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758B1 - 포충기 - Google Patents

포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758B1
KR102343758B1 KR1020190152285A KR20190152285A KR102343758B1 KR 102343758 B1 KR102343758 B1 KR 102343758B1 KR 1020190152285 A KR1020190152285 A KR 1020190152285A KR 20190152285 A KR20190152285 A KR 20190152285A KR 102343758 B1 KR102343758 B1 KR 102343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ulley
coupled
pests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3776A (ko
Inventor
정정한
박종근
김태형
윤호원
Original Assignee
정정한
박종근
김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정한, 박종근, 김태형 filed Critical 정정한
Priority to KR1020190152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758B1/ko
Publication of KR20210063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Abstract

파리목 해충을 효과적으로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는 포충기를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일측에 배치되고,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제1 풀리; 상기 파이프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풀리;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에 귄취되되, 상기 제1 풀리의 상단에서 상기 제2 풀리의 상단에 이르는 부분이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위치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파이프를 감싸고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며, 상기 파이프에 해충을 유인하는 물질을 도포하고, 상기 파이프에 착지한 해충을 흡입하는 캐처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캐처어셈블리는, 상기 파이프에 비하여 짧은 길이를 갖고, 상기 파이프를 감싸는 보디; 상기 보디의 내측면에서 상기 보디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그 단부가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는 걸이부; 흡입팬과 채집망을 구비하고, 상기 보디의 하부에 결합되는 해충흡입유닛; 및 해충유인물질이 저장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 하부에 구비되는 브러쉬를 구비하고, 상기 보디의 상부에 결합되는 물질도포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충기{INSECT TRAP}
본 개시(The Present Disclosure)는 파리목 해충(파리, 모기 등)을 잡는 용도로 사용되는 포충기와 관련된다.
삭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2319호에는 파리목 해충(파리, 모기 등)을 잡는 용도로 사용되는 '포충기'의 일례가 게재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공보에 게재된 포충기는 불빛으로 해충을 유인한 후, 흡입팬을 이용하여 해충을 포획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햇빛이 강한 낮 시간에는 해충을 제대로 포획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삭제
파리목 해충을 효과적으로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는 포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는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일측에 배치되고,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제1 풀리; 상기 파이프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풀리;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에 귄취되되, 상기 제1 풀리의 상단에서 상기 제2 풀리의 상단에 이르는 부분이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위치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파이프를 감싸고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며, 상기 파이프에 해충을 유인하는 물질을 도포하고, 상기 파이프에 착지한 해충을 흡입하는 캐처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캐처어셈블리는, 상기 파이프에 비하여 짧은 길이를 갖고, 상기 파이프를 감싸는 보디; 상기 보디의 내측면에서 상기 보디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그 단부가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는 걸이부; 흡입팬과 채집망을 구비하고, 상기 보디의 하부에 결합되는 해충흡입유닛; 및 해충유인물질이 저장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 하부에 구비되는 브러쉬를 구비하고, 상기 보디의 상부에 결합되는 물질도포유닛;을 포함한다.
삭제
또한, 상기 보디의 내부에는, 해충유인등과 차단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이용하면, 낮에도 해충을 용이하게 퇴치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이용하면, 해충(예 :파리)을 용이하게 퇴치할 수 있다.
삭제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은 파이프와 캐처어셈블리의 결합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삭제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100)는 파이프(110), 제1 풀리(120), 제2 풀리(130), 와이어(140) 및 캐처어셈블리(150)를 포함한다.
