 필름층(13)이 보다 균일한 형태로 매립되어 강력하게 결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LLDPE는 HDPE보다 용융지수가 3~4배 이상 높기 때문에, 성형성이 매우 우수하여 복합 필름(10) 제조를 위해 제2 필름층(12) 상에 메쉬 필름층(13)을 가열 압착하는 경우, 메쉬 필름층(13)이 보다 균일하게 제2 필름층(12)의 내부로 매립될 수 있다.
또한, LLDPE는 HDPE보다 비중이 작기 때문에, 메쉬 필름층(130)과의 비중 차가 커지므로, 가열 압착 과정에서 메쉬 필름층(13)의 일부가 제2 필름층(12) 내부로 매립된 이후 메쉬 필름층(13)이 제2 필름층(12)의 상부로 뜨지 않고, 균일한 깊이로 매립된 상태 그대로 유지되므로, 메쉬 필름층(130)과 제2 필름층(12)의 결합력이 강해지고, 메쉬 필름층(130)이 부분적으로 박리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으며, 복합 필름(10)의 전체 면적에서의 강도가 일정하고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필름층(12)을 형성하는 제2 고분자 혼합물 내에 PE 고분자는 95~99 wt%로 포함될 수 있는데, PE 고분자의 함량이 95 wt% 미만인 경우에는 제2 필름층(12)의 기본적인 물성인 접착력, 강도, 굴곡성 등의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99 wt%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마스터배치에 의한 색 발현 및 강도 향상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다.
상기 제2 고분자 혼합물에 포함되는 마스터배치는 제1 고분자 혼합물에 포함되는 것과 동일한 것으로, 색 부여 및 강도 향상을 위해 첨가된다.
제2 고분자 혼합물에 포함되는 마스터배치는 1~5 wt%로 포함될 수 있으며, 1 wt%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색 부여 및 강도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5 wt%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2 필름층(12)의 기본적인 물리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고분자 혼합물의 용융 지수는 1.0 g/10mi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용융 지수가 높게 형성되어야 가열 압착 과정에서 메쉬 필름층(13)이 제2 필름층(12) 내부로 균일하고 쉽게 압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메쉬 필름층(13)은 합성수지 원사를 제직하여 얻어지는 그물망 구조의 필름으로, HDPE를 주요 성분으로 하여 제조되므로, 복합 필름(10)의 유연성을 유지하면서도 높은 강도를 형성시킬 수 있어, 복합 필름(10)이 적용된 강재(20)의 내마모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 필름층(13)의 일부가 제2 필름층(12)의 내부로 매립되도록 형성되므로, 매립된 영역에서는 메쉬 필름층(13)의 공극으로 제2 필름층(12)을 구성하는 제2 고분자 혼합물이 침투되어 두 필름층(12, 13) 사이의 강력한 접착력이 형성되고, 제2 필름층(12)의 내부로 매립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 메쉬 필름층(13)은 돌, 자갈과 같은 이물질에 의한 충격에 대해 완충 작용을 하면서, 이러한 이물질이 제2 필름층(12)에 직접 접촉하여 제2 필름층(1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복합 필름(10)의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메쉬 필름층(13)이 제2 필름층(12)의 내부로 완전히 매립되는 경우에는, 제2 필름층(12)이 이물질과 직접 접촉하여 이물질에 의한 충격이 제2 필름층(12)에 직접 가해지므로, 제2 필름층(12)의 마모가 빈번하게 일어나며, 복합 필름(10)의 손상을 야기하고 나아가 수명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메쉬 필름층(13)의 일부만이 제2 필름층(12)의 내부로 매립되도록 두 필름층(12, 13)을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쉬 필름층(13)은 0.1~1.0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0.1mm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메쉬 필름층(13)을 제2 필름층(12) 내부로 일부만 매립시키는 공정의 난이도가 과도하게 증가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며, 메쉬 필름층(13)에 의한 충분한 강도 확보가 곤란할 수 있다. 반면, 메쉬 필름층(13)의 두께가 1.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메쉬 필름층(13)의 유연성이 떨어져 강재(20)의 형태에 걸맞는 유연한 휨이 곤란하므로 코팅 공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메쉬 필름층(13)은 합성수지 원사를 제직하여 얻어지는 그물망 형태의 필름이다.
