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287B1 - 관절용 내시경 - Google Patents

관절용 내시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287B1
KR102315287B1 KR1020190149260A KR20190149260A KR102315287B1 KR 102315287 B1 KR102315287 B1 KR 102315287B1 KR 1020190149260 A KR1020190149260 A KR 1020190149260A KR 20190149260 A KR20190149260 A KR 20190149260A KR 102315287 B1 KR102315287 B1 KR 102315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mera
handle
needle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1570A (ko
Inventor
김동진
김혜정
Original Assignee
해성옵틱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성옵틱스(주) filed Critical 해성옵틱스(주)
Priority to KR1020190149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287B1/ko
Publication of KR20210061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31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 A61B1/31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introducing through surgical openings, e.g. laparoscopes for bones or joints, e.g. osteoscopes, arthr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1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modular constr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21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 A61B1/00124Connectors, fasteners and adapters, e.g. on the endoscope handle electrical, e.g. electrical plug-and-socket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74Optica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viewing an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5Control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8Endoscopic needles, e.g. for infu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절용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서, 핸들부와, 핸들부에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부와, 핸들부에 장착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주입부와, 핸들부에 장착되고 주입부와 연결되며 신체에 삽입되는 니들부와, 니들부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고 니들부에서 돌출되어 신체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니들부에 장착되고, 굴절광학계를 적용하여 카메라부의 화각을 변경하는 광학조절부를 포함하여, 신체 내부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촬영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절용 내시경{ENDOSCOPE FOR ARTHROSCOPY}
본 발명은 관절용 내시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절 내부를 검사하되 절개 부위의 확장을 억제하고, 굴절광학계를 이용하여 화각을 변경할 수 있는 관절용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은 광학 기기의 일종으로, 파이프나 선박건조 등 좁은 공간의 내부를 확인하는 산업용 내시경과, 인체 내부 검사를 위한 의료용 내시경으로 크게 구분된다.
의료용 내시경은 인체 내부에 직접 삽입되어 주변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인체 내부를 가시적으로 확인하고 진단하는 장비이다.
한편, 관절의 질환이나 손상에 대해 직접적인 피부 절개 및 관절 절개를 통한 시술을 행하던 과거와는 달리 현재에는 첨단의료장비인 관절경을 이용하여 진단과 동시에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의료용 내시경이 사용되는 관절경 수술은 환부를 절개하지 않고 조그만 구멍을 이용해 특수한 소형 카메라가 부착된 관절경을 관절 내에 삽입한 후, 모니터 등을 통해 관절의 내부를 관찰함으로써 특수촬영(CT, MRI)으로도 파악되지 않는 병변까지도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관절경은 카메라의 화각이 협소하여 넓은 시야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133248호(2014.11.19. 공개, 발명의 명칭 : 다기능 관절경)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관절 내부를 검사하되 절개 부위의 확장을 억제하고, 굴절광학계를 이용하여 화각을 변경할 수 있는 관절용 내시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은: 핸들부; 상기 핸들부에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부; 상기 핸들부에 장착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주입부; 상기 핸들부에 장착되고, 상기 주입부와 연결되며, 신체에 삽입되는 니들부; 상기 니들부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고, 상기 니들부에서 돌출되어 신체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니들부에 장착되고, 굴절광학계를 적용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화각을 변경하는 광학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핸들부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핸들몸체부; 및 상기 핸들몸체부의 외측 개구된 영역을 커버하고, 상기 주입부가 관통하는 핸들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부는 상기 핸들부에 탈부착되고, 디스플레이부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니들부는 상기 핸들부에 장착되는 니들연결부; 및 상기 니들연결부를 관통하고, 상기 주입부에 삽입되며, 단부가 경사를 가져 신체를 절개할 수 있는 니들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핸들부에 내장되어 이동 가능한 카메라홀더부; 상기 카메라홀더부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부에 노출되어 조작 가능한 카메라조작부; 상기 카메라홀더부에 장착되고, 상기 주입부를 관통하여 상기 니들부에 삽입되는 카메라관부; 상기 카메라관부의 단부에 장착되는 카메라촬영부; 및 상기 카메라촬영부에 연결되고 신호를 전달하는 카메라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학조절부는 상기 니들부에 장착되고, 광을 분산시키는 분산프리즘,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프리즘, 광의 반사 또는 투과가 가능한 분할프리즘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학조절부는 상기 니들부에 장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어 광을 반사하도록 구부러진 비구면렌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은 니들부가 신체에 삽입된 후 카메라부가 전진 이동되어 신체 내부를 촬영하므로, 니들부의 신체 삽입시 카메라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니들부의 신체 삽입 후 니들부와의 간섭없이 광범위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은 광학조절부가 니들부에 장착되어 카메라부의 화각을 확장시켜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에서 핸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에서 케이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에서 주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에서 니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에서 카메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0은 도 9에서 재사용방지부가 하드웨어적으로 재사용을 방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서 재사용방지부가 전기적 제어신호를 통해 재사용을 방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학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학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1)은 핸들부(10)와, 케이블부(20)와, 주입부(30)와, 니들부(40)와, 카메라부(50)와, 광학조절부(90)를 포함한다.
