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303B1 -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해 다종의 그린스틱을 대량으로 동시에 생산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해 다종의 그린스틱을 대량으로 동시에 생산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303B1
KR102343303B1 KR1020210040086A KR20210040086A KR102343303B1 KR 102343303 B1 KR102343303 B1 KR 102343303B1 KR 1020210040086 A KR1020210040086 A KR 1020210040086A KR 20210040086 A KR20210040086 A KR 20210040086A KR 102343303 B1 KR102343303 B1 KR 102343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waste
target mixture
fastening
fermentation
thermo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일 김
김찬호
Original Assignee
김일
주식회사 마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 주식회사 마크 filed Critical 김일
Priority to KR1020210040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64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 C05F17/971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 C05F17/979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the other material being gase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93Arrangements for measuring process parameters, e.g. temperature, pressure or humid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10Solid or semi-solid fertilisers, e.g. powders
    • C05G5/14Tablets, spikes, rods, blocks or b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과 영양물과 효소 및 미생물이 혼합된 목적 혼합물을 건조, 발효 및 압축하여 각종 용도의 퇴비나 목적 비료로 사용할 수 있는 그린스틱을 다종, 대량, 동시에 생산하는 그린스틱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하여 가벼워져서 포장과 운반과 보관비용을 절감하고 시비를 자동화하는 등의 취급이 혁신적으로 용이하고, 악취발생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고, 유해 미생물을 멸균하여 병충해를 예방하고, 저가원료와 저에너지비용으로 가격과 품질 경쟁력이 우수한 그린스틱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린스틱 생산 시스템은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 건조된 유기성 폐기물과 영양물, 효소 및 미생물이 혼합된 목적 혼합물을 저장하는 호퍼; 상기 호퍼에서 배출되는 목적 혼합물이 담기는 톤백이 올려진 이동대차; 상기 톤백 내부로 투입되어 목적 혼합물에 공기를 주입하는 주입노즐; 상기 톤백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계측하는 온도계와 습도계; 상기 주입노즐을 통한 공기의 주입을 제어하고, 상기 온도계와 습도계에서 계측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목적 혼합물의 발효 진행과 완료를 판단하는 컨트롤러; 상기 톤백에서 발효가 완료된 목적 혼합물을 압축하여 그린스틱을 성형하는 압축성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해 다종의 그린스틱을 대량으로 동시에 생산하는 시스템{Manufacturing System for green-stick}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과 영양물과 효소 및 미생물이 혼합된 목적 혼합물을 건조, 발효 및 압축하여 각종 용도의 퇴비나 목적 비료로 사용할 수 있는 그린스틱을 다종, 대량, 동시에 생산하는 그린스틱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하여 가벼워져서 포장과 운반과 보관비용을 절감하고 시비를 자동화하는 등의 취급이 혁신적으로 용이하고, 악취발생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고, 유해 미생물을 멸균하여 병충해를 예방하고, 저가원료와 저에너지비용으로 가격과 품질 경쟁력이 우수한 그린스틱 생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 가축 분뇨, 하수 슬러지 등의 유기성 폐기물은 폐기할 경우 심각한 토질의 오염과 더불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등록특허 10-0472781 "음식물쓰레기 및 농축해수산 유기성폐기물의 발생지즉석처리퇴비제조특장차량", 등록특허 10-0555383 "하수슬러지를 이용한 비료의 제조방법", 공개특허 특2002-0062616 "유기성 폐기물 슬러지를 원료로한 퇴비료 생산 방법" 등은 유기성 폐기물로 퇴비나 비료로 만드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종래기술은 유기성 폐기물을 분쇄한 후에 황토, 고령토, 광물, 영양물 등을 혼합하고, 혼합물을 발효시켜서 퇴비나 비료를 만든다.
