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416B1 -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416B1
KR102341416B1 KR1020200022949A KR20200022949A KR102341416B1 KR 102341416 B1 KR102341416 B1 KR 102341416B1 KR 1020200022949 A KR1020200022949 A KR 1020200022949A KR 20200022949 A KR20200022949 A KR 20200022949A KR 102341416 B1 KR102341416 B1 KR 102341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ngible asset
intangible
asset
category
regis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8122A (ko
Inventor
강종모
Original Assignee
강종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종모 filed Critical 강종모
Priority to KR1020200022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416B1/ko
Publication of KR20210108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각종 공사 수주권, 지적재산권, 사업 아이템 등과 같은 무형 자산을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아 카테고리별로 무형 자산의 가치에 따른 등급을 설정하여 등록한 후, 미리 등록된 무형 자산에 대한 구매 의향이 있는 구매자와 각 무형 자산을 매칭시켜 매칭된 구매자에게 무형 자산에 대한 구매를 제의함으로써 무형 자산의 거래가 활성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SYSTEM FOR MEDIATING TRADE OF INTANGILE ASSESTS}
본 발명은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공사 수주권, 지적재산권, 사업 아이템 등과 같은 무형 자산을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아 카테고리별로 무형 자산의 가치에 따른 등급을 설정하여 등록한 후, 미리 등록된 무형 자산에 대한 구매 의향이 있는 구매자와 각 무형 자산을 매칭시켜 매칭된 구매자에게 무형 자산에 대한 구매를 제의함으로써 무형 자산의 거래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인터넷의 발달함에 따라 상품에 대한 전자상거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는 주로 상품 등의 유형자산에 대한 거래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각종 지적재산권이나 공사 수주권 등의 사업권, 사업 아이템 등의 무형 자산의 거래는 아직까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즉, 지적재산권이나 특정 공사의 공사 수주권 또는 특정 상품 또는 사업을 위한 아이템 등의 무형 자산도 실제 해당 사업을 실시할 수 있는 수요자와 무형 자산을 제공하는 공급자간 거래가 필요하나, 이러한 무형 자산에 대한 중계 거래를 위한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아 무형 자산 거래가 활성화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인터넷상 무형 자산의 거래를 안전하게 중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한다면, 무형 자산을 소유한 공급자와 무형 자산을 실제 사업에 활용하고자 하는 수요자간 안전한 거래가 가능하게 되어 무형 자산의 거래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10-1349283호(등록일자 2013년 12월 30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종 공사 수주권, 지적재산권, 사업 아이템 등과 같은 무형 자산을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아 카테고리별로 무형 자산의 가치에 따른 등급을 설정하여 등록한 후, 미리 등록된 무형 자산에 대한 구매 의향이 있는 구매자와 각 무형 자산을 매칭시켜 매칭된 구매자에게 무형 자산에 대한 구매를 제의함으로써 무형 자산의 거래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무형 자산 판매자에 등록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판매하고자 하는 타겟 무형 자산의 판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타겟 무형 자산에 대한 세부 판매 정보를 수신하는 무형 자산 정보 수집부와, 상기 세부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타겟 무형 자산의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카테고리내 상기 타겟 무형 자산의 제목과 상기 세부 판매 정보를 연동하여 저장시키는 무형 자산 등록부와, 상기 세부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타겟 무형 자산의 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하고, 상기 환산된 금액을 기반으로 상기 타겟 무형 자산을 기설정된 복수의 등급 중 하나로 설정하는 무형 자산 등급 산출부와, 각 카테고리별 등록된 무형 자산의 구매 신청이 가능하도록 등록된 복수의 무형 자산 구매자 중 상기 타겟 무형 자산과 매칭되는 복수의 후보 구매자를 추출하는 무형 자산 구매자 추출부와, 상기 후보 구매자로 추출된 각 구매자에게 등록된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타겟 무형 자산에 대한 구매 입찰을 제의하고, 구매 입찰에 참여의사를 전송한 구매자에 대해 각 구매자가 제시한 입찰 가격순으로 정렬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구매자를 상기 타겟 무형 자산에 대한 타겟 구매자로 선정하는 무형 자산 구매자 결정부와, 상기 타겟 구매자의 제3 사용자 단말로 상기 타겟 무형 자산에 대한 타겟 구매자 선정을 통보하고 상기 입찰 가격에 대응하는 거래 대금을 입금하도록 요청한 후, 상기 거래 대금이 입금되는 경우 상기 타겟 무형 자산의 소유권이 상기 타겟 구매자에게 양도되도록 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무형 자산 거래 중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형 자산 정보 수집부는, 상기 판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타겟 무형 자산의 상기 세부 판매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설정된 개수의 정보 입력 항목으로 구성된 무형 자산 판매 정보 입력창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되, 상기 무형 자산 판매 정보 입력창은, 상기 무형 자산의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는 카테고리 선택 항목을 구비하며, 상기 무형 자산 등록부는, 상기 카테고리 선택 항목에서 상기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카테고리를 인식하여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상기 무형 자산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형 자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시스템에 회원 등록된 경우 상기 판매 요청을 수행할 수 있는 판매 메뉴가 활성화된 무형 자산의 중개 거래 메뉴 화면을 표시시키며, 상기 판매 메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무형 자산 판매 정보 입력창을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무형 자산 정보 수집부는, 상기 무형 자산 구매자의 상기 시스템상 회원 등록 시 구매하고자 하는 무형자산의 카테고리와 무형 자산의 산업분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설정된 개수의 제2 정보 입력 항목으로 구성된 무형 자산 구매 정보 입력창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무형 자산 구매자 추출부는, 상기 시스템상 회원 등록된 각 구매자가 상기 무형 자산 구매 정보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구매 정보를 각 구매자와 연동시켜 저장하시고, 상기 저장된 구매 정보와 상기 타겟 무형 자산의 세부 판매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타겟 무형 자산과 매칭되는 상기 복수의 후보 구매자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형 자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시스템에 회원 등록된 경우 상기 카테고리별 등록된 무형 자산을 검색할 수 있는 각 카테고리 메뉴가 활성화된 무형 자산 중개 거래 메뉴 화면을 표시시키며, 하나의 카테고리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카테고리에 등록된 무형 자산의 목록을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무형 자산의 카테고리는, 공사 수주권, 사업 아이템 및 지적재산권으로 구성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시스템과 연결되며 상기 카테고리 중 상기 지적재산권에 대한 제1 가치 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제1 가치 평가를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가치평가 기관 서버와,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시스템과 연결되며, 상기 카테고리 중 상기 사업 아이템에 대한 제2 가치 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제2 가치 평가를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사업 아이템 전문가 단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무형 자산 등급 산출부는, 상기 공사 수주권에 대해서는 상기 판매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공사 수주권에 대한 공사 금액을 기반으로 금액별 미리 설정된 상기 공사 수주권의 제1 등급 테이블을 기반으로 상기 무형 자산의 등급을 결정하며, 상기 지적재산권에 대해서는 상기 지적재산권의 상기 제1 가치 평가에 대응하는 제1 가치 평가 금액을 기반으로 