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317B1 - 불소흡착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불소 함유 폐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불소흡착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불소 함유 폐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317B1
KR102342317B1 KR1020200023222A KR20200023222A KR102342317B1 KR 102342317 B1 KR102342317 B1 KR 102342317B1 KR 1020200023222 A KR1020200023222 A KR 1020200023222A KR 20200023222 A KR20200023222 A KR 20200023222A KR 102342317 B1 KR102342317 B1 KR 102342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ine
slurry
resin
column
ad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8259A (ko
Inventor
정인
이상은
이정원
Original Assignee
인오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오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오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3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317B1/ko
Priority to PCT/KR2020/002770 priority patent/WO2021172619A1/ko
Priority to CN202010119151.4A priority patent/CN113368807A/zh
Publication of KR20210108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6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oxides or hydroxide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0/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33Membrane, sheet, cloth, pad, lamellar or m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6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oxides or hydroxide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0/04
    • B01J20/0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oxides or hydroxide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0/04 comprising aluminium oxide or hydroxide; comprising baux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16Particle form
    • B01J20/28019Spherical, ellipsoidal or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16Particle form
    • B01J20/28021Hollow particles, e.g. hollow spheres, microspheres or cenosphe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028Granulating, agglomerating or aggreg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91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arrier, the coating or the obtained coated product
    • B01J20/3297Coatings in the shape of a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5Regenerating or reactivating using a particular desorbing compound or mix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synthetic 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mposite sorbents, e.g. coated, impregnated, multi-lay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02F1/5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by removing fluoride or fluorin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2Halogens or 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02F2101/14Fluorine or fluorine-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불소흡착재는 산화세륨(Cerium Oxide) 30 wt% 내지 60 wt%, 수산화세륨(Cerium hydroxide) 30 wt% 내지 60 wt%, 산화알루미늄(Aluminium oxide) 0.1 wt% 내지 15 wt%, 및 산화지르코늄(Zirconium oxide) 0.1 wt% 내지 15 wt%를 포함하는 지지체; 및 에틸렌비닐알코올(Ethylene Vinyl Alcohol)을 함유하고 상기 지지체를 결합시키는 흡착질 수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불소흡착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불소 함유 폐수 처리방법{FLUORINE ADSORPTION MATERIAL, PREPARING METHOD FOR THE SAME AND TREATMENT METHOD OF WASTE-WATER HAVING FLUORINE 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불소흡착재, 이의 제조방법 및 불소 함유 폐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물성이 개선되어 컬럼 흡착이 가능한 불소흡착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불소 흡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불소는 화학적 활성이 매우 강한 특성으로 인해 유리제조업, 알루미늄 및 철 제조공정, 요업공정, 전기도금 공정 및 디스플레이 제조를 포함하는 전자관련 산업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 중 유리 슬리밍 과정에서 화학적 반응에 의한 식각 과정이 수행되며 이때 사용되는 불산 공정에는 불산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폐수가 생성되어 다른 무기물에 우선하여 1차적으로 불소를 제거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불소는 자연수 중에 존재하며, 해수 및 하천에서의 농도는 1.3 mg/L, 화산지대 등에서는 10 mg/L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는 2 mg/L 이하로 존재한다. 음료로서 미량(1 mg/L 미만) 섭취 시 필수 영양소로의 작용과 충치 예방에 효과가 있지만, 과잉섭취 시에는 갑상선 장애, 신경손상, 치아변색 및 불소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음용수를 비롯하여 폐수는 법적으로 불소 화합물의 배출 허용기준을 정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수질환경 보전법에 따라 청정지역 3 mg/L, 기타 지역 15 mg/L 이하로 설정하여 불소의 배출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이에 폐수를 처리함에 있어서, 폐수 중의 불소 이온을 기준 이하로 제거하여 폐수를 배출하거나, 또는 불소를 제거하여 폐수를 재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불소를 함유하는 폐수의 처리과정은 처리 대상 폐수에 칼슘염을 첨가하여 대부분의 불소를 제거하고, 과잉의 황산 알루미늄 또는 인산염을 첨가하여 불소농도를 1~4 ppm까지 낮추는 응집 침전법을 사용하여 불소를 제거하고 있으나, 불소농도에 비해 수백배의 침전제를 필요로 하며, 폐기물 슬러리가 많고 처리시설도 거대화 되며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보다 간편한 공정을 통하여 처리 공정 중에 부산물이 발생되지 않으며, 불소 배출 허용기준보다 낮는 함량으로 불소를 제거하여 강화되고 있는 불소 배출 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불소흡착재의 개발이 시급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5785호는 불소 함유 폐수로부터 불소처리 방법 및 설비를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폐수를 양이온교환수지를 통과시켜 폐수 중의 칼슘이온을 먼저 제거하는 구성으로 처리시설이 복잡하고 거대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불소 함유 폐수, 특히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 중 유리의 슬리밍을 위한 불산공정(HF Process)에서 배출된 폐수에서 불소를 1차적으로 제거하여 처리하는 불소흡착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불소함유 폐수를 주로 처리하는 응집이나 침전법이 아닌 강도가 증가되어 수직 컬럼이나 베드에 일정 이상으로 적층되어도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불소흡착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컬럼 등에 충전된 불소흡착재의 강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대량으로 불소함유 폐수의 처리가 가능하며, 용이하게 반복 재생이 가능하여 효율적으로 불소 함유 폐수에서 불소이온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불소 함유 폐수 처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1.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불소흡착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불소흡착재는 산화세륨(Cerium Oxide) 30 wt% 내지 60 wt%, 수산화세륨(Cerium hydroxide) 30 wt% 내지 60 wt%, 산화알루미늄(Aluminium oxide) 0.1 wt% 내지 15 wt%, 및 산화지르코늄(Zirconium oxide) 0.1 wt% 내지 15 wt%를 포함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를 결합시키는 흡착질 수지;를 포함하는 불소흡착재를 제공한다.
