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633B1 - 분할형 캔용기 - Google Patents

분할형 캔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633B1
KR102341633B1 KR1020200037357A KR20200037357A KR102341633B1 KR 102341633 B1 KR102341633 B1 KR 102341633B1 KR 1020200037357 A KR1020200037357 A KR 1020200037357A KR 20200037357 A KR20200037357 A KR 20200037357A KR 102341633 B1 KR102341633 B1 KR 102341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artition wall
inner cover
shielding member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0529A (ko
Inventor
김정희
Original Assignee
김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희 filed Critical 김정희
Priority to KR1020200037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633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complete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65D43/164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interfitting hinge elements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and the lid formed respectiv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할형 캔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공간을 복수로 구획하여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되, 분할된 내부공간간 기밀 유지력을 높여 위생적인 운반 및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분할형 캔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방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를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을 복수로 구획하는 분할 격벽; 상기 분할 격벽의 상면에 접착되어 분할된 내부 공간을 차폐하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엷은막의 차폐부재; 상기 차폐부재를 덮어씌우며, 분할격벽에 탈착될 수 있도록 설치된 내부 덮개; 및 상기 몸체의 개구부를 따라 절취선을 갖는 외부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 바닥 중앙에는 개구부를 향해 수직으로 고정된 중심바가 설치되며, 상기 분할 격벽은 상기 중심바와 몸체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 덮개는 중심바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차폐부재를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내부 덮개는 상기 중심바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중심바에 고정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된 회동돌기와, 상기 내부덮개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돌기에 결합된 회동홈부로 제공되고, 상기 차폐부재는 분할된 내부 공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로 제공되며, 상기 내부 덮개는 복수의 차폐부재 각각에 대응된 복수로 제공되어 내부 공간을 독립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외부 덮개는 캔용기의 내부 공간 전체를 밀봉하며, 외부 덮개에는 손잡이 고리가 설치되어 손잡이 고리를 당김으로써 절취선 절취되면서 내부 공간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캔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할형 캔용기{A can container with divided inner spacese}
본 발명은 분할형 캔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공간을 복수로 분할하여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이 뒤섞이지 않고 보관 및 운반될 수 있도록 한 분할형 캔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캔은 양철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만든 금속용기를 말하며, 캔용기라 불리기도 한다. 캔용기는 주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용기로써의 역할을 하며 음료, 식품 등을 주로 보관한다. 캔용기가 식품이나 음료만을 보관하는 것은 아니며, 페인트 등 화학용액을 보관하는 용도로써의 역할도 수행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캔용기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하며, 캔용기에 대한 예로써 참치나 햄 등의 식품이 보관되는 식품용 캔용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용기는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는 식품이 저장되는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개구된 상부에 결합되며 몸체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절취선이 형성되도록 설치된 커버(2)와, 상기 커버(2)의 일측에 결합된 손잡이 고리(3)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캔용기는 손잡이 고리(3)를 당겨 커버(2)를 상방으로 젖히면 상기 커버(2)는 절취선을 따라 몸체(1)로부터 분리되면서 몸체(1)의 내부를 개방시킨다. 이후, 소비자는 캔용기 내부의 식품을 섭취함으로써 캔용기 구매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캔용기는 몸체(1)의 내부에 한 가지의 내용물만 보관되는 단점이 있다. 즉, 한 개의 캔용기는 단일 식품만 보관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다양한 입맛을 한 번에 충족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는 것이다. 