금액별 미리 설정된 상기 지적재산권의 제2 등급 테이블을 기반으로 상기 무형 자산의 등급을 결정하며, 상기 사업 아이템에 대해서는 상기 사업 아이템의 상기 제2 가치 평가에 대응하는 제2 가치 평가 금액을 기반으로 금액별 미리 설정된 상기 사업 아이템의 제3 등급 테이블을 기반으로 상기 무형 자산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형 자산 등급 산출부는, 상기 타겟 무형 자산이 상기 지적재산권인 경우 상기 가치평가 기관 서버로 상기 지적재산권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제1 가치 평가를 의뢰하고, 상기 가치평가 기관 서버로부터 수행된 상기 제1 가치 평가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가치 평가를 기반으로 상기 지적재산권의 상기 제1 가치 평가 금액을 산출하는 상기 타겟 무형 자산이 상기 사업 아이템인 경우 상기 사업 아이템 전문가 단말로 상기 사업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제2 가치 평가를 의뢰하고, 상기 사업 아이템 전문가 단말로부터 상기 제2 가치 평가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가치 평가를 기반으로 상기 사업 아이템의 상기 제2 가치 평가 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형 자산 구매자 추출부는, 상기 공사 수주권과 매칭되는 후보 구매자를 추출함에 있어서, 각 구매자에 등록된 구매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사 수주권과 매칭된 복수의 후보 구매자 중 상기 공사 수주권이 속한 산업 분야에서의 공사 진행 경험 회수가 기설정된 기준 회수 미만인 구매자는 상기 후보 구매자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무형 자산 거래 중개부는, 각 카테고리별 등록된 무형자산 중 구매자에게 소유권이 이전된 무형 자산에 대해서는 각 카테고리에서 등록 정보를 삭제하고, 소유권이 이전된 무형 자산 목록에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형 자산 거래 중개부는, 상기 소유권이 이전된 무형자산에 대해서는 해당 소유권을 양도받은 구매자가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 무형 자산의 중개 거래 메뉴 화면상 무형 자산의 재판매 메뉴가 활성화되도록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무형 자산 거래 중개부는, 상기 재판매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재판매가 요청된 재판매 대상 무형 자산에 대해서는 상기 재판매 대상 무형 자산에 대해 기등록된 세부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재판매 대상 무형 자산을 이전에 등록되었던 카테고리내 이전에 산출된 등급으로 표시하여 등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각종 공사 수주권, 지적재산권, 사업 아이템 등과 같은 무형 자산을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아 카테고리별로 무형 자산의 가치에 따른 등급을 설정하여 등록한 후, 미리 등록된 무형 자산에 대한 구매 의향이 있는 구매자와 각 무형 자산을 매칭시켜 매칭된 구매자에게 무형 자산에 대한 구매를 제의함으로써 무형 자산의 거래가 활성화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테고리 메뉴가 표시된 무형 자산 중개 거래 메뉴 화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에서 무형 자산의 거래를 중개하는 동작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과 네트워크상 각 구성 요소에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유무선 통신망에 구축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의 홈페이지 등에 접속하여 무형 자산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가 소지한 통신 단말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사용자 단말(100)은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 판매자에 의해 입력되는 판매하고자 하는 무형 자산의 세부 판매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무형 자산의 세부 판매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이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의 홈페이지 등에 접속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00)이 판매자로 회원 등록된 단말로 인증되는 경우, 무형 자산을 판매 등록할 수 있는 판매 메뉴가 활성화된 무형 자산의 중개 거래 메뉴 화면 등이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에 의해 생성되어 제1 사용자 단말(100)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판매자가 제1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판매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기설정된 개수의 정보 입력 항목으로 구성된 무형 자산 판매 정보 입력창을 표시시킬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이러한 무형 자산 판매 정보 입력창에서 판매자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웹브라우저 등을 탑재한 컴퓨터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등을 탑재하는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통신장치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사용자 단말(200)은 유무선 통신망에 구축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의 홈페이지 등에 접속하여 무형 자산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가 소지한 통신 단말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사용자 단말(200)은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에 회원 등록 시 구매자에 의해 입력되는 구매하고자 하는 무형 자산과 관련된 구매 정보를 수신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구매하고자 무형 자산과 관련된 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제2 사용자 단말(200)이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의 홈페이지 등에 접속하여 회원 등록하는 경우,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구매자가 관심 있는 무형 자산의 카테고리와 산업 분야 등의 구매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설정된 개수의 정보 입력 항목으로 구성되는 무형 자산 구매 정보 입력창을 표시시킬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단말(200)은 이러한 무형 자산 구매 정보 입력창에서 구매자에 의해 입력되는 관심있는 무형 자산의 카테고리, 산업 분야 등의 구매 정보를 수신하여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 단말(200)이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의 홈페이지 등에 접속하는 경우 제2 사용자 단말(200)이 구매자로 회원 등록된 단말로 인증되면, 등록된 무형 자산을 검색할 수 있는 각 무형 자산에 대한 카테고리 메뉴가 활성화된 무형 자산 중개 거래 메뉴 화면 등이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에 의해 생성되어 제2 사용자 단말상(20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테고리 메뉴가 표시된 무형 자산 중개 거래 메뉴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이때, 구매자가 제2 사용자 단말(200)을 이용하여 위 도 2에서와 같은 무형 자산 중개 거래 메뉴 화면에서 각 카테고리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각 카테고리에 등록된 무형 자산에 대한 정보를 표시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매자는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에 등록된 무형 자산을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2 사용자 단말(200)은 예를 들어, 웹브라우저 등을 탑재한 컴퓨터 등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등을 탑재하는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통신장치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치평가 기관 서버(4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400)에 연결되며,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으로부터 의뢰되는 무형 자산 중 예를 들어 지적재산권 등에 대한 가치평가를 수행하는 가치평가 기관에 설치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러한 가치평가 기관 서버(400)는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으로부터 지적재산권 등의 무형 자산에 대한 가치평가 의뢰를 수신하는 경우 기설정된 평가 기준에 따라 의뢰된 지적재산권에 대한 가치평가를 수행하고, 수행된 가치 평가 결과를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으로 전송한다. 이때, 이러한 가치평가는 예를 들어 지적재산권에 대한 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한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업 아이템 전문가 단말(50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에 연결되며,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으로부터 의뢰되는 무형 자산 중 예를 들어 사업 아이템 등에 대한 가치평가를 수행하는 전문가에 의해 소지된 통신 단말일 수 있다.
