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1852A - 하우스용 무인 포충장치 - Google Patents

하우스용 무인 포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1852A
KR20170071852A KR1020150180014A KR20150180014A KR20170071852A KR 20170071852 A KR20170071852 A KR 20170071852A KR 1020150180014 A KR1020150180014 A KR 1020150180014A KR 20150180014 A KR20150180014 A KR 20150180014A KR 20170071852 A KR20170071852 A KR 20170071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isposed
house
roll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태돈
Original Assignee
오태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태돈 filed Critical 오태돈
Priority to KR1020150180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1852A/ko
Publication of KR20170071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4Attracting insects by using illumination or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하우스용 무인 포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된 레일(5)에 장착되어 왕복운동을 하는 하우스용 무인 포충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흡입되는 해충이 이동되는 흡입로(17)와, 상부 일측에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바(11)와, 상기 연결바(11)의 일측에 구성되되 상기 레일(5)을 감싸는 한 쌍의 롤러(13)와, 상기 연결바(11)의 타측에 상기 롤러(13)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15)와, 외측 중앙부에 형성되 다수의 통공부(19)로 구성되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외부 일측에 구성되되 상기 통공부(19)의 사이에 각각 구성되어 빛을 발산하는 다수의 자연광램프(20);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일측에 구성되어 작업자를 감지하는 적외선인체감지센서(30);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중앙부에 구성되되 통공부(19)와 근접하게 위치되어 해충을 흡입할 수 있게 회전하는 흡입부(40);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 구성되되 상기 흡입로(17)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40)에 의해 흡입되는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부(50);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타측에 구성되어 각각의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60);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구성되되 제어부(60)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어 회전모터(15), 자연광램프(20), 인체감지센서(30), 흡입부(40), 제어부(60)에 전력을 각각 공급하는 배터리부(70); 로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해충을 포집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기설치된 하우스의 레일에 쉽게 장착 및 전력원으로 충전식 구조를 가짐으로써 설치 및 사용의 용이성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 무엇보다 작업자의 후방에서 무인으로 작동하며 자연광을 발산함에 따라 작업의 편리성과 작물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하우스용 무인 포충장치{House for an unmanned device hydatid}
본 발명은 하우스용 무인 포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하우스에 설치된 레일에 장착되어 작업자의 인체를 감지하여 작업자의 후방에서 무인으로 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빛을 발산하여 야간작업이 가능하면서도 빛을 통해 해충을 유인하여 포집할 수 있도록 하는 하우스용 무인 포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20-0431848호(실) 전체 구성에서 간단 분리 결합하여 섭식유인제와 태양광 유인시스템, 전기 유인 및 흡입팬을 용도에 따라 겸용으로 조합하여 해충을 유인포획토록 구성함에 있어서, 유인 포획된 해충 중에서 주행성 해충은 본체 양측에 채집통으로 포획되고 야행성 해충은 하부측 채집망으로 포획되도록 구성한 친환경 해충 포획기에 관한 것이다.
등록번호 10-1472578호(특) 전면에 제1흡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의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어 공기와 상기 공기에 편승된 해충을 상기 제1흡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 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시로코팬을 구비하는 송풍부와; 상기 하우징의 제1흡입구 측에 설치되어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유인등을 구비한 유인부와; 상기 시로코팬에 부착된 상기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시로코팬의 내주면에 대해 전진 및 후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브러쉬를 가지는 청소유닛;을 구비하는 포충 환풍기에 관한 것이다.
