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521B1 - 관절용 내시경 - Google Patents

관절용 내시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521B1
KR102343521B1 KR1020190109535A KR20190109535A KR102343521B1 KR 102343521 B1 KR102343521 B1 KR 102343521B1 KR 1020190109535 A KR1020190109535 A KR 1020190109535A KR 20190109535 A KR20190109535 A KR 20190109535A KR 102343521 B1 KR102343521 B1 KR 102343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needle
handle
injec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8441A (ko
Inventor
김동진
김혜정
Original Assignee
해성옵틱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성옵틱스(주) filed Critical 해성옵틱스(주)
Priority to KR1020190109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521B1/ko
Publication of KR20210028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 A61B1/31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for bones or joints, e.g. osteoscopes, arth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19Tubes or pipes in or with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using light-conductive means, e.g. optical fib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절용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 핸들부와, 핸들부에 연결되어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부와, 핸들부에 장착되어 유체를 선별 공급하는 주입부와, 핸들부에 장착되고 신체에 삽입되며 단부가 구부러진 형상을 하는 니들부와, 니들부에 삽입되어 이동되고 니들부에서 돌출되어 신체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여, 신체 내부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촬영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절용 내시경{ENDOSCOPE FOR ARTHROSCOPY}
본 발명은 관절용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절 내부를 검사하되 절개 부위의 확장을 억제하고, 시야 확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관절용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은 광학 기기의 일종으로, 파이프나 선박건조 등 좁은 공간의 내부를 확인하는 산업용 내시경과, 인체 내부 검사를 위한 의료용 내시경으로 크게 구분된다.
의료용 내시경은 인체 내부에 직접 삽입되어 주변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인체 내부를 가시적으로 확인하고 진단하는 장비이다.
한편, 관절의 질환이나 손상에 대해 직접적인 피부 절개 및 관절 절개를 통한 시술을 행하던 과거와는 달리 현재에는 첨단의료장비인 관절경을 이용하여 진단과 동시에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의료용 내시경이 사용되는 관절경 수술은 환부를 절개하지 않고 조그만 구멍을 이용해 특수한 소형 카메라가 부착된 관절경을 관절 내에 삽입한 후, 모니터 등을 통해 관절의 내부를 관찰함으로써 특수촬영(CT, MRI)으로도 파악되지 않는 병변까지도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술을 동시에 시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관절경은 관절 부위의 시술시 주변 부분에 위치하는 물질의 정리 및 제거가 어려워 시술시간이 오래 걸리고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133248호(2014.11.19. 공개, 발명의 명칭 : 다기능 관절경)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관절 내부를 검사하되 절개 부위의 확장을 억제하고, 시야 확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관절용 내시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은: 핸들부; 상기 핸들부에 연결되어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부; 상기 핸들부에 장착되어 유체를 선별 공급하는 주입부; 상기 핸들부에 장착되고, 신체에 삽입되며, 단부가 구부러진 형상을 하는 니들부; 및 상기 니들부에 삽입되어 이동되고, 상기 니들부에서 돌출되어 신체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들부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핸들몸체부; 상기 핸들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부를 이동시키는 핸들조절부; 및 상기 핸들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주입부가 장착되고, 상기 주입부에서 주입된 유체를 상기 니들부로 안내하는 핸들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부는 상기 핸들부에 탈부착되고,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입부는 상기 핸들부에 탈부착되는 주입결합부; 상기 주입결합부에 연결되고 3방향 유로가 형성되는 주입유로부; 상기 주입유로부에 형성되고, 상기 주입유로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주입개폐부; 및 상기 주입유로부를 커버하는 주입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니들부는 상기 핸들부에 장착되는 니들관부; 상기 니들관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니들관부에서 경사를 갖도록 구부러진 니들경사부; 및 상기 니들관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경사면이 형성되어 신체를 절개하는 니들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니들부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튜브부; 상기 튜브부의 단부에서 영상 신호를 획득하여 처리하는 렌즈부; 상기 튜브부에 삽입되어 광을 전달하는 복수개의 광섬유부; 및 상기 광섬유부에 연결되고 광을 생성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부는 연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은 니들부가 신체에 삽입된 후 카메라부가 전진 이동되어 신체 내부를 촬영하므로, 니들부의 신체 삽입시 카메라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니들부의 신체 삽입 후 니들부와의 간섭 없이 광범위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은 니들부의 단부가 경사지도록 굴곡됨으로써, 니들부에서 배출되는 카메라부의 화각이 확장되어 관절 후면 영상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에서 핸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에서 케이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에서 주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에서 니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에서 카메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에서 카메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에서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에서 가이드부가 카메라부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1)은 핸들부(10)와, 케이블부(20)와, 주입부(30)와, 니들부(40)와, 카메라부(50)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이드부(60)가 추가될 수 있다.