상기 메쉬 필름층(13)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원사의 단면 지름은 0.15~0.22mm일 수 있고, 0.15mm 미만인 경우에는 메쉬 필름층(13)을 소정 두께로 형성하기 곤란하고, 메쉬 필름층(13)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0.22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메쉬 필름층(13)이 과도하게 두꺼워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메쉬 필름층(13)의 공극률은 50~78%일 수 있으며, 50% 미만인 경우에는 메쉬 필름층(13)의 유연성이 떨어져 성형이 곤란할 수 있으며, 강재(20)에 코팅되더라도 메쉬 필름층(13)과 다른 필름층(11, 12) 사이의 유연성 차이가 극심하여 메쉬 필름층(13)이 박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78%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메쉬 필름층(13)에 의한 충분한 강도 확보가 곤란할 수 있다.
또한, 메쉬 필름층(13)에 형성된 공극의 크기는 0.5~1.2mm일 수 있으며, 0.5mm 미만인 경우에는 메쉬 필름층(13)과 제2 필름층(12)을 일체화하는 가열 압착 과정에서 메쉬 필름층(13)의 공극으로 제2 필름층(12)을 형성하는 제2 고분자 혼합물이 침투되기 어려워, 두 필름층(12, 13) 사이의 균일한 결합력 형성이 곤란하고, 1.2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메쉬 필름층(13)에 의한 강도 보강 효과가 미미하므로, 상술한 공극 크기 범위를 갖는 메쉬 필름층(13)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쉬 필름층(13)은 인치(inch)당 위사의 수가 19~22개이고, 인치당 경사의 수가 23~26개일 수 있다. 또한, 인치당 위사의 수가 경사의 수보다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쉬 필름층(13)의 인치당 위사의 수와 경사의 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메쉬 필름층(13)으로 인한 충분한 강도가 확보되지 않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는 메쉬 필름층(13)의 유연성이 과도하게 저하된다.
뿐만 아니라, 메쉬 필름층(13)의 공극률 및 공극 크기가 과도하게 작아져, 제2 필름층(12) 내부로 매립하기 어려워진다. 구체적으로, 압착을 통해 제2 필름층(12)으로 매립하는 과정에서 메쉬 필름층(13)의 공극으로 용융 상태의 제2 필름층(12)이 안정적으로 유입되지 않아, 제2 필름층(12)이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며, 결과적으로 제2 필름층(12)의 두께가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복합 필름(10)의 강도 및 물리, 화학적 특성을 저해시키는 원인이 된다.
상기 메쉬 필름층(13)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원사는 HDPE 98.5~99.9 wt% 및 무기 충전제 0.1~1.5 wt%를 포함할 수 있다.
