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377B1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377B1
KR102342377B1 KR1020207017274A KR20207017274A KR102342377B1 KR 102342377 B1 KR102342377 B1 KR 102342377B1 KR 1020207017274 A KR1020207017274 A KR 1020207017274A KR 20207017274 A KR20207017274 A KR 20207017274A KR 102342377 B1 KR102342377 B1 KR 102342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dome
rubber
switch
dome
fixe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7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9547A (ko
Inventor
요시유키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79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03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more than one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condition in one or both po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 H01H13/6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the operating member having only two po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24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with two operating po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021/225Operating parts, e.g. handle with push-pull operation, e.g. which can be pivoted in both directions by pushing or pulling on the same extremity of the operat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H01H2215/008Part of substrate or membr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5/00Switch site location
    • H01H2225/01Different switch sites under one actuator in same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5/00Switch site location
    • H01H2225/018Consecutive ope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5/00Switch site location
    • H01H2225/02Push-pus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Application power window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제 1 러버 돔과, 제 2 러버 돔과, 상기 제 1 러버 돔 및 상기 제 2 러버 돔의 상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슬라이더를 갖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 1 러버 돔 및 상기 제 2 러버 돔의 쪽으로 움직여 상기 제 1 러버 돔의 상면을 누름으로써, 상기 제 1 러버 돔이 변형되고, 상기 제 1 러버 돔이 변형된 상태에서 추가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 1 러버 돔 및 상기 제 2 러버 돔의 쪽으로 움직여 상기 제 2 러버 돔의 상면을 누름으로써, 상기 제 2 러버 돔이 변형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러버 돔의 상기 제 1 러버 돔의 측에는, 다른 부분보다 두꺼운 육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Description

스위치 장치
본 발명은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위치 장치로서, 2 개의 스위치를 갖는 2 단 스위치가 존재하고 있다. 이 2 단 스위치는, 스위치를 누르는 압하 부재를 눌렀을 때, 맨 먼저 일방의 스위치가 온이 되고, 다음으로, 타방의 스위치가 온이 되는 것으로, 2 단계로 온오프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2 단 스위치는, 여러 가지 용도, 예를 들어 파워 윈도우의 조작용 스위치 등에 사용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2-4082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6-1557호
상기와 같은 2 단 스위치에 있어서의 각각의 스위치는, 기판의 표면에 2 개의 고정 접점부와, 이 2 개의 고정 접점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내측에는 가동 접점부가 형성된 러버 돔을 가지고 있다. 이 스위치에서는, 압하 부재를 누름으로써 러버 돔이 기판측으로 변형되고, 러버 돔의 내측에 형성된 가동 접점부가,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2 개의 고정 접점부의 쌍방과 접촉함으로써, 스위치가 닫혀져 온이 된다. 2 단 스위치에서는, 이와 같은 스위치가 2 개 형성되어 있고, 압하 부재와 2 개의 러버 돔 사이에 액추에이터를 형성함으로써, 2 개의 스위치의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여 온으로 할 수 있다. 즉, 일방의 스위치가 온 동작한 후에, 추가로 힘을 가함으로써, 타방의 스위치를 온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2 단 스위치를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의 조작용 스위치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일방의 스위치의 온 기간 중에만 도어 유리를 상하 동작시키는 매뉴얼 모드로서 사용하고, 계속해서 타방의 스위치가 온이 되었을 때에는, 그 후에 오프가 되어도, 도어 유리를 창의 폐쇄 위치 또는 개방 위치까지 자동적으로 동작시키는 오토 모드로서 사용하는 것과 같은, 사용 구분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2 단 스위치는, 2 단계의 조작감을 인식하기 쉽고, 수명이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2 단 스위치에 있어서, 2 단계의 조작감이 인식되기 쉽고, 수명이 길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일 관점에 의하면, 제 1 러버 돔과, 제 2 러버 돔과, 상기 제 1 러버 돔 및 상기 제 2 러버 돔의 상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슬라이더를 갖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 1 러버 돔 및 상기 제 2 러버 돔의 쪽으로 움직여 상기 제 1 러버 돔의 상면을 누름으로써, 상기 제 1 러버 돔이 변형되고, 상기 제 1 러버 돔이 변형된 상태에서 추가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 1 러버 돔 및 상기 제 2 러버 돔의 쪽으로 움직여 상기 제 2 러버 돔의 상면을 누름으로써, 상기 제 2 러버 돔이 변형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 러버 돔의 상기 제 1 러버 돔의 측에는, 다른 부분보다 두꺼운 육후부 (肉厚部)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스위치 장치에 의하면, 2 단 스위치에 있어서, 2 단계의 조작감이 인식되기 쉽고, 수명이 길게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A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의 구조도 (1) 이다.
도 3B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의 구조도 (2) 이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의 단면도 (1) 이다.
도 5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의 단면도 (2) 이다.
도 6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의 러버 돔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의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러버 돔 시트의 상면도이다.
도 9 는, 러버 돔 시트의 단면도 (1) 이다.
도 10A 는, 러버 돔 시트의 단면도 (2) 이다.
도 10B 는, 러버 돔 시트의 단면도 (3) 이다.
도 11A 는, 러버 돔의 변형의 설명도 (1) 이다.
도 11B 는, 러버 돔의 변형의 설명도 (2) 이다.
도 11C 는, 러버 돔의 변형의 설명도 (3) 이다.
도 12 는, 도 8 ∼ 도 11C 의 러버 돔 시트를 사용한 스위치의 필링 곡선의 특성도이다.
도 13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러버 돔 시트의 상면도이다.
도 14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러버 돔 시트의 단면도 (1) 이다.
도 15A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러버 돔 시트의 단면도 (2) 이다.
도 15B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러버 돔 시트의 단면도 (3) 이다.
도 16A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러버 돔의 변형의 설명도 (1) 이다.
도 16B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러버 돔의 변형의 설명도 (2) 이다.