핸들부(10)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형상을 한다. 일예로, 핸들부(10)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카메라부(50)에서 촬영한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전송하기 위한 다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부(20)는 핸들부(10)에 연결되어 영상 신호를 전송한다. 일예로, 케이블부(20)는 핸들부(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핸들부(10)와 탈부착될 수 있다.
주입부(30)는 핸들부(10)에 장착되어 유체를 선별 공급한다. 일예로, 주입부(30)는 세척을 위한 식염수를 공급하거나, 치료를 위한 약품을 공급할 수 있다.
니들부(40)는 핸들부(10)에 장착되고, 신체에 삽입된다. 니들부(40)는 단부가 구부러진 형상을 한다. 일예로, 니들부(40)는 삽입된 카메라부(50)를 보호하도록 금속 또는 합금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외, 신체 절개를 위해 일정 경도 이상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니들부(40)의 단부는 5도 내지 20도 가량 굽어진 형상을 하여 출력영상 범위를 개선함으로써, 관절 내부에 가려진 관절 후면의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적인 천공 작업을 하지 않고 카메라부(50)의 회전을 통해 관절 후면의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카메라부(50)는 니들부(40)에 삽입되어 이동되고, 니들부(40)에서 돌출되어 신체 내부를 촬영한다. 이러한 카메라부(50)와 니들부(40) 사이 공간으로 유체를 안내할 수 있다. 일예로, 카메라부(50)는 니들부(40)가 신체에 삽입될 때에는 니들부(40)에 내장되어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부(50)는 니들부(40)가 신체에 삽입된 후에는 니들부(40)의 외부로 돌출되어 신체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관절 치료가 필요한 신체 부위에 니들부(40)를 삽입하고, 카메라부(50)를 통해 신체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절용 내시경(1)은 1회용으로 제작되어, 별도의 세척 및 살균 공정이 삭제되고, 사용이 완료된 관절용 내시경(1)은 폐기 처리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에서 핸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10)는 핸들몸체부(11)와, 핸들조절부(12)와, 핸들유도부(13)를 포함한다.
핸들몸체부(11)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형상을 한다. 일예로, 핸들몸체부(11)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이 결합되는 몸체외형부(111)와, 몸체외형부(111)의 단부에 형성되고 니들부(40)가 관통되는 몸체출구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핸들몸체부(11)는 몸체외형부(111)의 외측에 노출되고, 카메라부(50)를 제어하기 위한 몸체버튼부(113)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몸체버튼부(113)가 조작되면 카메라부(50)가 촬영한 이미지가 캡쳐 및 저장될 수 있다.
