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923B1 - 챔버 내부 공간이 분리 구획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 - Google Patents

챔버 내부 공간이 분리 구획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923B1
KR102344923B1 KR1020190153439A KR20190153439A KR102344923B1 KR 102344923 B1 KR102344923 B1 KR 102344923B1 KR 1020190153439 A KR1020190153439 A KR 1020190153439A KR 20190153439 A KR20190153439 A KR 20190153439A KR 102344923 B1 KR102344923 B1 KR 102344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eparated
supply unit
space
intern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4811A (ko
Inventor
황제준
Original Assignee
황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제준 filed Critical 황제준
Priority to KR1020190153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923B1/ko
Publication of KR20210064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8Hydrogen perox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1Sealings, e.g. doors, covers, valves, slu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공간으로 멸균 또는 대상물이 투입되는 챔버; 상기 챔버로 이어지는 배관을 통해 상기 챔버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형성부; 상기 챔버로 이어지는 배관을 통해 상기 챔버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여 진공을 해제하는 외기공급부; 상기 챔버로 이어지는 배관을 통해 상기 챔버 내부로 멸균제를 공급하는 멸균제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챔버는, 내부 공간이 분리 구획되어 상기 대상물이 분리 구획된 내부 공간에 선택적으로 투입되고, 상기 진공형성부, 외기공급부 및 멸균제공급부 각각의 상기 배관은, 복수의 라인으로 분기됨에 따라 상기 챔버의 분리 구획 공간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대상물이 투입되는 분리 구획된 내부 공간으로 연결되는 분기 라인만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버가 분리 구획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챔버 내부 공간이 분리 구획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 sterilization apparatus using the sterilint}
본 발명은 멸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멸균 대상이 되는 대상물의 규격이나 양에 따라 챔버 내부 공간을 분리 구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리 구획된 해당 공간만을 이용하여 대상물의 멸균이 이루어짐에 따라 멸균에 이르기까지의 소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멸균제의 소요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챔버가 분리 구획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부 제품, 예컨대 주방 기구, 의료 기구 등의 제품은 엄격한 위생 관리가 요구된다.
이에 다양한 장치, 예컨대 멸균장치 등을 이용하여 위생 관리가 요구되는 제품을 멸균하고 있다.
한편, 멸균장치의 하나로 멸균제, 예컨대 과산화수소 또는 오존 등을 이용하는 멸균장치가 있다.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는, 내부 공간으로 대상물이 투입되는 챔버; 상기 챔버로 이어지는 배관을 통해 상기 챔버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형성부; 상기 챔버로 이어지는 배관을 통해 상기 챔버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여 진공을 해제하는 외기공급부; 및 상기 챔버로 이어지는 배관을 통해 상기 챔버 내부로 멸균제를 공급하는 멸균제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대상물이 투입된 챔버 내부를 진공으로 형성한 후 멸균제를 공급함으로써 대상물의 멸균이 이루어진다.
이때, 진공형성부는 챔버 내부에 진공을 형성함으로써 챔버 내부에서 멸균제의 기화 등이 원활할 수 있도록 하고, 외기공급부는 챔버 내부에 외기를 공급하여 진공을 해제함으로써 챔버의 도어 개방 등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는 대상물이 멸균에 이르기까지의 소요 시간이 상당한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100)의 규격 및 양과 무관하게 챔버(10') 내부 공간 전체를 이용해야만 했던바, 진공 형성, 멸균제 공급 및 외기 공급의 각 단계에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어 멸균에 이르기까지의 소요 시간이 상당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는 멸균제 소요량이 상당한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는 대상물의 규격 및 양과 무관하게 챔버 내부 공간 전체를 이용해야만 했던바, 챔버의 내부 공간 전체에 고르게 멸균제가 미치기 위해서는 상당한 양의 멸균제가 소요될 수밖에 없었으므로 대상물이 멸균에 이르기까지의 멸균제 소요량이 상당한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대상물의 규격이나 양에 따라 챔버 내부 공간을 분리 구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리 구획된 해당 공간만을 이용하여 대상물의 멸균이 이루어짐에 따라 멸균에 이르기까지의 소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멸균제의 소요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1272호(2012. 12. 15.