2. 상기 1구체예에서, 상기 불소흡착재는 알칼리에 대해 불용성이며, 비드(Bead) 형상일 수 있다.
3.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a-1) 산화세륨(Cerium Oxide) 30 wt% 내지 60 wt%, 및 수산화세륨(Cerium hydroxide) 30 wt% 내지 60 wt%를 용매에 혼합하여 제1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a-2) 상기 제1슬러리에 산화알루미늄(Aluminium oxide) 0.1 wt% 내지 15 wt%, 및 산화지르코늄(Zirconium oxide) 0.1 wt% 내지 15 wt%를 첨가하는 단계;
(a-3) 상기 제1슬러리를 분산시키는 단계;
(a-4) 수지를 유기용매와 혼합하여 제2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a-5) 상기 제1슬러리와 제2슬러리를 혼합하여 제3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a-6) 상기 제3슬러리를 분산시키는 단계; 및
(a-7) 상기 제3슬러리를 물에 적하 하여 비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소흡착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4. 상기 3 구체예에서, 상기 유기용매는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피리딘(Pyridine),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및 포름산(Form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5. 상기 3구체예에서, 상기 수지는 에틸렌비닐알코올계 수지(Ethylene-Vinyl alcohol resin), 아세틸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Polyvinyl acetal resin), 폴리불화비닐리덴수지(Polyvinylidene fluoride resin),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Polytetrafluoroethylene resin), 폴리비닐부티랄수지(Poly vinyl butyral resin) 및 폴리올레피닉수지(Polyloefinic res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6. 상기 3 내지 5 중 어느 하나 구체예에서, 상기 a-2 단계는, 상기 제1슬러리 내의 산화물의 총량이 50 wt% 미만이 되도록 산화알루미늄(Aluminium oxide) 및 산화지르코늄(Zirconium oxide)을 첨가될 수 있다.
7. 상기 3 내지 6 중 어느 하나 구체예에서, 상기 a-4 단계는, 상기 수지를 상기 유기용매에 5 내지 15 %(v/v)로 혼합하여 제2슬러리를 제조할 수 있다.
8. 상기 3 내지 7중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서, 상기 a-7단계는, 상기 제3슬러리를 물에 적하 하여 상기 비드를 형성할 수 있다.
9.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상기 불소흡착재를 이용한 불소 함유 폐수 처리방법에 있어서,
(a) 불소흡착재가 충전된 컬럼을 준비하는 단계;
(b) 불소를 포함하는 폐수를 유입하여 상기 불소흡착재에 불소이온을 흡착하는 단계;
(c) 상기 폐수의 불소이온 농도를 확인하여 일정 기준 이하의 불소이온이 검출되는 경우 폐수를 컬럼에서 배출하거나, 상기 기준을 초과하는 불소이온이 검출되는 경우 폐수 유입을 중단하는 단계;
(d) 상기 컬럼의 하부에 세척수를 투입하여 상기 불소흡착재를 역세(Back wash)하는 단계;
(e) 상기 컬럼의 상부에서 알칼리용액을 투입하여 상기 불소흡착재로부터 불소이온을 분리하고 불소흡착재를 재생하는 단계;
(f) 상기 컬럼의 일측에서 세척수를 투입하여 상기 불소흡착재를 세척하는 단계;
(g) 상기 불소흡착재를 세척한 이후에 상기 컬럼의 일측에서 산용액을 투입하고 상기 컬럼 내의 pH를 조절하여 상기 불소흡착재를 활성화 시키는 단계; 및
(h) 상기 컬럼에 폐수를 유입하여 폐수 중의 불소이온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상기 (b) 단계로 회귀하거나, 상기 불소이온이 일정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d) 단계로 회귀하도록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소 함유 폐수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10. 상기 9 구체예에서, 상기 알칼리 용액은 0.1 내지 0.3 N농도의 수산화나트륨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불소흡착재는 디스플레이 제조과정에서 배출되어 불소이온이 다량으로 포함된 불소 함유 폐수에서 1차적으로 불소이온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또한 강도가 증가되어 대량으로 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대용량 컬럼 또는 흡착용 베드에 충전되어도 장시간 운영이 가능하며, 간단한 재생 공정을 통하여 불소흡착재의 재생이 가능하여 불소함유 폐수처리 공정의 효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불소흡착재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불소흡착재 제조방법의 공정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불소 함유 폐수 처리방법의 공정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불소 함유 폐수 처리 공정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불소흡착재의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 있다.
'상부', '상면', '하부', '하면' 등과 같은 위치 관계는 도면을 기준으로 기재된 것일 뿐, 절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즉, 관찰하는 위치에 따라, '상부'와 '하부' 또는 '상면'과 '하면'의 위치가 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불소흡착재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불소흡착재의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불소흡착재는 지지체(100) 및 흡착질 수지(2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100)는 상기 흡착질 수지(200)에 의해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체는 산화세륨(Cerium Oxide) 30 wt% 내지 60 wt%, 수산화세륨(Cerium hydroxide) 30 wt% 내지 60 wt%, 산화알루미늄(Aluminium oxide) 0.1 wt% 내지 15 wt%, 및 산화지르코늄(Zirconium oxide) 0.1 wt% 내지 15 wt%를 포함한다.
상기 산화세륨 및 수산화세륨은 희토류의 산화물 또는 수화물로 무기물 이온 중에서 특히 불소이온(F-)을 효과적으로 흡착할 수 있다.
