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801Y1 -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 - Google Patents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801Y1
KR200495801Y1 KR2020210003194U KR20210003194U KR200495801Y1 KR 200495801 Y1 KR200495801 Y1 KR 200495801Y1 KR 2020210003194 U KR2020210003194 U KR 2020210003194U KR 20210003194 U KR20210003194 U KR 20210003194U KR 200495801 Y1 KR200495801 Y1 KR 2004958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body
container
rotat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414U (ko
Inventor
허영오
Original Assignee
허영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영오 filed Critical 허영오
Priority to KR2020210003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801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4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4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8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8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는 용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용기 뚜껑이 고정뚜껑과 회동뚜껑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동뚜껑의 상부방향 회동을 통해 상기 용기 본체를 반만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동뚜껑은 복수의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다양한 지점에서 개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밀폐용기의 사용편리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AIRTIGHT CONTAINER}
본 고안은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이 보관되는 용기의 상단에 뚜껑이 구비되어 내용물을 밀폐보관하기 위한 밀폐용기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본 고안과 관련된 밀폐용기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따르면, 밀폐용기는 상부가 개방 형성된 용기 및 상기 용기를 개폐하는 덮개(뚜껑)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에 보관된 내용물을 꺼내려면, 덮개 전체를 용기에서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어 상기 덮개에 보조 덮개를 설치하여 사용토록 하고 있다.
즉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덮개에 보조 덮개를 설치하고 있는 것이며, 상기 보조 덮개는 덮개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덮개의 일부분을 개방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밀폐용기는 메인 덮개의 일 영역에 보조 덮개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한 것에 불과하여 예컨대, 내용물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메인 덮개와의 접촉이 발생할 수 있는 등 사용편리성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밀폐용기는 보조 덮개의 회동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 없어 예컨대, 상기 보조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인출시 보조 덮개가 하강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2)는 반오픈 밀폐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반오픈 밀폐용기는 예컨대, 뚜껑을 고정뚜껑과 회동뚜껑으로 구성하여 상기 고정뚜껑을 통해 용기를 밀폐하는 한편 상기 회동뚜껑의 회동을 통해 용기를 반만 개방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인출토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뚜껑과 회동뚜껑에는 상기 회동뚜껑의 회동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홈과 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이들의 결합을 통해 내용물의 인출과정에서 회동뚜껑이 하강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반오픈 밀폐용기는 용기 측으로 하강한 회동뚜껑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가 상기 용기의 전면에만 형성되어 있어 예컨대, 밀폐용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회동뚜껑이 개방되는 등의 신뢰성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정뚜껑 및 회동뚜껑과 용기 사이를 밀폐하는 구조 역시 구비되어 있지 않아 예컨대, 외부공기의 유입방지에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회동뚜껑을 열기 위한 손잡이부가 외부, 구체적으로 상기 회동뚜껑의 외부꼭짓점에만 돌출되어 있어 회동뚜껑을 열 수 있는 지점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사용편리성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4397호 nakaya 반오픈 저장용기. 인터넷: <URL: http://www.kamomekitchen.kr/product/nakaya-%EB%B0%98%EC%98%A4%ED%94%88-%EC%A0%80%EC%9E%A5%EC%9A%A9%EA%B8%B0-250ml-2p/1165/display/3/>