메쉬 필름층(13)은 복합 필름(10)의 강도를 높이고,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경도 및 강도가 높은 HDPE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HDPE를 원사로 한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므로, 경도가 높더라도 제1 필름층(11)이나 제2 필름층(12)과 같이 공극이 없는 필름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와 달리 유연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무기 충전제는 합성수지 원사의 강도 및 비중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무기 충전제가 첨가됨으로써 메쉬 필름층(13)의 내마모성이 강해지므로 반복적인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쉽게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무기 충전제가 첨가되어 메쉬 필름층(13)의 비중이 증가함으로써, 메쉬 필름층(13)과 제2 필름층(12)을 결합시키는 가열 압착 과정에서 압력에 의해 메쉬 필름층(13)의 일부가 제2 필름층(12)의 내부로 매립되고, 가해지던 압력이 제거되더라도 비중 차이에 의해 메쉬 필름층(13)의 일부가 제2 필름층(13)의 내부로 매립된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 부여를 위해 무기 충전제는 합성수지 원사에 0.1~1.5 wt%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 wt%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1.5 wt%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메쉬 필름층(13)의 비중이 과도하게 커져 가열 압착 과정에서, 가해지던 압력이 제거되면 메쉬 필름층(13)이 계속해서 제2 필름층(12) 내부로 매립되어 일부 영역에서는 메쉬 필름층(13)이 제2 필름층(12) 내부에 완전히 매립되어 가장 상부층에 제2 필름층(12)이 배치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술한 중량 범위를 만족하도록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무기 충전제로는 화강암, 석회암, 현무암 또는 폐석재와 같은 석재를 일정 크기로 분쇄하여 얻어진 석분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자 크기가 10~90㎛인 석분이 사용될 수 있다. 석분의 평균 입자 크기가 10㎛ 미만인 경우에는 무기 충전제와 HDPE를 혼합하는 과정에서 무기 충전제들이 서로 응집되어 균일하게 혼합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9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석분의 입자 크기가 과도하게 크기 때문에 합성수지 원사의 외부로 돌출되고 나아가서는 석분이 탈리되어 원사의 내구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상술한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석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쉬 필름층(13)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원사의 비중은 제2 필름층(12)을 구성하는 제2 고분자 혼합물의 비중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합성수지 원사의 비중이 제2 필름층(12)을 구성하는 제2 고분자 혼합물의 비중보다 0.02 이상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비중차가 0.02 미만인 경우에는 가열 압착 과정에서 메쉬 필름층(13)이 제2 필름층(12) 내부로 쉽게 매립되지 않으며, 매립되더라도 이후 일부 영역에서 메쉬 필름층(13)이 제2 필름층(12)의 상부로 다시 부상하여 전체 영역에서 균일한 두께를 형성하지 않아 전체적인 강도가 일정하게 형성되지 않고, 이와 같이 재부상이 일어난 영역에서 제2 필름층(12)과 메쉬 필름층(13) 사이의 결합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복합 필름(10)은 강재(20)의 표면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되어, 강재의 내수성, 내화학성, 내마모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강재(20)를 보호 및 보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필름(10)이 제조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의 제조 방법은, 미경화 상태의 제1 필름층(11)과 제2 필름층(12)이 합지된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필름층(12) 상에 메쉬 필름층(13)을 공급하고 압착하여 복합 필름(10)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 필름(10)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미경화 상태의 제1 필름층(11)과 제2 필름층(12)이 합지된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제1 필름층(11)의 원료인 제1 고분자 혼합물을 150~235℃로 가열하고 압출하여 필름 형상으로 성형된 제1 필름층(11) 제조 단계; 제2 필름층(11)의 원료인 제2 고분자 혼합물을 150~235℃로 가열하고 압출하여 필름 형상으로 성형된 제2 필름층(12) 제조 단계; 및 제1 필름층(11)과 제2 필름층(12)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제1 필름층(11)과 제2 필름층(12)은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도록 필름 형상으로 제조된 후 합지될 수 있다. 합지 단계에서는 제1 필름층(11)과 제2 필름층(12)이 미경화된 상태로 합지될 수 있도록 220~24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지 단계에서 압착 압력에 따라 적층체의 두께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기 합지 단계에서 제2 필름층(12)의 상부면이 요철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여 엠보싱(embossing) 구조의 필름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필름층(12)의 상부면이 엠보싱 구조를 갖는 경우, 외부 충격 완화, 접착력 보장(박리 방지), 필름 손상 방지, 내인장력, 내구성, 내마모성, 내부식성, 강성 개선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엠보싱 구조 형성을 위해 제2 필름층(12)의 상부면에 열, 압력, 자외선 또는 전자선을 가하거나 수지, 약품 처리를 통해 요철 형상을 갖게 할 수 있다.