상기 산화세륨 및 수산화세륨은 다른 희토류의 산화물 또는 수화물보다 높은 비표면적을 갖으며, 슬러리 혼합 공정으로 지지체를 생성하여도 다공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산화세륨과 수산화세륨은 슬러리 상태로 혼합되어 지지체를 형성하며, 다공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상기 불소흡착재는 지지체의 중심부까지 불소이온 흡착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산화세륨과 수산화세륨의 상기 범위 내로 첨가되는 경우 지지체 내에서 다공성을 유지하고, 불소이온 흡착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pH 3 ~ 4의 범위에서 불소이온 흡착능력을 최대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산화세륨의 함량이 상기 범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에서 배출되는 고불소 폐수에서 목표로 하는 불소이온 흡착능력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로 상기 산화세륨과 수산화세륨이 포함되는 경우 슬러리 혼합 공정을 통한 지지체 형성과정에서 다공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산화세륨과 수산화세륨이 각각의 함량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슬러리 혼합에서 용매에 대한 분산이 어렵다.
상기 산화알루미늄 및 산화지르코늄은 상기 산화세륨과 수산화세륨과 슬러리로 혼합되어 상기 지지체의 다공성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산화세륨 또는 수산화세륨 만으로 불소흡착제를 제조하는 경우 비표면적은 증가하나, 강도가 감소되어 고층 컬럼 또는 베드와 같이 대량으로 충전하여 적층하는 경우 하중에 의한 압력으로 불소흡착재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산화알루미늄 및 산화지르코늄을 상기 범위 내로 첨가하는 경우 상기 지지체의 다공성을 유지하면서도, 강도를 증가시켜 컬럼 또는 베드에 충전된 상태로 불소 폐수의 처리가 가능하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증가하여 슬러리를 혼합하는 방식으로 상기 지지체를 형성하기 어렵다.
상기 흡착질 수지는 에틸렌비닐알코올계 수지(Ethylene-Vinyl alcohol resin), 아세틸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Polyvinyl acetal resin), 폴리불화비닐리덴수지(Polyvinylidene fluoride resin),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Polytetrafluoroethylene resin), 폴리비닐부티랄수지(Poly vinyl butyral resin) 및 폴리올레피닉수지(Polyloefinic res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흡착질 수지는 유기용매에 용해되어 슬러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체를 형성하는 슬러리와 혼합되어 불소흡착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흡착질 수지는 상기 산화세륨, 수산화세륨, 산화알루미늄 및 산화지르코늄이 혼합된 슬러리와 혼합되고, 물에 적하 시 상기 산화물과 수화물을 서로 결합하는 바인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흡착질 수지는 유기용매와 혼합되어 슬러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바인더 역할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불소이온을 흡착할 수 있는 다공성 흡착질을 형성하여 불소이온 흡착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다른 고분자 수지에 비해 매우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에틸렌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종래 폐수흡착제(상용명: READ-B)에 비하여 다른 무기물 이온 대비 불소이온 선택성이 매우 높아서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흡착재는 알칼리에 대해 불용성이고, 비드(Bead) 형상이다.
상기 지지체 및 흡착질 수지가 알칼리에 대해 불용성인 경우 다량의 알칼리 용액을 첨가하여 상기 지지체 및 흡착질 수지에서 불소이온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불소흡착재는 슬러리 혼합공정 이후에 물에 적하 하여 구형 상태인 비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불소흡착재는 물에 적하 되어 일정 범위 내 직경을 가지는 비드로 제조된다.
상기 불소흡착재가 비드인 경우 흡착제의 단위중량당 표면적이 증가되어 불소이온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불소흡착재는 슬러리 혼합 공정 및 물에 적하 하는 방법으로 제조되어 종래 폐수처리 흡착제(READ-B)가 씨드 제조 공정 이후 쉘 제조 공정으로 형성되는 것에 반하여 공정이 감소되고 대량으로 제조가 가능하고, 지지체의 강도가 증가되어 대용량 컬럼 등에 적층되어도 효과적으로 불소이온을 흡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불소흡착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불소흡착재 제조방법의 공정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불소흡착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불소흡착재 제조방법은
(a-1) 산화세륨(Cerium Oxide) 30 wt% 내지 60 wt%, 및 수산화세륨(Cerium hydroxide) 30 wt% 내지 60 wt%를 용매에 혼합하여 제1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a-2) 상기 제1슬러리에 산화알루미늄(Aluminium oxide) 0.1 wt% 내지 15 wt%, 및 산화지르코늄(Zirconium oxide) 0.1 wt% 내지 15 wt%를 첨가하는 단계;
(a-3) 상기 제1슬러리를 분산시키는 단계;
(a-4) 수지를 유기용매와 혼합하여 제2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a-5) 상기 제1슬러리와 제2슬러리를 혼합하여 제3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a-6) 상기 제3슬러리를 분산시키는 단계; 및
(a-7) 상기 제3슬러리를 물에 적하 하여 비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산화세륨 30 wt% 내지 60 wt%, 및 수산화세륨30 wt% 내지 60 wt%를 용매에 혼합하여 제1슬러리를 제조한다(S10).
상기 유기용매는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피리딘(Pyridine),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및 포름산(Form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수지는 에틸렌비닐알코올계 수지(Ethylene-Vinyl alcohol resin), 아세틸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Polyvinyl acetal resin), 폴리불화비닐리덴수지(Polyvinylidene fluoride resin),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Polytetrafluoroethylene resin), 폴리비닐부티랄수지(Poly vinyl butyral resin) 및 폴리올레피닉수지(Polyloefinic res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상기 산화세륨 및 수산화세륨과 혼합되어 슬러리를 형성하기 용이하며, 상기 산화세륨 및 수산화세륨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지 않으나, 상기 수지와 반응하여 흡착질 수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외 고분자 수지는 열처리와 추가공정 없이 슬러리 혼합공정 후 물에 적하 하는 방법으로 불소흡착재를 제조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S10단계는 산화세륨 및 수산화세륨에 대하여 상기 디메틸설폭사이드를 혼합하여 상기 제1슬러리를 제조한다.