본 고안의 목적은 의도치 않은 뚜껑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고, 용기와 뚜껑 간의 기밀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점에서 뚜껑을 개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는 투명 또는 불투명한 밀폐용기로서,
상기 밀폐용기는 상부가 개방 형성된 사각형의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용기 뚜껑;
을 포함하며,
상기 용기 뚜껑은 용기 본체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뚜껑과 상기 고정뚜껑에 힌지(Hinge) 연결되어 상부방향으로의 회동을 통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회동뚜껑 및 상기 회동뚜껑과 고정뚜껑의 상부에 각기 형성된 돌출부의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형성된 홈과 돌기로 구성되어 회동뚜껑의 회동상태를 유지하는 회동유지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뚜껑은 용기 본체의 전면상부와 측면상부를 덮는 하부덮개의 전면꼭짓점에 돌출 형성된 제1 손잡이부 및 상기 회동뚜껑에 형성된 돌출부의 상면 또는 전면에 형성된 제2 손잡이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고정뚜껑의 하부덮개를 고정하는 제1 고정돌기가 측면상부와 후면상부에 걸쳐 연결 형성되고, 회동뚜껑의 하부덮개를 고정하는 제2 고정돌기가 측면상부와 전면중앙에 분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덮개는 내측부와 외측부로 구성되고, 용기 본체의 상단과 접촉되는 상기 외측부와 내측부의 표면에 실리콘패킹이 이중 사출을 통해 융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내부공간에 칸막이가 형성되어 상기 칸막이를 통해 내부공간이 분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는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고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제1,2 손잡이부를 통해 다양한 지점에서 회동뚜껑을 개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밀폐용기의 사용편리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제2 고정돌기를 통해 의도치 않은 회동뚜껑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신뢰성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그리고 실리콘패킹을 통해 용기 본체와 용기 뚜껑 간의 기밀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어 외부공기나 이물 등의 유입방지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칸막이를 통해 내부공간이 분할되어 제공됨으로써, 서로 다른 내용물의 보관이 가능하다. 따라서 실용성 측면에서 효과적인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 내지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를 분리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본 고안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용기 본체(10)의 상부에 고정뚜껑(21)과 회동뚜껑(22)으로 구성된 용기 뚜껑(20)을 결합하여 밀폐용기(1)를 구성하고, 상기 회동뚜껑(22)의 전면꼭짓점과 상면에 각각 제1,2 손잡이부(22b)(22c)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를 분리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회동뚜껑(22)의 전면에 제2 손잡이부(22c)가 형성되어 구성된 용기 뚜껑(20)을 용기 본체(10)에서 분리하여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부에 제1,2 고정돌기(11)(12)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를 분리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로서, 회동뚜껑(22)을 상부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용기 본체(10)에서 용기 뚜껑(20)을 분리하여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부에 제1,2 고정돌기(11)(12)가 형성되고, 내부공간(10a)에 칸막이(13)가 형성된 밀폐용기(1)의 구성을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로서, 힌지연결부(23)를 통해 상부방향으로 회동한 회동뚜껑(22)이 회동유지수단(24)을 통해 회동이 유지되는 결합관계 및 하부덮개(25)를 구성하는 내측부(25a)와 외측부(25b)의 표면에 실리콘패킹(30)이 융착된 결합관계를 요부 확대하여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1 내지 4에서 보듯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이하 '밀폐용기')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을 통해 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투명은 밀폐용기(1)의 내부가 선명하게 보이는 것을 의미하는 물론이고, 흐릿하게 보이는 반투명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러한 밀폐용기(1)는 상부가 개방 형성된 사각형의 용기 본체(10) 및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부를 개폐하는 용기 뚜껑(20)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 본체(10)는 상부가 개방 형성된 사각형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즉 상기 용기 본체(10)는 사각형의 바닥 및 이를 둘러싼 4개의 측면으로 구성되어 상부가 개방 형성되고, 내부공간(10a)이 마련되는데, 도면상 좌측면을 전면으로 지칭하고, 반대편 우측면을 후면으로 지칭하며, 이들을 연결하는 면을 측면으로 지칭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10)의 전면상부와 후면상부 및 측면상부에는 용기 뚜껑(20)을 고정하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는데, 상기 돌기를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고정돌기(11)와 제2 고정돌기(12)로 지칭하게 된다.