도 16C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러버 돔의 변형의 설명도 (3) 이다.
도 17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러버 돔 시트를 사용한 스위치의 필링 곡선의 특성도이다.
도 18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러버 돔 시트의 변형예 1 의 상면도이다.
도 19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러버 돔 시트의 변형예 1 의 단면도이다.
도 20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러버 돔 시트의 변형예 2 의 상면도이다.
도 21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러버 돔 시트의 변형예 2 의 단면도 (1) 이다.
도 22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러버 돔 시트의 변형예 2 의 단면도 (2) 이다.
도 23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러버 돔 시트의 변형예 3 의 상면도이다.
도 24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러버 돔 시트의 변형예 3 의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부재 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는, X1-X2 방향, Y1-Y2 방향, Z1-Z2 방향을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한다. 또, X1-X2 방향 및 Y1-Y2 방향을 포함하는 면을 XY 면이라고 기재하고, Y1-Y2 방향 및 Z1-Z2 방향을 포함하는 면을 YZ 면이라고 기재하고, Z1-Z2 방향 및 X1-X2 방향을 포함하는 면을 ZX 면이라고 기재한다.
(2 단 스위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인 2 단 스위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인 2 단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는 사시도이고, 도 3A 는 측면도이고, 도 3B 는 상면도이다. 도 4 는, 도 3B 에 있어서의 일점 쇄선 3A-3B 에 있어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 는, 도 3B 에 있어서의 일점 쇄선 3C-3D 에 있어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는, 조작부 (10), 지지부 (20), 2 개의 액추에이터 (슬라이더의 일례) (30A, 30B), 러버 돔 시트 (40), 기판 (60), 하측 케이스 (80) 등을 가지고 있다.
조작부 (10)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를 조작자가 만져서 조작하기 위한 부분으로, 내열성의 ABS 수지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사출 성형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 (10) 는 상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조작부 (10) 의 상면은, 조작자가 누르는 조작면 (11) 으로 되어 있다.
조작부 (10) 는, 도 2 의 일점 쇄선 1A 에 나타나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 (回動) 할 수 있도록 지지부 (20) 에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조작자의 손가락 등에 의해, 조작부 (10) 의 조작면 (11) 을 위에서부터 누르는, 즉, Z1 방향의 측에서 Z2 방향의 측으로 누르면, 조작부 (10) 가 Z2 방향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도 3A 등에 있어서의 파선 화살표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 (10) 를 상하 동작시킬 수 있다.
조작부 (10) 의 내측에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조작면 (11) 의 이면측의 천장면 (12) 으로부터, Z2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돌기부 (13a, 13b)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2 개의 돌기부 (13a, 13b) 중 일방의 돌기부 (13a) 는 액추에이터 (30A) 에 대응하는 것이고, 타방의 돌기부 (13b) 는 액추에이터 (30B) 에 대응하는 것이다.
지지부 (20) 는, 내열성의 ABS 수지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사출 성형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 (20) 는, 상부가 되는 Z1 방향측이 조작부 (10) 를 지지하는 부분이고, 하부가 되는 Z2 방향측이 상측 케이스 (21) 로 되어 있다. 지지부 (20) 의 상부에는, Z1 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면의 내측에 대향하여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고, 볼록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조작부 (10) 의 걸어맞춤부에 볼록부가 들어가 있어, 조작부 (10) 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하측 케이스 (80) 는 상자상의 형상을 하고 있고, 상측 케이스 (21) 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 (20) 와 마찬가지로, 내열성의 ABS 수지 등의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는, 지지부 (20) 에 있어서의 상측 케이스 (21) 와 하측 케이스 (80) 를 접속시킴으로써, 내부에 공간을 갖는 상자체가 형성되고, 이 상자체의 내부에, 액추에이터 (30A, 30B), 러버 돔 시트 (40), 기판 (60) 등이 수납되어 있다.
액추에이터 (30A, 30B) 는,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POM : polyoxymethylene)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사출 성형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액추에이터 (30A, 30B) 는, 각각 사각형이고 평판상인 본체부 (31) 와, 본체부 (31) 의 Z2 방향측에 형성된 압하부 (32) 를 가지고 있다. 액추에이터 (30A, 30B) 의 압하부 (32) 의 Z2 방향측의 바닥면 (32a) 에는, 2 개의 볼록부 (33, 34) 가 X1-X2 방향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액추에이터 (30A, 30B) 의 본체부 (31) 의 Z1 방향측의 상면 (35) 에는, 각각의 액추에이터 (30A, 30B) 에 대응하는 조작부 (10) 의 내측의 천장면 (12) 에 형성된 돌기부 (13a, 13b) 와 접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30A) 의 본체부 (31) 의 Z1 방향측의 상면 (35) 은, 조작부 (10) 의 내측에 형성된 돌기부 (13a) 와, 본체부 (31) 의 상면 (35) 의 중심보다 X2 방향측에서 접촉하고 있다.
또,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30B) 의 본체부 (31) 의 Z1 방향측의 상면 (35) 은, 조작부 (10) 의 내측의 천장면 (12) 에 형성된 돌기부 (13b) 와, 본체부 (31) 의 상면 (35) 의 중심보다 X1 방향측에서 접촉하고 있다.