사업 아이템 전문가는 판매자에 의해 제공되는 사업화가 가능하거나 유망한 사업 아이디어 등이 될 수 있는 사업 아이템에 대한 가치평가를 의뢰받는 경우, 의뢰된 사업 아이템에 대한 가치평가를 수행하고, 수행된 가치평가 결과를 전문가 단말(500)을 통해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가치평가는 예를 들어 사업 아이템에 대한 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한 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업 아이템이란 예를 들어 1인 가구 증가 경향을 반영하여 1인 전용 술집이나 음식점 창업에 대한 아이디어 등 사업화가 가능한 모든 아이디어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업 아이템 가치평가를 수행하는 전문가는 예를 들어 사업 아이템에 대한 시장성, 사업 성공성 등을 판단할 수 있고, 이러한 판단에 대한 공인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전문가가 될 수 있으며,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에 등록된 기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자격을 보유한 전문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인터넷 등의 유무선 통신망에 무형 자산에 대한 판매 또는 구매 등의 무형 자산의 거래 중개 서비스를 위한 홈페이지 등을 구축하여 무형 자산을 판매하고자 하는 판매자와 무형 자산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간 거래를 중개하는 무형 자산 거래 중개사에 설치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무형 자산 판매자에 등록된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판매하고자 하는 무형 자산의 판매 요청이 있는 경우, 무형 자산에 대한 세부 판매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세부 판매 정보를 수신함에 있어서,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시스템(300)에 접속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시스템에 회원 등록된 경우, 판매 요청을 수행할 수 있는 판매 메뉴가 활성화된 무형 자산의 중개 거래 메뉴 화면을 표시시킨다. 또한,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판매 메뉴가 입력되는 경우 세부 판매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설정된 개수의 정보 입력 항목으로 구성된 무형 자산 판매 정보 입력창을 제1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판매자는 제1 사용자 단말(100)상 표시된 무형 자산 판매 정보 입력창을 통해 판매를 위해 등록하고자 하는 무형 자산에 대한 세부 판매 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무형 자산에 대한 판매자의 세부 판매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무형 자산 구매자에 등록된 제2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무형 자산과 관련된 구매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구매 정보를 수신함에 있어서,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무형 자산 구매자의 시스템상 회원 등록 시 구매하고자 하는 무형 자산의 카테고리와 무형 자산의 산업 분야 등의 구매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설정된 개수의 정보 입력 항목으로 구성된 무형 자산 구매 정보 입력창을 제2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구매자는 제2 사용자 단말(200)상 표시된 무형 자산 구매 정보 입력창을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무형 자산의 카테고리, 산업 분야 등의 구매 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무형 자산과 관련된 구매자의 구매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제2 사용자 단말(200)이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 제2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제2 사용자 단말(200)이 시스템에 회원 등록된 경우 카테고리별 등록된 무형 자산을 검색할 수 있는 각 카테고리 메뉴가 활성화된 무형 자산 중개 거래 메뉴 화면을 표시시키며, 하나의 카테고리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카테고리에 등록된 무형 자산의 목록을 표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매자가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의 각 카테고리에 등록된 무형 자산을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위와 같이 수신된 세부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판매자에 의해 판매 등록 요청된 무형 자산의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카테고리내 무형 자산의 제목과 세부 판매 정보를 연동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이때, 무형 자산의 카테고리는 예를 들어, 공사 수주권, 사업 아이템 및 지적재산권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판매자는 무형 자산 판매 정보 입력창에 구현된 정보 입력 항목 중 카테고리 입력 항목에서 자신이 판매하고자 하는 무형 자산의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카테고리 선택 항목에서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카테고리를 인식하여 선택된 카테고리에 무형 자산을 등록하게 된다.