상기 용기 뚜껑(20)은 용기 본체(10)의 상부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뚜껑(21)과 상기 고정뚜껑(21)에 힌지(Hinge) 연결되어 상부방향으로의 회동을 통해 용기 본체(10)의 상부를 개폐하는 회동뚜껑(2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회동뚜껑(22)과 고정뚜껑(21)의 상부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 즉 제1 돌출부(21a) 및 제2 돌출부(22a)가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형성되어 상호 걸림 작동하는 홈과 돌기로 이루어져 회동뚜껑(22)의 회동상태를 유지하는 회동유지수단(24)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고정뚜껑(21)과 회동뚜껑(22)의 연결되는 부위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하는 방법으로 힌지연결부(23)를 형성하여 상기 회동뚜껑(22)을 회동토록 함으로써, 용기 본체(10)의 상부를 반만 열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고정뚜껑(21)과 회동뚜껑(22)은 상기 고정뚜껑(21)보다 회동뚜껑(22)이 크게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1:1의 비율 또는 상기 회동뚜껑(22)보다 고정뚜껑(21)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유지수단(24)은 고정뚜껑(21)의 상부에 형성된 제1 돌출부(21a)에 홈을 형성하고, 회동뚜껑(22)의 상부에 형성된 제2 돌출부(22a)에 돌기를 형성하여 통상적인 홈과 돌기의 결합을 통하여 상기 회동뚜껑(22)의 상부방향으로의 회동을 유지토록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 뚜껑(20)은 용기 본체(10)와의 결합을 위하여 고정뚜껑(21)과 회동뚜껑(22)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덮개(25)가 각기 형성되는데, 상기 회동뚜껑(22)의 하부덮개(25)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회동뚜껑(22)을 용기 본체(10)에서 분리토록 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를 이하, 제1 손잡이부(22b)로 지칭하게 된다.
상기 제1 손잡이부(22b)는 용기 본체(10)의 전면상부와 측면상부를 덮는 하부덮개(25)의 전면꼭짓점에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손잡이(22b)를 엄지와 검지로 잡아 상부 방향으로 당겨 용기 본체(10)로부터 회동뚜껑(22)을 분리함으로 개폐작동시킬 수 있다.
회동뚜껑(22)에 형성된 제2 돌출부(22a)의 상면에 일종의 손잡이로서, 제2 손잡이부(22c)를 형성하거나, 상기 제2 돌출부(22a)의 전면에 제2 손잡이부(22c)를 형성하여 제공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제2 손잡이부(22c)는 평편한 제2 돌출부(22a)의 상면에 홈을 내어 손가락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회동뚜껑(22)을 들어올리는 손잡이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도 1의 22c).
다른 예로써, 상기 제2 손잡이부(22c)는 평편한 제2 돌출부(22a)의 전면에 홈을 내어 손가락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회동뚜껑(22)을 들어올리는 손잡이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도 2의 22c).
즉, 상기 제1 손잡이부(22b)는 용기 본체(10)로부터 회동뚜껑(22)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개폐 작동시키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제2 손잡이부(22c)는 제1 손잡이부(22b)에 의해 용기 본체(10)로부터 분리된 회동뚜껑(22)을 회동시키는 수단으로 활용함으로 제1 손잡이부(22b)와 제2 손잡이부(22c)의 형상과 형성 위치에 따라 사용 용도가 다른 두 가지 손잡이를 모두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양한 지점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회동뚜껑(22)의 개방 및 회동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밀폐용기(1)의 사용편리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용기 본체(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뚜껑(21)을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돌기(11)와 회동뚜껑(22)을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돌기(12)가 형성된다.
도 2에 의하면, 상기 제1 고정돌기(11)는 고정뚜껑(21)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용기 본체(10)의 테두리를 따라 측면상부, 후면상부, 측면상부를 걸쳐 연결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고정돌기(11)는 위에서 봤을 때 용기 본체(10)의 테두리를 따라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뚜껑(21)에 형성된 하부덮개(25)를 용기 본체(10)에 고정토록 하게 된다.
상기 제2 고정돌기(12)는 용기 본체(10)의 모서리 부분을 제외하고, 측면상부, 전면상부, 측면상부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고정뚜껑(21)에 대응하여 회동뚜껑(22)의 용이한 개폐가 가능하다.
즉, 제1 고정돌기(11)는 용기 본체(10)의 테두리를 따라 'ㄷ'자 형태 달리 제2 고정돌기(1)는 용기 본체(10)의 모리서 부분을 제외하고 일자형(-)의 돌기가 양쪽 측면상부 및 전면상부에 각기 독립적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고정돌기(12)는 회동뚜껑(22)의 회동동작이 빈번하게 이루어짐을 감안하여 상기 회동뚜껑(22)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에 주안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의도치 않은 개방을 방지할 수 있으면 족하므로, 전면상부의 중앙과 측면상부에 일자형(-)으로 각기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제2 고정돌기(12)가 구비된 밀폐용기(1)는 소비자의 신뢰성을 얻기가 용이하다.