핸들조절부(12)는 핸들몸체부(11)에 장착되고, 카메라부(50)와 연결된다. 이러한 핸들조절부(12)는 핸들몸체부(11)에 장착되고, 카메라부(50)와 연결되어 카메라부(50)를 이동시킨다. 일예로, 핸들조절부(12)는 몸체외형부(111)의 외측에 노출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조절버튼부(121)와, 조절버튼부(121)에 연결되고 몸체외형부(111)에 내장되며 카메라부(50)와 연결되는 조절연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유도부(13)는 핸들몸체부(11)에 형성되어 주입부(30)가 장착되고, 주입부(30)에서 주입된 유체를 니들부(40)로 안내한다. 일예로, 핸들유도부(13)는 유도관부(131)와, 유도연통부(132)와, 유도밀폐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관부(131)는 몸체외형부(111)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되, 몸체외형부(111)의 단부와 조절버튼부(1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도연통부(132)는 몸체외형부(111)의 내부에 형성되어 유도관부(131)와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연통부(132)는 니들부(40)와 연결되어 니들부(40)로 유체를 안내할 수 있다. 유도밀폐부(133)는 유도연통부(132)에 내장되고 유도연통부(132)로 공급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에서 케이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부(20)는 핸들부(10)에 탈부착되고, 디스플레이부(100)와 연결된다.
일예로, 핸들부(10)는 핸들몸체부(11)의 후면에 형성되고, 영상 신호와 전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핸들단자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케이블부(20)는 일단부가 핸들단자부(14)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노트북 또는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100)와 접속되어 영상 신호 및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부(20)는 사용된 관절용 내시경(1)과 함께 폐기되지 않고 재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에서 주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30)는 주입결합부(31)와, 주입유로부(32)와, 주입개폐부(33)와, 주입덮개부(34)를 포함한다.
주입결합부(31)는 핸들부(10)에 탈부착된다. 일예로, 주입결합부(31)는 유도관부(131)와 결합될 수 있다. 주입결합부(31)는 유도관부(131)와 나사 결합되거나,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주입유로부(32)는 주입결합부(31)에 연결되고 3방향 유로가 형성된다. 일예로, 주입유로부(32)는 중앙유로부(321)와, 중앙유로부(321)의 상부와 연통되는 상부유로부(322)와, 중앙유로부(321)의 하부와 연통되는 하부유로부(323)와, 중앙유로부(321)의 측부와 연통되는 측부유로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유로부(322)에는 세척을 위해 식염수를 공급하기 위한 식염수공급부(200)가 연결될 수 있다. 하부유로부(323)에는 주입결합부(31)가 장착될 수 있다. 측부유로부(324)에는 치료를 위한 약물을 공급하기 위한 약물공급부(300)가 연결될 수 있다.
주입개폐부(33)는 주입유로부(32)에 형성되고, 주입유로부(32)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일예로, 주입개폐부(33)는 개폐유로부(331)와 개폐조작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유로부(331)는 원통 형상의 중앙유로부(321)에 삽입되고, 개폐조작부(332)는 개폐유로부(331)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개폐조작부(332)를 회전시키면 개폐유로부(331)가 상부유로부(322)와 하부유로부(323)를 연통시키거나, 측부유로부(324)와 하부유로부(323)를 연통시킬 수 있다.
주입덮개부(34)는 주입유로부(33)를 커버한다. 일예로, 주입덮개부(34)는 약물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측부유로부(324)에 장착되어 이물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에서 니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부(40)는 니들관부(41)와, 니들경사부(42)와, 니들팁부(43)를 포함한다.
니들관부(41)는 핸들부(10)에 장착된다. 일예로, 니들관부(41)는 몸체출구부(112)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니들관부(41)의 단부는 유도연통부(132)와 연통되어 핸들유도부(13)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안내할 수 있다.