또한,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세부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무형 자산의 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하고, 환산된 금액을 기반으로 해당 무형 자산을 기설정된 복수의 등급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무형 자산의 카테고리는 예를 들어 공사 수주권, 사업 아이템 및 지적재산권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공사 수주권에 대해서는 판매자로부터 무형 자산으로 입력된 공사 수주권에 대한 공사 금액을 기반으로 금액별 미리 설정된 공사 수주권의 제1 등급 테이블을 기반으로 공사 수주권의 무형 자산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등급 테이블은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에 등록된 공사 수주권에 대해 공사 수주권의 공사 금액의 크기에 따라 각 공사 수주권을 일정 금액 구간 단위로 등급을 설정한 테이블을 의미할 수 있으며, 가장 높은 금액 구간에 속한 공사 수주권이 1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고, 다음 단위부터 순차적으로 2등급, 3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특허 등의 지적재산권에 대해서는 지적재산권의 가치 평가에 대응하는 가치 평가 금액을 기반으로 금액별 미리 설정된 지적재산권의 제2 등급 테이블을 기반으로 지적재산권의 무형 자산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등급 테이블은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에 등록된 지적재산권에 대해 가치 평가된 금액의 크기에 따라 각 지적재산권을 일정 금액 구간 단위로 등급을 설정한 테이블을 의미할 수 있으며, 가장 높은 금액 구간에 속한 지적재산권이 1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고, 다음 단위부터 순차적으로 2등급, 3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지적재산권에 대한 가치평가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가치평가 기관 서버(400)로 의뢰될 수 있고, 가치평가 기관 서버로부터 지적재산권에 대한 가치평가 결과가 수신되는 경우,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가치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지적재산권에 대한 가치평가 금액을 산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사업 아이템에 대해서는 사업 아이템의 가치 평가에 대응하는 가치 평가 금액을 기반으로 금액별 미리 설정된 사업 아이템의 제3 등급 테이블을 기반으로 사업 아이템의 무형 자산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3 등급 테이블은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에 등록된 사업 아이템에 대해 가치 평가된 금액의 크기에 따라 각 사업 아이템을 일정 금액 구간 단위로 등급을 설정한 테이블을 의미할 수 있으며, 가장 높은 금액 구간에 속한 사업 아이템이 1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고, 다음 단위부터 순차적으로 2등급, 3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업 아이템에 대한 가치평가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사업 아이템 전문가 단말(500)로 의뢰될 수 있고, 사업 아이템 전문가 단말(500)로부터 사업 아이템에 대한 가치평가 결과가 수신되는 경우,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가치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사업 아이템에 대한 가치평가 금액을 산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각 카테고리별 등록된 무형 자산의 구매 신청이 가능하도록 등록된 복수의 무형 자산 구매자 중 등록된 무형 자산과 매칭되는 복수의 후보 구매자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시스템상 회원 등록된 각 구매자가 무형 자산 구매 정보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구매 정보를 각 구매자와 연동시켜 저장하시고, 저장된 구매 정보와 각 무형 자산의 세부 판매 정보를 비교하여 각 무형 자산과 매칭되는 복수의 후보 구매자를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공사 수주권과 매칭되는 후보 구매자를 추출함에 있어서, 각 구매자에 등록된 구매 정보를 참조하여, 공사 수주권과 매칭된 복수의 후보 구매자 중 상기 공사 수주권이 속한 산업 분야에서의 공사 진행 경험 회수가 기설정된 기준 회수 미만인 구매자는 후보 구매자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즉, 공사 수주권에 대해서는 공사를 실제로 이행할 수 있는 구매자에게 양도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입찰 금액으로 후보 구매자를 추출하되, 공사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구매자를 입찰에서 제외시킴으로써 무형 자산에 대한 보다 안정적인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여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후보 구매자로 추출된 각 구매자에게 등록된 제2 사용자 단말(200)로 해당 무형 자산에 대한 구매 입찰을 제의하고, 구매 입찰에 참여의사를 전송한 구매자에 대해 각 구매자가 제시한 입찰 가격순으로 정렬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며,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구매자를 무형 자산에 대한 구매자로 선정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 단말(100)의 판매자는 자신이 판매하고자 등록한 무형 자산에 대해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으로부터 해당 무형 자산의 구매 입찰에 참여한 구매자와 입찰 가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원하는 구매자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선택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러면,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구매자의 제3 사용자 단말로 무형 자산에 대한 구매자로 선정되었음을 통보하고, 해당 무형 자산에 대해 구매자가 입찰 참여시 제시하였던 입찰 금액을 거래 대금으로 입금하도록 요청한 후, 거래 대금이 입금되는 경우 해당 무형 자산의 소유권이 판매자로부터 구매자에게 양도되도록 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3 사용자 단말이라 함은 구매자의 단말인 제2 사용자 단말(200) 중에서 무형 자산에 대한 최종 구매자로 선정된 하나의 구매자의 사용자 단말을 구별하기 위해 지칭된 것일 뿐,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상 새로운 구성 요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각 카테고리별 등록된 무형 자산 중 구매자에게 소유권이 이전된 무형 자산에 대해서는 각 카테고리에서 등록 정보를 삭제하고, 소유권이 이전된 무형 자산 목록에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무형 자산의 입찰 및 거래 대금의 입금과 소유권 이전 절차 등을 통해 소유권이 이전된 무형 자산에 대해서는 해당 소유권을 양도받은 구매자가 시스템(300)에 접속하는 경우, 무형 자산의 중개 거래 메뉴 화면상 무형 자산의 재판매 메뉴가 활성화되도록 표시시킬 수 있다.
이때, 재판매 메뉴라 함은 무형 자산 거리 중개 시스템(300)에서 적어도 한번 이상의 거래를 통해 무형 자산을 구매한 이력이 있고, 시스템 접속 시점에 해당 무형 자산을 현재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구매자에게만 활성화되는 메뉴로서, 자신이 구매한 무형 자산을 재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재판매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구매자가 자신이 이전에 구매한 무형 자산에 대한 재판매를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재판매 대상 무형 자산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재판매가 요청된 재판매 대상 무형 자산에 대해서는 기등록된 세부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재판매 대상 무형 자산을 이전에 등록되었던 카테고리내 이전에 산출된 등급으로 표시하여 등록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서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무형 자산 정보 수집부(3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무형 자산 판매자에 등록된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판매하고자 하는 무형 자산의 판매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무형 자산에 대한 세부 판매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세부 판매 정보를 수신함에 있어서, 무형 자산 정보 수집부(310)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시스템(300)에 접속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시스템에 회원 등록된 경우, 판매 요청을 수행할 수 있는 판매 메뉴가 활성화된 무형 자산의 중개 거래 메뉴 화면을 표시시킨다. 