물론, 각기 다른 식품이 보관된 캔용기를 복수로 구매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도 있으나, 이는 구매 비용이 증가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식품의 양도 함께 증가함에 따라 식품이 버려져 낭비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설령 남은 식품을 냉장고에 보관하여 추후에 섭취할 수 있더라도, 냉장고가 제공되기 어려운 환경에 소비자가 처해 있거나, 소비자가 몸체(1)의 내부가 개방된 상태의 캔용기를 가지고 이동해야하는 경우, 상당한 번거로움을 초래할 수 있으며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캔용기가 페인트 용기로 제공되는 경우 역시, 하나의 캔용기에는 한 개의 색깔만 수용될 수 있으므로, 소비자가 여러 색의 페인트를 소량으로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가성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76896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캔용기의 내부를 분할 구성하고, 분할된 공간마다 내부 덮개 및 차폐부재를 마련하여 내용물이 뒤섞이지 않고 보관 및 운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분할형 캔용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방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를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을 복수로 구획하는 분할 격벽; 상기 분할 격벽의 상면에 접착되어 분할된 내부 공간을 차폐하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엷은막의 차폐부재; 상기 차폐부재를 덮어씌우며, 분할격벽에 탈착될 수 있도록 설치된 내부 덮개; 및 상기 몸체의 개구부를 따라 절취선을 갖는 외부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 바닥 중앙에는 개구부를 향해 수직으로 고정된 중심바가 설치되며, 상기 분할 격벽은 상기 중심바와 몸체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 덮개는 중심바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차폐부재를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내부 덮개는 상기 중심바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중심바에 고정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된 회동돌기와, 상기 내부덮개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돌기에 결합된 회동홈부로 제공되고, 상기 차폐부재는 분할된 내부 공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로 제공되며, 상기 내부 덮개는 복수의 차폐부재 각각에 대응된 복수로 제공되어 내부 공간을 독립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외부 덮개는 캔용기의 내부 공간 전체를 밀봉하며, 외부 덮개에는 손잡이 고리가 설치되어 손잡이 고리를 당김으로써 절취선 절취되면서 내부 공간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캔용기를 제공한다.
삭제
이때, 상기 분할격벽의 상면과 상기 내부 덮개의 저면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 덮개의 가장자리에는 연질의 씰링부재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분할형 캔용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분할형 캔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몸체의 내부 공간을 복수로 분할함으로써, 하나의 몸체에 다양한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할형 캔용기는 하나의 구입 비용으로 여러 개의 내용물을 획득할 수 있는바,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분할형 캔용기에는 분할된 내부 공간을 차폐시킬 수 있는 차폐부재가 제공됨으로써, 분할된 내부 공간간에 내용물이 뒤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캔용기가 최초 공급되는 과정에서 위생적이고 효율적인 운반 및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분할형 캔용기에는 분할된 내부 공간을 개폐시킬 수 있는 내부덮개가 제공됨으로써, 남은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특히, 음식물이 수용되는 캔용기의 경우 내용물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캔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분할형 캔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캔용기의 몸체 부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캔용기의 몸체 부위에 차폐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평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캔용기의 내부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캔용기의 내부 덮개 회동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할형 캔용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분할형 캔용기는 목적하는 내용물을 복수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경제적인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내용물을 사용하고 남은 후에도 안정적으로 보관 및 운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밀 유지력을 높였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내용물에 대하여 섭취 가능한 음식물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내용물이 음식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할형 캔용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와, 분할 격벽(200)과, 차폐부재(300)와, 내부 덮개(400)와, 외부 덮개(500)를 포함한다.
몸체(100)는 분할형 캔용기의 외관을 구성하며,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110)을 구성한다. 몸체(100)의 형태 및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금속의 원형인 것을 예로 한다. 몸체(100)의 상부는 상방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120)를 형성하며, 몸체(100)의 내부 공간(110) 바닥면 중심에는 상기 개구부(120)를 향해 수직으로 설치된 중심바(130)가 설치된다. 중심바(130)는 분할 격벽(200) 설치를 위한 고정매개체라 할 수 있다.