니들경사부(42)는 니들관부(41)에서 연장된다. 이러한 니들경사부(42)는 니들관부(41)에서 경사를 갖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할 수 있다. 일예로, 니들경사부(42)는 니들부(40)의 단부에 형성되되, 5도 내지 20도로 구부러진 형상을 하여 카메라부(50)의 화각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카메라부(50)에 적용되는 화각은 통상 120도 이고, 카메라부(50)의 회전을 통해 240도의 화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관절내부의 정면만을 촬영하지 않고 니들경사부(42)의 경사각에 의해 사선으로 시야각을 설정하여 니들부(40) 전체를 360도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넓은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
니들팁부(43)는 니들관부(41)의 단부에 형성되고, 경사면이 형성되어 신체를 절개한다. 일예로, 니들팁부(43)의 경사면 경사 각도는 카메라부(50)의 슬라이드 이동 거리 및 직경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에서 카메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에서 카메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50)는 튜브부(51)와, 렌즈부(52)와, 광섬유부(53)와, 광원부(54)를 포함한다.
튜브부(51)는 니들부(40)에 삽입되어 이동된다. 일예로, 튜브부(51)는 니들관부(41)에 내장되고, 조절연결부(122)와 결합된다. 이로 인해 조절버튼부(121)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조절연결부(122)와 연결된 튜브부(51)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튜브부(51)의 전단부가 니들관부(4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렌즈부(52)는 튜브부(51)의 전단부에 장착되어 영상 신호를 획득한다. 일예로, 렌즈부(52)는 하나 이상의 글라스렌즈 또는 플라스틱렌즈를 포함하며, 각 렌즈는 구면, 비구면이 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시야각 형성 목표에 따라 렌즈의 개수와 형태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렌즈부(52)는 기판과 연결되어 영상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광섬유부(53)는 튜브부(51)에 삽입되어 광을 전달하고, 광원부(54)는 광섬유부(53)에 연결되어 광을 생성한다. 일예로, 광원부(54)는 유체 유입이 차단된 몸체외형부(111)에 내장될 수 있다. 그 외, 광원부(56)는 튜브부(51)에 직접 장착될 수 있다. 광섬유부(53)는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50)는 커버부(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55)는 튜브부(51)의 단부에 결합되고, 렌즈부(52)를 보호하면서 화각을 보전한다. 일예로, 커버부(55)는 렌즈부(52)를 커버하여 외압과 이물질로부터 렌즈부(52)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55)는 글라스렌즈 또는 플라스틱렌즈가 채택되어 렌즈부(52)의 화각과, 광섬유부(53)의 조사각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렌즈부(52)의 회전을 억제하면서 신체 내부 상황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커버부(55)는 렌즈부(52)의 전방 돌출시 신체의 상처 발생이 억제되도록 곡면이 형성되고, 연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55)는 튜브부(51)에 삽입되어 외주면이 보호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튜브부(51)는 전체 또는 일부가 연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튜브부(51)가 직선 이동되더라도 니들경사부(42)에 의해 경사를 갖도록 구부러져 렌즈부(52)의 화각을 확장시킬 수 있다. 그 외, 튜브부(51)는 굴곡 가능하도록 주름진 형상을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튜브부(51)는 튜브이동부(511)와, 튜브연결부(512)와, 튜브촬영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튜브부(51)는 튜브이동부(511)와 튜브촬영부(513)가 경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튜브연결부(512)만 연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외, 튜브연결부(512)는 형상 변형이 가능하도록 주름진 형상을 할 수 있다.
튜브이동부(511)는 핸들부(10)와 연결되어 이동된다. 일예로, 튜브이동부(511)는 니들관부(41)를 관통하고, 일단부는 조절연결부(1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절버튼부(121) 조작시 조절연결부(122)와 결합된 튜브이동부(511)는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튜브연결부(512)는 튜브이동부(511)의 단부와 튜브촬영부(513)의 단부를 연결한다. 일예로, 튜브연결부(512)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관 형상을 하여 튜브이동부(511)와 튜브촬영부(513)가 삽입될 수 있다.