또한, 무형 자산 정보 수집부(310)는 판매 메뉴가 입력되는 경우 세부 판매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설정된 개수의 정보 입력 항목으로 구성된 무형 자산 판매 정보 입력창을 제1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판매자는 제1 사용자 단말(100)상 표시된 무형 자산 판매 정보 입력창을 통해 판매를 위해 등록하고자 하는 무형 자산에 대한 세부 판매 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무형 자산 정보 수집부(310)는 무형 자산에 대한 판매자의 세부 판매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무형 자산 정보 수집부(310)는 회원 등록된 판매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판매자 정보 DB(332)를 참조하여 판매자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형 자산 정보 수집부(3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무형 자산 구매자에 등록된 제2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구매하고자 하는 무형 자산과 관련된 구매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구매 정보를 수신함에 있어서, 무형 자산 정보 수집부(310)는 무형 자산 구매자의 시스템(300)상 회원 등록 시 구매하고자 하는 무형 자산의 카테고리와 무형 자산의 산업 분야 등의 구매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설정된 개수의 정보 입력 항목으로 구성된 무형 자산 구매 정보 입력창을 제2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구매자는 제2 사용자 단말(200)상 표시된 무형 자산 구매 정보 입력창을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무형 자산의 카테고리, 산업 분야 등의 구매 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무형 자산 정보 수집부는 무형 자산과 관련된 구매자의 구매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또한, 무형 자산 정보 수집부(310)는 제2 사용자 단말(200)이 시스템(300)에 접속하는 경우 제2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제2 사용자 단말(200)이 시스템에 회원 등록된 경우 카테고리별 등록된 무형 자산을 검색할 수 있는 각 카테고리 메뉴가 활성화된 무형 자산 중개 거래 메뉴 화면을 표시시키며, 하나의 카테고리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카테고리에 등록된 무형 자산의 목록을 표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매자가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의 각 카테고리에 등록된 무형 자산을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무형 자산 정보 수집부(310)는 회원 등록된 구매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구매자 정보 DB(342)를 참조하여 판매자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형 자산 등록부(320)는 위와 같이 수신된 세부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판매자에 의해 판매 등록 요청된 해당 무형 자산의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카테고리내 무형 자산의 제목과 세부 판매 정보를 연동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이때, 무형 자산의 카테고리는 예를 들어, 공사 수주권, 사업 아이템 및 지적재산권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판매자는 무형 자산 판매 정보 입력창에 구현된 정보 입력 항목 중 카테고리 입력 항목에서 자신이 판매하고자 하는 무형 자산의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형 자산 등록부(320)는 카테고리 선택 항목에서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카테고리를 인식하여 선택된 카테고리에 무형 자산을 등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무형 자산별 카테고리 분류 정보 등은 제1 무형 자산 정보 DB(312)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무형 자산 등급 산출부(330)는 세부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무형 자산의 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하고, 환산된 금액을 기반으로 무형 자산을 기설정된 복수의 등급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무형 자산 등급 산출부(330)는 공사 수주권에 대해서는 판매자로부터 무형 자산으로 입력된 공사 수주권에 대한 공사 금액을 기반으로 금액별 미리 설정된 공사 수주권의 제1 등급 테이블을 기반으로 공사 수주권의 무형 자산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등급 테이블은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에 등록된 공사 수주권에 대해 공사 수주권의 공사 금액의 크기에 따라 각 공사 수주권을 일정 금액 구간 단위로 등급을 설정한 테이블을 의미할 수 있으며, 가장 높은 금액 구간에 속한 공사 수주권이 1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고, 다음 단위부터 순차적으로 2등급, 3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무형 자산 등급 산출부(330)는 특허 등의 지적재산권에 대해서는 지적재산권의 가치 평가에 대응하는 가치 평가 금액을 기반으로 금액별 미리 설정된 지적재산권의 제2 등급 테이블을 기반으로 지적재산권의 무형 자산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등급 테이블은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에 등록된 지적재산권에 대해 가치 평가된 금액의 크기에 따라 각 지적재산권을 일정 금액 구간 단위로 등급을 설정한 테이블을 의미할 수 있으며, 가장 높은 금액 구간에 속한 지적재산권이 1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고, 다음 단위부터 순차적으로 2등급, 3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지적재산권에 대한 가치평가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가치평가 기관 서버(400)로 의뢰될 수 있고, 가치평가 기관 서버(400)로부터 지적재산권에 대한 가치평가 결과가 수신되는 경우, 무형 자산 등급 산출부(330)는 가치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지적재산권에 대한 가치평가 금액을 산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무형 자산 등급 산출부(330)는 사업 아이템에 대해서는 사업 아이템의 가치 평가에 대응하는 가치 평가 금액을 기반으로 금액별 미리 설정된 사업 아이템의 제3 등급 테이블을 기반으로 사업 아이템의 무형 자산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3 등급 테이블은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에 등록된 사업 아이템에 대해 가치 평가된 금액의 크기에 따라 각 사업 아이템을 일정 금액 구간 단위로 등급을 설정한 테이블을 의미할 수 있으며, 가장 높은 금액 구간에 속한 사업 아이템이 1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고, 다음 단위부터 순차적으로 2등급, 3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업 아이템에 대한 가치평가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사업 아이템 전문가 단말(500)로 의뢰될 수 있고, 사업 아이템 전문가 단말로부터 사업 아이템에 대한 가치평가 결과가 수신되는 경우, 무형 자산 등급 산출부(330)는 가치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사업 아이템에 대한 가치평가 금액을 산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무형 자산 등급 산출부(330)는 위와 같이 산출한 무형 자산 등급 정보를 무형 자산 등급 정보 DB(322)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무형 자산 구매자 추출부(340)는 각 카테고리별 등록된 무형 자산의 구매 신청이 가능하도록 등록된 복수의 무형 자산 구매자 중 등록된 무형 자산과 매칭되는 복수의 후보 구매자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무형 자산 구매자 추출부(340)는 시스템(300)상 회원 등록된 각 구매자가 무형 자산 구매 정보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구매 정보를 각 구매자와 연동시켜 저장하시고, 저장된 구매 정보와 각 무형 자산의 세부 판매 정보를 비교하여 각 무형 자산과 매칭되는 복수의 후보 구매자를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무형 자산 구매자 추출부(340)는 공사 수주권과 매칭되는 후보 구매자를 추출함에 있어서, 각 구매자에 등록된 구매 정보를 참조하여, 공사 수주권과 매칭된 복수의 후보 구매자 중 공사 수주권이 속한 산업 분야에서의 공사 진행 경험 회수가 기설정된 기준 회수 미만인 구매자는 후보 구매자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즉, 공사 수주권에 대해서는 공사를 실제로 이행할 수 있는 구매자에게 양도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입찰 금액으로 후보 구매자를 추출하되, 공사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구매자를 입찰에서 제외시킴으로써 무형 자산에 대한 보다 안정적인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여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무형 자산 구매자 결정부(350)는 후보 구매자로 추출된 각 구매자에게 등록된 제2 사용자 단말(200)로 무형 자산에 대한 구매 입찰을 제의하고, 구매 입찰에 참여의사를 전송한 구매자에 대해 각 구매자가 제시한 입찰 가격순으로 정렬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며,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구매자를 무형 자산에 대한 구매자로 선정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 단말(100)의 판매자는 자신이 판매하고자 등록한 무형 자산에 대해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으로부터 해당 무형 자산의 구매 입찰에 참여한 구매자와 입찰 가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원하는 구매자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선택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무형 자산 구매자 결정부(35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어, 무형 자산 거래 중개부(360)는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구매자의 제3 사용자 단말로 무형 자산에 대한 구매자로 선정되었음을 통보하고, 해당 무형 자산에 대해 구매자가 입찰 참여시 제시하였던 입찰 금액을 거래 대금으로 입금하도록 요청한 후, 거래 대금이 입금되는 경우 해당 무형 자산의 소유권이 판매자로부터 구매자에게 양도되도록 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무형 자산 거래 중개부(360)는 각 카테고리별 등록된 무형자산 중 구매자에게 소유권이 이전된 무형 자산에 대해서는 각 카테고리에서 등록 정보를 삭제하고, 소유권이 이전된 무형 자산 목록에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무형 자산 거래 중개부는 위와 같이 시스템상 거래가 성사되어 소유권이 이전된 무형 자산에 대해서는 판매된 제2 무형 자산 정보 DB(352)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무형 자산 거래 중개부(360)는 무형 자산의 입찰 및 거래 대금의 입금과 소유권 이전 절차 등을 통해 소유권이 이전된 무형자산에 대해서는 해당 소유권을 양도받은 구매자가 시스템(300)에 접속하는 경우, 무형 자산의 중개 거래 메뉴 화면상 무형 자산의 재판매 메뉴가 활성화되도록 표시시킬 수 있다.