액추에이터 (30A, 30B) 는, 조작부 (10) 에 있어서의 조작에 수반하여 Z1-Z2 방향으로 움직인다. 구체적으로는, 액추에이터 (30A, 30B) 는, 조작부 (10) 에 있어서의 조작면 (11) 을 누름으로써, Z2 방향으로 움직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부 (10) 의 내측에 형성된 돌기부 (13a, 13b) 와 접촉하고 있는 액추에이터 (30A, 30B) 의 본체부 (31) 의 상면 (35) 의 위치를 상면 (35) 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나게 함으로써, 조작부 (10) 에 의해 액추에이터 (30A, 30B) 가 눌려졌을 때에, 각각의 액추에이터 (30A, 30B) 는, 경도 (傾倒) 된 동작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러버 돔 시트 (40) 에 대하여 도 6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러버 돔 시트 (40) 는, 합성 고무 등의 탄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대략 상자상의 베이스부 (41) 에는, Z1 방향측으로 튀어나온 4 개의 러버 돔 (51A, 52A, 51B, 52B) 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러버 돔 (51A, 51B) 을 제 1 러버 돔이라고 기재하고, 러버 돔 (52A, 52B) 을 제 2 러버 돔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제 1 러버 돔 (51A, 51B) 의 외측은, Z1 방향측으로 볼록해지는 상부 (53a) 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53a) 의 Z1 방향측의 상면 (53b) 의 중앙 부분에는 오목부 (53c) 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53a) 와 베이스부 (41) 사이에는, 상부 (53a) 가 Z2 방향으로 좌굴되도록 변형되는 변형부 (53d)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러버 돔 (52A, 52B) 의 외측은, Z1 방향측으로 볼록해지는 상부 (54a) 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54a) 의 Z1 방향측의 상면 (54b) 의 중앙 부분에는 오목부 (54c) 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54a) 와 베이스부 (41) 사이에는, 상부 (54a) 가 Z2 방향으로 좌굴되도록 변형되는 변형부 (54d)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러버 돔 (51A, 51B) 의 내측에는, Z2 방향으로 볼록해지는 하부 (53e) 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53e) 의 Z2 방향측의 면에 가동 접점부 (55) 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러버 돔 (52A, 52B) 의 내측에는, Z2 방향으로 볼록해지는 하부 (54e) 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54e) 의 Z2 방향측의 면에는 가동 접점부 (56)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동 접점부 (55) 및 가동 접점부 (56) 는, 도전성을 갖는 탄소 (카본)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동 접점부 (55) 및 가동 접점부 (56) 는, 카본 등의 도전성의 분체가 합성 수지의 바인더 중에 분산된 도전성 잉크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1 러버 돔 (51A), 제 2 러버 돔 (52A) 은, 액추에이터 (30A) 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액추에이터 (30A) 의 압하부 (32) 에 형성된 볼록부 (33) 는 제 1 러버 돔 (51A) 의 오목부 (53c) 에 들어가 있고, 볼록부 (34) 는, 제 2 러버 돔 (52A) 의 오목부 (54c) 내에 들어가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액추에이터 (30A) 의 압하부 (32) 의 바닥면 (32a) 은, 제 1 러버 돔 (51A) 의 상면 (53b) 및 제 2 러버 돔 (52A) 의 상면 (54b) 과 접촉하고 있다.
제 1 러버 돔 (51B), 제 2 러버 돔 (52B) 은, 액추에이터 (30B) 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액추에이터 (30B) 의 압하부 (32) 에 형성된 볼록부 (33) 는 제 1 러버 돔 (51B) 의 오목부 (53c) 에 들어가 있고, 볼록부 (34) 는, 제 2 러버 돔 (52B) 의 오목부 (54c) 내에 들어가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액추에이터 (30B) 의 압하부 (32) 의 바닥면 (32a) 은, 제 1 러버 돔 (51B) 의 상면 (53b) 및 제 2 러버 돔 (52B) 의 상면 (54b) 과 접촉하고 있다.
다음으로, 기판 (60) 에 대하여 도 7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판 (60) 은, 기판 본체 (61) 의 표면에 동박 등의 금속막이 패터닝된 프린트 배선판 (PCB, printed wiring board) 이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판 (60) 의 일방의 면에는 4 개의 고정 접점부, 즉, 제 1 고정 접점부 (71A, 71B), 제 2 고정 접점부 (72A, 72B)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고정 접점부 (71A, 71B), 제 2 고정 접점부 (72A, 72B) 는, 러버 돔 시트 (40) 에 형성된 4 개의 러버 돔 (51A, 51B, 52A, 52B) 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고정 접점부 (71A, 71B) 에는, 기판 본체 (61) 의 표면에 형성된 금속막에 의해, 일방의 고정 접점 (73a) 및 타방의 고정 접점 (73b) 등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고정 접점부 (72A, 72B) 에는, 기판 본체 (61) 의 표면에 형성된 금속막에 의해, 일방의 고정 접점 (74a) 및 타방의 고정 접점 (74b) 등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는, 기판 (60) 상의 소정 위치에 러버 돔 시트 (40) 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고정 접점부 (71A) 는, 러버 돔 시트 (40) 의 제 1 러버 돔 (51A) 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 2 고정 접점부 (72A) 는, 러버 돔 시트 (40) 의 제 2 러버 돔 (52A) 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 1 고정 접점부 (71B) 는, 러버 돔 시트 (40) 의 제 1 러버 돔 (51B) 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 2 고정 접점부 (72B) 는, 러버 돔 시트 (40) 의 제 2 러버 돔 (52B) 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러버 돔 시트 (40) 의 제 1 러버 돔 (51A) 의 가동 접점부 (55) 와 기판 (60) 에 형성된 제 1 고정 접점부 (71A) 가 대향하고 있어, 제 1 고정 접점부 (71A) 와 제 1 러버 돔 (51A) 에 의해 제 1 스위치가 형성된다. 또, 러버 돔 시트 (40) 의 제 2 러버 돔 (52A) 의 가동 접점부 (56) 와 기판 (60) 에 형성된 제 2 고정 접점부 (72A) 가 대향하고 있어, 제 2 고정 접점부 (72A) 와 제 2 러버 돔 (52A) 에 의해 제 2 스위치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 1 고정 접점부 (71A) 와 제 1 러버 돔 (51A) 에 의해 형성된 제 1 스위치와, 제 2 고정 접점부 (72A) 와 제 2 러버 돔 (52A) 에 의해 형성된 제 2 스위치는, 액추에이터 (30A) 에 의해 조작된다.
