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989B1 - 투명성 및 장기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투명성 및 장기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989B1
KR102339989B1 KR1020200090451A KR20200090451A KR102339989B1 KR 102339989 B1 KR102339989 B1 KR 102339989B1 KR 1020200090451 A KR1020200090451 A KR 1020200090451A KR 20200090451 A KR20200090451 A KR 20200090451A KR 102339989 B1 KR102339989 B1 KR 102339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polypropylene resin
thiodipropionate
ppm
poly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호
전용성
정혜영
김성현
Original Assignee
한화토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토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토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0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9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9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8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7Thi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투명성 및 장기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투명성과 장기 내열성이 우수하므로, 투명성과 장기 내열성이 요구되는 가전기기의 부품 등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투명성 및 장기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Transparency and Long-term Thermal Stability and Article Molded Therefrom}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투명성 및 장기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범용 수지의 일종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경제성은 물론이고, 기계적 특성, 성형성, 내화학성 등이 뛰어나 자동차 내·외장 부품, 전기·전자 제품의 부품, 건축 및 산업용 자재 등의 소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장기 내열성을 향상시키 위해,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2003-0046478호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와 힌더드 페놀계 화합물 및 황 함유 2급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수지 조성물은 블랙 안료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 향상에는 관심을 두고 있지 않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2016-0061788호에서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에 유기 금속계 핵제를 추가하여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을 개선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러나, 이 수지 조성물은 흐림도(haze)가 여전히 높은 편이고, 장기 내열성을 개선하려는 시도는 없었다.
따라서, 투명성과 장기 내열성이 모두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2003-0046478호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2016-0061788호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성과 장기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명성과 장기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라서, (A)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 및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B) 황 함유 장기 내열안정제 500~20,000 ppm; 및 (C) 노니톨계 투명 핵제 100~10,000 ppm을 포함하되,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가 90 중량% 이상의 프로필렌과 10 중량% 이하의 에틸렌 또는 탄소수 4~12개의 α-올레핀 공단량체의 공중합체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X-선 형광분석(X-ray fluorescence spectroscopy; XRF) 또는 유도 결합 플라즈마(inductively coupled plasma; ICP)로 측정하였을 때,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중의 황(S) 원소의 함량이 20~1,000 ppm이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2.16 kg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3~50 g/10분의 용융지수를 갖는다.
황 함유 장기 내열안정제는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stearyl thiodipropionate),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lauryl thiodipropionate), 디미리스틸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myristyl thiodipropionate), 디트리데실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tridecyl thiodipropionate), 디옥타데실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octadecyl 3,3-thiodipropionate), 2,2'-티오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2,2'-thiobis(4-methyl-6-tert-butylphenol)),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닐옥시-메틸)메탄(tetrakis(3-laurylthiopropionyloxy-methyl)methane),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도데실티오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ol tetrakis(3-dodecylthiopropionate)), 라우릴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lauryl 3,3'-thiodipropionate), 스테아릴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stearyl 3,3'-thiodipropionate), 디스테아릴 디설파이드(distearyl disulfide) 및 프로피온산 3,3'-티오비스디도데실 에스테르(propionic acid 3,3'-thiobisdidodecyl ester)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황 함유 장기 내열안정제가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이다.