등록번호 10-1152776호(특) 식물 생육 램프, 상기 식물 생육 램프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 램프, 상기 유인 램프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에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유인 램프로 유인된 상기 해충이 포집되는 포충 공간을 가지는 포충 몸체, 상기 포충 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포충 공간의 개방된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유인 램프로 유인된 상기 해충을 흡입시키는 포충 팬, 그리고 상기 포충 팬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식물 생육 램프와 상기 유인 램프 및 상기 포충 팬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시키는 전력 공급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 공급 장치에서 공급된 전력으로 상기 유인 램프와 상기 식물 생육 램프를 동시에 작동시켜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면서 상기 해충을 유인하고, 유인된 상기 해충은 상기 포충 팬의 작동으로 상기 포충 몸체로 흡입하여 제거시킬 수 있고, 상기 식물 생육 램프와 상기 유인 램프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식물 생육 램프 방향으로 빛을 반사하는 보광 반사면을 가지고, 상기 유인 램프 방향으로 빛을 반사하는 유인 반사면을 가지는 반사판을 더 구비하는 흡입식 포충기가 설치된 식물 생육 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들은 대체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결합 후 거치 또는 걸림되게 고정설치되는 형태로써, 단순히 해충을 포집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즉, 하우스의 내부에 설치할 시에는 고정된 위치에서만 작동할 수 있게 되어 사용에 매우 제한적이고, 하우스 내부에서 작업자들의 야간작업이 실질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된 레일에 장착하여 왕복운동을 하되, 본체부의 내부에 구성된 감지센서를 통해 작업자를 감지하게 되면 작업자의 후방에서 빛을 발산하면서 작물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 야간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흡입부를 구성하고, 본체부의 하부에 해충을 포집할 수 있는 포집부를 구성하여 빛을 통해 모여드는 해충을 포집하여 제거하여 작물의 성장을 촉진 시킬 수 있는 하우스용 무인 포충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된 레일(5)에 장착되어 왕복운동을 하는 하우스용 무인 포충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흡입되는 해충이 이동되는 흡입로(17)와, 상부 일측에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바(11)와, 상기 연결바(11)의 일측에 구성되되 상기 레일(5)을 감싸는 한 쌍의 롤러(13)와, 상기 연결바(11)의 타측에 상기 롤러(13)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15)와, 외측 중앙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부(19)로 구성되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외부 일측에 구성되되 상기 통공부(19)의 사이에 각각 구성되어 빛을 발산하는 다수의 자연광램프(20);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일측에 구성되어 작업자를 감지하는 적외선인체감지센서(30);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중앙부에 구성되되 통공부(19)와 근접하게 위치되어 해충을 흡입할 수 있게 회전하는 흡입부(40);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 구성되되 상기 흡입로(17)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40)에 의해 흡입되는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부(50);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타측에 구성되어 각각의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60);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구성되되 제어부(60)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어 회전모터(15), 자연광램프(20), 인체감지센서(30), 흡입부(40), 제어부(60)에 전력을 각각 공급하는 배터리부(70); 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13)는 상기 회전모터(15)와 연결되는 롤러(13a)와 상기 회전모터(15)와 연결되지 않는 롤러(13b)로 각각 구성되되, 상기 롤러(13b)는 연결바(11)의 일측에 장방형으로 형성된 유동홈(11a)에 축(13c)이 삽입구성되고, 상기 축(13c)과 연결바(11) 사이에 각각 맞닿게 구성되어 상기 롤러(13b)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부재(t)가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집부(50)는 상기 본체부(100)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하우스용 무인 포충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해충을 포집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기설치된 하우스의 레일에 쉽게 장착 및 전력원으로 충전식 구조를 가짐으로써 설치 및 사용의 용이성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 무엇보다 작업자의 후방에서 무인으로 작동하며 자연광을 발산함에 따라 작업의 편리성과 작물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포충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인 포충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포충장치의 구성 중 롤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인 포충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인 포충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인 포충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인 포충장치의 구성 중 본체부와 포집부의 연결을 나타내는 측면도
본 발명은 하우스에 설치된 레일에 장착되어 작업자의 인체를 감지하여 작업자의 후방에서 무인으로 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빛을 발산하여 야간작업이 가능하면서도 빛을 통해 해충을 유인하여 포집할 수 있도록 하는 하우스용 무인 포충장치를 제공한다.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된 레일(r)에 장착되어 왕복운동을 하는 하우스용 무인 포충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흡입되는 해충이 이동되는 흡입로(17)와, 상부 일측에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바(11)와, 상기 연결바(11)의 일측에 구성되되 상기 레일(r)을 감싸는 한 쌍의 롤러(13)와, 상기 연결바(11)의 타측에 상기 롤러(13)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15)와, 외측 중앙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부(19)로 구성되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외부 일측에 구성되되 상기 통공부(19)의 사이에 각각 구성되어 빛을 발산하는 다수의 자연광램프(20);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일측에 구성되어 작업자를 감지하는 적외선인체감지센서(30);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중앙부에 구성되되 통공부(19)와 근접하게 위치되어 해충을 흡입할 수 있게 회전하는 흡입부(40);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 구성되되 상기 흡입로(17)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40)에 의해 흡입되는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부(50);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타측에 구성되어 각각의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60);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구성되되 제어부(60)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어 회전모터(15), 자연광램프(20), 인체감지센서(30), 흡입부(40), 제어부(60)에 전력을 각각 공급하는 배터리부(70); 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부(10)는 도 1,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내부로 흡입된 해충이 이동하는 통로인 흡입로(17)와, 상부 일측에 하측에서 상측으로 바(bar) 형상인 연결바(11)와, 상기 연결바(11)의 상부 일측에 구성되되 레일(r)의 상부와 하부를 감싸는 한 쌍의 롤러(13)와, 상기 연결바(11)의 상부 타측에는 상기 롤러(13)와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회전모터(15)와, 상기 흡입로(17)의 외측 중앙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부(19)로 구성된다.