분할 격벽(200)은 몸체(100)의 내부 공간(110)을 복수로 구획하는 역할을 하며, 몸체(100)의 내부 공간(110) 중심으로부터 방사상(放射狀)으로 설치된다. 분할 격벽(200)은 중심바(130)의 둘레면과 몸체(100)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분할 격벽(200)에 의해 분할된 내부 공간(110)의 개수는 3개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분할 격벽(200)의 상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210)이 형성된다. 결합홈(210)은 후술하는 내부 덮개(400)의 결합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구성이며, 이웃하는 내부 덮개(4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홈(210)은 분할 격벽(200)의 상면에 너비 방향으로 2개씩 형성된다.
차폐부재(300)는 음식물이 수용된 몸체(100)의 분할된 내부 공간(110)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분할 격벽(200)의 상면에 각각 고정된다. 즉, 차폐부재(300)는 캔용기가 최초 공급된 후 개봉되기전까지 운반 및 이동시에, 분할된 내부 공간(110)의 내용물이 내부 공간(110)간에 뒤섞이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차폐부재(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내부 공간(110)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로 제공된다. 차폐부재(300)는 접착을 통해 분할 격벽(200)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차폐부재(300)는 소비자로 하여금 분할 격벽(20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차폐부재(300)의 재질은 엷은막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차폐부재(300)의 예로써 필름, 포일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중심바(130)에 근접한 차폐부재(300)의 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310)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파지부(310)는 소비자가 차폐부재(300)를 분할격벽(200)으로부터 용이하게 벗겨내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분할 격벽(200)에 접착되지 않도록 제공되며 상향 절곡되어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폐부재(300)는 분할 격벽(200)의 상면에 접착되는 과정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격벽(20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210)을 피해 접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차폐부재(300)는 분할된 내부 공간의 내용물을 소비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제공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내부 덮개(400)는 차폐부재(300)와 함께 내부 공간(110)의 기밀 유지를 이중으로 하는 역할을 하며, 차폐부재(300)가 벗겨진 내부 공간(110)을 개폐시키는 역할도 한다. 즉, 내부 덮개(400)는 소비자가 섭취하고 내용물이 남은 내부 공간(400)을 덮어 캔용기 운반 및 이동시에 내부 공간(110)으로부터 내용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내부 덮개(400)는 중심바(130)에 설치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바(130)에서 내부공간(110)을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내부 덮개(400)는 회동수단(410)을 통해 중심바(130)에서 회동되게 설치되는데, 상기 회동수단(4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라인(411)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폴딩라인(411)은 내부 덮개(400)의 두께에 비해 얇게 형성되며, 내부 덮개(400)는 폴딩라인(411)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동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덮개(400) 역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차폐부재(300)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로 제공되며, 독립적으로 내부 공간(110)을 개폐시킬 수 있다.
내부 덮개(400)의 저면에는 분할 격벽(20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420)가 형성된다. 결합돌기(42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210)에 대향하는 내부 덮개(400)의 저면에 형성되며, 결합돌기(420)는 결합홈(2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내부 덮개(400)의 가장자리에는 씰링부재(430)가 더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씰링부재(430)는 내부 덮개(400)가 내부 공간(110)을 닫았을 때 기밀 유지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씰링부재(430)는 연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몸체(10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씰링부재(430)는 내부 덮개(400)의 저면 가장자리에도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내부 덮개(400)에는 소비자의 내부 덮개(400) 파지가 용이하도록 파지홈(440)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외부 덮개(500)는 캔용기의 내부 공간(110) 전체를 밀봉하는 역할을 하며, 내부 공간(110)의 개구부(120)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외부 덮개(500)는 몸체(100)의 개구부(120)와 절취선을 갖도록 형성되며, 절취선을 이용한 외부 덮개(500)의 개폐 방식은 공지된 기술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외부 덮개(500)에는 손잡이 고리(510)가 설치되며, 소비자는 손잡이 고리(510)를 젖혀 외부 덮개(500)를 당김으로써 절취선이 절취되면서 몸체(100)의 내부 공간(110)이 개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분할형 캔용기 사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소비자는 캔용기의 음식물 섭취를 위해 외부 덮개(500)의 손잡이 고리(510)를 당겨 몸체(100)로부터 벗겨낸다. 이후, 소비자는 파지홈(440)을 잡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덮개(400)를 상방으로 젖혀 차폐부재(300)를 노출시킨다. 이때, 내부 덮개(400)는 폴딩라인(411)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용이하게 젖혀질 수 있다. 이후, 소비자는 차폐부재(300)의 파지부(310)를 잡고 차폐부재(300)를 분할격벽(200)으로부터 벗겨낸다. 이때, 분할된 내부 공간(110)은 개방되며, 음식물은 개구부(120)를 통해 소비자에게 섭취될 수 있도록 노출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소비자는 분할된 내부 공간(110)을 모두 개방시킨 후,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차폐부재(300)를 통해 음식물의 종류를 확인하여 기호에 맞는 음식물만 섭취할 수도 있다.