종래기술은 혼합물을 발효시키는데 10일 이상의 상당한 기일이 소요된다. 그리고 발효된 퇴비는 습기가 많아 무겁고 부피가 크고 악취가 많이 발생하고, 유해 세균이 번식하는 경우 가축병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발효된 퇴비의 포장 비용, 포장된 퇴비의 보관 및 유통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그리고 무겁고 악취나는 퇴비를 농지에 시비하는데 작업이 불편하고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가 현존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유기성 폐기물을 활용해 생산되는 퇴비나 비료가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목적 혼합물의 발효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여 다종의 퇴비나 비료를 동시에 신속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퇴비나 비료는 습기 함량이 낮고 압축성형으로 스틱이나 펠릿 형태로 생산되어서 가벼우며 악취가 발생하지 않아서 운반, 보관 및 시비가 용이하며 효율적이고, 유해 미생물은 멸균시키고 유익 미생물은 첨가하여 재배식물의 성장을 촉진하며 병충해를 예방하고, 버려지는 유기성 폐기물을 사용하고 폐열을 재활하여 생산비용과 소비에너지가 획기적으로 절감되는 그린스틱 생산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린스틱 생산 시스템은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
건조된 유기성 폐기물과 영양물, 효소 및 미생물이 혼합된 목적 혼합물을 저장하는 호퍼;
상기 호퍼에서 배출되는 목적 혼합물이 담기는 톤백이 올려진 이동대차;
상기 톤백 내부로 투입되어 목적 혼합물에 공기를 주입하는 주입노즐;
상기 톤백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계측하는 온도계와 습도계;
상기 주입노즐을 통한 공기의 주입을 제어하고, 상기 온도계와 습도계에서 계측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목적 혼합물의 발효 진행과 완료를 판단하는 컨트롤러;
상기 톤백에서 발효가 완료된 목적 혼합물을 압축하여 그린스틱을 성형하는 압축성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톤백에 연결되어서 발효시 발생되는 가스를 배기시키는 배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동대차에 구비되어서 톤백에 담기 목적 혼합물의 무게를 계측하는 저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저울을 상기 이동대차에 체결시키는 케결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유닛은
광홀부와, 상기 광홀부와 연결되며 폭은 더 작은 협홀부와, 상기 협홀부의 하부측에 형성되며 상기 광홀부와 연결되는 고정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대차에 구비되는 체결블럭과,
상기 광홀부로 투입되며 상기 고정공간부에 걸리는 걸림볼과, 상기 걸림볼의 상부로 연결되며 상기 협홀부를 통과하는 핀부와, 상기 핀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스프링으로 탄지되어서 상기 저울의 베이스판을 상기 체결블럭의 표면으로 누르는 누름판과, 상기 핀부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단부에는 상기 광홀부에 투입되어 걸리는 지지볼이 구비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체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린스틱 생산 시스템은 퇴비를 건조 및 압축성형된 스틱이나 펠릿 형태로 세계 최초로 생산하는 시스템이고, 목적 혼합물의 발효 속도가 매우 빨라서 그린스틱을 신속하게 다종의 목적비료를 동시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수분함량이 적고 압축성형되어서 가볍고 악취가 적어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농지에 시비하는 시간과 노농력이 10배 이상 적게 들고, 유해 미생물은 멸균시키고 유익 미생물은 첨가하여 재배식물의 성장을 촉진하며 병충해를 예방하고, 시스템의 구축비용과 소비에너지 그리고 그린스틱의 생산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되고, 저울은 이동대차 위에 간편하게 탈부착되되어서 관리와 유지보수가 용이한 제품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그린스틱 생산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유닛을 요부로 하는 사시도.
도 3 은 체결유닛의 체결모습을 모여주는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린스틱 생산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린스틱 생산 시스템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린스틱 생산 시스템은 분쇄기(10), 건조기(20), 혼합기(30), 호퍼(40), 이동대차(50), 압축성형기(60), 주입노즐((74), 컴프레셔(75), 온도계(72), 습도계(73), 저울(71), 컨트롤러(79)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분쇄기(10)는 유기성 폐기물을 분쇄하여 분말로 만든다.