즉, 상부 일측에 연결바(11)가 구성된 본체부(10)는 상기 연결바(11)의 일측에 구성된 한 쌍의 롤러(13)에 의해 하우스의 레일(r)에 상기 본체부(10)를 쉽게 연결할 수 있어 사용자가 하우스의 내부에 기설치된 레일(r)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롤러(13)는 상기 회전모터(15)와 연결되는 롤러(13a)와 상기 회전모터(15)와 연결되지 않는 롤러(13b)로 각각 구성되되, 상기 롤러(13b)는 연결바(11)의 일측에 장방형으로 형성된 유동홈(11a)에 축(13c)이 삽입구성되고, 상기 축(13c)과 연결바(11) 사이에 각각 맞닿게 구성되어 상기 롤러(13b)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부재(t)가 구성된다.
즉, 상기 롤러(13)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모터(15)의 일측과 연결되어 레일(r)의 상부에 구성되는 롤러(13a)와 상기 회전모터(15)와 연결되지 않고 상기 레일(r)의 하부 일측에 구성되는 롤러(13b)로 각각 구성되되, 상기 롤러(13b)는 연결바(11)의 내부 일 측에 장방형으로 형성된 유동홈(11a)의 내측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유동할 수 있도록 축(13c)이 삽입 구성되고, 상기 텐션부재(t)는 축(13c)의 하부에 연결 구성되되 연결바(11)의 일측에 맞닿게 구성되어 상기 롤러(13b)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롤러(13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홈(11a)에 삽입 구성된 축(13c)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로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하우스의 내부에 기설치된 레일(r)에 탈,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상기 텐션부재(t)가 상기 롤러(13b)의 축(13c)을 상부로 밀어주는 힘에 의해 상기 레일(r)의 하부에 맞닿게 되어 상기 롤러(13a)가 회전모터(15)에 의해 회전 시, 상기 각각의 롤러(13a), 롤러(13b)가 상기 레일(r)을 감싸며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외부 일측에 구성되되 상기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통공부(19)의 사이사이에 빛을 발산하는 다수의 자연광램프(20)가 원형으로 배치되며 구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외부 일측에 자연광램프(20)를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야간작업 시에 빛을 발산하는 자연광램프(20)에 의해 작물을 육안으로 식별 할 수 있도록 하여 야간작업이 가능토록 하는 것은 물론, 빛을 통해 해충을 유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인 것이다.
또한,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일측에는 외부의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인체감지센서(30)가 구성된다.
즉, 상기 인체감지센서(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포충장치(1)로부터 멀어질 시, 상기 인체감지센서(30)가 작업자의 인체에서 발생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하기될 제어부(60)를 통해 설정된 거리 값으로 상기 포충장치(1)를 작업자의 일측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야간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는 구성인 것이다.
또한,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중앙부에는 상기 통공부(19)와 근접하게 위치되되 해충을 흡입할 수 있게 외부의 바람을 내부로 흡입시키며 회전하는 흡입부(40)가 구성된다.
즉, 상기 흡입부(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연광램프(20)가 발산하는 빛에 의해 상기 본체부(10)의 외측에 모인 다수의 해충을 상기 본체부(10)의 내부로 흡입하여 포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는 상기 흡입로(17)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40)에 의해 흡입되는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부(50)가 구성된다.
즉, 상기 포집부(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부(40)가 회전 시에, 내부로 인입되는 외부의 해충을 포집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포집부(50)가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포집부(50)는 상기 본체부(100)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상기 포집부(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구성되되, 상기 본체부(10)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포집부(50)의 내부 수용공간에 포집된 해충을 제거하기 용이토록 하는 것은 물론, 상기 본체부(10)의 유지보수를 용이토록 하는 구성인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타측에는 상기한 각각의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60)가 구성된다.
즉,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각각의 회전모터(15), 자연광램프(20), 인체감지센서(30), 흡입부(4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타측에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상기 제어부(60)와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터리부(70)가 구성되어 상기 회전모터(15), 자연광램프(20), 인체감지센서(30), 흡입부(40), 제어부(60)에 전력을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부(70)는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다양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0)의 외부 일측에서 배터리 교체를 할 수 있도록 구성 가능하다.