한편, 합지 단계를 거쳐 합지된 적층체는 메쉬 필름층(13)과 결합되어 복합 필름(1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합지 단계를 거쳐 형성된 적층체의 제2 필름층(12) 상에 메쉬 필름층(13)을 공급하고, 가압 롤러와 같은 가압 장치를 이용하여 압착함으로써 메쉬 필름층(13)의 일부가 제2 필름층(12) 내부로 매립된 복합 필름(10)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적층체는 합지 단계에서 가해진 열에 의해 아직 고온으로 유지되며, 미경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가압을 통해 제2 필름층(12) 내부로 메쉬 필름층(13)의 일부가 매립되어, 제1 필름층(11), 제2 필름층(12) 및 메쉬 필름층(13)이 일체화된 복합 필름(10)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층체와 메쉬 필름층(13)을 합지하는 단계에서 열은 적층체로부터 제공되며, 적층체의 온도가 계속 유지되는 경우에는 메쉬 필름층(13)을 합지한 후에 복합 필름(10)의 형태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이 단계에서 가압 장치를 냉각하여 동작 온도를 45~80℃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낮은 온도를 유지하는 경우, 복합 필름(10)의 매립과 복합 필름(10)의 냉각 및 제1 필름층(11)과 제2 필름층(12)의 경화가 같이 진행되므로, 메쉬 필름층(13)의 일부가 제2 필름층(12) 내부로 매립되어 일체화 되고, 메쉬 필름층(13)이 계속해서 완전히 매립되거나 제2 필름층(12)의 상부로 부상하지 않고, 일부만 매립된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후, 복합 필름(10)의 평탄도를 조정하는 단계, 필름의 텐션을 조정하는 단계가 필요에 따라 추가로 더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제2 필름층(12)이 엠보싱을 갖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단계들이 생략되어도 좋다.
다음으로, 상기 복합 필름(10)을 냉각하는 단계가 수행되는데, 이때 냉각 방식으로는 공지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자연 냉각 방식, 공랭 방식 또는 복합 필름(10)을 이송하는 이송 장치를 공랭 또는 수냉식으로 냉각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각 단계가 수행되기 직전이나, 직후 혹은 냉각과 동시에 제1 필름층(11)의 하면에 이형필름(미도시)을 합지하는 단계가 추가로 더 수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형필름(미도시)이 합지된 복합 필름(10)을 롤 형태로 권취하는 권취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서 제시된 것으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먼저, HDPE 고분자 99.4 wt%와 무기 충전제인 평균 입자 크기 20~50㎛인 석회석 분말 0.6 wt%를 혼합하여 지름 0.19mm인 합성수지 원사를 제조하고, 인치당 위사 21개, 경사 24개의 밀도로 제직하여 평균 공극 크기 0.8~1.0mm이고, 공극률 70%, 두께 0.5mm인 메쉬 필름층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LLDPE 고분자 67 wt%, 무수말레산 29 wt% 및 마스터배치 4 wt%를 혼합하여 제1 고분자 혼합물을 제조하고, LLDPE 고분자 97 wt% 및 마스터배치 3 wt%를 혼합하여 제2 고분자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제1 고분자 혼합물과 제2 고분자 혼합물에 사용되는 마스터배치는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LLDPE 고분자 74 wt%, 카본블랙 25 wt% 및 아세트산 1 wt%를 포함하는 펠렛형의 마스터배치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제1 고분자 혼합물과 제2 고분자 혼합물을 각각 필름 형태로 성형하여 제1 필름층과 제2 필름층을 제조하고, 제1 필름층과 제2 필름층을 압착하여 결합시킨 뒤, 두 필름층이 미경화된 상태에서 제2 필름층 상에 상기 메쉬 필름층을 공급하고 롤러를 이용하여 압착시켜 메쉬 필름층의 일부가 제2 필름층 내부로 매립되어 일체화된 실시예 1의 복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의 복합 필름(10)을 파형 강관에 피복한 뒤, 접착성, 투과저항성, 내충격성을 측정하고, 핀홀 시험과 외관을 관찰한 뒤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각 테스트는 ASTM A742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온도는 오차 1℃ 범위 내에서 유지하여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시험 항목 실시예 1
접착성 -18℃ 이상없음
25℃ 이상없음
50℃ 이상없음
투과저항성 10% NaCl 수용액, 23℃, 48h 이상없음
30% H2SO4 수용액, 23℃, 48h 이상없음
10% NaOH 수용액, 23℃, 48h 이상없음
내충격성 4.0J 이상없음
핀홀시험 67.5V 이상없음
외관 이상없음
표 1의 실험 결과를 보면, 실시예 1의 복합 필름(10)은 저온, 상온 및 고온 접착성이 모두 우수하고, 투과저항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핀홀 발생이 없으며 외관도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제2 고분자 혼합물에 포함되는 LLDPE 고분자를 HDPE 고분자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필름(10)을 제조하여, 비교예 1의 복합 필름(10)을 제조하였다.