핸들부(10)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형상을 한다. 일 예로, 핸들부(10)는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카메라부(50)에서 촬영한 영상 이미지를 처리하고 전송하기 위한 다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부(20)는 핸들부(10)에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한다. 일 예로, 케이블부(20)는 핸들부(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핸들부(10)와 탈부착될 수 있으며, 영상신호 및 전기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주입부(30)는 핸들부(10)에 장착되어 유체를 공급한다. 일 예로, 주입부(30)는 세척을 위한 식염수를 공급하거나, 치료를 위한 약품을 공급할 수 있다.
니들부(40)는 핸들부(10)에 장착되고, 주입부(30)와 연결되며, 신체에 삽입된다. 일 예로, 니들부(40)는 삽입된 카메라부(50)를 보호하고,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또는 합금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외, 신체 절개를 위해 일정 경도 이상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50)는 니들부(40)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고, 니들부(40)에서 돌출되어 신체 내부를 촬영한다. 일 예로, 카메라부(50)는 니들부(40)가 신체에 삽입될 때에는 니들부(40)에 내장되어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부(50)는 니들부(40)가 피부를 절개하여 신체 내부에 삽입된 후에는 니들부(40)에서 돌출되어 신체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광학조절부(90)는 니들부(40)에 장착되고, 굴절광학계를 적용하여 카메라부(50)의 화각을 변경한다. 일예로, 광학조절부(90)는 니들부(40)의 단부에 장착되고, 카메라부(50)는 광학조절부(90)를 통과하여 화각이 증폭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관절 치료가 필요한 신체 부위에 니들부(40)를 삽입하고, 카메라부(50)를 통해 신체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절용 내시경(1)은 1회용으로 제작되어, 별도의 세척 및 살균 공정이 삭제되고, 사용이 완료된 관절용 내시경(1)은 폐기 처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에서 핸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10)는 핸들몸체부(11)와, 핸들커버부(12)를 포함한다.
핸들몸체부(11)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형상을 한다. 핸들몸체부(11)는 한 쌍이 후크 결합 가능하며 내부가 비워진 형상을 하여 주입부(30)와 카메라부(50)가 내장될 수 있다. 일 예로, 핸들몸체부(11)는 전단부가 개구된 핸들전단홀부(111)와, 카메라부(50) 조작을 위해 상측이 개구된 핸들조작홀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커버부(12)는 핸들몸체부(11)의 외측 개구된 영역을 커버하고, 주입부(30)가 관통한다. 일 예로, 핸들커버부(12)는 한 쌍의 핸들몸체부(11)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핸들조작홀부(112)를 커버할 수 있다. 핸들커버부(12)는 핸들조작홀부(112)를 커버하는 커버케이스부(121)와, 커버케이스부(121)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홀이 형성되는 커버조작홀부(122)와, 카메라부(50)를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버튼부(59)가 설치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커버버튼홀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버튼부(59)가 조작되면 카메라부(50)가 촬영한 이미지가 캡쳐 및 저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버튼부(59)를 통해 캡쳐된 1장의 이미지 뿐만 아니라 동영상을 기록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즉, 카메라버튼부(59)를 1회 누르면 이미지 캡쳐가 되고, 1회 이상 누르고 있으면 손을 뗄 때까지 동영상의 저장, 연속으로 2회 이상 누르면 동영상으로 저장되고, 해당 PC의 UI에서도 이미지 저장과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기능과 연동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에서 케이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부(20)는 핸들부(10)에 탈부착되고, 디스플레이부(100)와 접속된다.