여기서 상기 제1,2 고정돌기(11)(12)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하부덮개(25)는 이중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각각 내측부(25a)와 외측부(25b)로 지칭하게 된다. 그리고 용기 본체(10)의 상단과 접촉되는 상기 내측부(25a)와 외측부(25b)의 표면에는 실리콘패킹(30)이 융착된다.
상기 실리콘패킹(30)은 내측부(25a)와 외측부(25b)의 표면에 이중 사출을 통해 융착되어 회동 뚜껑(22)의 반복적인 개폐시에도 분리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기 본체(10)의 상단과 접촉함으로써, 용기 본체(10)와 용기 뚜껑(20) 간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외부공기나 이물 등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내용물의 장기간 밀폐보관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용기 본체(10)는 내부에 마련된 내부공간(10a)을 분할하기 위한 칸막이(도 3의 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칸막이(13)는 도면상 하나로 구성되어 있으나 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하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사전에 밝혀둔다.
이러한 칸막이(13)는 내부공간(10a)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10a)을 좌우로 분할하게 되며, 이를 통해 서로 다른 내용물의 보관이 가능하다. 즉 상기 칸막이(13)를 통해 내부공간(10a)이 적어도 둘로 나뉘게 됨으로써, 서로 다른 내용물을 각각의 내부공간(10a)에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내부공간(10a)에는 상기 회동뚜껑(22)을 통해 수시로 오픈하여 내용물을 수시로 수납/인출할 수 있는 공간과 상기 고정뚜껑(21)을 통해 장시간 닫힘하여 내용물을 장시간 밀폐 보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분할하는 칸막이(13)가 더 형성되어 하나의 용기 본체(10)에 서로 다른 매질(액체 또는 고체)의 내용물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하여 밀폐용기(1)를 복수로 구비하는 대신 하나의 밀폐용기(1)에 각각의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으므로, 실생활에서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밀폐용기 10: 용기 본체
10a: 내부공간 11: 제1 고정돌기
12: 제2 고정돌기 13: 칸막이
20: 용기 뚜껑 21: 고정뚜껑
21a: 고정뚜껑의 돌출부 22: 회동뚜껑
22a: 회동뚜껑의 돌출부 22b: 제1 손잡이부
22c: 제2 손잡이부 23: 힌지연결부
24: 회동유지수단 25: 하부덮개
25a: 내측부 25b: 외측부
30: 실리콘패킹

Claims (1)

  1. 상부가 개방 형성된 사각형의 용기 본체(10)와;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부를 개폐하는 용기 뚜껑(20)을 포함하는 투명 또는 불투명한 밀폐용기(1)에 있어서,
    상기 용기 뚜껑(20)은,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뚜껑(21)과;
    상기 고정뚜껑(21)에 힌지 연결되어 상부방향으로의 회동을 통하여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부를 개폐하는 회동뚜껑(22)과;
    상기 회동뚜껑(22) 및 고정뚜껑(21)의 상부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21a,22a)가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 형성되어 상호 걸림 작동하는 홈과 돌기로 이루어져 회동뚜껑(22)의 회동상태를 유지하는 회동유지수단(2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동뚜껑(22)에는,
    상기 용기 본체(10)의 전면상부와 측면상부를 덮는 하부덮개(25)의 전면꼭짓점에 돌출 형성되어 엄지와 검지로 잡아 상부 방향으로 당겨 용기 본체(10)로부터 회동뚜껑(22)을 분리함으로 개폐 작동시키는 제1 손잡이부(22b)와;
    상기 회동뚜껑(22)에 형성된 돌출부(22a)의 상면 또는 전면에 형성되어 손가락을 걸어 제1 손잡이부(22b)에 의해 용기 본체(10)로부터 분리된 회동뚜껑(22)을 회동시키는 제2 손잡이부(22c)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10)는 고정뚜껑(21)을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돌기(11)와, 회동뚜껑(22)을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돌기(12)가 형성하되,