상기 산화세륨 및 수산화세륨에 대하여 상기 디메틸설폭사이드를 혼합하여 제1슬러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1슬러리에 산화알루미늄 0.1 wt% 내지 15 wt%, 및 산화지르코늄 0.1 wt% 내지 15 wt%를 첨가한다(S20).
상기 제1슬러리에 산화알루미늄 및 산화지르코늄을 첨가한다.
상기 범위로 첨가하는 경우 제조되는 불소흡착재가 다공성을 유지하면서도 비중이 증가되며, 컬럼에 다량으로 충전되어 반복적인 재생과정에서 장시간 비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슬러리 내의 산화물의 총량이 50 wt% 미만이 되도록 산화알루미늄(Aluminium oxide) 및 산화지르코늄(Zirconium oxide)을 첨가한다.
상기 산화물의 총량이 50 wt%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를 조절하기 어렵고, 이후 공정에서 상기 수지를 상기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제2 슬러리와 혼합공정으로 불소흡착재를 제조하기 어렵다.
상기 제1슬러리를 분산시킨다(S30).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슬러리를 분산시키고, 정제할 수 있다.
상기 제1슬러리를 분산시키고, 정제하는 경우에 슬러리 공정으로 비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지와 상기 유기용매와 혼합하여 제2슬러리를 제조한다(S40).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수지는 에틸렌비닐알코올계 수지(Ethylene-Vinyl alcohol resin)이고, 상기 유기용매를 디메틸설폭사이드로 선택하며, 상기 수지를 상기 유기용매에 5 내지 15 %(v/v)로 혼합하여 제2슬러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로 혼합하는 경우 상기 제2슬러리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지가 유기용매에 일정하게 용해되어 바인더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슬러리와 제2슬러리를 혼합하여 제3슬러리를 제조한다(S50).
상기 제1슬러리와 제2슬러리를 혼합하여 제3슬러리의 점도를 낮추고 물에 적하 하여 비드 형성이 가능하다.
상기 제3슬러리를 분산시킨다(S60).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3슬러리를 슬러리를 다시 분산시키고 정제할 수 있다.
상기 분산 후 정제하는 경우 이후 비드 형성 과정의 효율이 매우 증가한다.
상기 제3슬러리를 물에 적하 하여 비드를 형성한다(S70).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3슬러리를 온도를 30 내지 80℃로 유지되는 반응기에 투입한다.
상기 제3슬러리를 상기 반응기 내의 물에 적하 하여 상기 비드를 형성한다.
상기 반응기 내의 물에 적하 하여 비드를 형성하는 경우 평균 직경을 조절하기 용이하며, 상기 물에 적하 하는 방법이 아니면 구형이 아닌 종횡비가 일정하지 않은 입자가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제3슬러리를 물에 적하(dropwise)하여 경우 구형 형태인 비드를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물에 적하 하는 방법 이외에는 구형 형태인 비드를 형성하기 어렵고, 상기 범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형성된 비드가 응집될 우려가 있다.
이후에 상기 비드를 회수하여 세척하고 건조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비드를 세척 용기에서 배치한 후 물을 5 내지 10회 순환시켜 세척하고 탈수한 이후에 70~ 90 ℃에서 1~24시간 동안 건조한다.
상기 비드를 회수하여 물을 이용하여 세척한다.
이 때 세척용기에 상기 비드를 배치하고 물을 순환시키는 방법으로 세척하여 세척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세척한 비드를 수득하여 탈수한 이후에 상기 범위 내에서 건조하여 불소흡착재를 제조한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불소흡착재의 물성이 변화되어 불소 이온 흡착능력이 감소될 우려가 있으며, 에너지가 추가적으로 소모되어 공정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불소흡착재 제조방법은 씨드를 형성하고 열처리를 통한 중합공정이 아니라 슬러리 혼합이 가능한 전구체와 바인더인 흡착질 수지를 형성하고, 이를 물에 적하 하여 비드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보다 용이하게 대량으로 불소흡착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상기 불소흡착재를 이용한 불소 함유 폐수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도 3은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불소 함유 폐수 처리방법의 공정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불소 함유 폐수 처리 공정구성도이다.
이하에서, 도 3 및 도4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불소 함유 폐수 처리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불소 함유 폐수 처리방법은 (a) 불소흡착재가 충전된 컬럼을 준비하는 단계;
(b) 불소를 포함하는 폐수를 유입하여 상기 불소흡착재에 불소이온을 흡착하는 단계;
(c) 상기 폐수의 불소이온 농도를 확인하여 일정 기준 이하의 불소이온이 검출되는 경우 폐수를 컬럼에서 배출하거나, 상기 기준을 초과하는 불소이온이 검출되는 경우 폐수 유입을 중단하는 단계;
(d) 상기 컬럼의 하부에 세척수를 투입하여 상기 불소흡착재를 역세(Back wash)하는 단계;
(e) 상기 컬럼의 상부에서 알칼리용액을 투입하여 상기 불소흡착재로부터 불소이온을 분리하고 불소흡착재를 재생하는 단계;
(f) 상기 컬럼의 일측에서 세척수를 투입하여 상기 불소흡착재를 세척하는 단계;
(g) 상기 불소흡착재를 세척한 이후에 상기 컬럼의 일측에서 산용액을 투입하고 상기 컬럼 내의 pH를 조절하여 상기 불소흡착재를 활성화 시키는 단계; 및
(h) 상기 컬럼에 폐수를 유입하여 폐수 중의 불소이온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상기 (b) 단계로 회귀하거나, 상기 불소이온이 일정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c) 단계로 회귀하도록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불소흡착재가 충전된 컬럼을 준비한다(S100).