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대상물의 규격이나 양에 따라 챔버 내부 공간을 분리 구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리 구획된 해당 공간만을 이용하여 대상물의 멸균이 이루어짐에 따라 멸균에 이르기까지의 소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멸균제의 소요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 공간으로 멸균 대상물이 투입되는 챔버; 상기 챔버로 이어지는 배관을 통해 상기 챔버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형성부; 상기 챔버로 이어지는 배관을 통해 상기 챔버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여 진공을 해제하는 외기공급부; 및 상기 챔버로 이어지는 배관을 통해 상기 챔버 내부로 멸균제를 공급하는 멸균제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챔버는, 내부 공간이 분리 구획되어 상기 대상물이 분리 구획된 내부 공간에 선택적으로 투입되고, 상기 진공형성부, 외기공급부 및 멸균제공급부 각각의 상기 배관은, 복수의 라인으로 분기됨에 따라 상기 챔버의 분리 구획 공간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대상물이 투입되는 분리 구획된 내부 공간으로 연결되는 분기 라인만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버가 분리 구획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한 챔버가 분리 구획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는, 챔버의 내부 공간이 분리 구획되고, 진공형성부, 외기공급부 및 멸균제공급부 각 배관의 분기 라인이 챔버의 분리 구획 공간 각각에 연결되바, 챔버의 분리 구획된 내부 공간에 선택적으로 대상물을 투입하고, 대상물이 투입된 챔버의 분리 구획된 내부 공간에 연결되는 배관의 분기 라인만 개방시킴으로써 챔버의 내부 공간 일부만을 이용하여 대상물의 멸균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챔버의 전체 내부 공간을 이용할 때에 비해 멸균에 이르기까지의 소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멸균제의 소요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챔버가 분리 구획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계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챔버가 분리 구획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에서 챔버의 일 형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챔버가 분리 구획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의 챔버 내부 공간 분리 구획 형태 하나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챔버가 분리 구획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의 챔버 내부 공간 분리 구획 형태 다른 하나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챔버가 분리 구획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에서 챔버의 다른 형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챔버가 분리 구획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의 챔버 내부 공간 분리 구획 형태 하나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챔버가 분리 구획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의 챔버 내부 공간 분리 구획 형태 다른 하나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일반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를 통한 대상물의 살균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챔버 내부 공간이 분리 구획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A)는, 챔버(10); 진공형성부(20); 외기공급부(30); 및 멸균제공급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챔버(10)는 내부 공간으로 멸균 대상물(100)이 투입된다.
대상물(100)이 챔버(10) 내부로 투입됨으로써 외부와의 격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챔버(10)는 내부 공간이 분리 구획되어 대상물(100)이 분리 구획된 내부 공간에 선택적으로 투입된다.
대상물(100)이 선택적으로 투입됨으로써 챔버(10)의 전체 내부 공간에서 일부만을 이용하여 대상물(100)의 멸균이 이루어진다.
이때, 챔버(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면의 내측으로 빈 공간이 형성되는 외부몸체(11); 외부몸체(11) 내에 수용되되, 내면 각각에 반대면과 서로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부(12a)가 형성되는 내부몸체(12); 및 홈부(12a) 어느 하나와 이와 마주하는 홈부(12a) 다른 하나 사이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칸막이(1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몸체(12)의 홈부(12a)에 칸막이(13)를 삽입함으로써 챔버(10)의 내부 공간이 분리 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몸체(11) 및 내부몸체(12)는 어느 일 면에 진공형성부(20); 외기공급부(30); 및 멸균제공급부(40)로부터 이어지는 배관(21, 31, 41)의 분기 라인 각각과 연통하는 통공(11a, 12b)을 구비한다.
따라서, 각 통공(11a, 12b)을 통한 유체의 유동에 의해 내부몸체(12) 내부로의 유체 유입 또는 내부몸체(12) 내부로부터의 유체 유출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내부몸체(12)는 유연 재질, 예컨대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몸체(12)가 유연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내부몸체(12)의 홈부(12a) 사이로 칸막이(13)가 삽입될 때 각 홈부(12a) 내면이 칸막이(13)의 단부에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별도의 실링부재 없이도 홈부(12a)와 칸막이(13) 접촉 부위에서의 유체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챔버(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면의 내측으로 빈 공간이 형성되는 외부몸체(11'); 상기 외부몸체(11')에 비해 좌우 폭이 좁고 상하 높이가 낮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몸체(14); 상기 외부몸체(1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면 및 상기 보조몸체(14)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면에 고정되는 자석(15);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자석(15) 사이의 인력 작용에 의해 보조몸체(14)가 외부몸체(11')에 결합됨으로써 챔버(10)의 내부 공간이 분리 구획될 수 있다.