이후, 실시예 1의 복합 필름(10)과 비교예 1의 복합 필름(10)의 강도 및 두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강도는 ASTM D638에 의거한 인장강도(항복점) 측정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두께는 무작위 25곳의 두께를 측정하여 최대 두께, 최소 두께 및 두께 표준편차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인장강도(kgf/cm2) 238 242
최소두께(mm) 0.747 0.820
최대두께(mm) 0.764 0.693
두께평균(mm) 0.758 0.766
두께 표준편차 0.006 0.028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인장강도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제2 필름층(12)에 사용되는 고분자의 종류는 강도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두께 측정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경우 두께가 전체 영역에서 균일하게 형성되었으나,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영역별 두께 차이가 크게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HDPE의 용융지수가 높아 성형성이 떨어지고, 밀도가 높아 메쉬 필름층(13)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매립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문제로 판단된다.
따라서, 복합 필름(10)의 균일한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 제2 고분자 혼합물에 사용되는 PE 고분자로 LLDP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제조예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복합 필름(10)을 제조하되, 메쉬 필름층(13) 제조시 첨가되는 무기 충전제의 함량을 하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시켜 제조하였다.
이때, 제2 필름층(12)의 제2 고분자 혼합물의 비중(A)을 측정하고, 메쉬 필름층(13)을 구성하는 합성필름 원사의 비중(B)을 측정하여 두 비중값의 차이(B-A)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기재하였다.
이후, 각 복합 필름(10)의 두께 및 인장강도를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고, 신율을 ASTM D638의 방법으로 측정한 뒤, 그 결과를 표 3에 기재하였다.
또한, 각 복합 필름(10)을 동일한 규격의 파형 강관에 피복한 뒤, 53±2℃의 온도 조건에서 97일간 가속 노화 실험을 수행하고, 인장강도 및 신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함께 기재하였다.
시험편
No. 
무기충전제
함량(wt%)
비중값
차이(B-A)
두께(mm) 인장강도(kgf/cm2) 신율(%)
평균 표준편차 노화 전 노화 후 노화 전 노화 후
# 1 - 0.014 0.816 0.039 219 135 500이상 500이상
# 2 0.05 0.017 0.802 0.034 223 159 500이상 500이상
# 3 0.12 0.022 0.753 0.007 235 211 500이상 500이상
# 4 0.30 0.028 0.756 0.008 233 213 500이상 500이상
# 5 0.60 0.033 0.758 0.006 238 216 500이상 500이상
# 6 1.00 0.043 0.755 0.007 228 217 500이상 500이상
# 7 1.42 0.048 0.756 0.007 230 215 500이상 500이상
# 8 1.55 0.060 0.739 0.016 244 221 476 384
상기 표 3의 결과를 참조하면, 시험편 3 내지 시험편 7의 경우, 두께 평균이 일정하고, 표준편차가 적게 나타나며, 노화 전, 후 인장강도와 신율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시험편 1과 시험편 2의 경우에는 영역별 두께의 편차가 크고, 노화 후 인장강도가 저하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메쉬 필름층(13)에 포함된 무기 충전재의 함량에 의해 메쉬 필름층(13)과 제2 필름층(12) 사이의 비중값 차이에 의해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구체적으로, 시험편 1과 시험편 2의 경우에는 두 필름층 사이의 비중값 차이가 너무 적어서 메쉬 필름층(13) 하부면이 제2 필름층(12) 내부로 균일하게 매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로 여겨진다.