    상기 제1 고정돌기(11)는 상기 고정뚜껑(21)의 하부덮개(25)를 상기 용기 본체(10)에 고정토록 상기 용기 본체(10)의 테두리를 따라 측면상부, 후면상부, 측면상부를 걸쳐 'ㄷ'자 형태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돌기(12)는 상기 고정뚜껑(21)에 대응하여 상기 회동뚜껑(22)이 용이하게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10)의 모서리 부분을 제외하고, 측면상부, 전면상부, 측면상부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일자형(-)으로 양쪽 측면상부 및 전면상부에 각기 독립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2 고정돌기(11)(12)을 갖는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단에 대응 고정되는 하부덮개(25)는 이중으로 각각 내측부(25a)와 외측부(25b)로 구분되고, 상기 내측부(25a)와 외측부(25b)의 표면에는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단에 대응하여 상기 회동뚜껑(22)의 반복적인 개폐시에도 분리 방지 및 기밀성 유지가 용이하도록 상기 용기 본체(10)의 상단에 대응 접촉되는 실리콘패킹(30)이 이중 사출을 통해 융착 구비되고,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공간(10a)에는 상기 회동뚜껑(22)을 통해 수시로 오픈하여 내용물을 수시로 수납/인출할 수 있는 공간과 상기 고정뚜껑(21)을 통해 장시간 닫힘하여 내용물을 장시간 밀폐 보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분할하는 칸막이(13)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
KR2020210003194U 2019-09-23 2021-10-22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 KR2004958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194U KR200495801Y1 (ko) 2019-09-23 2021-10-22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886U KR20210000725U (ko) 2019-09-23 2019-09-23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
KR2020210003194U KR200495801Y1 (ko) 2019-09-23 2021-10-22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886U Division KR20210000725U (ko) 2019-09-23 2019-09-23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414U KR20210002414U (ko) 2021-11-01
KR200495801Y1 true KR200495801Y1 (ko) 2022-08-22

Family

ID=752320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886U KR20210000725U (ko) 2019-09-23 2019-09-23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
KR2020210003194U KR200495801Y1 (ko) 2019-09-23 2021-10-22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886U KR20210000725U (ko) 2019-09-23 2019-09-23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00725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2783A1 (en) * 2003-02-11 2005-04-07 Choi Kwang Ho Dispensing container for dispensing fasteners
KR200419920Y1 (ko) * 2006-04-10 2006-06-27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음식 폐기물 분리 수거용 항균 위생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397B1 (ko) 2008-04-10 2010-12-28 주식회사 대우테크 밀폐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2783A1 (en) * 2003-02-11 2005-04-07 Choi Kwang Ho Dispensing container for dispensing fasteners
KR200419920Y1 (ko) * 2006-04-10 2006-06-27 주식회사 국일인토트 음식 폐기물 분리 수거용 항균 위생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414U (ko) 2021-11-01
KR20210000725U (ko)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9134B1 (ko) 다단 리필용기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JP6784395B2 (ja) 中蓋を備えた密閉型化粧料容器
KR101937371B1 (ko) 화장품 용기
KR200460285Y1 (ko) 화장품용 콤팩트 케이스
KR200495801Y1 (ko) 뚜껑이 반만 열리는 밀폐용기
KR20180001658U (ko) 화장품 용기
KR101367326B1 (ko) 식품 저장용기의 뚜껑 개폐각도 조절구조
KR20210000817U (ko) 스포이드 형 화장품 용기
KR101378985B1 (ko) 파운데이션 팩트 화장품 용기
KR200409765Y1 (ko) 볼터치 화장품 용기
KR101312607B1 (ko) 실리콘용기
KR101208870B1 (ko) 화장품 용기
KR200493583Y1 (ko) 원터치 캡 일체형 화장품 용기
JP5415186B2 (ja) 化粧料容器
KR200451988Y1 (ko) 플라스틱재 음식용기
KR101756963B1 (ko) 컴팩트 용기
JP2013244353A (ja) リフィル皿保護容器
KR20170000489U (ko) 접이식 음식 보관 용기
KR20210006668A (ko) 밀폐 기능의 접이식 뚜껑을 갖는 식품 보관 용기
KR200334767Y1 (ko) 음식물용 밀폐용기의 뚜껑구조
KR20190077675A (ko) 밀폐구조를 갖는 콤팩트 용기
KR20220016617A (ko) 스페츌러 보관이 가능한 크림용기
KR100808541B1 (ko) 용기의 절첩뚜껑
KR20080000506U (ko) 밀폐용기 결합구조
KR101809683B1 (ko) 핀 조립이 배제된 힌지 타입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