튜브촬영부(513)는 튜브연결부(512)의 단부에 연결되고, 렌즈부(52)가 장착된다. 일예로, 튜브이동부(511)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튜브연결부(512)는 니들경사부(42)에 내장되어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튜브촬영부(513)는 니들팁부(4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렌즈부(52)의 영상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튜브부(51)는 튜브유지부(5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튜브유지부(514)는 튜브연결부(512)의 외주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니들부(40)와 접촉됨으로써, 튜브부(51)와 니들부(40) 간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일예로, 튜브유지부(514)는 튜브연결부(512)와 일체로 성형되고, 니들관부(41)의 내벽에 밀착되어 니들관부(41)와 튜브연결부(512) 사이 간격을 유지시켜줄 수 있다. 이로 인해 니들관부(41)와 튜브부(51) 사이로 이동되는 유체의 통로가 유지되어 안정적인 유체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튜브연결부(512)의 외주면을 따라 튜브유지부(514)가 균일하게 배치되면, 유체가 튜브부(51)의 외주면을 따라 골고루 배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에서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에서 가이드부가 카메라부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60)는 가이드장착부(61)와 가이드돌기부(62)를 포함한다.
가이드장착부(61)는 카메라부(50)의 외주면을 둘러싼다. 일예로, 가이드장착부(61)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관 형상을 하여 튜브부(51)가 관통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장착부(61)는 튜브부(51)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가이드돌기부(62)는 가이드장착부(61)에서 돌출되고, 니들부(40)와 접촉되어 니들부(40)와의 간격을 유지시키며, 이동되는 유체를 안내한다. 일예로, 가이드돌기부(62)는 가이드장착부(61)와 일체로 성형되고, 니들관부(41)의 내벽에 밀착되어 니들관부(41)와 튜브부(51)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다. 이로 인해 니들관부(41)와 튜브부(51) 사이로 유체의 이동통로가 유지되어 안정적인 유체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장착부(61)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가이드돌기부(62)가 균일하게 배치되면, 이동되는 유체가 균일하게 분배되어 튜브부(51)의 외주면을 따라 골고루 배출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1회용으로 포장된 관절용 내시경(1)의 포장지를 뜯고, 케이블부(20)를 디스플레이부(100)에 연결하며, 식염수공급부(200) 또는 약물공급부(30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주입부(30)에 연결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핸들부(10)를 파지하고, 니들부(40)를 신체에 삽입하여 목적지에 도달시킨 다음, 카메라부(50)를 전진 이동시켜 신체 내부를 촬영한다.
촬영 중 식염수공급부(200)를 통해 식염수를 공급하여 카메라부(50)에 대한 세척을 실시하고, 필요에 따라 약물공급부(300)를 통해 약물을 공급하여 치료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1)은 니들부(40)가 신체에 삽입된 후 카메라부(50)가 전진 이동되어 신체 내부를 촬영하므로, 니들부(40)의 신체 삽입시 카메라부(50)의 손상을 방지하고, 니들부(40)의 신체 삽입 후 니들부(40)와의 간섭 없이 광범위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1)은 니들부(40)의 단부가 경사지도록 굴곡됨으로써, 니들부(40)에서 배출되는 카메라부(50)의 화각이 확장되어 관절 후면 영상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핸들부 11 : 핸들몸체부
12 : 핸들조절부 13 : 핸들유도부
20 : 케이블부 30 : 주입부
31 : 주입결합부 32 : 주입유로부
33 : 주입개폐부 34 : 주입덮개부
40 : 니들부 41 : 니들관부
42 : 니들경사부 43 : 니들팁부
50 : 카메라부 51 : 튜브부
52 : 렌즈부 53 : 광섬유부
54 : 광원부 60 : 가이드부

Claims (7)

  1. 핸들부;
    상기 핸들부에 연결되어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부;
    상기 핸들부에 장착되어 유체를 선별 공급하는 주입부;
    상기 핸들부에 장착되고, 신체에 삽입되며, 단부가 구부러진 형상을 하는 니들부; 및
    상기 니들부에 삽입되어 이동되고, 상기 니들부에서 돌출되어 신체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부는
    상기 핸들부에 장착되는 니들관부;
    상기 니들관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니들관부에서 경사를 갖도록 5도 내지 20도로 구부러진 니들경사부; 및
    상기 니들관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경사면이 형성되어 신체를 절개하는 니들팁부;를 포함하며,
    상기 니들팁부의 경사면 경사각도는 상기 카메라부의 이동거리와 직경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내시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핸들몸체부;