본 실험 결과로부터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제2 필름층(12)을 구성하는 제2 고분자 혼합물과 메쉬 필름층(13)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원사 사이의 비중 차이가 0.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시험편 8의 경우에는 두께 표준편차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영역에서 메쉬 필름층(13)이 제2 필름층(12) 내부로 완전히 매립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 경우, 최상층에 제2 필름층(12)이 위치하므로 복합 필름(10)의 내마모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시험편 8의 경우에는 다른 시험편들에 비해 신율이 상당히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무기 충전제의 함량이 과도하게 높아서 발생한 문제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로부터 메쉬 필름층(13)의 일부가 제2 필름층(12) 내부로 매립되도록 형성하기 위해 메쉬 필름층(13)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원사에 포함되는 무기 충전제의 함량이 0.1~1.5 wt%인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2 필름층(12)을 구성하는 제2 고분자 혼합물과 메쉬 필름층(13)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원사 사이의 비중 차이가 0.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제1 고분자 혼합물 제조시 첨가되는 무수말레산의 함량을 하기 표 4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1 필름층(11)을 제조하였다. 이때, 무수말레산의 가감되는 양은 PE 고분자의 함량을 가감하여 총 생성량이 동일하게 조절하였다.
이후, 각 시험편에 대하여 접착 강도 테스트를 ASTM D903의 방법으로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 4에 기재하였다.
시험편 No. 무수 말레산 함량(wt%) 접착 강도(kgf/cm2)
# 9 - 3.96
# 10 10.0 4.04
# 11 13.6 5.54
# 12 29.0 5.83
# 13 33.5 6.02
# 14 44.4 5.92
# 15 46.1 4.39
표 4의 결과를 참조하면, 제1 고분자 조성물 내에 무수 말레산이 첨가되는 경우, 접착 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시험편 11 내지 시험편 14의 경우 접착 강도가 더욱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시험편 10의 경우에는 무수 말레산의 함량이 적어서 접착 강도의 현저한 상승이 나타나지 않았고, 시험편 15의 경우에는 무수 말레산의 함량이 과도하여 제1 필름층(11)의 기본적인 접착 성능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된다.따라서, 본 실험 결과로부터 제1 고분자 조성물 내에 무수 말레산이 12~45 wt%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아연 도금 강판을 준비하고, 어떠한 코팅도 되지 않은 아연 도금 강판을 시험편 16으로 준비하고, 아연층 상부에 실시예 1의 복합 필름(10)을 코팅하여 시험편 17을 준비하였으며, 비교예 2의 복합 필름이 코팅된 시험편 18과 비교예 3의 복합 필름이 코팅된 시험편 19를 준비하였다.
이때, 비교예 2의 복합 필름으로는 실시예 1의 복합 필름(10)과 동일하게 제조되되, 제1 고분자 혼합물에 무수말레산이 포함되지 않고, 제2 고분자 혼합물의 PE 고분자로 HDPE 고분자가 사용되며, 메쉬 필름층에 무기 충전제가 포함되지 않은 복합 필름을 사용하였다.
또한, 비교예 3의 복합 필름으로는, 메쉬 필름층이 포함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의 복합 필름과 동일한 복합 필름을 사용하였다.
이후, 시험편 16 내지 시험편 19를 각각 5개씩 준비하고, 각 시험편을 대상으로 ASTM D4060의 방법을 따라 마모 시험을 실시한 뒤, 각 시험편별 마모 특성의 평균을 표 5에 기재하였다.
내마모성은 연마 휠의 회전수(cycle)를 통해 평가하였다. 표 5의 마모 시험 결과에는 코팅층이 완전히 손상되거나 혹은 이에 준하는 경우의 회전수를 기재하였고, 특정 횟수 이상 회전하였음에도 눈에 띄는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0회 이상"과 같이 표시하였다.