상기 불소흡착재는 상술한 불소흡착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불소흡착재이다.
상기 컬럼(20)은 상기 불소흡착재(21)가 충전되며, 불소 함유 폐수가 유입되어 상기 불소흡착재(21)와 반응하고 불소이온이 흡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서 상기 컬럼(20)은 10,000L이고, 전체 부피에 대하여 상기 불소흡착재(21)가 40~50%(V)로 충전된다.
상기 범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불소이온 흡착효율이 감소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상기 불소흡착재(21)가 충전되는 경우 이후 재생공정의 부하가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불소를 포함하는 폐수를 유입하여 상기 불소흡착재에 불소이온을 흡착한다(S200).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컬럼(20)의 일측으로 폐수유입라인(10)이 구비되고, 타측으로 정화수 배출라인(11)이 구비되며, 하부 일측에 역세유입라인(30)이 배치되며, 상부 타측에 알칼리용액보관탱크(40) 및 산용액보관탱크(50)가 분리되어 구비되고, 상기 컬럼(20) 하부의 일측에는 시험밸브(60)를 통해 연결되는 디지털농도계(80)가 구비된다.
각각의 라인을 따라 설치된 밸브(12, 13, 31, 32, 41, 51, 60, 71)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연통되는 제어부(미도시)의 지시에 따라 개폐가 가능하다.
상기 폐수유입라인(10)을 따라 밸브(12)가 상기 폐수의 유입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12)의 개폐에 따라 상기 폐수가 일정한 유속으로 상기 컬럼(20) 내로 유입된다.
상기 폐수는 특히 디스플레이 제조에 있어서 유리의 슬리밍 공정에서 사용되는 불산(HF)에 의해 생성되는 폐수로 불소 함유량이 15 pp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폐수의 불소 함유량이 15 ppm 이상인 경우에는 응집 및 침전시키는 방법으로 불소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힘들며, 처리 공정에 따른 플랜트 스케일이 매우 증가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폐수가 상기 컬럼(20) 내로 유입되면 상기 불소흡착재(21)와 하기 반응식 1에 따라 반응하여 다른 무기 음이온보다 우선적으로 불소 이온이 흡착된다.
[반응식 1]
Ce-OH + F- → Ce-F + OH-
상기 불소흡착재(21)는 각종 무기물 이온 중에서 불소이온을 우선적으로 흡착하는 선택성을 갖는다.
이 때, 상기 폐수에 의해 상기 컬럼(20) 내부의 pH가 3 내지 4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pH 범위에서 상기 불소흡착이온의 활성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pH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불소흡착재(21)의 활성을 유지할 수 없다.
상기 폐수의 불소이온 농도를 확인하여 일정 기준 이하의 불소이온이 검출되는 경우 폐수를 컬럼(20)에서 배출하거나, 상기 기준을 초과하는 불소이온이 검출되는 경우 폐수 유입을 중단한다(S300).
상기 컬럼(20)의 하부에는 시험밸브(60)가 구비되며, 상기 시험밸브(60)를 따라 폐수가 배출되면, 디지털농도계(70)로 불소 함유 유무 및 함량을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폐수의 불소이온 농도는 단속적으로 측정될 수 있으며, 폐수의 불소이온 농도가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상기 정화수배출라인(11)을 따라 배출된다.
상기 불소이온의 기준 농도는 3 ppm이하이다.
상기 기준 농도는 불소이온 흡착 처리된 정화수가 요구되는 기준에 따라 S200을 반복하여 더 낮아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기준을 초과하는 불소이온이 검출되는 경우 폐수 유입을 중단한다.
상기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불소흡착재(21)의 활성이 감소된 것으로 판단되어 폐수 유입을 중단하고 불소흡착재(21)의 재생과정이 진행된다.
상기 불소이온흡착제(21)의 재생과정은 우선 상기 컬럼의 하부에 세척수를 투입하여 상기 불소흡착재를 역세(Back wash)하여 시작된다(S400).
일반적인 중력식 흡착컬럼의 경우 상부에서 하부로 유체의 흐름이 연속하여 수행되나,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역세를 통하여 세척수를 상향류(upstream)로 형성하여 불소흡착재(21)를 빠르게 세척함과 동시에 균일하지 못한 불소흡착재(21)를 컬럼(20) 하부에서부터 입자 크기가 큰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이후 알칼리용액을 이용한 탈착 공정의 효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역세는 20~30분 동간 수행된다.
상기 세척수는 상기 컬럼(20) 중간 구역에서 역세유출라인(33)을 따라 배출된다.
상기 컬럼(20)의 상부에서 알칼리용액을 투입하여 상기 불소흡착재로부터 불소이온을 분리하고 불소흡착재를 재생한다(S500).
상기 불소흡착재(21)의 세척이 종료된 이후에 상기 알칼리용액은 상기 컬럼(20) 타측에 배치된 알칼리용액보관탱크(40)에서 알칼리용액라인(42)을 따라 상기 컬럼(20)으로 도입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알칼리 용액은 0.1 내지 0.3 N농도의 수산화나트륨(NaOH)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로 수산화나트륨이 첨가되는 경우 하기 반응식 2에 따라 불소흡착재(21)에 흡착된 불소이온을 효과적으로 탈착하여 불소를 금속염으로 배출할 수 있다.