또, 러버 돔 시트 (40) 의 제 1 러버 돔 (51B) 의 가동 접점부 (55) 와 기판 (60) 에 형성된 제 1 고정 접점부 (71B) 가 대향하고 있어, 제 1 고정 접점부 (71B) 와 제 1 러버 돔 (51B) 에 의해 제 1 스위치가 형성된다. 또, 러버 돔 시트 (40) 의 제 2 러버 돔 (52B) 의 가동 접점부 (56) 와 기판 (60) 에 형성된 제 2 고정 접점부 (72B) 가 대향하고 있어, 제 2 고정 접점부 (72B) 와 제 2 러버 돔 (52B) 에 의해 제 2 스위치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 1 고정 접점부 (71B) 와 제 1 러버 돔 (51B) 에 의해 형성된 제 1 스위치와, 제 2 고정 접점부 (72B) 와 제 2 러버 돔 (52B) 에 의해 형성된 제 2 스위치는, 액추에이터 (30B) 에 의해 조작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부 (10) 의 조작면 (11) 을 아래로, 즉, Z2 방향측으로 누름으로써, 조작부 (10) 가 Z2 방향으로 움직여, 조작부 (10) 의 내측에 형성된 일방의 돌기부 (13a) 에 의해, 액추에이터 (30A) 의 상면 (35) 이 눌려지고, 타방의 돌기부 (13b) 에 의해 액추에이터 (30B) 의 상면 (35) 이 눌려진다.
이와 같이, 조작부 (10) 의 내측에 형성된 일방의 돌기부 (13a) 에 의해, 액추에이터 (30A) 의 상면 (35) 이 눌려짐으로써, 액추에이터 (30A) 가 경도된다. 이로써, 맨 먼저, 액추에이터 (30A) 의 압하부 (32) 의 볼록부 (33) 가 들어가 있는 오목부 (53c) 가 형성된 제 1 러버 돔 (51A) 을 눌러, 제 1 러버 돔 (51A) 의 변형부 (53d) 가 변형되고, 제 1 러버 돔 (51A) 의 내측에 형성된 가동 접점부 (55) 가, 제 1 고정 접점부 (71A) 에 있어서의 일방의 고정 접점 (73a) 및 타방의 고정 접점 (73b) 과 접촉하고, 일방의 고정 접점 (73a) 과 타방의 고정 접점 (73b) 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 1 스위치가 온이 된다.
이 상태에서, 추가로, 조작부 (10) 의 조작면 (11) 을 아래로, 즉, Z2 방향측으로 누름으로써, 액추에이터 (30A) 가 움직여, 액추에이터 (30A) 의 압하부 (32) 의 볼록부 (34) 가 들어가 있는 오목부 (54c) 가 형성된 제 2 러버 돔 (52A) 을 눌러, 제 2 러버 돔 (52A) 의 변형부 (54d) 를 변형시키고, 제 2 러버 돔 (52A) 의 내측에 형성된 가동 접점부 (56) 가, 제 2 고정 접점부 (72A) 에 있어서의 일방의 고정 접점 (74a) 및 타방의 고정 접점 (74b) 과 접촉하고, 일방의 고정 접점 (74a) 과 타방의 고정 접점 (74b) 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 2 스위치가 온이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에서는, 조작부 (10) 의 조작면 (11) 을 아래로, 즉, Z2 방향측으로 누름으로써, 맨 먼저 제 1 스위치가 온이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스위치는 오프인 상태이다. 이후, 추가로, 조작부 (10) 의 조작면 (11) 을 아래로 누름으로써, 제 2 스위치가 온이 되어,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가 모두 온이 된다.
(러버 돔)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0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일반적인 러버 돔 시트를 사용한 2 단 스위치의 조작감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8 은, 이 러버 돔 시트 (940) 의 상면도이고, 도 9 는, 도 8 에 있어서의 일점 쇄선 8A-8B 에 있어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0A 는, 일점 쇄선 8C-8D 에 있어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0B 는, 일점 쇄선 8E-8F 에 있어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한, 이 러버 돔 시트 (940) 는, 제 1 러버 돔 (951) 과 제 2 러버 돔 (952) 을 가지고 있다.
제 1 러버 돔 (951) 의 외측은, Z1 방향측으로 볼록해지는 상부 (953a) 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953a) 의 Z1 방향측의 상면 (953b) 의 중앙 부분에는 오목부 (953c) 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953a) 와 베이스부 사이에는, 상부 (953a) 가 Z2 방향으로 좌굴되도록 변형되는 변형부 (953d)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러버 돔 (952) 의 외측은, Z1 방향측으로 볼록해지는 상부 (954a) 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954a) 의 Z1 방향측의 상면 (954b) 의 중앙 부분에는 오목부 (954c) 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954a) 와 베이스부 사이에는, 상부 (954a) 가 Z2 방향으로 좌굴되도록 변형되는 변형부 (954d)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러버 돔 (951) 의 내측에는, Z2 방향으로 볼록해지는 하부 (953e) 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953e) 의 Z2 방향측의 면에 가동 접점부 (955) 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러버 돔 (952) 의 내측에는, Z2 방향으로 볼록해지는 하부 (954e) 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954e) 의 Z2 방향측의 면에는 가동 접점부 (956)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동 접점부 (955) 및 가동 접점부 (956) 는, 도전성을 갖는 탄소 (카본)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11A ∼ 도 11C 는, 액추에이터 (30) 에 의해 눌려진 러버 돔이 변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판 (60) 상의 대응하는 위치에 러버 돔 시트 (940) 가 씌워지고, 러버 돔 시트 (940) 상에는, 액추에이터 (30) 가 설치되어 있다.