여기서, 유기성 폐기물은 음식물 쓰레기, 오폐수 슬러지, 가축 분뇨, 등겨나 콩껍질 같은 곡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기성 폐기물은 버려지면 악취가 발생하고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폐기비용을 줄이기 위해 불법으로 처리되기도 하는 물질로서, 이러한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해 퇴비나 비료를 만들면 악취를 줄이고 환경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고, 버려지는 물질을 재활용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분쇄기(10)는 내부가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1)과 하우징 내부에서 회전하여 하우징으로 투입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갈아 분쇄시키는 분쇄블럭(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건조기(20)는 분쇄된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하여 수분 함량을 대폭으로 낮춘다. 상기 건조기(20)에서 건조된 유기성 폐기물은 수분 함량이 15%~25% 수준이 된다.
상기 건조기(20)는 약 120도에서 160도 사이의 온도에서 그리고 약 진공상태에서 분쇄된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시킨다.
상기 건조기(20)에서 120도에서 160도의 온도로 건조되는 유기성 폐기물은 함유되어 있는 미생물, 특히 유해 미생물이 멸균되어서, 퇴비나 비료에 의해 유발되는 병충해나 가축병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건조기(20)는 입구와 출구에서 유기성 폐기물 분말이 압착된 상태로 지속적으로 투입되고 배출되도록 하여서, 건조기(20) 내부를 약 진공상태로 만들고, 유기성 폐기물이 연속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건조기(20)에서 건조를 위한 열원은 상기 압축성형기에서 압축성형한 것을 연료로 소각하면서 발생 되는 열이나, 목적 혼합물의 발효시 발생되는 가스를 소각하면서 발생 되는 열을 재활용하여 건조에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폐열을 건조기(20)의 열원으로 사용하면 가스, 석유, 전기 등의 에너지 소비를 대폭 줄일 수 있고 외화 낭비를 방지한다.
상기 건조기(20)는 상기 분쇄기(10)에서 분쇄된 유기성 폐기물이 투입되는 건조탱크(21)와, 상기 건조탱크(21)를 가열하는 히터(22)와, 건조탱크(21)에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혼합기(30)는 건조된 유기성 폐기물 분말에 영양물, 효소 및 미생물을 투입하고 이들을 혼합시켜서 목적비료 형성전 단계의 목적 혼합물로 만든다.
상기 혼합기(30)는 교반날개(32)가 구비된 혼합탱크(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교반날개(32)가 구비된 혼합탱크(31)를 사용하지 않고, 건조기(20)에서 건조된 유기성 폐기물 분말이 담기는 통(34)에 영양물, 효소 및 미생물 투입하고, 이들을 호퍼(40)로 이동시키는 이송스크류(35) 내부에서 이들(유기성 폐기물, 영양물, 효소 및 미생물)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동력 손실 없고 추가 장치비용 없이 이송스크류를 혼합기(30)로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영양물은 황토, 석회석과 같은 각종 광물가루와, 인, 칼슘, 비타민 등의 각종 영양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생산되는 퇴비나 비료의 사용 목적(용처)이나,주문자의 사용 목적(요구사항)에 따른 광물가루나 영양소를 영양물로 투입, 혼합시킨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목적 혼합물' 등의 용어에서 '목적'은 이처럼 본 발명은 퇴비나 비료의 사용 목적에 따라, 주문자의 요구하는 퇴비나 비료의 사용 목적에 따라 퇴비나 비료의 영영성분, 수분 함량, 성분, 발효상태 등을 조절할 수 있기에 이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다.
상기 효소와 미생물을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 분해, 산화 등을 촉진시키고 악취를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미생물은 협기성 미생물과 호기성 미생물이 사용될 수 있다. 호기성 미생물은 바실러스균, 광합성균, 효모균, 호열성 미생물이 이용되며 악취발생을 억제하고, 단백질과 섬유질 분해를 통해 퇴비 숙성을 촉진하며, 작물의 성장 영양분, 필수 아미노산과 비타민을 생성하여 유기질 퇴비나 비료 생산에 기여한다.