이후, 캔용기의 음식물 섭취가 모두 끝나면 캔용기를 분리수거 처리한다. 하지만, 분할된 내부 공간(110)에 음식물이 남아 있는 경우, 소비자는 내부 덮개(400)를 회동하여 분할된 내부 공간(110)을 폐쇄시킨다. 이때, 내부 덮개(400)의 결합돌기(420)는 분할 격벽(200)의 결합홈(210)에 끼움 결합되어 내부 덮개(4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소비자는 내부 덮개(400)를 통해 내부 공간(110)이 폐쇄된 캔용기를 냉장고에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캠핑 등에 따른 외부 활동시 캔용기 이동에 따른 음식물이 새어나오거나 서로 뒤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내부 덮개(400)를 회동시키는 회동수단(410)의 다른 실시예가 제공될 수 있다.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하며 첨부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회동수단(4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바(130)에 고정된 브라켓(412)과, 브라켓(412)으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된 회동돌기(413)와, 내부 덮개(400)에 형성된 회동홈부(414)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브라켓(412)은 내부 덮개(400) 회동을 위한 기준이 되며, 회동돌기(413)를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회동홈부(414)는 브라켓(412)을 수용한 상태에서, 회동돌기(413)가 축 결합될 수 있도록 회동홈부(414)의 양측에 축홈(414a)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회동수단(410)은 내부 덮개(400) 회동을 더욱 유연하게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할형 캔용기는 내부 공간(110)을 복수로 구획하여 내용물을 다양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사용 후 내용물이 남더라도 내부 공간(110)의 기밀 유지력을 높일 수 있다. 즉, 분할된 내부 공간(110) 각각의 내용물이 새어나오거나 뒤섞이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몸체 110 : 내부 공간
120 : 개구부 130 : 중심바
200 : 분할 격벽 210 : 결합홈
300 : 차폐부재 310 : 파지부
400 : 내부 덮개 410 : 회동수단
411 : 폴딩라인 412 : 브라켓
413 : 회동돌기 414 : 회동홈부
414a : 축홈 420 : 결합돌기
430 : 씰링부재 440 : 파지홈
500 : 외부 덮개 510 : 손잡이 고리

Claims (6)

  1.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방을 향해 개구된 개구부를 형성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을 복수로 구획하는 분할 격벽;
    상기 분할 격벽의 상면에 접착되어 분할된 내부 공간을 차폐하며,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엷은막의 차폐부재;
    상기 차폐부재를 덮어씌우며, 분할격벽에 탈착될 수 있도록 설치된 내부 덮개; 및
    상기 몸체의 개구부를 따라 절취선을 갖는 외부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 바닥 중앙에는 개구부를 향해 수직으로 고정된 중심바가 설치되며, 상기 분할 격벽은 상기 중심바와 몸체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 덮개는 중심바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차폐부재를 향해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내부 덮개는 상기 중심바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중심바에 고정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된 회동돌기와, 상기 내부덮개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돌기에 결합된 회동홈부로 제공되고,
    상기 차폐부재는 분할된 내부 공간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로 제공되며, 상기 내부 덮개는 복수의 차폐부재 각각에 대응된 복수로 제공되어 내부 공간을 독립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외부 덮개는 캔용기의 내부 공간 전체를 밀봉하며, 외부 덮개에는 손잡이 고리가 설치되어 손잡이 고리를 당김으로써 절취선 절취되면서 내부 공간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캔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격벽의 상면과 상기 내부 덮개의 저면 중 어느 하나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결합돌기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캔용기.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덮개의 가장자리에는 연질의 씰링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캔용기.