도 11A 는, 액추에이터 (30) 가 눌려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액추에이터 (30) 의 압하부 (32) 에 형성된 볼록부 (33) 는 제 1 러버 돔 (951) 의 오목부 (953c) 에 들어가 있고, 볼록부 (34) 는, 제 2 러버 돔 (952) 의 오목부 (954c) 내에 들어가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액추에이터 (30) 의 압하부 (32) 의 바닥면 (32a) 은, 제 1 러버 돔 (951) 의 상면 (953b) 및 제 2 러버 돔 (952) 의 상면 (954b) 과 접촉하고 있다. 도 11A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액추에이터 (30) 의 압하부 (32) 의 바닥면 (32a) 은, XY 면과 대략 평행한 상태로 되어 있고, 제 1 러버 돔 (951) 의 상면 (953b) 및 제 2 러버 돔 (952) 의 상면 (954b) 도, XY 면과 대략 평행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부터, 액추에이터 (30) 가 눌려지면, 액추에이터 (30) 의 압하부 (32) 의 볼록부 (33) 가 들어가 있는 제 1 러버 돔 (951) 의 상면 (953b) 이 눌려지고, 변형부 (953d) 가 좌굴되어, 도 11B 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도 11B 에 나타나는 상태에서는, 제 1 러버 돔 (951) 의 하부 (953e) 에 형성된 가동 접점부 (955) 가, 기판에 형성된 제 1 고정 접점부 (71) 와 접촉하여, 제 1 스위치가 온이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러버 돔 (952) 은, 액추에이터 (30) 의 압하부 (32) 에 의해 눌려져 있기는 하지만, 액추에이터 (30) 의 압하부 (32) 에 의해 눌려지는 힘이 치우쳐 있기 때문에, 변형부 (954d) 가 완전히 좌굴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도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30) 의 압하부 (32) 의 바닥면 (32a) 은, XY 면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 즉, X2 방향측이 X1 방향측보다 하측 (Z2 방향측) 이 되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2 러버 돔 (952) 에는 힘이 가해져 있다. 따라서, 제 2 러버 돔 (952) 의 상면 (954b) 도, 액추에이터 (30) 의 압하부 (32) 의 바닥면 (32a) 에 대응하여 기울어진 상태가 되어, 제 2 러버 돔 (952) 의 변형부 (954d) 가 일부 변형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후, 추가로, 액추에이터 (30) 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도 11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러버 돔 (952) 의 변형부 (954d) 도 좌굴되어, 제 2 러버 돔 (952) 의 하부 (954e) 에 형성된 가동 접점부 (956) 가, 기판에 형성된 제 2 고정 접점부 (72) 와 접촉하여, 제 2 스위치가 온이 된다.
이와 같은 러버 돔 시트 (940) 를 사용한 스위치에 있어서, 조작부를 누른 경우의 변위량과 조작부를 누르는 힘의 관계를 도 12 에 나타낸다. 도 12 에 있어서, 이동량 L1 은, 조작부가 눌려지기 전의 상태로부터 제 1 스위치를 온으로 할 때까지의 변위량이고, 이동량 L2 는, 제 1 스위치가 온이 된 상태로부터 제 2 스위치를 온으로 할 때까지의 변위량이다. 2 단 스위치에서는, 조작감의 관점에서, 이동량 L1 과 이동량 L2 는 대략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예를 들어, 이동량 L2 가 지나치게 짧으면, 제 1 스위치를 온으로 한 후, 약간 변위시키기만 해도 제 2 스위치가 온이 되어 버려, 제 1 스위치만을 온의 상태가 되도록 유지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 이동량 L1 에 비해 이동량 L2 가 지나치게 길면, 제 1 스위치가 온이 된 후, 조작부를 어느 정도 누르면 온이 되는 것인지 감각적으로 알기 어렵기 때문에, 제 2 스위치를 온으로 하는 조작이 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2 단 스위치를 조작하는 조작감의 관점에서는, 조작부를 누르지 않은 상태로부터, 제 1 스위치를 온으로 할 때까지의 이동량 L1 과, 제 1 스위치가 온이 된 후, 제 2 스위치를 온으로 할 때까지의 이동량 L2 는, 대략 동일한 편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8 내지 도 10B 에 나타내는 러버 시트 돔을 사용한 2 단 스위치에서는, 이동량 L1 보다 이동량 L2 가 짧다. 이것은, 도 11B 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는, 제 2 러버 돔 (952) 의 변형부 (954d) 는 완전하게는 좌굴되어 있지는 않지만, 액추에이터 (30) 의 압하부 (32) 의 바닥면 (32a) 에 의해 눌려져, 제 2 러버 돔 (952) 의 상면 (954b) 이 기울어진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제 2 러버 돔 (952) 의 상면 (954b) 이 기울어진 상태에서는, 제 2 러버 돔 (952) 의 변형부 (954d) 의 일부, 즉, 제 2 러버 돔 (952) 의 변형부 (954d) 의 X1 방향측이 변형되어 있다.
또, 이 상태에서는, 도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러버 돔 (952) 의 변형부 (954d) 의 일부가 변형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러버 돔 (952) 의 변형부 (954d) 의 이 부분의 부하는 크게 타격을 받기 쉽기 때문에, 러버 돔의 수명이 짧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제 2 러버 돔 (952) 의 변형부 (954d) 를 전체적으로 두껍게 하여, 제 2 러버 돔 (952) 의 변형부 (954d) 의 강도를 높이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로써, 액추에이터 (30) 의 압하부 (32) 의 바닥면 (32a) 에 의해, 제 1 러버 돔 (951) 의 변형부 (953d) 가 좌굴될 때까지 눌려져도, 제 2 러버 돔 (952) 의 변형부 (954d) 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러버 돔 (952) 의 상면 (954b) 이 기울어진 상태가 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어, 이동량 L1 과 이동량 L2 를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러버 돔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제 2 러버 돔 (952) 의 변형부 (954d) 의 강도가 강해진 만큼, 제 2 러버 돔 (952) 의 변형부 (954d) 를 좌굴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도 높아진다. 따라서, 상당히 강한 힘을 가하지 않으면 제 2 스위치를 온시킬 수 없기 때문에, 조작감도 나빠진다.