상기 호퍼(40)는 상기 혼합기(30)에서 혼합된 목적 혼합물을 투입되어 저장하고, 저장된 목적 혼합물을 배출하여 톤백(1)에 담는다. 톤백(1)은 방수 기능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톤백(1)'은 협의의 톤백(1) 보다는 목적 혼합물을 담는 대형 용기를 대표하는 용어이다.
상기 이동대차(50)는 그 위에 상기 톤백(1)이 올려지고, 바닥에는 바퀴(51)가 달려서 톤백(1)에 담기 혼합물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대차(50)의 상부에는 저울(71)이 구비되어서, 톤백(1)에 담긴 목적 혼합물의 무게를 계량할 수 있다.
상기 저울(71)은 상기 이동대차(50) 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호퍼(40)에서 배출되어 톤백(1)에 담기 목적 혼합물은 이동대차(50)를 통해 발효 장소로 이동된다.
발효장소에는 톤백(1)에 담긴 목적 혼합물을 협기 발효 또는 호기 발효를 선택적응로 발효시키는데 사용되는 각종 장비가 구비된다.
발효장소는 동시에 수십 개에서 수백 개의 톤백(1)에 담긴 목적 혼합물을 발효시킬 수 있는 면적과 장비를 구비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다양한 종류의 퇴비나 비료를 동시에 생산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발효장소에는 주입노즐(74), 컴프레셔(75), 온도계(72), 습도계(73), 컨트롤러(79) 등의 장비가 구비된다.
상기 주입노즐(74)은 톤백(1) 내부의 목적 혼합물로 투입되고 공기를 분사하여 목적 혼합물에 호기발효용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주입노즐(74)은 다수개가 목적 혼합물을 여러 부위에 투입되고, 공기를 고압으로 분사하여서 목적 혼합물이 고압의 공기에 의해 들썩거리면서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고, 고압의 공기는 발효를 최적으로 촉진시키도록 주입시기와 주입양, 주입횟수 등이 컨트롤러에 의해 자동제어 된다.
상기 컴프레셔(75)는 호스(77)를 통해 상기 주입노즐(74)에 연결되어서, 주입노즐(74)의 고압의 공기를 공급한다. 호스에는 밸브유닛(76)이 연결되고, 밸브유닛은 컨트롤러(79)에 의해 개폐가 제어된다.
상기 배기관(78)은 톤백(1)의 상부에 연결되어서, 목적 혼합물의 발효시 발생되는 가스를 소각시설로 보낸다.
목적 혼합물의 발효시 발생되는 가스는 악취를 풍기에 되는데, 본발명은 배기관(78)을 통해 공중으로 확산을 차단하고, 소각시설로 보내 소각시킴으로써 악취의 전파를 원천 차단한다.
발효 가스를 소각시설에서 소각하면서 발생되는 폐열은 상기 건조기(20)로 보내져 유기성 폐기물의 건조를 위한 열원으로 재활용 될 수 있다.
상기 온도계(72)와 습도계(73)는 목적 혼합물의 발효되는 톤백(1)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계측하여 상기 컨트롤러(79)로 전송한다.
상기 컨트롤러(79)는 상기 컴프레셔(75)와 밸브유닛(76)을 제어하여 주입노즐(74)을 통해 목적 혼합물로의 공기 주입을 제어한다.
상기 컨트롤러(79)는 저울(71)이 계측하는 목적 혼합물의 무게와 무게의 변화, 온도계(72)가 계측하는 목적 혼합물의 온도, 습도계(73)가 계측하는 목적 혼합물의 습도, 발효 시간의 경과 등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목적 혼합물의 발효과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
유기성 폐기물에 효소와 미생물을 혼합시키고, 혼합물의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면서 발효를 시키고, 건조기(20)에서 가열된 고온이 발효장소의 톤백(1)에서도 상당부분 유지되어서 본 발명은 목적비료의 종류에 따라서 짧게는 하루 길게는 십오일 이내에 발효가 완료된다.