이때, 외부몸체(11')는 어느 일 면에 진공형성부(20); 외기공급부(30); 및 멸균제공급부(40)로부터 이어지는 배관(21, 31, 41)의 분기 라인 각각과 연통하는 통공(11a')을 구비한다.
따라서, 각 통공(11a')을 통한 유체의 유동에 의해 보조몸체(14)) 내부로의 유체 유입 또는 보조몸체(14) 내부로부터의 유체 유출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보조몸체(14)는 길이 방향 각각의 단부 테두리를 따라 이어지는 실링부재(14a)를 구비할 수 있다.
실링부재(14a)는 보조몸체(14)의 길이 방향 단부가 외부몸체(11') 내면에 접촉할 때 외부몸체(11')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이에 의해 해당 부위에서의 유체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자석(15)은 외부몸체(11') 및 보조몸체(14)에 삽입 설치됨으로써 자석(15)의 이탈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외부몸체(11')와 보조몸체(14) 결합부에서 들뜸 발생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챔버(10)의 전면에는 도어(10a)가 마련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챔버(10)의 도어(10a)를 개방함에 의해 챔버(10) 내부 공간이 개방되어 대상물(100)의 투입 또는 인출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진공형성부(20)는 챔버(10)로 이어지는 배관(21)을 통해 챔버(10)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을 형성한다.
진공형성부(20)에 의해 챔버(10) 내부에 진공이 형성됨으로써 챔버(10) 내부로 공급되는 멸균제의 기화 등이 원활하다.
이때, 진공형성부(20)의 배관(21)은 복수의 라인으로 분기되어 챔버(10)의 분리 구획 공간 각각에 연결되되, 진공 형성 과정에서 대상물(100)이 투입되는 분리 구획된 내부 공간으로 연결되는 분기 라인만 선택적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진공형성부(20)에 의해 대상물(100)이 투입되는 분리 구획된 내부 공간만의 내부 공기가 흡입된다.
한편, 진공형성부(20)는 챔버(10) 내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며, 그 일례로는 진공펌프일 수 있다.
그리고 진공형성부(20)에서 배관(21)은 분기 라인 각각에 밸브(22)가 마련됨으로써 밸브(22) 조작에 의해 분기 라인 각각이 개방 또는 폐쇄된다.
이때, 밸브(22)는 유체의 유동을 단속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한바, 밸브(22)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외기공급부(30)는 챔버(10)로 이어지는 배관(31)을 통해 챔버(10)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여 진공을 해제한다.
외기공급부(30)에 의해 챔버(10) 내부의 진공이 해제됨으로써 챔버(10)의 도어(10a) 개방이 원활하다.
이때, 외기공급부(30)의 배관(31)은 복수의 라인으로 분기되어 챔버(10)의 분리 구획 공간 각각에 연결되되, 외기 공급 과정에서 대상물(100)이 투입되는 분리 구획된 내부 공간으로 연결되는 분기 라인만 선택적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외기공급부(30)에 의해 대상물(100)이 투입되는 분리 구획된 내부 공간만으로 외기가 공급된다.
한편, 외기공급부(30)는 챔버(10) 내부로 외기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며, 그 일례로는 에어펌프일 수 있다.
그리고 외기공급부(30)에서 외기는 오염물이 제거된 정화된 공기임으로써 챔버(10) 내부로의 외기 공급에 의한 멸균 대상물(100)의 오염이 방지된다.
이때, 외기의 정화는 통상의 어떠한 방식에 의해 이루어져도 무방한바, 외기의 정화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외기공급부(30)에서 배관(31)은 분기 라인 각각에 밸브(32)가 마련됨으로써 밸브(32) 조작에 의해 분기 라인 각각이 개방 또는 폐쇄된다.