시험편 No. 최초 코팅층
평균 두께(㎛)
테스트 후
평균 코팅 두께(㎛)
마모 시험 결과
(cycle)
# 16 32 4 8,000
# 17 601 408 100,000 이상
# 18 592 296 80,000 이상
# 19 336 24 40,000
표 5의 실험 결과를 참조하면, 어떠한 고분자 코팅층도 형성되지 않은 시험편 16의 경우에는 강판이 쉽게 손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시험편 17 내지 시험편 19의 실험 결과를 참조하면 메쉬 필름층이 포함되는 경우에 마모 성능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쉬 필름층에 무기 충전제가 포함되면서, 제2 고분자 혼합물의 PE 고분자로 LLDPE가 사용되며, 제1 고분자 혼합물에 무수말레산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마모 성능이 더욱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복합 필름 11: 제1 필름층
12: 제2 필름층 13: 메쉬 필름층
20: 강재

Claims (8)

  1. 강재의 표면 보호 및 보강을 위한 복합 필름에 있어서,
    상기 복합 필름은, 강재의 상부에 부착되는 제1 필름층;
    상기 제1 필름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필름층; 및
    상기 제2 필름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그물망 구조를 갖는 메쉬 필름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필름층은 PE 고분자 50~85wt%와 무수말레산 12~45wt%를 포함하는 제1 고분자 혼합물로 제조되고,
    상기 제2 필름층은 PE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2 고분자 혼합물로 제조되며,
    상기 메쉬 필름층은 합성수지 원사로 제직되되, 상기 합성수지 원사는 HDPE와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고,
    상기 메쉬 필름층의 일부는, 상기 복합 필름의 가열 압착 과정을 거치면서 제2 필름층의 내부로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원사의 비중이 제2 고분자 혼합물의 비중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층과 제2 필름층에 포함되는 PE 고분자는 LLD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필름.
  6. 미경화 상태의 제1 필름층(11)과 제2 필름층(12)이 합지된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필름층(12) 상에 메쉬 필름층(13)을 공급하고 압착하여 메쉬 필름층(13)의 일부가 제2 필름층(12)으로 매립된 복합 필름(10)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 필름(10)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제1 고분자 혼합물을 가열하고 필름 형태로 압출하는 제1 필름층 제조 단계;
    제2 고분자 혼합물을 가열하고 필름 형태로 압출하는 제2 필름층 제조 단계; 및
    제1 필름층과 제2 필름층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필름층과 제2 필름층은 PE 고분자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고분자 혼합물은 PE 고분자 50~85wt%와 무수말레산 12~45wt%를 포함하고,
    상기 메쉬 필름층은 합성수지 원사로 제직되되, 상기 합성수지 원사는 HDPE와 무기 충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의 제조 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210112824A 2021-08-26 2021-08-26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45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824A KR102345041B1 (ko) 2021-08-26 2021-08-26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AU2022333724A AU2022333724A1 (en) 2021-08-26 2022-06-20 Composite film for coating steel produ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CT/KR2022/008713 WO2023027309A1 (ko) 2021-08-26 2022-06-20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US17/851,971 US11718069B2 (en) 2021-08-26 2022-06-28 Composite film for coating steel pi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824A KR102345041B1 (ko) 2021-08-26 2021-08-26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5041B1 true KR102345041B1 (ko) 2021-12-30

Family

ID=79178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824A KR102345041B1 (ko) 2021-08-26 2021-08-26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18069B2 (ko)
KR (1) KR102345041B1 (ko)
AU (1) AU2022333724A1 (ko)
WO (1) WO20230273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7309A1 (ko) * 2021-08-26 2023-03-02 주식회사 픽슨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6320A (ja) * 2003-09-26 2005-04-14 Nippon Zeon Co Ltd 鋼材単層被覆用樹脂組成物及び被覆鋼材