발효가 완료된 목적 혼합물이 담긴 톤백(1)은 이동 크레인이나 지게차 등의 장비를 사용해 이동대차(50)에서 들어올려지고, 압축성형기(60)로 공급된다.
상기 압축성형기(60)는 발효가 완료된 목적 혼합물을 압착하여 스틱이나 펠릿 형태의 퇴비나 비료를 성형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 생산된 퇴비 또는 비료는 친환경이며 스틱 또는 펠릿 형태의 제품이기에 '그린스틱'으로 명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으로 생산되는 그린스틱은 수분함량이 15%~20% 수준으로 낮고, 스틱이나 펠릿 형태로 압축성형되어서, 습도가 높고 압축되지 않은 일반적인 퇴비에 비해서, 동일 성분량 대비 부기와 무게가 획기적으로 줄어든다.
그래서 본 발명은 포장비용, 보관비용, 운반비용 등이 종래기술 대비 1/3에서 1/5 수준으로 획기적으로 절감되고, 퇴비를 농지에 시비하는 노동력을 자동화하면 1/10 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
도2와 도3에는 상기 저울(71)을 상기 이동대차(50)의 상부에 간편신속하면서 견고하게 체결 및 분리시키는 체결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이동대차(50)의 상부에 구비되는 체결블럭(80)과, 상기 저울(71)의 베이스판(711)를 상기 체결블럭(80)에 조여서 고정설치시키는 체결핀(90)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블럭(80)은 상기 이동대차(50)의 상부 가장자리로 네 변의 중심부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체결블럭(80)에는 폭이 큰 광홀부(81)와, 광홀부(81)에 연결되며 폭이 작은 협홀부(82)가 형성되고, 상기 협홀부(82)의 하부측에는 폭이 넓어져 상부에 걸림턱(84)을 만드는 고정공간부(8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간부(83)의 바닥에는 오목한 안착홈(85)이 형성된다.
상기 저울(71)은 베이스판(711)과, 상기 베이스판(711)의 상부에 탄지되어 구비되며 위에 올려지는 톤백(1)의 하중을 부담하는 하중판(713)을 포함한다.
싱기 베이스판(711)에는 상기 체결블럭(80)을 수용하는 수용덮개(714)가 형성되어서, 저울(71)이 이동대차(50) 위에 올려진 위치를 안내한다.
상기 수용덮개(714)에는 상기 광홀부(81)와 협홀부(82)에 상응하는 광공부(715)와 협공부(716)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핀(90)은 상기 광홀부(81)에 상응하는 직경을 가져 광홀부(81)로 투입되며 상기 고정공간부(83)로 이동하여서 상부는 상기 걸림턱(84)에 걸리며 하부는 상기 안착홈(85)에 안착되는 걸림볼(91)과, 상기 걸림볼(91)의 상부로 연결되고 상기 협홀부(82)에 상응하는 직경을 가져서 협홀부(82)를 통과하는 핀부(92)와, 상기 핀부(92)에 형성된 소경부(93)에 삽입되어서 소경부(93)를 따라 승하강 가능하고 스프링(94)으로 탄지되어서 저울(71)의 베이스판(711)의 수용덮개(714)를 체결블럭(80) 표면으로 눌러 조이는 누름판(95)과, 상기 핀부(92)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바(96)와, 상기 지지바(96)의 단부로서 하부측에 구비되며 상기 광홀부(81)에 투입되어 걸리는 지지볼(97)과, 상기 지지바(96)의 단부로서 상부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파지하여 당기거나 미는 파지볼(9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바(96)는 스프링으로 탄지되어서 하부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체결유닛을 사용해 저울(71)의 베이스판(711)를 이동대차(50)에 체결시키고 분리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
먼저, 저울(71)의 베이스판(711)를 체결블럭(80) 위에 올려놓고 저울(71)의 베이스판(711)의 광공부(715)와 협공부(716)를 체결블럭(80)의 광홀부(81)와 협홀부(82)에 일치시킨다.