[반응식 2]
Ce-F + NaOH → Ce-OH + NaF
상기 농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이후 산세 과정에서 pH를 조절하여 상기 불소흡착재의 활성을 회복시키는데 과도한 산용액이 필요한 문제가 있으며, 상기 범위에 미치 못하는 경우 상기 불소이온을 효과적으로 탈착하기 어렵다.
상기 컬럼(20)의 일측에서 세척수를 투입하여 상기 불소흡착재를 세척한다(S600).
상기 세척수는 상기 컬럼(20)의 일측에 배치된 세척수유입라인(70)을 따라 상기 컬럼(20)에 도입되며, 가압되지 않고 중력에 의하여 낙하되어 상기 불소흡착재(21)를 세척하고 생성된 금속염과 잔류하는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1~1.5 시간 동안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불소흡착재(21)를 세척한 이후에 상기 컬럼(20)의 일측에서 산용액을 투입하여 상기 컬럼 내의 pH를 조절하여 상기 불소흡착재를 활성화 시킨다(S700).
상기 산용액은 상기 컬럼(20) 상부 타측에 배치된 산용액보관탱크(50)에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S600에서 수세이후에도 컬럼(20) 내의 pH는 7~11로 높기 때문에 상기 산용액을 도입하여 상기 컬럼(20)의 pH를 3~4로 조절하여 상기 불소흡착재(21)를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산용액은 0.03 내지 0.04 N의 염산(HCl)이고, 60 분 내지 100 분 정도 세척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농도로 세척하는 경우 컬럼 내의 pH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농도의 산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불소흡착재(21)의 흡착질 수지가 산에 반응하여 강도가 감소될 우려가 있다.
이후에는 상기 컬럼(20)에 폐수를 유입하여 폐수 중의 불소이온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상기 S200으로 회귀하거나, 상기 불소이온이 일정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S400으로 회귀하도록 판단할 수 있다(S800).
상기 세척과정(S400~S700)을 통하여 불소흡착재(21)가 재생되고 상기 시험밸브(60)를 통하여 폐수 내의 불소이온 함량을 검출할 수 있고, 불소이온 함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불소이온 흡착 후 S300에서 폐수를 배출한다.
불소이온 함량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S400으로 회귀하며, 기준치 이하로 불소이온이 검출될 때까지 세척과정(S400~S700)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불소이온 함량 기준치는 3 ppm 이하에서 결정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불소흡착재 제조
1) 제1슬러리(Slurry) 제조: 산화세륨 4 kg, 수산화세륨 5kg을 혼합하고, 산화알루미늄 및 산화지르코늄을 각각 500g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디메틸설폭사이드 와 1:1 중량비로 혼합하고, 이후 베슬(Vessel)에 채우고 분산시키고 정제하여 제1슬러리를 제조였다.
2) 제2슬러리 제조: 에틸렌비닐알코올계 수지를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에 10%(v/v) 로 용해 후 정제하여 제2슬러리를 제조하였다.
3) 슬러리 혼합 : 상기 제1슬러리와 제2슬러리를 1: 2의 중량비로 반응기에 투입한 이후에 쉐이커를 사용하여 교반하고 재분산하여 제3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제3슬러리를 분산시킨 후, 정제하였다.
4) 비드 제조: 반응기에 물을 준비하고, 제3슬러리를 적하 하였다.
이 때 반응기 내부 온도는 50 ℃로 유지하였다.
물속으로 침전되어 있는 비드를 회수하고, 세척 용기에 넣은 후 물로 순환 하여 5회 세척하고 탈수과정을 통해서 물기를 제거하였다.
탈수된 비드를 열풍 건조기에 넣어 90 ℃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불소흡착재를 회수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불소흡착재의 사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조된 불소흡착재는 평균입자크기가 0.7~1 mm이고, 비중이 1.3 ~1.4 g/ml이며, 수분을 50~60%로 함유하는 황색의 비드로 구형 형태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슬러리 혼합 공정 이후에 물에 적하 하여 비드를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 불소흡착재 불소흡착능력 확인
실시예 1에 따라 불소흡착재를 제조하되, 산화세륨과 수산화세륨의 함량을 변화시켜 불소수지 흡착능력을 확인하였다.
시료(No.) 1 2 3 4 5 6
산화세륨(kg) 2 3 4 5 6 7
수산화세륨(kg) 7 6 5 4 3 2
산화알루미늄(kg) 0.5 0.5 0.5 0.5 0.5 0.5
산화지르코늄(kg) 0.5 0.5 0.5 0.5 0.5 0.5
불소이온(ppm) 4.3 2.9 2.8 2.5 2.3 2.4
염소이온(ppm) 790 785 783 784 785 790
질산(NO3 -)(ppm) 223 210 211 209 210 222
50 cm 직경의 컬럼에 제조된 불소흡착재를 충전하였다.
불소흡착재는 최초 세척 이후에 0.3 N수산화나트륨에 의한 알칼리세정과 세척, 및 0.04N 염산으로 산세정 및 세척 과정을 통한 전처리로 불소흡착재를 활성화 시켰다.