이때, 밸브(32)는 유체의 유동을 단속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한바, 밸브(32)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멸균제공급부(40)는 챔버(10)로 이어지는 배관(41)을 통해 챔버(10) 내부로 멸균제를 공급한다.
멸균제공급부(40)에 의해 챔버(10) 내부로 멸균제가 공급됨으로써 멸균제에 의해 대상물(100)의 멸균이 이루어진다.
이때, 멸균제공급부(40)의 배관(41)은 복수의 라인으로 분기되어 챔버(10)의 분리 구획 공간 각각에 연결되되, 멸균제 공급 과정에서 멸균 대상물(100)이 투입되는 분리 구획된 내부 공간으로 연결되는 분기 라인만 선택적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멸균제공급부(40)에 의해 대상물(100)이 투입되는 분리 구획된 내부 공간만으로 멸균제가 공급된다.
한편, 멸균제공급부(40)는 챔버(10) 내부로 멸균제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며, 그 일례로는 초음파 기화기일 수 있다.
그리고 멸균제공급부(40)에 의해 공급되는 멸균제는 멸균 대상물(100)을 멸균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종류의 것이어도 무방하며, 그 예로는 과산화수소, 오존 등일 수 있다.
그리고 멸균제공급부(40)에서 배관(41)은 분기 라인 각각에 밸브(42)가 마련됨으로써 밸브(42) 조작에 의해 분기 라인 각각이 개방 또는 폐쇄된다.
이때, 밸브(42)는 유체의 유동을 단속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한바, 밸브(42)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챔버 내부 공간이 분리 구획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A)를 통한 대상물(100)의 멸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대상물(100)은 챔버(10) 내에 투입된다.
이때, 챔버(10)는 전면에 도어(10a)를 구비하는바, 도어(10a)를 개방함으로써 챔버(10) 내부 공간의 개방이 이루어지므로 이에 의해 챔버(10) 내에 대상물(100)의 투입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대상물(100)의 투입 이후 챔버(10) 내에 진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진공형성부(20)의 배관(21)은 챔버(10)로 이어지므로 진공형성부(20) 작동 상태에서 밸브(22)를 개방함으로써 챔버(10) 내부 공기가 흡입되어 챔버(10) 내에 진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챔버(10) 내의 진공 형성 대상물(100)이 투입된 챔버(10) 내부로 멸균제가 공급된다.
본 발명에서 멸균제공급부(40)의 배관(41)은 챔버(10)로 이어지므로 멸균제공급부(40) 작동 상태에서 밸브(42)를 개방함으로써 멸균제가 챔버(10) 내부로 공급된다.
따라서, 챔버(10)에 투입된 대상물(100)이 멸균제에 의해 멸균된다.
그리고 챔버(10) 내로의 멸균제 공급 이후 챔버(10) 내부로 외기가 공급된다.
본 발명에서 외기공급부(30)의 배관(31)은 챔버(10)로 이어지므로 외기공급부(30) 작동 상태에서 밸브(32)를 개방함으로써 외기가 챔버(10) 내부로 공급된다.