다음으로, 체결핀(90)의 걸림볼(91)을 광공부(715) 및 광홀부(81)로 밀어넣어 투입시킨 후에 협홀부(82) 방향으로 밀어 핀부(92)가 협홀부(82)를 통과하도록 한다.
이때, 걸림볼(91)은 고정공간부(83)로 진입하면 상부는 걸림턱(84)에 걸려 이탈이 방지되고 끝까지 이동되면 걸림볼(91)의 하부는 안착홈(85)에 안착되어 고정위치를 잡는다.
체결핀(90)의 걸림볼(91)이 광홀부(81)로 투입되면 누름판(95)은 스프링으로 탄지되어서 저울(71)의 베이스판(711)의 표면을 가압하여 눌러주어서 저울(71)의 베이스판(711)를 흔들리지 않게 잡아준다.
체결핀(90)의 걸림볼(91)이 광홀부(81)로 투입되면 지지바(96)의 단부에 구비되는 지지볼(97)이 저울(71)의 베이스판(711)의 표면이 접촉되고, 체결핀(90)이 협홀부(82)로 이동하면 지지볼(97)도 저울(71)의 베이스판(711)의 표면을 따라 함께 이동하고 종국에는 광홀부(81) 및 광공부(715)에 투입되어 걸린다.
지지볼(97)이 광홀부(81) 및 광공부(715)에 투입되어 걸리면, 지지바(96)가 체결핀(90)의 핀부(92)를 지지하여 핀부(92)가 광홀부(81)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막는다.
이와 같은 매커니즘을 통해 체결핀(90)의 하부인 걸림볼(91)은 안착홈(85)에 안착되고, 체결핀(90)의 상부인 핀부(92)는 지지바(96)로 지지되어서, 체결핀(90)은 외부충격에 의해 쓰러지거나 이동되지 않고 제자리에서 저울(71)의 베이스판(711)를 체결블럭(80)에 고정시키게 된다.
저울(71)의 베이스판(711)를 체결블럭(80)에서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파지볼(98)을 잡고 들어올려 지지볼(97)을 광홀부(81) 및 광공부(715)에서 이탈시킨 후에 핀부(92)를 광홀부(81) 및 광공부(715)로 밀어 이동시키고, 이후 체결핀(90)을 들어올리면 간편하게 분리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그린스틱 생산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분쇄기 20 : 건조기
30 : 혼합기 40 : 호퍼
50 : 이동대차 60 : 압축성형기
71 : 저울 72 : 온도계
73 : 습도계 74 : 주입노즐
75 : 컴프레셔 76 : 밸브유닛
78 : 배기관 79 : 컨트롤러
80 : 체결블럭 90 : 체결핀

Claims (4)

  1.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
    건조된 유기성 폐기물과 영양물, 효소 및 미생물이 혼합된 목적 혼합물을 저장하는 호퍼;
    상기 호퍼에서 배출되는 목적 혼합물이 담기는 톤백이 올려진 이동대차;
    상기 톤백 내부로 투입되어 목적 혼합물에 공기를 주입하는 주입노즐;
    상기 톤백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계측하는 온도계와 습도계;
    상기 주입노즐을 통한 공기의 주입을 제어하고, 상기 온도계와 습도계에서 계측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목적 혼합물의 발효 진행과 완료를 판단하는 컨트롤러;
    상기 톤백에서 발효가 완료된 목적 혼합물을 압축하여 그린스틱을 성형하는 압축성형기;
    상기 이동대차에 구비되어서 톤백에 담긴 목적 혼합물의 무게를 계측하는 저울;
    상기 저울을 상기 이동대차에 체결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유닛은
    광홀부와, 상기 광홀부와 연결되며 폭은 더 작은 협홀부와, 상기 협홀부의 하부측에 형성되며 상기 광홀부와 연결되는 고정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대차에 구비되는 체결블럭과,
    상기 광홀부로 투입되며 상기 고정공간부에 걸리는 걸림볼과, 상기 걸림볼의 상부로 연결되며 상기 협홀부를 통과하는 핀부와, 상기 핀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스프링으로 탄지되어서 상기 저울의 베이스판을 상기 체결블럭의 표면으로 누르는 누름판과, 상기 핀부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단부에는 상기 광홀부에 투입되어 걸리는 지지볼이 구비되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체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해 다종의 그린스틱을 대량으로 동시에 생산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톤백에 연결되어서 발효시 발생되는 가스를 배기시키는 배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해 다종의 그린스틱을 대량으로 동시에 생산하는 시스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40086A 2021-03-29 2021-03-29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해 다종의 