노니톨계 투명 핵제는 1,2,3-트리데옥시-4,6:5,7-비스-O-[(4-프로필페닐)메틸렌]-노니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산화방지제, 산 스캐빈저(acid scavenger), 보강재, 충전재, 내열안정제,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슬립제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100~10,000 ppm의 함량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3,5-트리메틸-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젠)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산화방지제를 100~5,000 ppm의 함량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하이드로탈사이트 및 칼슘 스테아레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화제를 50~2,000 ppm의 함량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이 제공된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은 두께 2 ㎜ 기준으로 흐림도(haze)가 40% 이하이고, 155℃에서 21일간 열처리 시 옐로우 인덱스(yellow index; YI)의 차이(ΔYI)가 15 이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이 가전기기의 부품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투명성과 장기 내열성이 우수하므로, 투명성과 장기 내열성이 요구되는 가전기기의 부품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라서, (A)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 및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B) 황 함유 장기 내열안정제 500~20,000 ppm; 및 (C) 노니톨계 투명 핵제 100~10,000 ppm을 포함하되,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가 90 중량% 이상의 프로필렌과 10 중량% 이하의 에틸렌 또는 탄소수 4~12개의 α-올레핀 공단량체의 공중합체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A)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 및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A)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프로필렌 단량체가 실질적으로 단독으로 중합되어 얻어지는 고분자 수지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제조방법을 그대로 또는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벌크(bulk) 중합법, 용액 중합법, 슬러리(slurry) 중합법, 기상 중합법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배치(batch)식, 연속식 어느 쪽도 가능하다.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는 90 중량% 이상의 프로필렌과 10 중량% 이하의 에틸렌 또는 탄소수 4~12개의 α-올레핀 공단량체가 공중합되어 얻어지는 공중합체 수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단량체가 에틸렌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그대로 또는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벌크(bulk) 중합법, 용액 중합법, 슬러리(slurry) 중합법, 기상 중합법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배치(batch)식, 연속식 어느 쪽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A)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2.16 kg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melt index; MI)가 3~50 g/10분, 바람직하게는 5~30 g/10분, 더 바람직하게는 5~20 g/10분일 수 있다. 이 용융지수가 높을수록 조성물의 유동성은 높아지지만, 이 용융지수가 위 범위의 상한을 초과하면, 성형품의 내충격성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B) 황 함유 장기 내열안정제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황 함유 장기 내열안정제(B)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황 함유 장기 내열안정제는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stearyl thiodipropionate),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lauryl thiodipropionate), 디미리스틸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myristyl thiodipropionate), 디트리데실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tridecyl thiodipropionate), 디옥타데실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octadecyl 3,3-thiodipropionate), 2,2'-티오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2,2'-thiobis(4-methyl-6-tert-butylphenol)),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닐옥시-메틸)메탄(tetrakis(3-laurylthiopropionyloxy-methyl)methane),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도데실티오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ol tetrakis(3-dodecylthiopropionate)), 라우릴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lauryl 3,3'-thiodipropionate), 스테아릴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stearyl 3,3'-thiodipropionate), 디스테아릴 디설파이드(distearyl disulfide) 및 프로피온산 3,3'-티오비스디도데실 에스테르(propionic acid 3,3'-thiobisdidodecyl ester)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황 함유 장기 내열안정제가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황 함유 장기 내열안정제(B)의 함량은 500~20,000 ppm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중의 황 함유 장기 내열안정제의 함량이 1,000~10,000 ppm일 수 있다. 황 함유 장기 내열안정제의 함량이 이 범위 내일 경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열안정성을 확보하여 황변이 지연됨으로써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외관이 우수하면서 바람직한 기계적 물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X-선 형광분석(X-ray fluorescence spectroscopy; XRF) 또는 유도 결합 플라즈마(inductively coupled plasma; ICP)로 측정하였을 때,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중의 황(S) 원소의 함량이 20~1,000 ppm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중의 황(S) 원소의 함량이 50~500 ppm일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중의 황(S) 원소의 함량이 이 범위 내일 경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장기 내열안정성을 확보하여 황변이 지연됨으로써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외관이 우수하면서 바람직한 기계적 물성을 유지할 수 있다.
(C) 투명 핵제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노니톨계 투명 핵제(C)를 포함한다. 노니톨계 투명 핵제(C)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가시광선 투과율을 높여 투명성을 향상시키고 결정화도를 높여 내열성과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노니톨계 투명 핵제는 1,2,3-트리데옥시-4,6:5,7-비스-O-[(4-프로필페닐)메틸렌]-노니톨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노니톨계 투명 핵제(C)의 함량은 100~10,000 ppm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중의 노니톨계 투명 핵제의 함량이 1,000~8,000 ppm일 수 있다. 노니톨계 투명 핵제의 함량이 이 범위 내일 경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투명성을 확보하면서 바람직한 기계적 물성을 유지할 수 있다.