KR100356909B1 (ko) * 1998-12-29 2005-11-21 주식회사 포스코 피복파형강관용피복강판제조방법
KR20060106592A (ko) * 2005-09-13 2006-10-12 (주)픽슨 아연도 강판 및 이를 이용한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
KR101128765B1 (ko) * 2011-11-11 2012-03-28 주식회사 픽슨 망사가 적층된 필름을 제조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134571B1 (ko) * 2011-11-11 2012-07-13 주식회사 픽슨 망사가 적층된 아연 도금 강판 및 아연 도금 파형 강관
KR101824002B1 (ko) 2012-03-11 2018-02-01 주식회사 픽슨 코팅 강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0541A (en) * 1984-08-15 1990-08-21 The Dow Chemical Company Maleic anhydride grafts of olefin polymers
US5750252A (en) * 1995-06-02 1998-05-12 The Dow Chemical Company Protective coating for metal surfaces
US7550533B2 (en) * 2005-07-01 2009-06-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mposition comprising acid anhydride-grafted polyolefin
KR101356909B1 (ko) * 2012-05-14 2014-01-28 주식회사 포스코 고청정 용강 정련장치 및 고청정 용강 제조방법
KR102345041B1 (ko) * 2021-08-26 2021-12-30 주식회사 픽슨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909B1 (ko) * 1998-12-29 2005-11-21 주식회사 포스코 피복파형강관용피복강판제조방법
JP2005096320A (ja) * 2003-09-26 2005-04-14 Nippon Zeon Co Ltd 鋼材単層被覆用樹脂組成物及び被覆鋼材
KR20060106592A (ko) * 2005-09-13 2006-10-12 (주)픽슨 아연도 강판 및 이를 이용한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
KR101128765B1 (ko) * 2011-11-11 2012-03-28 주식회사 픽슨 망사가 적층된 필름을 제조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134571B1 (ko) * 2011-11-11 2012-07-13 주식회사 픽슨 망사가 적층된 아연 도금 강판 및 아연 도금 파형 강관
KR101824002B1 (ko) 2012-03-11 2018-02-01 주식회사 픽슨 코팅 강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7309A1 (ko) * 2021-08-26 2023-03-02 주식회사 픽슨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84163A1 (en) 2023-03-16
AU2022333724A1 (en) 2023-07-06
US11718069B2 (en) 2023-08-08
WO2023027309A1 (ko) 2023-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3629A (en) Synthetic concrete laminate
KR101755741B1 (ko) 가요성 시이트,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US7622406B2 (en) Puncture and abrasion resistant, air and water impervious laminated fabric
US4954393A (en) Polymeric films
CA1115015A (en) Method for molding reinforced polymeric articles
KR102345041B1 (ko)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138832A (ko) 복합 패널
JP6064421B2 (ja) 床用化粧材
EP3251827B1 (en) Combined carbon- and glass-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polyurethane and polyamide composites and its manufacturing
KR20170041656A (ko) 열가소성 복합물 및 그의 제조법
KR20010011802A (ko) 표면재, 샌드위치 구조체, 이들을 이용한 제품
KR101617404B1 (ko) 고분자 연성 적층체
KR102477193B1 (ko) 코팅 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25379A (ko) 자동차 펜더라이너용 복합소재 및 이를 이용한 펜더라이너의 제조방법
KR102489422B1 (ko) 파형 강관 및 이의 제조 장치
CN210712729U (zh) 一种长寿命高压堵水橡胶气囊
KR101569973B1 (ko)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436194B1 (ko) 가요성을 갖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2차 가스배리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2676B1 (ko) 다층 구조를 갖는 방수방근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근 시공방법
JPS6264544A (ja) 複合材料の改良製法
KR100910741B1 (ko) 함침인쇄지를 이용한 바닥재 및 그의 제조방법
US8221874B1 (en) Durable glass fiber reinforced panel
KR101870831B1 (ko) 강관 제조용 접착조성물을 포함하는 복합 아연 도금 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110648A (ko) 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
JPH04283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