일 예로, 핸들부(10)의 후단부에는 카메라부(50)와 연결되고 영상 신호와 전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핸들단자부(1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케이블부(20)는 일단부가 핸들단자부(14)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노트북 또는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부(100)와 접속되어 영상 신호 및 전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케이블부(20)는 폐기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그 외, 핸들부(10)와 케이블부(20)는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케이블부(20)를 포함한 핸들부(10)가 폐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에서 주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입부(30)는 주입몸체부(31)와, 주입관부(32)와, 주입주사부(33)와, 주입수밀부(34)를 포함한다.
주입몸체부(31)는 핸들부(10)에 내장되고, 니들부(40)와 연결된다. 일 예로, 주입몸체부(31)는 핸들부(10)에 내장되고 내부에 제1주입공간부(313)가 형성되는 제1주입몸체부(311)와, 제1주입몸체부(311)의 전단부에서 연장되고, 니들부(40)가 삽입되는 제2주입몸체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주입몸체부(312)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주입공간부(314)의 직경은 제1주입공간부(313)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주입관부(32)는 주입몸체부(31)와 연통되고, 핸들부(1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일 예로, 주입관부(32)는 제1주입몸체부(311)에서 연장되어 제1주입공간부(313)와 연통될 수 있다. 주입관부(32)는 핸들커버부(12)에 형성되는 커버관통홀부(124)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주입관부(3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주입주사부(33)는 주입관부(32)와 나사 결합되며 유체를 주입한다. 일 예로, 주입주사부(33)는 주입관부(32)의 단부와 나사 결합되어 연결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핸들부(10)를 조작할 때 주입주사부(33)가 지지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주입수밀부(34)는 주입몸체부(31)에 내장되고, 주입몸체부(31)를 관통하는 카메라부(50)에 밀착되어 유체 누수를 방지한다. 일 예로, 주입수밀부(34)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1주입공간부(313)의 내벽에 밀착되는 제1수밀부(341)와, 제1수밀부(341)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카메라부(50)에 밀착되는 제2수밀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임수밀부(34)는 제1주입공간부(313)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에서 니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니들부(40)는 니들연결부(41)와 니들관부(42)를 포함한다.
니들연결부(41)는 핸들부(10)의 전단부에 삽입되어 고정 설치된다. 일 예로, 니들연결부(41)는 전단부로 갈수로 외경이 줄어드는 형상을 하되, 후단부가 핸들부(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니들관부(42)는 니들연결부(41)를 관통하고, 주입부(30)에 삽입되며, 단부가 경사를 가져 신체를 절개할 수 있다. 일 예로, 니들관부(42)는 제2주입몸체부(312)에 연결됨으로써, 주입관부(32)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안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에서 카메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50)는 카메라홀더부(51)와, 카메라조작부(52)와, 카메라관부(53)와, 카메라촬영부(54)와, 카메라모듈부(55)를 포함한다.