파이프(110)는 소정 길이를 갖는다. 파이프(110)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파이프(110)는 거치대(미도시) 등에 의하여, 소정 높이 위에 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벽면 등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1 풀리(120)는 파이프(110)의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되고, 구동모터(122)와 연결된다. 도면상에는 구동모터(122)만 표현되어 있지만, 구동모터(122)는 감속기 (미도시) 및 제어유닛(미도시) 등과 연동될 수 있다. 구동모터(122)의 출력축(또는 감속기의 출력축)은 정회전과 역회전을 일정 주기로 반복하도록 구성된다.
제2 풀리(130)는 파이프(110)의 길이방향 타측[제1 풀리(120)의 반대쪽]에 배치된다. 제1 풀리(120)와 제2 풀리(130)는 동일한 지름을 갖고,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풀리(120)와 제2 풀리(130)는 별도의 프레임(미도시)에 의하여, 고정될 수도 있고, 다양한 기계요소들에 의하여 파이프(110)에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와이어(140)는 고리 형태로 구성되고, 제1 풀리(120)와 제2 풀리(130)에 권취되어, 제1 풀리(120)와 제2 풀리(130)를 연결한다. 이때, 제1 풀리(120)의 상단에서 제2 풀리(120)의 상단에 이르는 와이어(140)의 일측 부분은 파이프(110)의 내부에 위치된다.
캐처어셈블리(150)는 파이프(110)의 외부에 위치되는 와이어(140)의 타측 부분에 결합된다. 구동모터(122)가 정회전과 역회전을 일정 주기로 반복하면, 와이어(140)에 결합된 캐처어셈블리(150)는 파이프(11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캐처어셈블리(150)는 파이프(110)의 외측면에 해충을 유인하는 물질을 도포하고, 파이프(110)의 외측면에 착지한(앉아있는) 해충을 흡입하여, 포획하는 기능을 한다.
캐처어셈블리(15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예로서, 보디(152), 해충흡입유닛(154) 및 물질도포유닛(156)을 포함할 수 있다.
보디(152)는 파이프(110)에 비하여 짧은 길이를 갖고, 파이프(110)의 둘레 일부를 감싼다. 보디(152)는 원통과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 보디(152)는 보디(152)의 내측면에서 보디(152)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이부(152c)를 포함한다. 걸이부(152c)의 단부는 와이어(140)와 결합된다.
보디(152)는 아크릴 또는 유리 등의 투명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보디(152)는 사각 블럭의 양쪽에 분리 가능한 한 쌍의 원통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해충흡입유닛(154)은 흡입팬(154a)과 흡입팬(154a)의 일측(하측)에 결합되는 채집망(154b)을 포함하고, 보디(152)의 하부 중앙에 결합된다. 해충흡입유닛(154)는 보디(152)에 분리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질도포유닛(156)은 해충을 유인하는 물질(주로 액체)가 저장되는 컨테이너(156a)와, 컨테이너(156a)의 하부에 구비되는 브러쉬(156b)를 구비하고, 보디(152)의 상부 중앙에 결합된다. 브러쉬(156b)의 단부는 파이프(110)의 외측면에 맞닿는다. 물질도포유닛(156)는 보디(152)에 분리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보디(152)의 내부에는 해충을 유인하는 해충유인등(152a)과, 해충이 보디(152)의 외부로 탈출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턱(152b)이 구비될 수 있다. 차단턱(152b)은 링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100)는 주위의 밝기에 따라, 해충유인등(152a)을 온/오프하는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100)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캐처어셈블리(150)가 파이프(11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되면, 브러쉬(156b)에 의하여 파이프(110)의 표면에는 해충(W)을 유인하는 물질이 도포된다.
계속해서, 해충(W)이 파이프(110)에 일정시간 착지하게 되면, 캐처어셈블리(150)가 해충(W)이 위치한 지점에 도달하게 되고, 해충(W)은 흡입팬(154a)에 의하여, 채집망(154b)으로 빨려 들어간다.
삭제
한편, 도 4는 파이프(110)의 하부에는 가이드홈(112)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캐처어셈블리(150)에는 가이드홈(112)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152b)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캐처어셈블리(150)가 가이드홈(112)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캐처어셈블리(150)의 무게로 인하여, 와이어(140)가 처질 우려가 없다.
삭제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100)를 이용하면, 낮에도 해충을 용이하게 퇴치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포충기(100)를 이용하면, 해충(예 :파리)을 용이하게 퇴치할 수 있다.
삭제
본 개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청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 전반에 내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삭제
100 : 포충기
110 : 파이프
112 : 가이드홈
120 : 제1 풀리
122 : 구동모터
130 : 제2 풀리
140 : 와이어
150 : 캐처어셈블리
152 : 보디
152a : 해충유인등
152b : 차단턱
152c : 걸이부
152d : 가이드돌기
154 : 해충흡입유닛
154a : 흡입팬
154b : 채집망
156 : 물질도포유닛
156a : 컨테이너
156b : 브러쉬

