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6592A - 아연도 강판 및 이를 이용한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 - Google Patents

아연도 강판 및 이를 이용한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6592A
KR20060106592A KR1020050085391A KR20050085391A KR20060106592A KR 20060106592 A KR20060106592 A KR 20060106592A KR 1020050085391 A KR1020050085391 A KR 1020050085391A KR 20050085391 A KR20050085391 A KR 20050085391A KR 20060106592 A KR20060106592 A KR 20060106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layer
resin layer
steel sheet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만
Original Assignee
(주)픽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픽슨 filed Critical (주)픽슨
Priority to KR1020050085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6592A/ko
Publication of KR20060106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6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6Three layers or m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54/00Tubes
    • B05D2254/02Applying the material on the exterior of the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07/00Polyolefins
    • B05D2507/01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30/00Rubber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연도 강판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연도 강판은, 중심부의 평탄형의 강판; 상기 강판의 상하 양면에 코팅되어 있는 아연도금층; 및 상기 강판의 상면에 형성된 아연도금층을 감싸도록 접착되어 피복된 상면복합필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연도 강판 하면에 형성된 아연도금층을 감싸도록 접착되어 피복된 하면복합필름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상기 상면복합필름층은 제1합성수지층, 중간보강재층 및 제2합성수지층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면복합필름층은, 제3합성수지층, 중간보강재층 및 제4합성수지층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연도 강판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파형강관의 외면에 부착된 합성수지층의 박리강도가 향상되고 내구성, 내마모성이 향상되며, 적층구조를 갖는 복합필름층에 항균성, 내화성, 연성 등이 발현되도록 추가 조치할 수 있음으로써 제품의 용도와 활용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접착필름, 폴리에틸렌, 합성고무, 변성제, 라디칼 중합 개시제

Description

아연도 강판 및 이를 이용한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Galvanized steel sheet and corrugated rockseam steel pipe of galvanizing us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을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연도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공정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조공정에 따라 제조된 아연도 강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조공정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조공정에 따라 제조된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아연도 강판 10, 110...강판복합층
11, 111...강판 12, 112...상면아연도금층
13, 113...하면아연도금층 20, 120...상면복합필름층
23, 123...제1합성수지층 21, 31, 121, 131...중간보강재층
22, 122...제2합성수지층 32, 132...제3합성수지층
33, 133...제4합성수지층 40...락심이음매
100...파형강관
본 발명은 아연도 강판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나선형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연도 강판 상면 또는 상하 양면에 물성이 개선된 복합필름층을 업착함으로써, 내구성, 내화학성 및 가공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아연도 강판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나선형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하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지하에 매설되는 배수구조물은 콘크리트로 제조되는 흄관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으나, 흄관 제조를 위한 재료의 확보가 용이하지 못하여, 비용상의 문제, 수급상의 문제 등으로 인해 콘크리트재의 흄관을 대체하기 위한 목적으로 아연도 강판과 같은 철판제의 강판을 이용하여 제조된 나선형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나선형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은 부식을 고려하여 아연도금 강판을 사용하고 있으나 강관의 제작, 운반 시공등을 함에 있어서 표면에 쉽게 흠집이 생겨 빠른 속도로 부식이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을 일정길이로 성형한 다음 이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 외주면 또는 내외주면에 보호 필름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에 부착시키기 위한 보호 필름층은 피접착부재인, 금속판이나 금속관의 물성 보호를 위한 목적에서 그 외면상에 접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알려져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보호 필름층을 금속판, 금속관 등의 피접착부재에 접착시키는 경우에, 접착층을 형성함과 동시 또는 후속하여 진행되는, 예컨대 롤러 가공, 프레스 가공 등과 같은 후속 가공 공정 진행으로 인해 접착층에 소정의 외압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보호 필름층의 물성 변형이 초래되어, 보호 필름층에 요구되는 내화학성, 내마모성 및 내박리성의 문제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그에 대한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과 더불어 보호필름층의 기능상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보호필름층이 접착된 아연도 강판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을 제조하기 위한 노력이 관련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발명이 안출된 것이다.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에 알려져 있는 폴리에틸렌 수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며, 적층구조의 접착성 필름층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고, 적층필름의 물리적 특성을 부여하고자 함에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아연도 강판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나선형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아연도 강판은, 중심부의 평탄형의 강판; 상기 강판의 상하 양면에 코팅되어 있는 아연도금층; 및 상기 강판의 상면에 형성된 아연도금층을 감싸도록 접착되어 피복된 상면복합필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아연도 강판 하면에 형성된 아연도금층을 감싸도록 접착되어 피복된 하면복합필름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면복합필름층은 제1합성수지층, 중간보강재층 및 제2합성수지층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면복합필름층은, 제4합성수지층, 중간보강재층 및 제3합성수지층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며, 상면복합필름층의 제1합성수지층이 상기 강판 상면의 아연도금층에 면하여 부착되며, 하면복합필름층의 제3합성수지층이 상기 강판 하면의 아연도금층에 면하여 부착되어, 전체적으로 9층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아연도 강판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나선형 파형강관이 제공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하면복합필름층이 제거된 상태로서, 전체적으로 6층의 적층구조를 갖는 아연도 강판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나선형 파형강관이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아연도 강판 나선형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은, 전술한 바와 같은 아연도 강판을 이용하여 제조되되, 그 내외면에 파형의 굴곡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형성 된 파형선에 일정한 비틀림 각도를 가지며 이음매가 형성되도록 제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연도 강판에 있어서, 상기 상면복합필름층의 제1합성수지층 또는 하면복합필름층의 제3합성수지층은, 주기재로서 폴리에틸렌(PE)으로 제조되며, 상기 폴리에틸렌(PE)의 범주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등이 모두 포함된다.