디스플레이 제조과정에서 부산하는 폐수를 수집하고, 컬럼에 투입하여 배출되는 무기이온의 농도를 이온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표 1은 시료에 따라 컬럼 통과 후 폐수의 이온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불소이온흡착제가 불소이온을 효과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수산화세륨보다 산화세륨의 함량이 증가될수록 불소흡착능력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No.1 시료에서 실시예의 범위를 넘어가는 경우 불소흡착능력이 감소되어 불소이온 흡착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불소수지 이외에 무기이온에 대한 흡착능력을 거의 나타내지 않아서 불소흡착재가 불소에 대한 선택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비중에 따른 재생능력
실시예 1에 따라 6 kg 산화세륨과 3 kg을 혼합하고,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지르코늄의 첨가량을 변화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시료(No.) 7 8 9 10 11 12 13 14 15
산화알루미늄(g) 2 5 30 40 50 60 70 70 70
산화지르코늄(g) 2 5 60 50 40 30 20 40 50
비중(g/mL) 0.73 0.89 1.45 1.4 1.35 1.31 1.3 1.52 1.6
100 cycle 흡착 후 잔량(%)
상기 표 2는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지르코늄의 첨가량에 따른 비중과, 100 cycle의 흡탈착 후 반응기에 남아 있는 불소흡착재의 잔량(volume%)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100 cycle 의 흡탈착 후 불소흡착재 잔량이 90~100%이면 '○'로 표기하고, 80~90 이면 '△'로, 80% 미만이면 'X' 표기하였다.
시료 No. 9내지 13을 확인하면, 산화알루미늄보다 산화지르코늄 함량이 증가될수록 효과적으로 비중이 증가되었다.
특히 불소흡착재의 비중이 1.3~ 1.4(g/mL) 범위인 경우 실제 플랜트 크기인 10,000 L컬럼에서 100 회 이상의 반복 재생을 통하여 강도를 유지하면서 불소흡착재가 소실되지 않고, 불소흡착능력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지르코늄이 총 10g으로 첨가되는 경우(시료 No. 8) 비중이 0.89 g/mL로 강도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잔류되는 불소흡착재의 잔량이 80~90%로 반복적인 흡탈착으로 인하여 불소흡착재가 소실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지르코늄이 불소흡착재의 강도 및 재생에 따른 비드 유지에 매우 중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지르코늄의 첨가량이 이 보다 첨가량이 감소되는 경우(시료 No. 7) 반복 흡탈착 후 불소흡착재의 잔량이 80 % 미만으로 대량으로 반복 흡탈착하기에 부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료 No. 14 및 15에서 산화알루미늄과 산화지르코늄의 함량이 증가되는 경우 강도가 증가하여 반복적인 흡탈착은 가능하나, 불소이온 흡착능력이 감소되어 고농도 불소 함유 폐수를 처리하게 적당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폐수유입라인 11: 정화수배출라인
20 : 컬럼 21 : 불소흡착재
30 : 역세유입라인 33: 역세유출라인
40 : 알칼리용액보관탱크 42 : 알칼리용액라인
50 : 산용액보관탱크 52 : 산용액라인
60 : 시험밸브 70 : 세척수유입라인
80 : 디지털농도계
100 : 지지체 200 : 흡착질 수지

Claims (10)

  1. 산화세륨(Cerium Oxide) 30 wt% 내지 60 wt%, 수산화세륨(Cerium hydroxide) 30 wt% 내지 60 wt%, 산화알루미늄(Aluminium oxide) 0.1 wt% 내지 15 wt%, 및 산화지르코늄(Zirconium oxide) 0.1 wt% 내지 15 wt%를 포함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를 결합시키는 흡착질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세륨과 상기 수산화세륨간 중량비는 7:2 ~ 5:4이며, 비드로 형성되어 비중이 1.3 ~ 1.4(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흡착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흡착재는 알칼리에 대해 불용성이며, 비드(Bead)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흡착재.
  3. (a-1) 산화세륨(Cerium Oxide) 30 wt% 내지 60 wt%, 및 수산화세륨(Cerium hydroxide) 30 wt% 내지 60 wt%를 용매에 혼합하여 제1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a-2) 상기 제1슬러리에 산화알루미늄(Aluminium oxide) 0.1 wt% 내지 15 wt%, 및 산화지르코늄(Zirconium oxide) 0.5 wt% 내지 15 wt%를 첨가하는 단계;
    (a-3) 상기 제1슬러리를 분산시키는 단계;
    (a-4) 수지를 유기용매와 혼합하여 제2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a-5) 상기 제1슬러리와 제2슬러리를 혼합하여 제3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a-6) 상기 제3슬러리를 분산시키는 단계; 및
    (a-7) 상기 제3슬러리를 물에 적하 하여 비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산화세륨과 상기 수산화세륨간 중량비를 7:2 ~ 5:4로 조절하며,
    상기 비드는 비중이 1.3 ~ 1.4(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흡착재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피리딘(Pyridine),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및 포름산(Form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흡착재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에틸렌비닐알코올계 수지(Ethylene-Vinyl alcohol resin), 아세틸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polyvinyl acetal resin), 폴리불화비닐리덴수지(Polyvinylidene fluoride resin),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Polytetrafluoroethylene resin), 폴리비닐부티랄수지(Poly vinyl butyral resin) 및 폴리올레피닉수지(Polyloefinic res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흡착재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2 단계는, 상기 제1슬러리 내의 산화물의 총량이 50 wt% 미만이 되도록 산화알루미늄(Aluminium oxide) 및 산화지르코늄(Zirconium oxide)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흡착재 제조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a-4 단계는, 상기 수지를 상기 유기용매에 5 내지 15 %(v/v)로 혼합하여 제2슬러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흡착재 제조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7단계는, 상기 제3슬러리를 물에 적하 하여 상기 비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흡착재 제조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의 불소흡착재를 이용한 불소 함유 폐수 처리방법에 있어서,
    (a) 불소흡착재가 충전된 컬럼을 준비하는 단계;
    (b) 불소를 포함하는 폐수를 유입하여 상기 불소흡착재에 불소이온을 흡착하는 단계;
    (c) 상기 폐수의 불소이온 농도를 확인하여 일정 기준 이하의 불소이온이 검출되는 경우 폐수를 컬럼에서 배출하거나, 상기 기준을 초과하는 불소이온이 검출되는 경우 폐수 유입을 중단하는 단계;
    (d) 상기 컬럼의 하부에 세척수를 투입하여 상기 불소흡착재를 역세(Back wash)하는 단계;
    (e) 상기 컬럼의 상부에서 알칼리용액을 투입하여 상기 불소흡착재로부터 불소이온을 분리하고 불소흡착재를 재생하는 단계;
    (f) 상기 컬럼의 일측에서 세척수를 투입하여 상기 불소흡착재를 세척하는 단계;
    (g) 상기 불소흡착재를 세척한 이후에 상기 컬럼의 일측에서 산용액을 투입하여 상기 컬럼 내의 pH를 조절하여 상기 불소흡착재를 활성화 시키는 단계; 및
    (h) 상기 컬럼에 폐수를 유입하여 폐수 중의 불소이온이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상기 (b) 단계로 회귀하거나, 상기 불소이온이 일정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c) 단계로 회귀하도록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불소 함유 폐수 처리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용액은 0.1 내지 0.3 N농도의 수산화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함유 폐수 처리방법.