또한, 2 단 스위치의 조작감의 관점에서는, 제 1 스위치를 온으로 하기 위해 필요한 힘 F1 과, 제 2 스위치를 온으로 하기 위해 필요한 힘 F2 의 관계는, F1 : F2 = 1 : 2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2 스위치를 온으로 하기 위해 필요한 힘이 너무 지나치게 높아지는 일 없이, 제 1 스위치를 온으로 할 때까지의 이동량 L1 과, 제 1 스위치가 온이 된 후, 제 2 스위치를 온으로 할 때까지의 이동량 L2 가 대략 동일한 2 단 스위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러버 돔)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의 러버 돔에 대하여, 도 13 내지 도 15B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3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의 러버 돔 시트 (40) 의 상면도이고, 도 14 는, 도 13 에 있어서의 일점 쇄선 13A-13B 에 있어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5A 는, 일점 쇄선 13C-13D 에 있어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5B 는, 일점 쇄선 13E-13F 에 있어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한, 제 1 러버 돔 (51A) 및 제 2 러버 돔 (52A) 에 의해 형성되는 2 단 스위치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제 1 러버 돔 (51B) 및 제 2 러버 돔 (52B) 에 의해 형성되는 2 단 스위치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는, 제 2 러버 돔 (52A) 의 외측의 상부 (54a) 주위의 상부 측면 (54f) 및 변형부 (54d) 에는, X1-X2 방향으로 리브부 (육후부의 일례) (54g) 가 형성되어 있고, 두께가 두껍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러버 돔 (52A) 은, 리브부 (54g)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Y1-Y2 방향에 있어서의 상부 측면 (54f) 및 변형부 (54d) 의 두께보다, 리브부 (54g) 가 형성되어 있는 X1-X2 방향에 있어서의 상부 측면 (54f) 및 변형부 (54d) 의 두께가 두껍다. 예를 들어, 제 2 러버 돔 (52A) 은, 리브부 (54g)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Y1-Y2 방향에 있어서의 변형부 (54d) 의 두께는 약 0.45 ㎜ 인 데에 반해, 리브부 (54g) 가 형성되어 있는 X1-X2 방향에 있어서의 변형부 (54d) 의 두께는 약 0.55 ㎜ 이다.
또한, X1-X2 방향은, 제 1 러버 돔 (51A) 과 제 2 러버 돔 (52A) 이 나열되어 있는 방향이다. 따라서, 리브부 (54g) 는, 제 1 러버 돔 (51A) 과 제 2 러버 돔 (52A) 이 나열되어 있는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러버 돔 (52A) 의 상부 (53a) 및 변형부 (54d) 에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한다면, 제 2 러버 돔 (52A) 의 상부 (53a) 및 변형부 (54d) 에 형성되어 있는 리브부 (54g) 는, 제 1 러버 돔 (51A) 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러버 돔 (51A) 에 대해서는, 리브부에 상당하는 것은 형성되어 있지는 않기 때문에, X1-X2 방향, 및 Y1-Y2 방향에 있어서의 상부 (53a) 및 변형부 (54d) 의 두께는 대략 동일하다. 예를 들어, 제 1 러버 돔 (51A) 은, X1-X2 방향, 및 Y1-Y2 방향에 있어서의 변형부 (53d) 의 두께는 동일하며, 약 0.35 ㎜ 이다.
도 16A ∼ 도 16C 는, 액추에이터 (30) 에 의해 눌려진 러버 돔이 변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것으로, 기판 (60) 상의 대응하는 위치에 러버 돔 시트 (40) 가 씌워지고, 러버 돔 시트 (40) 상에는, 액추에이터 (30A) 가 설치되어 있다.
도 16A 는, 액추에이터 (30A) 가 눌려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액추에이터 (30A) 의 압하부 (32) 에 형성된 볼록부 (33) 는 제 1 러버 돔 (51A) 의 오목부 (53c) 에 들어가 있고, 볼록부 (34) 는, 제 2 러버 돔 (52A) 의 오목부 (54c) 내에 들어가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액추에이터 (30) 의 압하부 (32) 의 바닥면 (32a) 은, 제 1 러버 돔 (51A) 의 상면 (53b) 및 제 2 러버 돔 (52A) 의 상면 (54b) 과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도 16A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액추에이터 (30A) 의 압하부 (32) 의 바닥면 (32a) 은, XY 면과 대략 평행한 상태로 되어 있고, 제 1 러버 돔 (51A) 의 상면 (53b) 및 제 2 러버 돔 (52A) 의 상면 (54b) 도, XY 면과 대략 평행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부터, 조작부 (10) 를 누름으로써, 액추에이터 (30A) 가 눌려지면, 액추에이터 (30A) 의 압하부 (32) 의 볼록부 (33) 가 들어가 있는 제 1 러버 돔 (51A) 의 상면 (53b) 이 눌려지고, 변형부 (53d) 가 좌굴되어, 도 16B 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도 16B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제 1 러버 돔 (51A) 의 하부 (53e) 에 형성된 가동 접점부 (55) 가, 기판에 형성된 제 1 고정 접점부 (71A) 와 접촉하여, 제 1 스위치가 온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2 러버 돔 (52A) 은, 상부 측면 (54f) 및 변형부 (54d) 에 있어서, 제 1 러버 돔 (51A) 측에 리브부 (54g)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부분의 두께는 두껍게 되어 있으며, 강도가 높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제 2 러버 돔 (52A) 은, 액추에이터 (30) 의 압하부 (32) 에 의해 눌려져, 제 2 러버 돔 (52A) 에는 힘이 가해져 있지만, 제 2 러버 돔 (52A) 의 상부 측면 (54f) 및 변형부 (54d) 에 형성되어 있는 리브부 (54g) 에 의해 형상이 유지되기 때문에, 이 부분의 변형이 억제된다. 따라서, 제 2 러버 돔 (52A) 의 상면 (54b) 은, XY 면과 대략 평행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이 상태는, 도 1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30) 의 압하부 (32) 의 바닥면 (32a) 은, XY 면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 즉, X2 방향측이 X1 방향측보다 하측 (Z2 방향측) 이 되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후, 추가로, 액추에이터 (30A) 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도 16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러버 돔 (52A) 의 변형부 (54d) 도 좌굴되어, 제 2 러버 돔 (52A) 의 하부 (54e) 에 형성된 가동 접점부 (56) 가, 기판 (60) 에 형성된 제 2 고정 접점부 (72A) 와 접촉하여, 제 2 스위치가 온이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러버 돔 시트 (40) 를 사용한 스위치에 있어서, 조작부를 누른 경우의 변위량과 조작부를 누르는 힘의 관계를 도 17 에 나타낸다. 도 17 에 있어서, 이동량 L1 은, 조작부가 눌려지기 전의 상태로부터 제 1 스위치를 온으로 할 때까지의 변위량이고, 이동량 L2 는, 제 1 스위치가 온이 된 상태로부터 제 2 스위치를 온으로 할 때까지의 변위량이다.