다만, 챔버(10) 내부 공간은 상당한 용적인바, 챔버(10) 내부 공간 전체를 이용하여 대상물(100)을 멸균하게 되면 진공 형성, 외기 공급 및 멸균제 공급에 따르는 소요 시간이 길어질 수 있고, 멸균제 소요량이 늘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챔버(10)의 내부 공간이 분리 구획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공형성부(20), 외기공급부(30) 및 멸균제공급부(40) 각각의 배관(21, 31, 41)이 복수의 라인으로 분기되어 챔버(10)의 분리 구획 공간 각각으로 연결되는바, 대상물(100)을 분리 구획되는 챔버(10) 내부 공간에 선택적으로 투입할 수 있고, 대상물(100)이 투입된 분리 구획 공간에만 진공 형성, 멸균제 공급, 외기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진공 형성, 외기 공급 및 멸균제 공급에 따르는 소요 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멸균제 소요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챔버(10)는, 각 면의 내측으로 빈 공간이 형성되는 외부몸체(11); 외부몸체(11) 내에 수용되되, 내면 각각에 반대면과 서로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부(12a)가 형성되는 내부몸체(12); 및 홈부(12a) 어느 하나와 이와 마주하는 홈부(12a) 다른 하나 사이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칸막이(13);를 포함할 수 있는바, 챔버(10)의 내부몸체(12)에 형성되는 홈부(12a) 사이로 칸막이(13)를 삽입하여 챔버(10) 내부 공간을 분리 구획한 후 그 하나에 대상물(100)을 투입하고, 대상물(100)이 투입된 해당 분리 구획 공간으로 연결되는 배관(21, 31, 41)의 분기 라인을 개방시킴으로써 분리 구획 공간만을 이용하여 대상물(100)의 멸균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진공 형성, 외기 공급 및 멸균제 공급에 따르는 소요 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멸균제 소요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때, 내부몸체(12)의 홈부(12a)와 칸막이(13)의 결합부를 통해서는 유체가 누설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진공 형성, 멸균제 공급 및 외기 공급이 미흡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챔버(10)의 내부몸체(12)는 유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바, 내부몸체(12)의 재질 특성상 홈부(12a)가 칸막이(13)에 긴밀하게 접촉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홈부(12a)와 칸막이(13) 결합부에서의 유체 누설이 방지될 수 있어 진공 형성, 멸균제 공급 및 외기 공급이 원활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13)의 갯수 또는 형태에 따라 챔버(10) 내부 공간의 분리 구획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물(100)의 규격 및 양에 따라 챔버(10) 내의 분리 구획된 공간 중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칸막이(13)는 홈부(12a)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인바, 대형 대상물(100)을 멸균 하고자 하는 경우, 칸막이(13)를 제거함으로써 챔버(10) 내부 공간 전체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대형 대상물(100)의 멸균이 원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챔버(10)는, 각 면의 내측으로 빈 공간이 형성되는 외부몸체(11'); 외부몸체(11')에 비해 좌우 폭이 좁고 상하 높이가 낮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몸체(14); 외부몸체(1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면 및 보조몸체(14)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면에 고정되는 자석(15);을 포함할 수 있는바, 자석(15) 사이의 인력 작용을 통해 외부몸체(11')에 보조몸체(14)를 결합하여 챔버(10) 내부 공간을 분리 구획한 후 그 하나에 대상물(100)을 투입하고, 대상물(100)이 투입된 해당 분리 구획 공간으로 연결되는 배관(21, 31, 41)의 분기 라인을 개방시킴으로써 분리 구획 공간만을 이용하여 대상물(100)의 멸균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진공 형성, 외기 공급 및 멸균제 공급에 따르는 소요 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멸균제 소요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때, 보조몸체(14)의 길이 방향 단부와 외부몸체(11') 내면의 접촉 부위를 통해서는 유체가 누설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진공 형성, 멸균제 공급 및 외기 공급이 미흡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보조몸체(14)는 길이 방향 각각의 단부 테두리를 따라 이어지는 실링부재(14a)를 구비할 수 있는바, 보조몸체(14)의 길이 방향 단부가 외부몸체(11') 내면에 접촉할 때 실링부재(14a)가 외부몸체(11')의 내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이에 의해 해당 부위에서의 유체 누설이 방지될 수 있어 진공 형성, 멸균제 공급 및 외기 공급이 원활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몸체(14)의 결합에 의한 챔버(10) 내부 공간의 분리 구획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물(100)의 규격 및 양에 따라 챔버(10) 내의 분리 구획된 공간 중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몸체(14)는 자석(15) 사이에서의 인력 작용, 더욱 구체적으로 보조몸체(14)의 외면에 고정되는 자석(15)과 외부몸체(11')의 내면에 고정되는 자석(15) 사이에서의 인력 작용에 의해 부착되는 것일 뿐 외부몸체(11')에 완전 고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외부몸체(11')로부터 분리 가능한바, 대형 대상물(100)을 멸균 하고자 하는 경우, 보조몸체(14)를 제거함으로써 챔버(10) 내부 공간 전체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대형 대상물(100)의 멸균이 원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진공형성부(20), 외기공급부(30) 및 멸균제공급부(40)에서 배관(21, 31, 41)은 분기 라인 각각에 밸브(22, 32, 42)가 마련됨으로써 밸브(22, 32, 42) 조작에 의해 분기 라인 각각이 개방 또는 폐쇄된다.