한편, 상기 제1합성수지층 또는 제3합성수지층의 주기재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PE)을 변성시키기 위해서,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이들 유도체들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폴리에틸렌(PE) 변성제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α-에틸아크릴산, 말레산,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올레인아마이드 및 그 유도체들, 푸마르산, 이타콘산, 소르빈산, 테라하이드로프탈산, 메틸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이들 산의 할라이드, 아미드, 산무수물, 에스테르 등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이들 중에서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산무수물,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올레인아마이드, 리놀레인아마이드 등이 더욱 바람직한 예라 할 수 있다. 전술한 각 물질은 단일 성분 또는 둘 이상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복합성분이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변성제의 사용 함량은 0.01 내지 7.0중량%이면 바람직하고, 특히 이들 각각의 함량이 0.025 내지 1.2 중량% 범위에서의 함량을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변성제의 사용 함량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본래 목적인 변성효과를 충분히 달성할 수 없으므로, 함량 유지에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또한, 상기 제1합성수지층 또는 제3합성수지층의 주기재인 폴리에틸렌 변성제를 그래프트화시키기 위해서,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그래프트 반응을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디-t-부틸 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퍼옥시드 벤조에이트)헥신-3,1,4-비스(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라우로일 퍼옥시드, t-부틸 퍼아세테이트,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신-3,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t-부틸 퍼벤조에이트, t-부틸 퍼페닐아세테이트 및 t-부틸 퍼이소부틸레이트 등을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중 2,5-디메틸-2,5-t-부틸퍼옥시헥산을 사용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0.001 내지 1.2중량%이면 바람직하고, 특히 0.005 내지 0.6중량%의 범위에서 사용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라디칼 중합개시제에 관한 수치한정과 관련하여,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그래프트 변성효과가 없고, 1.2중량%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해 및 부반응을 유발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중간보강재층은, 상기 제1합성수지층과 제2합성수지층 사이와 제3합성수지층과 제4합성수지층 사이에 개재되며, 이는 직물, 편직물 및 부직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조되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합성수지층과 제4합성수지층은 폴리에틸렌 90 내지 98중량%에 합성고무 2 내지 10중량%를 첨가하여 이루어진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지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복합필름층 제조
상면복합필름층 및 하면복합필름층의 제조를 위해 소요되는 각 성분을 반버리 믹서기(Banbury Mixer), 니더기(Kneader), 믹싱롤러(Mixing Roller) 등의 혼합장치에 의해 혼합한 후 생성된 혼합물을 압출기, 혼련기, 반버리 믹서기 등의 혼련 장치에 의해 용융하여 생성된 수지를 분말화하거나 분쇄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연도금강판 또는 아연도금 나선형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을 제조에 사용되는 필름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준비된 조성물 이외에 각종 첨가제, 즉 대전방지제, 핵제, 안료, 산화방지제 및 UV 안정제 등이 다양한 목적에 따라 다양한 성분과 함량으로서 부가적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변형은 당업계에서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면복합필름층의 준비과정과 하면복합필름층의 준비과정은 동일한 조성성분으로 동일한 과정에 의해 진행되므로, 제1합성수지층은 제3합성수지층에 대응하며, 제2합성수지층은 제4합성수지층에 대응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면복합필름층의 제조는, 전술한 바에 따라 준비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1합성수지층을 형성하고, 소정의 폴리에틸렌 90 내지 98중량% 및 2 내지 10중량%의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2합성수지층을 형성한 후, 이들 두 층을 합지하는 과정에서, 제1합성수지층 및 제2합성수지층의 층간에 물리적 특성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소정의 소재물을 이용한 중심보강재가 개대되록 하여, 3층의 적층구조로 제조한다. 