이때, 재판매 메뉴라 함은 무형 자산 거리 중개 시스템(300)에서 적어도 한번 이상의 거래를 통해 무형 자산을 구매한 이력이 있고, 시스템 접속 시점에 해당 무형 자산을 현재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구매자에게만 활성화되는 메뉴로서, 자신이 구매한 무형 자산을 재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재판매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무형 자산 거래 중개부(360)는 구매자가 자신이 이전에 구매한 무형 자산에 대한 재판매를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재판매 대상 무형 자산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재판매가 요청된 재판매 대상 무형 자산에 대해서는 기등록된 세부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재판매 대상 무형 자산을 이전에 등록되었던 카테고리내 이전에 산출된 등급으로 표시하여 등록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에서 무형 자산의 거래를 중개하는 동작 제어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무형 자산 판매자에 등록된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판매하고자 하는 무형 자산의 판매 요청이 있는 경우, 무형 자산에 대한 세부 판매 정보를 수신한다(S10).
이때, 세부 판매 정보를 수신함에 있어서,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고 제1 사용자 단말이 시스템에 회원 등록된 경우, 판매 요청을 수행할 수 있는 판매 메뉴가 활성화된 무형 자산의 중개 거래 메뉴 화면을 표시시킨다. 또한,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판매 메뉴가 입력되는 경우 세부 판매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설정된 개수의 정보 입력 항목으로 구성된 무형 자산 판매 정보 입력창을 제1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판매자는 제1 사용자 단말(100)상 표시된 무형 자산 판매 정보 입력창을 통해 판매를 위해 등록하고자 하는 무형 자산에 대한 세부 판매 정보를 입력하게 되며,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무형 자산에 대한 판매자의 세부 판매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어,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위와 같이 수신된 세부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판매자에 의해 판매 등록 요청된 무형 자산의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카테고리내 무형 자산의 제목과 세부 판매 정보를 연동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이때, 무형 자산의 카테고리는 예를 들어, 공사 수주권, 사업 아이템 및 지적재산권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판매자는 무형 자산 판매 정보 입력창에 구현된 정보 입력 항목 중 카테고리 입력 항목에서 자신이 판매하고자 하는 무형 자산의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카테고리 선택 항목에서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카테고리를 인식하여 선택된 카테고리에 무형 자산을 등록하게 된다(S12).
이어,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세부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무형 자산의 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하고, 환산된 금액을 기반으로 해당 무형 자산을 기설정된 복수의 등급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S14).
즉,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예를 들어 공사 수주권에 대해서는 판매자로부터 무형 자산으로 입력된 공사 수주권에 대한 공사 금액을 기반으로 금액별 미리 설정된 공사 수주권의 제1 등급 테이블을 기반으로 공사 수주권의 무형 자산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등급 테이블은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에 등록된 공사 수주권에 대해 공사 수주권의 공사 금액의 크기에 따라 각 공사 수주권을 일정 금액 구간 단위로 등급을 설정한 테이블을 의미할 수 있으며, 가장 높은 금액 구간에 속한 공사 수주권이 1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고, 다음 단위부터 순차적으로 2등급, 3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예를 들어 특허 등의 지적재산권에 대해서는 지적재산권의 가치 평가에 대응하는 가치 평가 금액을 기반으로 금액별 미리 설정된 지적재산권의 제2 등급 테이블을 기반으로 지적재산권의 무형 자산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등급 테이블은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에 등록된 지적재산권에 대해 가치 평가된 금액의 크기에 따라 각 지적재산권을 일정 금액 구간 단위로 등급을 설정한 테이블을 의미할 수 있으며, 가장 높은 금액 구간에 속한 지적재산권이 1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고, 다음 단위부터 순차적으로 2등급, 3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사업 아이템에 대해서는 사업 아이템의 가치 평가에 대응하는 가치 평가 금액을 기반으로 금액별 미리 설정된 사업 아이템의 제3 등급 테이블을 기반으로 사업 아이템의 무형 자산의 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3 등급 테이블은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에 등록된 사업 아이템에 대해 가치 평가된 금액의 크기에 따라 각 사업 아이템을 일정 금액 구간 단위로 등급을 설정한 테이블을 의미할 수 있으며, 가장 높은 금액 구간에 속한 사업 아이템이 1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고, 다음 단위부터 순차적으로 2등급, 3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각 카테고리별 등록된 무형 자산의 구매 신청이 가능하도록 등록된 복수의 무형 자산 구매자 중 등록된 무형 자산과 매칭되는 복수의 후보 구매자를 추출할 수 있다(S16).
이때, 후보 구매자를 추출함에 있어서,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시스템(300)상 회원 등록된 각 구매자가 무형 자산 구매 정보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구매 정보를 각 구매자와 연동시켜 저장하시고, 저장된 구매 정보와 각 무형 자산의 세부 판매 정보를 비교하여 각 무형 자산과 매칭되는 복수의 후보 구매자를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후보 구매자로 추출된 각 구매자에게 등록된 제2 사용자 단말(200)로 해당 무형 자산에 대한 구매 입찰을 제의하고, 구매 입찰에 참여의사를 전송한 구매자에 대해 각 구매자가 제시한 입찰 가격순으로 정렬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며(S18), 제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구매자를 무형 자산에 대한 최종 구매자로 선정할 수 있다(S20).