(D) 첨가제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산 스캐빈저(acid scavenger), 보강재, 충전재, 내열안정제,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슬립제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100~10,000 ppm의 함량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3,5-트리메틸-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젠) 등과 같은 페놀계 산화방지제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등과 같은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산화방지제는 100~5,000 ppm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100 ppm 미만이면, 수지의 산화방지 효과를 확보하기 어렵고, 5,000 ppm을 초과하면, 산화방지 효과의 증가가 미미하며 수지 조성물의 가격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촉매 잔사를 제거하기 위한 중화제로서 하이드로탈사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중화제는 50~2,000 ppm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중화제의 함량이 50 ppm 미만이면, 수지의 촉매 잔사에 기인한 산도(acidity)를 낮추는 효과를 확보하기 어렵고, 2,000 ppm을 초과하면, 이미 촉매 잔사에 기인한 산성이 중화되어 더 이상 첨가하는 것이 무의미하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고, 통상적으로 알려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그대로 또는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의 각 성분들을 특별한 순서 제한이 없이 원하는 순서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여 혼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위에서 언급한 각 성분들과 기타 첨가제를 필요한 양만큼 니더(kneader), 롤(roll), 밴버리 믹서(Banbury mixer) 등의 혼련기 또는 1축/2축 압출기 등에 투입한 후 이들 기기들을 사용하여 투입된 원료들을 혼련하는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사출성형, 압출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성형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은 두께 2 ㎜ 기준으로 흐림도(haze)가 40% 이하이고, 155℃에서 21일간 열처리 시 옐로우 인덱스(yellow index; YI)의 차이(ΔYI)가 15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은 투명성과 장기 내열성이 우수하므로, 투명성과 장기 내열성이 요구되는 가전기기의 부품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아래와 같은 수지 및 화합물을 표 1에 표시된 함량(단위: ppm)으로 사용하였다.
A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용융지수 5 g/10분)
A2: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용융지수 5 g/10분, 에틸렌 함량 3.2 중량%)
B1: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송원산업)
C1: 노니톨계 투명 핵제(NX8000K, Milliken)
D1: 페놀계 산화방지제(SONGNOX 1010, 송원산업)
D2: 포스페이트계 산화방지제(SONGNOX 1680, 송원산업)
D3: 중화제(칼슘스테아레이트, Sun Ace Kakoh)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수지(A) A1 A2 A1 A1 A2 A2
B1 5,000 5,000 - 5,000 - 5,000
C1 5,000 5,000 5,000 - 5,000 -
D1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D2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D3 500 500 500 500 500 500
시험예
위 표 1에 나타낸 수지 및 화합물을 이축 스크루 압출기에서 약 200℃의 온도에서 용융 블렌딩하여 펠렛화한 후,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190~245℃의 온도에서 ASTM 규격으로 성형하였다.
(1) 용융지수(g/10분)
ASTM D1238에 의거하여 2.16kg 하중으로 230℃에서 용융지수를 측정하였다.
(2) 황 함량(ppm)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A1)에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를 각각 0, 2,500, 5,000, 7,500, 10,000 ppm의 함량으로 처방하여 배합한 후, 프레스 또는 사출을 이용해 평평한 시편을 제작하였다. 이를 X-선 형광분석(XRF)하여 황 함량에 따른 피크 강도(peak intensity)를 측정하였다.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와 황의 분자량이 각각 683 g/몰과 32 g/몰이고,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분자 내에 황 원자 1개가 있는 점을 감안하여, 위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함량(ppm)을 21.3(=683/32)으로 나눈 값을 시편 내의 황 함량(ppm)으로 보고, 황 함량에 따른 피크 강도를 통해 검량선을 확보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실시예/비교예의 시편들에 대해 XRF로 피크 강도를 측정하고 검량선을 통해 황 함량을 계산하였다.