상기 중심보강재는 임의의 직물, 편직물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며, 이들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임의의 제직, 스티칭, 터프팅(tufting), 본딩, 스펀본딩 또는 니들링(needling)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된 천연섬유(예로서, 면, 울, 레이온 또는 셀룰로즈 등), 합성중합체성 섬유(예로서, 아라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사란,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 등)를 포함하며, 부직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에 따라 준비된 접착층 형성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필름 또는 시트화하는 공정은 원하는 제품 두께에 따라 티다이(T-DIE) 압출기, 블로우 타입(Blow type) 압출기 등에서 공압출할 수 있으며, 제품의 형태 및 용도에 따라 1축 압축기나 2축 압출기 등이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라 제조된 적층구조에서 피접착부재, 예컨대 아연도 강판에 면하여 제1합성수지층(또는 제3합성수지층)을 접착시키며, 피접착부재를 기준으로 적층 필름의 가장 바깥에 제2합성수지층(또는 제4합성수지층)을 접착시킨다. 특히 전술한 바에 따라 제조된 아연도 강판을 이용하여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제4합성수지층은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 내면을 형성하며, 제2합성수지층은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의 외면을 형성하게 되므로, 외부에 노출되는 점을 고려하여, 항균성, 내마모성, 연성, 내부식성 등의 각종 개선된 기능을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아연도 강판 및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은 종래에 잘 알려져 있는 방법과 장치를 이용한, 예컨대 대한민국 특허 제20-0187498호(2000년 4월 19일 등록)에 개시된 바를 참조하면 더욱 자명하게 이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라 준비된 복합필름층을 고주파유도가열 방식에 의해 강판 상면 또는 상하 양면에 형성된 아연도금층에 융착시켜 본 발명에 따른 아연도 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제조된 아연도 강판을 파형으로 연속적으로 절곡 형성하면서 전진 이동시킴과 아울러 그 선단부를 소정의 비틀림 각도(Twist angle)로 원호로 절곡하여 일정한 직경의 파형 강관이 될 수 있도록 제관공정을 거쳐 그 나선 대접부 이음매를 록심(Lock seam)하므로서 그 외면 또는 내외면에 복합필름층이 부착된 나선형 파형강관이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연도 강판의 일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아연도 강판의 A부분에서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아연도 강판(1)은 중심부의 강판복합층(10)을 사이에 두고, 상면복합필름층(20)과 하면복합필름층(30)이 접착되어 있다.
강판복합층(10)은 그 중심부에 평탄형의 강판(11)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강판(11)의 상하 양면에 아연도금층(12, 13)이 코팅되어 있다. 상면복합필름층(20)은, 그 중심부에 중간보강재층(21)을 두고, 그 상하 양면에 제2합성수지층(23)과 제1합성수지층(23)이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제1합성수지층(23)은 상면아연도금층(12)에 면하여 부착되어 있다. 하면복합필름층(30)은 그 중심부에 중간보강재층(31)을 두고, 그 상하 양면에 제3합성수지층(32)과 제4합성수지층(33)이 각각 부착 되어 있으며, 제3합성수지층(32)은 하면아연도금층(13)에 면하여 부착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아연도 강판(1)의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총 9개의 서로 다른 층이 연속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달리, 하면복합필름층(30)이 없는 상태로서, 총 6개의 서로 다른 층이 연속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연도 강판을 이용하에 제조된 나선형 파형강관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B부분에서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나선형 파형강관(100)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아연도 강판의 내외면에 파형을 형성시킨 후, 강판의 길이 방향에 대해 일정한 비틀림 각도를 가지며 락심이음매(40)가 형성되도록 제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나선형 파형강관을 구성하는 상면복합필름층(120), 강판복합층(110) 및 하면복합필름층(130)은 일체로서 파형이 형성되어 있어 내외면에 굴곡이 형성되어 있다.
강판복합층(110)은 그 중심부에 평탄형의 강판(111)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강판(111)의 상하 양면에 아연도금층(112, 113)이 코팅되어 있다. 상면복합필름층(120)은, 그 중심부에 중간보강재층(121)을 두고, 그 상하 양면에 제2합성수지층(123)과 제1합성수지층(123)이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제1합성수지층(123)은 상면아연도금층(112)에 면하여 부착되어 있다. 하면복합필름층(130)은 그 중심부에 중간보강재층(131)을 두고, 그 상하 양면에 제3합성수지층(132)과 제4합성수지층 (133)이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제3합성수지층(132)은 하면아연도금층(113)에 면하여 부착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아연도 강판(100)의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총 9개의 서로 다른 층이 연속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달리, 하면복합필름층(130)이 없는 상태인, 즉 강판복합층(110)과 상면복합필름층(120)으로 적층구조를 이루고 있는 총 6개의 서로 다른 층이 연속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아연도 강판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나선형 파형강관에서 각 층을 이루는 재질은 다음과 같다.
상기 상면복합필름층(20, 120)의 제1합성수지층(23, 123) 또는 하면복합필름층(30, 130)의 제3합성수지층(32, 132)은, 주기재로서 폴리에틸렌(PE)으로 제조되며, 상기 폴리에틸렌(PE)의 범주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등이 모두 포함된다.