카메라홀더부(51)는 핸들부(10)에 내장되어 이동 가능한다. 일 예로, 카메라홀더부(51)는 제1주입몸체부(31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주입몸체부(311)를 감쌀 수 있는 제1홀더부(511)와, 제1홀더부(51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홀더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홀더부(511)에는 홀이 형성되어 이동 과정에서 주입관부(32)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카메라조작부(52)는 카메라홀더부(51)에 연결되고, 핸들부(10)에 노출되어 조작 가능하다. 일 예로, 카메라조작부(52)는 외부로 노출되어 커버조작홀부(122)를 따라 이동 가능한 제1조작부(521)와, 제1조작부(521)의 저면에서 돌출되어 카메라홀더부(51)에 삽입되는 제2조작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관부(53)는 카메라홀더부(51)에 장착되고, 주입부(30)를 관통하여 니들부(40)에 삽입된다. 일 예로, 카메라관부(53)는 제1카메라홀더부(51)에 장착되고, 주입수밀부(34)를 통과하며, 니들관부(4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주입수밀부(34)가 카메라관부(53)의 외측에 밀착되어 유체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카메라촬영부(54)는 카메라관부(53)의 단부에 장착되어 영상정보를 획득한다. 일예로, 카메라촬영부(54)는 카메라관부(53)의 단부에 장착되고, 카메라관부(53)가 이동됨에 따라 니들관부(42)에서 노출되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촬영부(54)는 중앙부에 영상 촬영을 위한 렌즈가 배치되고, 렌즈 주변으로 복수개의 광파이버가 배치되어 광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부(55)는 카메라촬영부(54)에 연결되고 신호를 전달한다. 일 예로, 카메라모듈부(55)는 광섬유를 사용하여 영상신호, 광신호, 전기신호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카메라촬영부(54)는 조명이 점등되면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은 카메라모듈부(55)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0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1회용으로 포장된 관절용 내시경(1)의 포장지를 뜯고, 케이블부(20)를 디스플레이부(100)에 연결하며, 주입주사부(33)를 주입관부(32)에 연결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핸들부(10)를 파지하고, 니들부(40)를 신체에 삽입하여 목적지에 도달시킨 다음, 카메라부(50)를 전진 이동시켜 신체 내부를 촬영한다.
촬영 중 주입주사부(33)를 통해 식염수를 공급하여 카메라부(50)에 대한 세척을 실시하고, 필요에 따라 약물을 공급하여 치료를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주입주사부(33)를 통해 공급되는 유체는 주입관부(32)를 통해 주입몸체부(31)에 도달된 후 니들관부(42)와 카메라관부(53) 사이 공간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관부(53)와 밀찰된 주입수밀부(34)가 유체의 누수를 막아 카메라부(50)의 손상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1)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재사용을 강제로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방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10은 도 9에서 재사용방지부가 하드웨어적으로 재사용을 방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도 9에서 재사용방지부가 전기적 제어신호를 통해 재사용을 방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재사용방지부(60)은 환자의 위생 및 2차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카메라부(50)의 재사용을 강제로 방지할 수 있다.
제1예로, 하드웨어적으로 카메라부(50)의 재활용을 방지하기 위해, 재사용방지부(60)는 핸들부(10)에 장착되어 카메라부(50)의 역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재사용방지부(60)는 제1방지부(61)와, 제2방지부(62)와, 제3방지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방지부(61)는 카메라조작부(52)에 형성된다. 일 예로, 제1방지부(61)는 카메라조작부(52)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방지부(61)는 단면이 직각 삼각형 형상을 할 수 있다.
제2방지부(62)는 핸드부(10)에 형성된 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제1방지부(61)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된다. 제2방지부(62)는 제1방지부(61)가 통과한 후 제1방지부(61)의 후진을 제한한다. 일 예로, 제2방지부(62)는 제1방지부(61)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는 제2방지걸림부(621)와, 제2방지걸림부(621)에서 연장되고 핸들커버부(12)에 형성되는 커버삽입홈부(129)에 삽입되는 제2방지삽입부(6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방지걸림부(621)는 단면이 직각 삼각형 형상을 할 수 있으며, 제1방지부(61)와 경사면이 마주볼 수 있다.
제3방지부(63)는 핸드부(10)에 삽입된 제2방지부(62)를 탄성 지지한다. 일 예로, 제3방지부(63)는 제2방지삽입부(622)를 감싸는 코일스프링 형상을 하고, 커버삽입홈부(129)에 삽입되어 제2방지걸림부(621)의 단부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조작부(52)가 전방 이동시, 제1방지부(61)에 걸린 제2방지부(62)가 커버삽입홈부(129)에 삽입되면서 제1방지부(61)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촬영부(54)가 외부로 노출되어 대상물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대상물에 대한 영상 정보 획득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카메라조작부(52)를 후방 이동시키더라도, 제1방지부(61)와 제2방지걸림부(621)가 면접촉되어 걸림 상태를 유지하므로, 카메라조작부(52)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 또는 피사용자가 카메라부(50)의 사용 유무를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재사용방지부(60)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카메라부(50) 사용 여부를 제한할 수 있다. 즉, 제4방지부(64)는 카메라모듈부(55)에 장착되고, 설정 회수 이상 디스플레이부(100)와의 접속이 감지될 때 카메라모듈부(55)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학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학조절부(90)는 분산프리즘(91), 반사프리즘(92), 분할프리즘(93) 중 어느 하나가 니들부(40)에 장착된다. 그 외, 분산프리즘(91), 반사프리즘(92), 분할프리즘(93) 중 2개 이상이 혼용되어 니들부(40)에 장착될 수 있다.