(3) 흐림도(%)
ASTM D1004에 의거하여, 2 ㎜ 두께의 사출 시편의 흐림도를 측정하였다.
(4) 옐로우 인덱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2 ㎜ 두께의 사출 시편으로 만들고, 이를 컨벡션 오븐에서 155℃에서 21일 동안 열처리한 후, 열처리 전후의 옐로우 인덱스를 각각 측정하고 그 차이를 구하였다. 옐로우 인덱스는 ASTM E313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위 시험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비교예
1 2 1 2 3 4
황 함량(ppm) 235 243 - 228 - 236
흐림도(%) 38 17 37 72 18 51
ΔYI 11 14 측정불가 14 32 17
위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투명성과 장기 내열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장기 내열안정제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과 3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고온에서 장기간 열처리 시 시편이 분해되어 옐로우 인덱스 측정이 불가능 하거나 옐로우 인덱스의 변화가 심하게 나타났다. 또한, 노니톨계 투명 핵제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2와 4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흐림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우수한 투명성과 장기 내열안정성을 갖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투명성과 장기 내열안정성이 요구되는 가전기기의 부품 등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A) 프로필렌 단일 중합체 및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B) 황 함유 장기 내열안정제 500~20,000 ppm; 및 (C) 노니톨계 투명 핵제 100~10,000 ppm을 포함하되,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가 90 중량% 이상의 프로필렌과 10 중량% 이하의 에틸렌 또는 탄소수 4~12개의 α-올레핀 공단량체의 공중합체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X-선 형광분석(X-ray fluorescence spectroscopy; XRF) 또는 유도 결합 플라즈마(inductively coupled plasma; ICP)로 측정하였을 때, 황(S) 원소의 함량이 20~1,000 ppm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ASTM D1238에 의거하여 2.16 kg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3~50 g/10분의 용융지수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황 함유 장기 내열안정제가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stearyl thiodipropionate),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lauryl thiodipropionate), 디미리스틸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myristyl thiodipropionate), 디트리데실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tridecyl thiodipropionate), 디옥타데실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dioctadecyl 3,3-thiodipropionate), 2,2'-티오비스(4-메틸-6-tert-부틸페놀)(2,2'-thiobis(4-methyl-6-tert-butylphenol)), 테트라키스(3-라우릴티오프로피오닐옥시-메틸)메탄(tetrakis(3-laurylthiopropionyloxy-methyl)methane),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3-도데실티오프로피오네이트(pentaerythritol tetrakis(3-dodecylthiopropionate)), 라우릴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lauryl 3,3'-thiodipropionate), 스테아릴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stearyl 3,3'-thiodipropionate), 디스테아릴 디설파이드(distearyl disulfide) 및 프로피온산 3,3'-티오비스디도데실 에스테르(propionic acid 3,3'-thiobisdidodecyl ester)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황 함유 장기 내열안정제가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노니톨계 투명 핵제가 1,2,3-트리데옥시-4,6:5,7-비스-O-[(4-프로필페닐)메틸렌]-노니톨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산화방지제, 산 스캐빈저(acid scavenger), 보강재, 충전재, 내열안정제,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슬립제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100~5,000 ppm의 함량으로 더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3,5-트리메틸-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젠)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산화방지제를 50~2,000 ppm의 함량으로 더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하이드로탈사이트 및 칼슘 스테아레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화제를 50~2,000 ppm의 함량으로 더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
  11. 제10항에 있어서, 두께 2 ㎜ 기준으로 흐림도(haze)가 40% 이하이고, 155℃에서 21일간 열처리 시 옐로우 인덱스(yellow index; YI)의 차이(ΔYI)가 15 이하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
  12. 제10항에 있어서, 가전기기의 부품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
KR1020200090451A 2020-07-21 2020-07-21 투명성 및 장기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339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451A KR102339989B1 (ko) 2020-07-21 2020-07-21 투명성 및 장기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451A KR102339989B1 (ko) 2020-07-21 2020-07-21 투명성 및 장기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989B1 true KR102339989B1 (ko) 2021-12-15

Family