한편, 상기 상면복합필름층(20, 120)의 제1합성수지층(23, 123) 또는 하면복합필름층(30, 130)의 제3합성수지층(32, 132)의 주기재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PE)을 변성시키기 위해서, 불포화 카르복실산 또는 이들 유도체들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폴리에틸렌(PE) 변성제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α-에틸아크릴산, 말레산,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올레인아마이드 및 그 유도체들, 푸마르산, 이타콘산, 소르빈산, 테라하이드로프탈산, 메틸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이들 산의 할라이드, 아 미드, 산무수물, 에스테르 등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이들 중에서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산무수물,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올레인아마이드, 리놀레인아마이드 등이 더욱 바람직한 예라 할 수 있다. 전술한 각 물질은 단일 성분 또는 둘 이상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복합성분이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변성제의 사용 함량은 0.01 내지 7.0중량%이면 바람직하고, 특히 이들 각각의 함량이 0.025 내지 1.2 중량% 범위에서의 함량을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변성제의 사용 함량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본래 목적인 변성효과를 충분히 달성할 수 없으므로, 함량 유지에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또한, 상기 상면복합필름층(20, 120)의 제1합성수지층(23, 123) 또는 하면복합필름층(30, 130)의 제3합성수지층(32, 132)의 주기재인 폴리에틸렌 변성제를 그래프트화시키기 위해서,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존재하에서 그래프트 반응을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디-t-부틸 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퍼옥시드 벤조에이트)헥신-3,1,4-비스(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라우로일 퍼옥시드, t-부틸 퍼아세테이트,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신-3,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t-부틸 퍼벤조에이트, t-부틸 퍼페닐아세테이트 및 t-부틸 퍼이소부틸레이트 등을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중 2,5-디메틸-2,5-t-부틸퍼옥시헥산을 사용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0.001 내지 1.2중량%이면 바람직하고, 특히 0.005 내지 0.6중량%의 범위에서 사용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라디칼 중합개시제에 관한 수치한정과 관련하여,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그래프트 변성효과가 없고, 1.2중량%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해 및 부반응을 유발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제1합성수지층(23, 123)과 제2합성수지층(22, 122) 사이에 중간보강재층(21, 121)이, 제3합성수지층(32, 132)과 제4합성수지층(33, 133) 사이에 개재되며, 이는 직물, 편직물 및 부직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조되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합성수지층(22, 122)과 제4합성수지층(33, 133)은 폴리에틸렌 90 내지 98중량%에 합성고무 2 내지 10중량%를 첨가하여 이루어진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름층이 상면 또는 상하면 모두에 접착된 아연도 강판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의 제품이 종래에 비하여 우수한 물성을 갖고 있음에 대한 보가 구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비교예들 및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비교예 1>
밀도가 0.920g/㎤이고, 용융질량흐름율(MFR)이 2.0g/10분인 폴리에틸렌 100g에 대해 2,5-디메틸-2,5-t-부틸퍼옥시헥산 0.012g을 첨가하고, 무수 말레산을 0.375g을 첨가한 후, 3분 동안 헨설믹서(Henschel mixer)를 이용하여 혼합하였다.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온도 220℃로 설정된 1축 압출기(직경: 65㎜)에 의해 용융 혼합 펠렛화하여 변성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후, 상기 수득된 변성 폴리에틸렌 조성물 내의 그래프트화된 무수말렌산의 량을 FT-IR 분광기(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측정 결과는 0.32g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2>
밀도가 0.920g/㎤이고, MFR이 2.0g/10분인 폴리에틸렌 100g에 대해 2,5-디메틸-2,5-t-부틸퍼옥시헥산을 0.012g을 첨가하고, EAA(아크릴산)을 0.375g을 첨가한 후, 3분 동안 헨설믹서로 혼합하였다.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온도 220℃로 설정된 1축 압출기(직경: 65㎜)에 의해 용융 혼합 펠렛화하여 변성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변성 폴리에틸렌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그래프트화된 EAA(아크릴산)의 량은 FT-IR로 측정한 결과 0.33g임을 확인하였다. 공 압출 방식 및 박리실험은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실시예 1> 제1합성수지층 제조예 1