분산프리즘(91)은 광을 분산시킨다. 일예로, 분산프리즘(91)은 단면이 이등변삼각형 형상을 하고 저면이 니들부(4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부(50)에서 조사된 광은 분산프리즘(91)에 의해 분산되어 화각이 변경될 수 있다.
반사프리즘(92)은 광을 반사시킨다. 일예로, 반사프리즘(92)은 단면이 직삼각형 형상을 하고, 카메라부(50)와 일직선상에 반사면이 형성되며, 반사지지부(921)는 니들부(40)에 장착되면서 반사프리즘(92)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부(50)에서 조사된 광은 반사프리즘(92)을 통해 반사되어 화각이 변경될 수 있다.
분할프리즘(93)은 광의 반사 또는 투과가 가능하다. 일예로, 단면이 삼각형 형상을 하는 2개가 결합되어 사각형 형상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부(50)에서 조사된 광은 분할프리즘(93)을 통해 일부는 투과되고 일부는 반사되어 화각이 변경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학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학조절부(90)는 지지부(95)와 비구면렌즈부(96)를 포함한다.
지지부(95)는 니들부(40)에 장착되고, 지지부(95)에 장착되는 비구면렌즈부(96)는 광을 반사하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한다.
일예로, 지지부(95)는 단면이 이등변삼각형 형상을 하여 저면이 니들부(40)에 장착되고, 카메라부(50)와 마주보는 변에 곡률을 갖는 비구면렌즈(96)가 장착되어 화각 변경을 유도할 수 있다.
지지부(95)는 니들부(4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카메라부(50)와 연동되어 이동되면서 카메라부(50)의 시야를 확보하고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광학조절부(90)가 삭제된 경우 카메라부(50)는 경사각 0도인 120도의 화각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그러나, 광학조절부(90)가 광 경로를 변경하여 경사각을 확보(분산프리즘의 경우 경사각 10도 내지 20도 확보)하므로, 120도 화각을 유지하면서 카메라부(50)의 회전 화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촬영부(54)는 광학계인 렌즈와, 렌즈 주변에 배치되어 광원 기능을 하는 발산계인 광파이버를 포함하는데, 광파이버가 렌즈 보다 좁은 화각을 가지더라도 분산프리즘(91)을 이용하여 카메라부(50) 회전시 렌즈의 화각을 커버할 수 있다.
그 외, 광학조절부(90)는 회전 발산계의 영역 확대와 광학계 시야각 확대를 추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학조절부(90)인 프리즘의 형상이 렌즈 영역과 광파이버 영역으로 구분되어 굴절 또는 반사 영역이 달라지도록 형상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1)은 니들부(40)가 신체에 삽입된 후 카메라부(50)가 전진 이동되어 신체 내부를 촬영하므로, 니들부(40)의 신체 삽입시 카메라부(50)의 손상을 방지하고, 니들부(40)의 신체 삽입 후 니들부(40)와의 간섭 없이 광범위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절용 내시경(1)은 광학조절부(90)가 니들부(40)에 장착되어 카메라부(50)의 화각을 확장시켜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핸들부 11 : 핸들몸체부
12 : 핸들커버부 13 : 핸들유도부
20 : 케이블부 30 : 주입부
31 : 주입몸체부 32 : 주입관부
33 : 주입주사부 34 : 주입기밀부
40 : 니들부 41 : 니들연결부
42 : 니들관부 50 : 카메라부
51 : 카메라홀더부 52 : 카메라조작부
53 : 카메라관부 54 : 카메라촬영부
55 : 카메라모듈부 60 : 재사용방지부
90 : 광학조절부 91 : 분산프리즘
92 : 반사프리즘 93 : 분할프리즘
95 : 지지부 96 : 비구면렌즈부

Claims (7)

  1. 핸들부;
    상기 핸들부에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부;
    상기 핸들부에 장착되어 유체를 공급하는 주입부;
    상기 핸들부에 장착되고, 상기 주입부와 연결되며, 신체에 삽입되는 니들부;
    상기 니들부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하고, 상기 니들부에서 돌출되어 신체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니들부에 장착되고, 굴절광학계를 적용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화각을 변경하는 광학조절부; 및
    상기 핸들부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부의 역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재사용을 방지하는 재사용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핸들부에 내장되어 이동 가능한 카메라홀더부;
    상기 카메라홀더부에 연결되고, 상기 핸들부에 노출되어 조작 가능한 카메라조작부;
    상기 카메라홀더부에 장착되고, 상기 주입부를 관통하여 상기 니들부에 삽입되는 카메라관부;
    상기 카메라관부의 단부에 장착되는 카메라촬영부; 및
    상기 카메라촬영부에 연결되고 신호를 전달하는 카메라모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재사용방지부는
    상기 카메라조작부에 형성되는 제1방지부;
    상기 핸들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1방지부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방지부 통과 후 상기 제1방지부의 후진을 제한하는 제2방지부; 및