그린스틱을 대량으로 동시에 생산하는 시스템 KR102343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086A KR102343303B1 (ko) 2021-03-29 2021-03-29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해 다종의 그린스틱을 대량으로 동시에 생산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086A KR102343303B1 (ko) 2021-03-29 2021-03-29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해 다종의 그린스틱을 대량으로 동시에 생산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303B1 true KR102343303B1 (ko) 2021-12-27

Family

ID=79177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086A KR102343303B1 (ko) 2021-03-29 2021-03-29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해 다종의 그린스틱을 대량으로 동시에 생산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3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2857U (ja) * 2002-09-19 2003-04-04 株式会社渡辺コンサルタンツ 移動コンポストシステム
KR20070011924A (ko) * 2005-07-22 2007-01-25 주식회사 동산에스엔알 터널형 비닐백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퇴비화 방법
KR101276399B1 (ko) * 2012-12-17 2013-06-19 (주)동보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비료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2857U (ja) * 2002-09-19 2003-04-04 株式会社渡辺コンサルタンツ 移動コンポストシステム
KR20070011924A (ko) * 2005-07-22 2007-01-25 주식회사 동산에스엔알 터널형 비닐백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퇴비화 방법
KR101276399B1 (ko) * 2012-12-17 2013-06-19 (주)동보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비료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7464A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treatment and utilization of waste products
US6200475B1 (en) Method of converting organic waste by thermophilic fermentation
MXPA06011334A (es) Convertidores de biomasa y procesos.
KR20090053020A (ko) 축분의 유기질 비료화 제조방법
KR20080017145A (ko) 유기물 처리 장치
CN109985889A (zh) 一种固体废物回收处理方法
CN109851412A (zh) 一种园林废弃物处理装置及加工利用方法
CN108675843A (zh) 一种利用畜禽粪便生产肥料的生产系统
KR102343303B1 (ko)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해 다종의 그린스틱을 대량으로 동시에 생산하는 시스템
KR20060111419A (ko) 유기물을 함유한 폐기물 및 배설물을 자원화 하는 방법과장치
CN108863614A (zh) 利用高纤维废弃物制作有机肥的方法
CN107759263A (zh) 一种有机肥生产工艺
CN211770976U (zh) 厨余垃圾好氧发酵设备
CN205740808U (zh) 一种集成通风供氧功能的螺旋翻堆装置
KR101248888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2357184B1 (ko) 메탄가스의 배출저감을 위한 축인분을 이용한 친환경 비료제조장치
CN110352830B (zh) 一种利用树枝废料作营养土的配置方法
KR20050105110A (ko) 유기질 비료의 제조장치
KR101595184B1 (ko)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방법
CN113149732A (zh) 一种有机肥制备用好氧堆肥发酵系统
JPH072590Y2 (ja) コンポスト装置
KR100710885B1 (ko) 터널형 비닐백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퇴비화 방법
KR102462970B1 (ko) 축분을 이용한 친환경 비료제조 장치
CN109704833A (zh) 一种垃圾堆肥房及其使用方法
JPH0782072A (ja) 食品廃棄物・動物排泄物を発酵させて発酵物を製造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