여기서, 제1 사용자 단말(100)의 판매자는 자신이 판매하고자 등록한 무형 자산에 대해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으로부터 해당 무형 자산의 구매 입찰에 참여한 구매자와 입찰 가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원하는 구매자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선택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어,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300)은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최종 구매자의 제3 사용자 단말로 무형 자산에 대한 구매자로 선정되었음을 통보하고, 해당 무형 자산에 대해 구매자가 입찰 참여시 제시하였던 입찰 금액을 거래 대금으로 입금하도록 요청한 후, 거래 대금이 입금되는 경우 해당 무형 자산의 소유권이 판매자로부터 구매자에게 양도되도록 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22).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에 있어서, 각종 공사 수주권, 지적재산권, 사업 아이템 등과 같은 무형 자산을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아 카테고리별로 무형 자산의 가치에 따른 등급을 설정하여 등록한 후, 미리 등록된 무형 자산에 대한 구매 의향이 있는 구매자와 각 무형 자산을 매칭시켜 매칭된 구매자에게 무형 자산에 대한 구매를 제의함으로써 무형 자산의 거래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310 : 무형 자산 정보 수집부 320 : 무형 자산 등록부
330 : 무형 자산 등급 산출부 340 : 무형 자산 구매자 추출부
350 : 무형 자산 구매자 결정부 360 : 무형 자산 거래 중개부
312 : 제1 무형 자산 정보 DB 322 : 무형 자산 등급 정보 DB
332 : 판매자 정보 DB 342 : 구매자 정보 DB
352 : 제2 무형 자산 정보 DB

Claims (11)

  1.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으로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무형 자산 판매자에 등록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판매하고자 하는 타겟 무형 자산의 판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타겟 무형 자산에 대한 세부 판매 정보를 수신하는 무형 자산 정보 수집부와,
    상기 세부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타겟 무형 자산의 카테고리를 결정하고, 결정된 카테고리내 상기 타겟 무형 자산의 제목과 상기 세부 판매 정보를 연동하여 저장시키는 무형 자산 등록부와,
    상기 세부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타겟 무형 자산의 가치를 금액으로 환산하고, 상기 환산된 금액을 기반으로 상기 타겟 무형 자산을 기설정된 복수의 등급 중 하나로 설정하는 무형 자산 등급 산출부와,
    각 카테고리별 등록된 무형 자산의 구매 신청이 가능하도록 등록된 복수의 무형 자산 구매자 중 상기 타겟 무형 자산과 매칭되는 복수의 후보 구매자를 추출하는 무형 자산 구매자 추출부와,
    상기 후보 구매자로 추출된 각 구매자에게 등록된 제2 사용자 단말로 상기 타겟 무형 자산에 대한 구매 입찰을 제의하고, 구매 입찰에 참여의사를 전송한 구매자에 대해 각 구매자가 제시한 입찰 가격순으로 정렬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구매자를 상기 타겟 무형 자산에 대한 타겟 구매자로 선정하는 무형 자산 구매자 결정부와,
    상기 타겟 구매자의 제3 사용자 단말로 상기 타겟 무형 자산에 대한 타겟 구매자 선정을 통보하고 상기 입찰 가격에 대응하는 거래 대금을 입금하도록 요청한 후, 상기 거래 대금이 입금되는 경우 상기 타겟 무형 자산의 소유권이 상기 타겟 구매자에게 양도되도록 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무형 자산 거래 중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형 자산 정보 수집부는, 상기 판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타겟 무형 자산의 상기 세부 판매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설정된 개수의 정보 입력 항목으로 구성된 무형 자산 판매 정보 입력창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되,
    상기 무형 자산 판매 정보 입력창은, 상기 무형 자산의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는 카테고리 선택 항목을 구비하며,
    상기 무형 자산 등록부는, 상기 카테고리 선택 항목에서 상기 판매자에 의해 선택된 카테고리를 인식하여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상기 무형 자산을 등록하고,
    상기 무형 자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시스템에 회원 등록된 경우 상기 판매 요청을 수행할 수 있는 판매 메뉴가 활성화된 무형 자산의 중개 거래 메뉴 화면을 표시시키며, 상기 판매 메뉴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무형 자산 판매 정보 입력창을 표시시키며,
    상기 무형 자산 정보 수집부는, 상기 무형 자산 구매자의 상기 시스템상 회원 등록 시 구매하고자 하는 무형자산의 카테고리와 무형 자산의 산업분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기설정된 개수의 제2 정보 입력 항목으로 구성된 무형 자산 구매 정보 입력창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무형 자산 구매자 추출부는, 상기 시스템상 회원 등록된 각 구매자가 상기 무형 자산 구매 정보 입력창을 통해 입력된 구매 정보를 각 구매자와 연동시켜 저장하시고, 상기 저장된 구매 정보와 상기 타겟 무형 자산의 세부 판매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타겟 무형 자산과 매칭되는 상기 복수의 후보 구매자를 추출하고,
    상기 무형 자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대한 인증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시스템에 회원 등록된 경우 상기 카테고리별 등록된 무형 자산을 검색할 수 있는 각 카테고리 메뉴가 활성화된 무형 자산 중개 거래 메뉴 화면을 표시시키며, 하나의 카테고리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카테고리에 등록된 무형 자산의 목록을 표시시키며,
    상기 무형 자산의 카테고리는, 공사 수주권, 사업 아이템 및 지적재산권으로 구성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시스템과 연결되며 상기 카테고리 중 상기 지적재산권에 대한 제1 가치 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제1 가치 평가를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가치평가 기관 서버와,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시스템과 연결되며, 상기 카테고리 중 상기 사업 아이템에 대한 제2 가치 평가를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제2 가치 평가를 상기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사업 아이템 전문가 단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무형 자산 등급 산출부는, 상기 공사 수주권에 대해서는 상기 판매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공사 수주권에 대한 공사 금액을 기반으로 금액별 미리 설정된 상기 공사 수주권의 제1 등급 테이블을 기반으로 상기 무형 자산의 등급을 결정하며,
    상기 지적재산권에 대해서는 상기 지적재산권의 상기 제1 가치 평가에 대응하는 제1 가치 평가 금액을 기반으로 금액별 미리 설정된 상기 지적재산권의 제2 등급 테이블을 기반으로 상기 무형 자산의 등급을 결정하며,
    상기 사업 아이템에 대해서는 상기 사업 아이템의 상기 제2 가치 평가에 대응하는 제2 가치 평가 금액을 기반으로 금액별 미리 설정된 상기 사업 아이템의 제3 등급 테이블을 기반으로 상기 무형 자산의 등급을 결정하고,
    상기 무형 자산 등급 산출부는, 상기 타겟 무형 자산이 상기 지적재산권인 경우 상기 가치평가 기관 서버로 상기 지적재산권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제1 가치 평가를 의뢰하고, 상기 가치평가 기관 서버로부터 수행된 상기 제1 가치 평가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가치 평가를 기반으로 상기 지적재산권의 상기 제1 가치 평가 금액을 산출하고,