    상기 핸들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방지부를 탄성 지지하는 제3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내시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핸들몸체부; 및
    상기 핸들몸체부의 외측 개구된 영역을 커버하고, 상기 주입부가 관통하는 핸들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내시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부는
    상기 핸들부에 탈부착되고, 디스플레이부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내시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부는
    상기 핸들부에 장착되는 니들연결부; 및
    상기 니들연결부를 관통하고, 상기 주입부에 삽입되며, 단부가 경사를 가져 신체를 절개할 수 있는 니들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내시경.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조절부는
    상기 니들부에 장착되고, 광을 분산시키는 분산프리즘,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프리즘, 광의 반사 또는 투과가 가능한 분할프리즘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내시경.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조절부는
    상기 니들부에 장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어 광을 반사하도록 구부러진 비구면렌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내시경.
KR1020190149260A 2019-11-20 2019-11-20 관절용 내시경 KR102315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260A KR102315287B1 (ko) 2019-11-20 2019-11-20 관절용 내시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260A KR102315287B1 (ko) 2019-11-20 2019-11-20 관절용 내시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570A KR20210061570A (ko) 2021-05-28
KR102315287B1 true KR102315287B1 (ko) 2021-10-21

Family

ID=76140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260A KR102315287B1 (ko) 2019-11-20 2019-11-20 관절용 내시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2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7901A1 (ko) * 2020-11-17 2022-05-27 해성옵틱스(주) 관절용 내시경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49143B3 (de) * 2009-10-12 2010-12-30 Sopro-Comeg Gmbh Endoskop
KR102025221B1 (ko) * 2017-11-01 2019-09-25 해성옵틱스(주) 관절용 내시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570A (ko) 2021-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8284B1 (en) Optical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EP2136695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reducing reflection-illuminated artifacts
JP3739592B2 (ja) 腹腔鏡装置
US8317688B2 (en) Multi-view endoscopic imaging system
JP5819962B2 (ja) 関節鏡システム
US5329936A (en) Portable arthroscope with periscope optics
WO2006052769A1 (en) Endoscope with independently rotatable tube and eyepiece
KR102025220B1 (ko) 관절용 내시경
EP2579768A1 (en) Integrated fiber optic ophthalmic intraocular surgical device with camera
JP4648638B2 (ja) 内視鏡
WO1995012345A1 (en) Endoscopic operating microscope
US5323767A (en) Portable arthroscope with periscope optics
KR102315287B1 (ko) 관절용 내시경
EP0549097A1 (en) Portable arthroscope with periscope optics
JP6355438B2 (ja) 眼科測定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3869535B2 (ja) 内視鏡
KR102025221B1 (ko) 관절용 내시경
JPH09220192A (ja) 内視鏡
KR102354230B1 (ko) 관절용 내시경
US6309348B1 (en) Endomicroscope system
KR102315285B1 (ko) 관절용 내시경
KR102315284B1 (ko) 관절용 내시경
KR102315286B1 (ko) 관절용 내시경
KR102343521B1 (ko) 관절용 내시경
WO2022107901A1 (ko) 관절용 내시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