밀도가 0.920g/㎤이고, MFR이 2.0g/10분인 폴리에틸렌 100g에 대해 2,5-디메틸-2,5-t-부틸퍼옥시헥산을 0.012g을 첨가하고, 무수 말레산을 0.25g, 올레인산 0.2g을 각각 첨가한 후, 3분 동안 헨설믹서로 혼합하였다.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온도 220℃로 설정된 1축 압출기(직경: 65㎜)에 의해 용융 혼합 펠렛화하여 변성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한편, 상기 수득된 변성 폴리에틸렌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그래프트화된 무수말렌산 및 올레인산의 변성 폴리에틸렌을 FT-IR로 측정 결과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이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고, 압출 방식 및 박리 실험은 비교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2> 제1합성수지층 제조예 2
밀도가 0.920g/㎤이고, MFR이 2.0g/10분인 폴리에틸렌 100g에 대해 2,5-디메 틸-2,5-t-부틸퍼옥시헥산을 0.012g을 첨가하고, EAA(아크릴산)을 0.25g 및 올레인산 0.2g을 각각 첨가한 후, 3분 동안 헨설믹서로 혼합하였다.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온도 220℃로 설정된 1축 압출기(직경: 65㎜)에 의해 용융 혼합 펠렛화하여, 변성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한편, 상기 수득된 변성 폴리에틸렌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그래프트화된 EAA(아크릴산) 및 올레인산의 양은 FT-IR로 측정 결과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이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고, 공 압출 방식 및 박리실험은 비교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3> 제1합성수지층 제조예 3
밀도가 0.920g/㎤이고, MFR이 2.0g/10분인 폴리에틸렌 100g에 대해 2,5-디메틸-2,5-t-부틸퍼옥시헥산을 0.012g을 첨가하고, 무수 말레산을 0.25g, 올레인아마이드 0.2g을 각각 첨가한 후, 3분 동안 헨설믹서로 혼합하였다.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온도 220℃로 설정된 1축 압출기(직경: 65㎜)에 의해 용융 혼합 펠렛화하여 변성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변성 폴리에틸렌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그래프트화된 무수 말레산 및 올레인산의 양은 FT-IR로 측정 결과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이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고, 공 압출 방식 및 박리실험은 비교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4> 제1합성수지층 제조예 4
밀도가 0.920g/㎤이고, MFR이 2.0g/10분인 폴리에틸렌 100g에 대해 2,5-디메틸-2,5-t-부틸퍼옥시헥산을 0.012g을 첨가하고, EAA(아크릴산)을 0.25g 및 올레인아마이드 0.2g을 첨가한 후, 3분 동안 헨설믹서로 혼합하였다. 상기 준비된 혼합물 을 온도 220℃로 설정된 1축 압출기(직경: 65㎜)에 의해 용융 혼합 펠렛화하여 변성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변성 폴리에틸렌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그래프트화된 EAA(아크릴산) 및 올레인아마이드 양은 FT-IR로 측정 결과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이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고, 공 압출 방식 및 박리실험은 비교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5> 제1합성수지층 제조예 5
밀도가 0.920g/㎤이고, MFR이 2.0g/10분인 폴리에틸렌 100g에 대해 2,5-디메틸-2,5-t-부틸퍼옥시헥산을 0.012g을 첨가하고, 무수 말레산을 0.25g, 리놀레인아마이드 0.2g을 첨가한 후, 3분 동안 헨설믹서로 혼합하였다.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온도 220℃로 설정된 1축 압출기(직경: 65㎜)에 의해 용융 혼합 펠렛화하여 변성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변성 폴리에틸렌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그래프트화된 무수 말레산의 량 및 리놀레인아마이드의 양은 FT-IR로 측정 결과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이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고, 공 압출 방식 및 박리실험은 비교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6> 제1합성수지층 제조예 6
밀도가 0.920g/㎤이고, MFR이 2.0g/10분인 폴리에틸렌 100g에 대해 2,5-디메틸-2,5-t-부틸퍼옥시헥산을 0.012g을 첨가하고, EAA(아크릴산)을 0.25g, 리놀레인아마이드 0.2g을 첨가한 후, 3분 동안 헨설믹서로 혼합하였다. 상기 준비된 혼합물을 온도 220℃로 설정된 1축 압출기(직경: 65㎜)에 의해 용융 혼합 펠렛화하여 변성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변성 폴리에틸렌 조성물 내에 존 재하는 그래프트화된 EAA(아크릴산) 및 리놀레인아마이드 양은 FT-IR로 측정 결과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이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고, 공 압출 방식 및 박리실험은 비교예 1과 동일하다.
상기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 내지 6에서 사용된 물질성분에 대한 구체적인 함량 등을 하기 표 1에 도시하여 구분을 용이하게 하였다.
구분 (단위 g) 비교예 실시예
1 2 1 2 3 4 5 6
PE 밀도: 0.920g/㎤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MFR : 2.0g/10분
2,5-디메틸-2,5-t -부틸퍼옥시헥산 0.012 0.012 0.012 0.012 0.012 0.012 0.012 0.012
첨가제 무수말레산 0.375 - 0.25 - 0.25 - 0.25 -
EAA - 0.375 - 0.25 - 0.25 - 0.25
올레인산 - - 0.2 - - - - -
올레인아마이드 - - - 0.2 0.2 0.2 - -
리놀레인아마이드 - - - - - - 0.2 0.2
<실시예 7> 제2합성수지층 제조예
밀도가 0.920g/㎤이고, MFR이 2.0g/10분인 폴리에틸렌 95g에 대해 밀도가 0.89g/㎤이고, MFR이 3.6g/10분인 합성고무 5g을 배합기에서 배합시킨 후, 230℃로 온도 설정된 직경이 직경 65㎜ 1축 압출기에 의해 공압출한다.
제1합성수지층과 제2합성수지층의 층간에 중간보강재이 개재되도록 하여, 3층 구조의 복합필름층을 제조함으로써, 필름의 인장 강도를 증가시키고, 외부 충격이나 압력에 의한 필름의 손상 방지를 목적으로 하고, 복합필름층을 제조하였다. 한편, 이러한 복합필름층은 아연도 강판의 상면 및 하면 모두에 접착될 수도 있다.