본 발명에 하우스용 무인 포충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해충을 포집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기설치된 하우스의 레일에 쉽게 장착 및 전력원으로 충전식 구조를 가짐으로써 설치 및 사용의 용이성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 무엇보다 작업자의 후방에서 무인으로 작동하며 자연광을 발산함에 따라 작업의 편리성과 작물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 : 포충장치
10 : 본체부 11 : 연결바 11a : 유동홈
13 : 롤러 13a, 13b: 롤러 13c : 축
15 : 회전모터 17 : 흡입로 19 : 통공부
20 : 자연광램프 30 : 인체감지센서 40 : 흡입부
50 : 포집부 60 : 제어부 70 : 배터리부
t : 텐션부재 r : 레일

Claims (3)

  1. 하우스의 내부에 설치된 레일(r)에 장착되어 왕복운동을 하는 하우스용 무인 포충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흡입되는 해충이 이동되는 흡입로(17)와, 상부 일측에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바(11)와, 상기 연결바(11)의 일측에 구성되되 상기 레일(r)을 감싸는 한 쌍의 롤러(13)와, 상기 연결바(11)의 타측에 상기 롤러(13)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15)와, 외측 중앙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부(19)로 구성되는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의 외부 일측에 구성되되 상기 통공부(19)의 사이에 각각 구성되어 빛을 발산하는 다수의 자연광램프(20);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일측에 구성되어 작업자를 감지하는 적외선인체감지센서(30);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중앙부에 구성되되 통공부(19)와 근접하게 위치되어 해충을 흡입할 수 있게 회전하는 흡입부(40);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 구성되되 상기 흡입로(17)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40)에 의해 흡입되는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부(50);
    상기 본체부(10)의 내부 타측에 구성되어 각각의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60);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 구성되되 제어부(60)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어 회전모터(15), 자연광램프(20), 인체감지센서(30), 흡입부(40), 제어부(60)에 전력을 각각 공급하는 배터리부(7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용 무인 포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13)는 상기 회전모터(15)와 연결되는 롤러(13a)와 상기 회전모터(15)와 연결되지 않는 롤러(13b)로 각각 구성되되,
    상기 롤러(13b)는 연결바(11)의 일측에 장방형으로 형성된 유동홈(11a)에 축(13c)이 삽입구성되고,
    상기 축(13c)과 연결바(11) 사이에 각각 맞닿게 구성되어 상기 롤러(13b)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부재(t)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용 무인 포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50)는 상기 본체부(100)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스용 무인 포충장치.


KR1020150180014A 2015-12-16 2015-12-16 하우스용 무인 포충장치 KR20170071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014A KR20170071852A (ko) 2015-12-16 2015-12-16 하우스용 무인 포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014A KR20170071852A (ko) 2015-12-16 2015-12-16 하우스용 무인 포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852A true KR20170071852A (ko) 2017-06-26

Family

ID=59282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014A KR20170071852A (ko) 2015-12-16 2015-12-16 하우스용 무인 포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18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776A (ko) * 2019-11-25 2021-06-02 정정한 포충기
KR20210114260A (ko) * 2020-03-10 2021-09-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시설채소 나방류 유인 포획용 다파장 해충 트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776A (ko) * 2019-11-25 2021-06-02 정정한 포충기
KR20210114260A (ko) * 2020-03-10 2021-09-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시설채소 나방류 유인 포획용 다파장 해충 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68762B (zh) 田间灯诱昆虫图像采集装置
KR200425859Y1 (ko) 해충포획장치
KR101960250B1 (ko) 동양하루살이를 포함한 해충 퇴치를 위한 포집장치
KR100753435B1 (ko) 해충 포집장치
KR20090092970A (ko) 지능형 무인 해충 포집장치
CN110476917A (zh) 一种悬挂式led除虫灯具
US20110005123A1 (en) Pest trap
KR101224706B1 (ko) 진공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CN112314558A (zh) 一种基于鱼塘养殖用的多功能诱虫灯
KR20170071852A (ko) 하우스용 무인 포충장치
KR20110069608A (ko) Dc방식 해충 포획기
CA2688976A1 (en) Flying insect trap and method
KR101151275B1 (ko) 가로등용 해충유인 포획기구
WO2021112598A1 (ko) 해충 포획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049293B1 (ko) 살충 장치
CN205455537U (zh) 一种栽培大棚固定式诱捕虫器
KR20090009595A (ko) 해충 포획장치
CN109042582B (zh) 一种全光谱双灯风吸智联诱捕灯
CN107094732B (zh) 具有杀虫功能的太阳能炉
CN112822942A (zh) 昆虫捕捉装置、用于捕捉昆虫的方法以及该昆虫捕捉装置的用途
CN210891418U (zh) 一种具有捕虫功能的路灯
CN109349253B (zh) 智能光波杀虫灯
CN113229242A (zh) 一种农业害虫诱捕装置及诱捕方法
KR20210007230A (ko) It기능이 구비된 포충장치
JP2001155509A (ja) 捕虫機能付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