본 실시형태는, 도 16B 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는, 제 2 러버 돔 (52A) 은, 힘이 가해지는 제 1 러버 돔 (51A) 측의 상부 측면 (54f) 및 변형부 (54d) 에는, 리브부 (54g)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부분의 강도가 강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액추에이터 (30) 의 압하부 (32) 의 바닥면 (32a) 에 의해, 제 2 러버 돔 (52A) 의 상면 (54b) 이 눌려져도, 제 2 러버 돔 (52A) 의 변형부 (54d) 는 변형되지 않고 형상이 유지되기 때문에, 제 2 러버 돔 (52A) 의 상면 (54b) 이 기울어진 상태로는 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러버 시트 돔을 사용한 2 단 스위치에서는, 이동량 L1 과 이동량 L2 를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 이 상태에서는, 도 1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러버 돔 (52A) 의 변형부 (54d) 는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제 2 러버 돔 (52A) 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또, 제 2 러버 돔 (52A) 의 변형부 (54d) 의 리브부 (54g) 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서는, 리브부 (54g) 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 얇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러버 돔 (52A) 의 변형부 (54d) 가 좌굴될 때에 필요한 힘은, 지나치게 커지지는 않아, 제 1 스위치를 온으로 하기 위해 필요한 힘 F1 와, 제 2 스위치를 온으로 하기 위해 필요한 힘 F2 의 관계는, F1 : F2 = 1 : 2 정도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는, 2 단 스위치에 있어서, 2 단계의 조작감이 인식되기 쉽고, 수명이 길게 할 수 있다.
(변형예)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는, 제 2 러버 돔 (52A) 에 있어서의 리브부 (54g) 는, 변형부 (54d) 에만 형성한 것이어도 되고, 또, 상부 측면 (54f) 에만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8 및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측면 (54f) 에만 리브부 (54g) 를 형성한 구조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도 18 은, 이 러버 돔 시트의 상면도이고, 도 19 는, 도 18 에 있어서의 일점 쇄선 18A-18B 에 있어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는, 리브 형상을 형성하는 대신에, 리브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한 육후부를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20 내지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러버 돔 (52A) 은, 제 1 러버 돔 (51A) 측이 되는 X1-X2 방향에 있어서의 상부 측면 (54f) 및 변형부 (54d) 에는, 육후부 (54h) 를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육후부 (54h) 는 X1-X2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가 가장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제 1 러버 돔 (51A) 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서서히 얇게 되어 있으며, Y1-Y2 방향으로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 20 은, 이 러버 돔 시트의 상면도이고, 도 21 은, 도 20 에 있어서의 일점 쇄선 20A-20B 에 있어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22 는, XY 면에 평행하게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육후부 (54h) 를 제 2 러버 돔 (52A) 의 상부 측면 (54f) 및 변형부 (54d) 에 형성한 경우라 하더라도, 리브부 (54g) 를 형성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는, 제 2 러버 돔 (52A) 에 있어서의 육후부 (54h) 는, 변형부 (54d) 에만 형성한 것이어도 되고, 또, 상부 측면 (54f) 에만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23 및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측면 (54f) 에만 육후부 (54h) 를 형성한 구조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도 23 은, 이 러버 돔 시트의 상면도이고, 도 24 는, 도 23 에 있어서의 일점 쇄선 23A-23B 에 있어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는, 리브부 (54g) 에 대해서도 육후부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상,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하였지만, 특정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국제 출원은, 2017년 12월 25일에 출원한 일본 특허출원 제2017-247928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 국제 출원에 원용한다.