<실험예 1> 항균특성 관찰 실험
향균 실험의 목적은 아연강판도금 파형 강관이 땅속 혹은 오수나 우수 속의 미생물 혹은 박테리아의 균에 의하여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파형 강관의 상층부위에 향균기능의 보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항균 실험은 KICM-FIR-1002(한국 건자재시험 연구원)에 준하여 대장균과 녹내장균에 대한 항균 내성 실험을 행하였으며, ASTMG-21에 준하여 항곰팡이 시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항균 특성 관찰 실험은, 제1합성수지층과 제2합성수지층의 층간에 부직포를 이용한 중간보강재층이 개재되도록 하여 합지하는 과정에서 LDPE 95%, 합성 고무 5%, 항균사 7% 첨가하여 마스터배치 작업을 진행하고, 이것을 230℃로 온도 설정된 직경이 직경 65㎜ 1축 압출기에 의해 공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한 후, 아연도 강판에 상면에 접착시킨 후, 항균 실험을 진행하였다. 항균 균주에 대한 실험은 에스케리챠 콜라이(Escherichia coli ATCC 25922)와 슈도모나스 애러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ATCC 15442)의 균주를 사용하여 대장균과 녹농균 각각에 대하여 24시간 동안 세균의 감소율을 관찰하였고, 항곰팡이 실험은 혼합균주(Aspergillus niger ATCC 9642, Peaicillium Pinophilum ATCC 11797, Chaetomium globusum ATCC 6205)를 사용하여 실험 진행을 하였고, 이들 각각의 실험결과를 하기 표 2(항균 균주에 대한 실험 결과) 및 표 3(항곰팡이 실험)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시료구분 초기농도 (CFU/40P) 24시간후 농도 (CFU/40P) 세균증감율
대장균에 의한 항균실험 대조구 230 572 145% 증가
항균필름 230 210 8.7% 감소
녹농균에 의한 항균실험 대조구 253 666 163% 증가
항균필름 253 234 7.5% 감소
상기 표 2에서 대조구는 시료를 넣지 않은 블랭크(Blank) 상태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의미하며, 농도단위인 'CFU/40P'에서, CFU는 유닛을 형성하기 위한 콜로니(Colony forming Unit)를 의미하고, '40P'는 0.04㎖를 의미하며, 검출된 배지상의 균수는 희석배수를 곱하여 산출한 데이터를 의미한다. 상기 표 2로부터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대조구는 배 이상으로 세균이 증가하는데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오히려 세균이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세균에 대한 내성율에서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시험항목 시료명 배양시험기간
항곰팡이실험 항균필름 1주후 2주후 3주후 4주후
검출없음 검출없음 검출없음 검출없음
상기 표 3에 나타낸 항곰팡이 실험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 4주간의 배양기간이 경과된 후에도 시료로부터 곰팡이균이 성장을 인지할 수 없어 검출이 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항곰팡이 내성도 가짐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박리강도 측정 실험
상기 실시예 8에 따라 제조된 상면복합필름층의 제1합성수지층이, 두께가 2.0㎜이고 190℃로 가열된 아연도금강판에 면하도록 한 후 압연롤라를 이용한 압착 방식으로 접착하였다. 전술한 바에 따라 제작된 아연도 강판 제품으로부터 20㎜(폭)×200㎜(길이)로 절단하여 시편을 제작한다. 상기 제작된 시편을 24시간 상온에 정치시킨 후, 인장속도 50㎜/분으로 유지하면서, KSM 3343-96 시험방법에 따라 아연도 강판에 대한 상면복합필름층의 박리강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3> 내마모성 및 경도 측정 실험
상기 비교예들(1 및 2) 및 실시예들(1 내지 6) 각각으로부터 준비된 변성 폴리에틸렌을 이용하여 형성된 제1합성수지층과 실시예 7에 따라 제조된 합성고무가 첨가된 폴리에틸렌층인 제2합성수지층 사이에 부직포를 이용한 중간보강재층이 개재되도록 하는 복합필름층을 제조한 후, 상기 복합필름층의 제1합성수지층 아연도 강판에 면하도록 접착시킨 후, 외부로 노출된 제2합성수지층에 대해 ASTM A 926 시험방법으로 내마모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아연도금강판에 상면에 접착된 복합필름층의 접착력, 탄성 및 연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디타입(D-type)경도계를 이용하여 경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예 2 및 3에 따라 측정한 물리적 특성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측정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종래의 제품들에 비하여 동등 내지 우월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이러한 결과는 전술한 아연도 강판의 하면에 복합필름층을 더 형성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구분 박리강도 (N/20mm) 내마모성 (g/inch) 경도
비교예 1 74 0.013 46
비교예 2 69 0.013 46
실시예 1 103 0.011 46
실시예 2 78 0.017 46
실시예 3 83 0.013 46
실시예 4 90 0.015 46
실시예 5 85 0.011 46
실시예 6 88 0.017 46
<실험예 4> 내화학성 실험
내화학성 실험 목적은 아연도 강판의 파형 강관이 땅속 혹은 오수나 우수 속의 유기용제 혹은 기타 물질 유입으로 인하여 아연도 강판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의 노출 외면을 보호필름이 용해 혹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화학적인 특성이 요구되는 점을 감안하여 제품에 대한 실험을 행하는 것이며, 내화학성 실험 방법은 KSM 3343-96에 준하여 실험하였다. 세부 내약품성은, 10% 염산수용액, 포화수산화칼슘 수용액, 10% 황산수용액, 등유, 에틸알코올 등에 대하여 실험을 진행하여 실험 결과는 이들 약품들에 대해 실험기준을 만족하여 내약품성(내지 내화학성)은 아무런 이상이 없음(*)을 하기 표 5와 같은 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10% 염산수용액 포화수산화칼슘 10% 황산수용액 등유 에틸알코올 비고
비교예 1 *(이상없음) * * * *
비교예 2 * * * * *
실시예 1 * * * * *
실시예 2 * * * * *
실시예 3 * * * * *
실시예 4 * * * * *
실시예 5 * * * * *
실시예 6 * * * * *
<실험예 5> 인장강도 신장율 측정
전술한 바에 따라 제조된 중심보강재가 합지된 복층 필름의 물리적 특성(인장강도 및 신장율)은 KSM 6518에 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는 합지 전과 후로 비교하여 각각 나타내었으며, 그 개선 정도를 비교하기 쉽도록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인장강도(㎏/㎠) 신장율(%) 비고