    상기 핸들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부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부를 이동시키는 핸들조절부; 및
    상기 핸들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주입부가 장착되고, 상기 주입부에서 주입된 유체를 상기 니들부로 안내하는 핸들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내시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부는
    상기 핸들부에 탈부착되고, 디스플레이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내시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부는
    상기 핸들부에 탈부착되는 주입결합부;
    상기 주입결합부에 연결되고 3방향 유로가 형성되는 주입유로부;
    상기 주입유로부에 형성되고, 상기 주입유로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주입개폐부; 및
    상기 주입유로부를 커버하는 주입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내시경.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니들부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튜브부;
    상기 튜브부의 단부에서 영상 신호를 획득하여 처리하는 렌즈부;
    상기 튜브부에 삽입되어 광을 전달하는 복수개의 광섬유부; 및
    상기 광섬유부에 연결되고 광을 생성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내시경.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는 연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내시경.
KR1020190109535A 2019-09-04 2019-09-04 관절용 내시경 KR102343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535A KR102343521B1 (ko) 2019-09-04 2019-09-04 관절용 내시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535A KR102343521B1 (ko) 2019-09-04 2019-09-04 관절용 내시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441A KR20210028441A (ko) 2021-03-12
KR102343521B1 true KR102343521B1 (ko) 2021-12-29

Family

ID=7517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535A KR102343521B1 (ko) 2019-09-04 2019-09-04 관절용 내시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52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18478A (ja) * 2009-02-19 2012-08-16 トランセンテリクス インク マルチ処置器具を備えたアクセス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2013500788A (ja) * 2009-07-29 2013-01-10 トランセンテリクス、インク 偏向可能な処置器具用ポート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220B1 (ko) * 2017-11-01 2019-09-25 해성옵틱스(주) 관절용 내시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18478A (ja) * 2009-02-19 2012-08-16 トランセンテリクス インク マルチ処置器具を備えたアクセス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2013500788A (ja) * 2009-07-29 2013-01-10 トランセンテリクス、インク 偏向可能な処置器具用ポート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441A (ko) 2021-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5220B1 (ko) 관절용 내시경
US6638214B2 (en) Observation window washing device of endoscope
US11234581B2 (en) Elevator for directing medical tool
CN103037753B (zh) 关节镜系统
KR100890094B1 (ko) 내시경 및 선단 커버
KR101303004B1 (ko) 대장내시경 검사 보조 기구
US11337599B2 (en) Washing tool and endoscope system
KR102354230B1 (ko) 관절용 내시경
KR102025221B1 (ko) 관절용 내시경
KR102343521B1 (ko) 관절용 내시경
KR102315286B1 (ko) 관절용 내시경
US20190298161A1 (en) Device for use in hysteroscopy
KR102315287B1 (ko) 관절용 내시경
JP5400118B2 (ja) 内視鏡用鉗子栓
KR102025219B1 (ko) 관절용 내시경
KR102315285B1 (ko) 관절용 내시경
KR102315284B1 (ko) 관절용 내시경
WO2022119009A1 (ko) 관절용 내시경
JP5992948B2 (ja) 内視鏡
EP2574270B1 (en) Closure device for end opening and endoscope
KR102041114B1 (ko) 관절용 내시경 재사용 방지 장치 및 방법
US20240065531A1 (en) Hand-held endoscopic system with a single-use cannula and a single-use access sheath
JPH0216729Y2 (ko)
JPH0363374B2 (ko)
KR101507896B1 (ko) 내시경용 인젝션 니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