    상기 타겟 무형 자산이 상기 사업 아이템인 경우 상기 사업 아이템 전문가 단말로 상기 사업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제2 가치 평가를 의뢰하고, 상기 사업 아이템 전문가 단말로부터 상기 제2 가치 평가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가치 평가를 기반으로 상기 사업 아이템의 상기 제2 가치 평가 금액을 산출하며,
    상기 무형 자산 구매자 추출부는, 상기 공사 수주권과 매칭되는 후보 구매자를 추출함에 있어서, 각 구매자에 등록된 구매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공사 수주권과 매칭된 복수의 후보 구매자 중 상기 공사 수주권이 속한 산업 분야에서의 공사 진행 경험 회수가 기설정된 기준 회수 미만인 구매자는 상기 후보 구매자에서 제외시키며,
    상기 무형 자산 거래 중개부는, 각 카테고리별 등록된 무형자산 중 구매자에게 소유권이 이전된 무형 자산에 대해서는 각 카테고리에서 등록 정보를 삭제하고, 소유권이 이전된 무형 자산 목록에 등록하여 관리하며,
    상기 무형 자산 거래 중개부는, 상기 소유권이 이전된 무형자산에 대해서는 해당 소유권을 양도받은 구매자가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는 경우, 무형 자산의 중개 거래 메뉴 화면상 무형 자산의 재판매 메뉴가 활성화되도록 표시시키는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형 자산 거래 중개부는,
    상기 재판매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재판매가 요청된 재판매 대상 무형 자산에 대해서는 상기 재판매 대상 무형 자산에 대해 기등록된 세부 판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재판매 대상 무형 자산을 이전에 등록되었던 카테고리내 이전에 산출된 등급으로 표시하여 등록시키는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
KR1020200022949A 2020-02-25 2020-02-25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 KR102341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949A KR102341416B1 (ko) 2020-02-25 2020-02-25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949A KR102341416B1 (ko) 2020-02-25 2020-02-25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122A KR20210108122A (ko) 2021-09-02
KR102341416B1 true KR102341416B1 (ko) 2021-12-24

Family

ID=77794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949A KR102341416B1 (ko) 2020-02-25 2020-02-25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4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5285A (ko) 2022-10-20 2024-04-29 김건우 무형 서비스 거래 중개 시스템 및 거래 중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594B1 (ko) * 2021-09-09 2022-09-02 주식회사 그립컴퍼니 인터랙티브 상품 쇼핑 방법, 인터랙티브 상품 쇼핑 장치, 및 인터랙티브 상품 쇼핑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770B1 (ko) * 2017-03-09 2017-08-23 양태규 무형 자산 중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9589A (ko) * 2006-07-24 2008-01-29 비디오랩(주) 디지털자산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테이프리스 기반의 디지털컨텐츠 판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20034435A (ko) * 2010-10-01 2012-04-12 강병구 여행계획 경매 와 이에 따른 여행비용 보상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026744A (ko) * 2012-08-23 2014-03-06 주식회사 룩페이지 온라인에서의 컨텐츠 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49283B1 (ko) 2013-07-10 2014-01-16 (주)메이드인헤븐 용역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07178B1 (ko) * 2017-07-25 2019-08-0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자연속으로 일차상품 온라인 경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770B1 (ko) * 2017-03-09 2017-08-23 양태규 무형 자산 중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5285A (ko) 2022-10-20 2024-04-29 김건우 무형 서비스 거래 중개 시스템 및 거래 중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122A (ko)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52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channel registration in an IP marketplace
US201400193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consumer to merchant negotiation
US20080162305A1 (e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a product manipulation and modification interface
US201101535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product development
US201002870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Buyer Driven Transaction
US201501787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mediating electronic commerce using offline transaction information
KR102341416B1 (ko) 무형 자산 거래 중개 시스템
KR20160129588A (ko) 거래 신뢰도를 높인 온라인 매매 중개 시스템
KR20200041714A (ko) 해외공동구매 시스템 및 방법
KR101844798B1 (ko) 온라인 주식 거래 시스템
JP2019512830A (ja) インテリジェント選択機能を搭載した購入ガイド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979442B1 (ko) 기업 간 전자상거래를 위한 양방향 글로벌 b2b 사이트 구축방법
KR20000012588A (ko) 다수 당사자의 경쟁을 통해 다수의 거래가 가능한 상거래장치 및 방법
KR102489348B1 (ko) 기업 간 유휴 불용 자산 거래 가격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KR20010096569A (ko) 인터넷 상에서 가격입력방식을 이용한 물건판매방법
US201401148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consumer to merchant negotiation
KR20170033013A (ko)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 방법
JP2002312643A (ja) 商取引支援方法および商取引支援プログラム
KR101485289B1 (ko) 쌍방향 상품거래 시스템 및 그 거래방법
KR20230030203A (ko) 쇼핑몰의 환불 판매 시스템
JP2024025257A (ja) 商標評価額算定システム、算定方法及び算定プログラム、並びに商標売買システム、売買方法及び売買プログラム
KR20210045590A (ko) 부동산 거래의 편리화, 원활화, 신속화를 높인 인터넷을 통한 부동산 거래 시스템
SG1875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marketing channels in an ip marketplace
JP2001331688A (ja) 情報売買仲介方法及び装置
KR20060123693A (ko)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한 국가간 무역거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