합지전 합지후 합지전 합지후
실시예 1 182 195 610 580
실시예 2 180 195 605 585
실시예 3 185 200 605 580
실시예 4 186 195 610 590
실시예 5 185 190 600 575
실시예 6 182 195 605 580
상기 표 6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장강도는 10% 내외로 증대되었으며, 신장율은 10% 내외로 감소됨으로써, 물리적 특성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알려져 있는 아연도 강판에 접착된 필름층에 비해 박리강도가 향상되고 내구성, 내마모성이 향상되며, 적층구조의 복합필름층에 항균성, 내화성, 연성 등을 발현할 수 있어 제품의 용도와 활용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적층 필름을 피부착재에 부착시킴으로서, 피부 착재를 보호하는 기능이 향상되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7)

  1. 중심부의 평탄형의 강판;
    상기 강판의 상하 양면에 코팅되어 있는 아연도금층; 및
    상기 강판의 상면에 형성된 아연도금층을 감싸도록 접착되어 피복된 상면복합필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 강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복합필름층은, 제1합성수지층, 중간보강재층 및 제2합성수지층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합성수지층은, 상기 아연도금층에 면하여 접착되되, 주기재인 폴리에틸렌과, 상기 주기재인 폴리에틸렌 중량대비 0.01 내지 7.0중량%의 상기 주기재인 폴리에틸렌을 변성시키기 위한 변성제와, 상기 주기재인 폴리에틸렌 중량대비 0.001 내지 1.2중량%의 상기 변성제의 그래프트화를 유도하기 위한 중합개시제;를 포함하여 조성된 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물질층이고,
    상기 중간보강재층은, 상기 제1합성수지층에 면하여 접착되되, 직물, 편직물 및 부직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조된 물질층이고,
    상기 제2합성수지층은, 상기 중간보강재층에 면하여 접착되되, 폴리에틸렌 90 내지 98중량%에 합성고무 2 내지 10중량%를 첨가하여 이루어진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물질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 강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합성수지층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기재인 폴리에틸렌은, 통상의 폴리에틸렌(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이며,
    상기 제1합성수지층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성제는,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α-에틸아크릴산, 말레산,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올레인아마이드 및 그 유도체들, 푸마르산, 이타콘산, 소르빈산, 테라하이드로프탈산, 메틸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이들 산의 할라이드, 아미드, 산무수물, 에스테르 등의 유도체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이며,
    상기 제1합성수지층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합개시제는, 디-t-부틸 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퍼옥시드 벤조에이트)헥신-3,1,4-비스(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라우로일 퍼옥시드, t-부틸 퍼아세테이트,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신-3,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t-부틸 퍼벤조에이트, t-부틸 퍼페닐아세테이트 및 t-부틸 퍼이소부틸레이트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 강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도 강판 하면에 형성된 아연도금층을 감싸도록 접착되어 피복된 하면복합필름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 강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복합필름층은, 제3합성수지층, 중간보강재층 및 제4합성수지층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합성수지층은, 상기 아연도금층에 면하여 접착되되, 주기재인 폴리에틸렌과, 상기 주기재인 폴리에틸렌 중량대비 0.01 내지 7.0중량%의 상기 주기재인 폴리에틸렌을 변성시키기 위한 변성제와, 상기 주기재인 폴리에틸렌 중량대비 0.001 내지 1.2중량%의 상기 변성제의 그래프트화를 유도하기 위한 중합개시제;를 포함하여 조성된 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물질층이고,
    상기 중간보강재층은, 상기 제3합성수지층에 면하여 접착되되, 직물, 편직물 및 부직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조된 물질층이고,
    상기 제4합성수지층은, 상기 중간보강재층에 면하여 접착되되, 폴리에틸렌 90 내지 98중량%에 합성고무 2 내지 10중량%를 첨가하여 이루어진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물질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 강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합성수지층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기재인 폴리에틸렌은, 통상의 폴리에틸렌(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이며,
    상기 제3합성수지층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변성제는, 아크릴산, 메타아 크릴산, α-에틸아크릴산, 말레산, 올레인산, 리놀레인산, 올레인아마이드 및 그 유도체들, 푸마르산, 이타콘산, 소르빈산, 테라하이드로프탈산, 메틸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이들 산의 할라이드, 아미드, 산무수물, 에스테르 등의 유도체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이며,