따라서, 멸균 대상물(100)이 투입된 분리 구획 공간에 연결된 각 분기 라인의 밸브(22, 32, 42)를 개방함으로써 해당 공간에 한정하여 진공 형성, 멸균제 공급, 외기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의 설명에서는 대상물(100)을 멸균하는 것으로만 기재하였으나, 멸균제 투입 시간 단축 등에 따라서는 대상물(100)이 살균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10' : 챔버 10a : 도어
11, 11' : 외부몸체 11a, 11a' : 통공
12 : 내부몸체 12a : 통공
13 : 칸막이 14 : 보조몸체
14a : 실링부재 15 : 자석
20 : 진공형성부 21 : 배관
22 : 밸브 30 : 외기공급부
31 : 배관 32 : 밸브
40 : 멸균제공급부 41 : 배관
42 : 밸브 100 : 대상물
A : 멸균장치

Claims (8)

  1. 내부 공간으로 멸균 대상물(100)이 투입되는 챔버(10); 상기 챔버(10)로 이어지는 배관(21)을 통해 상기 챔버(10)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형성부(20); 상기 챔버(10)로 이어지는 배관(31)을 통해 상기 챔버(10)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여 진공을 해제하는 외기공급부(30); 상기 챔버(10)로 이어지는 배관(41)을 통해 상기 챔버(10) 내부로 멸균제를 공급하는 멸균제공급부(40);를 포함하는 멸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챔버(10)는, 각 면의 내측으로 빈 공간이 형성되는 외부몸체(11); 상기 외부몸체(11) 내에 수용되되, 내면 각각에 반대면과 서로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부(12a)가 형성되는 내부몸체(12); 및 상기 홈부(12a) 어느 하나와 이와 마주하는 상기 홈부(12a) 다른 하나 사이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칸막이(13);를 포함하여 상기 내부몸체(12)의 상기 홈부(12a)에 상기 칸막이(13)가 삽입됨에 따라 내부 공간이 분리 구획되되, 상기 칸막이(13)의 개수 및 형태에 따라 내부 공간이 다른 크기 및 형태로 분리 구획되고,
    상기 대상물(100)은 상기 챔버(10)의 분리 구획된 내부 공간에 선택적으로 투입되며,
    상기 진공형성부(20), 외기공급부(30) 및 멸균제공급부(40) 각각의 상기 배관(21, 31, 41)은, 복수의 라인으로 분기되어 상기 챔버(10)의 분리 구획 공간 각각에 연결되되, 상기 대상물(100)이 투입되는 분리 구획된 내부 공간으로 연결되는 분기 라인만 선택적으로 개방되고,
    상기 외부몸체(11) 및 내부몸체(12)는 어느 일 면에 상기 진공형성부(20); 외기공급부(30); 및 멸균제공급부(40)로부터 이어지는 상기 배관(21, 31, 41)의 분기 라인 각각과 연통하는 통공(11a, 12b)을 구비하여 상기 통공(11a, 12b)을 통해 상기 내부몸체(12) 내부로의 외기 및 멸균제 유입 또는 상기 내부몸체(12) 내부로부터 내기 유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버 내부 공간이 분리 구획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몸체(12)는 유연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버 내부 공간이 분리 구획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
  5. 내부 공간으로 멸균 대상물(100)이 투입되는 챔버(10); 상기 챔버(10)로 이어지는 배관(21)을 통해 상기 챔버(10)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진공형성부(20); 상기 챔버(10)로 이어지는 배관(31)을 통해 상기 챔버(10) 내부로 외기를 공급하여 진공을 해제하는 외기공급부(30); 상기 챔버(10)로 이어지는 배관(41)을 통해 상기 챔버(10) 내부로 멸균제를 공급하는 멸균제공급부(40);를 포함하는 멸균장치에 있어서,
    상기 챔버(10)는, 각 면의 내측으로 빈 공간이 형성되는 외부몸체(11'); 상기 외부몸체(11')에 비해 좌우 폭이 좁고 상하 높이가 낮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몸체(14); 상기 외부몸체(1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면 및 상기 보조몸체(14)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면에 고정되는 자석(15);을 포함하여 상기 자석(15) 간의 인력 작용에 의해 상기 보조몸체(14)가 상기 외부몸체(11')에 결합됨에 따라 내부 공간이 분리 구획되되, 상기 보조몸체(14)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내부 공간이 다른 형태 및 크기로 분리 구획되고,
    상기 대상물(100)은 상기 챔버(10)의 분리 구획된 내부 공간에 선택적으로 투입되며,
    상기 진공형성부(20), 외기공급부(30) 및 멸균제공급부(40) 각각의 상기 배관(21, 31, 41)은, 복수의 라인으로 분기되어 상기 챔버(10)의 분리 구획 공간 각각에 연결되되, 상기 대상물(100)이 투입되는 분리 구획된 내부 공간으로 연결되는 분기 라인만 선택적으로 개방되고,