  5. 삭제
  6. 삭제
KR1020200037357A 2020-03-27 2020-03-27 분할형 캔용기 KR102341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357A KR102341633B1 (ko) 2020-03-27 2020-03-27 분할형 캔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357A KR102341633B1 (ko) 2020-03-27 2020-03-27 분할형 캔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529A KR20210120529A (ko) 2021-10-07
KR102341633B1 true KR102341633B1 (ko) 2021-12-22

Family

ID=78114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357A KR102341633B1 (ko) 2020-03-27 2020-03-27 분할형 캔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6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3272A1 (en) 2004-02-05 2005-08-11 Lemmons Robert W.Iv Compartmented smokeless tobacco can
JP2012066862A (ja) * 2010-09-27 2012-04-05 Daio Paper Corp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US20150158632A1 (en) * 2013-12-11 2015-06-11 Mars, Incorporated Multi-compartment membrane sealed container
KR101885526B1 (ko) * 2016-06-28 2018-08-06 주식회사 우영에스엔엘 다수의 음식물의 보관이 가능한 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9060A (ja) * 1998-05-13 1999-11-24 Lion Corp 芳香剤容器
KR101768968B1 (ko) 2016-01-28 2017-08-18 두원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분할식 캔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3272A1 (en) 2004-02-05 2005-08-11 Lemmons Robert W.Iv Compartmented smokeless tobacco can
JP2012066862A (ja) * 2010-09-27 2012-04-05 Daio Paper Corp 家庭用薄葉紙収納容器
US20150158632A1 (en) * 2013-12-11 2015-06-11 Mars, Incorporated Multi-compartment membrane sealed container
KR101885526B1 (ko) * 2016-06-28 2018-08-06 주식회사 우영에스엔엘 다수의 음식물의 보관이 가능한 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529A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1936A (en) Box top lid
US6471122B1 (en) Paperboard can with an integrated paperboard lid having a slide closure
KR102341633B1 (ko) 분할형 캔용기
KR102038134B1 (ko) 분리형 커버 패널부를 구비한 식품 보관용기
KR200417031Y1 (ko) 도시락
CN209192630U (zh) 一种储物盒盖及具有该储物盒盖的储物盒
JP3239316B2 (ja) 容 器
JP2003252359A (ja) 包装用密閉容器のための蓋体
KR200397824Y1 (ko) 다층적재가 가능한 캔용기용 위생커버
KR200478430Y1 (ko) 다중 음식물 보관용기
KR101768968B1 (ko) 분할식 캔 용기
KR200495801Y1 (ko)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
US11524819B2 (en) Leak-proof press-fit sealed container
JP3112836U (ja) インスタント食品用容器
KR20010044334A (ko) 식품저장용기
CN214931382U (zh) 一种用于储存干货的食品罐
KR102351533B1 (ko) 밀폐수단이 구비된 도시락용기
JP5478348B2 (ja) 詰め替え容器用スパウト及び詰め替え容器
JP5874795B1 (ja) 可撓性容器
KR200294828Y1 (ko)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KR200218085Y1 (ko) 뚜껑이 개폐되는 음식물 보관용기
KR20200139490A (ko) 힌지 기능을 갖는 밀폐용기
FR2678910A1 (fr) Boite a fermeture etanche en matiere thermoplastique.
KR200220063Y1 (ko) 식품용기용 이중뚜껑
JPH11240555A (ja) 開閉可能な缶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