    상기 제3합성수지층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합개시제는, 디-t-부틸 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퍼옥시드 벤조에이트)헥신-3,1,4-비스(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라우로일 퍼옥시드, t-부틸 퍼아세테이트, 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신-3,2,5-디메틸-2,5-디(t-부틸퍼옥시)헥산, t-부틸 퍼벤조에이트, t-부틸 퍼페닐아세테이트 및 t-부틸 퍼이소부틸레이트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도 강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따른 아연도 강판을 이용하여 제조되되, 그 내외면에 파형의 굴곡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형성된 파형선에 일정한 비틀림 각도를 가지며 이음매가 형성되도록 제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형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
KR1020050085391A 2005-09-13 2005-09-13 아연도 강판 및 이를 이용한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 KR20060106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391A KR20060106592A (ko) 2005-09-13 2005-09-13 아연도 강판 및 이를 이용한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391A KR20060106592A (ko) 2005-09-13 2005-09-13 아연도 강판 및 이를 이용한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785U Division KR200427672Y1 (ko) 2005-03-31 2005-03-31 아연도 강판 및 이를 이용한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6592A true KR20060106592A (ko) 2006-10-12

Family

ID=37627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391A KR20060106592A (ko) 2005-09-13 2005-09-13 아연도 강판 및 이를 이용한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659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831B1 (ko) 2017-08-18 2018-06-27 주식회사 픽슨 강관 제조용 접착조성물을 포함하는 복합 아연 도금 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45041B1 (ko) * 2021-08-26 2021-12-30 주식회사 픽슨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77193B1 (ko) * 2021-10-15 2022-12-14 주식회사 픽슨 코팅 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89422B1 (ko) * 2021-10-15 2023-01-19 주식회사 픽슨 파형 강관 및 이의 제조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831B1 (ko) 2017-08-18 2018-06-27 주식회사 픽슨 강관 제조용 접착조성물을 포함하는 복합 아연 도금 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45041B1 (ko) * 2021-08-26 2021-12-30 주식회사 픽슨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027309A1 (ko) * 2021-08-26 2023-03-02 주식회사 픽슨 강재 코팅용 복합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30084163A1 (en) * 2021-08-26 2023-03-16 Fixon Inc. Composite film for coating steel pi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1718069B2 (en) 2021-08-26 2023-08-08 Fixon Inc. Composite film for coating steel pi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2477193B1 (ko) * 2021-10-15 2022-12-14 주식회사 픽슨 코팅 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89422B1 (ko) * 2021-10-15 2023-01-19 주식회사 픽슨 파형 강관 및 이의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89919B2 (ja) プラスチック製品
EP2558284B1 (de) Flexibles rohr mit mehrschichtigem aufbau
EP1640155B1 (en) Laminated resin formed body,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d resin formed body, and multilayer article
JP6341458B2 (ja) 剥離耐性を有する、溶接可能で形成可能な軽量複合材
EP2937214B1 (de) Einlegeschlauch für die grabenlose kanalsanierung
EP1710482A1 (en) Laminated tube
DE60119505T2 (de) Kraftstoffschlauch
KR20160124897A (ko) 다층 유연성 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106592A (ko) 아연도 강판 및 이를 이용한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
KR200427672Y1 (ko) 아연도 강판 및 이를 이용한 아연도금 나선형 파형강관
DE10002461A1 (de) Mehrschichtiges Kunststoffrohr mit guter Schichtenhaftung
JP2006044201A (ja) 積層構造体
KR101293414B1 (ko) 물 또는 가스 수송용 다층 튜브
CN109721912A (zh) 一种阻隔层、多层塑料复合管及制备方法
DE112012005884B4 (de)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 Fünfschicht-Polyolefin-Streckfolie
EP3113944B1 (en) Multilayer tube and use thereof for fluid transportation at medium pressure
JP6299943B2 (ja) 積層チューブ
TWI670173B (zh) 多層構造及其形成方法
US20120064331A1 (en) Metal lamination film
DE102008037452A1 (de) Schlauch mit Anwendung im Pharma- und Lebensmittelbereich
EP0613774B1 (de) Mehrschichtige, leicht tiefziehfähige, Polyamid enthaltende Folie mit verbesserter Durchstichfestigkeit
KR20060057827A (ko) 접착성 필름 제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접착성 적층필름제조방법
EP2740587A1 (de) Mehrschichtfolie
US20210094253A1 (en) Multilayer tube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2005331101A (ja) 積層ホ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