    상기 외부몸체(11')는 어느 일 면에 상기 진공형성부(20); 외기공급부(30); 및 멸균제공급부(40)로부터 이어지는 상기 배관(21, 31, 41)의 분기 라인 각각과 연통하는 통공(11a)을 구비하여 상기 통공(11a)을 통해 상기 보조몸체(14) 내부로의 외기 및 멸균제 유입 또는 상기 보조몸체(14) 내부로부터의 내기의 유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버 내부 공간이 분리 구획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몸체(14)는 길이 방향 각각의 단부 테두리를 따라 이어지는 실링부재(14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버 내부 공간이 분리 구획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형성부(20), 외기공급부(30) 및 멸균제공급부(40) 각각의 상기 배관(21, 31, 41)은 분기 라인 각각에 밸브(22, 32, 42)가 마련되어 밸브(22, 32, 42) 개폐에 의해 각 분기 라인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챔버 내부 공간이 분리 구획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
KR1020190153439A 2019-11-26 2019-11-26 챔버 내부 공간이 분리 구획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 KR102344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439A KR102344923B1 (ko) 2019-11-26 2019-11-26 챔버 내부 공간이 분리 구획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439A KR102344923B1 (ko) 2019-11-26 2019-11-26 챔버 내부 공간이 분리 구획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811A KR20210064811A (ko) 2021-06-03
KR102344923B1 true KR102344923B1 (ko) 2021-12-31

Family

ID=76396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439A KR102344923B1 (ko) 2019-11-26 2019-11-26 챔버 내부 공간이 분리 구획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92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1757B2 (ja) * 1994-07-29 1999-06-23 鹿島建設株式会社 区画空間の脱臭・殺菌装置
KR101273764B1 (ko) 2011-05-25 2013-06-12 한신메디칼 주식회사 멸균제 주입기 및 이를 포함하는 멸균 장치
KR101774823B1 (ko) * 2016-01-04 2017-09-19 주식회사 플라즈맵 멸균 장치 및 멸균 방법
KR101807939B1 (ko) * 2016-02-24 2018-01-1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칸막이 가변형 보관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811A (ko)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21282T3 (es) Recipiente para instrumentos que presenta múltiples cámaras con recorridos de flujo entre ellas
CN101209197B (zh) 内窥镜清洗消毒装置
US9086225B2 (en) Isolator system
EP1803470B1 (en) Storage enclosure for sanitising/sterilising endoscopes
EP18158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anitising/sterilising endoscopes in storage enclosures
JP4680468B2 (ja) 制御された漏出を伴って再処理する内視鏡のための流体接続システム
JP4529593B2 (ja) アイソレータシステム
KR101498842B1 (ko) 세정 처리 장치 및 세정 처리 방법
US86580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cessing lumened instruments
WO2015111431A1 (ja) 無菌作業システム
JP2005066346A (ja) 物品の消毒殺菌方法
JP2016042970A (ja) 体液を含む廃液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処理装置
KR102344923B1 (ko) 챔버 내부 공간이 분리 구획되는 멸균제를 이용하는 멸균장치
JP2019118830A (ja) 滅菌トレイ
CN210044518U (zh) 一种重症监护室用消毒装置
KR20120015174A (ko) 소독장치
JP2009136449A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JP6145050B2 (ja) 内視鏡保管庫
WO20190942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infecting a drain
US20230285620A1 (en) Steriliz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container
US711394A (en) Embalming apparatus.
KR101306085B1 (ko) 핸드피스
JP2020044037A (ja) 滅菌装置
JP2015177811A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