Claims (4)

  1. 파이프;
    상기 파이프의 일측에 배치되고,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제1 풀리;
    상기 파이프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풀리;
    상기 제1 풀리와 상기 제2 풀리에 귄취되되, 상기 제1 풀리의 상단에서 상기 제2 풀리의 상단에 이르는 부분이 상기 파이프의 내부에 위치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파이프를 감싸고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며, 상기 파이프에 해충을 유인하는 물질을 도포하고, 상기 파이프에 착지한 해충을 흡입하는 캐처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캐처어셈블리는,
    상기 파이프에 비하여 짧은 길이를 갖고, 상기 파이프를 감싸는 보디;
    상기 보디의 내측면에서 상기 보디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그 단부가 상기 와이어에 결합되는 걸이부;
    흡입팬과 채집망을 구비하고, 상기 보디의 하부에 결합되는 해충흡입유닛; 및
    해충유인물질이 저장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 하부에 구비되는 브러쉬를 구비하고, 상기 보디의 상부에 결합되는 물질도포유닛;을 포함하는, 포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의 내부에는, 해충유인등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디의 내부에는, 차단턱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충기.
KR1020190152285A 2019-11-25 2019-11-25 포충기 KR102343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285A KR102343758B1 (ko) 2019-11-25 2019-11-25 포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285A KR102343758B1 (ko) 2019-11-25 2019-11-25 포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776A KR20210063776A (ko) 2021-06-02
KR102343758B1 true KR102343758B1 (ko) 2021-12-28

Family

ID=76372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285A KR102343758B1 (ko) 2019-11-25 2019-11-25 포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7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7394A (ja) 1999-07-30 2001-02-13 Kyoritsu Shoji Kk 害虫捕獲装置用カートリッジ、害虫捕獲装置および害虫捕獲方法
KR200370011Y1 (ko) 2004-09-17 2004-12-16 손세호 파리 박멸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05241B1 (it) * 1998-06-10 2001-04-19 Multitecno Srl Dispositivo insetticida.
KR20170071852A (ko) * 2015-12-16 2017-06-26 오태돈 하우스용 무인 포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7394A (ja) 1999-07-30 2001-02-13 Kyoritsu Shoji Kk 害虫捕獲装置用カートリッジ、害虫捕獲装置および害虫捕獲方法
KR200370011Y1 (ko) 2004-09-17 2004-12-16 손세호 파리 박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776A (ko)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238B1 (ko) 레이저빔을 이용한 해충 포집장치
KR101825680B1 (ko) 유인재를 이용한 해충 포획장치
US5915950A (en) Fly and roach eliminator
US20120055073A1 (en) Insect catching method and apparatus
EP0531343B1 (en) Insect catching apparatus
JP2004521641A (ja) 虫取り器
KR102343758B1 (ko) 포충기
CN215012862U (zh) 一种农林业兼用的害虫诱捕收集装置
JP2008118865A (ja) 虫類捕獲装置
JP3139542U (ja) 害虫捕獲器
CN112189635A (zh) 一种多功能程控旋转式电子诱杀蚊蝇蟑螂装置
CN217089237U (zh) 一种引蝇捕捉器
CN115053876B (zh) 一种生物监测用的四害诱捕装置
KR20200052703A (ko) 유해충 포집장치
CN216415730U (zh) 一种农业病虫害诱杀装置
CN213427895U (zh) 一种可移动园林灭虫灯
CA3071216A1 (en) Insect trap and method for attracting and/or capturing flying insects
CN210695614U (zh) 一种仓库用高效灭蚊灯
KR20090005532U (ko) 해충 포획기
KR200442596Y1 (ko) 유인제 수용부가 구비된 해충포획장치
KR100912605B1 (ko) 해충포획장치
CN214853794U (zh) 一种园林诱杀虫装置
CN220777150U (zh) 一种手持吸入式农田电击灭虫器
KR20180014139A (ko) 곤충 포집장치
CN114794051B (zh) 一种大棚种植用全天候防虫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