10 : 조작부
11 : 조작면
12 : 천장면
13a, 13b : 돌기부
20 : 지지부
21 : 상측 케이스
30A, 30B : 액추에이터
31 : 본체부
32 : 압하부
32a : 바닥면
33, 34 : 볼록부
35 : 상면
40 : 러버 돔 시트
41 : 베이스부
51A, 51B : 러버 돔 (제 1 러버 돔)
52A, 52B : 러버 돔 (제 2 러버 돔)
53a, 54a : 상부
53b, 54b : 상면
53c, 54c : 오목부
53d, 54d : 변형부
53e, 54e : 하부
54f : 상부 측면
54g : 리브부
54h : 육후부
55, 56 : 가동 접점부
60 : 기판
61 : 기판 본체
71A, 71B : 제 1 고정 접점부
72A, 72B : 제 2 고정 접점부
73a, 74a : 일방의 고정 접점
73b, 74b : 타방의 고정 접점
80 : 하측 케이스

Claims (4)

  1. 제 1 러버 돔과,
    제 2 러버 돔과,
    상기 제 1 러버 돔 및 상기 제 2 러버 돔의 상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슬라이더를 갖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 1 러버 돔 및 상기 제 2 러버 돔의 쪽으로 움직여 상기 제 1 러버 돔의 상면을 누름으로써, 상기 제 1 러버 돔이 변형되고, 상기 제 1 러버 돔이 변형된 상태에서 추가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 1 러버 돔 및 상기 제 2 러버 돔의 쪽으로 움직여 상기 제 2 러버 돔의 상면을 누름으로써, 상기 제 2 러버 돔이 변형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러버 돔 및 상기 제 2 러버 돔은,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눌려져 좌굴되는 변형부를 가지고,
    상기 제 2 러버 돔의 변형부는 육후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와 상기 육후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보다 두꺼운 육후부를 가지며,
    상기 육후부는, 상기 제 2 러버 돔의 상기 제 1 러버 돔과 상기 제 2 러버 돔이 나열되어 있는 방향 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러버 돔의 내측에 형성된 가동 접점부와,
    상기 제 2 러버 돔의 내측에 형성된 가동 접점부와,
    표면에 제 1 고정 접점부 및 제 2 고정 접점부가 형성된 기판을 갖고,
    상기 제 1 러버 돔의 가동 접점부와 상기 제 1 고정 접점부가 대향하고, 상기 제 2 러버 돔의 가동 접점부와 상기 제 2 고정 접점부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어,
    상기 제 1 러버 돔이 변형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 1 러버 돔의 내측의 가동 접점부와 상기 제 1 고정 접점부가 접촉하고,
    상기 제 2 러버 돔이 변형되었을 때에는, 상기 제 2 러버 돔의 내측의 가동 접점부와 상기 제 2 고정 접점부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조작부를 갖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조작부가 조작됨으로써 움직여, 상기 제 1 러버 돔 및 상기 제 2 러버 돔의 상면을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207017274A 2017-12-25 2018-10-15 스위치 장치 KR1023423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47928 2017-12-25
JPJP-P-2017-247928 2017-12-25
PCT/JP2018/038273 WO2019130730A1 (ja) 2017-12-25 2018-10-15 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547A KR20200079547A (ko) 2020-07-03
KR102342377B1 true KR102342377B1 (ko) 2021-12-22

Family

ID=67067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7274A KR102342377B1 (ko) 2017-12-25 2018-10-15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39127B2 (ko)
EP (1) EP3734628B1 (ko)
JP (1) JP6936875B2 (ko)
KR (1) KR102342377B1 (ko)
CN (1) CN111512407B (ko)
WO (1) WO20191307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0181B1 (fr) * 2019-09-03 2021-07-23 Valeo Comfort & Driving Assistance Module de commande de touche à double actionnement produisant un retour haptiqu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1807A (ja) * 1998-06-25 2000-01-14 Tokai Rika Co Ltd 2段操作スイッチ装置
US20110042189A1 (en) 2009-08-20 2011-02-24 Satoru Konno Multi-directional switch device
JP2016001557A (ja) 2014-06-12 2016-01-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2段スイッ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2424B2 (ja) 1988-07-28 1996-10-0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イッチ装置
JP2542424Y2 (ja) 1991-03-15 1997-07-30 谷沢菓機工業株式会社 餅搗装置
JPH1012086A (ja) * 1996-06-19 1998-01-16 Alps Electric Co Ltd キースイッチ
EP1239503A3 (en) * 2001-03-05 2004-07-14 Alps Electric Co., Ltd. Multi-directional switching device capable of producing good feeling of click
US6737592B1 (en) * 2003-03-14 2004-05-18 Motorola, Inc. Switch assembly for operating a device in different operational modes
JP4464846B2 (ja) * 2005-02-16 2010-05-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1807A (ja) * 1998-06-25 2000-01-14 Tokai Rika Co Ltd 2段操作スイッチ装置
US20110042189A1 (en) 2009-08-20 2011-02-24 Satoru Konno Multi-directional switch device
JP2016001557A (ja) 2014-06-12 2016-01-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2段スイ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34628A1 (en) 2020-11-04
JPWO2019130730A1 (ja) 2020-11-19
WO2019130730A1 (ja) 2019-07-04
EP3734628B1 (en) 2022-11-30
JP6936875B2 (ja) 2021-09-22
CN111512407B (zh) 2022-09-20
US11139127B2 (en) 2021-10-05
US20200321170A1 (en) 2020-10-08
EP3734628A4 (en) 2021-09-08
KR20200079547A (ko) 2020-07-03
CN111512407A (zh) 2020-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8732B2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US7230197B2 (en) Movable contact, moveable contact unit including the same, and switch including the same movable contact
US10867762B2 (en) Keyboard key having a haptic elastic piece abutting the return spring
US8330064B2 (en) Key button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17224581A (ja) キースイッチ
WO2016181829A1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102342377B1 (ko) 스위치 장치
JP2016001557A (ja) 2段スイッチ装置
US10796861B2 (en) Key module
CN106683933B (zh) 一种开关总成
JP6944367B2 (ja) スイッチ装置
CN110670952B (zh) 用于车辆的遥控钥匙
JP2013026093A (ja) スイッチ装置
JP2008311101A (ja) キースイッチ構造
JP2008311009A (ja) 押圧操作装置
JP6729849B2 (ja) 操作ユニットの組み付け構造
JP2019125424A (ja) スイッチ装置
JP6430333B2 (ja) 押圧操作装置
JP2013168234A (ja) 防水型スライドスイッチ装置
US9870882B2 (en) Push button for motor vehicle key module
CN213426606U (zh) 壳体组件与电子产品
JP4937994B2 (ja) 多方向スライド式スイッチ
JP2005071800A (ja) スイッチ
JP4416629B2 (ja) 二段押圧スイッチ
JP5209688B2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