ID=78865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451A KR102339989B1 (ko) 2020-07-21 2020-07-21 투명성 및 장기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9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96306A1 (en) * 2022-06-22 2023-12-27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rocess for recycling propylene based polymer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478A (ko) 2000-10-10 2003-06-12 클라리언트 파이넌스 (비브이아이)리미티드 장기간 승온 안정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제품
KR20110094357A (ko) * 2008-12-22 2011-08-23 가부시키가이샤 프라임 폴리머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성형체 및 용기
KR20160061788A (ko) 2014-11-24 2016-06-01 한화토탈 주식회사 흐름성, 내열성 및 외관이 우수한 고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70102226A (ko) * 2014-12-19 2017-09-08 아부 다비 폴리머스 씨오. 엘티디 (보르쥬) 엘엘씨. 배터리 케이스를 위한 우세한 응력 백화 수행성
WO2018098711A1 (en) * 2016-11-30 2018-06-07 Borouge Compounding Shanghai Co., Ltd. Polypropylene composition (c) with low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lte)
WO2019241066A1 (en) * 2018-06-11 2019-12-19 W.R. Grace & Co.-Conn. Propylene-ethylene random copolymers with low xs/et ratio and high mfr
KR20200056071A (ko) * 2018-11-14 2020-05-22 한화토탈 주식회사 내열성, 강성 및 용융 강도가 우수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478A (ko) 2000-10-10 2003-06-12 클라리언트 파이넌스 (비브이아이)리미티드 장기간 승온 안정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제품
KR20110094357A (ko) * 2008-12-22 2011-08-23 가부시키가이샤 프라임 폴리머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성형체 및 용기
KR20160061788A (ko) 2014-11-24 2016-06-01 한화토탈 주식회사 흐름성, 내열성 및 외관이 우수한 고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70102226A (ko) * 2014-12-19 2017-09-08 아부 다비 폴리머스 씨오. 엘티디 (보르쥬) 엘엘씨. 배터리 케이스를 위한 우세한 응력 백화 수행성
WO2018098711A1 (en) * 2016-11-30 2018-06-07 Borouge Compounding Shanghai Co., Ltd. Polypropylene composition (c) with low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lte)
WO2019241066A1 (en) * 2018-06-11 2019-12-19 W.R. Grace & Co.-Conn. Propylene-ethylene random copolymers with low xs/et ratio and high mfr
KR20200056071A (ko) * 2018-11-14 2020-05-22 한화토탈 주식회사 내열성, 강성 및 용융 강도가 우수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96306A1 (en) * 2022-06-22 2023-12-27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Process for recycling propylene based polym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7912B1 (ko)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60021757A (ko) 핵화 조성물 및 이러한 핵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EP2154190B1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having low volatiles
KR102339989B1 (ko) 투명성 및 장기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EP3819337A1 (en) Soft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direct-current insulation characteristics and article molded therefrom
CN114044966B (zh) 一种抗雾化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097217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20116160A (ko)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US20200095360A1 (en) A crosslinkable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KR20170068102A (ko) 코로게이트 튜브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성형품
KR101834078B1 (ko) 수축률 및 외관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30041799A (ko) 과립상 수지 첨가제 조성물
KR100717639B1 (ko) 용융 장력 및 가열 성형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20220048537A (ko)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124702B1 (ko) 내백화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EP0264653A2 (en) Rubber composition
KR102209154B1 (ko) 내백화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484603B1 (ko) 내백화성, 내충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KR102548685B1 (ko) 투명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223243B1 (ko) 내백화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US20220112324A1 (en) 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Melt Flowability And Impact Resistance
KR101831528B1 (ko) 강성 및 충격강도가 개선된 고유동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99708B1 (ko) 우수한 연질 특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258938B1 (ko) 강성과 장기 내열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814986B1 (ko)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