KR1020200023222A 2020-02-25 2020-02-25 불소흡착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불소 함유 폐수 처리방법 KR102342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222A KR102342317B1 (ko) 2020-02-25 2020-02-25 불소흡착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불소 함유 폐수 처리방법
PCT/KR2020/002770 WO2021172619A1 (ko) 2020-02-25 2020-02-26 불소흡착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불소 함유 폐수 처리방법
CN202010119151.4A CN113368807A (zh) 2020-02-25 2020-02-26 氟吸附材料、其制备方法及利用其的含氟废水处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222A KR102342317B1 (ko) 2020-02-25 2020-02-25 불소흡착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불소 함유 폐수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259A KR20210108259A (ko) 2021-09-02
KR102342317B1 true KR102342317B1 (ko) 2021-12-24

Family

ID=77491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222A KR102342317B1 (ko) 2020-02-25 2020-02-25 불소흡착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불소 함유 폐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342317B1 (ko)
CN (1) CN113368807A (ko)
WO (1) WO20211726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2571B (zh) * 2022-06-17 2023-09-22 南京大学 一种多孔胺化有机氟胶囊及其制法与应用
US11904297B1 (en) 2023-01-11 2024-02-20 Iliad Ip Company, Llc Process for manufacturing lithium selective adsorption/separation medi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0030A (ja) 2009-05-11 2010-11-18 Nippon Sheet Glass Co Ltd 汚染成分吸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79647B2 (en) * 1985-02-21 1988-12-01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for adsorption treatment of dissolved fluorine
US4782103A (en) * 1987-08-19 1988-11-01 The Dow Chemical Company Ultra violet light resistant carbonate polymers with improved processing stability
JP3226565B2 (ja) * 1991-07-20 2001-11-05 株式会社日本触媒 廃水の処理方法
JP2008238132A (ja) * 2007-03-29 2008-10-09 Asahi Kasei Chemicals Corp 吸着装置および方法
JP5507112B2 (ja) * 2008-05-12 2014-05-28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高吸着性能多孔性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9359227B2 (en) * 2009-11-20 2016-06-07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Porous formed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0030A (ja) 2009-05-11 2010-11-18 Nippon Sheet Glass Co Ltd 汚染成分吸着剤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259A (ko) 2021-09-02
WO2021172619A1 (ko) 2021-09-02
CN113368807A (zh)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882B1 (ko) 용해된 불소의 흡착 처리방법
US44302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ultrapure water
US6849187B2 (en) Arsenic removal media
KR102342317B1 (ko) 불소흡착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불소 함유 폐수 처리방법
US7291578B2 (en) Hybrid anion exchanger for selective removal of contaminating ligands from fluid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6338830B1 (en) Absorbent and/or catalyst and binder system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refor
CA2680402C (en) Arsenic adsorbing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e
US7407587B1 (en) Method and sorbent for selective removal of contaminants from fluids
JPS60132693A (ja) 脱イオン装置
CN107486130A (zh) 普鲁士蓝类化合物脱铵材料制备方法及污水脱铵中的应用
KR20090019843A (ko) 알칼리 수용액의 정제 방법
KR101185877B1 (ko) 층상 이중 수산화물을 이용한 비소 함유 원수의 수처리 방법
CN107216415B (zh) 一种吸附胺液中热稳盐的阴离子树脂的制备方法
JP4854999B2 (ja) フッ素吸着剤及びその製法
JPH022612B2 (ko)
AU708178B2 (en) Acid contacted enhanced adsorbent particl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refor
JP2005270933A (ja) 陰イオン吸着材、陰イオンの除去方法、陰イオン吸着材の再生方法および元素回収方法
JP2004529842A (ja) アルミナ集塊、特に触媒支持体、触媒、吸収剤としての使用、並びにそれらの調製方法
CN113233536B (zh) 一种利用乙二胺树脂基零价钯纳米复合材料定向还原水体中亚硝酸根的方法
CN115505166A (zh) 一种硫脲改性树脂基纳米材料、制备方法及其深度去除水中硒酸盐的方法
JPH0217220B2 (ko)
KR101699349B1 (ko) 폐정수슬러지 기반 입상형 흡착여재 및 그 제조방법
JPS61192385A (ja) フツ素含有廃液の処理方法
JP3412455B2 (ja) 砒酸イオン吸着用活性アルミナおよびこれを用いてなる水溶液中からの砒酸イオンの吸着処理方法
JPH0975717A (ja) ヒ酸イオンの除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